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폭풍해일 침수예상도 검증을 위한 형상유사도 분석 : 형상기준

        김영인,김동현,이승오 한국방재안전학회 2019 한국방재안전학회 논문집 Vol.12 No.3

        The concept of shape similarity has been applied to verify the accuracy of the SIND model, the real-time prediction model for disaster risk. However, the CRITIC method, one of the most widely used in geometric methodology, is definitely limited to apply to complex shape such as hazard map for coastal disaster. Therefore, we suggested the modified CRITIC method of which we added the shape factors such as RCCI and TF to consider complicated shapes. The matching pairs were manually divided into exact-matching pairs and mis-matching pairs to evaluate the applicability of the new method for shape similarity into hazard maps for storm surges. And the shape similarity of each matching pair was calculated by changing the weights of each shape factor and criteria. Newly proposed methodology and the calculated weights were applied to the objects of the existent hazard map and the results from SIND model. About 90% of exact-matching pairs had the shape similarity of 0.5 or higher, and about 70% of mis-matching pairs were it below 0.5. As future works, if we would calibrate narrowly and adjust carefully multi-objects corresponding to one object, it would be expected that the shape similarity of the exact-matching pairs will increase overall while it of the mis-matching pairs will decrease. 실시간 재난위험도 예측 모델인 SIND 모델의 정확도 확인 및 검증을 위해 다양한 형상유사도 개념을 적용하였다. 기하학적 방법론 중에서 가장 널리 이용되는 CRITIC 기법은 침수예상도와 같은 복잡한 지형 형상에 적용하기에는 분명한 한계점을 보여서 본 연구에서는 복잡한 전파특성의 형상을 평가할 수 있는 RCCI와 TF 등과 같은 형상인자를 추가하여 수정된 CRITIC 기법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에서 제안된 형상유사도 평가 방법을 폭풍해일의 침수예상도에 적용하여 검토한 결과, 면 객체 쌍들을 수동으로 정 매칭쌍과 오 매칭쌍으로 구분하였으며, 각 형상 인자들, 위치기준, 면적기준, 형상 기준의 가중치들을 변화시켜가며 각 매칭쌍의 형상유사도를 산정하였다. 본 연구에서 제안된 방법론과 산정된 가중치를 참고자료인 침수예상도의 지도 객체와 목표자료인 SIND 모델결과의 객체에 적용한 결과, 정 매칭쌍은 약 90%가 형상유사도 0.5 이상의 값을 가졌고, 오 매칭쌍은 약 70%가 0.5 미만으로 나타났다. 향후 다수의 객체가 하나의 객체와 대응되는 점을 보완 조정한다면 정 매칭쌍의 형상유사도는 전체적으로 증가하고 오 매칭쌍의 형상유사도는 감소할 것이라 판단된다.

      • KCI등재

        통계적 형상분석을 이용한 엑셀 방사형 차트의 분류와 판별

        이승언,김준홍,최연석,최용석 한국통계학회 2024 응용통계연구 Vol.37 No.1

        평가지표와 같은 수치형 자료의 경우 수치 형태보다 엑셀(Excel)의 방사형 차트 형태로 나타내 시각적으로 표현하면 정보 전달에 더욱 효과적일 것이다. 그러나 개체가 많은 경우 시각적으로 판별하거나 분류하는 것이 쉽지 않다. 이럴 경우 각 개체에 대해 방사형 차트를 이용하여 형상화 시킨 후, 형상의 정보를 대표할 수 있는 형상점을 찾고 형상좌표로 변환해 형상분석을 적용하여 분류 및 판별하는 방법을 알아보고자 한다. 형상분석을 이용하기 위해 주로 분석자의 주관으로 형상점을 얻고 임의의 좌표공간을 생성시켜 좌표를 얻곤 했다. 방사형 차트는 해당 개체의 특징을 나타내는 변수의 개수만큼 형상점이 생기게 되고 이를 선으로 이은 것은 하나의 형상으로 여겨진다. 따라서 중심을 원점으로 두고 2차원 공간으로 정의를 내린 후, X축과 각 특징을 나타내는 축이 이루는 각에 대해 삼각함수를 적용해 형상좌표를 추출해낸다. 변수의 개수가 많아 형상의 모양이 복잡해질 경우 방사형 차트를 이용해 시각화하더라도 쉽게 파악하기 어렵다. 독립성을 보장할 수 없는 변수들에 대해 주성분 분석(PCA)을 실시하여 시각적으로 효과적인 형상을 만든다. PCA를 실시하기 전과 후의 형상에 대해 전통적 판별분석, 서포트벡터머신(support vector machine; SVM), 인공신경망(artificial neural network; ANN)의 기법을 적용시켜 분류표와 분류율을 확인한다. 또한 GPA (generalized procrustes analysis) 적합좌표, 북스테인좌표 2가지 좌표에 대한 판별의 차이를 비교한다. 북스테인좌표의 경우 기저 형상점을 중심으로 형상의 위치와 회전, 척도를 변환한 좌표로써, 분류율에 대해 GPA 형상좌표보다 더 높은 결과를 보이고 있다. 북스테인좌표의 경우 여러 군집 간의 형상을 비교하는데 유용하게 활용된다. A radial chart of Excel is very useful graphical method in delivering information for numerical data. However, it is not easy to discriminate or classify many individuals. In this case, after shaping each individual of a radial chart, we need to apply shape analysis. For a radial chart, since landmarks for shaping are formed as many as the number of variables representing the characteristics of the object, we consider a shape that connects them to a line. If the shape becomes complicated due to the large number of variables, it is difficult to easily grasp even if visualized using a radial chart. Principal component analysis (PCA) is performed on variables to create a visually effective shape. The classification table and classification rate are checked by applying the techniques of traditional discriminant analysis, support vector machine (SVM), and artificial neural network (ANN), before and after principal component analysis. In addition, the difference in discrimination between the two coordinates of generalized procrustes analysis (GPA) coordinates and Bookstein coordinates is compared. Bookstein coordinates are obtained by converting the position, rotation, and scale of the shape around the base landmarks, and show higher rate than GPA coordinates for the classification rate.

      • KCI등재

        사상의학(四象醫學) 형상관(形象觀)에 대한 사심신물적(事心身物的) 고찰(考察)

        김정호,송정모,Kim, Jeong-ho,Song, Jeong-mo 사상체질의학회 1999 사상체질의학회지 Vol.11 No.1

        연구목적(硏究目的) : 한의학(韓醫學)의 최근(最近)의 연구(硏究) 경향에 있어서 많은 시도와 다양한 접근이 이루어지고 있음을 우리는 알 수 있다. 그 중 형상의학(形象醫學)이라는 분야는 기존 한의학(韓醫學)의 전통적(傳統的) 이론(理論)을 근거로 하고 다양한 임상적 지식을 결합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서 의학적(醫學的) 진단(診斷)과 치료(治療), 예후(豫後) 그리고 예방적(豫防的) 차원(次元)에서 유용하게 응용(應用)되고 있다. 이러한 형상의학(形象醫學)은 다양한 연구와 임상적 지식, 그리고 깊이 있는 한의학(韓醫學) 이론 (理論)의 이해를 필요로 하고 있으며 그 의학적(醫學的) 가치는 더욱 증가하고 있다. 사상의학(四象醫學)에서도 이와 같은 형상의학(形象醫學)적인 내용이 중요하게 다루어지고 있는데, 이는 사실상 사상체질변증(四象體質辯證)이라는 사상의학(四象醫學)의 주요 과제와 맞물려 있는 내용이기도 하다. 사상의학(四象醫學)에서의 형상적(形象的)인 개념이 비교적 종합적으로 제시되어 있는 부분은 <변증론(辦證論)>이라 할 수 있는데 <변증론(辯證論)>에는 태소음양인(太小陰陽人)의 네 가지 체질(體質)에 따른 체형기상(體形氣象)과 용모사기(容貌詞氣) 등이 설명되어 있다. 그러나 보다 원리적인 설명은 <변증론(辯證論)>에는 생략되어 있다. 사상의학(四象醫學)을 관통하고 있는 근본 정신은 사상정신(四象精神) 즉 사심신물(事心身物)이라는 사물류적(四物類的) 요약정신(要約精神)이다. 따라서 사상의학(四象醫學)의 형상(形象) 에 관한 부분도 기본적인 이론(理論)이나 정신(精神)에 입각한 연구(硏究)가 선행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할 수 있다. 이에 저자(著者)는 사상의학(四象醫學)의 원리론(原理論)이라 할 수 있는 <성명론(性命論)>에서 <직부록(職腑論)>까지의 고찰(考察)을 시도하여 이제마 의 형상관(形象觀)이 어떻게 표현되고 있으며 사심신물(事心身物)의 정신(精神)에 입각하여 이들이 어떠한 관계를 가지고 있는지 살펴보고자 한다. 연구방법(硏究方法) : 먼저 사상(四象)의 개념에 대한 기원(起源)을 살펴보고 <성명론(性命論>, <사단론(四端論)>, <확충론(擴充論)>, <직부론(職腑服論)>에 나타난 형상(形象)과 관련 있는 대상을 정리하였으며 고찰(考察)을 통해 그들이 가지는 사심신물(事心身物)이라는 사상정신(四象精神)에 입각한 관계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그리고 그러한 형상적(形象的) 대상들을 사상구조(四象構造)로 분류하여 사상의학(四象醫學)의 형상적(形象的) 대상들을 사상정신(四象精神) 속에서 전체적으로 이해(理解)하고자 하였다. 추가적(追加的)으로 오행적(五行的) 관점(觀點)에서의 인체(人體) 형상(形象)과 사상적(思想的) 관점(觀點)에서의 인체(人體) 형상(形象)을 비교(比較)함으로써 사상의학(四象醫學) 형상관(形象觀)의 특징(特徵)을 <변증론(辨證論)>을 비롯한 기존(旣存)의 연구(硏究) 자료(資料)를 바탕으로 살펴보았다. 연구결과(硏究結果) 형상적(形象的) 대상으로서 제시된 각 부위는 모두 사심신물(事心身物)의 정신(精神) 속에서 분류되어 있고 이를 바탕으로 일관적으로 설명되고 있다. 이들 형상(形象)은 오행적(五行的) 관점(觀點)의 형상(形象)과 달리 기능적(機能的) 측면이 중시되어 있는데 이는 단순한 형상(形象)의 모습만이 아닌 수행하는 기능이나, 그 형상(形象)을 통해 드러나는 심욕(心慾)을 관찰하는 대상으로서의 형상(形象)이 중시됨을 Nowadays there are a lot of attempts and approaches in the Study of Oriental Medicine. The Morph&Image is one of them, and its importance is more and more increasing. Likewise, in the Sasang Consitutional Medicine, the Morph&Image is one of the important part too. And it is presented in the <Discourse on Identifying Four Constitution(四象人辯證論) of ${\ll}$Dorgyi SooseBowon(東醫壽世保元)${\gg}$. But that Discourse shows us only the concept and conclusion of Morph&Image, based on classification of Sasang Constitution, without explaining how it is derived. So the author studied the basic theory parts of ${\ll}$Dorgyi Soose Bowon${\gg}$-those are the <Discourse on Nature and Order(性命論)>, <Discourse on Four Principles(四端論)>, <Discoures on Establishment and Supplement(擴充論)>, and <Discourse on Viscera and Bowels(臟腑論)>- and wanted to find out the mechanism of Morph&Image concept in the Sasang Constitutional Medicine.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Every portion of human body, can be considered as Morph&Image, in ${\ll}$Dorgyi Soose Bowon${\gg}$ could be explained in the line with the Sasang theory. Morph&Image in ${\ll}$Dorgyi Soose Bowon${\gg}$ contents not only the shape itself but also image, operation, mind condition, nature, emotion and so on. 2. The traditional Oriental Medicine has the Morph&Image categorized by Five elements(五行). And it is used for Oriental medical Diagnosis. But in the Sasang Constitution, Morph&Image is used for Sasang Constitutional classification. 3. The Morph&Image in Sasang could be classified into four groups. Affairs(事)- group(ears, eyes, nose, mouth(耳目鼻口) and so on), object(物)-group(lung, spleen, liver, kidney(肺脾肝腎)and soon), Mind(心)-group(jaw, chest navel, abdomen and so on) and Body(身)-group(head, shoulders, waist hips(頭肩腰臀) and so on) are those. Event and Object groups reflect the congenital conditions of Sasang-Classified human body, and Mind and Body groups reflect mind state, nature, emotion etc..

      • KCI등재

        디자인 구성요소로서의 형상에 관한 고찰

        안원모 홍익대학교 법학연구소 2020 홍익법학 Vol.21 No.2

        Whether or not to recognize a shape-only design is important in determining the scopeof design right. Acording to the view that denies a design only for shape, theapearance of the product always exists in the form of a mixture of shapes,ornamentation and colors. Therefore, they critcize that the recogniton of a shape-onlydesign ignores this reality and admits design that exists only in abstract. However,acording to this view, suficient protection for the design of the shape alone is notachieved, and the imitation of the design is widely alowed, which hinders thedevelopment of the design industry. A design only for shape should be recognized for the folowing reasons. First, theshape of the product is where the designer's creative eforts are concentrated, and if theaplicant wants to protect the shape only, it should be made posible. Second, the designprotection law uses expresions that presupose the existence of design only with shapesin many places. Third, it is posible to specify the design only for shape in the registereddesign and the published design, and the third party has no dificulty in distinguishingthe design of the shape only. Therefore, even if a shape-only design is recognized, therewil be no confusion in practice. Fourth, if the design of the shape alone is not recognized, the scope of the right of the design becomes to narow and the imitationof the design is widely alowed. For the development of the design industry, it isnecesary to recognize the value of a shape-only design and protect it from imitation. Even if it recognizes the shape-only design, it should not be regarded as a problemof design utilzation in the outside area of ​similarity judgment, but should directlyrecognize its role in similarity judgment of design. Since the shape-only design isintended to recognize the scope of rights by designating only the shape, only the shapespecifed in the scope of rights should be compared in the judgment of similarity. In thisway, developing the problem of shape-only design into a like-with-like test in a sceneof similarity judgment is much simpler than solving the problem of design utilzation. 형상만의 디자인을 인정할 것인지 여부는 디자인의 권리범위를 확정하는 면에서 중요하다. 형상만의 디자인을 부정하는 견해에 의하면, 물품의 외관은 항상 형상․모양․색채가혼연일체를 이루어 존재하는 것이므로, 형상만의 디자인을 인정하는 것은 이러한 현실을무시하고 관념적․추상적으로만 존재하는 디자인을 인정하는 것이라고 비판한다. 그러나이 견해에 의하면, 창작의 핵심이 물품의 형상에 있는 경우에 이를 충분히 보호할 수 없게되고, 디자인의 모방을 광범위하게 허용하는 결과, 디자인 산업의 발전에 지장을 초래하게된다. 출원인이 형상만의 도면을 출원한 경우에, 거기에 무모양․일색이 결합된 것으로 보는 것은 출원인의 의도와도 전혀 동떨어진 것이다. 형상만의 디자인은 다음과 같은 이유에 의하여 인정되어야 한다. 첫째, 물품의 형상은디자이너의 창작적 노력이 집중되는 곳으로, 만일 출원인이 형상만에 대하여 보호를 구하고자 하는 경우에, 그것이 가능하도록 하여야 한다. 둘째, 디자인보호법은 형상만으로 된디자인의 성립을 전제로 하는 표현을 여러 곳에서 사용하고 있다. 셋째, 등록디자인과 간행물 기재 디자인에서 형상만의 디자인을 특정하는 것이 가능하고, 제3자도 그러한 형상만의디자인을 파악하는 것에 별다른 어려움이 없을 것이므로, 형상만의 디자인을 인정하더라도제도상의 혼란이 발생할 염려는 크지 않다. 넷째, 형상만의 디자인을 인정하지 않으면 디자인의 권리범위가 너무 협소해지고, 디자인의 모방이 광범위하게 허용되는 결과가 된다. 디자인 산업의 발전을 위해서는 형상만의 디자인에 대한 가치를 인정하고, 이를 모방으로부터 보호해 줄 필요가 있다. 형상만의 디자인을 인정할 경우에, 이를 유사판단의 외연에 있는 디자인 이용관계의 문제로 다룰 것이 아니라, 직접 디자인 유사판단의 장면에서 다루는 것이 타당하다. 형상만의디자인은 형상만을 특정하여 권리범위를 인정한 것이므로, 유사성 판단에서도 권리범위로특정된 대상(형상)만을 대비하여야 한다. 이렇게 형상만의 디자인에 대해서는 유사성 판단의 장면에서, 같은 대상끼리의 비교라는 법리로 발전시키는 것이, 이용관계의 문제로 해결하는 것보다 훨씬 간명한 법리가 된다.

      • KCI등재

        Relationships among CEO Image, Corporate Image and Employment Brand Value in Fashion Industry.

        Ko, Eunju高銀珠, charles R. Taylor, Udo Wagner and Hyun Ah Ji(池賢娥) 한국마케팅과학회 2008 마케팅과학연구 Vol.18 No.4

        CEO形象和公司形象对营销十分重要,许多案例证明CEO形象直接或间接影响公司或产品价值。目前有技术带来的不同公司之间产品和服务差异化正在减小,越来越多的人根据公司形象和声誉决定购买或投资。在知识社会的今天,优秀的员工成为公司的客户,公司必须以市场的观念管理他们,如何安抚和吸引这些客户。时尚产业是最具附加值的行业,最重要资源就是人的知识和能力。然而还缺少这方面的研究。本研究具体的研究目标包括:1CEO形象(例如管理能力、可靠性或者领导力,个人魅力) 对公司形象(例如产品形象,公司的社会责任形象,公司的文化形象)的影响:2公司形象对雇佣品牌价值的影响;3CEO形象对雇佣品牌价值的影响;4公司形象是否作为CEO形象对雇佣品牌价值的中介变量。 本研究采用结构化问卷,398个便利抽样本被分为2组,包括时尚专业的大学生和从业者。用抽述性统计、因子分析、相关分析和多元回归分析和ANOVA分析。 研究结果如下。首先,CEO形象例如管理能力、可靠性或者领导力,个人魅力)对公司形象(例如产品形象,公司的社会责任形象,公司的文化形象)存在显著影响。但CEO个人魅力对产品形象和公司社会形象有影响,但不会影响公司文化形象。 其次,公司形象(例如产品形象,公司的社会责任形象,公司的文化形象)影响雇佣品牌价值,其顺序依次是公司文化形象影响企业社会责任形象和产品形象。 第三,CEO形象(例如管理能力、可靠性或者领导力,个人魅力)影响雇佣品牌形象。其顺序依次是CEO的可靠性或者领导力,CEO的个人魅力和CEO的管理能力。 第四,公司形象对CEO管理竞争力和雇佣品牌价值的关系有中介作用。公司形象在CEO的管理能力和雇佣品牌价值之间起到完全中介作用。同时,在CEO的可靠性或领导力和CEO的个人魅力之间起到部分中介作用。 本研究对时尚产业的CEO形象、公司形象和雇佣品牌价值的关系进行研究,据有重要意义,将为管理CEO、公司和 优秀员工提供有用的信息。 The CEO and the Corporate Image is considered very important in the aspect of marketing The fact that CEO image itself influences the company or value of the product directly and services between companies became difficult because the disparity in technique between companies retrenched. As a result, the rate of people who decide to purchase or invest their money based on the corporate image or reputation has been increased. Also in the knowledge society like today, the talented employees are the company's customer and the company's necessity for managing those brains of marketing perspective on how to satisfy and attract the customers is being embossed. The Fashion industry is one of the most value-added industry and in those value-added businesses, the most important factor is the human resources' knowledge power. However the study of the relationships among the CEO image, the corporate image and employment brand value in fashion industry has not been carried out yet. This research considers that dynamic relationship exists among the CEO image, corporate image and employment brand value that affects a company's main goal of pursuing benefits and intend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s of the three concepts. The specific purposes of this study were, 1) to analyze the impact of CEO image on a corporate image, 2) to analyze the impact of corporate image on employment brand value, 3) to analyze the impact of CEO image on employment brand value, 4) to analyze whether corporate image plays a mediating rol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CEO image and employment brand value or not. A survey design with a structured questionnaire was employed for this research. A convenience sample of 398 subjects was selected from two groups, which are university students majoring in fashion and practitioners working in fashion industry. For the data analysis, descriptive statistic (i.e., frequency, percentage), factor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ere used by utilizing SPSS 12.0 for Window program. The results for this research are as follows, first, the study of the impact of CEO image (i,e., Managerial Competence, Reliability/ Leadership, Personal Attractiveness) on corporate image (i.e., Product Image, 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 Image, Corporate Cultural Image) brought conclusion that the CEO image generally affected the corporate image in fashion industry. Managerial competence and Reliability/ Leadership, affected Product image, 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 Image and Corporate Cultural Image. However, while CEO's Personal Attractiveness affected Product Image and 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 Image, it did not affect Corporate Cultural Image. Second, the study of the impact of corporate image on employment brand value brought conclusion that corporate image (i,e., Product Image, 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 Image, Corporate Cultural Image) affected employment brand value. Corporate Cultural Image affected employment brand value the most and then the 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 Image and Product Image. Third, the study of the impact of CEO image on employment brand value brought conclusion that CEO image (i,e., Managerial Competence, Reliability/ Leadership, Personal Attractiveness ) affected the employment brand value. CEO's Reliability/ Leadership affected the employment brand value the most and then CEO's Personal Attractiveness and CEO's Managerial competence. Forth, the study examined whether corporate image plays a mediating role in relationship of CEO image and employment brand value and concluded that it does. Corporate image played a full mediating role between CEO's Managerial Competence and employment brand value while it played a partial mediating role between CEO's Reliability/ Leadership and CEO's Personal Attractiveness. This study is meaningful in a sense tat it examines the relationship among the CEO image, corporate image and employment brand value which has not been carried o

      • KCI등재

        일반 논문 : 문묘소무(文廟소舞)의 심미형상(審美形象)에 나타난 유가적(儒家的) 형식(形式)과 철학적의미(哲學的意味) -명(明),청대문묘소무보(淸代文廟소舞譜)를 중심(中心)으로-

        김용복 동양철학연구회 2013 東洋哲學硏究 Vol.73 No.-

        이 연구는 明·淸代의 文廟소舞譜를 비교분석하여 그 발전과정과 변이를 검토하고, 무보를 유형별로 나누어 기록된 형식을 통해 춤동작을 해석함으로써 표현하고자 하는 심미형상의 철학적 의미를 밝힌 것이다. 문묘일무의 춤동작은 철학적으로 형식화된 법도에 의해 함축된 형상으로 문헌에 기록되어 상징적으로 나타내고 있다. 문묘일무의 심미형상은 마음을 몸으로 담아내는 정신[心]과 육체[身]의 관계에서 분명해지는데, 여기에는 시종 ‘禮’에 대한 표현성이 전제된다. 문묘일무는 도덕적 주체로서 자신을 드러내어 마음에 각인된 본성을 몸과 통일체를 이룸으로써 形象美를 드러낸다. 특히 도덕적 주체로서의 완성된 인간을 몸으로 표현해 냄으로써 신과 하나 됨을 추구한다. 儒家의 문화 혹은 예술로서 신화적 요소가 내재된 문묘일무는 신을 맞이하는 제례의 장에서 웅장하고 성대함을 갖추어 거행함으로써 天人合一을 이루었다. 제의적 목적에서 시작된 춤은 이제 완성된 인간으로서 신의 뜻을 받들어 자신을 드러내고 자신을 바침으로써 신과 하나 되고, 나아가 타인을 감화하여 함께 신과 소통하는 철학적 의미를 담고 있다. 문묘일무는 예의 형식을 통해 天人合一을 이루고 과거·현재·미래를 관통하는 문화로서 정치적·역사적으로 계승되어왔다. 문묘일무는 禮로 시작하여 禮로 끝난다. 그 내면에는 지극한 정성의 진실함과 공경이 있다. 문묘일무에서 춤은 道를 실은 美이며, 동작마다 절제의 미학을 강조 한다. 이는 예술적 측면 보다는 유가에서 강조하는 道를 우선적으로 내세운 것이다. 즉 天理를 내세우는 이성주의적 사고에 바탕한 예술인 것이다. 여기에는 춤을 춤으로써 道로부터 자연스럽게 벗어나 樂으로써 절제된 욕망을 긍정하는 감성주의적 사고가 저변에 깔려 있다. 그러나 일무에서 춤을 추는 마음은 본성을 굳건히 하고 신중함을 더하여 절제된 예로써 그 표현성을 형상화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문묘일무보는 그림무보 이외에 舞譜解를 기록하여 예에 벗어나지 않는 춤동작을 구체적으로 규정하고 있다. 明·淸代의 文廟소舞譜는 시대를 거듭 할수록 보완되고 발전되었으며 새롭게 제작되었으나, 그 내면에 담긴 철학적 의미는 예를 중심으로 신과 인간의 소통을 말하고 있다. 本硏究是比較明淸的文廟소舞譜, 硏究其發展和轉變過程, 按照分類通過記錄在舞譜中的形式解釋舞蹈動作, 從而闡明其所要表現的審美形象的哲學意義。文廟소舞的舞蹈動作以根據哲學形式化的原則被濃縮的形象記錄在文獻中,具有象徵性意義。文廟소舞的審美形象在用身體來表現內心的精神(心)和肉體(身)的關系中更加明確, 這裏始終以對“禮”的表現性爲前提。文廟소舞體現作爲道德主體的自我, 使銘刻在心的本性與身體形成統一體, 顯示形象美。特別是通過身體來表現作爲道德主體的“完成的人”, 追求與神的合一。作爲儒家的一種文化或藝術, 包含神話要素的文廟소舞在迎神的祭禮中雄偉而盛大, 完成天人合一。爲了祭儀而開始的舞蹈, 現在包含著一種哲學意義,卽作爲一個“完成的人”接受神的旨意體現和奉獻自我, 與神合一, 感化他人共同與神溝通。文廟소舞作爲通過禮的形式完成天人合一, 貫通過去、現在、未來的文化, 在政治和歷史上得到繼承。文廟소舞始于禮而終于禮, 타包含著至誠的眞實和恭敬。文廟소舞中舞蹈是載道之美, 每一個動作都强調節制的美學。比藝術方面更提倡儒家所强調的道。卽以重視天理的理性主義思考爲基礎的藝術。這裏仍然存在著通過舞蹈自然地脫離道, 肯定以樂加以節制的欲望的感性主義思考。然而소舞中跳舞的心使本性更加堅强而愼重, 以被節制的禮完成其表現性的形象化。爲此, 文廟소舞除了圖形舞譜之外, 記錄舞譜解具體規定了不違背禮的舞蹈動作。明淸文廟소舞譜隨著時代的變遷逐步得到發展和完善, 而其包含的哲學意義依然是以禮爲中心完成神與人的溝通。?

      • KCI등재후보

        『타트바상그라하』 <外境考察의 章>에 나타나는 3종의 形象說批判

        이태승(Lee, Tae Seung) 한국불교연구원 2010 불교연구 Vol.32 No.-

        샨타라크쉬타의 『타트바상그라하』는 불교사상의 입장에서 불교이외의 인도사상을 비판적으로 정립한 후기 인도불교의 중요한 저술이다. 특히 『타트바상그라하』의 제23장인 <외경고찰의 장>은 지식과 형상의 관계를 논한 중요한 부분으로, 이 장은 후대 샨타라크쉬타의 주저 『중관장엄론』이 성립되는 토대가 되기도 한다. 이 <외경고찰의장>에서는 외계의 대상에 대한 불교적 이해로서 자기인식, 유식성의 성립에 대한 논의가 전개되며, 이러한 과정에서 세 가지 형상이 나 타나고 있다. 형상이란 외계의 대상이 인식대상으로서 의식에 표상되는 것을 말하는 것으로, 샨타라크쉬타는 형상도 인식주관인 지식의 성격을 갖는 것으로, 따라서 인식이란 지식의 자기인식이라고 말하고 있다. 이러한 자기 인식을 논증하는 가운데 형상에 의거한 세가지 인식론을 거론하는데 무형상설, 유형상설, 이형상설이 그것이다. 형상을 인정하지 않는 무형상설에서는 승의와 세속의 입장에서의 차이가 설해진다. 곧 승의의 자성을 인정하는 한 인식은 불가능하고, 형상을 인정하지 않는 한 세속에서도 인식은 불가능하다고 말한다. 그리고 유형상설에서는 형상을 인정한다 해도 지식과 형상의 차이가 생긴다고 한다. 곧 지식의 단일성과 형상의 다양성의 차이가 생기며, 또 지식의 정신적 성격과 형상의 물질적 성격의 차이가 생겨나게 된다. 이 형상론은 인식대상으로 나타나는 형상이 실제 외계대상과 다르게 나타나는 경우로, 그것도 올바른 인식방법이 아니라고 말한다. 이와같이 세가지 형상에 근거한 인식론을 거론해 비판하며, 유식성의 성립,자기인식의 성립을 논증해간다. 이러한 <외경고찰의 장>에서의 논의는 후대 샨타라크쉬타의 주저『중관장엄론』의 성립에 큰 영향을 끼치고, 아울러 인도의 여러 학파들에게 불교의 중요사상을 각인시키는 계기를 마련하였다. Śāntarakṣita's Tattvasaṃgraha is a very important work in the history of Buddhist thoughts, in which he is systemizing all theories of Indian philosophy on the basis of his Buddhist thought. Especially the 23th Chapter of <Inspecting the External Thing(Bahirarthaparīkṣā)> in Tattvasaṃgraha is dealing the problems of the relation between Vijñāna and Ākāra which are the important concepts in the history of Indian Buddhist Thoughts and later this chapter become the basis in writing Madhyamakālaṃkāra that is the representative work of Śāntarakṣita. In this chapter, the theories of Svasaṃveda and Vijñāptimatratā etc as the main teachings of Buddhist thoughts are presented and discussed and in debating the other thinkers, the 3 kinds of Ākāra is being argued. Ākāra is the cognitive object in perceiving the external things. Śāntarakṣita is saying that as this Ākāra is a nature of Cognition, therefore the perception is the Self-cognition of the Vijñāna. The 3 Ākāra theories under discussion are the Nirākāra theory, the Sākāra theory and the Anyākāra theory. The Nirākāra theory is not recognizing the Ākāra and in saying that, Śāntarakṣita is pointing out the difference from the standpoint of Ultimate(Mukhyatas) and Generality(Bhaktitas). From the respect of Ultimate which is recognizing that an Ākāra is having its own svabhāva, it is impossible to recognize the Ākāra because an Ākāra could not perceive the other Ākāra. Furthermore from the standpoint of Generality that is not recognizing the Ākāra, the perception will not work. And though it is recognized Ākāra as the cognitive object in the Sākāra theory, the difference between the oneness of Vijñāna and manifoldness of Ākāra will be occuring and furthermore the difference between the cognitiveness of Vijñāna and the materiality of Ākāra too. In the Anyākāra theory. the Ākāra as cognitive object is representing differently from the real external thing and this is not a correct perception too. Śāntarakṣita is proceeding with the arguments like these 3 Ākāra theories and proving the Svasaṃvedana and Vijñāptimatratā theories of Buddhist thought. These argumens of the Ākāra theories in the 23th chapter of Tattvasaṃgraha have the important effect in writing the Madhyamakālṃakāra and moreover provide the momentum in culminating Śāntarakṣita's philosophical thoughts.

      • KCI등재

        형상진단기 연구개발에 대한 수요조사

        김경철,김규곤,강창완,이용태,지규용,김종원,이인선 한국자료분석학회 2009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alysis Society Vol.11 No.1

        2008년도 1월의 형상학회 참가자를 대상으로 형상진단기기 개발을 위한 수요조사를 실행하고 다음의 결과를 얻었다. 1. 형상학회 참가자들은 전통적인 보수 경향성과 형상의학에 대하여 강한 지지를 보내고 있으며, 임상에서 가장 중요하고 활용도가 높은 전통적인 병증체계는 장부병증으로 나타났다. 2. 임상치료기술의 경우, 한방 진단방법 중에서 중요하게 생각하고 활용하는 방법은 望診, 問診이 높게 나타났다. 3. 형상 진단의 기전과 표준화 연구에 적합한 연구방법론으로 병증과 형상에 대한 임상데이터 구축이 가장 적합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형상의학의 분야중 활용도가 높은 내용은 담방광체와 정신기혈로, 임상 효과를 우수하게 발휘하는 분야는 부인-소아과 질환 및 만성 생활습관병질환으로 나타났다. 4. 진단에서 형상의학의 활용도는 전적인 활용도와 형상감별이 뚜렷한 사람만 적용하는 선택적 활용의 경우가 절대적으로 나타났으며, 형상의학 치료효과는 매우 뛰어난 경우와 효과 있는 경우가 다수를 차지하였다. 5. 임상에서 진단기기 활용의 이유로 기기 측정기술과 데이터의 신뢰, 전통적 진단기술이 부족한 점을 보충하는 점, 환자 설명 자료로의 활용, 한의학의 단점인 객관화 부족을 보충하는 점 등을 들었다. 또한 문제점으로 측정기술과 데이터의 신뢰성 부족, 전통 진단법을 보조하기엔 적절하지 못함, 환자 설명 활용에 부족함 등으로 나타났다. 6. 희망하는 형상진단기기의 주요성능은 형상유형감별로 나타났다. 7. 형상진단기 개발에 선행되어야 할 기반연구로는 형상 찾기의 기준과 부위 확립이 중요하게 나타났다. In Jan. 2008, the Hyung Sang Academy surveyed the participants to know the demand for the development of The 3D facial scanner and the results are listed below. 1. The oriental doctors who participated in the HyungSang Medicine Academy had the traditional medical conservatism and supported the HyungSang medicine. The most important applicable traditional system for symptoms of disease proved Internal Organs pathogenesis. 2. Considering the increased uses in the clinic, the most important methods of the clinic turn out inspection, inquiry. 3. The principles of HyungSang diagnosis and the standardization researches have showed that the construction of the clinic data is the most appropriate method of the study. The highest efficiency have showed in Dam-body, BangKwang, which have had the most effective result in gynecology and chronic diseases. 4. In the diagnosis, the application of the HyungSang medicine showed absolutly the whole application and the case of application about clear HyungSang discrimination. 5. In the clinic, the necessity of the oriental diagnostic instruments, was the trust of the measurement techniques and data, the supplementation of the insufficiency of traditional diagnostic techniques, the application of the explanation data and the supplementation of the insufficiency of objectivity. 6. HyungSang diagnostic instruments deliver the best performance in discriminating the HyungSang types. 7. The preceding basic reseach of the development of the 3D facial scanner was the standard and the establishment of the region for the HyungSang discovery.

      • KCI등재

        건축 디자인 사례를 통해본 형상 맥락적 디자인에 관한 연구

        유로문 ( Liu Lu Wen ),조택연 ( Cho Taig Youn ) 한국기초조형학회 2017 기초조형학연구 Vol.18 No.5

        언어는 타인과의 의사소통에 있어서 중요한 도구이다. 특히 어떤 구체화 되지 않은 디자인 단계의 작업을 하는 디자이너가 타인에게 정확한 디자인 표현을 전달하기 위해서는 언어 맥락의 역할이 중요하다. 즉, 건축 디자인 과정에서도 마찬가지로 건축가의 의도를 정확히 나타내려면 건축 언어인 형상 문법과 언어 맥락에 대해 자세히 연구할 필요가 있다. 보통 디자이너들은 아름다운 건축 형상을 쉽게 인식할 수 있으나 아름다운 건축 형상을 어떻게 디자인하는 지에 대해서는 많은 연습과 시행착오를 겪는다. 따라서 건축 디자인에서 형상에 관한 사고를 체계화할 필요가 있다. 이에 따라 본 연구는 형상 문법과 언어 맥락에 대한 선행연구를 살펴보고, 이를 바탕으로 글로벌한 건축 사이트에서 현재 건축되어진 건축물 8개를 선정하여 건축 형상을 형상 문법과 언어 맥락으로 분석하여 이를 어떻게 적용하였는지에 대한 구체적인 틀을 만들어 분석하였다. 연구를 통해 도출된 결론은 요약하면, 첫째, 형상 문법의 연구를 바탕으로 형태의 변환 방식은 선형 대칭 구조와 비선형 대칭 구조로 분류할 수 있었다. 도출된 변환군을 형상하는 조형 언어를 살펴보았다. 둘째, 선행연구의 분류방식을 총괄하여 건축의 형상 언어를 구성하는 단어는 회전, 사영, 병진, 경영, 리듬으로 나뉘어져 있다는 결론을 도출하였다. 셋째, 형상 단어들이 각각의 맥락을 가지고 있으며 사례분석을 통하여 건축 형상 디자인은 형상 단어들이 각각의 맥락을 규정하여 의미를 부여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건축에서 나온 맥락을 분석해서 건축은 조형성을 가지고 있다는 것을 발견한다. 따라서 본 연구는 건축 형상디자인의 언어적 사고방식을 제시해줄 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고 하겠다. A language is an important tool in communicating with others. In particular, linguistic context plays a significant role when a designer engaged in unspecified design stages delivers accurate design expressions to others. The same goes with architectural design process, and if an architect is to properly express his or her intention, thorough research needs to be conducted on shape grammar and linguistic context, the language of architectural form. Accordingly, it is necessary to systemize thinking of architectural design shapes. In this regard, the study was focused on examining previous research on shape grammar and linguistic context and selected eight architectural structures based on it to analyze the grammar and the linguistic context with regard to design shapes before application on the back of a detailed framework. The conclusion of the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methods of structural conversion consisted of a linear symmetric structure and a non-linear symmetric structure based on research on shape grammar. The generated conversion group can be designated as words and used as shape language. Second, the study found out that words constituting the phenomenon language of architecture include revolution, translation, reflection, mirror, rhythm based on a method of classification indicated in preceding research. Third, the study found out that all the shape words have context. The context of volume is massive architecture, and that of rhythm is based on phenomenon language. Case studies confirmed that architectural shape design carries significance as shape words define each context. In this regard, the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can suggest a linguistic way of thinking of architectural shape design.

      • KCI등재

        아리스토텔레스의 실체연구 중 생성 이론에 나타나는 형상 이해

        권혁성(Kwon, Hyeock-Seong) 서울대학교 철학사상연구소 2014 철학사상 Vol.54 No.-

        본고는 아리스토텔레스의 형상의 정체에 관한 하나의 중요한 물음으로서 그것이 보편자인지 개별자인지의 문제를 그의 실체연구 중 생성이론에 바쳐진 『형이상학』 Z 8 논의를 중심으로 고찰한다. 이 논의는 ‘형상의 비생성’을 중심 논제로 전개하면서, 형상의 ‘선 존재’와 ‘내재’라는 그것의 모든 존재 방식에 관한 구체적인 시사를 제공하는데, 여기에는 이 문제에 관련된 중대한 긴장의 소지가 담겨있다. 이 중심 논제는 형상의 선 존재라는 논점과 함께 형상의 영원성을 함의하는 것으로 여겨질 수 있거니와, 이는 아리스토텔레스의 형상이 영원한 보편자라는 해석으로 전개될 수 있는 반면, Z 8 논의에서 그는 형상을 그것의 내재에 따라 개별자로 파악하면서 그것이 또한 인식 가능한 보편적 특성을 갖는다는 견지에서 그것에 보편성을 귀속시키는 방식의 이중적 형상 이해를 명백히 보여준다. 따라서 이 논의에서 형상이 영원한 보편자로 간주된다면, 이 이중적 형상 이해는 이에 따라 파악되는 형상이 본래 영원한 보편자가 개별화된 것이라는 생각을 전제하는 셈인데, 이것의 진위 여부는 이 논의 자체에서는 확인되지 않으나 이 논의를 명시적으로 전제하면서 H 3에서 전개되는 한 논의에서 확인될 수 있다. 이 후자의 논의에서 아리스토텔레스는 형상이 영원한 것인지 제한된 시간동안 존재하는 개별자인지를 고찰하는데, 여기에서 고려되는 형상의 영원성 여부를 형상이 해당되는 복합실체와 분리되어 존재할 가능성 여부에 대한 고려를 통해 고찰함으로써, 후자가 형상에 대한 그의 기본 입장임을 시사한다. 그에게서 이 가능성은 오직 사람의 형상이 갖는 고유 기능인 ‘지성’에 대해서만 가정되기 때문이다. 따라서 그는 이 논의에 전제되는 Z 8 논의에서 이미 형상을 근본적으로 개별자라고 파악했다고 여겨지는데, 이에 의거하여 그곳의 ‘형상 비생성’ 논제는 형상의 영원성을 함의하지 않는 것으로서 적절히 파악될 길이 있거니와, 결국 그곳에서 확인되는 이중적 형상 이해는, 영원한 보편자의 개별화라는 생각의 전제 없이, 그 자체로 형상을 바라보는 그의 근간 논제임이 드러난다. 이것은 사실상 ?형이상학? Λ 5에서 그에 의해 명백히 정식화되는 형상 이해로서 그의 공언된 형상 이해이다. This paper investigates the problem of whether the Aristotelian form is a universal or an individual in light of Aristotle’s theory of generation in Metaphysics Z 8. This chapter develops as the central thesis that “the form is not coming to be,” and gives in relation to this, concrete suggestions about all the modes of existence of the form, namely its “preexistence,” and “immanence.” Here, a possible important tension concerning this problem exists. On the one hand, the central thesis of Z 8 may be so taken that it, together with the preexistence of the form, implies the eternity of the form, which can be developed into an interpretation that the Aristotelian form is an eternal universal. On the other hand, however, the Z 8 shows as a clear fact Aristotle’s twofold?understanding of the form, i.e. that he understands it as an individual in regard to its immanence, and ascribes to it universality too because it has an intelligible universal character. Therefore, if the form were here taken to be an eternal universal, this twofold?understanding of the form would presuppose that the so understood form were an individuation of such a form which was originally an eternal universal. However, this is not confirmed in the Z 8, but is revealed to be deniable in a discussion of H 3, where Aristotle considers under explicit presupposition of his discussion of Z 8 the problem of whether the form is an eternal thing or such a thing which is an individual that exists during a limited time. Here, he considers the eternity of the form through a consideration of the possibility that the form would exist in separation from the relevant composite, so that he suggests that the latter is his general position concerning the form. For this possibility is supposed by him only about the “nous” as a peculiar function of the form of human beings. Therefore, he can be taken to fundamentally understand the form as an individual already in the discussion of Z 8 that is presupposed in the discussion of H 3. It is possible, in accordance to this reasoning, to find a way to take the central thesis of Z 8 as not implying any eternity of the form, and in conclusion the twofold?understanding of the form of Z 8 is revealed to be Aristotle’s basic conception of the form, without presupposing any individuation of such a form which were originally an eternal universal. This understanding of the form is in fact, as one which he formulates in the Metaphysics Λ 5 manifestly, his confessed understanding of the form.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