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전이성 척추 종양의 척추 전 절제술 후 발생한 급성 및 지연성 경막외 혈종 - 증례 보고 -

        김영규,김정훈 대한척추외과학회 2019 대한척추외과학회지 Vol.26 No.3

        연구 계획: 증례 보고목적: 전 척추 절제술 시행 후 두 차례 발생한 수술 후 경막 외 혈종 증례를 보고하고자 한다. 선행 연구 문헌의 요약: 척추 수술 후 경막 외 혈종은 드물며 혈종 제거술을 시행한 뒤 지연성 경막 외 혈종이 다시 나타난 예는 보고된 적이 없었다. 대상 및 방법: 74세 여환에서 제 9흉추(T9)의 전이성 척추 종양에 의한 병적 골절이 발생하여 전 척추 절제술을 시행하였으며 수술 직후 발생한 경막 외혈종으로 신경학적 증상이 악화되어 혈종 제거술을 시행하여 증상이 호전되었으나 수술 10일 후 신경학적 증상이 다시 악화되어 촬영한 자기 공명 영상검사상 지연성 경막 외 혈종이 또 다시 발견되어 혈종 제거술을 다시 시행하였다. 결과: 지연성 혈종 제거술 재 시행 후 신경학적 증상이 호전되었다. 결론: 일차적인 혈종 제거술 후에도 증상을 일으키는 지연된 혈종이 나타날 수 있으며, 혈종 제거술 후에도 신경학적 증상의 악화가 보인다면 혈종의 재발 가능성을 고려해야 한다. 또한 전 척추 절제술을 시행하기 전에 예방적 색전술을 시행할 것을 추천한다. 약칭 제목: 척추 수술 후 재발한 척수 경막 외 혈종 Study Design: Case report. Objectives: We report a case of recurrent spinal epidural hematoma after total spondylectomy for a metastatic spinal tumor. Summary of Literature Review: Postoperative epidural hematoma is rare, and no case of delayed epidural hematoma after hematoma removal has been reported. Materials and Methods: A 74-year-old woman experienced a ninth thoracic vertebral (T9) pathologic fracture caused by a metastatic spinal tumor and underwent total spondylectomy. Immediate postoperative epidural hematoma occurred and neurological symptoms appeared. After hematoma removal, the symptom improved. Ten days after surgery, the neurological symptoms worsened again. Spine magnetic resonance imaging showed delayed epidural hematoma. Hematoma removal was done again. Results: The patient’s neurological symptoms improved after delayed hematoma removal. Conclusions: Delayed hematoma that cause neurological symptoms may occur after primary hematoma removal. If neurological symptoms recur after hematoma removal, the surgeon should consider the possibility of hematoma recurrence. Before total spondylectomy surgery, preoperative embolization is recommended. Key Words: Delayed epidural hematoma, Metastatic spinal tumor, total spondylectomy

      • KCI등재

        급성 허혈성 뇌졸중으로 오인된 자발성 경추 경막외 혈종: 증례 보고

        송상윤,이은창,김동출,김동희 대한척추외과학회 2021 대한척추외과학회지 Vol.28 No.4

        Study Design: Case report. Objectives: To report a case of spontaneous spinal epidural hematoma (SSEH) mimicking acute ischemic stroke in an 80-year-old woman. Summary of Literature Review: SSEH is a rare condition. Its initial presentation can vary, but generally involves neck pain, headache, gait disorder, and quadriplegia. These initial symptoms are sometimes mistaken for acute ischemic stroke or spontaneous spinal subdural hematoma. SSEH mimicking acute ischemic stroke or spontaneous spinal subdural hematoma is unique. Materials and Methods: An 80-year-old woman was referred to our center with symptoms of headache and left-side hemiparesis (motor grade 1/5). After 2 hours, the neurologic deficit spontaneously improved (3/5). The neurology department initially diagnosed the patient with acute ischemic stroke and began treatment with anticoagulants. Cervical magnetic resonance imaging (MRI) demonstrated that the diagnosis was spinal subdural hematoma, presenting with acute hematoma at the level of C2-3. Results: Decompression surgery was performed for hematoma, and pathologic findings confirmed it to be SSEH. One month after the operation, the patient's motor strength recovered to a normal level. Conclusions: SSEH is difficult to diagnose because its initial clinical presentation mimics that of acute ischemic stroke. Therefore, medical staff should first suspect SSEH, rather than acute ischemic stroke and transient ischemic stroke, in cases of hemiparesis accompanied by pain. Cervical MRI is a standard diagnostic tool for spinal hematoma. However, differentiation between epidural and subdural hematoma is sometimes difficult. Therefore, if the patient's neurological symptoms do not improve despite conservative treatment, surgical decompression should be performed for diagnostic and therapeutic purposes. 연구계획: 증례보고목적: 80세 여성에서 급성 허혈성 뇌졸중으로 오인된 자발성 척추 경막외 혈종 증례를 보고한다. 선행 연구문헌의 요약: 자발성 척추 경막외 혈종은 드물지만 신경 증상이 동반된 경우 응급 수술이 필요한 질환이다. 초기 패턴은 다양할 수 있지만 일반적으로 목 통증, 두통, 보행 장애 및 사지 마비 증상으로 나타난다. 이러한 초기 증상은 때때로 급성 허혈성 뇌졸중 또는 자발성 척추 경막하 혈종으로 오인된다. 급성 허혈성 뇌졸중으로 오인된 자발성 척추 경막외 혈종은 드물다. 대상 및 방법: 80세 여성이 두통과 좌측 하지 마비(운동 등급 1/5)를 호소하며 내원하였다. 2시간 후 신경학적 결손이 저절로 일부 호전되었다(3/5). 응급실 내원 직후 시행한 뇌자기공명영상 상 저명한 병변이 관찰되지는 않았으나 신경학적 증상이 시간이 지남에 따라 일부 호전이 있었다는 점, 그리고 증상발현 초기에 촬영한 자기공명영상 상에서는 급성 병변이 관찰되지 않을 수 있다는 점으로 처음에 급성 허혈성 뇌졸중으로 진단하고 항응고제로 치료를시작하였다. 하지만 급성 허혈성 확진을 위해 10시간 후 재촬영한 뇌자기공명영상 상 급성 병변이 관찰되지 않았다. 이에 환자의 증상이 뇌에서 기인하는 증상으로 보기 어렵다고 판단하였고 경추 자기공명영상 검사를 진행하였다. 초기 영상의학과적 진단은 급성 혈종을 보여주는 척추 경막하 혈종이었다. 결과: 혈종에 대해 감압 수술을 시행하였고 병리학적 소견으로 자발성 척추 경막외 혈종로 확인되었다. 수술 1개월 후 환자의 근력은 정상 수준으로 회복되었다. 결론: 척추 경막하 혈종은 초기 임상 양상이 급성 허혈성 뇌졸중과 유사하므로 진단하기 쉽지 않다. 따라서 통증을 동반한 편마비의 경우 급성 허혈성 뇌졸중과 일과성 허혈성 뇌졸중보다 척추 경막하 혈종을 먼저 의심해야 한다. 경추 자기공명영상은 척추관 내 혈종의 표준 진단 도구이지만 경막외 혈종과경막하 혈종의 감별이 어려운 경우가 있어 보존적 치료에도 불구하고 환자의 신경학적 증상이 호전되지 않거나 진행하면 진단 및 치료 목적으로 조기에수술적 감압을 고려해야 한다.

      • KCI등재

        요추부 퇴행성 질환의 수술 후 발생한 경막 주위 혈종

        장봉순,김우진,이재철,이동호,신용운,이상림,이춘기 대한척추외과학회 2001 대한척추외과학회지 Vol.8 No.2

        연구계획 : 요추부의 퇴행성 질환에 대한 수술 후, 경막 주위 혈종으로 인한 신경학적 후유증이 발생한 증례에 대하여 후향적 방법으로 분석하였다. 연구목적 : 수술 후 경막 주위 혈종 발생의 위험요인을 알아보고, 혈종 제거술을 시행할 때까지의 경과 시간과 신경학적 손상의 회복과의 관련을 알아보고자 한다. 대상 및 방법 : 1995년 1월부터 1999년 12월까지 요추부의 퇴행성 질환으로 수술한 1280예 중, 경막 주위 혈종으로 인해 신경학적 증상을 보였던 20예와 나머지 환자들을 대조군으로 후향적 접근을 통하여 성별, 연령, 수술 방법, 수술 분절 수, 혈액학적 변수, 수술소요시간, 출혈량 등 혈종 발생의 위험인자를 알아보았다. 추시 중 탈락한 2예를 제외한 18예에서 신경회복 추시기간은 평균 19개월이었다. 신경학적 증상의 회복은 술전 근력 정도를 기준으로 평가하였고, 수술 후 신경학적 증상 발현까지의 시간 및 증상 발현 후 혈종 제거술까지의 시간과 회복 결과를 연관하여 보았다. 결과 : 전체적으로 혈종에 의한 신경학적 손상의 발생율은 1.6%이었으며, 고려된 인자들 중, 수술한 분절 수가 4분절 이상으로 많은 경우 혈종 발생의 위험이 높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혈종으로 인한 신경학적 증상은 14례에서 수술후 12시간 이내에 발현되었고, 6례에서는 수술 후 30시간 이후에 나타나서, 양분되는 양상을 보였다. 최종 신경학적 회복 정도를 분석한 결과 전체적으로는 14예(78%)는 완전 회복으로 나타났다. 급성 발현에서 75%(12례 중 9례), 지연성 발현에서 83%(6예 중 5예)가 완전 회복되었으나 통걔적인 유의성은 없었다. 경과 시간의 면에서는 4시간 이내에 혈종 제거술을 시행한 8예에서 100%, 4시간 이후에 시행한 경우는 60%(10예중 6예)에서 완전 회복을 보여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0.043) 결론 : 혈종의 발생은 예측이 어려운 만큼 수술 직후의 집중적인 신경학적 관찰을 통해 경막 주위 혈종을 시사하는 신경학적 증상을 나타내는 경우에 신속히 시행하는 것이 신경학적 후유증을 줄일 수 있는 유일한 방법으로 사료되었다. Study Design : A retrospective study of neurologic complication with peridural hematoma was performed in the cases of operation for the lumbar degenerative disease. Objectives : To prove the risk factors of the postoperative neurologic complication,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symptom onset, the evacuation time and the neurologic recovery. Summary of Literature Review : There are rarely proven risk factors related with perioperative hematologic change, and the proper evacuation time is in controversy. Materials and Methods : In 1280 operations from 1995 to 1999, there were 20 cases of neurologic complication with peridural hematoma We considered age, sex, operative method, number of operation segment, hematologic variables, operation time and estimated blood loss as possible risk factors. The mean follow up was 19 months. The recovery was evaluated by comparison with the preoperative motor power, and we considered the time relationship of surgical outcome with the symptom onset and the time to hematoma evacuation. Results : Neurologic sequelae occurred in 1.6%. The only detected risk factor was the increased number of operation segment more than 4. There were two types of onset, less than 12 hours and beyond 30 hours. Neurologic sequelae were completely recovered in 14 cases, 75% in acute onset and 83% in the delayed (p>0.05). According to the evacuation time, rapid hematoma evacuation within four hours made better recovery. Conclusions: We thought that the best way to prevent the neurologic sequelae is close observation and rapid evacuation if peridural hematoma is suspected.

      • KCI등재

        척추 마취 후 발생한 척추 지주막하 혈종 - 증례 보고 -

        신원식,이정수,안동기,유인선,이호영 대한척추외과학회 2018 대한척추외과학회지 Vol.25 No.3

        Study Design: Case report. Objectives: We report a case of spinal subarachnoid hematoma that developed after spinal anesthesia in a female patient who had no risk factors. Summary of Literature Review: Few case reports of spinal subarachnoid hematoma (SSH) after spinal anesthesia have been published. The incidence of SSH is much less than that of epidural hematoma. Materials and Methods: A 56-year-old female patient underwent arthroscopic surgery on her right knee under spinal anesthesia. Automated patient-controlled analgesia (PCA) was applied after surgery. On day 2, the patient complained of lower back pain, headache, nausea, and vomiting, but there were no neurological signs in the lower extremity. At day 5, she had a moderate fever (38.4°) and continuous nausea and vomiting. Magnetic resonance imaging (MRI) was conducted on day 5 and a large subarachnoid hematoma was found. We immediately performed surgical hematoma evacuation. Her low back and buttock pain improved immediately, and all symptoms disappeared in a week without any neurological sequelae. Results: The unusual and vague symptoms in this case made the diagnosis difficult, but spinal MRI confirmed SSH. Immediate surgical hematoma evacuation improved all symptoms and left no neurologic sequelae. Conclusions: SSH after spinal anesthesia may have cerebral symptoms that mimic the side effects of PCA. Early diagnosis by MRI and surgical evacuation of the SSH are a reasonable approach for this complication. 연구 목적: 증례 보고목적: 저자들은 위험 인자가 없는 한 여성 환자에게서 척추 마취 후 발생한 척추 지주막하 혈종 사례를 보고하고자 하였다. 선행 연구문헌의 요약: 척추 마취 후 발생한 척추 지주막하 혈종에 대한 사례 보고는 거의 없었다. 척추 지주막하 혈종의 유병률은 경막외 혈종보다 훨씬낮다. 대상 및 방법: 56세 여자 환자는 척추 마취하 우측 슬관절 관절경 수술을 받았다. 수술 후 통증 자가 조절 장치(PCA)가 사용되었다. 수술 후 2일째 환자는요통, 두통, 메스꺼움, 구토를 호소하였으나 하지의 신경학적 증상은 없었다. 수술 후 5일째 중등도의 발열(38.4˚C)이 발생하였고 메스꺼움 및 구토가 지속되었다. 수술 후 5일째 척추 자기공명영상검사를 시행하였고 거대 지주막하 혈종이 발견되었다. 저자들은 즉시 외과적 혈종 제거술을 시행하였다. 수술 직후 요통과 둔부 통증이 바로 호전되었으며, 1주일 안에 신경학적 후유증 없이 모든 증상이 좋아졌다. 결과: 본 증례는 초기에 비전형적이고 애매한 증상들로 적절한 진단이 어려웠다. 그러나 척추 자기공명영상 검사를 하여 척추 지주막하 혈종 진단을 확실히 할 수 있었다. 그리고 즉시 외과적 혈종 제거술을 하여 신경학적 후유증 없이 모든 증상이 호전되었다. 결론: 척추 마취 후 발생한 척추 지주막하 혈종은 통증 자가 조절 장치(PCA)의 약물 부작용과 유사한 대뇌 증상을 보일 수 있다. 자기공명영상 검사로 조기 진단을 하고 척추 지주막하 혈종을 수술적으로 제거하는 것이 여러 합병증에 대한 합리적인 접근법이라 하겠다. 약칭 제목: 척추 지주막 혈종

      • KCI등재

        분만과 연관된 신생아 경막외 혈종의 임상적 의의

        이동준 ( Dong Jun Lee ),이연경 ( Yeon Kyung Lee ),고선영 ( Sun Young Ko ),신손문 ( Son Moon Shin ),한병희 ( Byoung Hee Han ) 대한주산의학회 2016 Perinatology Vol.27 No.2

        목적: 신생아 경막외 혈종은 두개내 출혈의 2% 정도를 차지하는 드문 질환으로 대부분 분만 손상에 의해 발생한다. 국내에서는 신생아기의 경막외 혈종에 대해 보고된 바가 적어 분만과 연관된 경막외 혈종의 발생 빈도 및 임상 경과에 대하여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법: 2000년 1월부터 2015년 12월까지 본원에서 출생한 신생아 중에서 경막외 혈종이 발견되었던 12명을 대상으로 의무기록의 후향적 검토를 통해 분만력과 증상, 영상소견을 조사하고 치료 및 경과를 비교하였다. 결과: 분만과 연관된 신생아 경막외 혈종의 발생 빈도는 0.01%로, 10,000명당 1명이었다. 전체 12명중에서 남아가 10명, 여아가 2명이었고, 이중 질식분만이 8례, 제왕절개분만이 4례였으며, 평균 재태연령은 38+1±1+4주였고(35+4-40+5주), 평균 출생체중은 2,882.9±427.8 g, 평균 두위는 33.4±1.6 cm 이었다. 12례 중에서 11례는 분만 손상에 의해서, 1례는 자발적으로 발생한 경막외 혈종이었다. 임상 증상으로 1례에서는 신경학적 증상이 동반되었으며, 11례에서는 특별한 신경학적 증상은 없었다. 두혈종이 동반된 경우가 7례(58.3%)였고, 3례는 두혈종과 함께 두개골절이 동반되었다. 경막외 혈종의 주 발생 부위는 측두후두부(33.3%), 전두부(25.0%), 두정부(25.0%) 순이었으며, 혈종의 평균 크기는 길이 3.2±0.8 cm, 두께 1.2±0.7 cm 이었고 1례에서만 중간선 이동을 유발하는 종괴 효과가 있었다. 신경학적 증상과 종괴 효과가 있었던 1례에서는 수술적 치료를 시행하였고, 다른 11례에서는 보존적 치료 후 합병증 없이 혈종이 흡수되었고 추적관찰이 가능하였던 6명에서는 양호한 발달을 보였다. 결론: 분만과 연관된 신생아 경막외 혈종은 대부분 보존적인 방법으로 치료되었으며, 종괴 효과와 신경학적 증상이 수술적 치료의 적응증이라고 생각된다. Purpose: Epidural hematoma (EDH) in newborn is very rare, but when it occurs it is usually due to birth injury. We have evaluated the incidence and clinical features of EDH related to birth in newborn. Methods: We analyzed medical records of 12 newborns diagnosed with EDH at Cheil General Hospital and Women’s Health Care Center from January 2000 to December 2015 retrospectively. Results: The incidence of EDH related to birth was 0.01%, occurring in 1 of 10,000 live births. Of the total 12 cases, 10 occurred in male and 8 in vaginal delivery. Among them, 11 infants had evidences of birth injury. Clinical presentation was nonspecific: only 1 infant had neurologic symptoms. The temporooccipital area was the most frequent location of EDH. The median size of EDH was 3.2±0.8 cm in length and 1.2±0.7 cm in depth. Mass effect accompanied with midline shift on radiologic imaging was shown in one case. Surgical drainage was needed only in one infant with neurologic symptom and mass effect on radiologic imaging, while the others were treated conservatively. Conclusion: Neonatal EDH related to birth was treated conservatively in most cases. The radiologic mass effect and neurologic symptom should be considered as indication for surgical intervention.

      • KCI등재

        자발성 척추 경막 외 혈종의 위험 인자 및 수술적 치료 후 예후인자

        김환정,정상욱,이규상,박경훈,박건영,권원조,성환일,최원식 대한척추외과학회 2015 대한척추외과학회지 Vol.22 No.4

        Study Design: Retrospective study. Objectives: To explore the risk factors and the factors associated with the neurological improvement after operation in the spontaneous spinal epidural hematoma. Summary of Literature Review: The cause of the spontaneous spinal epidural hematoma is unknown. The objective risk and prognostic factors are still controversial. Materials and Methods: From January 2006 to December 2014, a total of 12 patients with spontaneous epidural hematoma were evaluated. The risk and prognostic factors analyzed were sex, age, underlying diseases, medications, neurologic status, level and extent of hematoma, cord edema, and interval from onset to surgery. We analyzed the correlation between each factor and neurologic recovery. The neurologic status was analyzed using the American Spinal Injury Association impairment scale (AIS) at the first and the last neurologic examination. Results: The average age of the patients was 68.6 years. Seven patients were treated with anticoagulation therapy, and two were advised to switch to a healthier diet. The initial neurologic status of the patients was AIS A in 2 cases, B in 5 cases, C in 4 cases, D in 1 case, and in two patients, cord edema was revealed on magnetic resonance imaging (MRI). The interval of time from onset to surgery was less than 24 hours in 6 cases, 24–48 hours in 4 cases, and more than 48 hours in 2 cases. Conclusions: The prognostic factors associated with spontaneous spinal epidural hematoma were found to be initial neurologic status, cord edema on MRI, and interval from onset to surgery. We found no correlation between anticoagulation therapy or healthy diet and spontaneous spinal epidural hematoma, but anticoagulation therapy cannot be excluded as a risk factor. 연구 계획: 후향적 연구적: 자발성 척추 경막외 혈종 발생 원인과 관련된 위험 인자와 예후 인자에 대해 알아보고자 한다. 선행 문헌의 요약: 자발성 척추 경막외 혈종은 매우 드문 질환으로 아직 발생 원인에 대해서 밝혀지지 않았고 이와 관련된 위험 인자와 예후 인자에 대해서도 잘 알려져 있지 않다. 대상 및 방법: 2006년 1월부터 2014년 12월까지 본원에서 자발성 척추 경막 외 혈종으로 수술적 치료를 받은 12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하였다. 발생 원인과 관련된 위험 인자로서 성별, 나이, 기저 질환, 약물 복용 및 건강 보조 식품 복용 여부를 신경학적 증상과 관련된 예후 인자로서 내원 당시의 신경학적 손상 정도, 혈종의 발생 부위, 혈종의 범위, 척수 부종 동반 여부, 초기 증상 발생 후 수술적 치료까지 걸린 시간에 대해 교차분석을 하였다. 결과: 환자의 평균 연령은 68.6세였고, 항응고제 복용이 7예, 건강 보조 식품 복용이 2예였다. 초기 신경학적 증상은 AIS A가 2예, B가 5예 C가 4예, D가1예였고, 척수 부종이 2예였다. 증상 발생 후 수술적 치료까지 걸린 시간은 24시간 이내가 6예, 24~48시간이 4예, 48시간 이상이 2예였다. 결론: 자발성 척추 경막 외 혈종의 예후 인자로 내원 시 AIS정도, 척수 부종의 유무, 초기 증상 발생 후 수술적 치료까지 걸린 시간이 관련이 있었다. 또한, 자발성 척추 경막 외 혈종의 발생과 관련된 위험 인자로서 항응고제의 사용과 건강 보조 식품 복용이 통계적 상관성을 확인할 수는 없었으나 위험인자임은 배제할 수 없다.

      • 자발성 교뇌출혈환자의 예후인자에 대한 임상적 고찰

        이영배,정주호 東國大學校醫學硏究所 2004 東國醫學 Vol.11 No.1

        교뇌출혈은 뇌실질내 출혈중 빈도가 비교적 낮은 것으로 알려져 있으나 급격히 악화되는 임상적 경과를 취하며, 여러 가지 치료방법에도 불구하고 높은 사망률을 보이는 예후가 매우 불량한 질환이다. 본 연구는 자발성 교뇌출혈로 진단된 환자들에서 예후에 영향을 미치는 여러 가지 인자들을 비교, 분석함으로서 향후 환자 치료의 지표를 얻고자 시행하였다. 1999년 1월부터 2003년 12월까지 본원에 내원하여 뇌CT 촬영에서 교뇌출혈로 진단되어 입원 가료하였던 환자 38명(남자: 27명, 여자: 11명)을 대상으로 병력기록지와 뇌CT 촬영 소견을 비교 분석하였다. 내원 당시의 의식수준은 글라스고우 혼수계수를 이용하여 구분하였다. 뇌CT 소견에서 출혈의 위치, 혈종의 최대 횡직경, 혈종이 관찰되는 단면 수, 동반 병변의 유무를 조사하였으며, 혈종의 위치는 기저부, 피개부 및 기저-피개 혼합부로 구분하여 분석하였다. 교뇌출혈 환자는 동기간 동안 입원한 자발성 뇌실질내 출혈 환자 475례 중 38례로 약 8%를 차지하였다. 남녀비는 2.5 1 이었으며, 연령 분포는 60대에서 14례로 가장 많았다. 자발성 교뇌출혈 환자의 예후는 내원당시 의식 상태가 좋은 경우, 뇌CT 소견상 혈종의 최대 횡직경이 20 mm 이하인 경우, 혈종의 위치가 피개부인 경우, 혈종이 관찰된 단면수가 적은 경우, 동반 병변으로 뇌실출혈이 없었던 경우 등에서 양호하였다. 자발성 교뇌출혈 환자의 예후에 영향을 미치는 인자로서 내원당시 의식상태, 출혈의 양, 출혈의 위치, 뇌실출혈 동반 여부 둥이 관계되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prognostic factors in patients who suffered from a spontaneous pontine hemorrhage. We analysed 28 spontaneous pontine hemorrhage for evaluation of contributing factors to the prognosis. The contributiong factors are initial conscious state, location, size, number of slice in CT-scanning and combination with other intracranial hemorrhage. A good prognosis was achieved in patients with clear or mild disturbance of consciousness, 20 mm or less in the transverse diameter of the hematoma, localized in the dorsal part of pons, small numbers of slices in which the hematoma was found, and without other intracranial hemorrhage. We suggest that the good prognostic factors in pontine hemorrhage were mild disturbance of consciousness, small amount of hematoma (20 mu or less in the transverse &meter and small numbers of slices of the hematoma), the location of hematoma(dorsal part of pons), and without other associated lesions.

      • KCI등재

        척수강내에 발생한 경막 내외층 사이의 비외상성 혈종 - 증례 보고 -

        임세혁,양보규,이승림,안영준,정홍준,남석우,김현세,김성완 대한척추외과학회 2013 대한척추외과학회지 Vol.20 No.4

        Study Design: A case report. Objectives: To investigate the outcomes of recapping laminoplasty for the treatment of atraumatic spinal interdural hematoma. Summary of Literature Review: There are several causes for a spinal hematoma. The occurrence of spinal hematoma is rare; in particular, the ones arising atraumaticaly are considered extremely rare. Materials and Methods: We studied a 33 year old male patient without any known risk factor. Magnetic resonance image has revealed an intraspinal epidural cyst compressing on the spinal nerve. After performing recapping laminoplasty, followed by partial excision of dura mater and resection of hematoma, we were able to observe another layer of dura mater, confirming the location of hematoma within two epidural layers, i.e., an interdural hematoma. Results: Performing recapping laminoplasty is a more effective and less invasive procedure for removing cyst than conventionally used laminectomy. Patients were found to have synostosis after three months post-op, and they have exhibited neither lumbosacral pain nor lower limb motor weakness after six months follow-up. There were no recurrences or complications reported on our study. Conclusion: There are a few reported cases of atraumatic spinal interdural hematoma. Our study shows that performing pars osteotomy with recapping laminoplasty yield good clinical outcome for the treatment of atraumatic spinal interdural hematoma. 연구 계획: 증례 보고. 목적: 비외상성 척수강내 혈종에서 Recapping 추궁판 성형술을 통한 치료의 결과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선행문헌의 요약: 척수강내 혈종은 여러 원인에 되어 발생하나 빈도가 많지 않으며, 특히 비외상성으로발생하는 경우는 더욱 드물다. 대상 및 방법: 위험인자가 전혀 없는 33세 남자에서 MRI상 발견된 경막외 낭종이 척수신경을 압박하고 있었다. Recapping 추궁판 성형술을 통해 혈종을 제거하고 전방에 또다른 경막을 관찰하여 경막내외층 사이에 발생한 혈종임을 확인하였다. 결과: 본 증례에서 시행한 Recapping 추궁판 성형술은 고식적으로 시행되었던 추궁판 절제술에 비해 낭종의 제거에 매우 효과적이고, 덜 침습적이다. 수술 후 3개월 추시에서 골유합 소견 관찰되었으며 6개월 추시에서 하요추부 통증 및 하지 위약감 소실되었고 혈종의 재발이나 합병증 발현은 관찰되지 않았다. 결론: 극히 드물게 보고된 경막 내외층 사이에서 발생한 비외상성 척수강내 혈종에 대해 Pars절골술과 Recapping 추궁판 성형술을 통한 수술적 치료를시행하였고 좋은 결과를 얻었다.

      • KCI등재

        Chronic Expanding Epidural Hematoma : A Case Report

        Ju-Ho Jeong,Jin-Wook Kim 고신대학교 의과대학 2009 고신대학교 의과대학 학술지 Vol.24 No.2

        저자들은 만성 팽창성 경막상 혈종을 1례 치험하였기에 문헌고찰과 함께 보고 하고자 한다. 12살 소년이 두부 외상을 받은지 12일 후에 두통, 오심 구토를 주소로 내원하였다. 만성 경막하 혈종으로 진단되었고 두부 외상을 받은지 14일째, 개두술을 통한 혈종제거 수술을 받았다. 병리학적 검사상 혈종의 팽창에 핵심적인 역할을 하는 혈종막을 확인하였다. 이런 혈종막은 만성 경막하 혈종에서 자주 발견되는 것이다. 결론적으로, 만성 경막상 혈종을 보존적으로 치료하는 경우에는 반드시 만성 경막상 혈종의 팽창 가능성을 확인해야 한다. The authors report a case of chronic expanding epidural hematoma (EDH). A 12-year-old boy presented with headache, nausea, and vomiting 12 days after headtrauma. Chronic epidural hematoma was diagnosed and craniotomy was performed at post trauma 14 days. The authors comfirmed the pathologic findings of the hematoma membrane, which appeared to play a key role in hematoma expansion, much like that of chronic subdural hematoma. Delayed expansion of chronic EDH should be borne in mind when planningconservative management.

      • KCI등재

        강직성 척추염 환자의 경추 골절에서 발생한 급성 경막외 혈종

        김상범,오병학,허윤무,김태균,정유선 대한척추외과학회 2017 대한척추외과학회지 Vol.24 No.1

        Study Design: Case report. Objectives: To report a case of epidural hematoma following cervical spinal fracture in a patient with ankylosing spondylitis. Summary of Literature Review: An early surgical intervention for acute epidural hematoma following cervical spinal fracture led to improvements in the patient’s neurological deficits. Materials and Methods: A 76-year-old male with ankylosing spondylitis presented with neck pain and motor weakness of both upper and lower extremities after falling. He sustained fractures of the C7 body and the spinous processes of C5 and C6. Magnetic resonance imaging showed an extensive epidural hematoma from C7 to T5. The authors performed decompression from C6 to T2, and posterior instrumentation and fusion from C4 to T3. Results: An urgent surgical intervention was performed, and a good result was obtained. Conclusions: The authors describe an early surgical intervention in a case of acute epidural hematoma following cervical spinal fracture in a patient with ankylosing spondylitis. 연구 계획: 증례 보고목적: 강직성 척추염 환자의 경추 골절에서 발생한 급성 경막외 혈종의 증례 보고선행문헌의 요약: 강직성 척추염 환자에 발생한 경추 골절로 생긴 경막외 혈종에서 조기의 수술적 치료로 좋은 결과를 얻었다. 대상 및 방법: 강직성 척추염 환자인 76세 남자로 낙상 후 발생 후 경부 통증 및 사지의 근력 저하를 보였다. 단순방사선 및 CT 검사상 제 7경추 추체와제 5, 6경추 극돌기 골절이 확인 되었으며, 자기공명영상상 제7경추에서 제 5흉추에 걸쳐 경막외 혈종 소견 확인되었다. 이에 저자들은 제 6경추에서 제2흉추까지 감압술 및 제 4흉추에서 제 3흉추까지 후방 기기 고정술 및 유합술을 시행하였다. 결과: 조기 수술로서 좋은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결론: 저자들은 강직성 척추염 환자에서 경추 골절과 동반되어 발생한 경막외 혈종의 치험 사례에 대하여 보고하고자 한다. 색인 단어: 강직성 척추염, 경막외 혈종, 경추 골절약칭 제목: 강직성 척추염 환자에 발생한 외상성 경막외 혈종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