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교육학 연구의 현장성 분석 : 학술지 「교육학연구」의 게재 논문을 중심으로

        신현석(Shin, Hyun-Seok),윤지희(Yoon, Ji Hee) 고려대학교 교육문제연구소 2020 敎育問題硏究 Vol.33 No.4

        그동안 교육학 연구에서 현장성 확보에 대한 공감은 있어왔지만, 관련된 논의들이 문헌고찰을 통한 추론적 연구 내지는 규범적 논거를 제시하는 수준으로 다루어져왔다. 이러한 문제의식에 착안하여 본 연구는 교육학 연구의 현장성을 실증적으로 분석하여 교육학 연구의 현장성을 제고시키기 위한 시사점을 이끌어내고자 수행되었다. 분석결과, 교육학 연구들은 일정 수준 이상의 현장성을 확보해왔지만, 연구 분야별로 현장성을 충족하는 수준은 달랐다. 연구단계별 현장성 정도를 살펴보면, 투입 단계의 ‘연구주제와 문제의식의 현장성’은 강했지만, 과정 단계의 ‘연구방법 및 절차의 현장성’과 산출 및 환류 단계의 ‘연구결과의 현장 적용 가능성’은 약했다. 교육학 연구 분야에 따른 연구단계별 현장성 정도는 각기 달랐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교육학 연구의 현장성 제고를 위한 노력방향을 ① 교육 현장의 문제에 대한 지속적 논의, ② 교육학 연구 분야별로 현장 개선을 위한 실행 방안 구상, ③ 현장 자료 및 경험적 접근방법 등을 동원한 문제 접근 및 실천연구 수행 ④ 교육학 연구자들의 연구단계별 현장성 확보를 위한 관심 환기 등으로 제시하였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derive implications for enhancing the practicality by empirically analyzing the practicality of education research. The analysis results are as follows. Education studies have secured more than a certain level of practicality, but the level of satisfying the practicality of each research field was different. In terms of research stage, the ‘practicality of research subject and problem consciousness’ at the input stage was strong, but the ‘research method and procedure practicality at the process stage and the ‘possibility of applying the research results to the field at the output and feedback stage were weak. Each research field’s degree of practicality was different. This study suggests the direction of efforts to improve education research as the followings: ① to discuss practicality issues in the education field continually ② to conceive of implementation plans for field improvement by field of education research, ③ to approach problems using field data and empirical approach, to conduct action research, ④ to call attention of education researchers to secure practicality at each stage of research

      • KCI등재

        유아교사양성과정에서 겸임교수 수업의 현장성 탐색

        이명순 한국영유아교원교육학회 2022 유아교육학논집 Vol.26 No.4

        To understand the practicality emphasized in recent teacher education, this study explored the characteristics of classes and the meaning of classrooms using an adjunct professor class at university B as an example. Four adjunct professors were interviewed about what it means from them to be on the ground in kindergarten classes and how they arrived at such meaning in their classes. The classes taken by the adjunct professors were also analyzed. The results showed that the students recognized the adjunct professors as junior teachers and treated them with respect. The professors provided guidance in the field in terms of class content and connected theory and practice through methodologies. The meaning of on-the-ground classroom teaching in teacher training includes having knowledges of the reality of the current kindergarten situation in terms of time and the national demand for the revision of the Nuri curriculum in the social dimension. It also emphasizes respect for children in all essential dimensions and practicality with limitations in the final practical dimension. This study suggests that the verification and utilization of the on-the-ground classroom teaching in teacher training is not an unconditional connection to the field but a process that will help develop teachers centered on young children. 본 연구는 최근 교사교육에서 강조하는 현장성을 이해하기 위하여 B대학의 겸임교수를 사례로 하여 수업의 특성과 수업의 현장성에 대한 의미를 탐색하였다. 이를 위하여 겸임교수 4 명에게 유치원 현장성은 무엇을 의미하는지와 겸임교수 수업에서 현장성이 어떻게 드러나는지를 인터뷰하고 겸임교수의 촬영된 수업을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학생과의 관계적인 측면에서 후배 교사로 인식하고 존중과 예우하기, 수업 내용 측면에서 지금 현장에서 하는 실제 안내하기, 방법론적인 측면에서 이론과 실제의 연결하기로 나타났다. 교사 양성에서 현장성의의미는 시간적 측면에서 지금 유치원의 상황이라는 현재성, 사회적인 측면에서 개정 누리과정이라는 국가의 요구, 본질적인 차원에서 유아를 존중하는 교사됨, 마지막 실행적인 차원에서 한계가 있는 현장성의 의미로 나타났다. 교사 양성에 있어서 수업의 현장성은 무조건적인현장과의 연계가 아니라 유아를 중심에 두는 교사됨의 과정으로서 현장성의 검증과 활용이선행되어야 하며 수업 현장성 확보를 위한 다양한 방안의 모색이 필요함을 제안하였다.

      • KCI등재

        교육학 연구와 교육 현장성 : Friedman의 과학철학적 관점으로부터 파생된 쟁점과 과제를 중심으로

        신현석 ( Shin Hyun-seok ),정용주 ( Jung Yong-ju ) 안암교육학회 2021 한국교육학연구 Vol.27 No.4

        본 연구는 교육학 연구의 현장성 논의에 대한 지적·이론적 배경을 밝히고, 그로부터 파생된 쟁점과 과제를 제시하는 데 목적을 두었다. 교육학 연구의 현장성 강화는 교육학의 분과 학문별로 차이가 있으며, 특별히 모든 분야에서 현장성을 필요로 하고, 그것이 항상 선은 아니라는 것이 밝혀졌다. 현장성 강화를 당위적으로 표명되는 운동 개념으로서 이해하는 것은 교육학 연구를 얼마든지 왜곡할 수 있는 개연성을 배제할 수 없다는 것을 제시하였다. 이러한 현장성의 무비판적 수용으로부터 나타나는 지나친 강조와 왜곡은 교육학의 이론과 실제를 연결하는 가교로서 과학적 탐구의 과정을 편파화, 파편화할 가능성을 경계해야 할 것이다. 이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학문 탐구의 습성화된 판단 기준으로서 현장성에 대한 Friedman의 과학철학적 탐구의 견지에서 교육학 연구의 가치와 미덕을 조망해 보는 것이 논의의 지형을 확대하면서, 교육학 연구의 현장성에 관한 쟁점과 과제를 도출하고, 이의 해소 노력을 통해 교육학의 학문적 정초를 다지고 정체성을 강화하는 데 도움이 될 것임을 강조하였다. This study was intended to unravel intellectual and theoretical background on the practicality of educational research and to suggest the issues and tasks drawn from them. It was found that the strengthening of educational practicality does not mean the same in every branch discipline, is not needed particularly to it all, and is not always the good. In addition, this study suggested that the understanding of regarding the strengthening of educational practicality as a normative movement could not rule out any possibility of distorting educational research. Therefore, it is advised that there is a possibility of over emphasis and distortion derived from the non-critical acceptance of educational practicality that gets biased and fragmentizes the process of scientific inquiry as a bridge between theory and practice in educational research. In conclusion, this study stressed that the reflection on the value and virtue of educational research from the perspective of Friedman’s scientific philosophy extended the discussion of educational practicality as a habitual criteria, consolidated the foundation of education discipline, and helped its identity get stronger through the attempt of getting the issues and tasks of educational practicality solved.

      • KCI등재

        코로나19 시기 온라인 축제에서의 현장성 인식변화 연구: 김제지평선축제를 중심으로

        이정우 인문사회 21 2022 인문사회 21 Vol.13 No.3

        코로나19의 감염확산을 방지하기 위해 다양한 방역 대책이 실행되면서 일상의 많은 부분들이 달라졌다. 국내에서 개최되는 축제에서도 많은 변화가 나타났다. 비대면 형식으로 개최되는 온라인 축제가 등장하게 된 것이다. 본 연구자는 온라인 축제가 단순히 팬데믹 상황을 모면하기 위한 방안이라고만 보지 않는다. 온라인 축제에도 지속적으로 참여자가 발생하고 있으며, 새로운 참여방식과 소통으로 축제를 즐기고 있기 때문이다. 본 연구는 오프라인과 온라인 축제를 비교하고 분석하여 축제의 현장성을 온라인 축제에 최대한 구현하는 것이 아닌, 과거의 경험과 연결되어 구성되는 새로운 현장성을 관찰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오프라인과 온라인 형식의 김제지평선축제를 최소 1회 이상씩 참여한 6명의 참여자를 일대일 면담조사를 통해 조사하였다. 참여자들은 온라인 축제에서 현장성의 한계를 느끼기도 했으나 일부는 여전히 현장성을 느끼기도 했고, 특히 축제를 참여하며 새로운 현장성도 느끼고 있었다. 이러한 연구내용은 앞으로 다가올 디지털 전환시대에 맞춘 문화기획에 대한 단초를 얻을 수 있는데 의의가 있다.

      • KCI등재

        한국의 다면영상공연에 관한 연구 - 관람만족도와 재관람의도를 중심으로

        신예지(Yea-Ji Sin),이호배(Hobae Lee) 연세대학교 동서문제연구원 2020 동서연구 Vol.32 No.1

        본 연구는 다음과 같은 연구 가설들을 검증하였다. 연구가설 1(다면영상공연의 특성 즉 가격적합성, 접근성, 오락성, 현장성이 관람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검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오락성과 현장성이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은 유의적이지만, 가격적합성과 접근성은 비유의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가설 2(다면영상공연의 특성이 재관람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검증 결과도 관람만족도와 마찬가지로 오락성과 현장성은 재관람의도에 미치는 영향은 유의적이지만, 가격적합성과 접근성은 비유의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가설3(다면영상공연의 특성이 관람만족도를 매개해서 재관람의도에 미치는 영향)의 검증결과는 다음과 같다. 가격적합성은 관람만족도를 매개해서만 재관람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완전매개의 효과가 나타났다. 반면 접근성, 오락성, 그리고 현장성은 만족도를 매개해서 재관람 의도에 영향을 미칠 뿐만 아니라 직접 재관람의도에 영향을 미치기도 해서 관람만족도의 부분매개 효과를 알 수 있었다. 본 연구는 다음과 같은 시사점을 갖는다. 첫째, 본 연구에서는 기존 영상공연의 한계인 현장성이 다면영상공연에서 가장 중요한 특성임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향후 다면영상공연의 기회 확장과 잠재 고객의 유치에 긍정적이다. 둘째, 현장성 뿐만 아니라 오락성도 만족도와 재관람의도를 결정하는 중요한 특성임을 확인하였기 때문에 관객을 유치하기 위해서 지속적으로 오락적 요소를 개발할 필요가 있다. 끝으로, 현재 다면영상공연의 주된 관객이 주로 20대 여성 대학생층이 주 표적시장이라는 한계가 있지만 향후 K-pop, 한류, 그리고 최근 ‘기생충’ 영화의 아카데미상 수상 등 한국적 문화를 활용해서 저변 잠재 시장을 해외 관객들까지 확대시킬 수 있는 가능성도 높일 수 있다. This study tested the following hypotheses. The results of the research hypothesis 1(the effect of the characteristics of the multi-faceted video performing arts on audience satisfaction) showed that entertainment and on-site performance had significant effects on satisfaction, but price suitability and accessibility were not significant. The results of the research hypothesis 2 (the effect of the characteristics of the multi-faceted video performing arts on the intention to revisit) showed that entertainment and on-site performance had significant effects on satisfaction, but price suitability and accessibility were not significant. The results of research hypothesis 3 (the effect of the characteristics of multi-faceted video contents on the intention of re-viewing through mediation of audience satisfaction) are as follows. The price suitability was completely mediated to affect revisit intention through mediation of audience satisfaction, and accessibility, entertainment, and on-siteness not only affected the intention to revisit by mediating satisfaction, but also influenced direct the intention to revisit. As a result, the partial mediating effect of satisfaction was found. This study has the following implications. This study confirms that the on-siteness, which is the limitation of the existing video performance, is the most important characteristic in the multifaceted video performing arts. In addition, since it was confirmed that entertainment as well as the on-siteness is an important characteristic that determines audience satisfaction and revisiting intention, it is necessary to continuously develop the entertainment element in order to attract customer audience. Since the main audience of multi-faceted video performances is females and 20s of ages, mainly college students and office workers, it is necessary to expand the base market to surrounding audiences by setting them as target markets.

      • KCI등재

        황동규의 여행시에 나타난 현장성(現場性) 연구

        이승규(Lee, Seung-gyu) 한국문학회 2015 韓國文學論叢 Vol.71 No.-

        The siteness of poet is originated from not only the geological place but also the qualitative place through which the narrative experiences external world. Studying siteness is to explore creative motivation. Also it finds out meaning and structure of work by investigating how resources of site intervene. Travel poem by Whang Dong-Gyu provoked by specific experiences build up structure of insight of siteness. In 「Molundae hang(head for Molundae)」and 「looking for vally of death」, the poetic person got to the site with perspective of traveler but as facing objects at the site and reshaping them, inner side of the poetic person has been changed. Both of poems describe the sites characteristically and according to it, process of thinking is revealed delicately. By corresponding with object and circumstance of site and poetic person's thought, it tends to internalize. 「Chungryungpo」and 「Dasanchodang」mutually invoke historical characters exiled by authority, these poems show the splending sight of liberation and a hard fight to conquer pressure and agony by reality. The structuralization of siteness composed of individual space movement and appearance of object exhibit a perfection of self process in which self-examination and implement by the poetic person. 현대시의 현장은 작품의 지리적 공간일 뿐만 아니라 시적 자아가 외부 세계와 체험을 맺는 질적 변화의 공간이다. 현장성 연구는 작품 창작의 동기를 비롯해 현장의 요소가 시에 개입하는 양상을 자세히 살펴 작품의 의미와 구조를 탐색하는 연구 방법이다. 황동규의 여행시는 구체적인 체험에서 출발하여 자아의 변화를 유도하는 방식으로 현장성의 내면화와 구조화를 구현한다. 「몰운대행」과 「죽음의 골을 찾아서」등에서 시적 자아는 낯선 여행자의 시선으로 현장에 도착하지만 현장의 사물을 새롭게 구성하면서 내면의 변화를 점차 받아들인다. 이들 작품 모두 현장의 상황이 구체적으로 묘사되고 있으며 그에 따라 시적 자아의 사유 과정이 섬세하게 드러나는데, 현장의 사물과 정황이 시적 자아의 사유와 자연스럽게 조응(照應)하면서 내면화하는 양상을 보여준다. 「청령포」와 「다산초당」은 공통적으로 역사적 인물, 즉 권력에 의해 유폐당한 인물을 호출하면서, 현실의 압박과 고통을 초극하려는 시적 자아의 고투와 함께 황홀한 해방의 경지를 극적으로 현시한다. 이들 작품 현장의 자연물과 상황이 시적 자아의 동선을 통해 의미적 구조로 형성된다. 개별 공간의 이동에 따라 각각의 사물들이 의미체로 구성되는 현장의 구조화는, 시적자아의 성찰과 거듭남이라는 자기 완성의 과정으로 수렴된다.

      • KCI등재

        소비자 태도와 정보탐색 행동이 공연 소비에 미치는 영향

        전종우(Jong Woo Jun) 한국광고홍보학회 2012 광고연구 Vol.0 No.95

        이 연구는 공연상품을 대상으로 소비자의 태도와 관련한 변인들이 공연 소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본 것이다. 여기서 현장성이라는 개념을 핵심적인 매개변인으로 보고 연구모델화하였다.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 결과 공연물에 대한 인지와 감성은 소비자의 정보탐색 행동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정보탐색 행동은 공연물에 대한 현장성에 직접적인 영향을 나타내었다. 이러한 현장성은 궁극적으로 클래식 공연과 대중 공연 모두의 소비에 긍정적으로 연결되어 있었다. 이 연구의 결과는 현장성이라는 개념의 효용성 검증을 통해 마케팅 대상으로서의 공연과 관련한 학문적인 시사점과 함께 공연 마케팅에 대한 실무적인 시사점을 제공하고 있다. This study investigates roles of consumer attitudinal factors on the on-the-spotness and performing arts consumptions. Korean college students are used as a survey research sample. The findings of this study show that cognition and affect influenced information search behaviors of performing arts consumers and these information search behaviors positively affected the on-the-spotness that is ultimately linked to consumptions of both classic performing arts and popular performing arts. In addition, it is found that the on-the-spotness is a significant mediator in the research model. These findings provide academic implications and managerial implications regarding marketing and advertising of performing arts.

      • KCI등재

        초등 임용2차시험제도 개선을 통한 교원양성 현장성 강화 방안 탐색 : 의사 면허 실기시험제도와 비교를 중심으로

        임수진(Lim, Soojin) 한국열린교육학회 2021 열린교육연구 Vol.29 No.6

        이 연구는 의대 양성과정 및 의사 면허실기시험 분석을 통해 초등교원의 현장성 강화 방안을 탐색하여 초등 임용2차시험의 개선방안을 마련하고자 한다. 가장 대표적인 전통 전문직종인 의사 양성과정 중 현장성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의사면허 실기시험의 특징을 분석함으로써 초등 2차임용시험 개선에 시사점을 도출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의대 양성과정과 실기시험에 대해 분석하고 의대생, 공중보건의, 임용시험 응시생, 저경력 초등교사, 임용시험 전문가 등을 포함한 9명의 면담자와 심층면담을 수행하였다. 인터뷰를 분석한 결과 의대에서 그렇듯 현장성 강화를 위해 현장경험을 갖춘 교수요원과 실습학교 확보, 교직과목 담당교수들의 실습 참여, 실습 담당 교수와 실습 담당 교사 간의 협력 체제 구축, 예비교사의 실기 역량 강화 및 임용2차시험에서 실기 비중 확대 등이 보완되어야 함을 시사하고 있다. 또한 의대 면허실기시험에서와 같이 임용 2차시험에 대한 구체적 지침을 마련하고 이를 공개하며 2차 시험의 변별력을 높이고, 이에 대한 준비를 위해 교원양성 교육과정 내에서 실습을 강화하고 실습과 교대 내 교육과정 연계를 긴밀하게 구축할 필요가 있음을 시사하고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epare a plan to improve the 2ndsection of the practical test system for doctor’s licenses. This shall be done by improving elementary school teachers’ by navigating ways to strengthen the usefulness of the teachers through the analysis of medical school training courses. By analyzing the characteristics of the practical doctor s license test, which has the greatest influence on the field ability among the most representative traditional professional doctors training courses, the study intends to derive implications for improving the 2nd appointment test for elementary teachers. To this end, medical school training courses and practical tests were analyzed, and in-depth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seven interviewees, including medical students, public health doctors, appointment test takers (pre-service teachers), elementary novice teachers, and appointment test experts. As in medical school, the analysis of interviews suggests that securing professors with practical school and field experience, participating in practice by professors in charge of teaching, establishing a cooperative system between professors and teachers, strengthening pre-service teachers practical skills, and expanding the proportion of practical skills should be prepared. It also suggests that it is necessary to strengthen practice within the teacher training curriculum and closely establish links between practice and in-shift curriculum to prepare for the second examination of medical school licenses.

      • KCI등재

        일본어 학습자의 「こと・の」의 사용에 관한 고찰 ー일본어 모어화자와 비교하여ー

        최진희 충남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19 인문학연구 Vol.58 No.1

        In this study I investigated how the perspective of Style and Place Reality affect Japanese Learners in order to understand the usage patterns of "Koto" and "No" and compared them with the data of Japanse Native Speakers. Japanese Native Speakers used "No" rather than "Koto". Japanese Learners used "Koto" rather than "No" by contrast.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bwtween Japanese Native Speakers and Japanese Learners.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advanced Japanese Learners and Beginner or Intermediate of Japanese Learners. For Style factor, Japanese Native Speakers use "No" more than Japanese Learners in the Pain Style. Japanese Learners use "Koto" more than Japanese Native Speakers in the Polite Style. Beginner or Intermediate of Japanese Learners want to use "Koto" to express more politely. For Place Reality factor, Japanese Native Speakers use "No" more than Japanese Learners in the Place Reality(+). In other words, Japanese Native Speakers specially tend not to use "Koto" in the Place Reality(+). On the other hand, Japanese Learners use "Koto" more than Japanese Native Speakers in the Place Reality(-). 본 연구는 일본어 학습자를 대상으로 「こと・の」의 사용 경향을 파악하기 위해 문체와 현장성의 요인이 「こと・の」의 사용에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지 조사하였고, 일본어 모어화자와 일본어 학습자의 사용경향을 비교 고찰하였다. 일본어 학습자는 の보다 こと를 일본어 모어화자는 こと보다 の를 사용했다. 일본어 모어화자와 일본어 학습자간에 유의차가 있어 「こと・の」의 사용에 차이가 있다는 결과였다. 상급과 초・중급 학습자 간에는 유의차가 인정되지 않아 사용 경향이 일치했다고 해석할 수 있다. 문체에서는 보통체의 경우 초・중급 학습자에 비해 일본어 모어화자는 こと보다 の를 더 많이 사용하고, 정중체에서는 일본어 모어화자에 비해 일본어 학습자 쪽이 の보다 こと를 선호하고 있다는 결과가 나왔다. 학습자의 일본어 레벨이 낮을수록 정중함을 나타내기 위해 こと를 사용하려는 경향이 강한 것으로 나타났다. 현장성의 요인에서는 현장성(+)에서는 일본어 학습자에 비해 일본어 모어화자 쪽이 こと보다 の를 사용하고 있었다. 한편 현장성(-)에서는 일본어 모어화자에 비해 일본어 학습자 쪽이 の보다 こと를 많이 사용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논문의 고찰을 통하여 초・중급 학습자에게 보통체에서의 の사용을, 현장성 (+)에서도 の사용을 보다 적극적으로 지도할 필요가 있다고 생각된다. 품사별로 보면 일본어 학습자와 일본어 모어화자 사이에서 好きだ/あきらめる의 경우 「こと・の」의 사용에 있어서 차이가 상당히 크고, いい의 경우는「こと・の」의 사용 경향이 일치했다.

      • KCI등재

        요리사 자격증의 사회적 기능이 자기효능감과 경력개발 및 평생학습 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박정준,곽공호 한국관광산업학회 2020 Tourism Research Vol.45 No.3

        National Technology Certificate of Chef endlessly itself in the corporate, is that the management innovation methods of the 21st century which is the knowledge based hotel business environment. For the National Technology Certificate of Chef on the life long study performance. study, the data were gathered from the establish of Seoul, Gwangju, Cheonnam province through the questionnaires. A Study hypothesis were researched for based on the collected data. the data for this research was gathered for 210 using the sampling method after analysis of the data in terms of ML(maximum Likelihood) procedure in AMOS 19.0 was used and the major results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ly, this study tries to finds out a causal relationship between the National Technology of Chef Certificates lifelong study performance and Sense, Combination, Practical , by carrying out the empirical not analysis. Second, this research study to finds out a causal relationship between the Self-Efficacy National Technology of Chef Certificates and life long study established by carrying out the empirical analysis. through the empirical analysis, it tries to examine the effect of Self-Efficacy on life long study performance by verifying the intermediation effects of Career Development on lifelong study performance. this study tries to finds out a social relationship between the National Technology of Chef Certificates and lifelong study performance and Combination by carrying out the empirical analysis. This study verifies that Career Developmentes are intermediation effects between corporate National Technology of Chef Certificate and lifelong study performance. Through the empirical analysis, study finds that Career Developmentes are critical factors had effects on lifelong study performance. In Conclusion, this research explore and analysis empirically that there are some relation to make the learning more effective on life long study performance for Chef Skill. 본 연구는 요리사 자격증의 사회적 기능이 자기효능감과 경력개발 및 평생학습 교육의 성과가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 분석을 연구하였다. 요리사 전문자격증 제도의 요리사 직무수행에 필요한 활용성 전략은 요리사 전문능력 자격증의 실무적 현장성, 통합성, 활용성 등 3가지 사회적 기능 범주관점의 연구 분석에 초점을 맞추었다. 본 연구는 기본데이터 설문지 210부 이용하여 AMO 19.0으로 유효 설문지를 회귀분석, 구조방정식 모형으로 주요 결과를 분석 연구하였다. 첫째, 요리사 자격증 취득의 평생학습으로 현장성을 강조하였으며, 둘째, 요리사 자격증 취득의 경력개발, 자기효능감을 강조하는 연구설정이며, 그리고 사회적 기능 관계를 형성하는 과정과 요리사 자격증 취득의 기능으로서 평생학습,경력개발, 현장성 업무성과를 효과적으로 접근할 수 있는 방법을 제시하는 연구이다요리사 전문자격증 취득의 현장성 관점은 평생학습의 혁신적 방법을 요리사 업무성과 및 역할 욕구를 충실히 반영하는 중차대한 노동시장의 흐름을 지속적으로 관찰하고 창출하는 연구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