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중국 수출시장 진출을 위한 한방화장품 포장디자인 연구 - 경북 한방화장품을 중심으로 -

        홍흠 ( Xin-hong ) 한국디자인트렌드학회 2017 한국디자인포럼 Vol.54 No.-

        연구배경 경북 한방화장품은 대기업의 꾸준한 화장품 성장 시장과는 달리 제품의 질적 수준이 우수함에도 불구하고 수준 낮은 포장디자인과 마케팅 부족으로 저가화장품 이미지를 벗어나지 못하고 있어 국내 소비자 뿐 만 아니라 해외 소비자 시장 개척이 힘들어 많은 경북 한방화장품 중소기업들이 어려움을 겪고 있다. 따라서 경북 한방화장품이 중국을 중심으로 해외시장으로 진출하기 위해 브랜드별 시각적 조형요소 분석을 통해 브랜드이미지 구축을 위한 방향을 설정하고 중국 소비자 욕구에 맞는 포장디자인 개발 방향을 제시하고자 한다. 연구방법 연구범위는 국내 생산 한방화장품 중 경북에서 생산되는 한방화장품 8개 브랜드로 제한하였으며, 연구방법으로는 국내외 문헌을 통하여 이론적 근거를 정립하였고 한방화장품 업계의 시장조사 자료 및 한방화장품 전문자료, 경북 한방화장품 포장디자인 사례 등을 비교 분석하여 정리 하였다. 또한 심층적인 연구를 위해 국내 거주 중국인 100명을 대상으로 경북 한방화장품 포장디자인 이미지에 대한 설문조사를 통해 그에 따른 결과 및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연구결과 본 연구의 결과 경북 한방화장품이 중국 시장 진출을 위해서는 제품이 갖는 기능성은 물론이고 보다 해외 소비자들의 눈높이에 맞는 브랜드 포장디자인 개발이 시급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현상은 경북 한방화장품 생산업체들이 브랜드 포장디자인에 대한 인식 부족하며 전문 디자이너 부족에서 나오는 현상으로 보다 체계적인 디자인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결론 경북 한방 화장품이 중국 수출 시장으로 진출하기 위해서는 보다 철저한 중국시장의 문화를 이해하는 연구가 필요할 것이다. 특히 중국은 전 세계 화장품 시장의 절반을 차지하는 만큼 해외 시장 개척을 위해서는 피할 수 없는 시장으로 식지 않는 한류를 배경으로 보다 체계적이고 전문 디자이너들에 의한 디자인 개발이 필요하다. Background In terms of oriental medicine cosmetics in the Gyeongbuk region, many SMEs are experiencing difficulty in sales due to low domestic demand and the global economic recession. Therefore, in order for Gyeongbuk oriental medicine to enter overseas markets especially targeting China and Southeast Asia, this study aims to set directions for building brand images by analyzing elements of the visual designs of various brands and to provide direction regarding packaging design that will meet the needs of overseas consumers. Methods The scope of this study was limited to eight oriental medicine cosmetics brands produced in the Gyeongbuk area among all products manufactured in Korea. The theoretical basis of this research was established from domestic and foreign literature, and market research data from the oriental cosmetics industry and professional material on oriental medicine cosmetics, and examples of packaging design of oriental medicine in the Gyeongbuk area were compared, analyzed, and organized. Also, for further research, surveys of 100 Chinese residents living in Korea were conducted about the packaging design images of Gyeongbuk oriental medicine cosmetics. The results and implications are provided in this study. Result The study found that in order for Gyeongbuk oriental medicine cosmetics to enter overseas markets, not only is the function of the cosmetics important but the development of brand packaging design that satisfies the eyes of foreign consumers is urgent. The urgency rises from a lack of awareness of Gyeongbuk oriental medicine cosmetics manufacturers on brand packaging design and a lack of expert designers, and a systematic development of design is in need. Conclusion For Gyeongbuk oriental medicine cosmetics to enter the overseas export market, studies on understanding the culture of the overseas market more thoroughly should be conducted. As the market in China accounts for as much as half of the global cosmetics market, it is a market that cannot be neglected. With the aid of the still popular Korean wave, a systematic design created by professional designers needs to be developed.

      • KCI등재

        여성소비자의 한방화장품 인식에 따른 사용실태 융합연구

        조수미,배세지,강은주 중소기업융합학회 2018 융합정보논문지 Vol.8 No.1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the status of using medicinal herb cosmetics targeting women who had experiences of using medicinal herb cosmetics and present basic data for future development of medicinal herb cosmetics that can satisfy the needs of future customers and convergence marketing strategies. For the purposes, this study conducted a frequency test and a chi-square test (χ²) on the 351 copies of responses obtained from a survey targeting adult women to identify the use status according to perceptions on medicinal herb cosmetics. As a result, the followings were presented: As the subjects were older, they preferred medicinal herb cosmetics and intended to keep purchasing it. Customers had more confidence in the medicinal herb cosmetics when the cosmetics were good-quality. In respect to efficacy difference according to prices, the subjects who believed that there was difference in efficacy according to prices were more satisfied with the medicinal herb cosmetics and purchased products of higher price. Such results indicate it is suggested that medicinal herb cosmetics would develop further when cosmetic products that can satisfy their need are developed. 연구목적은 한방화장품을 사용해 본 경험이 있는 여성 소비자를 대상으로 한방화장품 인식에 따른 사용실태를 조사, 분석함으로써 고객의 욕구를 충족시키는 융합 마케팅 전략 수립과 향후 한방화장품 제품 개발 및 시장 활성화를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있다. 연구방법은 광주광역시의 성인 여성을 대상으로 조사한 설문지 351부를 빈도분석과 카이스케어검정(χ²)을 실시하여 한방화장품 인식에 따른 사용실태를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한방화장품 인식에 따른 한방화장품 사용실태는 높은 연령일수록 한방화장품을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다른 연령에 비해 지속적으로 구매의향이 높은 것으로나타났다. 또한 한방화장품의 우수성에 따라 한방화장품을 사용하는 소비자는 한방화장품에 대한 신뢰도가 높다고 나타났으며 가격대별 효능 차이에 대한 사용실태는 효능의 차이가 있다고 여기는 소비자들의 만족도가 높고 구매가격도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한방화장품의 효능을 부각시키는 마케팅 전략을 수립하고 다양한 연령층 맞는 제품을 개발하는 등 고부가가치인 화장품 시장에서 소비자들의 욕구를 만족시킨다면, 한방화장품은 명품화장품 브랜드로 거듭날 수 있을 것이다.

      • KCI등재

        한방화장품 브랜드에 있어서 전통 색채이미지에 관한 연구

        이승영(Seung Young Lee) 한국디자인문화학회 2011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Vol.17 No.4

        한방화장품 브랜드는 몇 년간 지속적으로 좋은 반응을 얻고 있으나 브랜드별 차별화, 세계화, 안정화를 위해서는 중장기적인 계획을 가지고 한방화장품의 우리 것에 대한 민족적 특수성과 차별화를 부각시켜 과학적이고 객관적으로 입증할 수 있도록 하는 연구를 활성화시키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다. 이에 본 연구는 한방화장품 브랜드 아이덴티티의 시각요소 정립과 이미지 전략에 중요한 결정요인으로 작용하는 색채에 있어서 이미지에 따른 한국적 색채의 적용을 통해 한방 화장품 브랜드의 전통 색채 연구를 활성화하고, 한방브랜드에 적용 가능한 한국적 색채와 배색을 제안하는데 본 연구의 목적이 있다 연구의 범위는 국내 대표 3대 한방화장품 브랜드를 중심으로 브랜드 이미지에 따른 전통색채의 연구에 특정 의제를 맞춘다. 선정된 3대 한방화장품의 색채분석과 설문조사를 통해 감성어휘를 도출하여 브랜드 이미지에 대한 전통 색채와 배색을 연구하여 활용방안을 제시하였다. 3대 한방 화장품의 주요 색채 조사 결과 대부분 난색계열의 유사한 색채를 사용하고 있었으며 한방제품의 특수성과 한국 전통의 브랜드의 이미지로 인하여 황색계열, 적색계열, 자색계열, 백색계열을 가장 많이 주조색과 보조색으로 활용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3개 브랜드 모두 전체적으로 차별화되지 못하고 유사한 이미지의 색채 사용과 배색으로 주로 채도와 명도를 낮게 사용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선정된 3대 한방화 장품의 상징적, 기능적 이미지를 분석결과 설화수는 "동양적이다"가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다나한은 "단아하다"의 브랜드 이미지가 높게 조사되었고 수려한 역시 "동양적이다"가 가장 높은 조사결과를 보였다. 설화수, 다나한, 수려한 모두 차별화되지 못하고 대부분 "동양적이다.", "여성적이다.", "우아하다." 등의 감성어 휘가 3대 브랜드에서 가장 많이 도출되었으며 그 외에 이미지어도 품위성과 매력성에 해당하는 감성어휘로 국내 3대 한방화장품 브랜드를 유사한 이미지로 인지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조사 분석된 3대 한방화장품의 대표적인 브랜드 이미지를 중심으로 우리 민족의 색채의식이 반영된 한국의 전통 색채를 음양오행의 원리와 색이 갖는 의미를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스케일과 좌표로 제시, 색채와 배색을 제안하였다. 본 연구 결과, 한방화장품 브랜드는 전통 색채의 상징이나 의미의 연구를 기반으로 경쟁사와의 차별화된 컨셉에 맞는 맞춤형 전통색채의 활용과 현대적이며 감각적인 디자인 요소와 접목하여 융화할 수 있고 조화할 수 있는 전통색채를 활용하여 브랜드마다의 독특한 아이덴티티를 구축해야 할 것이다. Korean medicinal herb cosmetics brands have steadily attracted favorable responses from consumers in market over the last few years. In order to differentiate, globalize and stabilize each of those Korean brands, however, it is most important to develop a mid-or long-term master plan and highlight any national original specialty and differentiated features of Korean medicinal herb cosmetics in the interest of promoting academic research activities to scientifically and objectively demonstrate potential efficacy of those cosmetics. With regard to colors as a critical determinant in establishing visual elements of brand identity for Korean medicinal herb cosmetics and making image strategies for the brand identit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pply image-based Korean original colors and thereby facilitate academic researches into traditional colors of Korean medicinal herb cosmetics brands, so that it may propose Korean original colors and color schemes applicable to Korean medicinal herb brands. In terms of investigational scope, this study covered Korean traditional colors as a certain subject on the basis of Korean representative Top 3 Korean medicinal herb cosmetics brands. By analyzing colors of these Top 3 cosmetics brands and conducting a questionnaire survey on them, this study could deduce emotional words and examine traditional colors and coloration for each brand image. Then, it could suggest possible ways to use those colors and coloration. According to examination of major colors in Top 3 Korean medicinal herb cosmetics, it was found that most of their brand products were based on similar colors in use with warm coloration, and yellow, red, purple and white were used as favorite major and minor color series due to the speciality of Korean medicinal herb products and the traditional brand images of Korea. And it was found that none of these Top 3 brands were differentiated overall, but they applied relatively low chromaticity and brightness as usual owing to similar image colors and color schemes in use. According to analysis on valid and complete responses to a questionnaire about symbolic and functional images of Top 3 Korean medicinal herb cosmetics selected in this study, it was found that the brand image of Sulwhasoo was characterized primarily by "oriental", that of Danahan was characterized primarily by "elegant", and that of Suryeohan was characterized primarily by "oriental" as well. Here, it was found that all of these Top 3 brands-Sulwhasoo, Danahan and Suryeohan-were not successfully differentiated, but emotional words such as "oriental", "feminine" and "elegant" were deduced from these Top 3 brands in most cases. In addition, it was found that image words about these Top 3 brands belonged to emotional words equivalent to expressions about dignity and attraction, which indicates that Top 3 Korean medicinal herb cosmetics brands were recognized as similar images among people. Based on such representative brand images of Top 3 Korean medicinal herb cosmetics as examined and analyzed here, this study used scales and coordinates to suggest Korean traditional colors based on original color senses of Korean people, and proposed possible colors and color schemes so that we can easily figure out the principles of Yin-Yang School and the implication of each color. Conclusively, the findings of this study suggest that it will be required for Korean medicinal herb cosmetics brands to make a good use of customized traditional colors fit for their own concepts differentiated from competitors on the basis of studies on any symbol or implication of traditional colors, and also employ Korean traditional colors compatible and harmonized with modern and sensuous design elements with an ultimate view to establishing the original identity of each brand.

      • KCI등재

        Korean and Chinese Consumers’ Perception on Herbal Cosmetics: Clustering of Unstructured data

        Xuan-Kun Fan,Joon-Ho Seon,Kyu-Hye Lee 한국피부과학연구원 2021 아시안뷰티화장품학술지 Vol.19 No.2

        목적: 본 연구는 자연주의 화장품에 대한 수요가 증가하는 시점에 한국과 중국 소비자를 대상으로 한방화장품에 대한 인식을 살펴 보고 비교하고자 하였다. 방법: 빅데이터 방법론을 바탕으로 텍스트 마이닝과 의미 네트워크 분석을 사용하여 한방화장품 관련 리 뷰에 나타난 주요 키워드를 알아보았다. 클러스터링 분석을 통해 감정별로 소비자의 한방화장품에 대한 인식을 분석하고 군집화 하 여 비교하였다. 결과: 한국 소비자는 화장품 유통과정과 포장상태에 대해 더 중요시하였으며, 한방화장품을 연령대가 높은 여성의 화장품으로 인식하였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중국 소비자는 한방화장품의 원재료 등을 비롯한 제품 속성을 더 많이 중시하였으며, 한방화장품에 대한 타인의 평가를 중요한 요소로 인지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결론: 한방화장품의 시장 규모가 확대됨에 따라 더 욱 다양해지고 젊어진 소비자층을 공략하기 위한 마케팅 전략을 수립하는 데에 도움이 되고자 하며, 보다 효과적인 마케팅 전략 수 립에 활용할 수 있는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Purpose: This study examines and compares Korean and Chinese consumers’ perceptions of herbal cosmetics, as demand for natural cosmetics is increasing. Methods: Based on a big data methodology, this study uses text mining and semantic network analysis to identify major keywords that appeared in consumers’ comments on herbal cosmetics. Results: Results reveal that Korean consumers paid more attention to herbal cosmetics products’ distribution process and packaging conditions. Moreover, Korean consumers recognize herbal cosmetics as cosmetics for women of higher age. Chinese consumers focused more on the products’ attributes, including other people’s evaluations of the products and the ingredients of herbal cosmetics. Conclusion: As the market size of Korean herbal cosmetics expands, this study will help establish marketing strategies to target a wider consumer base and to provide basic data for establishing more effective marketing strategies when Korean herbal cosmetics brands enter the Chinese market.

      • KCI등재

        한국적 Identity를 적용한 한방화장품 디자인 전략방안 - 한방화장품 용기디자인을 중심으로 -

        김종일,강문수 한국브랜드디자인학회 2012 브랜드디자인학연구 Vol.10 No.3

        세계는 WTO체제의 자유무역 상황에 따른 경쟁의 전면시대를 맞아 국내 시장 환경은 급속한 변화를 보이고 있다. 국내 토종 화장품 브랜드들은 외국 유명 브랜드들과 경쟁에서 유명 백화점에서 퇴출당하는 취약점을 보이고 있다. 최근 디자인에 대한 지적재산권보호에 관한 문제도 크게 부각되고 있어 한국적 Identity을 지닌 디자인 또한 절실히 요구되고 있다. 브랜드 경쟁력 즉, 브랜드 에쿼티(Brand Equity)로는 브랜드 인지, 이미지, 품질에 따른 가격경쟁력, 로열티 등 다양한 마케팅 문제들이 대두될 수 있는데, 이 브랜드 구성의 핵심요소 가운데 패키지 디자인은 중요한 경쟁력으로 거론될 수 있을 것이다. 국내 토종 화장품의 디자인이 외국 유명 브랜드 디자인들과의 경쟁력에서 어떠한 차이를 보이고 있는지 비교할 필요성은 더욱 높아지고 있다. 국내 토종 한방화장품 브랜드경쟁력 강화를 위하여 브랜드 핵심 구성요소인 패키지디자인의 차별화를 통하여 외국 유명 브랜드와의 독보적인 경쟁력을 확보하고, 한국적 Identity를 적용한 한방화장품 패키지디자인 전략으로는 용기의 형태 디자인 측면은 전통 도자기를 모티브로 한 또 다른 제3의 형태를 표현 할 것이 아니라 도자기형태 그대로를 적용할 필요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 재질에 따른 질감, 즉 재질 또한 도자기의 세라믹, 한복의 직물(Fabric), 죽통의 대나무(Wood) 그대로를 적용할 필요가 있으며, 디자인 색은 제품의 콘셉트와 한국만의 독특한 색을 “한국적 이미지를 인지시킬 수 있는 Color Language” 화하여 표현할 필요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문화의 의식주 전반에 걸쳐 한국적 디자인 요소 즉, 형태, 색, 질감 등을 발굴 접목시켜 한방화장품의 한국적 디자인 표현방법에 관하여 연구하였다. Front era of competition according to the situation of free trade in the WTO system, the world has shown the domestic market environment of rapid change. Domestic indigenous showing their vulnerability to being banned from famous foreign brand to compete with the famous department store in the cosmetics brand. With Korean Identity design also highlighted recent issues regarding the protection of intellectual property rights in the design for being urgently required, and is Brand to Brand Equity brand awareness, competitive according to the quality, price competitiveness, loyalty and other marketing problems soybeans, a key element of the configuration of this brand can be among the important competitive package design will be discussed. Design and foreign famous brand design showing no difference in the competitiveness of domestic indigenous cosmetics sure to compare the need is growing. Korean Identity applying herbal cosmetics package design strategies of famous foreign brands and domestic indigenous herbal cosmetics brand competitiveness through differentiated brand core components of the package design to unique, competitive and design aspects of the traditional form of courage Another motif pottery be expressed in the form of a third, but appeared to be intact pottery forms that need to be applied, the texture of the material, ie material of porcelain ceramic, cloth, bamboo Hanbok barrel as there is a need, design, color of the product concept and the unique color of the Color Language, able to recognize the Korean image, the need to express that showed Ritualistic culture of Korea across the Korean design elements of form, color, texture, etc. In other words, excavated by combining research about how Korean herbal cosmetics design representation.

      • KCI등재후보

        중.노년 여성의 생활방식에 따른 한방 화장품 구매행동과 태도

        황완균,이영애 한국피부과학연구원 2010 대한피부미용학회지 Vol.8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purchasing behaviour and attitudes toward oriental cosmetics according to middle, elderly women's lifestyle. Self-administered questionnaires were distributed to 330 women aged 30-70. SPSS was used for data analysis. The results were as follows:1. Factors of lifestyle were service oriented, environmental consciousness, family centered, individuality consciousness, healthy life, information search. Women were clustered into information group, individual group, environmental group, service group, healthy group. 2. Most women had a bit of knowledge and experienced oriental cosmetics. Over 21% of women had intention to use oriental cosmetics. 3. Knowledge and experiences of oriental cosmetics were the most effective factors on the use intention of oriental cosmetics. 본 연구는 중.노년 여성의 한방 화장품 사용 및 구매 실태를 알아보고, 이들의 생활 방식에 따른 한방 화장품 사용 및 태도를 분석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 결과는 화장품 산업에서 중.노년 여성이 타깃인 제품 개발 및 서비스 전략 수립에 도움이 될 것으로 생각된다. 연구 조사는 2009년 10월 2째주부터 4째주 사이에 실시하였으며 연구대상자는 서울, 경기지역에 거주하는 30세~70세의 중.노년 여성 330명이었다. 본 연구에 사용된 질문지는 중.노년 여성의 생활방식, 화장품 구매행동, 한방 화장품 태도, 인구통계적 변인을 측정하는 문항과 한방 화장품 구매 행동 및 태도로 구성되어 있는데, 생활방식에 관한 문항은 선행연구들을 참고로 30문항으로 구성했으며 5점 Likert형으로 측정했다. 한방 화장품 구매행동 및 태도는 선행 연구들을 참고로 구성했으며, 단순선택형이었다. 설문조사 자료를 SPSS PC를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 결과를 기초로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을 수 있었다. 한방 화장품 사용의도는 사용경험이나 구매 경험에 따라 높아질 수 있으므로 사용 경험과 구매 경험을 사용의도로 유도할 수 있는 견본 마케팅 또는 체험 마케팅 전략을 구사할 필요성이 부각되었다. 특히 현재 사용하고 있는 화장품을 다른 제품으로 전환하는 과정에는 피부 자극을 일으킬지도 모른다는 위험 요인이 내재되어 있으므로 한방 화장품 견본을 사용해 본 후 안심하고 한방 화장품으로 전환 할 수 있는 계기와 동기를 부여하는 것이 중요하다. 그러므로 한방 화장품업체에서는 적극적으로 중.노년 여성층을 공략하여 시장 점유율을 높여 가야 할 것이다.

      • KCI등재후보

        여성 연령에 따른 한방화장품 사용실태와 구매 행동에 관한 연구

        서인숙,김애경,박영은 한국피부과학연구원 2009 대한피부미용학회지 Vol.7 No.4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provide information on the herb cosmetics with purchasers, to contribute toward counterplans on a diversity of consumers' demand in the cosmetic industry and development and to offer the preliminary data that helps build the marketing strategy. the general traits of the age group, the understanding and the purchasing behavior of the herb cosmetics, the customer satisfaction, improvements and problems are examined in this study. the conclusion of the study shows that the older, the more they use herbs cosmetics and they are intended to buy it constantly. The more The Expected Effect and the benefit of the herb cosmetis are increased, the more ages are increased. the satisfaction of cosmetics is the highest in a 40 ages' basket. the merit of the cosmetics is the confidence of the herb cosmetics' ingredient in 20-30 age basket and the cosmetics' fitness for skin in 40 ages' basket and over 50 ages' basket. the demerit of the cosmetics is the price of the herb cosmetics which is expensive, so the price optimization is required as the improvement the overall age groups. while the 20 ages' basket said that the item must be diversified and the color and the fragrance are must be improved, the 30 and 40 ages group said that the quality of the herb cosmetics must be made elegant. 본 연구는 연령에 따른 한방화장품의 사용실태와 구매행동을 분석하여 연령별로 소비자들에게 한방화장품에 대한 정보와 지식을 제공하고 다양한 소비자 욕구변화에 대한 화장품 업계의 적절한 대응과 발전에 기여하며, 마케팅 전략에 도움을 주는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연령별로 일반적 특성과 한방화장품의 인식과 구매행동, 만족도, 개선점과 문제점을 알아본다. 본 연구 결론으로는 한방화장품을 사용해본 경험은 연령이 높을수록 한방화장품을 사용해 본 경험이 많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지속적으로 구매할 의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방화장품의 기대효과나 효능으로는 연령이 높을 수록 효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방화장품의 만족도는 연령별로 40대가 가장 만족하는 것으로 알 수 있다. 장점은 20대와 30대는 ‘한방원료성분에 대한 신뢰감이 높다’, 40대와 50대이상은 ‘한국인의 피부에 잘 맞다’로 나타났고, 단점으로는 전체적으로 ‘가격이 비싸다’로 나타났다. 개선점은 전체적으로는 ‘가격적정화’로 나타났으나 20대의 경우 ‘품목의 다양화’와 ‘색과 향’이 높게 나타났으며, 30대와 40대의 경우 ‘품질의 고급화’가 높게 나타나 연령에 따른 차이가 나타났다.

      • KCI등재후보

        발효 화장품의 인식 및 한방 화장품과의 만족도 비교 연구

        이미선,리순화 한국피부과학연구원 2010 대한피부미용학회지 Vol.8 No.3

        본 연구는 발효 화장품에 대한 인식과 개선점을 알아보고, 한방 화장품과의 만족도를 비교함으로써 발효 화장품의 현시점을 알아보고자 서울, 경기도에 거주하는 발효 화장품 사용자 134명과 한방 화장품 사용자 107명, 총 241명을 대상으로 설문을 진행하였다. 발효 화장품의 재사용 구입 의사에 관하여 발효 화장품 사용자 90% 이상이 재 구매 하겠다고 응답했고, 한방 화장품 사용자 역시 50% 이상이 발효화장품 구매 의사를 나타냈으며 인식조사 결과에서 발효 화장품 사용자 31%와 한방 화장품 사용자 30%는 발효 화장품을 인공 화학성분이 들어가지 않은 화장품으로 인식하고 있었다. 화장품 사용자 만족도 비교 결과에서는 발효 화장품 사용자 41%가 에센스 제품에 가장 만족하였고, 한방 화장품 사용자는 36%가 영양크림에 가장 만족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발효 화장품의 개선점을 조사한 결과 발효, 한방 화장품 사용자 모두 브랜드력 강화와 가격의 저렴화를 높게 응답하였다. 연구 결과, 발효 화장품이 화장품 시장에 자리매김할 경쟁력을 가지고 있다고 판단되며, 중년층 이상의 고객을 확보하는 프로그램이 개설되어야 하며, 발효 화장품을 개발 시 크림류 제품의 만족도를 높이는데 중점을 두어야 한다고 사료된다. As 3 out of the 5 most healthy foods in the world have turned out to be fermented food, people from all around the world are taking note of fermentation. Even in the cosmetics industry, fermented cosmetics have been more and more increasingly introduced, creating a market emphasizing the positive image that the healthy fermented substances are environment-friendly and that it also aids skin health. The subject of research was set as 134 fermented cosmetics users, 107 'Korean Medicine Herb' cosmetics users, a total of 241 individuals who live in Seoul and Gyeonggi-do. The research method was through surveys. The research results are the following. The research results on the perception of fermented cosmetics shown that both users of fermented and 'Korean Medicine Herb' cosmetics knew fermented cosmetics as cosmetics that doesn't use artificial chemical substances. The source of information about fermented cosmetics was salesmen for both users of fermented and 'Korean Medicine Herb' cosmetics. The results of the satisfaction level comparison has shown that users of fermented cosmetics were satisfied the most with essence products while the users of 'Korean Medicine Herb' cosmetics were satisfied most with skin food(nourishing cream) products. In the product quality comparison research, users who have responded that they couldn't really see the difference between fermented and Korean Medicine Herb cosmetics have taken up the largest proportion. Also, it has shown that there were many cases, domestically, where users of general cosmetics switched to fermented cosmetics. Some criteria for improvement were, enhancing brand quality and lowering prices for both types of cosmetics. Survey asking whether if the customers will continue using the product showed 90% positive for fermented cosmetics and 50% for 'Korean Medicine Herb' cosmetics. These research results tell us that fermented cosmetics have sufficient competitiveness to position itself in the cosmetics market. It is hoped that the brand's position will be strengthened soon and that this research can be used as basic information for the expansion and promotion of fermented cosmetics market.

      • 한ㆍ중 여성소비자의 한국 한방화장품 재구매의도

        선유평,이승신 건국대학교 경제경영연구소 2015 商經硏究 Vol.40 No.2

        최근 웰빙과 자연주의가 점차 확산되면서 천연약재와 한방원료를 주원료로 함유하고 있는 한방화장품을 선택하는 여성 소비자들이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또한 중국에서도 한류 열풍으로 인해 한국 화장품에 대한 선호가 높아지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를 통해 한ㆍ중 여성소비자들의 한국 한방화장품에 대한 재구매의도를 비교하여 파악하였다. 또한 재구매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들을 검증함으로써 한국 한방화장품의 인식 제고 및 소비 활성화, 그리고 마케팅 전략 수립에 시사점을 제공하고자 한다. 주요 결과 및 제언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한ㆍ중 여성소비자의 구매동기 차이에서는 한국보다 중국여성소비자는 ‘유행ㆍ타인지향’ 에 대한 구매동기가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한국보다 중국소비자가 ‘피부유지ㆍ탐미추구’, ‘유희적 추구’, ‘경제성’에 대한 구매동기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각국 소비자들의 한방화장품 구매동기를 고려할 필요가 있으며, 특히 중국소비자들의 구매동기에 기초하여 이를 재구매하기 위해 중국진출기업에서는 적극적인 노력이 요구된다. 둘째, 한ㆍ중 여성소비자의 ‘한방화장품의 안전성’에 대한 신뢰수준 차이에서 한국보다 중국여성소비자가 신뢰정도가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상대적으로 신뢰수준이 낮은 한국여성소비자를 대상으로 한방화장품은 국내산 한방한약성분을 이용해서 생산한 것으로 안전성, 효능이 높음을 잘 홍보해야 할 것이다. 본 연구는 소비자측면에는 한ㆍ중 여성소비자가 한국 한방화장품의 만족도가 낮은 요인에 대한 제고를 통해 만족도를 높일 수 있도록 한다. 또한 기업측면에는 한국 한방화장품에 대한 한ㆍ중 여성소비자의 만족도가 낮은 부분을 개선 및 향상을 위한 마케팅 전략의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 KCI등재

        국내 화장품 패키지에 나타난 문화 정체성에 관한 연구

        김세이(Se Yi Kim),황성준(Sung Jun Hwang) 한국디자인문화학회 2014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Vol.20 No.4

        기술의 차이가 줄어들고 기능, 디자인, 색채, 브랜드이미지 등 소비자의 제품 선택의 기준이 다양해지면서 각 기업에서는 제품의 차별화를 위해 소비자의 감성을 자극시키는 아트 마케팅이 경쟁우위를 점하는 중요한 전략이 되고 있다. 현재 많은 나라들이 고유문화를 내세운 상품을 개발하고 있으며, 우리나라도 문화상품 개발에 관심도가 높아지면서 많은 기관에서 문화 이미지를 활용한 디자인 개발을 꾸준하게 진행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전통적 문화자본의 가치를 재조명하고 디자인에 활용할 수 있는 방향을 모색함으로써, 향후 문화 정체성(Identity)에 기반을 둔 브랜드 차별화방안을 제시하는데 연구의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본 논문에서는 기존 한방화장품의 장점을 부각하고 전통문화 융합을 위한 연관성을 찾는데 주력하였다. 연구의 주된 범위는 현재 유통 중인 한방 화장품중 아트 마케팅을 도입한 콜라보레이션 패키지 제품이며, 연구 방법은 시중에 유통되고 있는 콜라보레이션 제품의 이미지와 시장 동향을 진단, 특징을 문화정체성 관점에서 분석함으로써 향후 발전 가능성을 연구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콜라보레이션 제품과 한방 화장품에 관한 논문, 도서, 출판물 등 문헌조사를 기초로 하였다. 본 연구의 내용과 결과로서 정체성을 대변할 수 있는 문화 자본의 가치를 이해하고, 기존 한방 화장품의 새로운 가치 창출을 위한 개선 방향과 대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한방 화장품이 문화 정체성을 활용해 브랜드 가치를 상승시키기 위해서는 문화상품 관련한 종합적인 데이터베이스 구축과 문화자산을 지속적으로 개발, 현대 디자인과 접목하여 상품의 부가가치를 높일 필요가 있다. 또한 지역 문화와의 융합을 통해 브랜드의 제품군 확장, ‘희소성’의 가치를 높이고 경쟁브랜드와 차별화된 지속적인 스토리텔링의 개발이 필요하다. 한국의 얼이 담긴 고유의 전통과 현대의 미를 함축한 디자인이 한방 브랜드의 새로운 가치를 창출할 수 있을 것이다. As the technic difference is reduced, and consumer preferences over product selection has widen through design, colour, and brand image, an individual companies are focusing their strategy that would stimulate the emotions of the consumers through art marketing. Currently, many countries are developing a unique cultural products, and as our country began to gain interest in the development of cultural products, it show signs of steady progression from many organisations using cultural imag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esent the next level on the cultural identity on methods of brand differentiation by seeking the direction of the value of the traditional cultural capital and refocusing on utilizing the design. This study highlights the advantages of Korean herbal medicine cosmetics and to find the associations for traditional cultural fusion. The study focuses on the Korean herbal medicine cosmetics products that currently distributed through the collaboration of art marketing on the packages, researching its product’s image and market trend, and analysing its detail in cultural identity’s perspective to identity any potential improvements. For this reason, literature research such as thesis, book, publications was based on collaboration products and Korean herbal medicine cosmetics. This investigation will suggest ways to improve and create new values to an existing Korean herbal medicine cosmetics by understanding the value of cultural capital that can represent the identity. To increase the brand value of Korean herbal medicine cosmetics through cultural identity, it is important to build a comprehensive database regarding cultural products and continue to develop cultural assets, and to combine with modern design to increase the value of the goods. Furthermore, it needs to expand the brand’s product family through the convergence of local culture, increase the value of ‘uniqueness’, and develop sustainable storytelling to differentiate from its competitors. A tradition that contains its Korea’s spirit and design that holds its unique modern beauty will create a new value to Korean herbal medicine cosmetic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