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한국 문화 콘텐츠 개발의 필요성과 방향

        서은숙(Eun-Sook Seo) 한국콘텐츠학회 2009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9 No.1

        본 연구에서는 현대 한국의 다문화, 다가치 사회로의 변화에 대처하고, 최근에 제기된 인문학 위기와 관련하여 이들에 대한 해결책을 마련한다는 의미에서, 한국 문화의 정체성 확립과 그 발전 방향을 모색하며, 이를 바탕으로 한국 문화콘텐츠 개발의 필요성과 방향을 논의한다. 본 연구는 두 가지 방향에서 문제의식을 갖고 연구된다. 그 하나는 오늘날과 같은 다문화, 다가치 사회에서 한국 문화의 정체성과 그 발전 방향을 모색한다는 점이고 다른 하나는 최근 제기되고 있는 인문학의 위기에 대한 논의와 더불어 문화의 기저에 있는 인문학적 지식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한국 전통 사상을 재정립하고 그것을 문화콘텐츠와 연계하여, 문화보편성으로서의 한국 문화의 정체성을 확립함과 동시에 그것의 발전 방향을 모색함이다. 본 연구에서는 한국 문화의 핵심 내용을 한국 전통 사상으로 부터 대략, 仁(사랑), 和(萬物一體), 풍류정신으로 보았다. 또한 이러한 한국 문화의 핵심 개념을 문화콘텐츠와 연계하여 영화, 음악, 만화, 에니메이션, 게임, 케릭터 개발, 한국 문화재의 디지털 복원 그리고 한국 문화 체험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기획 등의 방향을 제시한다. This article studies on the identity of Korean Culture and the direction of Korean culture contents. Our Korean society goes on to value-pluralism and cultural diversity. In this point, we need to confirm the identity of our Korean culture. And we meet with the crisis of Humanities. Humanities is the core of our culture. It is the key point to make identity of our Korean culture as cultural universality and to apply it to develop Korean culture contents for the revival of Humanities. The core contents of Korean culture lies in the ancient myth, the thought of Hwarang, Confucianism, Neo-Confucianism, Buddhism, Taoism, the practical thought, thought of Yangmyeong study and the thought of East study and so on. On the basis of these thoughts, the core of Korean culture are humanity, harmony, the spirit of Punglyu, thought of life- esteem, ethics of environment etc. I suggest that we can apply our cultural core ideas those I analyzed above to develop Korean culture contents in the fields of cinema, music, cartoon, animation, game, character, digitalization, cultivation of experience programs of Korean culture etc. In addition, I suggest their commercial application like e-learning and culture contents education.

      • KCI등재

        한국 문화를 경험한 우즈베크인의 상호문화성에 관한 연구

        박부숙 인문사회 21 2022 인문사회 21 Vol.13 No.4

        A Study on the Interculturality of UzbekistanisWho Have Experienced Korean CultureBoosook Park Abstract: This study aims to promote intercultural communication by examining the intercultural experiences between Uzbeks and Korean professors. A qualitative study was conducted on the data collected by requesting the most memorable episodes from Uzbeks who spent two years with Korean professors at a Korean university. Korea and Uzbekistan differ only in their environment and places, but their lives are not different. The Local Uzbekistanis are favorable to Koreans wherever they go. Despite different cultures, they respect each other’s culture, created another new culture and had genuine intercultural communication. Just as Koreans are treated with respect in Uzbekistan, Korean society should understand and respect their culture. Understanding of Uzbekistan culture can contribute to extensive cooperation through favorable bilateral relations. Since the study was conducted on 76 Uzbeks, it is difficult to generalize the contents of the study. So, I hope that cross-cultural communication will take place through the discovery of more cases in the future. Key Words: Uzbekistan, Korean University, Uzbekistanis, Interculturality, Qualitative Research 한국 문화를 경험한 우즈베크인의 상호문화성에 관한 연구박 부 숙* 연구 목적: 본 연구는 우즈베크인과 한국 교수 간 상호문화적 경험을 살펴봄으로써 양국 간 상호문화소통을 하는 데 목적이 있다. 연구 방법: 한국대학에서 한국인 교수들과 2년 동안 함께 지낸 우즈베크인들에게 가장 기억에 남는 에피소드를 요청하여 수집한 자료를 질적연구 하였다. 연구 내용: 양국은 환경과 장소만 다를 뿐 사람 사는 것은 다르지 않다. 현지인들은 가는 곳마다 한국인들에게 우호적이다. 서로 다른 문화지만 존중하며 또 다른 새로운 문화를 만들어 가며 진정한 상호문화적 소통을 하였다. 결론 및 제언: 우즈베키스탄 내에서 한국인이 예우받는 것과 같이 한국 사회에서도 그들의 문화를 이해하고 존중해야 할 것이다. 또한 우즈베크인들의 문화를 이해함으로써 우호적인 양국 관계로 폭넓은 협력을 하는 데 도움이 될 것이다. 76명의 우즈베크인을 대상으로 연구하였기에 연구 내용을 일반화하기에 무리가 있으므로 앞으로 더 많은 사례 발굴로 상호문화소통이 활발하게 이루어지기를 바란다. 핵심어: 우즈베키스탄, 한국대학교, 우즈베크인, 상호문화성, 질적연구 □ 접수일: 2022년 7월 28일, 수정일: 2022년 8월 10일, 게재확정일: 2022년 8월 20일* 송원대학교 유아교육과 조교수(Professor, Songwon Univ., Email: tree7462@hanmail.net)

      • KCI등재

        아랍에미리트 파견 한국인 간호사의 초기 문화적응을 위한문화감지도구 개발

        이규림 인문사회 21 2022 인문사회 21 Vol.13 No.5

        The Development of Intercultural Sensitizer forthe Initial Acculturation of Korean NursesDispatched to the United Arab EmiratesGyureem Lee Abstract: Study objectives include developing intercultural sensitizer model for Korean nurses dispatched to the UAE, recognizing the importance of intercultural sensitizer for early adaptation. Accordingly, this study selected the content elements of intercultural sensitizer based on several literature reviews on the cultural education field of the international standard Korean language curriculum, which can be used as a model for overcoming language and cultural barriers in cross-cultural contact, as well as cultural differences between Korea and the UAE. There are five elements in the content element, including traditional clothing, Ramadan fasting culture, characteristics of residential spaces, greetings, and body language. To achieve this goal, this study developed intercultural sensitizer model by writing critical incidents, attributions, feedback and explanations. With individual will and an effective learning process, cross-cultural barriers can be quickly overcome. In this study, a intercultural sensitizer model is presented as an educational tool for overcoming these cultural barriers. In addition, it is anticipated that this study will assist in developing a model that will provide cultural sensitization to those who interact with Korean-UAE cultures and Korean-Arab cultures, where cultural differences exist. Key Words: Intercultural Sensitizer, Korean-UAE Cultural Contact, Culture Shock, Acculturation, Cross-cultural Training 아랍에미리트 파견 한국인 간호사의 초기 문화적응을 위한문화감지도구 개발이 규 림* 연구 목적: 본 연구는 이문화 사회에의 초기 적응 훈련에서 문화감지도구의 활용이 중요함을 인식하고 하나의 사례로서 아랍에미리트에 파견되는 한국인 간호사를 위한 문화감지도구 모형을 개발함을 목적으로 한다. 연구 방법: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이문화 사회 접촉에서 언어와 문화 장벽을 극복하기 위한 교육과정 사례인 국제 통용 한국어 표준교육과정의 문화교육 영역과 한국-아랍에미리트 문화 차이를 논한 여러 문헌을 바탕으로 하여 문화감지도구의 내용 요소를 선정하였다. 연구 내용: 내용 요소는 전통의상 착용, 라마단 금식 문화, 주거공간의 특징, 인사법, 몸짓언어 등 다섯 가지로 이를 대상으로 중요사건, 귀인, 피드백과 설명을 작성함으로써 문화감지도구 모형을 개발하였다. 결론 및 제언: 문화 간 접촉에서 겪게 되는 문화 장벽은 개인의 의지와 함께 효율적인 학습 과정을 거칠 때 빠르게 극복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 제시하는 문화감지도구 모형은 이러한 문화 장벽을 극복할 수 있는 교육 자료로서, 문화 간 차별성이 크게 존재하는 한국-아랍에미리트, 더 나아가 한국-아랍 문화 간 접촉을 경험하는 이들을 대상으로 하는 문화감지도구의 개발에 활용할 수 있으리라고 기대한다. 핵심어: 문화감지도구, 한국-아랍에미리트 문화 접촉, 문화충격, 문화적응, 이문화 훈련 □ 접수일: 2022년 9월 25일, 수정일: 2022년 10월 7일, 게재확정일: 2022년 10월 20일* 상명대학교 한국학과 박사과정 수료(Completion of Doctoral Course, Sangmyung Univ., Email: gyureem.lee@gmail.com)

      • KCI등재

        한·중 문화 충돌과 문화산업 경쟁 - 중국학계의 한국드라마 담론을 중심으로 -

        이루다 ( Lee Ruda ) 성균관대학교 인문학연구원(성균관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18 人文科學 Vol.0 No.69

        2000년 초부터 중국에서 한국드라마가 유행하기 시작했다. 이 시기는 중국공산당과 정부가 문화발전 전략을 추진한 기간이기도 하다. 이 글은 이러한 시대 특징에 주목해서 중국학계가 생성하는 한국드라마 담론을 통해 한·중 문화 충돌과 문화산업 경쟁의 가능성을 분석했다. 구체적으로 중문핵심학술지를 담론분석 원본으로 다음 세 가지 문제를 분석했다. 첫째, 중국학계의 한국드라마 연구경향은 무엇인가. 둘째, 중국학계의 한국드라마 연구주제 중 문화산업 전략·정책과 유교문화에서 드러나는 중국의 문화발전 전략은 무엇인가. 셋째, 앞서 두 문제를 기초로 한·중 문화 충돌과 문화산업에서 경쟁의 가능성이 있는가. 2001년부터 2012년까지 중문핵심학술지에 120편의 한국드라마 추가 논문이 발표됐다. 연구주제를 보면, 한국드라마의 ‘인기원인’을 분석하는 연구(19.2%)가 가장 많았고, ‘문화산업 전략·정책’과 ‘유교문화’는 자국의 관점에서 중국문화산업 발전과 중화문화의 부활·계승 등의 필요성을 강조했다. 이것은 21세기 들어서 중국이 소프트파워 측면에서 문화산업 발전과 중화문화 부활 등을 추진한 것과 관계가 있다. 후진타오부터 현재 시진핑까지 ‘문화강국’을 적극적으로 추진하고 있다. 개인 측면에서 중국수용자는 문화근접성에서 유교문화를 재현하는 한국드라마를 쉽게 수용했다. 그러나 국가 측면은 다르다. 양국은 유교문화를 중심으로 여러 전통문화를 공유하기 때문에 자문화 중심으로 문화충돌이 일어날 수 있다. 또한 문화를 원형으로 하는 문화산업 경쟁도 치열해질 가능성이 높다. In the 2000s, the popularity of South Korean TV dramas in China had been maintained in line with the Chinese Communist Party (CCP) government’s cultural development strategy. With this background, this study analyzed how the Chinese academic world researched South Korean TV dramas for promoting the domestic cultural development, and intended to identify not only how fierce the competition in the cultural industry between Korea and China would become but also whether there is a high possibility that cultural clash would happen between the two nations. For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this study analyzed the three items like the followings. First, this study analyzed the trend of research by the major Chinese journals on South Korean TV dramas. Secondly, the studies on South Korean TV dramas were made under the context of the cultural development strategy pushed for by the Chinese Community Party during the period of President Hu Jintao. Thirdly, this study examined the competition in the cultural industry and the possibility of cultural clash between Korea and China. From 2001 to 2012, a total of 120 thesis on South Korean TV dramas were published in the major journals of China and research on analyzing the reason for the popularity of South Korean TV dramas accounted for the highest percentage (19.2%). Besides, theses that examined South Korean TV dramas from the perspective of the cultural industry and traditional culture emphasized the necessity and importance of the cultural industry development and the revival and succession of the traditional culture. This had some connections with emphasis on the soft power while the CCP pushed for the development of the cultural industry and revival of Chinese culture from 2000. As a result, the possibility of cultural clash is getting higher because of the competition of the cultural industry with South Korea as well as how both countries are sharing the culture because the CCP is promoting the cultural power of the nation.

      • KCI등재

        한국어 예비 교사의 상호문화성과 핵심 역량 인식 간의 상관성 연구

        김태라,정해권 한국국어교육학회 2021 새국어교육 Vol.- No.127

        목적 : 한국어 예비 교사들의 상호문화성과 교사의 핵심 역량에 대한 인식 간의 상관성을 분석하고, 현행 교육과정에 대한 만족도를 확인함으로써 상호문화 교육 실천에 필요한 예비 교사의 교육 방향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방법 : 한국어 교육의 예비 교사를 대상으로 상호문화성과 핵심 역량 중요도를 측정하고 기술통계 분석, 신뢰도 검증, 요인분석, 독립표본 t 검증, 상관 분석을 실시하였다. 결과: 상호문화성이 높을수록 교수학 지식, 문화 지식, 교육 공동체 참여, 교사 정체성, 문제 해결, 친화적 수업 관리, 활용 기술, 자기 관리 등의 역량에 대해 중요하게 인식하였다. 또한 상호문화 교육 관련 현재의 교육과정에 대한 예비 교사들의 만족도가 낮았다. 결론 : 상호문화성이 낮을수록 언어 지식과 언어 수행 역량에 주목하고 다른 역량의 중요성을 간과하는 양상이 나타나므로 예비 교사들의 상호문화성을 높이면서 상호문화 교육 개념과 목표에 대한 이해를 돕는 상호문화 교육의 실천이 요구된다. Purpose :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was to find out the correlation between the interculturality of pre-service Korean teachers and their attitude toward Korean teachers' key competencies and estimate how much they are satisfied with the present teacher training course related to intercultural education. Methods : For this research purpose, the questionnaires were constructed based on previous researches, and the surveys were conducted by the students in Korean language teacher training courses. The SPSS statistics were used for data analysis. Results : The findings of this research showed that 1) the differences between the group with high interculturality and the group with low interculturality were significantly explicit. 2) As the individuals' interculturality was getting higher, the importance of the instructional competency, cultural competency, communitive involvement competency, problem-solving competency, intimate teaching competency, various media competency, and self­reflection competency increased positively. 3) The satisfactions with the present cultural education courses from the respondents were mostly low. Conclusion : The implications for this study are that the lower teachers' interculturality is, the more unimportantly they considered some key competencies, therefore, improved intercultural education should be required.

      • KCI등재

        한국 영화에 표출된 문화적 정체성과 영상 번역-아버지 표상을 중심으로-

        이주은 인문사회 21 2022 인문사회 21 Vol.13 No.3

        Cultural Identity of the Father Figurein Korean Films and AVTJune Lee Abstract: The cultural identity of Korean films distributed in the global market is communicated through audiovisual translation (AVT). As such, research on AVT has been conducted in fields such as Korean movies, dramas, historical dramas, and YouTube videos. This paper explores cultural identity focusing on the representation of fathers in Korean films. Based on the IMF incident, which brought major change to the Korean fatherhood, the father images are investigated according to the change of time, in relevance to the patriarchal ideology. A total of 25 films were classified into five categories for analysis: reinforcement, crisis, dissolution, nostalgia, and alternative. Unique fatherhood features, keywords, discourse style, and dialogue samples are presented based on discourse analysis. Considering the globalization of Korean films, it is timely to investigate the role and methods of AVT in relation to the reproduction of cultural identity. Key Words: Father, Figure, Cultural Identity, Korean Films, Audiovisual Translation 한국 영화에 표출된 문화적 정체성과 영상 번역-아버지 표상을 중심으로-이 주 은** 요약: 세계 영상시장에서 유통되는 한국 영화의 문화적 정체성은 영상번역을 통해 소통된다. 이에 대한 중요성을 반영하듯 그동안 한국 영화, 드라마, 사극, 유투브 영상물 등 다방면에서 번역 관련 연구가 이루어져 왔다. 본고에서는 한국 영화에 등장하는 아버지 표상을 중심으로 문화적 정체성을 탐구했으며, 이에 대한 번역을 논하기 위해 한국 아버지상이 변화한 계기가 된 IMF를 기준으로, 그 이전, 당시, 이후의 아버지 표상을 가부장적 이데올로기와 관련지어 고찰했다. 분석대상 영화는 총 25편으로, 가부장적 이데올로기의 강화, 위기, 해체, 향수, 대안의 다섯 항목으로 분류하여 분석했으며, 각 항목별로 특징적인 아버지상, 아버지 표상 관련어, 담화특징을 정리하였다. 또한 주요 대사의 담화분석을 통해 시기별로 아버지 표상의 특징을 구체적인 예시와 함께 제시했다. 한국 영화의 세계화를 감안할 때, 문화적 정체성의 재현을 위한 영상번역의 역할과 구체적인 방법을 탐구하는 것이 필요한 시점이다. 핵심어: 아버지, 표상, 문화적 정체성, 한국 영화, 영상 번역 □ 접수일: 2022년 5월 19일, 수정일: 2022년 6월 13일, 게재확정일: 2022년 6월 20일* 이 논문은 2020년 한국연구재단의 지원을 받아 수행된 연구임(NRF-2020087456). ** 한국해양대학교 교양교육원 강사(Lecturer, Korea Maritime & Ocean Univ., Email: juneleetrans@gmail.com)

      • KCI등재

        태권도가 한국문화상징이 된 배경과 근거 연구

        신유리 인문사회 21 2022 인문사회 21 Vol.13 No.5

        A Study on the Background and Elements of Taekwondoas a Korean Cultural SymbolYuri Shin Abstract: This study finds the background and elements of Taekwondo being recognized as a Korean cultural symbol in Korea and the world. To this end, I analyzed the articles and examined the trend of change in recognizing Taekwondo as a native culture. And I researched Taekwondo’s ‘Cultural Identity’-which I conceive as made up of ‘Cultural Particularity’ (which itself is comprised of ‘Popularity’, ‘Subjectivity’ and ‘Presentness’) and ‘Cultural Universality’. Taekwondo is the most popular martial art and has been distributed to the military, schools, and institutes today. In addition, Koreans have steadily grown their perception that Taekwondo is their own martial art and national art. This aspect has been expanded since the mid-20th century and continues to this day. Therefore, Taekwondo has all the attributes of cultural identity which contain popularity, subjectivity, and presentness. Moreover, it is widely popular around the world with its cultural universality as a bare-handed martial art and a standardized official sport. Taekwondo has popularity, subjectivity, and presentness, which are attributes of the identity of a culture, and at the same time, it has universal elements that can be recognized beyond a specific area. Key Words: Taekwondo, Korean Cultural Symbol, Cultural Identity, Cultural Particularity, Cultural Universality 태권도가 한국문화상징이 된 배경과 근거 연구신 유 리** 연구 목적: 이 연구는 태권도가 한국문화상징으로 인정받는 배경과 근거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연구 방법: 기사 분석을 통해 태권도를 고유문화로 인식하는 변화 추이를 살펴보았다. 또 태권도에 드러난 ‘문화정체성’의 요소를 확인하고 그 특성을 분석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문화정체성을 ‘대중성’, ‘주체성’, ‘현재성’ 등의 요소로 구성된 ‘문화특수성’과 ‘문화보편성’으로 규정하였다. 연구 내용: 태권도는 오늘날 대중적으로 가장 친근하게 접할 수 있는 무술로 군대, 학교, 학원에 일상적으로 보급되었다. 또 한국인 스스로 태권도가 고유 무술, 국기(國伎)라 여기는 인식이 커져 왔다. 이는 20세기 중반 이후 계속 확장되어 현재까지 이어져 왔다. 그러므로 태권도에는 정체성의 속성인 대중성, 주체성, 현재성이 모두 포함되었다 할 수 있다. 더불어 맨손무예이자 공인 스포츠로서 세계인이 함께 즐길 만한 요소들을 갖춰 세계적으로 인정받게 되었다. 결론 및 제언: 태권도는 문화특수성의 요소인 대중성, 주체성, 현재성을 갖추었으며, 특정영역을 넘어 인정받을 수 있는 문화보편성도 동시에 갖추었다고 할 수 있다. 핵심어: 태권도, 한국문화상징, 문화정체성, 문화특수성, 문화보편성 □ 접수일: 2022년 9월 13일, 수정일: 2022년 9월 26일, 게재확정일: 2022년 10월 20일* 이 논문은 저자의 이화여자대학교 박사학위논문 세부 주제의 후속 확장연구임. ** 이화여자대학교 국제대학원 한국학 박사(PhD, Ewha Womans Univ., Email: yurishin@ewhain.net)

      • KCI등재

        한국 다문화 가족을 위한 한국어 교육에 관한 연구

        서월아 인문사회 21 2022 인문사회 21 Vol.13 No.5

        Korean Language Education for theMulticultural Families in KoreaWola Seo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ways to learn Korean, culture, and norms so that multicultural families residing in Korea can fully assimilate into Korean language and culture. Data from the Immigration and Foreign Policy Headquarters, the multicultural family Support Center, and the National Statistical Office were analyzed to review the problems and solutions of multicultural families. Alternatives were prepared to alleviate the prejudice and stereotypes of the local community for life satisfaction and assimilation of multicultural families. It is important to improve the language skills of multicultural families, understand Korean culture, and ease prejudice and stereotypes about foreigners. Key Words: Multicultural Families, Language Barrier, Education System, Korean Society, Assimilation 한국 다문화 가족을 위한 한국어 교육에 관한 연구서 월 아** 연구 목적: 이 연구는 국내 거주하는 다문화 가족이 한국어와 문화에 완전히 동화할 수 있도록 한국어, 문화 및 규범을 체득하는 방안을 모색하는 데 목적을 두었다. 연구 방법: 출입국외국인정책본부와 다문화가족지원센터, 통계청 등의 자료를 분석하여 다문화 가족의 문제점 및 해소방안을 검토하였다. 연구 내용: 다문화 가족의 생활 만족도 및 동화를 위한 지역공동체의 편견과 고정관념을 완화하기 위한 대안을 마련하였다. 결론 및 제언: 다문화 가족의 언어능력 향상과 한국 문화에 대한 이해 및 외국인에 대한 편견과 고정관념을 완화하는 것이 중요하다. 핵심어: 다문화 가정, 언어장벽, 교육제도, 한국사회, 동화 □ Received: Sept. 30, 2022, Revised: Oct. 18, 2022, Accepted: Oct. 20, 2022* This study was supported by research fund from Songwon University, 2022. ** Professor, Songwon Univ. (송원대학교 교수, Email: xye313@songwon.ac.kr.com)

      • KCI등재

        재한 유학생을 위한 제2외국어로서의 한국어 읽기 교육에 관한 연구

        서월아 인문사회 21 2022 인문사회 21 Vol.13 No.6

        Korean as a Second Language Reading Educationfor Foreign Students in KoreaWola Seo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provide a effective method by the criterion that we suggested in order to develop the reading abilities of Korean as a second language. We tried to mix the top-down and bottom-up reading methods with the pre-reading, main text reading, and post-reading process crosswise. We let the students find the difference of Korean and their mother’s culture, develop the communicative abilities through the understanding of different cultures. What is more important is that the teacher should give the students some stimulus to get interest in Korean language and culture. The author tries to offer specific solutions to promoting students’ studying interest and suggest three strategies in improving reading skill. Namely, the reading material selection, the teacher’s teaching design, and the cultural education. Key Words: Korean as Second Language, Bottom-up Reading, Top-down Reading, Understanding Korea Culture, Difference Between Two Cultures 재한 유학생을 위한 제2외국어로서의 한국어 읽기 교육에 관한 연구서 월 아** 연구 목적: 이 연구는 제2외국어로서의 한국어 읽기 능력을 향상하기 위하여 교재 선정 기준 및 교수 방안을 모색하는 데 목적을 두었다. 연구 방법: 학생의 관심과 흥미를 유발하기 위한 읽기와 한국의 문화이해를 통한 학습의 효과를 높이기 위해서는 한국문화와 모국문화의 상이점을 스스로 파악하고 이를 표현할 수 있는 능력을 구현할 수 있는가를 살펴보았다. 연구 내용: 전통적인 교수법을 지양하고 하향식 읽기와 상향식 읽기 교수법을 읽기 3단계(읽기 전 단계, 읽기 단계, 읽기 후 단계)에 교차 활용하는 방안 및 문제점 해소방안을 제시하였다. 결론 및 제언: 제2외국어로서의 한국어 읽기의 성취도는 한국문화의 이해도에 좌우된다는 점에서 유학생에게 한국문화 접촉의 기회를 충분히 제공하고 체득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핵심어: 제2외국어로서의 한국어, 상향식 읽기, 하향식 읽기, 한국문화 이해, 문화의 상이점 □ Received: Nov. 28, 2022, Revised: Nov. 8, 2022, Accepted: Dec. 20, 2022* This study was supported by research fund from Songwon University, 2022. ** Professor, Songwon Univ. (송원대학교 교수, Email: xye313@songwon.ac.kr.com)

      • KCI등재

        기초 한국학 교육을 위한 문화 어휘 정보화 연구

        이수현,이선중 인문사회 21 2022 인문사회 21 Vol.13 No.2

        A Study on the Informatization of Cultural Vocabularyfor Basic Korean Studies EducationSoohyun Lee & Sunjoong Lee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larify the concept and content of “basic Korean studies education”, an education aimed at cultivating international students’ adaptation to Korea and expertise as a Korean scholar. For this purpose, this study analyzed the concept of “basic Korean studies” and studies on the “Korean studies curriculum” to set the direction in which “basic Korean studies education” should move, followed by selecting cultural vocabulary for Korean studies education. In this study, cultural vocabulary was selected as a proper noun, and the criteria for classification of proper nouns were set to select vocabulary, and the results of analysis of the form of Sejong Corpus were used to examine the trends of each category of proper nouns. In addition, this study discussed the value and significance of Korean studies education through examples of cultural vocabulary for each category. Finally, this study specified what is necessary for the development of the ‘Korean Studies Curriculum’ in the future by showing examples of cultural vocabulary informatization that should be done after selecting cultural vocabulary. Key Words: Basic Korean Studies Education, Cultural Vocabulary, Informatization, Corpus, International Student Education 기초 한국학 교육을 위한 문화 어휘 정보화 연구이 수 현**ㆍ이 선 중*** 요약: 본고는 유학생의 한국 적응과 한국 유학파로서의 전문성을 함양시키기 위한 교육인 ‘기초 한국학 교육’의 개념과 내용을 명시화하는 것을 궁극적인 목적으로 삼았다. 이를 위해 ‘기초 한국학’과 ‘한국학 교육과정’에 대한 연구들을 분석하여 ‘기초 한국학 교육’이 나아가야 할 방향에 대해 설정하였으며, 해당 방향성에 입각하여 한국학 교육을 위한 문화 어휘를 선정하였다. 문화 어휘는 고유명사를 예로 하여 선정하였으며, 이를 위해 우선 고유명사 분류 기준을 설정하고 이후에 세종 현대 문어 말뭉치의 형태 분석 결과를 활용하여 빈도를 중심으로 고유명사 분류별 경향성을 살폈다. 분류별 문화 어휘들의 예를 통해 한국학 교육 내용으로서의 가치와 의의에 대해 논하였다. 문화 어휘를 선정한 이후에 이루어져야 할 문화 어휘 정보화를 위해 예시를 보임으로써 앞으로 ‘한국학 교육과정’이 개발되기 위해 무엇이 필요한지 명시화하였다. 핵심어: 기초 한국학 교육, 문화 어휘, 정보화, 말뭉치, 유학생 교육 □ 접수일: 2022년 2월 20일, 수정일: 2022년 3월 18일, 게재확정일: 2022년 4월 20일* 본 논문은 ‘2021년 한글학회 대전지회 봄 정기학술대회(2021.6.5.)’에서 발표한 내용을 수정・보완한 것임. ** 주저자, 연세대학교 대학원 언어정보학협동과정 박사과정(First Author, Doctoral Course, Yonsei Univ., Email: soohyun.lee@yonsei.ac.kr)*** 교신저자, 배재대학교 주시경교양대학 초빙교수 (Corresponding Author, Professor, Paichai Univ., Email: sunjlee@kakao.com)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