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한국과 미국 대학생의 노인에 대한 지식 및 태도 연구

        김욱(Wook Kim) 한국노년학회 2011 한국노년학 Vol.31 No.3

        이 연구는 한국과 미국 대학생의 노인에 대한 지식 및 태도를 측정하고, 관련 변인들이 그 지식 및 태도 수준과 어떠한 관계가 있으며, 양국 간 어떠한 차이가 있는지를 비교하였다. 이를 위하여 한국과 미국의 10개 대학 학생 1129명(한국은 서울, 경기, 충청지역 소재 5개 대학 학생 840명, 미국은 뉴욕지역 소재 5개 대학 학생 289명)으로부터 수집된 설문조사 결과를 SPSS 15.0을 사용해 분석하였다. 조사도구는 노인에 대한 지식을 측정하기 위한 Palmore(1998)의 Fact on Aging Quiz Part 1(FAQ 1), 노인에 대한 태도를 측정하기 위한 Sanders 등(1984)의 의미분별척도(Semantic Differential Scale), 그리고 몇 가지 인구사회적 및 노인관련경험을 측정하기 위한 문항으로 구성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노인에 대한 지식수준을 비교한 결과 25점 만점에 한국대학생은 12.51점, 미국대학생은 11.57점으로 한국대학생의 노인에 대한 지식이 미국대학생에 비해 높게 나타났다. 한국과 미국대학생의 노인에 대한 지식의 문항별 차이를 보면 한국은 9개 문항에서 높은 정답률을 보여 준 반면 미국은 4개 문항에서만 높은 정답률을 보여주어 역시 한국학생의 노인에 대한 지식이 미국 학생에 비해 높음을 뒷받침했다. 둘째, 노인에 대한 태도의 차이를 비교한 결과 20점-140점 구간에서 한국대학생은 77.54점, 미국대학생은 70.07점으로 미국대학생의 노인에 대한 태도점수가 낮아 한국대학생에 비해 더 긍정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과 미국대학생의 노인에 대한 태도의 문항별 차이를 보면 한국대학생은 오직 한 문항에서 미국학생들보다 긍정적으로 답변한 반면 미국대학생은 14문항에서 한국학생들에 비해 긍정적인 태도를 보여 역시 미국학생의 노인에 대한 태도가 한국학생에 비해 긍정적임을 뒷받침했다. 셋째, 한국과 미국 대학생 모두 노인에 대한 지식이 높을수록 노인에 대한 태도가 긍정적으로 나타났고, 특히 양국 학생 간 그 강도에 있어서 다소의 차이는 있지만 노인에 대한 심리적 지식과 가족/사회적 지식은 대학생의 노인에 대한 태도와 유의미한 관련이 있음을 확인하였다. 위의 결과를 바탕으로 향후 관련 정책과 실천 및 후속연구에의 함의를 제시하였다. The purposes of this paper were to examine the level of knowledge of and attitudes toward the elderly and investigate the differences in the level of knowledge of and attitudes about the elderly by selected socio-demographic factors and aging related factors in Korea and the United States. The research subjects were 1129 college students attending 10 schools in Korea and the United States(840 Korean students in 5 schools, located in Seoul City, Gyeonggi-Do, Chungcheong-Do in Korea and 289 American students in 5 schools located in the State of New York of the United States). They were interviewed, using the structured questionnaire, and the data were analyzed by SPSS 15.0 for Windows. The research questionnaire was composed of Fact on Aging Quiz Part 1(FAQ 1) developed by Palmore(1998), Semantic Differential Scale development by Sanders et al., and several socio-demographic and aging related variables. The results indicated that, first, the level of knowledge of the elderly for Korean students was 12.51/25 and for American students was 11.57/25, resulting that the knowledge level of the elderly in Korea was higher than that of the United States. In addition, the results of students' knowledge differences between korea and the United States showed that Korean students showed high ratio of correct answer in 9 questions while American students showed high ratio of correct answer in only 4 questions, resulting that Korean students have higher knowledge than American students. Second, the level of attitudes toward the elderly for Korean students was 77.54 and for American students was 70.07 in 20-140 points, resulting that the attitude level of the elderly among American students were more positive than that of Korean students. The results of students' attitudes differences between Korea and the United States showed that Korean students responded positive tendency in only one question while American students responded positive tendencies in 14 questions, resulting that American students were more positive attitudes toward the elderly than that of Korean students. Third, there is a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the knowledge of and attitudes toward the elderly in both Korean and American students. Based on these results, implications for policy, practice, and research were further discussed.

      • KCI등재

        한국 대학생과 중국 대학생의 식행동 및 간식 섭취 비교 연구

        류방가,허인준,이심열 한국가정과교육학회 2022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Vol.34 No.4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the dietary behaviors and snack intake between Korean and Chinese university students. The total number of participants was 520, with 267 Korean college students in Seoul and 253 Chinese college students in Shandong Province. According to the results, the most frequent place of residence was their own house for Korean students and the dormitory for Chinese students. As for healthy life behavior, Chinese university students as compared to Korean students showed a higher tendency of exercising, and lower levels of drinking, smoking, and caffeine intake. The frequency of snack intake was about 1 to 3 times a week for both Korean and Chinese college students, and the frequency of night eating was higher among Korean students than among Chinese students. The overall dietary evaluation score was higher for Chinese students than for Korean students. This study compared the overall eating habits of Korean and Chinese college students and tried to provide useful basic data for the development of educational programs that can form desirable eating habits for the health of college students in both countries. 본 연구에서는 한국과 중국 대학생의 식행동 및 간식 섭취 실태를 비교하고자 한국 서울에 소재 대학 재학생 267명, 중국산동성 소재 대학 재학생 253명 총 520명을 대상으로 건강 생활습관, 식행동, 간식 및 야식 섭취실태, 식생활 평가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 결과 거주 형태에서 한국 대학생은 자택, 중국 대학생은 기숙사가 가장 높았다. 건강 생활습관은 중국 대학생이 한국대학생보다 운동 횟수는 높고, 음주, 흡연 및 카페인 섭취는 낮은 경향이었다. 식행동은 한국 대학생이 중국 대학생보다 아침을안 먹는 경향이었고, 한국과 중국 대학생 모두 시간이 없어서 아침을 결식하는 경우가 높았다. 간식 섭취 빈도는 한국과 중국대학생 모두 주 1~3회 정도였고, 섭취이유로 한국 대학생은 배가 고파서, 중국 대학생은 습관적으로 섭취하는 경향으로 나타났다. 야식 섭취 빈도는 한국 대학생이 중국 대학생보다 높았고, 배가 고파서 야식을 섭취하는 경향으로 나타났다. 전반적인 식생활평가 점수는 한국 대학생보다 중국 대학생이 높았다. 따라서 본 연구는 한국 대학생과 중국 대학생의 전반적인 식생활을 비교하였고, 향후 양국 대학생의 건강을 위한 바람직한 식습관을 형성할 수 있는 교육프로그램 개발에 유용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하였다.

      • KCI등재

        한국 대학생과 재한 중국 대학생의 화폐에 대한 태도 및 재무관리행동 비교 연구

        이승남 ( Shengnan Li ),김효정 ( Hyochung Kim ) 한국경제교육학회 2016 경제교육연구 Vol.23 No.2

        한국에 유학 중인 중국 대학생이 증가하고 있는 가운데 본 연구는 이들을 대상으로 하여 화폐에 대한 태도와 재무관리행동 수준을 살펴보고 재무관리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를 파악하며, 이를 한국 대학생들과 비교 분석하였다. 본 연구에서 얻어진 결과를 요약하면 첫째, 화폐에 대한 태도에 있어서 과시적 수단, 불안의 근원, 감정충족의 도구, 인색한 태도는 한국 대학생과 재한 중국 대학생 간에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재무관리행동 중 수입ㆍ지출관리행동 영역에서만 한국 대학생과 재한 중국 대학생 간에 유의한 차이를 보여, 재한 중국 대학생에 비해 한국 대학생이 수입ㆍ지출관리행동을 잘 수행하고 있었다. 셋째, 한국 대학생과 재한 중국 대학생의 수입ㆍ지출관리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를 살펴보면, 한국 대학생의 경우, 성공의 수단, 인색한 태도이었으며, 재한 중국 대학생의 경우 성공의 수단, 과시적 수단, 인색한 태도, 그리고 재무관리에 대한 지식이었다. 한국 대학생의 재무관리 의사결정행동에 유의하게 영향을 미치는 변수는 인색한 태도와 재무관리에 대한 지식인 반면, 재한 중국 대학생의 재무관리 의사결정행동에는 연령과 인색한 태도가 유의하였다. 그리고 한국 대학생의 저축ㆍ투자행동에는 인색한 태도가, 재한 중국 대학생의 저축ㆍ투자행동에는 감정충족의 도구와 인색한 태도가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This study examined the levels of attitude toward money and financial management behavior of Chinese university students in Korea, found out the factors affecting the financial management behavior, and compared them with Korean university students.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ostentatious means, source of anxiety, tool for emotional fulfillment, and thrifty attitude between Korean and Chinese students in Korea. Additionally, Korean students showed better managing income and spending than Chinese students in Korea. On the other hand, the significant factors affecting managing income and spending were measure of success, and thrifty attitude for Korean students, while measure of success, ostentatious means, thrifty attitude, and knowledge about financial management for Chinese students in Korea. Thrifty attitude and knowledge about financial management were factors affecting financial decision-making for Korean students, and age and thrifty attitude for Chinese students in Korea. Finally, thrifty attitude influenced saving and investment behavior for Korean students, whereas tool for emotional fulfillment and thrifty attitude were found as significant factors for Chinese students in Korea.

      • 한국과 중국 대학생의 대인관계능력 차이

        임은미(Lim, Eun-Mi),김은주(Jin, Yin-Zhu) 한국다문화교육연구학회 2011 다문화교육 Vol.2 No.2

        본 연구에서는 한국과 중국 대학생들의 대인관계능력이 국적, 성별, 학년, 형제유무, 경제수준에 따라 차이가 있는지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한국 전라남북도에 소재한 4개 대학과 중국 山東省 靑島市에 소재한 1개 대학의 580명 대학생을 연구대상으로 대인관계능력을 조사하고 분석을 실시하였다. 주요 분석 결과로는 첫째, 대인관계능력은 중국 대학생이 한국 대학생보다 유의하게 높지만, 권리주장은 한국 대학생이 중국 대학생보다 유의하게 높았다. 둘째, 대인관계능력은 여학생이 남학생보다 높았다. 정서적 지지는 한중 모두 여학생이 남학생보다 높았으며, 남학생의 경우 한국 대학생이 중국 대학생보다, 여학생의 경우 중국 대학생이 한국 대학생보다 유의하게 높았다. 셋째, 대인관계능력, 처음 관계 맺기, 자기노출, 정서적 지지, 대인갈등 다루기는 1, 2학년 때 중국 대학생들이 한국 대학생보다 높았지만, 3, 4학년 때는 한국 대학생이 중국 대학생보다 유의하게 높았다. 넷째, 형제유무와 국적의 상호작용에 따라 대인관계능력에 차이가 없었지만, 대인갈등 다루기는 중국의 경우 외동아가 형제아보다 높았고, 한국의 경우 형제아가 외동아보다 유의하게 높았다. 다섯째, 대인관계능력 및 그 하위영역에 대한 국적과 경제수준의 상호작용 효과는 발견되지 않았다. In this research, the interpersonal relationship ability of korean and chinese college students was analyzed according to the demographic characteristic including the nationality, sex, grade, brother existence and nonexistence, economic level, and etc. The interpersonal relationship ability of 580 college students in Jeolla Province and China 山東省 靑島市 were surveyed. The results were as follows : First, chinese students' total interpersonal relationship ability was higher than korean students. However, right assertion was higher in korean students than chinese students. Second, female students' interpersonal relationship ability was higher than male in both countries. Emotional supports were higher in female students than male in both countries. Korean male students have stronger emotional support ability than chinese. Chinese female students were stronger in emotional support than korean female students. Third, chinese students' interpersonal relationship ability of making relationship, self-disclosure, emotional support, dealing with interpersonal conflict were higher than korean students in their first and second grade. But this tendencies were reversed in their 3rd and 4th grade. Forth,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only children and the sibling children's total interpersonal relationship ability. But the sibling children's dealing with interpersonal conflict was higher than the only children. But this tendencies occurred reversely in Korean students. Lastly, there are not significant interaction effects of their nationality and economic level in interpersonal relationship ability.

      • KCI등재후보

        재한 중국인 유학생의 대학생활스트레스와 대학생활적응의 관계

        박은미(Eunmi Park),황빙의(Bingyi Hwang),정태연(Taeyun Jung) 대한스트레스학회 2010 스트레스硏究 Vol.18 No.2

        본 연구는 한국사회 내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는 중국인 유학생의 대학생활스트레스와 대학생활적응 간 관계에서 의사소통의 어려움, 한국생활의 어려움, 한국문화수용의 중재효과를 살펴보았다. 또한 중국인 유학생이 경험한 대학생활스트레스와 한국인 대학생이 평가하는 중국인 유학생의 대학생활스트레스 간 차이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서울시내 대학에 재학 중인 100명의 중국인 유학생과 98명의 한국인 대학생이 설문에 참여하였다. 분석 결과, 대학생활스트레스와 대학생활적응수준은 부적상관이 있었고, 의사소통의 어려움, 한국생활의 어려움, 한국문화수용 인식 가운데 한국생활의 어려움만 중재효과가 나타났다. 한국문화수용은 대학생활스트레스와 독립적으로 대학생활적응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한편, 중국인 유학생이 경험하는 대학생활스트레스의 정도에 대하여 중국인 유학생 당사자들보다 한국인 학생들이 더 높게 평가했다. 그러나 학업스트레스의 경우, 한국인 학생들이 평가하는 것보다 중국인 유학생이 경험하는 학업스트레스가 더 높았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중국인 유학생의 성공적인 대학생활적응을 위한 환경적 개선과 함의를 논의하였다. The study aimed to examine the moderating effect of Communicative Difficulties, Life Difficulties in Korea, and Adaptation to Korean Culture between School Adjustment and Stress, and to test difference of estimating College Life Stress of Chinese international undergraduates (CIUs) between Chinese and Korean. CIUs (n=100) and Korean undergraduates (n=98) attending a university in Seoul participated in the questionnaire study. Results indicated that School Adjustment was explained negatively by College Life Stress, and positively by Adaptation to Korean culture. Also, Life Difficulties in Korea of CIUs played a moderating role between School Adjustment and College Life Stress. The difference of estimating CIUs" college life stress between Chinese and Korean was as follows: The Korean undergraduates perceived CIUs feeling higher College Life Stress than those who actually experienced it. Despite Korean"s perceiving it, CIUs realized higher Study Stress. Finally, the findings were discussed in relation to relevant theories and research, and their implications for college life adjustment and limitations of the present study were suggested.

      • KCI등재

        <일반논문> 中韓大學生閱讀韓國語篇章的眼動比較硏究

        초육매 ( Jiao Yumei ) 덕성여자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10 인문과학연구 Vol.13 No.-

        本硏究運用眼動技術硏究中國大學生閱讀韓國語記敍文、議論文、說明文等不同文體時的眼動特征,幷與韓國大學生進行對比,揭示中韓大學生在閱讀不同文體韓國語篇章時不同心理認知加工過程,以期發現具有中高水平韓國語的中國大學生在閱讀韓國語時篇章處理模式及眼動特征等方面與韓國大學生的差異。比較韓國與中國韓國語高水平大學生閱讀不同文體韓國語篇章時的眼動數据,發現:(1)在閱讀成績上,韓國與中國韓語高水平大學生差異不顯著。(2)在閱讀速度、時間等閱讀理解指標及注視点次數、注視持續時間等眼動指標上,中國韓語高水平大學生均非常顯著地低于韓國大學生。(3)在文體上,韓國與中國韓語高水平大學生的閱讀效率共同表現爲:記敍文最高,說明文居中,議論文最低。 The result of study shows the following:1)There isn’t significant in reading achievement between Chinese university students and Korean university students. 2)The Korean students have apparently achieved better performance than the Chinese students on reading comprehension characteristics of reading grade, reading speed,reading efficiency et al.3)Reading different styles,the sequence of reading efficiency in Chinese university students and Korean university students is narrative writing,expository writing,and argumentative writing.

      • KCI등재

        한국 대학생의 이주민 호감도에 관한 연구: 조선족 이주민을 중심으로

        조수진(Cho, Sujin) 한국상품학회 2021 商品學硏究 Vol.39 No.2

        사람에 대한 평가가 인종, 학력, 학벌 등의 스테레오타입에 영향을 받는다고 할 때 이주민의 출신지역에 따라 이주민에 대한 사람들의 인식이 다르게 나타날 수 있다. 이에 따라 이 연구는 한국인 대학생을 대상으로 한국의 이주민들에 대한 호감도를 조사하고 한국의 대학생들에게 타자로 인식되는 한국에 이주한 이주민 이해를 위한 기초연구를 진행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실증분석에 있어서 연구대상은 수도권 지역에 재학 중인 한국인 대학생과 한국에 거주하는 조선족 유학생이 다. 한국 대학생이 인식하는 이주민 집단 간에 호감도는 차이가 있을 것이라는 가설 1과 한국 대학생이 인식하는 조선족에 대한 호감도와 조선족 유학생이 인식하는 한국인에 대한 호감도는 차이가 있을 것이라는 가설 2를 검증하기 위해 SPSS21을 이용하여 설문조사 결과를 일원배치 분산분석(ANOVA)과 독립표본 검정(t-검정)을 실시하여 가설을 검증하였다. 통계 분석 결과 ANOVA를 통해서 검증한 <가설1>은 6개 집단 간 차이가 유의하게 나타남을 검증하였다(F=4.74, p< .05). 독립 표본 검정(t-test) 결과 t=-5.00, p= .00로 가설 2는 유의한 차이를 보여서 채택되었다 호감도를 외적 호감도와 내적 호감도로 구분했을 때, 한국에 이주한 조선족에 대한 인식은 외적 호감도와 내적 호감도 모두 부정적으로 나타났다. 한국 대학생이 인식하는 조선족의 외적 호감도가 낮은 원인에는 미디어와 매체의 범죄 이미지로 인한 선입견과 편견이 작용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조선족에 대한 내적 호감도는 이질적인 문화와 조선족의 정체성 문제에 따른 이질감으로 인한 친밀감 결여, 관계의 문제 때문에 낮은 것으로 보인다. 이에 따라 한국인의 조선족에 대한 내적 호감도를 높이려면 조선족의 이중정체성을 이해할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해 이주민을 이해하는 과정에서 문화 상대적인 태도로 타자를 이해하는 문화감수성이 필요할 것이다. 따라서 이 연구는 한국 청년들의 이주민 이해를 위한 조선족 호감도를 살펴봄으로써 한국 대학생의 ‘이주민’에 대한 인식을 통해 ‘이주’에 대한 태도를 알아볼 수 있는 의의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liking of Korean immigrants for Korean university students, and to conduct basic research to understand immigrants who have immigrated to Korea who are perceived as other by Korean university students. In the empirical analysis, the subjects of this study are Korean university students in the metropolitan area and Korean-Chinese students living in Korea. To verify the difference between H 1 that there will be a difference in liking between immigrant groups recognized by Korean university students, andH2 that therewill be a difference between the Korean-Chinese liking perceived by Korean university students and the Korean-Chinese foreign student preference for Koreans. For this, the hypothesis was verified by conducting a one-way batch analysis of variance (ANOVA) and an independent sample test (t-test) using SPSS21 based on the results of the survey. As a result of statistical analysis, H 1 verified through ANOVA verified that the difference between 6 groups was significant (F=4.74, p< .05). As a result of the independent sample test (t-test),H2was adopted as t=-5.00, p= .00, showing a significant difference. When liking was divided into external liking and internal liking, looking at the narrative survey results of Korean university students, the perception of Korean-Chinese who migrated to Korea was negative in both. For this, in the process of understanding migrants, cultural sensibilities of understanding the other with a culture-relative attitude will be needed. Therefore,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is possible to find out the perspective of immigration through the perspective of migrants of Korean university students by looking at the Korean-Chinese liking for the understanding of immigrants of Korean youth.

      • KCI등재

        중국 대학생의 한국 드라마 선택요인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

        유력,백종남 한국융합학회 2021 한국융합학회논문지 Vol.12 No.5

        이 연구는 중국 대학생의 한국 드라마 선택요인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이 무엇인지 알아보았다. 이 연구의 참여자 는 중국 후난성(湖南省) 지역의 379명 대학생이다. 이 연구의 자료 수집을 위해 온라인 설문조사 프로그램(问卷星, www.wjx.cn)을 이용하였다. 이 연구의 측정 도구는 ‘한국 드라마 선택요인 측정 도구’로서, 작품완성도 (completeness of work)와 인지도(recognition) 등 두 영역으로 구성되었다. 이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중국 대학생의 한국 드라마 선택요인은 작품완성도가 인지도 요인보다 높다. 둘째, 중국 대학생의 성별, 학년, 연령, 전공, 한국 드라마 시청 빈도에 따라 한국 드라마 선택요인에 차이가 있다. 셋째, 중국 대학생의 선호 장르에 따라 작품 완성도 및 인지도 차원 선택요인에 영향을 미친다. 마지막으로 이 연구의 결과에 따라 논의하였고, 글로벌 시대 한국 드라마의 질적 재도약을 위해 제언하였다. 중국에서 한류 시장 확대를 위해 중국 대학생의 정서를 포용하는 문화 콘텐 츠를 개발하고, 중국 청년의 최신 소비 트렌드를 반영하는 전파 전략을 수립하여야 하며, 한국 드라마의 세련된 영상미 를 구현하는 것이 필요하다. This study was designed to investigate the variables affecting Chinese university students’ selection factors for Korean drama. Participants in this study were 379 university students from Hunan Province, China. An online survey program(www.wjx.cn) was used to collect data for this study. The tool of this study was 'a tool for measuring the selection factors of Korean Dramas', and it was composed of two areas: completeness of work and recognit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completeness of work factor are higher than the recognition of Korean dramas by Chinese university students. Second, there are differences in the factors for selection Korean dramas according to the gender, grade, age, major, and Korean Drama watching frequency of Chinese university students. Third, when Chinese university students select Korean Dramas, their preferred genre influences the selection factors for the level of work completion and recognition. Finally, it was discussed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is study, and suggested for the qualitative re-leap of Korean Dramas in the global era. In order to expand the Korean Wave market in China, cultural contents must be developed to embrace the sentiment of Chinese university students, a propagation strategy that reflects the latest consumption trends of Chinese youth must be established, and the sophisticated visual beauty of Korean Dramas must be realized.

      • KCI등재

        한국 대학생들의 아시아ㆍ서구에 대한 인식 차이와 한국 미디어의 영향 연구

        오대영(Oh, Day-young) 가천대학교 아시아문화연구소 2012 아시아문화연구 Vol.27 No.-

        한국과 아시아간의 교류가 크게 늘고, 한국은 다문화사회가 되었다. 한국에게 아시아는 매우 중요해졌고, 아시아와 보다 긴밀한 관계를 맺어야 하는 시대가 됐다. 그러나 아직도 한국사회는 서구 중심적이고, 아시아를 경시하는 경향이 있다. 미디어는 외국에 대한 공중의 생각에 많은 영향을 미친다. 따라서 아시아에 대한 한국인들의 인식 개선을 위해서는 미디어의 역할이 매우 중요하다. 이런 관점에서 대학생 323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해서 아시아와 서구에 대한 인식과 이에 대해 한국 미디어가 미치는 영향을 알아봤다. 대학생들은 아시아와 서구를 모두 중요하게 생각했지만, 서구보다는 아시아와 더 관련이 많았다. 대학생들은 서구 뉴스보다 아시아 뉴스를 찾아보는 빈도가 더 많았다. 그러나 대학생들은 한국 미디어가 서구에 대해서는 충실하게 보도하지만, 아시아에 대해서는 그렇치 않다고 인식하고 있었다. 정치, 경제, 사회, 외교안보, 문화ㆍ스포츠 등 5개 주제의 20개 항목에서 조사한 결과 대학생들은 모든 항목에서 아시아보다는 서구에 대해 긍정적이었다. 아시아에 대해서는 14개 항목에서 부정적이고, 6개 항목에서만 긍정적으로 평가했다. 서구에 대해서는 3개 항목에서만 부정적이고, 10개 항목에서는 긍정적, 7개 항목에서는 매우 긍정적인 평가를 내렸다. 한국 미디어의 아시아와 서구 뉴스에 대한 인식에서도 대학생들은 ‘경제성장’을 제외한 19개 항목에서 한국 미디어가 아시아보다 서구에 대해 긍정적으로 보도하고 있다고 평가했다. 아시아에 대해서는 15개 항목에서 부정적이고, 5개 항목에서만 긍정적으로 보도한다고 평가했다. 서구에 대해서는 15개 항목에서 긍정적으로, 5개 항목에서 매우 긍정적으로 보도한다고 인식했다. 대학생들의 개인적인 인식보다 한국 미디어가 아시아에 대해서는 더 부정적으로, 서구에 대해서는 더 긍정적으로 보도하고 있었다. 한국 미디어의 아시아와 서구에 대한 보도태도는 대학생들의 인식과 상관관계가 있어, 한국 미디어의 아시아에 대한 보도태도가 개선되어야 할 것으로 분석됐다. Personnel and material exchanges have greatly increased with Korea and Asia, and Asia became more important to Korea. But Korean society is still the West-oriented and has a strong tendency to downplay Asia. Media has influenced greatly the idea of the public on foreign world. Media’s role is very important for changing perceptions of Korean people on Asia. I surveryed 323 college students of Korea. Students thought that both of Asia and the West(America and Europe) are important to them, but they have more relationships with Asia than the West. Students have consumed Asia-related news more than the West-related news, but they recognized that Korean media reported the West-related news dutifully and did not Asia. Students have better perceptions about the West than Asia in all 20 items of 5 themes(politics, economy, social matters, diplomacy and security, culture and sports). In the perceptions on Korean media’s coverage attitude regarding 20 same items, students thought that Korean media has better coverage attitude to the West than Asia in 19 items except ‘economic growth’. Korean media reported more negatively Asia and did the West more affirmatively than personal perceptions of students. The coverage attitude of Korean media has the correlation with the perceptions of students, so it is necessary for the coverage attitude of Korean media to be improved.

      • KCI등재

        한국 대학생들과 재외국민 대학생들의 독서 실태 비교 연구

        조남현 ( Cho¸ Nam Hyun ),이선미 ( Lee¸ Seon Mi ) 인하대학교 교육연구소 2020 교육문화연구 Vol.26 No.6

        본 연구의 목적은 국내 대학에 입학한 한국 대학생들과 재외국민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독서교육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 이를 근거로 독서 교육에 대한 시사점을 제시하는 데에 있다. 본 연구에서는 한국 대학생들과 재외국민 대학생들의 필요와 특성에 맞는 독서교육을 위해 독서 실태 조사를 하였다. 먼저, 한국 대학생들 52명과 재외국민 대학생들 49명을 선정하였고, 독서의 유익에 대한 인식, 독서량에 대한 만족도, 독서 시간, 독서 빈도, 독서량, 많이 읽는 도서 종류에 대해 설문을 하였다. 그리고 모든 항목들에 대한 교차 분석을 하였다. 분석 결과 첫째, 두 그룹 모두 독서에 대한 동기부여는 잘 되어 있었으나, 독서에 대한 실천력이 약했다. 둘째, 책을 몇 달에 한 번 읽거나, 전혀 읽지 않은 학생들이 한국 대학생들 중 26.9%, 재외국민 대학생들 중 30.6%나 되어 책을 읽지 않는 학생들에 대한 관심과 지도가 두 그룹 모두 필요함을 알 수 있었다. 셋째, 독서 시간과 독서량은 재외국민 대학생들이 많은 것으로 나타났으나 한국 대학생들은 국내 대학이 추천하는 도서목록과 부합하는 독서를 하고 있었고, 재외국민 대학생들은 그렇지 못해 이에 대한 지도가 필요한 것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는 대학생들의 독서 교육에 필요한 독서 실태에 대한 실증 자료를 제공한 것에 의의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basic materials for reading education for Korean and overseas university students who have entered domestic universities, and to suggest implications for reading education based on this. First, 52 Korean university students and 49 overseas Korean university students were selected, and a survey was conducted on their awareness of the benefits of reading, satisfaction with reading volume, reading time, frequency of reading, and type of books they read a lot. And we did a cross analysis of all the items. According to the analysis, first of all, both groups had good motivation for reading, but their practice of reading was weak. Second, students who read a book once a few months or never read a book accounted for 26.9% of Korean university students and 30.6% of overseas Korean university students, indicating that both groups needed attention and guidance on non-readers. Third, the reading time and volume were found to be high among overseas university students, but Korean university students were reading in line with the list of books recommended by domestic universities, and overseas university students were not, indicating that guidance was need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