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한국어교육에서의 한류 문화콘텐츠 활용 현황 및 과제 : 통합형 한국어 교재 분석을 중심으로

        김수리,김소영 글로벌문화콘텐츠학회 2019 글로벌문화콘텐츠학회 학술대회 Vol.2019 No.2

        이른바 ‘한류’로 일컬어지는 한국의 대중문화콘텐츠가 한국어 학습자의 범위 확장에 기여한 것은 분명한 사실이다. 본 논문은 한국어교육에서 일정부분 견인차 역할을 한 한류문화콘텐츠의 ‘한국어교육’에서의 역할을 점검해보고자 한다. 통합형 한국어 교재 다섯 권에서 제시되어 있는 문화콘텐츠 현황을 분석해봄으로써 한국어교육에서의 문화콘텐츠 사용 사례를 살펴보고자 한다. 아울러 Hammerly(1982)의 문화 분류 유형 중 성취문화(achievement culture)에 해당하는 문화콘텐츠가 한국어 문화교육의 사례로 적절히 제시되어 있는지 <국제 통용 한국어 표준 모형>에 의거하여 분석해보고자 한다. 분석한 내용을 바탕으로 한국어교재에 반영할 수 있는 문화콘텐츠를 단계별로 선정 제시하는 것이 본 논문의 최종적인 목적이다.

      • KCI등재

        증강현실을 활용한 한국어 학습 콘텐츠 개발

        박은하(Eunha Park),전진우(Jinwoo Jeon) 한국콘텐츠학회 2013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13 No.4

        증강현실의 기술이 발전함에 따라서, 증강현실이 다양한 분야에 적용하려는 시도가 늘어나고 이에 대한 활용에도 기대가 모아지고 있다. 요즘 국내에서 다문화 사회로의 변모와 국외에서는 한류의 영향으로, 한국어를 배우려는 한국어 학습자들이 증가하고 있다. 또한 정보통신기술의 발달로 교육 매체가 다양해짐에 따라, 최신 기술을 도입한 한국어 학습 콘텐츠 개발에 관심을 기울이고 있다. 하지만 증강현실을 활용한 한국어 콘텐츠 개발이 미비하여 본고는 증강현실을 활용한 한국어 학습 콘텐츠 개발 사례를 소개하고자 한다. 지금까지의 한국어 교육은 책을 읽거나 영상물을 통한 지식 학습에 국한되어 있어서 본 연구는 한국어 교육의 학습 효율성을 높이고 학습자가 학업 성취, 흥미, 몰입을 높이는 학습 콘텐츠를 만들고자 하였다. 한국어 학습 콘텐츠를 개발함에 있어 동화의 교육적 이점과 배경지식의 용이성을 고려하여 동화를 매개로 한국어 학습 콘텐츠를 구상하였고 컴퓨터, 화상카메라, 그리고 마커가 있으면 증강현실이 가능하게 할 수 있는 구현 방법으로 제작하였다. 증강현실 기술을 충분히 느낄 수 있는 동화 콘텐츠와 한국어를 학습할 수 있는 학습 콘텐츠로 구성되어 있어 증강현실 기술을 활용할 수 없는 상황에서도 한국어 학습을 가능하게 하여 기존의 학습 매체와 새로운 학습 매체의 조화를 이룬다. 본 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하여 한국어 교육에서 증강현실이라는 새로운 기술을 이용한 연구가 활성화되기를 기대하며 향후 다양하고 상용화할 수 있는 증강현실 한국어 콘텐츠가 개발되어야 할 것이다. With advancements in augmented reality technology, attempts to apply it in various fields have increased. With advancements in information technology and a growth in the number of Korean learners in Korea and abroad, there is a growing demand for state-of-the-art Korean learning contents. Because the Korean learning contents developed using augmented reality have been found insufficient, this paper investigates ways to develop better contents. This paper proposes ways to develop learning contents that can increase learners interest in learning and lead to academic achievement, because the methods of education in Korea are limited to textbook learning and learning through the media. Because of the structure of fairytales and the educational lessons that can be learned from them, Korean learning contents are developed using fairytales. Additionally, Korean contents are designed to implement augmented reality technology, and learners need only have computers, webcams, and markers to make use of it. In consideration of Korean learners who do not have access to augmented reality technology, this paper clarifies that there should be a harmony between existing and new Korean learning contents. On the basis of this study, further studies on Korean education exploring the role of augmented reality should be conducted so that Korean learning contents that use diverse types of augmented reality technology can be will developed.

      • KCI등재

        중국의 한국어학습 앱(APP) 현황과 특징- 한국 대중문화콘텐츠 활용을 중심으로

        왕우진 충남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23 인문학연구 Vol.62 No.3

        중국인들이 한국어에 입문하는 가장 큰 동기는 한국 대중문화의 영향 때문이다. 이러한 현상을 반영하듯 최근 중국에서는 한국 대중문화콘텐츠를 활용한 다양한 한국어학습 앱이 인기를 끌고 있다. 대표적인 앱으로는 <알파카 한국어>, <한국어U학원>, <도라한국어>, <한국어학습> 등이 있다. 대중문화를 활용한 한국어학습 앱은 자기 주도형 학습, 학습동기부여, 수업 흥미 유발이라는 긍정적 역할을 한다. 하지만 앱에서 제공하는 콘텐츠에는 부정확하고 어색한 한국어 발음, 맞춤법과 띄어쓰기의 오류, 음성과 텍스트의 불일치, 저작권과 초상권 침해 등과 같은 여러 문제도 동시에 가지고 있다. 이러한 문제들은 한국어 전문가로부터 충분한 검증을 거치지 않고 빠른 유료회원 모집을 위해 흥미 위주의 교육콘텐츠를 성급히 늘린 결과라고 볼 수 있다. 하지만 메타버스, 시뮬레이션, AI 기술 등을 사용자들에게 친숙한 대중문화콘텐츠에 접목하여 한국어학습에 응용하고 있는 중국 상황은 매우 주목할 가치가 있다. 중국의 이러한 시도는 여전히 기능성과 접근성이 떨어지는 방식으로 ‘외국인을 위한 한국어’학습 앱을 만들고 있는 한국의 관련 전문가들에게 여러 가지 시사점을 던져주고 있기 때문이다. The primary driving force behind the Chinese initiation into Korean language learning is the pervasive impact of Korean popular culture. This phenomenon is also evident in the popularity of comprehensive Korean language learning Apps which incorporate cultural contents in China. Representative Apps include Alpaca Korean, Korean U Academy, Dora Korean, and Korean Language Learning. These cultural contents embedded Korean language learning applications has been found to have positive effects on boosting the users’ spontaneous learning designing, as well as stimulating users’ learning motivation and interests in the offered courses. However, the contents provided by these apps have the problems such as imprecise or unnatural Korean pronunciation, errors in spelling and grammar, inconsistencies between voice and text content, as well as potential violations of copyright and picture rights. These problems can be attributed to the utilization of contents unverified by Korean language experts, the intention of quickly recruiting paid members and the overanxious for increasing the interest-based education contents. Still, these Chinese-style Apps are noteworthy as they endeavor to integrate metabus, simulation, and AI technology with popular culture that is known to the user and aim to apply them to the process of learning the Korean language. They offer a diverse range of sources of inspiration for Korean experts who still produce educational content in Korean language learning with low accessibility.

      • KCI등재

        중국인 학습자 대상의 소셜미디어를 활용한 한국어교육 콘텐츠 개발 연구 -미디어 콘텐츠의 상호작용성 강화를 중심으로

        易静 한중인문학회 2021 한중인문학연구 Vol.71 No.-

        본 연구는 중국인 학습자를 대상으로 소셜미디어 플랫폼을 활용하여 상호작용적 한국어교 육 콘텐츠를 개발하는 데에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소셜미디어를 활용한 한국어교육의 연 구와 현황을 살펴봄으로써 기존 콘텐츠는 상호작용이 이루어지기 어렵다는 한계점을 짚어내 면서 한국어능력시험(TOPIK) 대비와 관련된 콘텐츠에 대한 학습자의 요구도 파악하였다. 중 국 소셜미디어 플랫폼 중 다양한 커뮤니티 기능을 제공하고 있는 비리비리(哔哩哔哩, Bilibili) 를 플랫폼으로 선정하여 학습자가 적극적으로 참여할 수 있는 상호작용적 한국어교육 콘텐츠 개발 방안을 마련하였다. TOPIK 시험대비를 위해 읽기 시험 25〜27번 문제 유형을 내용으로 다루었다. 콘텐츠는 대체로 ‘콘텐츠 도입 및 내용 제시-연습을 위한 언어 학습-실전 문제 및 답안해설-마무리’로 구성되었으나 인터랙티브 기능(互动视频)을 설계함으로써 학습자가 직 접 선택한 바에 따라 동영상이 이어지며 학습자만의 콘텐츠가 형성된다. 마지막으로 개발된 콘텐츠를 비리비리에서 공개한 후에 이용자들을 인터뷰한 결과, 이용자들이 모두 콘텐츠의 구 성 및 내용, 또한 상호작용 측면을 긍정적으로 평가하고 있었다. 본 연구가 TOPIK 시험대비 와 관련된 내용으로 소셜미디어를 활용한 한국어교육 콘텐츠의 개발 및 적용 가능성을 보여 주었으나 앞으로 문법교육, 기능교육 등 영역으로 확장되어 더욱 체계적이며 심도 있는 논의 가 이루어질 필요가 있다. Previous research has found that Korean learning content on social media is more convenient but less interactive compared to the offline classroom. In this study, we will present a sample for the development of interactive Korean learning content on social media. For this research, a Chinese social media platform(Bilibili) has been analyzed to determine its adaptability for creating interactive Korean language learning content. Two features of the platform have been identified as advantages. First one is the bullet screen(弹幕) system provided by the platform that creates a new mode of user communication. The second one is the interactive video(互动视频) service that had potential to improve the interaction between users and the content. To benefit from these features and to cater to the needs of users an interactive video with the theme of TOPIK exam preparation has been designed. In this video, users could create their unique content and also communicate with other users through the bullet screen system. Users' feedback upon the participation has revealed their positive response to both the educational and interactive side of the content.

      • RISS 인기논문 KCI등재후보

        방탄소년단이 한국어 확산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양주리(Yang Juri) 한국어교육연구학회 2022 한국어교육연구 Vol.- No.16

        이 논문의 목적은 K-pop 그룹으로 세계적인 성공을 이룬 방탄소년단이 한국어 전파와 확산에 미친 영향을 고찰하고 이들의 영향을 기반으로 한 한국어교욕 콘텐츠 개발을 위한 방법을 모색해 보는 데에 았다. 방탄소년단이 한국어 확산에 끼친 영향이 크다는 점에서 한국어교욕 연구에 있어 방탄소년단을 주목할 필요가 있을 것이다. 방탄소년단은 서구 팝 음악과는 다른 음악적 특성과 퍼포먼스로 세계인들의 이목을 끌었고 소셜 미디어를 활용하여 그들의 연습 과정과 일상생활까지 지속적으로 공유하고 소통하면서 팬덤이 전 세계로 확산되었다 팬데믹으로 인해 활동이 제한적이고 팬들과 만날 수 없는 상황에서도 방탄소년단이 세계적 인기를 구가하며 정상의 자리를 굳건히 지킬 수 있었던 배경에는 소설 미디어가 있었다. 방탄소년단과 소통하기 위해 팬들은 한국어를 배우기 시작했고 한국어를 배우는 팬들이 늘어나면서 세계적으로 한국어의 인기도 올라갔다. 한국어교욕 현장에서도 방탄소년단의 노래와 영상은 좋은 교욕 콘텐츠로 활용되고 있다. 이처럼 높아져 가는 한국어 열기와 수요에 부응하여 방탄소년단의 소속사에서는 한국어 전문 기관과 협약해 직접 한국어 콘텐츠를 제작해 선보였다. 제작된 콘텐츠는 세계에 흩어져 있는 팬들에게 한국어 학습 매체로 활용되고 있으며 해외 대학에서도 한국어교욕 학습자료로 사용되고 있다 음악 전문가들은 앞으로도 방탄소년단의 인기가 지속될 것으로 전망한다 따라서 이러한 기류에 맞춰 한국어 확산을 위한 연구와 노력도 속도를 높여야 할 것이다 이를 위해 방탄소년단의 콘텐츠를 활용한 한국어교육 및 학습 콘텐츠를 개발하고, 학습자들이 언제 어디서든 한국어를 학습할 수 있는 접근통로로써 소셜 미디어의 활용 방안을 제안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influence of BTS, who achieved worldwide success as a K-pop group, on the spread of Korean language, and to find a way to develop Korean education contents based on their influence. Given that BTS has had a huge impact on Korean language, it is necessary to pay attention to BTS in the study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BTS has attracted the attention of people around the world with their musical characteristics and performances that are different from Western pop music, and they have continued to share their practice process and daily lives through social media, spreading their fandom all over the world. Even when their activities are limited and it is very difficult to meet their fans due to the pandemic, the power of social media became the reason why BTS is able to gain worldwide popularity and maintains its position at the top. In order to communicate with BTS, their fans began to learn Korean, and the more fans learn Korean, the more popular Korean language is around the world. In the field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BTS songs and videos are used as good educational content. In response to the growing enthusiasm and demand for the Korean language, BTS management company signed an agreement with a Korean language institution to directly produce Korean learning contents. They are used as a Korean language learning medium for fans scattered around the world, and they are also used as a learning material for Korean language education at universities abroad. Music experts predict that the popularity of BTS will continue in the future. Therefore, in line with these currents, it is necessary to speed up our research and efforts to spread the Korean language. In the light of this, the writer proposes the need for the development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and learning contents using BTS contents, and suggest ways to utilize social media as an access channel for learners to learn Korean anytime, anywhere.

      • KCI등재

        드라마 활용을 통한 한국어교육콘텐츠 개선방향

        이일수(Il-Soo Lee),주진오(Chin-Oh Chu) 한국콘텐츠학회 2015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15 No.4

        한국의 K-drama, K-pop과 같은 한류콘텐츠가 국외에서도 큰 열풍을 일으키면서 한국에 대한 긍정적인 인식과 더불어 한국어에 대한 관심으로 이어졌다. 이러한 시대의 흐름을 따라 한류콘텐츠를 활용한 한국어 교육 콘텐츠가 몇 가지 제작 및 개발 되었다. 한국어교육 콘텐츠는 대중들에게 익숙한 한류콘텐츠를 주로 활용하기 때문에 외국어로서의 한국어를 공부하는 대상이 흥미를 가지고 한국어를 공부하게 만들고, 한국의 문화를 간접적으로 경험할 수 있게 한다. 그렇기 때문에 기초적인 정보전달의 역할을 하는 것에서 끝나는 것이 아니라 보다 치밀한 기획의도를 가지고 교육적인 콘텐츠로서의 방향성을 가질 필요가 있다. 그러나 현재 개발된 콘텐츠들은 아직 충분한 상태라고 하기는 어려운 실정이다. 이 글은 그 가운데 한국 드라마(K-drama)를 활용하고 있는 누리-세종학당의 ‘두근두근 한국어’ 시리즈를 본격적인 분석대상으로 삼아, 한계점을 검토하고 결론적으로 개선방향을 제시하였다. 향후 효과적으로 K-drama를 활용한 한국어 교육콘텐츠의 기획 및 제작이 이루어진다면, 단순히 정보 전달에 그치는 것이 아니라 한국의 문화와 전통까지 드러낼 수 있을 것이다. 그렇다면 K-culture 자체가 또 하나의 상품으로서 국가 이미지 개선에 한 줄기를 담당하는 가치 있는 활동이 될 것이다. The Korean wave contents such as Korean TV dramas and K-pop are sweeping over foreign countries. This Korean wave has improved positive national brand image and also brought up interest across Korean culture. Due to expansion of Korean wave, some Korean education contents started to be made by using Korean wave contents. These kinds of Korean educational online contents induce interest in studying Korean by using Korean wave contents. Furthermore, people can indirectly experience Korean culture. so we need to come up with more effective application plan. However, contents which has produced currently still have insufficient part. Based on that, current state of Korean education online contents by using Korean wave contents will analyze into especially a series of ‘Pit-A-Pat Korean’ from Nuri-Sejong school need to be proposed a review of the limitations and improvement conclusion in this paper. The K-drama produced by effectively utilizing the planning and the Korean educational content. This will reveal to the culture and traditions of Korea, as well as a simple information transfer. So we expect to be a valuable activity that is responsible for a stem to improve the countrys image as one item K-culture itself.

      • KCI등재

        BTS콘텐츠를 활용한 취미 목적 한국어 학습자의 독학용 교재 개발의 실제

        이세인 국제한국언어문화학회 2020 한국언어문화학 Vol.17 No.3

        본 연구는 세계적인 K-팝 그룹인 BTS의 콘텐츠를 한국어로 즐기고 싶어 하는 BTS 팬과 모어 화자를 만나기 어려운 환경에 있는 제2언어 학습자를 학습 대상으로 개발한 취미 목적 독학용 한국어 교재 「LEARN! KOREAN with BTS」를 대상으로 하였다. 본 연구의 목적은 한국어 독학을 원하는 이들이 교수자의 도움 없이도 혼자 학습할 수 있도록 개발된 취미 목적 한국어 학습 교재 「LEARN! KOREAN with BTS」을 소개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본 연구 교재 개발의 토대를 이루고 있는 학습 동기 및 학습 지속 동기, 멀티미디어 교육 이론, 시각적 입력강화 이론, 기능 통합형 교육 이론을 살펴보고, 이를 토대로 개발한 교재의 구성 및 내용을 소개하였다. 본 연구에서 개발한 교재의 내용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본 교재는 최근 빌보드 싱글차트 1위 석권을 비롯하여 2020 아메리칸 뮤직 어워드, 그래미 어워드 후보로 오른 방탄소년단의 콘텐츠를 교재의 주 내용으로 선정하였다. 둘째, 멀티미디어 교육 이론에 준하여 소리펜, QR코드 등 멀티미디어 학습도구를 도입하여 학습자의 학습 접근성을 높였다. 셋째, 초급 학습자가 이해하기 어려운 문법 규칙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시각적 입력 강화 기법을 활용하였다. 넷째, 초급 학습자가 이해하기 어려운 문법 용어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시각 강화 기법을 사용하였다. 마지막으로, 초급 한국어 학습자의 제2언어 학습효과 극대화를 목적으로 기능 통합형 교육 방식을 채택하여 활용하였다. 본 연구에서 분석한 한국어 교재는 한국어 학습을 교수가 아닌 학습자가 혼자서 학습하는 독학용 한국어 교재로, 해외에서 가장 인기가 높은 방탄소년단의 콘텐츠와 한국여행을 배경으로 구성하여 모어 화자를 만나기 어려운 환경에 있는 제2언어 학습자의 지속적인 학습동기와 흥미를 유도하였다는 점에 그 의의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troduce “ ,” a textbook for students of the Korean language who are non-native speakers, and fans of BTS living in places where it is difficult to meet native Korean speakers, using the world-famous K-pop group BTS as the main theme. The purpose is to analyze the textbook and provide recommendations for developing language textbooks for casual students who prefer to study alone without the help of an instructor. In order to accomplish this study’s purpose, the textbook’s structure and content were examined in terms of study motivation and motivation to continue study, the multimedia education theory, visual-textual enhancement theory, and functional integrated education theory.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textbook developers have chosen BTS as their main theme. BTS is a K-pop group that has topped the latest Billboard singles chart, leading to their appearance on the 2020 American Music Awards and being nominated a Grammy. Second, following the multimedia education theory, multimedia learning tools such as the sound pen and QR codes were used to heighten accessibility. Third, visual-textual enhancement methods were used to aid understanding of difficult grammar rules., color chips were used to aid understanding of grammatical terminology. Finally, functionality integrated educational methods were adopted to maximize the learning outcomes for students learning Korean as a second language. The Korean learning textbook “ ” was found to use fun-filled BTS content within the background theme of a trip to Korea, with a variety of educational tools utilized to motivate students. This made learning more fun and provided meaningful assistance to students wishing to self-study the language.

      • KCI등재

        K-콘텐츠를 활용한 한국어 시청각 수업 사례 연구-중국 북경대학교 ‘한국어시청설’ 수업을 중심으로-

        김지혜,채윤미 한국언어문화학회 2023 한국언어문화 Vol.- No.8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sign and implement a model of Korean audio-visual classes using K-contents to verify the practical utility and applicability. Hallyu cultural contents are tools that add interest to overseas Korean language learners, allow them to indirectly experience actual conversation situations, and help them learn various Korean cultures, including the Korean language and language culture. However, there are few class methods or case materials that can be applied to the actual educational field, so it is dependent on the instructor's individual competency. Therefore, in this study, considering the class environment of Chinese universities and the characteristics of Korean language learners in school, a model of audio-visual classes using various K-contents was presented, and class cases and results were analyzed. As a result of the survey, learners' understanding and interest in the Korean language and culture increased, and their confidence in the Korean language also improved. Through this, it was possible to obtain meaningful implications such as meaning and improvement in class operation using K-contents. 본 연구는 K-콘텐츠를 활용한 한국어 시청각 수업의 모형을 설계·실행하여 실제 효용성과 적용 가능성을 검증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한류 문화 콘텐츠는 해외 한국어 학습자에게 흥미를 더해 주고 실제 대화 상황을 간접 체험할 수 있도록 하며 한국어와 언어문화를 비롯한 한국의 다양한 문화를 배울 수 있도록 하는 도구이다. 그러나 실제 교육 현장에 적용할 만한 수업 방안이나 사례 자료 등이 드물어 교수자 개인의 역량에 의존하는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중국 대학에 재학 중인 한국어 학습자의 특성과 수업 환경을 고려하여 K-콘텐츠를 활용한 시청각 수업의 모형을 제시하였으며 수업 사례 및 결과를 분석하였다. 수업 후에 학습자들은 한국어 및 한국 문화에 대한 이해도와 흥미도가 높아졌으며 한국어에 대한 자신감도 향상된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통해 K-콘텐츠를 활용한 수업 운영에 있어 유의점과 개선점 등의 의미 있는 시사점을 얻을 수 있었다.

      • KCI등재

        한류 콘텐츠를 활용한 온라인 한국어 학습 콘텐츠 분석 - ‘씽씽한국어’, ‘Learn! Korean’, ‘K-WAVE’의 비교 분석 -

        이승연 한성어문학회 2023 漢城語文學 Vol.49 No.-

        이 연구는 한류 콘텐츠를 활용한 온라인 한국어 학습 자료의 개발 현황을 살피고 세 종류의 온라인 학습 자료를 선정하여 교육 내용과 특성을 비교,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통해 한류 콘텐츠를 활용한 교수·학습 자료 개발의 방향에 대한 시사점을 얻고자 한다. 분석 대상 콘텐츠 세 종류는 <씽씽한국어 1~2>, <Learn! Korean>, <K-WAVE 시리즈>이며 분석 항목은 다음과 같다. 첫째, 교육과정과 교수요목, 둘째, 콘텐츠 모형, 셋째, 학습 진행 방식, 넷째, 자막 및 다국어 제공, 다섯째, 콘텐츠 제공 플랫폼과 소통 방식이다. 분석 결과 ‘콘텐츠 구성 모형’과 ‘학습 목표’ 설정 부분의 변화가 눈에 띄었다. 가장 이른 시기에 제작된 <씽씽한국어>는 한국어 수업의 전형적인 패턴, 즉 ‘제시-설명-연습’ 과정을 유지하고 있었으며, 비교적 나중에 개발된 <Learn with BTS>나 <K-WAVE KOREAN>은 이러한 전형적 수업 패턴에서 벗어났다. 한국의 대중문화, 혹은 한류에 대한 흥미와 관심에서 시작하는 학습자에게 좀 더 가볍고 문화적으로 접근해야 한다는 점을 고려할 때 이러한 유연성은 고무적인 변화라고 할 수 있다. 한편, 대부분의 콘텐츠 교육과정에서 한국어 문법 항목을 선정하였는데, 그 기준을 명시적 또는 암묵적으로 ‘국제 통용 한국어 표준 교육과정(2017)’에 두어 콘텐츠 구성과 내용이 다소 전형적이고 보수적인 특성에서 벗어날 수 없었다. 이 부분에 대해서는 향후 한류 콘텐츠를 활용한 학습 자료 개발 주체들의 고민이 필요한 부분이다.

      • KCI등재

        웹툰 「바리공주」를 활용한 한국어 문화 교육 연구

        김명희(Kim Myung-hee) 한글학회 2018 한글 Vol.- No.322

        이 연구에서는 서사무가 「바리공주」의 재해석 콘텐츠인 웹툰 「바리공주」를 활용한 한국어 문화 교육 방안에 대해 알아보았다. 그리고 이를 위해 사회 통합 프로그램 학습자를 대상으로 연구 수업을 실시했다. 재해석 콘텐츠는 문학을 원천 자료로 삼아 새로운 방식으로 해석한 콘텐츠이다. 재해석 콘텐츠는 전통문화뿐만 아니라 현대적 가치를 동시에 담고 있으며 일반 문학에 비해 흥미로운 콘텐츠를 이용하고 있어서 한국어 문화 교육의 자료로 이용하기에 적절하다. 본고에서는 이러한 재해석 콘텐츠 중 웹툰을 활용했다. 웹툰은 접근성과 흥미도가 높고 한국어와 한국문화 학습에 도움이 되며 학습자의 공감 능력을 향상시켜 주기 때문이다. 연구에 활용한 콘텐츠는 서사무가 「바리공주」 설화를 바탕으로 한 웹툰 「바리공주」이다. 웹툰 「바리공주」는 바리공주가 귀신들을 저승 세계로 이끄는 내용으로 ‘한의 사유와 한의 해소’라는 구성을 가지고 있다. 외국인 학습자는 이 웹툰을 통해 한국의 문화와 한의 정서를 이해하고 등장인물들의 상황에 공감할 수 있다. 웹툰 「바리공주」를 활용한 한국어 문화 수업에서는 학습자들의 한국어 능력 향상 및 한국문화 이해, 긍정적인 가치관 확립을 목표로 했다. 그리고 수업 후 설문조사 및 작문 수행 결과 해당 수업이 효율적임을 보여주었다. 이후 재해석 콘텐츠를 활용한 연구를 지속적으로 수행하여 그 결과물이 한국어 교육발전에 도움이 되기를 기대한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xamine the ways of Korean cultural education using the webtoon “Princess Bari” as the reinterpretation of a shamanistic epic, “Princess Bari”. To do this, the learners from social integration programs were selected as the target audience and the term, “reinterpretation content” is a content that is a new way of interpretation based on its literature. Reinterpretation contents are useful for the data of Korean cultural education as they contain not only traditional culture but also modern value at the same time. Moreover, reinterpretation contents are likely to use interesting contents rather than general literature. In this paper, the author selected a webtoon as a reinterpretation contents since most language learners are likely interested in reading webtoons. In addition, webtoons are easy to access on the net. For these reasons, using a webtoon as an educational material is helpful for learning Korean language and culture as well as improving learners’ empathy. The content used for this study is a webtoon, “Princess Bari” that is based on a shamanistic epic, “Princess Bari”. The theme of “Princess Bari” is the reason and resolution of sorrow based on the story that Princess Bari takes the ghosts to the world of the afterlife. Foreign language learners are able to understand the Korean culture, the sorrow of Koreans and the situation surrounding the characters through this webtoon. The aims of the study are to improve learners’ Korean as well as understand the Korean culture with establishing the positive values using the webtoon, “Princess Bari”. After the class, the questionnaire and the writing showed that the class was effective. Therefore, further research utilizing reinterpretation contents is needed steadily so that the outcome of the research can be used for the development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