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스리랑카 중고등학교 한국어 교사 양성 프로그램 만족도 조사 연구

        정서영 국제한국언어문화학회 2015 한국언어문화학 Vol.12 No.3

        스리랑카는 중고등학교에 제2외국어로 한국어를 채택하여 스리랑카 한국어 교육은 급속도로 확대되어 가고 있다. 스리랑카의 한국어 교육 열풍을 지속시키기 위해서는 유능한 교사를 육성하는 일이 무엇보다 중요하다. 이 연구는 현행 스리랑카 한국어 교사 양성 프로그램을 살펴보고 이 프로그램에 참가한 현직 스리랑카 교사들을 대상으로 한 만족도 조사를 조사하였다. 또한 현행 한국어 교사 양성 프로그램의 한계와 문제점을 살펴보고 이후 발전을 위한 교육 기반의 필요성을 정리해 보고자 하였다. 스리랑카에서의 한국어 교육 발전을 위해서는 먼저, 스리랑카 중고등학교에서의 한국어 교육 실제에 대한 분석이 선행되어야 한다. 두 번째 한국어 교사 양성 프로그램은 학습자 변인의 특성을 고려한 상태에서의 프로그램 개발이 이루어져야 한다. 세 번째 교사 양성 프로그램의 목적과 목표가 분명해야 한다. 네 번째 교사 양성 프로그램의 체계적 운영이 필요하다. 마지막으로 교사 양성 프로그램을 수료하고 현장에서 활동하고 있는 교사에 대한 지원 정책이 필요하다. 앞으로 다양한 국가의 한국어 교원 프로그램 개발을 위해서는 학습자 요구와 현지 한국어 교육 상황에 대한 정보들이 수렴된다면 더욱 객관적이고 체계적인 한국어 교원 양성 과정이 설계되리라 기대한다. Since Sri Lanka chose to offer Korean as a second language at secondary schools, Korean language education has spread rapidly. Thus, training competent Sri Lankan teachers of Korean has become of utmost importance to meet the popular demand for Korean language education in Sri Lanka. This study investigates the current Korean language teacher training program in Sri Lanka and the results of a survey administered to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suggest ways to enhance the Korean language teacher training program. This study examines the limits and problems of the current program and shows the implications of the needs of the educational infrastructure. The results suggest that, first, an analysis of the reality of Sri Lankan secondary schools is needed. Second, the Korean language teacher training program should be developed considering different learner characteristics. Third, the program should have clear goals and purposes. Fourth, systematic management of the program is needed. Finally, a support policy is needed for teachers who enter the educational field after completing the program. If from other countries and information on various Korean education environments are collected, non-native Korean speaker teacher education will become more objective and systematic.

      • KCI등재

        한국 문화 재교육 프로그램에 대한 태국 중·고등학교 한국어 교사의 요구 분석

        공펭 소파(KHONGPHENG SOPHA) 한국문화융합학회 2020 문화와 융합 Vol.42 No.10

        본고는 태국 중·고등학교 한국어 교사 교육 현황을 검토하고 교사들이 한국에서 이수한 교사 양성과정과 태국 내 한국어 교사 연수 프로그램에 대한 만족도를 분석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한국어 교사 문화 재교육이 개발되었을 때 필요로 하는 교육 시간, 교육 방식, 교육 내용에 대한 요구 조사를 실시하였다. 설문 조사는 태국 중·고등학교 한국어 교사 20명을 대상으로 이루어졌고, 온라인 설문 프로그램 ‘Google Docs’를 활용하였다. 설문지는 기초 정보, 교사 교육 프로그램의 만족도, 교사 문화 재교육 프로그램에 대한 요구를 중심으로 크게 세 영역으로 구성되었다. 교사의 요구 조사 결과, 태국 중·고등학교 교사들이 선호하는 문화교육에 대한 주제는 일상생활 문화, 대중문화, 예절 문화가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This article reviews the status of Korean language teacher education in middle and high schools in Thailand. Further, it analyzes the satisfaction with teachers’ training courses in Korea and Korean language teacher training programs in Thailand. Thus, to develop the cultural re-education of Korean language teachers, a demand survey on the preferred training time, method, and educational content was conducted. The demand survey was emailed to 20 Korean teachers at middle and high schools in Thailand using “Google Docs”. When elaborating the content of the needs survey, the analysis was divided into three areas: basic information, satisfaction with the teacher education program, and demand for the teacher culture reeducation program. The results showed that Thai middle and high school teachers prefer the cultural topics of daily life culture, popular culture, and etiquette culture.

      • KCI등재

        초등학교에서의 KSL 교육을 위한 교사 교육의 사례 연구

        이준호 한국초등국어교육학회 2022 한국초등국어교육 Vol.75 No.-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iscuss the current status and necessity of KSL education in elementary schools, and to introduce examples of teacher education for those who teach Korean to KSL Korean learners. For this purpose, this study focused on the Korean language education curriculum in the undergraduate and graduate schools of ‘A University of Education’, the Korean language education courses, the cases of Korean language education-related programs in the non-curricular course, and the cases of the KSL Korean education-related teacher training programs. As for the current status of KSL Korean language education, this study discusses the concept, type, and operation cases of a ‘Korean class’, and mainly talks about the management method of Korean teachers. This is to inform the need to develop the Korean language education ability of teachers in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 who take charge of Korean classes. This paper introduces the educational cases discussed as part of the intention to contemplate the educational content required for teachers at a time when Korean language classes are continuously increasing. 본 연구는 초등학교에서의 KSL 교육의 현황과 필요성을 논하고 KSL 한국어 학습자에게 한국어를 가르치는 교사들을 위한 교사 교육의 사례를 소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하여 ‘A 교육대학교’의 학부와 대학원에서의 한국어교육 교육과정, 한국어교육강좌의 운영 현황 및 비교과과정에서의 한국어교육 관련 프로그램 운영 사례, 그리고KSL 한국어교육 관련 연수 프로그램 운영 사례를 집중적으로 다루도록 하겠다. KSL 한국어교육의 현황의 경우, 본고에서는 ‘한국어 학급’의 개념과 유형, 운영 사례에 대해 이야기하고, 이러한 ‘한국어 학급’에서 한국어를 가르치는 한국어 교사의 운영방법에 대해 주로 이야기하였는데, 이는 학교에 파견되어 한국어교육을 담당하는 한국어 강사 외에도 현직 초중등고등학교의 교사가 한국어 학급을 맡아 학급을 운영하고한국어를 가르치게 되는 사례가 늘면서, 현직 교사의 한국어교육 능력 개발이 필요해지고 있음을 알리기 위함입니다. 본고는 한국어 학급이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는 이 시점에서 현직 교사에게 필요한 교육 내용은 무엇일까에 대해 고민해 보고자 하는 의도의일환으로 본고에 논한 교육 사례를 소개하게 되었다.

      • KCI등재

        포스트 코로나 시대에 한국어 교사 온라인 연수 프로그램을 위한 방안 연구 -국립국어원과 재외동포재단의 연수를 중심으로-

        신윤경 ( Shin Yoon-kyeong ),이진경 ( Lee Jin-kyoung ) 우리어문학회 2022 우리어문연구 Vol.74 No.-

        본 연구의 목적은 한국어 교사를 위한 온라인 연수의 개발 방향을 제시하고자 하는 것이다. 코로나 19로 인해 불가피하게 온라인 연수를 진행했지만, 코로나가 종식되어 오프라인 연수가 재개된다고 하더라도 온라인 교육방식은 필수적인 시대를 맞았다. 이에 온라인 교사 연수라는 특성에 맞는 프로그램을 고민해야 할 필요가 있다. 그래서 먼저 코로나 19 이전에는 대면으로 진행되었다가 비대면으로 전환해 진행했던 국립국어원의 ‘한국어교원 배움이음터’와 재외동포재단의 ‘한글학교 교사 초청 연수’를 비교·분석했다. ‘한국어교원 배움이음터’와 ‘한글학교 교사 초청 연수’의 대상과 목적 등 기본적 개념을 살피고, 비대면으로 전환되어 진행되었던 상세한 내용을 살폈다. 연수 기간, 연수 과목, 수업 시간, 수업 방법(분임 토의, 친교의 시간 포함), 교육 운영 방법 등이 그것이다. 그 후 분석내용을 바탕으로 한계와 보완 방향을 찾고자 했다. 교사들의 생애주기와 특성에 맞는 내용 구성이 우선되어야 하고, 온라인 특성에 맞는 강의 수강 방법과 연수 기간, 분임 토의 및 사전과제의 적절성, 비대면으로도 충분히 네트워킹을 할 수 있는 시간과 온라인 공간 마련, 신속하고 세심한 의사소통 창구 마련 등을 제안했다. 앞으로 여러 온라인 연수를 개발할 때 기초 자료로 활용되기를 바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the direction in developing online training for Korean language teachers. During the COVID period, it was necessary to conduct all the trainings online, however, it became essential to keep online trainings as one of the training methods, even if offline trainings are resumed post COVID.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design proper online training programs for teachers by considering the characteristics of such trainings. As a starting point, the 'The Continuation of Learning for Korean Language Teachers' from the National Institute of Korean Language and the 'Invitation Training for Korean School Teachers' from the Overseas Korean Foundation, which were conducted face-to-face before COVID-19 then converted as online training during COVID-19 period, were compared and analyzed. Basic concepts such as target audience and purpose of the 'The Continuation of Learning for Korean Language Teachers' and the 'Invitation Training for Korean School Teachers' were examined, and the details of the training parts converted as on-line were viewed. These include the training period, training subjects, class hours, teaching methods (including breakout discussion and networking), and operating methods. After that, based on the review and analysis, we tried to find the limitations and improvement methods. Based on the study, we suggest that the training contents suitable for teachers' life cycles and characteristics should be designed first. Then, we propose the method of taking on-line lectures and training period, the appropriateness of breakout discussions and pre-assignments, time and online space for sufficient on-line networking, and fast and secure communication channels. We hope the study can be used as foundation material when developing various online trainings in the future.

      • KCI등재

        한국어 교사 대상 온라인 재교육 프로그램의 내용 분석과 개선 방향 : <한국 문화 활용 교수법>을 중심으로

        강소영(Kang soyeong) 한국문화융합학회 2020 문화와 융합 Vol.42 No.11

        본 연구는 한국어 교사의 문화 교수 능력을 신장시키기 위해 제공되는 온라인 재교육 프로그램의 내용을 분석하는 데 목적이 있다. 분석 결과를 토대로 향후 문화 교육 영역에서 한국어 교사를 위해 어떤 내용이 더 보완되고, 교사의 전문적인 지식 가운데 어떤 요소가 더 고려되어야 하는지를 탐색하여 방향성을 제언하였다. 분석 대상은 현재 국립국어원에서 제공하고 있는 한국 문화 활용 교수법 교과목을 중심으로 문화 영역 PCK에 근거하여 교육 내용을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형식적인 측면에서 이론적 설명과 사진이 함께 제시되면서 내용 정리가 잘 되어 있었으며, 교과 내용지식과 교수학적 지식에 대한 부분이 교사가 이해하기 쉽도록 재교육 환경을 제공하고 있다. 다만, 현재 체계적이지 않은 지식 체계의 전달로 인해 실제적인 교수 활동을 통해 얻을 수 있는 전문성이 제대로 갖춰질지 의문스러운 상황이었다. 특히, 상황적 지식과 학습자의 문화 지식, 학습 평가 지식 등에 대해서는 온라인 재교육에서도 여전히 교사의 전문적인 지식을 제공하지 못한다는 문제를 안고 있었다. 이 연구는 현재 한국어 교사를 대상으로 온라인을 통해 제공되는 재교육 프로그램의 내용을 보다 더 구체적으로 내용 분석을 시도하였으며 향후 제공되는 프로그램에 대한 시사점을 제공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content of online re-education programs offered to enhance Korean language teachers’ ability to teach culture. Based on the analysis results, the direction was suggested by exploring which content should be further supplemented for Korean language teachers in the future cultural and educational areas and which of the teachers’ professional knowledge should be considered more. The subjects of the analysis were based on the PCK in the cultural field, focusing on the teaching methods for utilizing Korean culture currently provided by the National Institute of Korean Language. As a result of the analysis, the theoretical explanations and photographs were presented together in terms of formality, the contents were well organized, and the parts of the curriculum content knowledge and teaching knowledge provided a re-education environment for teachers to understand easily. However, it was questionable whether the expertise gained through practical teaching activities would be properly provided due to the delivery of an unsystematic knowledge system. In particular, concerning the contextual knowledge, the learner’s cultural knowledge, and the knowledge of learning evaluation, there was a problem that online retraining still did not provide the teacher’s professional knowledge. The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attempted to analyze the contents of the current online re-training program for Korean language teachers more specifically and provided implications for future programs.

      • KCI등재

        세계화와 국어교육 ; 세계화 시대 한국어의 위상

        박영순 ( Young Soon Park ) 국어교육학회 2007 國語敎育學硏究 Vol.30 No.-

        본 논문은 한국어의 세계적 위상을 살펴보고, 한국어의 세계화 방안을 제시해 보는 데 그 목적이 있다. 한국어는 세계의 6,000여 개 언어 중에서 10위 이내에 드는 국제어가 되어 있다. 우선 한국어를 모국어로 하는 화자 수, 다른 나라에서의 한국어 교육과 연구 현황, 국제기구나 국제 협약에서 공적으로 인정하는 언어인가의 여부 등을 종합적으로 검토하여 한국어의 세계적 위상을 가늠해 본 결과 한국어는 세계 10대 언어 안에 든다는 것을 밝히고, 이렇게 국제어에 포함된 언어답게 제2언어나 외국어로서의 한국어 교육을 세계적인 수준으로 끌어올리기 위한 방안을 제시하였다. This study discusses on the status of Korean Language in the world. There are 75 millions of native speakers of Korean in the peninsula and 7millions abroad. And there are 742 universities in 64 countries in the world which have Korean Studies or offer Korean language courses. And there are hundreds of high schools in the world which provide with Korean language as a foreign language, also. There are more than 2070 Korean weekend schools in 94 countries and 26 regular formal schools in 14 countries. These statistics show that Korean language is ranked in top ten languages in the world. This is also evidenced that US government included Korean as the ninth language in the SAT II. And PCT also included Korean as one of formal languages which consist of 10 international languages like English. This fact says Korean is one of the globalized language so that it requires global standard in teaching Korean as a second or foreign language. The global standard includes teacher qualification, teaching material, teaching method, and educational assessment.

      • KCI등재
      • 터키 한국어 교사 (재)교육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기초 연구 - 한국어 모어 화자 교사의 요구 조사를 중심으로 -

        김서형 한국언어문학교육학회 2016 한어문교육 Vol.35 No.-

        This study investigates what the Korean teachers’ needs are to develop the effective teaching ability under the Korean Teacher Education Programs in Turkey. We conducted a survey-based research, distributing a questionnaire to 50 Korean teachers by hand-out survey. 28 teachers attending at the program responded to survey. The survey consists of three parts to find out the present situation of Korean education, Korean language teacher’s professionality in Turkey and Teachers’ needs relating to the teacher education programs in 2015 and later. On the basis of the survey results, I found that all most of Korean teachers in Turkey have little experience and get few certificate of Korean Teacher. Korean teachers prefer the teacher education programs consisting of Korean language theory and teaching skills. The survey results revealed that for Korean teachers training program should develop by their professionality as an Korean language teacher.

      • KCI등재

        해외 한국어 교사 한국 방문 연수 프로그램의 개발을 위한 사례 연구 -미국 정규학교 한국어 교사 연수를 대상으로-

        오경숙 국제한국어교육학회 2017 한국어 교육 Vol.28 No.2

        Kyoungsook Oh. 2017. Case Studies of Developing Training Programs in Korea for Korean Language Instructors Overseas: With Focus on Training Programs for Korean Language Teachers at US K-12 Schools. Journal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28-2: 61-88. This paper seeks to use case studies of training programs for teachers at US K-12 schools to provide a model for developing training programs in South Korea for Korean language teachers overseas, and to consider directions for the future. Toward the end, we review examples of professional development programs for Korean language instructors at US K-12 schools that we have developed and conducted between 2011 and 2016. By comparing these programs with the results of post-program assessments, we explore ways of improving those programs. To respect teachers’ wishes, these training programs have attempted to strike a balance between cultural and linguistic education while focusing more on workshops, debates, and field trips than on theoretical lectures. The difficulty of operating such programs is the difference in the teachers’ individual circumstances and educational context, which necessitates giving teachers an opportunity to discuss the content of the program and find ways to apply it to their own circumstances. To resolve such difficulties, the training programs that we develop should avoid predetermined curriculums and should not be focused on simple drills or the trainer. Instead, these programs should take the approach of proactively incorporating contents desired by the participating teachers by starting with the situations, needs, and tasks of each of those teachers. (Sogang University)

      • KCI등재

        다문화 배경 학습자를 위한 한국어 교사 교육

        권순희 ( Soon Hee Kwon ) 한국어교육학회(구 한국국어교육연구학회) 2014 국어교육 Vol.0 No.144

        An institutional strategy has been provided in order to give Korean language lectures in primary, middle, and high schools from March 2013, as KSL (Korean as the Second Language) curriculum for multicultural background students was announced in July 2012. However, there is a shortage of skilled teachers to conduct Korean lectures in schools. Qualifications of Korean language teachers for multicultural background students are different from those of Korean language teachers for adult foreigners as well as those of Korean teachers for native speakers. Therefore Korean language teachers should be trained through teacher training or education system for teachers. There are ESL (English as the Second Language) teacher training systems in United State of America, Canada, and Australia. In these nations, teachers in primary, middle, and high schools can get ESL teacher`s license through ESL special program, or students of college of education can get ESL teacher`s license by having ESL as a second major. Teacher training for KSL learners is still in the beginning stage in Korea. KSL teacher training programs intended for teachers in primary, middle, and high schools were progressed in Jan 2013 at Seoul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and in Jun 2013 at Chonbuk Natinal University. In this study, two programs were compared. Which institute is running the program can define the characteristics of teacher training. KSL teacher training program intended for present teachers and certification as KSL teacher licence by Ministry of Education are required. Also an institutional strategy for KSL teacher education at National Universities of Education and Colleges of Education is necessary. Special law on Korean language education for multicultural background learners has to be enact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