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한국어교육에서의 한류 문화콘텐츠 활용 현황 및 과제 : 통합형 한국어 교재 분석을 중심으로

        김수리,김소영 글로벌문화콘텐츠학회 2019 글로벌문화콘텐츠학회 학술대회 Vol.2019 No.2

        이른바 ‘한류’로 일컬어지는 한국의 대중문화콘텐츠가 한국어 학습자의 범위 확장에 기여한 것은 분명한 사실이다. 본 논문은 한국어교육에서 일정부분 견인차 역할을 한 한류문화콘텐츠의 ‘한국어교육’에서의 역할을 점검해보고자 한다. 통합형 한국어 교재 다섯 권에서 제시되어 있는 문화콘텐츠 현황을 분석해봄으로써 한국어교육에서의 문화콘텐츠 사용 사례를 살펴보고자 한다. 아울러 Hammerly(1982)의 문화 분류 유형 중 성취문화(achievement culture)에 해당하는 문화콘텐츠가 한국어 문화교육의 사례로 적절히 제시되어 있는지 <국제 통용 한국어 표준 모형>에 의거하여 분석해보고자 한다. 분석한 내용을 바탕으로 한국어교재에 반영할 수 있는 문화콘텐츠를 단계별로 선정 제시하는 것이 본 논문의 최종적인 목적이다.

      • KCI등재

        중국인 학습자 대상의 소셜미디어를 활용한 한국어교육 콘텐츠 개발 연구 -미디어 콘텐츠의 상호작용성 강화를 중심으로

        易静 한중인문학회 2021 한중인문학연구 Vol.71 No.-

        본 연구는 중국인 학습자를 대상으로 소셜미디어 플랫폼을 활용하여 상호작용적 한국어교 육 콘텐츠를 개발하는 데에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소셜미디어를 활용한 한국어교육의 연 구와 현황을 살펴봄으로써 기존 콘텐츠는 상호작용이 이루어지기 어렵다는 한계점을 짚어내 면서 한국어능력시험(TOPIK) 대비와 관련된 콘텐츠에 대한 학습자의 요구도 파악하였다. 중 국 소셜미디어 플랫폼 중 다양한 커뮤니티 기능을 제공하고 있는 비리비리(哔哩哔哩, Bilibili) 를 플랫폼으로 선정하여 학습자가 적극적으로 참여할 수 있는 상호작용적 한국어교육 콘텐츠 개발 방안을 마련하였다. TOPIK 시험대비를 위해 읽기 시험 25〜27번 문제 유형을 내용으로 다루었다. 콘텐츠는 대체로 ‘콘텐츠 도입 및 내용 제시-연습을 위한 언어 학습-실전 문제 및 답안해설-마무리’로 구성되었으나 인터랙티브 기능(互动视频)을 설계함으로써 학습자가 직 접 선택한 바에 따라 동영상이 이어지며 학습자만의 콘텐츠가 형성된다. 마지막으로 개발된 콘텐츠를 비리비리에서 공개한 후에 이용자들을 인터뷰한 결과, 이용자들이 모두 콘텐츠의 구 성 및 내용, 또한 상호작용 측면을 긍정적으로 평가하고 있었다. 본 연구가 TOPIK 시험대비 와 관련된 내용으로 소셜미디어를 활용한 한국어교육 콘텐츠의 개발 및 적용 가능성을 보여 주었으나 앞으로 문법교육, 기능교육 등 영역으로 확장되어 더욱 체계적이며 심도 있는 논의 가 이루어질 필요가 있다. Previous research has found that Korean learning content on social media is more convenient but less interactive compared to the offline classroom. In this study, we will present a sample for the development of interactive Korean learning content on social media. For this research, a Chinese social media platform(Bilibili) has been analyzed to determine its adaptability for creating interactive Korean language learning content. Two features of the platform have been identified as advantages. First one is the bullet screen(弹幕) system provided by the platform that creates a new mode of user communication. The second one is the interactive video(互动视频) service that had potential to improve the interaction between users and the content. To benefit from these features and to cater to the needs of users an interactive video with the theme of TOPIK exam preparation has been designed. In this video, users could create their unique content and also communicate with other users through the bullet screen system. Users' feedback upon the participation has revealed their positive response to both the educational and interactive side of the content.

      • KCI등재

        증강현실을 활용한 한국어 학습 콘텐츠 개발

        박은하(Eunha Park),전진우(Jinwoo Jeon) 한국콘텐츠학회 2013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13 No.4

        증강현실의 기술이 발전함에 따라서, 증강현실이 다양한 분야에 적용하려는 시도가 늘어나고 이에 대한 활용에도 기대가 모아지고 있다. 요즘 국내에서 다문화 사회로의 변모와 국외에서는 한류의 영향으로, 한국어를 배우려는 한국어 학습자들이 증가하고 있다. 또한 정보통신기술의 발달로 교육 매체가 다양해짐에 따라, 최신 기술을 도입한 한국어 학습 콘텐츠 개발에 관심을 기울이고 있다. 하지만 증강현실을 활용한 한국어 콘텐츠 개발이 미비하여 본고는 증강현실을 활용한 한국어 학습 콘텐츠 개발 사례를 소개하고자 한다. 지금까지의 한국어 교육은 책을 읽거나 영상물을 통한 지식 학습에 국한되어 있어서 본 연구는 한국어 교육의 학습 효율성을 높이고 학습자가 학업 성취, 흥미, 몰입을 높이는 학습 콘텐츠를 만들고자 하였다. 한국어 학습 콘텐츠를 개발함에 있어 동화의 교육적 이점과 배경지식의 용이성을 고려하여 동화를 매개로 한국어 학습 콘텐츠를 구상하였고 컴퓨터, 화상카메라, 그리고 마커가 있으면 증강현실이 가능하게 할 수 있는 구현 방법으로 제작하였다. 증강현실 기술을 충분히 느낄 수 있는 동화 콘텐츠와 한국어를 학습할 수 있는 학습 콘텐츠로 구성되어 있어 증강현실 기술을 활용할 수 없는 상황에서도 한국어 학습을 가능하게 하여 기존의 학습 매체와 새로운 학습 매체의 조화를 이룬다. 본 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하여 한국어 교육에서 증강현실이라는 새로운 기술을 이용한 연구가 활성화되기를 기대하며 향후 다양하고 상용화할 수 있는 증강현실 한국어 콘텐츠가 개발되어야 할 것이다. With advancements in augmented reality technology, attempts to apply it in various fields have increased. With advancements in information technology and a growth in the number of Korean learners in Korea and abroad, there is a growing demand for state-of-the-art Korean learning contents. Because the Korean learning contents developed using augmented reality have been found insufficient, this paper investigates ways to develop better contents. This paper proposes ways to develop learning contents that can increase learners interest in learning and lead to academic achievement, because the methods of education in Korea are limited to textbook learning and learning through the media. Because of the structure of fairytales and the educational lessons that can be learned from them, Korean learning contents are developed using fairytales. Additionally, Korean contents are designed to implement augmented reality technology, and learners need only have computers, webcams, and markers to make use of it. In consideration of Korean learners who do not have access to augmented reality technology, this paper clarifies that there should be a harmony between existing and new Korean learning contents. On the basis of this study, further studies on Korean education exploring the role of augmented reality should be conducted so that Korean learning contents that use diverse types of augmented reality technology can be will developed.

      • KCI등재

        한류 콘텐츠를 활용한 한국어 문법 교육 사례 연구

        이영제 겨레어문학회 2019 겨레어문학 Vol.63 No.-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show the educational contents that can help Korean language learners' motives for grammar learning by applying the characteristics of Korean Wave contents to Korean grammar education. In addition, this paper intends to suggest an teaching contents that can help to strengthen the motivation of grammar learning among Korean language learners as foreign language. The previous studies mostly aimed to educate Korean culture based on the contents of songs, films or dramas, and had limitations in pursuing integrated cultural and functional education including listening and speaking. This could not lead to interest in grammar education and could not need to teach grammar. In this paper, we collected and processed contents that could be useful for teaching and learning Korean grammar for applying to the beginning of the lesson. In order to apply media such as Korean Wave contents to Korean grammar education, it is necessary to collect relevant contents suitable for the educational process, unlike cultural education or functional education. This study aims to show that the processed data can be applied to the areas of pronunciation education, word and sentence education, meaning and discourse education. The use of Korean Wave contents media materials will help learners to increase their motivation to learn and to maintain the duration and level of learning Korean. Understanding grammar content not only enhances students' ability to use Korean and advances to higher level learning, but also contributes to improving logical thinking and creativity of learners. 본고는 한류 콘텐츠의 특성을 활용하여 한국어 문법 교육에 적용함으로써 한국어교육 학습자들의 문법 학습 동기를 강화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는 교육 내용을 사례 제시의 형식으로 보이고자 하였다. 매체 자료를 활용한 한국어교육 관련 선행연구들에서는 영화나 드라마의 내용을 통하여 한국 문화를 교육하거나 이에 더해 듣기, 말하기 교육까지 확대하는 방식의 통합적 기능 교육을 추구하였다. 그런 까닭에 한국어 문법 교육에 매체를 활용한 교육 방안이나 사례를 제시한 논의는 거의 찾아보기 어려웠다. 본고에서는 한국어 문법 교육에 활용할 만한 콘텐츠를 수집한 후 이를 가공하여 수업의 도입부에 적용하는 것을 전제로 관련 자료를 검토하였다. 한류 콘텐츠 등의 매체를 한국어 문법 교육에 적용하기 위해서는 문화 교육이나 기능 교육과 달리 문법 현상과 관련된 콘텐츠를 수집하고 이를 교육 과정에 맞게 적절히 가공해야 한다. 본고는 가공된 자료를 발음 교육, 단어 및 문장 교육, 의미 및 담화 교육의 영역별로 나누어 어떤 내용의 콘텐츠를 활용하는 것이 효과적인지 사례 중심으로 보이고자 하였다. K팝 장르의 가사나 드라마 대사, 관련된 각종 동영상 자료 등에서 내용적으로 문법 교육과 직간접적으로 연관되는 것들을 선별하였는데, 실제 사용 중심이면서 한국어 자료로서도 가치 있는 내용이 될 것이다. 한류 콘텐츠 매체 자료의 활용은 학습자들의 흥미를 유발함으로써 학습자들의 학습 의욕을 향상시키고 학습 기간과 수준을 지속시키는 데 도움이 된다. 즉, 문법 내용에 대한 이해는 학습자들의 한국어 사용 능력을 신장시키고 고급 단계로 나아갈 수 있도록 할 뿐만 아니라 논리적 사고력과 창의력을 향상시키는 데에도 기여할 수 있다.

      • 중국 한국어학과 교육과정 개선 방향과 실천적 대안으로서의 내용 중심 수업 활용 방안 연구

        최정순 ( Choe-jeong Soon ) 한국어교육연구소 2018 한국어교육연구 Vol.13 No.1

        본 연구는 중국 한국어학과의 교육과정 개선의 한 방편으로서 교육방법론적 제안을 하는 데에 목적이 있다. 중국의 한국어과 전공생들은 중국 현지에서 한국어를 배우기 때문에 한국어에 노출되는 시간과 기회가 제한적일 수밖에 없고, 교육과정 특성상 3, 4학년이 되면 내용학 교과목을 필수적으로 이수해야 한다. 중국 한국어과의 이러한 특수성에 주목한 본 연구는 내용학 교과목을 한국어 교육으로 포괄할 필요성을 주장하고, 한국어학 전공생들이 한국 관련 전문 배경지식을 쌓으면서 동시에 한국어에 노출될 수 있는 기회를 확대하는 방안으로 언어 교수 방법론 중 하나인 ‘내용 중심 수업(CBI, Content-based Instruction)’을 제안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2장에서는 내용 중심 수업의 개념과 주요 원리를 살펴보았다. 특정한 과목이나 주제를 중심으로 수업하면서 그 과정에서 목표 언어의 학습을 도모하는 내용 중심 수업 방식은 내용과 언어의 통합 정도에 따라 크게 네 가지 모형으로 분류된다. 몰입 수업 모형, 내용 보호 수업 모형, 언어 부가적 수업 모형, 주제 중심 수업 모형이 그것인데, 3장에서는 이들 모형 각각의 특징과 중국의 한국어과가 처한 상황을 고려하여 내용 중심 수업을 중국 한국어과 교육과정에 적용할 수 있는 방안을 학년별, 교과목별로 모색하였다. 1, 2학년 때는 한국어 수업 시간에 주제 중심 모형을 적용하고, 3, 4학년 때는 내용학 수업 시간에 내용 보호 수업 모형과 언어 부가적 수업 모형을 적용할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내용학 교과목 중 한국 관련 전반적인 배경 지식을 쌓는 과목에는 내용 보호 수업 모형을, 그리고 학생들의 흥미와 관심에 따라 보다 전문적 지식을 가르치는 과목에는 언어 부가적 수업 모형을 도입할 것을 제안하였다. 본고는 내용 중심 수업의 실행을 위한 구체적인 해결 방안을 제시하지 못한 한계가 있으나, 그간 한국어 교육에서 관심을 두지 않았던 중국 한국어학과의 내용학 교과목에 초점을 맞추고, 내용 중심 수업이라는 언어 교육의 방법론으로 접근하였다는 점에서 의의를 가진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make a suggestion regarding teaching methodology as a way of curricular improvement in the department of Korean in China. Students majoring in Korean Language in China cannot but have limited time and chances to be exposed to Korean Language because they learn Korean in China and are required to take the subjects of contents when they are juniors and seniors, as needed by the curriculum. Paying attention to these characteristics of the department of Korean Language in China, this study aimed to indicate the need to include the subjects of contents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and suggest Content-Based Instruction (CBI), which is a type of language teaching methodology as a way of providing students majoring in Korean Language with more chances to accumulate background knowledge regarding Korea as well as to be exposed to Korean. To do this, Chapter 2 reviewed the concept and major principles of CBI. The method of CBI to help learn a target language while giving instruction based on a specific subject or topic can largely be presented in four models: Immersion Model, Sheltered Instruction Model, Adjunct Model, and Theme-Based Model. Chapter 3 tried to find out how to apply CBI to the curriculum for each year and subject in the department of Korean Language in China, taking into account the characteristics of each model and the situation of the department in China. It would be possible to apply the Theme-Based Model during Korean classes for freshmen and sophomores and the Sheltered-Instruction Model and Adjunct Models during contents classes for juniors and seniors. Of the subjects of contents, it would be desirable to introduce the Sheltered-Instruction Model for the subjects to accumulate general background knowledge about Korea and the Adjunct Model for the subjects to get expertise based on students’ interest and concerns. Although this study failed to present a specific way of implementing CBI, it is significant in that the focus has been placed on the subjects of contents in the department of Korean Language in China, which had not been the focus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and in that the approach was made to the methodology of language education: CBI.

      • KCI등재

        한국어 교육과정의 읽기 내용 성취기준 연구

        이은진(Lee Eun jin),권연진(Kwon Yeon Jin)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5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5 No.6

        본 연구는 한국어 교육과정의 읽기 내용 성취기준을 마련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 다. 이 연구에서는 한국어 읽기 교육 내용을 지원할 수 있는 이론적·실제적 준거를 마련하여 이를 바탕으로 한국어 읽기 영역의 내용 성취기준을 제안할 것이다. 교육 과정이란 한국어 학습자의 의사소통 능력 신장을 견인하고, 실제 교수-학습 방법 및 평가를 타당하게 한다. 그러나 한국어 교육은 빠른 성장으로 현장 중심의 연구가 활 발하게 이루어지면서 교육과정 차원의 논의가 부족하였다. 현재 공식적 차원의 외국 어로서의 한국어 교육과정이 마련되어 있지 않을 뿐 아니라 이를 위한 이론 기반 연 구도 미비한 실정이다. 특히 외국어 교육에서 읽기는 다른 기능의 학습을 돕고 문화 적 소양을 신장시키는 중요한 역할을 하기 때문에 한국어 교육에서 이를 체계적으 로 이끌어 줄 내용 성취기준의 마련이 시급하다. 이에 본 연구는 한국어 읽기를 지 원할 수 있는 읽기 내용 성취기준의 구성 방안을 마련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먼저 외국어 읽기 이론을 검토하여 외국어 읽기 국면에서 상호 작용하는 세 축을 밝히고, 각각의 하위 차원에서 외국어 읽기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탐색하였다. 또 국내·외 외국어 교육과정의 읽기 성취기준 분석을 통해 시사점을 얻어 한국어 교육과정의 수준별 읽기 내용 성취기준을 구성하였다. This study aims to develop achievement standards of Korean reading curriculum. In particular, it focuses on contents of Korean reading curriculum. purpose and necessity of this study. First of all, we reviewed theoretical background about the factors affecting foreign language reading and discussed reading component and some crucial factors. Through the theoretical review, we examined three components; text, reader, and context were selected. Then, factors in these components were identified. Text factors were selected by Bottom-up models, reader’s factors by Top-down models, and context factors by Social constructionism. Next, we analyzed reading curriculum standards for foreign language. This analysis and discussion were done to identify how reading affecting factors are reflected in foreign language reading curriculum. In addition, Korean language materials were analyzed in terms of Korean education’s experience and know-how. Finally, we established main objectives of Korean reading curriculum for basic, intermediate, and advanced levels. The achievement standards of Korean reading curriculum for 3 levels were set. It was reflection of influencing factors of foreign language and results.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useful for future studies. By proposing reading curriculum constitution that reflects the uniqueness of the Korean education, we expect to help in the subsequent study on Korean reading education and curriculum.

      • KCI등재

        한국어교육실습 내용과 방법에 관한 학습자 인식 연구 - 모의 수업ㆍ강의 실습을 중심으로 -

        기준성 국제한국언어문화학회 2015 한국언어문화학 Vol.12 No.2

        이 논문에서는 한국어교육실습에서 모의 수업과 강의 실습의 내용과방법에 관한 수강생의 인식을 설문조사 결과를 토대로 제시하였다. 모의 수업과 강의 실습의 내용에 관한 인식은 크게 실습 영역에 관한 인식과 실습 내용에 관한 인식으로 나누어 조사하였고, 모의 수업과 강의 실습의 방법에 관한 인식은 실습 대상, 실습 시간, 실습 유형, 실습방법으로 나누어 조사하였다. 지금까지 분석한 과정과 논의한 내용을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한국어교육 참관 및 실습’ 수강생은 실습 영역으로 기능 영역과지식 영역이 가장 적절하다고 생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한국어교육 참관 및 실습’ 수강생은 실습 내용으로 기능 영역에서는 말하기, 지식 영역에서는 문법이 가장 적절하다고 생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한국어교육 참관 및 실습’ 수강생은 실습 대상으로 중급 학습자와 초급 학습자가 가장 적절하다고 생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한국어교육 참관 및 실습’ 수강생은 실습 시간으로 1회당 약 20 분과 약 30분이 가장 적절하다고 생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한국어교육 참관 및 실습’ 수강생은 실습 유형으로 ‘한국어 학습자 대상 모의 수업’과 ‘한국어교육 기관에서 강의 실습’이 가장 적절하다고 생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여섯째, ‘한국어교육 참관 및 실습’ 수강생은 실습 방법으로 각 1회 이상의 오프라인-온라인 혼합 실습과 2회 이상의 오프라인 실습이 가장적절하다고 생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Through a survey questionnaire, this study reveals learners’ perception on contents and methods of a mock class and practice teaching in line with Korean practicum. Perception on contents of a mock class and practice teaching is analyzed in two dimensions-perception on practicum domain and perception on practicum contents. And perception on methods of a mock class and practice teaching is scrutinized in four dimensions-practicum subject, practicum time, practicum type, and practicum methods. The summary of the findings are the followings: First, students in Korean practicum perceive that the function domain and the knowledge domain are the most appropriate practicum domains. Second, students in Korean practicum perceive that speaking in the function domain and grammar in the knowledge domain are the most appropriate practicum contents. Third, students in Korean practicum perceive that learners in intermediate and beginner levels are the most appropriate practicum subjects. Forth, students in Korean practicum perceive that about 20 minutes per session and 30 minutes per session are the most appropriate teaching practicum times. Fifth, students in Korean practicum perceive that ‘a mock class for Korean learners’ and ‘teaching practice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institute’ are the most appropriate practicum types. Last, students in Korean practicum perceive that more than one time of on- and off-line combined practicum and more than two times of off-line practicum are the most appropriate practicum methods.

      • KCI등재

        제1차 국제학술대회 ; 다문화 배경 학습자를 위한 한국어 교육과정의 내용 체계

        전은주 ( Eun Ju Jeon ) 국어교육학회 2012 國語敎育學硏究 Vol.45 No.-

        이 연구에서는 다문화 배경 학습자를 위한 한국어(KSL) 교육과정의 특징과 목표를 살펴본 뒤 교육 내용 체계를 구성하고자 하였다.한국어 교육과정의 내용은, 한국어 교육과정 목표를 분석하여 이에 따라 내용의 영역을 구분하고, 범주화하고, 범주 간의 관련성에 따라 구조화하는 과정을 거쳐 체계화가 가능하다. 이와 같이 다문화가정 학생을 위한 한국어 교육과정의 내용 체계를 구성함으로써 교육의 내용을 체계적으로 제시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이 교육과정의 특성과 강조점을 명시적으로 드러낼 수 있다. 다문화 배경 학습자를 위한 한국어 교육과정의 내용은 크게 `생활 한국어`영역과 ``학습 한국어 영역``으로 구분 가능하다. 이들 영역의 내용 체계는 둘다 ``언어 기능``, ``언어 재료``, ``태도``, ``문화 의식`` 범주로 구성할 수 있으며, ``언어 재료`` 범주의 하위 내용에 있어 차이가 있다. ``생활 한국어`` 영역의 ``언어 재료``가 ``주제, 어휘, 문법, 텍스트 유형, 의사소통 기능, 의사소통 전략`` 등으로 구성되는 데 비해 ``학습 한국어`` 영역의 ``언어 재료``는 ``교과 주제별 핵심 어휘, 학습 의사소통 기능, 학습 의사소통 전략``등으로 구성된다. This study investigated the characteristics and aims of Korean (KSL) education curriculum for students with a multi-cultural background and tried to constitute an education contents system. The contents for Korean education curriculum can be systemized by analyzing its goal, dividing, categorizing, and structuring, in relation to the categories defined, the contents domain for education. Thus, by composing the contents system of Korean education curriculum for students with a multi-cultural background, one can not only provide education contents systematically, but clearly show the characteristics and emphasis of the curriculum, as well. We categorized the educational contents required for a multi-cultural student to achieve the goals of such Korean curriculum and suggested a `contents system`. The contents of Korean curriculum for multi-cultural students are made up of `living Korean` and `academic purpose Korean` domains.Both of the two domains above are composed of the categories such as `language skill`, `language material`, `attitude`, and `cultural consciousness`. Between the two domains, one can find differences in the category of `language material`. The language material for the `living Korean` domain is made up of topics, vocabulary, grammar, text pattern, communication function and communication strategy, while language material for the domain of `academic purpose Korean` is composed of key vocabulary for the subject topic, learning communication skill and learning communication strategy.

      • KCI등재

        학문 목적 한국어 교재의 한국문화 교육 내용 분석

        유현정(Ryu Hyun-jung) 국어문학회 2017 국어문학 Vol.65 No.-

        본 연구는 학문 목적 한국어 학습자의 한국생활 적응 및 학업 수행 능력향상을 위해 학문 목적 한국어 교육과정에서 한국문화 교육이 적극적으로 이루어져야 할 필요성이 있음을 인식하고, 현재 학문 목적 한국어 교육과정에서 사용되고 있는 한국어 교재에 제시된 한국문화 내용을 분석하여 학문목적 한국어 학습자의 학습 과정에 필요한 문화 내용의 제시 현황 및 체계화 정도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최근 정부의 적극적인 외국인 유학생 유치확대 정책으로 한국 대학(원)에 진학하기 위해 한국을 찾는 유학생이 급증하고 있으나 이들 중 많은 수가 학업을 중도 포기하는 등의 부작용도 발생하고 있다. 이러한 문제의 해결을 위해서는 유학생의 언어능력 향상과 함께 적극적인 문화 교육이 함께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본고에서는 학문 목적 한국어교육 현장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한국문화 교육의 양상을 고찰하기 위하여 학문 목적 한국어 교재의 한국문화 교육 내용을 추출하여 그 내용을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최근 학문 목적 한국어교육 현장에서 사용되고 있는 실제 자료의 분석을 토대로 학문 목적 한국어 교재의 한국문화 교육의 실태를 파악하였다는 데에 의의가 있다. 앞으로 더욱 가속화될 것으로 전망되는 학문 목적 학습자의 양적인 증가에 발맞추어 교육의 질적인 측면을 강화하기 위하여 한국문화의 구체적인 교육내용 선정 및 교육방안 구상에 관한 연구가 더욱 다양하게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degree of systematization of Korean cultural education by sorting out and analyzing the Korean cultural contents in Korean textbooks for academic purpose, based on the recognition of importance of Korean cultural education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The need for cultural education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for academic purpose is increasing with the significant increase in the number of the international undergraduate students in korean universities. Although this need is prevalent, it is still not enough to learn about Korean culture from current Korean textbooks for academic purpose because there is not an approved standard to select the essential cultural items for Korean language education and to present them in the textbooks. This study tries to examine how Korean cultural education is going by sorting out and analyzing comparatively the Korean cultural contents in Korean textbooks for advanced course and undergraduate course. The result suggests some points to be modified or improved in Korean cultural education for academic purpose. This study is significant as it recognizes the importance of cultural education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for academic purpose and attempts to analyze the vast real-world data. The result of this study is expected to provide informations on anticipated future studies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for academic purpose for the international undergraduate students. Another expectation is that there will be many other studies in Korean cultural education for academic purpose as how to present various Korean cultural contents and how to teach the detail contents for proficient communication in Korean language of the international undergraduate students.

      • KCI등재

        유튜브(YouTube)의 한국어교육 채널 분석

        김민경(Kim Min Kyung)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9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9 No.8

        본 연구에서는 유튜브 한국어교육 채널이 가지는 교육적 가치에 주목하여 유튜브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한국어교육의 실제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유튜브의 인기 한국어교육 채널 가운데 콘텐츠 개발이 가장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는 채널 다섯 개를 선정해 콘텐츠 구성 현황 및 특성을 살펴보았다. 분석 대상으로 선정된 채널은 ‘Talk To Me In Korean, Learn Korean with KoreanClass101.com, Korean Unnie, Learn Korean with GO! Billy Korean, Minji Teaches Korean’이며 2019년 1월까지 개발된 콘텐츠에 대한 분석이 진행되었다. 분석 내용은 이러닝 콘텐츠 평가 연구에서 제시된 학습자 중심의 사용성 평가(usability evaluation) 기준을 따라 ‘교육 내용, 교수 설계,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대해 알아보았다. 이러한 분석을 통해 유튜브의 한국어 교육 채널에서 발음에서 어휘, 표현, 문화, 학습 전략에 이르기까지 폭넓은 교육을 실시하며 다양한 멀티미디어 자료를 활용한 효율적인 설명과 학습자의 흥미 유발에 주안점을 두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the reality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that is taking place on YouTube, focusing on the educational value of YouTube channels for Korean language education. From popular YouTube channels for Korean language education, five channels where the contents were being developed most actively were selected, and their contents composition and characteristics were examined. As the subjects of analysis, the following channels were selected: “Talk To Me In Korean,” “Learn Korean with KoreanClass101.com,” “Korean Unnie,” “Learn Korean with GO! Billy Korean,” and “Minji Teaches Korean.” The contents that had been developed until January 2019 were analyzed. As for the analysis, according to the learner-centered usability evaluation criteria that was proposed by e-learning contents evaluation research, “education contents,” “instructional design,” and “user interface” were investigated. Through such analysis, it was confirmed that YouTube channels for Korean language education are providing broad education from pronunciation to vocabulary, expressions, culture, and learning strategies, and they are focusing on explaining efficiently and arousing the learner’s interest by using various multi-media sourc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