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상담전문가 인력 현황 조사 연구 Ⅱ: (사)한국정신건강상담협의회 산하 학회 상담전문가들을 중심으로

        이형국 한국상담학회 2017 상담학연구 Vol.18 No.1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find out precise manpower state of counseling specialists educated and trained appropriately, in order to utilize it as foundational data to support both counseling-related policies and counseling specialists by enhancing and managing value of the certificate. For the purpose, the counseling specialists of Korean Mental Health Counselors Association(KMHCA)-affiliated associations(Korean Counseling Association, Korean Counseling Psychological Association, Korean Association of Christian Counseling & Psychology) answered online questionnaire about employment condition, job satisfaction to gain implication and improvement plan for supporting them.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2,919(22.99%) out of 12,698 counseling specialists of KMHCA-affiliated associations, and they consisted of 422 male and 2,497 female on sex, 659 in 30s or less, 1,123 in 40s, 1,115 in 50s or more on age, and 431 first-leveled and 2,488 second-level on certificate level). As a results, 84.0% out of respondents worked in counseling-related institutions such as counseling institution(62.3%), and educational institution(46.4%), etc. In case of condition of employment, 74.1% out of the respondents were in unstable condition involving contract worker 43.8% and part-time job 30.3%. In case of income, 57.2% who answered “less than 24,000,000 won” out of the respondent were under the average annual income (28,416,000 won) of workers according to National Statistical Office. In spite of the research results, job satisfaction as a counselor was 3.45 on 5 Likert scale and was influenced by income, employment condition, position, and, etc. The reasons of the unsatisfaction included income problem(86.1%), socially underestimated state(40.4%) in order, and respondents stated solutions for the unsatisfaction as high-qualified job creation(26.6%), improved work treatment(23.6%), and establishment of social status(19.3%), etc in order. This study had limitations in both the depth of survey contents and the method of analysis, becau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gain foundational data about manpower sate of the counseling specialists and to generalize it. In spite of these limitations, it was suggested that this study can be used as a basic data for follow-up studies of policy making and supporting the counseling specialists. 이 연구는 적정 수준의 교육과 수련을 통해 배출된 상담전문가들의 정확한 인력 현황을 조사하여 상담전문가 관련 정책과 지원방안 마련 및 자격의 효용가치 제고를 위한 개선방안 모색에 필요한 기초자료로 활용하기 위하여 수행된 것이다. 이를 위해서 이 연구에서는 사단법인 한국정신건강상담사협의회 산하 한국상담학회, 한국상담심리학회, 한국기독교상담심리학회의 자격을 갖춘 이들의 종사현황과 근무현황 및 진로선택 만족도 등 상담전문가로서의 정확한 인력 현황을 조사하고, 관련 의견들을 파악하여 상담전문가 지원에 대한 개선방안과 시사점을 얻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자격 소지자들을 대상으로 개발한 질문지 형태의 설문지를 통해 조사하였으며, 자격 소지자 12,698명 중 22.99%인 2,919명의 유효응답자(성별로는 남자 422명 여자 2,497명, 연령별로는 30대 이하 659명 40대 1123명 50대 이상 1,115명, 자격 수준별로는 1급 수준 상담전문가 431명, 2급 수준 상담전문가 2,488명)가 응답하였다. 조사 분석 결과 상담전문가들은 상담 및 상담 유관기관(62.3%), 교육기관(46.4%) 등에서 84.0%가 상담 관련 현직으로 종사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세부 취업현황을 살펴보면, 근무형태의 경우 유/무기계약직이 43.8%, 프리랜서 등 시간제가 30.3% 등 74.1%가 불안정한 근무형태를 가지고 있었으며, 연소득의 경우도 통계청 기준 근로자 평균 연봉(2,841.6만원)에도 못 미치는 2,400만원 이하가 57.2%로 나타나 열악한 일자리환경에 다수가 노출되어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상담전문가들의 진로선택 만족도는 3.45(5점 만점)로 나타났으며, 이러한 만족도는 소득, 근무형태, 직위 등에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불만족 사유로도 경제적 수입(86.1%), 사회 내 상담자 및 상담 자체에 대한 낮은 평가 분위기(40.4%) 등의 순으로 나타났으며, 그 해결방안에 대한 의견으로는 질 높은 상담 관련 일자리 창출(26.6%), 근무 처우 개선(23.6%), 사회적 위상 확립(19.3%) 등을 개진하였다. 이 연구는 일부 상담 관련 자격자에 한해 이루어진 연구를 일반화하여 상담전문가들의 인력 현황 관련 기초자료 확보를 전제로 시도된 만큼, 조사내용의 깊이나 결과분석 방법 등에 다소 한계가 있으나, 향후 상담전문가와 관련한 정책 입안 및 지원방안 등의 후속 연구의 좀 더 포괄적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기를 기대하며 후속 연구를 제안하고 있다.

      • KCI등재

        한국상담심리학회 현황 및 발전방안에 대한 학회원들의 인식 Ⅰ: 학회 제반 활동에 대한 학회원들의 만족도 및 요구

        서영석,안수정,안하얀,이소연 한국상담심리학회 2019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Vol.31 No.4

        The Korean Counseling Psychological Association (KCPA) has strived to the promote academic development and professionalism of its members throughout the past half century. This study explored future development directions for the KCPA to promote efficient operation and growth amid social and environmental changes. To this end, a survey questionnaire encompassing nine areas was developed, following examination of research on the current status and development of academic societies within and outside of counseling, and to the current major activities of the KCPA. The survey was provided to members with KCPA certificates, with data collected from 926 individuals, representing 15.82 percent of the 5,779 eligible members. Using the Scientist-Practitioner-Advocate model, the findings were classified into four categories (academic activities as scientific societies, education and training activities, social justice/advocacy activities, and organizational operation). Based on the problem consciousness of the members revealed through the results, short-term and mid- to long-term development measures are discussed. 한국상담심리학회는 지난 반세기의 역사를 통해 상담의 학문적 발전과 학회원들의 전문성 증진을 위해 노력해왔다. 본 연구는 한국상담심리학회가 사회환경 변화 속에서 효율적으로 조직을 운영하고 보다 건강하게 성장하기 위해 미래 발전방향을 모색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국내외 유사 학회들과 다른 학문 분야의 학회에서 실시한 학회 현황 및 발전방안 연구와 한국상담심리학회의 주요 활동 내용을 참고해서 총 9개 영역에 걸친 설문 문항을 제작하였다. 자료 수집을 위해 한국상담심리학회 상담전문가 자격증(상담심리사 1급, 2급)을 보유한 학회원들을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하였고, 자격 소지자 5,779명 중 15.82%에 해당하는 926명으로부터 자료를 수집하였다. 자료를 분석한 결과를 과학자-실무자-옹호자 모델을 토대로 세 개의 범주(‘과학을 지향하는 전문 학회로서의 학술 활동’, ‘상담 전문인력 양성을 위한 교육 및 수련 활동’, ‘사회적 책무 수행을 위한 사회정의/옹호 활동’)로 구분하고 ‘학회 조직 운영’을 추가하여 총 네 개의 범주로 기술하였다. 설문조사를 통해 드러난 학회원들의 문제의식을 토대로 학회의 단기 및 중장기 발전방안을 논하였다.

      • KCI등재

        한국상담심리학회 현황 및 발전방안에 대한 학회원들의 인식 Ⅱ: 포커스그룹 인터뷰 및 SWOT 분석 결과

        안하얀,이소연,서영석,안수정 한국상담심리학회 2019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Vol.31 No.4

        This is part of the study entitled “Members’ perceptions of the Korean Counseling Psychological Association’s current status and development plan,” which was conducted with the support of the 2019 KCPA Mid/Long-term Development Task Force Team. The researchers conducted focus group interviews with first- and second-degree certificated counseling psychologists. Through SWOT analysis we identified internal strengths and weaknesses, as well as external opportunities and threats potentially affecting the development of the association, and proposed mid/long-term development plans of the society. The results showed that 6 categories of internal strengths, 10 categories of weaknesses, 5 categories of external opportunities, and 5 categories of threats were derived. To prepare future development measures for the society to cope with changing internal and external environments, we developed SO (strengths-opportunities), ST (strengths-threats), WO (weaknesses-opportunities), and WT (weaknesses-threats) strategies, then reorganized the 16 strategies into implementation stages. Implications for the society and future research directions were discussed. 본 연구는 2019년도 한국상담심리학회 중장기발전TFT(Task Force Team)의 지원으로 수행된 ‘한국상담심리학회 현황 및 발전방안에 대한 학회원들의 인식’ 연구의 일부 내용을 담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상담심리사 1급과 2급 자격증을 소지한 학회원들을 대상으로 포커스그룹 인터뷰를 실시하였고, SWOT 분석을 통해 학회가 가지고 있는 내부 강점(Strengths)과 약점(Weaknesses), 그리고 학회 발전에 잠재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외부 기회(Opportunities)와 위협(Threats)을 파악한 후 학회의 중장기 발전방안을 제안하였다. 연구결과, 학회 내부 강점으로 6개 범주, 약점으로 10개 범주가 도출되었고, 학회 외부 기회로 5개 범주, 위협으로 5개 범주가 도출되었다. 변화하는 내적․외적 환경에 대응하기 위한 학회의 향후 발전방안을 마련하고자, SWOT 4요소를 토대로 SO전략(강점-기회 전략), ST전략(강점-위협 전략), WO전략(약점-기회 전략), WT전략(약점-위협 전략)을 수립하였으며, 수립한 총 16개의 전략들을 향후 학회가 단계적으로 실천할 전략들로 재구성하였다. 이를 토대로 학회에 대한 시사점과 후속연구에 대한 방향을 논하였다.

      • KCI등재

        한국 상담심리의 발전과정과 향후과제: 역대 한국 상담심리학회장들의 포커스 그룹인터뷰를 중심으로

        주은선 ( Joo Eunsun ),이경은 ( Lee Kyungeun ) 인하대학교 교육연구소 2018 교육문화연구 Vol.24 No.4

        본 연구는 역대 상담심리학회장들의 경험을 바탕으로 한국의 상담심리학의 발전해 온 과정을 살펴보고 앞으로 한국의 상담심리학이 발전하기 위한 방향을 찾고 향후 과제에 대해 살펴보고자 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역대 한국 상담심리학회장 12명을 대상으로 포커스 그룹인터뷰를 진행하고 이에 대해 질적 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3개의 주제와 6개의 범주, 각 범주에 대한 총 15개의 하위 범주로 결과가 도출 되었다. 첫 번째 주제는 상담심리학의 역사적 맥락으로 2개의 범주로 나뉜다. 범주1) 한국 상담심리학회의 탄생, 범주2) 상담의 급속한 성장. 두 번째 주제는 상담의 실용적 분야에 대한 발전으로 다음과 같이 2개의 범주로 나뉜다. 범주1) 사례연구회의 발전 과정 및 역할, 범주2) 슈퍼비전 영역의 발전 방향. 세 번째 주제는 상담분야의 향후 발전 과제로 다음과 같이 2개의 범주로 나뉜다. 범주1) 상담분야에서의 전문성 확보를 위한 체계 관리. 범주2) 자격증의 질적 팽창을 위한 체계 관리. 이러한 연구 결과를 중심으로 한국 상담심리학의 발전을 위한 실무적인 부분, 전문성 확보 그리고 통합성에 대한 논의가 제시되었다. This research examines the Korean counseling psychology's process of development and direction of development with future task based on the experience of 12 former presidents of the Korean Counseling Psychological Association. This results used focus group interview as qualitative research method, are summarized into 3 domains, 6 categories and 15 core ideas. The first domain is "history of Korean Counseling Psychology" with 2 categories: Category 1) Foundation of Korean Counseling Psychological Association; Category 2) Rapid growth of counseling in Korea; The second domain is "development of practicality in counseling psychology" with 2 categories: Category 1) History and role of the subsection case study group; Category 2) Supervision field’s direction of improvement. The third domain is “Future task of Counseling field” with 2 categories: Category 1) System administration for professionalism of counseling; Category 2) System administration for qualitative improvement. Suggestions are provided for subject of development in Korean Counseling Psychology with practicality, professionalism, and integrity.

      • KCI등재

        한국기독교상담심리학회 전문상담사의 자격제도의 전문성 및 활용 가능성 고찰 연구

        김정수 한국기독교상담심리학회 2022 한국기독교상담학회지 Vol.33 No.1

        Research on its professional has been insufficient due to the fact that the professional counselor of the Korean Christian Counseling Psychology Association is a Christian counselor. However, in the rapidly changing modern society including COVID-19 event, activities of counselors with more in-depth reflection on human existence and view are required. In this study, in order to examine the professional, speciality, and activities of professional counselors from KACCP, researcher study that the field of activity and the certification system with counselors from other counseling associations were compared and analyzed, and the characteristics and expandability of counselors were examined. Through this, it was confirmed that it was possible to have a sense of calling and identity of a counselor based on God's love as well as competencies such as spirituality and relationship based on the Christian spirit while having a certification system to secure the professional as a counselor. 한국기독교상담심리학회 전문상담사는 기독교 상담사라는 점으로 인해 일반 상담 영역에서 크게 주목받지 못하고 교회나 기독교 상담과 관련된 임상 현장에 국한된다는 인식이 있었다. 때문에 상담사로서 그 전문성에 대한 연구가 미진하였다. 하지만 코로나19 등으로 인해 급변하는 현대 사회에서는 인간 존재에 대한 깊이 있는 성찰과 인간관을 가진 상담 이론의 확장 및 상담사들의 활동이 더욱 요구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한기상 전문상담사의 전문성과 특징, 활동가능성을 살펴보고자 활동분야, 타학회 상담사들과의 자격제도를 비교분석, 상담사의 특성과 확장 가능성을 살펴보았다. 이를 통해 상담사로서 전문성을 확보하기 위한 자격제도를 갖추고 있으면서 기독교 정신을 바탕으로 한 영성, 관계성 등의 상담 전문가로서의 역량은 물론, 하나님의 사랑을 바탕으로 한 기독 상담사의 소명 의식과 정체성을 가질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 KCI등재

        상담심리학 연구 동향: 상담 및 심리치료학회지 게재논문(2012~2016) 분석 및 Journal of Counseling Psychology 게재논문과 비교를 중심으로

        박경애,백지은 한국상담심리학회 2017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Vol.29 No.4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and conduct a comparison of trends between the Korean Journal of Counseling and Psychotherapy and the Journal of Counseling Psychology. 219 articles published between 2012 and 2016, indicated personality and adjustment as the most popular topics (38%), followed by instrument development (13%) and career/job aptitude (10%). Research object was analyzed to consider a potential higher relationship with research themes, resulting in university students taking the largest portion (32%), young adults (16$) and adolescents (14%). While personality and adjustment and development of instruments targeted students, career development studies were aimed towards young adults. An in-depth analysis was conducted and determined that trauma, emotion regulation, attachment ad relation conflict were investigated most frequently. In comparison, 315 articles published in JCP with the same analysis frame, multicultural counseling/diversity with clinical clients/patients are studied more than Korean studies. Based on these results, meaningful findings and implications on the academic direction of domestic counseling research is suggested. 본 연구에서는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의 2012년~2016년까지 최근 5년간 게재된 219편의 논문에 대해 연구내용과 연구주제, 연구대상을 중심으로 분석하여, 최근 연구 내용 및 주제 동향을 알아보았다. 그 결과 성격특성/적응 연구가 38%로 가장 많았고 검사/도구개발 연구 13%. 진로/직업 연구 10% 순이었다. 연구주제와 밀접한 관련이 있는 연구대상을 분석한 결과 대학생 32%, 성인 초기 16%, 청소년 14%순이었다. 대학생과 청소년을 대상으로, 성격특성/적응, 도구개발 연구가 주로 이루어졌고, 성인 초기의 경우 성격 특성 및 적응 외에도 진로/직업 연구, 이론 개발과 관련한 연구주제가 많이 다루어졌다. 연구 주제를 세분화하여 분석한 결과, 성격특성 및 적응 연구 중 외상, 정서조절 기제, 애착이나 관계 갈등이 다루어지고 있었다. 해외학술지인 Journal of Counseling Psychology의 동기간 내 발표된 논문 315편에 대해 동일 분석틀을 기준으로 연구내용 및 주제를 분석, 비교한 결과 다문화/다양성 연구 집중 경향을 확인하였고, 국내 연구 대비 내담자/환자 대상 연구가 많은 것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국내 상담연구의 학문적 정체성에 대한 의미와 시사점, 향후 상담심리학 연구의 발전을 위한 제언을 하였다.

      • KCI등재

        상담심리학의 최근 연구동향: 상담 및 심리치료학회지 게재논문 분석(2000~2009)

        김계원,정종진,권희영,이윤주,김춘경 한국상담심리학회 2011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Vol.23 No.3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meta-analyze research trend of the Korean Journal of Counseling and Psychotherapy (KJCP) published by the Korean Counseling Psychological Association. Four hundreds eighty four articles published during past-10 years (2000-2009) had been categorized according to researchers, research subjects, research objects, research methods, and statistical analysis methods. Findings of the present study followed. First, the number of articles published has been increased every year. Second, the main research subjects were the personality and adjustment, development of instruments, outcomes, and career and aptitude. Third, common research objects were university students,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and adults. Fourth, the qualitative research method has been used mainly. The implications and suggestions to the future research conducted counseling psychologists in Korea are discussed. 본 연구는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에 게재된 논문을 분석하여 상담심리학의 최근 연구동향을 알아보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2000년 3월부터 2009년 12월까지 게재된 총 484편의 논문들을 대상으로 연구자소속, 연구대상, 연구주제, 연구방법, 통계분석 등에 초점을 두어 연구동향을 분석하였다. 이를 위한 통계처리는 빈도분석과 교차분석이 사용되었다. 분석결과, 연구자의 60.7%는 국내 대학교에 소속되어 있으며, 연구주제는 성격 및 적응연구가 36.8%로 가장 많았고 그 다음으로 척도개발연구, 성과연구, 진로 및 적성연구의 순으로 나타났다. 연구대상은 대학생이 37.1%로 가장 많았으며 그 다음으로 청소년, 상담자, 성인의 순으로 나타났고, 연구방법은 86.5%가 양적 연구로 이루어졌으며 12.2%를 차지한 질적 연구보다 현저히 많이 나타났다. 양적 통계분석에서는 변량분석이 24.9%로 가장 많이 나타났으며 그 다음으로 회귀분석, 요인분석의 순으로 나타났다. 질적 통계분석에는 합의적 분석이 가장 많이 나타났으며 그 다음으로 현상학적 분석, 사례분석의 순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연구결과가 지니는 의미와 시사점 그리고 상담심리학 연구의 발전을 위한 제언을 논의하였다.

      • KCI등재

        심리서비스에 대한 대국민 설문조사

        김석웅 한국임상심리학회 2023 한국심리학회지: 임상심리 연구와 실제 Vol.9 No.3

        본 조사는 국내에 부재한 심리서비스 관련 법안에 대한 국민의 인식을 살펴보고, 심리서비스 관련 법안의필요성을 밝히고 나아가 임상심리학회의 역할을 밝히고자 수행되었다. 조사는 전국 만 19세 이상의 성인을대상으로 2022년 8월 20일부터 9월 5일까지 온라인으로 이루어졌으며, 조사에 참여한 총 표본 수는 710명이었다. 조사내용은 ‘심리서비스 이용실태’, ‘심리서비스 이용 경험에 따른 욕구’, ‘심리서비스 제도에 대한인식’ 3개 영역으로 구성되었다. 조사결과, 전체 응답자 710명 중 338명이 심리서비스 이용 경험이 있었으며, 나머지 372명은 심리서비스 이용 경험이 없다고 응답하였다. 전체 응답자의 대다수에서 향후 심리서비스를 이용할 의향이 있다(75.8%)고 응답했으며, 심리서비스 기관을 선택하는 경로는 주로 ‘지인의 소개’를통해서였고, ‘인터넷 검색’, ‘기관 연계’, ‘지역 대학에 문의’ 등의 응답 순이었다. 심리서비스 기관을 선택하는 기준은 ‘보유 자격증’을 가장 먼저 꼽았고, ‘서비스 내용’, ‘비용’, ‘근접성’ 순이었다. 특히 20대는 ‘서비스 비용’을 가장 크게 고려하였으며, 20대의 경우 경제적 자립이 다른 연령대에 비해 상대적으로 낮을수 있어 ‘서비스 비용’이 심리서비스 기관 선택에 가장 크게 영향을 주고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상담자의 능력’을 심리서비스 선택 시 가장 중요한 요소라고 응답했으며, ‘상담자의 자격’, ‘상담자의 경력’, ‘상담비용’ 순으로 반응했다. 심리서비스 유경험자의 경우는 ‘상담자의 능력’을 더 중요하게 여겼으며, ‘상담자의 자격’도 심리서비스 이용 경험이 없는 경우 보다 더 크게 고려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전문인력이 갖추어야 할 자질과 자격에 ‘전문성’이 가장 중요하다고 생각했으며, ‘내담자를 존중하는 태도’, ‘비밀유지’, ‘도덕성’ 순으로 높았다. 심리서비스 관련 전문자격 취득 시 심리학을 전공해야 한다는 것에 ‘찬성한다’는 의견은 93.0%로 매우 높았고, 이는 전 연령대에서 동일하게 나타났다. This survey was conducted to examine the public’s perception of psychological service-related bills that are not in Korea, to clarify the need for psychological service-related bills, and to further clarify the role of the Clinical Psychological Association. The survey was conducted online from August 20 to September 5, 2022, targeting adults aged 19 or older across the country, with a total of 710 respondents participating. The survey consisted of three areas: “Use of psychological services,” “need based on experience of using psychological services,” and “awareness of the psychological service system.” According to the survey results, 338 out of the 710 respondents had prior experience with psychological services, while the remaining 372 indicated no such experience. Many respondents said that they were willing to use psychological services in the future (75.8%), and the primary avenues for selecting psychological service providers were “recommendation from acquaintances,” followed by “internet searches,” “institutional connections,” and “contacting local universities.” The criteria for selecting a psychological service institution were primarily centered on the “possession of certificate,” followed by “service offerings,” “cost.” In particular, those in their 20s considered “service cost” the most, and those in their 20s may have a relatively low economic independence compared to other age groups, indicating that “service cost” has the greatest impact on the choice of psychological service institutions. “Counselor’s ability” was the most important factor when choosing psychological services, followed by “counselor’s qualifications,” “counselor’s experience,” and “counselor fees.” In the case of those with experience in psychological services, the “ability of counselors” was considered more important, and the “qualification of counselors” was also considered more than those who had no experience in using psychological services. Many respondents believed that “professionalism” was the most important thing for individuals seeking qualifications in the field of psychological services, and it was high in the order of “a respectful attitude toward clients,” “commitment to confidentiality,” and “morality.” Notably, 93.0% of the respondents agreed that a major in psychology should be a prerequisite for acquiring professional qualifications related to psychological services, and this consensus held true across all age group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