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근현대 한국음악사 연구의 재조명 및 제언

        최선아 한국국악학회 2022 한국음악연구 Vol.71 No.-

        한국 근현대사는 다양한 정치ㆍ사회적 변화가 있었고 이러한 시대적 변화는 한국문화예술사에 큰 영향을 미쳤다. 따라서 한국 근현대사의 시대적 변화를 반영한 근현대 한국음악사의 시대구분에 대한 보다 활발한 논의가 필요하다. 근현대 한국음악사 연구에 활용되는 자료로는 신문ㆍ잡지 등의 문서 자료, 명인의 구술과 같이 구전되어 전해지다가 문자로 기록된 구술 자료, 유성기음반과 같이 문자로 되지 않은 유물 및 유적 등 실물 자료로 나눌 수 있다. 송방송의 『증보한국음악통사』(2007)에 활용된 근현대 음악사 연구 자료는 이전에 출판된 한국음악사에서 검토했던 것보다 자료의 유형과 내용이 훨씬 다양해졌다. 새로 발굴된 원전 자료와 학술ㆍ공연ㆍ창작 등의 연구 결과물이 근현대 한국음악사에서 구체적으로 소개되었기 때문이다. 이러한 그의 노력은 근현대 한국음악사 연구에서 역사적 기록을 바탕으로 한 심도 있는 실증적 연구를 가능케 하였다. 최근까지 근현대 한국음악사에서 주요 연구 주제와 집필 항목은 국립국악원, 국립극장 등 국악 기관과 단체에 관한 것이었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향후 근현대 한국음악사를 보다 입체적으로 그려내기 위해서는 집필 항목을 국악 활동 영역(공연ㆍ교육ㆍ학술ㆍ창작ㆍ비평), 국악 유통(공연장ㆍ대중매체ㆍ축제 및 경연 대회ㆍ음악교류), 국악 보존(박물관ㆍ악기 제작ㆍ아카이브) 등으로 확대하고 체계화할 필요가 있음을 제언하였다. 더불어 근현대 한국음악사의 다양한 변화의 원인과 결과를 이해하는 데 있어 문화예술정책, 국악정책 및 관련 법령 등을 함께 기술하는 것이 효과적임을 제시하였다.

      • KCI등재

        무용사 서술을 위한 무용구술채록문의 색인어 추출 연구

        최해리 무용역사기록학회 2014 무용역사기록학 Vol.33 No.-

        본 연구는 한국근현대무용사의 서술에 있어서 무용구술채록문의 활용을 위한 색인어 목록을 개발하는데 목 적을 두었다. 이를 위해 ‘해방 이후 한국 근현대 무용교육 및 무용창작’을 주제로 하는 한국문화예술위원회 아르코예술정보관(現 한국문화예술위원회 예술자료원)의 2008년과 2009년 무용구술채록문 48편을 분석하였 다. 한국문화예술위원회 예술자료원의 무용채록문을 분석한 결과, 1945년 해방 직후로부터 한국무용의 형성기, 그리고 무용교육과 창작이 숙성되던 1980년대를 지나 2000년까지 한국의 근현대무용사 55년을 총망라 한 다양한 주제어가 제시되었다. ‘해방 이후 한국 근현대 무용교육 및 무용창작’의 무용구술채록문과 주제어들 은 한국근현대무용사의 자료 부족과 결락을 보완하고 다양한 관점에서 연구 주제를 제시해 줄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한국근현대무용사 서술의 특수성을 고려하여 무용구술채록문의 상세목록을 한국무용사의 맥락에서 분석하고 색인어를 3단계로 추출하고 이를 목록화하였다. 이에 따라 1차 단계에서 주요 색인어를 15가지 대 항목으로 분류하고, 2차 단계에서 대항목과 연관되는 주제어를 중항목으로 도합 36건을 추출하였다. 그리고 3차 단계에서는 각 주제어와 연관된 용어 1,977건을 소항목으로 도출하였다. 본 연구가 제시하는 ‘해방 이후 한국 근현대 무용교육 및 무용창작’의 무용구술채록문 색인어 목록은 미시적 관점에서 한국근현대무용사와 관 련된 정보를 효율적으로 검색할 수 있는 통로가 될 수 있다. 거시적 관점에서 이 목록은 한국근현대무용사에 관련된 연구, 교육, 문화콘텐츠 창작을 위한 데이터베이스의 구축을 위한 분류 기반이 될 수 있을 것이다. Data related to the Korean modern dance history after the liberation is so poor, thus, most Korean dance historians feel like this period as “vacant of history.” Due to the nature of dances that disappeared right after the performance, the record of dance is always poorer than the other arts. Especially the technology of photo and video recording was not even a mean age at the time, the dance was only remained in the memory and experience of dancers and the audience. Oral dance history is a new scholastic field that collect and research those people’s memories and experiences. With the development of oral history, dance historians have possibility to write a new dance history. Thought oral dance history targeted at living dancers and utilized personal experience, most of the topic areas related to modern and contemporary dance periods and provided concrete evidence. Above all, oral history narratives as the primary source of oral dance history suggest new horizons for writing contemporary Korean dance history in the 20th century. In the dancer’s oral statement, it contains the growth process of dancer, and dancer’s regional, educational, occupational background, etc. That is, the dancer’s narratives are similar to anthropological, sociological, psychological information. Therefore, dance historian can evaluate identity or consciousness of dancers based on narrative flow of the them. Subsequently, dance historian could research on dance structures and systematic development with deeper understanding.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the list of key words for oral dance history statements. For this purpose, 48 oral dance history scripts of the Archive for Performing Arts at the Korea National Arts Council (KNAC) in 2008 and 2009 were analyzed. As the results of the analysis, the oral dance history scripts of KNAC displayed various aspects of data after the liberation of Korea, showing the missing data and lack of data in the past 55 years. Upon the information contained in oral dance history scripts, this study made list of key words considering the uniqueness of Korea dance history. First, 15 key words were cataloged as labeled terms. Then, 36 sub-terms were derived for the items that are associated with labeled items. Finally, 1,977 final-terms were extracted for the items associated with each topic in the sub-terms. In microscopic viewpoint, the key words list relating to the contemporary Korean dance history could be utilized for querying resources of writing Korean dance history in the 20th century. Macroscopically the list could be efficiently utilized for infrastructure of database of oral history involved in education, research, cultural contents.

      • KCI등재

        현대 한국 정치사 연구현황과 제언

        윤종문 한국근현대사학회 2022 한국 근현대사 연구 Vol.100 No.-

        The Association for Korean Modern and Contemporary History will publish the special edition reaching Journal of Korean Modern and Contemporary History Vol.100 issue in March, 2020. It took 28 years until Journal of Korean Modern and Contemporary History Vol.100 go out in the world. It was the result of participating many Korea Historian. Young and rising scholars will make a plan to check the past research position of The Association for Korean Modern and Contemporary History. This writer took charge of checking the contemporary Korea political paper including Journal of Korean Modern and Contemporary History Vol.1~99. The Various political topics, such as the Preparatory Committee for the Nation building, The Special committee for Investigation on Anti-national activity, Jeju 4.3 Incident, Yosun Incident was published in Journal of Korean Modern and Contemporary History Vol.1~99. The review task of The Association for Korean Modern and Contemporary History’s history shall be work the future of this association. This writer was a few recommendation for the future of The Association for Korean Modern and Contemporary History. This writer contend that Korea contemporary majors shall often writer Book Review of the major’s book. The second, our association need to joint Research. The last, This writer was suggest to published cultural historical books and to open culture class. These work will contribute sympathize Korean modern and contemporary history with general public. 2022년 3월 ≪한국근현대사연구≫ 100집이 나온다. 이는 28년이라는 시간과 수많은 한국근현대사 연구자들이 여기에 참여하여 만든 결과물이다. 소장, 신진학자들이 중심이 되어 지난날 한국근현대사학회의 연구현황을 점검해 보기로 했다. 필자는 ≪한국근현대사학회≫에 수록된 현대 한국 정치 논문 현황을맡았다. ≪한국근현대사학회≫에는 1945년부터 1980년대까지 건국준비위원회, 제주4·3사건, 반민특위, 여순사건, 5·18광주민주화운동 등 다양한 주제를가지고 여러 연구자들이 참여하고 있었다. 지난날 한국근현대사학회 역사를 점검한다는 것은 학회의 미래를 위한 것이다. 필자는 이를 위해 몇 가지를 제안했다. 첫 번째 제안은 현대사 전공자들의활발한 서평활동이었다. 두 번째로 연구자들이 모여 공동의 주제로 연구하고그것을 논문으로 생산해 내자는 것이다. 마지막으로 제안한 것은 젊은 현대사연구자들이 앞장서 교양총서를 발간하고 교양강좌를 개설하여 일반인들과 역사를 공유할 수 있는 길을 만들어가자는 것이다.

      • KCI등재후보

        『고등학교 한국근˙현대사』 교과서의 구국ㆍ독립운동사 관련 내용 분석

        한철호 국민대학교 한국학연구소 2009 한국학논총 Vol.32 No.-

        본고는 검인정 『고등학교 한국근ㆍ현대사』 교과서 6종의 구국ㆍ독립운동사 관련 내용을 검토ㆍ 분석하고 그 대안을 모색해보았다. 기존의 교과서 연구는 역사학계의 최근 성과를 바탕으로 역사적 사건ㆍ인물에 대한 사실과 용어 등의 오류를 지적하고 그 의의와 관점의 상이성을 밝히거나 중요 내용의 서술 여부를 비교ㆍ분석하는 데 치중되어 있다. 따라서 본고는 교과서가 한국근현대사에 해 학생들의 관심과 흥미를 유발하고 역사 인식을 배양하며 이해력ㆍ판단력을 배양한다는 역사 교육의 본질에 얼마나 부합하고 있는지에 초점을 맞추었다. 먼저, 교과서 저자들이 집필하는 데 결정적인 영향을 끼치는 준거안과 교육과정을 더욱 신중하게 마련할 것을 제안한다. 교과서의 집필은 검정제도 하에서 자율성이 주어지지만, 실제로는 준거안과 교육과정이 크게 제약을 가하고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준거안과 교육과정은 최소한의 가이드라인을 제시하고 집필자의 자율성을 최대한 보장해주는 쪽으로 개선될 필요가 있다. 아울러 준거안과 교육과정은 단원 편성과 관련해서 좀더 합리적인 체계를 제시하고, 학계의 성과를 가능한 한 최대로 반영하여 ‘을사조약’ 등 몇몇 역사적 사건이나 용어를 정립해주어야 한다. 다음, 한국근현대사 교과서는 구국ㆍ독립운동에 관련된 인물ㆍ단체들과 그 활동을 정확하고도 자세하게 서술하는 측면도 중요하지만, 그 경우 역효과를 초래할 수 있다는 점도 고려해야 한다. 학생들에게 현실적으로 교과서의 내용은 시험 혹은 입시와도 직결되어 있는 만큼, 과중한 내용은 오히려 암기 부담을 가중시킴으로써 역사교육의 본질을 훼손시키는 결과를 낳을 수도 있기 때문이다. 예컨대, 중요한 독립운동가나 단체를 신중하게 선택하여 그 의미를 올바로 파악할 수 있도록 서술하는 편이 좋을 듯하다. 마지막으로 한국근현대사 교과서는 역사에 대한 학생들의 관심과 흥미를 유발하고 역사 인식을 배양하며 이해력ㆍ판단력을 키운다는 역사 교육의 본질을 구현할 수 있도록 서술해야 한다. 이를 위해서는 역사적 사실을 단순하게 전달하는 방식을 지양하고, 그 사실이 지니는 의미 혹은 학습의 필요성을 학생 스스로 생각하거나 자연스럽게 깨달을 수 있도록 교과서의 체제를 혁신적으로 구성할 필요가 있다. 즉, 한국근현대사 과목은 사실을 암기하는 것이라는 그릇된 인식에서 벗어나 학생들로 하여금 한국근현대사의 전개과정을 다양한 관점에 입각해서 이해함과 동시에 그 성격과 의의를 스스로 파악할 수 있는 능력을 기르며, 나아가 현재의 상황을 구조적ㆍ입체적으로 판단할 수 있도록 집필되어야 한다는 것이다. 이를 위해서 각 단원 앞에 준거안과 교육과정을 형식적으로 요약ㆍ정리해서 학습목표로 설정하는 차원에서 벗어나 본문의 도입부에서 학생들이 잘 파악할 수 있도록 주제의식과 인식 방향을 쉽고도 흥미롭게 서술하는 방법을 제안하고 싶다. 그 경우 본문의 내용을 보조하는 차원에서 단순히 원사료와 사진을 싣기보다 이를 주제와 관련시켜 쉽게 풀어 설명하면서 학습목표를 제시하거나 역사적 사실을 현재의 상황과 연상토록 서술하여 이해력과 판단력을 높이는 것도 좋은 방안이라고 판단된다.

      • KCI등재

        한국 근대 정치·외교사 연구의 성과와 전망

        최보영 한국근현대사학회 2022 한국 근현대사 연구 Vol.100 No.-

        This study aims to understand the historiographical meanings of relevant researches by organizing the research performances in the field of politics/diplomacy published in the Journal of Korean Modern and Contemporary History in each theme. In most of those research performances, the researches got intensified to concretely understand the process in which Japan plundered Korea, and they thoroughly organized various aspects of people who performed this through new data and perspective. Nevertheless, the limitations of the journal could be mentioned together with the prospect as follows. Even though the researcher is not sure if it is proper to mention the limitations, the researcher aims to briefly mention them as they could be actually helpful for the development of the journal and researches on modern history. According to the statistics of the Korea Citation Index homepage of the National Research Foundation of Korea, the influence index of the Journal of Korean Modern and Contemporary History is 0.74, which is not very high. As this external index could be an objective evaluation of the Journal of Korean Modern and Contemporary History , it should not be simply ignored. There should be additional efforts to overcome such low influence and low awareness. Of course, in order to discover and foster rising researchers, the Journal of Korean Modern and Contemporary History has been operating the ‘Excellent Theses Award’ System since 2008. The journal’s role is to help more excellent researchers stand in the center of research by discovering, rewarding, and encouraging them. Carefully suggesting the future prospect based on such limitations, first, it would be necessary to actively seek for and discover the agenda suitable for the present time, rather than passively publishing the journal by simply depending on individual researchers’ submission. Second, the basis of researches on history is to discover, criticize, and utilize historical records. Due to the structural limitations of the journal, most of the researches are performed by individual researchers, which is working as a limitation that cannot expand the scale or period of researches. The economical and stable system needs to be equipped for pure researches on history. Therefore, the Journal of Korean Modern and Contemporary History would need to seek for the measures for vitalizing group researches by actively attracting small-scale research units and also investing a certain amount of support fund. 본 연구는 ≪한국근현대사연구≫에 게재된 정치·외교 분야의 연구성과를 주제별로 묶어 정리함으로써 관련 연구의 사학사적 의미를 파악하고자 한 것이다. 대체로 이들 연구성과는 일본의 한국 침탈 과정을 구체적으로 이해할 수 있는배경의 성격으로 연구가 심화되었으며 이를 수행한 인물군상의 다양한 면면을새로운 자료와 관점을 통해 잘 정리했다고 평가할 수 있다. 그럼에도 학회지가갖고 있는 한계를 전망과 아울러 언급하자면 다음과 같다. 사실 필자가 한계를언급하는 것이 적절한 것인지는 잘 모르겠으나 학회지와 근대사 연구의 발전에도움이 되길 바라면서 간략하게 언급해 두고자 한다. 한국연구재단 한국학술지인용색인 누리집의 통계에 따르면 ≪한국근현대사연구≫의 영향력지수는 0.74로 높은 편은 아니다. 이러한 외부 지표는 곧 ≪한국근현대사연구≫에 대한 객관적 평가일 수 있기 때문에 쉽사리 간과해서는 안될 것 같다. 낮은 영향력과 낮은 인지도를 극복하기 위해서는 별도의 노력이필요해 보인다. 물론 신진연구자 발굴 및 육성을 위해 한국근현대사학회는 2008년부터 ‘우수논문상 시상’제도를 운영하고 있다. 더 많은 우수 연구자를 발굴해 포상하고이들을 격려해 연구의 중심에 서도록 도움을 주는 것이 학회의 역할이지 않을까 생각한다. 이러한 한계를 바탕으로 향후 전망을 조심스럽게 제언하자면, 첫째 개별 연구자의 투고에 의지하는 수동적 학술지 발행이 아닌 시대에 맞는 어젠다를 적극적으로 모색하고 발굴해야 할 것이다. 둘째, 역사 연구의 기본은 사료의 발굴과 비판 및 활용에 있다. 학회가 가지는 구조적 한계로 인해 연구의 대부분이개별 연구자에 의해 진행되는 측면이 많다. 이는 연구의 규모나 기간을 확대시키지 못하는 한계로 작용한다. 순수한 역사 연구를 위한 경제적 안정적 시스템을 갖출 필요가 있다. 따라서 한국근현대사학회는 소규모 연구단위를 적극 유치하고 일정한 지원금을 투여해 집단연구를 활성화시킬 방안을 모색할 필요가있다.

      • KCI등재

        한국 근현대미술에 나타난 시각기호와 미적 가치에 대한 연구 : 자연모티브를 중심으로

        이주영 ( Joo-young Lee ) 한국미학예술학회 2016 美學·藝術學硏究 Vol.49 No.-

        본 연구는 한국 근현대미술에 대한 기호학적 연구의 필요성을 제안하고 한국미의 고유성을 이루는 시각기호의 상징을 탐구하였다. 이를 위하여 연구자는 첫째, 기호학적 미학의 연구 성과를 수렴하고 유형별로 그 특성을 논하면서 미적 가치가 기호학적인 관점에서 어떻게 논의되는가를 탐구하였다. 둘째, 그 결과를 한국 근현대미술의 미적 가치를 분석하기 위한 시각기호에 적용하였다. 자연은 한국 근현대미술을 관류하는 가장 중요한 미적 가치이다. 자연을 표현한 기호들은 그 자체가 미적인 것이 아니라 근원적 자연을 상징하는 기호의 의미작용 때문에 미적인 것이 된다. 한국 근현대작가들은 우리를 둘러싸고 있는 자연의 형상을 아름답게 형상화해내는 것 보다는 이러한 자연의 소재에 대한 철학적 성찰을 보여준다. 이들은 작품을 통해 자연을 암시하는 시각기호를 통해 자연의 근원적 의미를 묻는 미적 가치를 표현한다. 작품에 나타난 시각기호는 도상성의 정도 차이에 따라 자연을 구체적으로 드러낼 수도 있고, 상징적으로 지시할 수도 있고 자연과의 어떠한 외적 유사성도 갖지 않을 수 있다. 이러한 기호의 의미가 수용의 맥락에서 자연으로 이해되고 가치를 갖는 것은 기호해석의 규약성과 사회적 맥락에서 발생한다. 한국 근현대미술에서 자연을 암시하는 주된 기호적 특성은 점과 선, 원이다. 점과 선은 한국화가들에게 있어서 표현의 기본 단위로서, 특히 추상회화는 이 두 단위에 주로 기초하고 있다. 점은 무한한 것을 암시하는 최소한의 수단이다. 선을 반복적으로 활용하는 작가들은 이를 통해 삶의 리듬, 반복성, 우주의 무한성 등을 표현하고자 한다. 원은 점에서 출발한 것이고 점이 확장된 것이며 모든 것을 포괄한다. 우연성은 인간의 의도가 전적으로 개입되지 않는 자연적인 것을 표현하고자 하는 예술적 제스츄어이다. 여백은 자연의 발언이며 표현할 수 없는 것을 담고 있는 정보이다. 작가들은 흙, 모래, 돌, 나무, 한지 등의 자연적 재료를 선호하며, 이를 활용하여 자연의 가장 내재적 속성이 드러나게 만들고자 한다. 작가들은 작품에서 완벽한 것을 만들어낸다는 의도에서 거리를 두고 언제나 자연이 침투하게 만드는데, 이는 인간이 자연의 일부라는 기호적 표현이다. 한국 근현대 작가들은 시각기호를 통해 보이는 자연에서 보이지 않는 자연을 표현하고자 하는데, 이는 자연의 본질로서의 생성과 변화이다. 자연은 궁극적으로 표현할 수 없는 것에 대한 메타포로 나타난다. This study suggests the need for a semiotic study of modern and contemporary art in Korea and explores the symbol as a visual sign that forms the uniqueness of Korean beauty. To do this, the researcher first explored, through types of research into semiotics aesthetics, how the aesthetic values are discussed from the semiotic point of view. Those results were then applied to the field of visual signs for an analysis of the aesthetic values of Korean modern and contemporary art. Nature is the most important aesthetic value flowing through Korean modern and contemporary art. Signs, which express nature, are not themselves aesthetic but become so for the signification of signs that symbolize fundamental nature. Korean artists show a philosophical reflection on nature`s motives more than they form a nature beautifully surrounding us. They express the aesthetic value of nature, asking about its fundamental meaning through visual signs that suggest it. When this meaning of sign is understood and its value viewed in the context of acceptance, it can occur in the context of conventions for sign interpretation and of society. The main semiotic characteristics suggestive of nature in Korean modern and contemporary art are point, line and circle. Point and line are basic units of expression for Korean painters; their abstract paintings are mainly based on these two units. Point is a minimum means to imply the infinite. Artists make use of the line repeatedly, seeking to express the rhythm and repetition of life and the infinity of the universe. Circles, begun and expanded from the point, embrace everything. Contingency is an artistic gesture to express that human purpose is not entirely involved. Blank space is nature`s speech as well as information, both including what cannot be expressed. Artists prefer natural materials such as clay, sand, stone, wood, and hanji, and use them to reveal the most intrinsic properties of nature. They keep their distance from the intention to create the perfect work and let nature penetrate at any time. This attitude is a symbolic representation that humanity is a part of nature. Korean modern and contemporary artists want to express through visual signs creation and change, the invisible essence of nature. Nature appears as a metaphor for what ultimately cannot be expressed.

      • KCI등재

        언더우드의 ‘한국에 관한 서양 문헌’ 연구 -서지학의 경계에서, 한국어 관련 문헌을 중심으로-

        고경민 국제어문학회 2020 국제어문 Vol.0 No.86

        This is a study of “A Partial Bibliography of Occidental Literature on Korea” by the missionary and scholar of Korean, H.H. Underwood. Underwood published this work in 「TRANSACTION」 Vol 20 by RASKB in 1931, including 2882 books related to Korea over a total of 186 pages. This study aims to revise and add to the list, focusing on works related to Korean language and education. Although the list has been incorporated into the historical records for related studies, the bibliography has not been corrected to date, as it was difficult to check the original texts included in the bibliography. For this study, 110 books related to Korean literature were collected from the entire bibliography to supplement the information and confirm the revised contents and the original text. The current study began as a part of the “Study of Korean language study books for learners of modern Westerners.” Indeed, Underwood’s “A Partial Bibliography of Occidental Literature on Korea” forms an important foundational material for identifying Korean studies by Western researchers during this period. Thus, amendments and additions to this list are expected to form the basis of future research on Korean studies and Korean language education studies. 이 연구는 선교사이자 한국학자인 언더우드(H.H. Underwood, 원한경)가작성한 ‘한국에 관한 서양 문헌’에 대해 살핀 연구이다. 언더우는 1931년RASKB(왕립아시아학회 한국지부)에서 편찬하는 「TRANSACTION」 Vol 20 호에 이 결과물을 실었고, 전체 186페이지 2882권에 달하는 한국 관련 문헌을제시하였다. 본고는 이 가운데 한국어 및 한국어교육과 관련한 목록을 중심으로목록을 수정하고, 첨가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 연구이다. 그동안 관련 연구의 1 차 사료가 되었던 목록임에도 현재까지 잘못된 서지사항이 수정되지 않았고, 서지를 확인할 수 있는 원문 확인이 어렵다는 문제가 있었다. 이에 본고에서는 전체 서지 가운데 한국어 관련 문헌 목록 110권을 추려 정리하고, 수정된 내용과원문을 확인할 수 있는 정보를 <표>를 통해 제시하고자 한다. 이 연구는 ‘근현대 서양인 학습자 대상 한국어 학습서 연구’의 일환으로 시작하였다. 언더우드의 ‘한국에 관한 서양 문헌’은 이 시기 서양인 연구자들의 한국어 연구를 규명하는 중요한 토대 자료이기에 일부분이지만 이 목록을 수정하고, 첨가하는일이 한국어학 연구와 한국어교육 연구의 기초 자료가 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 KCI등재

        한말 민족운동 연구성과와 과제

        이성우 한국근현대사학회 2022 한국 근현대사 연구 Vol.100 No.-

        This study reviewed papers on the National Movement during late period of Joseon which have been published in the Journal of Korean Modern and Contemporary History. The researcher analyzed 55 papers and the topics were on Wijeongcheoksa Movement, Righteous Army Movement, Patriotic Enlightenment Movement, Patriotic Struggle, Jajeongsunkuk and Independence Movement in Foreign countries. Only 6.84 % of 55 papers in the Journal of Korean Modern and Contemporary History were on the National Movement during late period of Joseon, and 26 of 55 papers were on the Righteous Army Movement. 8 papers studied the Patriotic Enlightenment Movement and one or two papers were published for 10 years. It is due to researchers who got their doctorate during 1980~90. They have dominated the academic circles and paid little attention to the National Movement. This is why the publication rate of papers on the National Movement went down after 2010. The Association for Modern and Contemporary History need to consistently effort to nurture new scholars and seek for solutions for establishing the status of the Journal of Korean Modern and Contemporary History. 한국근현대사학회 학술지 ≪한국근현대사연구≫(1~99집)에 수록된 한말 민족운동의 연구성과와 과제를 검토한 연구이다. 분석대상 논문은 55편이며 한말위정척사사상과 위정척사운동, 의병전쟁, 계몽운동, 의열투쟁, 자정순국, 국외독립운동과 관련된 연구이다. 의병연구는 가장 많은 26편의 논문이 게재되었으며, 의열순국투쟁(14편)·계몽운동(8편)·위정척사사상과 위정척사운동(5편)·국외독립운동(2편) 순이다. 한말 민족운동 논문은 전체 수록논문의 6.84% 정도로 현저하게 낮았으며, 연구주제는 의병에 집중되었다. 이러한 현상은 1980~90년대 박사학위를 받은연구자들이 학계를 주도하면서 많은 연구성과가 축적된 결과이다. 이러한 연구성과들이 축적되면서 신진연구자들이 한말 민족운동으로 연구주제를 선정하지않는 경향을 보였다. 2010년 이후 한말 민족운동 관련 논문의 게재율이 현저하게 낮아진 것도 이러한 영향을 받은 것이다. 한국근현대사학회는 신진연구자양성을 위한 노력을 지속해서 추진해야 하며 ≪한국근현대사연구≫의 위상 정립을 위한 방안을 모색해야 한다.

      • KCI등재

        매체분석을 통해 본 노라노 패션과 한국 패션 고찰 (1) - 1950년대 중반부터 1960년대 중반까지 노라노 관련 영화 의상 자료를 중심으로 -

        박신미 한국패션디자인학회 2016 한국패션디자인학회지 Vol.16 No.4

        본 연구의 목적은 1950년대부터 1990년대까지 디자이너 노라노 소장 자료와 연구자 수집 노라노 관련 인쇄매체자료를 분석하여 노라노 패션과 한국 여성 패션의 현대화 양상을 객관적 자료에 근거해 고찰하는데 있다. 연구는 연구(1)과 연구(2)로 나누어 개진되며, 본고인 연구(1)에서는 한국 패션의 탈전통화 배경과 1956년부터 1966년까지의 노라노 영화 의상을 분석하여 탈전통화기의 트렌드와 영향을 고찰하고, 후속연구인 연구(2)에서는 1950년대부터 1990년대까지의 인쇄 및 영상 매체자료를 분석하여 현재까지 밝혀진 사실들을 재검증하고 한국 여성 패션 현대화의 주요 사건들을 객관적 자료에 근거해 추출할 것이다. 본고는 연구의 신뢰도를 높이기 위해 연구 분석대상을 연구대상자 소장 패션쇼 리플렛, 촬영시점이 기록된 사진자료, 신문, 패션전문잡지, 영화포스터 그리고 신문 박물관과 한국영상자료원 소장 자료들로 국한한다. 본고의 연구방법은 문헌연구와 내용분석이다. 또한 연구는 사실검증을 위해 노라노와의 심층면담을 세 차례 진행한다. 연구(1)의 결론은 다음과 같다. 한국전쟁 이전 한국 패션의 탈전통화 현상은 서양문물의 단순한 유입이 아닌 전도부인, 여학생, 유학생 등의 시대의 패션 리더들에 의해 구축된 것이었으며 이 시기는 간접적 탈전통화시대이다. 반면 전쟁 이후 스타일은 양장점에서 디자이너 브랜드로 도약한 최경자, 노라노, 서수연 등의 제1세대 디자이너에 의해 주도되었으며 이 시기는 우리 디자이너의 감각으로 트렌드를 주도하기 시작한 직접적 탈전통화 시기이다. 프랑스와 미국의 영향을 받은 노라노는 일본 패션 시스템에 영향을 받은 최경자와 함께 20세기 중반 한국 패션 스타일을 주도하였다. 노라노의 영화의상 분석결과 노라노는『아름다운 악녀(1958)』의 최지희를 팜므파탈의 여신으로,『배신(1964)』의 엄앵란을 한국의 오드리 헵번으로 만드는 등 여배우들의 스타일을 통해 국외의 트렌드를 국내에 전파시켰다. 해당 영화배우들의 스타일은 20세기 중반 한국 패션 트렌드를 주도하였으며 한국 패션의 현대화에 일조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analyze the modern phenomenon of Korean women's fashion and Nora Noh, who is one of the first generation of Korean fashion designers, through media materials from the 1950s to the 1990s. This research is structured into two parts and the current paper is the first section. The first paper is to examine the post-traditional phenomenon of Korean modern fashion and analyse the movie costumes of Nora Noh from 1955 to 1966. The research focuses on the objective materials by examining newspapers, leaflets of fashion shows, program sheets, movie posters and etc. The methodologies of the research include the qualitative and positive research methods such as reviewing the previous researches, interviewing Nora Noh and analyzing the content. The following conclusion was drown through the research (1). Before the Korean War, Korean women’s fashion was affected by female students who studied aborad or in local women’s Universities established by foreign entities and female missionaries who experienced western culture. The era was the indirect post-traditional period. However, after the war, the fashion trend was mainly led by the first generation of Korean fashion designers. The era switched to the direct post-traditional period. Nora Noh, who was inspired by the French and American fashion, and Kyungza Choi who was inspired by the Japanese fashion system were the trend leaders of the Korean modern fashion in the mid twenty century. Focusing on the movie costumes Nora Noh created the images of movie stars such as the muse of the Femme Fatale, Jeehee Choi, Um Aingran who were called Korean Audrey Hepburn, etc. The images of the movie stars were the bridges of the western fashion style into the public and became the key trend of Korean modern fashion in the mid twenty century.

      • KCI등재

        중·고교 한국 근현대사, 무엇을 언제 가르쳐야 하는가?

        정상우 역사교육연구회 2019 역사교육 Vol.152 No.-

        Academic achievements can be a valid channel in selecting and seeking ways to integrate modern and contemporary Korean history education, which is highly controversial. This paper is about the selection of Content elements and Sequence of Korean Modern and Contemporary History education in middle and high schools by quantitatively approaching academic achievements, not in terms of perspective about the past. In order to deliver the past to students in a limited time, education should be centered on issues that are more important to understand the past. So, what is the past that scholars consider important? If researchers judge that any event or phenomenon is important in understanding the past, the event must be studied more frequently, by more researchers. So, in the title of 27,000 research papers on modern and contemporary Korean history since 1958, 290 content elements for history education in secondary school were selected based on nouns and proper nouns that have appeared more than 10 times. Since the modern history of Korea is relatively short, one event is often linked to a number of events. So, in this paper, considering repeatability, I tried to make sequence centering on the connection between 290 selected content elements. Although the results of the analysis may differ from the existing content elements and the method of sequence, I hope that the academic and educational circles will help to discuss ways to select content elements and make sequence for the education of modern and contemporary history in middle and high schools. 연구 대상인 과거인 역사학은 체험을 통한 지식의 생성․전달이 극히 제한적이다. 과거를 그대로 재현하는 것은 불가능하며, 그렇기 때문에 역사를 가르치는 데에는 실험과 같은 방식을 이용할 수 없다. 더군다나 식민통치와 분단을 포함하는 한국의 근현대사는 관점의 차이에서 연유하는 사회적 논쟁이 가장 치열한 부분이기도 하다. 이처럼 경험해 볼 수 없으며, 사회적 논란이 거센 한국 근현대사 교육을 위한 내용 선정과 계열화 방안을 모색하는 데 있어 학계의 연구 성과는 유효한 통로가 될 수 있을 것이다. 이 논문은 어떠한 시각에서 과거를 정리했는가가 아니라 무엇을 통해 과거를 (재)구성했는가라는 입장에서 한국 근현대사에 대한 학계의 성과를 양적으로 접근하여 중고등학교에서의 역사교육을 위한 내용 선정과 계열화를 논의해 본 것이다. 제한된 시수 속에서 학생들에게 과거를 전달하기 위해서는 과거를 이해하는 데에 보다 중요한 사안을 중심으로 교육해야 한다. 그렇다면 학계에서 중요시하는 과거는 무엇일까? 만일 연구자들이 어떠한 사건이나 현상이 과거를 이해하는 데에 중요하다고 판단한다면 그 사건은 더 많은 연구자들에 의해, 더 빈번하게 연구될 수밖에 없다. 이에 이 논문에서는 1958년 이래 한국 근현대사를 다룬 27,000편의 연구 논문의 제목에서 10회 이상 등장한 명사와 고유명사를 중심으로 중등학교 한국 근현대사 교육을 위한 내용 요소 290개를 선정해 보았다. 한편 150여년에 달하는 한국의 근현대사는 다른 시대에 비해 상대적으로 짧음에도 불구하고 1970년대 이래 세 개의 시기로 구분되어 교육되고 있다. 상대적으로 짧다보니 하나의 사건이 여러 가지 사건과 연결되는 경우가 많을 뿐만 아니라 교육 현장에서 구분되는 세 개의 시기 가운데 어느 한 시기를 넘어 2개 이상의 시기에 연결되기도 한다. 이에 이 논문에서는 1차적으로 선정된 290개의 내용 요소들을 계속성을 고려하고, 이들 내용 요소들 사이의 연결 관계를 중심으로 구조화하여 계열화를 시도해 보았다. 분석의 결과가 기존의 내용 요소와 계열화 방식과 차이가 있겠지만 중고등학교에서 이루어지는 한국 근현대사 교육을 위한 내용 요소 선정과 계열화 방안을 모색함에 있어 학계와 교육계가 함께 논의해 나아가는 데에 도움이 되길 바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