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한국경영사학회 30년사(1986~2016)

        김성수(Sung-soo Kim) 韓國經營史學會 2017 經營史學 Vol.82 No.-

        본 연구의 목적은 한국경영사학회 30년사 가운데 도약기의 주요 연구 활동 과 그 성과를 고찰하는 데 두었다. 한국경영사학회 30년사 가운데 도약기는 1995년부터 1999년까지 5년간의 기간이며 김성수 교수(경희대)와 고승희 교수(단국대)가 학회장으로 활동하던 시기이다. 이 도약기에서 경영사학회의 중요활동과 성과는 크게 세 가지로 구분할 수 있다. 첫째는 도약기에 빛나는 경영사 학술연구 성과 둘째, 창업대상 수상자 결정, 셋째는 도약기 해외 학술탐사와 국제심포지엄 개최 등의 성과이다. 먼저, 도약기에 빛나는 경영사 학술연구의 성과와 창업대상 수상기업의 선정 등 2가지는 경영사학회의 기본적 주요 연구 활동이다. 따라서 (1) 광복 50주년기념 해방둥이 기업연구(1995) (2) 교보생명 창업자 대산 신용호 연구(1996) (3) 창립 10주년 기념 특집 학술논문집 발간(1996) (4)아남그룹 창업자 김향수 연구(1997.상) (5) 호암사상 재조명 연구(1997.하) (6) 한국경영사학회 임원들의 추천 논문집 발간(1998), (7) 현대그룹아산 정주영 연구(1999) 등은 경영사학회 도약기의 주요 연구 성과로 나타나고 있다. 다음으로 경영사학회의 도약기에 이룩한 또 하나의 큰 성과는 해외학술탐사와 국제심포지엄으로서 (1) 중세 지중해연안 상업 및 무역도시의 학술탐사와 심포지엄(이태리 베니스, 1995) (2) 고대 상업 및 무역도시 학술탐사와 심포지엄(그리이스 아테네, 1996) (3) 북구 바이킹 후예를 찾아서-북구 상업 및 무역도시 학술탐사와 심포지엄(스웨덴 스톡홀름, 1997) (4) 중국 학술탐사와 심포지엄(장춘세무대학, 1999)등이 돋보이고 있다. 이상 한국경영사학회 도약기는 21세기 New Millennium를 맞는 성장발전기의 중심의 시기가 되었다. The take-off stage of The Korean Academy of Business Historians 30 years is 5 years-period from 1995 to 1999 . The stage can divided into three key activities and performance First of all, distinguished academic research achievements on Korean business history during the stage. Secondly, selection of award winner for remarkable leading companies and those founders as entrepreneurs during the same period. Lastly, accomplishments of academic expedition abroad and international symposium on the history of business and economics in the globalization. In fact, academic research attainments and selection of award winners whom had great achievements in the business field as entrepreneurs were essential activities of the KABH during the stage; 1) The Studies on the Enterprises Founded at Independent year(1945) of Korea (1995)., (2) The Studies on the Yong-Ho Shin, Founder of Kyobo Life Insurance Co., Ltd (1996)., (3) The Studies on Hyang-Soo Kim, Founder of Anam Group(1997. A)., (4) The Review of Management thought of Hoam Bung-Chul Lee, Founder of Samsung Group (1997, B)., (5) A Studies to be sent to the editors, The Korean Academy of Business Historians (1998)., (6) The Studies on the Ju-Yung Chung, Founder of Hyundai Group (1999). In addition, the KABH achieved a great work in the stage that is accomplishments of academic expedition abroad and international symposium on the history of business and economics; (1) The Symposium on the History of Mediaeval Commerce and Trade City in the Mediterranean Sea (Venice Italy, 1995) and A Travel Report for Scientific of Medieval Commercial Town in Mediterranean Area (1995)., (2) A Travel Report for Scientific Research of Ancient Commercial and Trade Town : Overseas Research and International Symposium (Athens Greece, 1996)., (3) Northern Exposer : Descendents and China (Changchun, China, 1999).of Viking : Overseas Research and International Symposium on the of Business and Economics in Globalization (Stockholm, Sweden, 1997)., (4) Overseas Academic Research and International Symposium on the Business and Economic History of Korea Above the take-off stage became a pivotal moment of the growth phase faced the 21st New Millennium at the time.

      • KCI등재

        한국가정과교육학회 20년 활동의 성과와 과제

        조재순,전미경,이윤정 한국가정과교육학회 2009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Vol.21 No.3

        Since its establishment in 1989, Korean Home Economics Education Association has served as the premiere academic organization in the field, through the semiannual meetings, the journal, and other informal activities. The Association has played important roles in organizing the members and guiding the academic community in reacting to the many challenges that Home Economics Education in South Korea had to encounter due to the social and curricular changes. This study reviews the past 20 years' activities of Korean Home Economics Education Association in order to illuminate its accomplishments in terms of academic and non-academic activities. An assessment of the environmental changes was conducted, followed by thorough analyses of the semiannual meetings, informal activities, and the journal. The article is also discussing future tasks that the Association would need to pay attention to and thrive to accomplish in order to continue serving its role of guiding the academic community. 1989년에 창립된 이래, 한국가정과교육학회는 학술대회, 학술지 및 다양한 활동들을 통하여 이 분야의 주요 학술단체로서의 역할을 수행해 왔다. 사회적 환경 및 교육과정에서의 변화로 인하여 가정과교육이 맞게 된 다양한 도전과 문제들에 대응하기 위하여 학회는 회원들을 조직화하고 학술공동체를 이끄는 노력을 해 왔다. 이 연구는 지난 20여 년간의 한국가정과교육학회의 활동을 검토해 봄으로써 학회가 이루어 온 성과들을 정리하였다. 특히 가정과교육을 둘러싸고 있는 환경적 변화에 대하여 분석한 내용과, 지금까지의 학술대회 및 특별활동, 학술지를 분석한 결과를 제시하였다. 또한 이를 통하여 학회가 주도적 역할을 계속 수행하기 위하여 앞으로 관심을 기울이고 해결해야 할 과제들을 제시하고 있다.

      • 한글문화 자강활동과 한글독립투쟁의 발자취 : 한글학회외 성립과 발전을 중심으로

        이대로 한국어정보학회 2011 한국어정보학 Vol.13 No.1

        19세기말( 1890년대 ) 20세기(1990년)말에 걸친 지난 100년간 초창기의 한글자강활동, 일제강점기의 한글문화독립투쟁, 광복이후 한글문화 운동에 대하여 개략적으로 기술하였다. 초장기의 문화자강활동을 간략하게 정리하였으며 광복이후 문명퇴치와 기계화 운동에 대하여도 간략 기술하였다. 이 시기 가장 특기 할만한 사건은 한글학회(조선어학회)를 중심으로 전개된 통칭 조선어학회 사건이다. 한글문화 독립투쟁사는 물론이고 국권회복의 독립 투쟁사에서도 빛나는 성과이며 오늘날 한글문화 운동의 금자탑을 이룬 밑바탕이 되었다. 21 세기의 한글은 지난 시기 축적된 한글 문화 역량을 바탕으로 한글문화세계의 창조라는 새로운 과제를 안고 있다. 이 말은 한글을 중심으로 전개되는 자주적 언어문화, 보편적 한글 정보문화, 새로운 한글문화 산업의 전개를 통하여 문화 강국을 지향하고 국격을 높이는 활동을 말한다. 이를 국제적으로 확대하여 보편성을 확보하여 인류 문화발전에도 이바지 하는 계기로 삼아야 한다.

      • KCI등재

        일본 신종교의 문화사업과 콘텐츠 -일본 창가학회(創價學會)의 활동을 중심으로-

        제점숙 ( Jum-suk Je ) 한국신종교학회 2018 신종교연구 Vol.39 No.-

        종교의 문화사업 및 콘텐츠와 관련하여 일본 신종교의 사례를 소개하고 그 특징에 대해 고찰하는 것이 이글의 목적이다. 이를 위해 신종교 중 가장 많은 신자수를 확보하고 있는 창가학회를 대상으로 문화사업과 콘텐츠에 대해 고찰하였다. 창가학회 문화사업은 인류가 공통적으로 직면하고 있는 평화, 환경, 빈곤 등의 전 지구적 문제에 기반해 다채로운 사회활동을 전개하고 있다. 이러한 문화사업 활동 속에는 종교적 색채는 그리 농후하지 않지만, 그 중심에는 이케다 다이사쿠라는 인물이 자리하고 있었다. 결국, 창가학회의 사회공헌 활동은 창가학회라는 종교로 귀결되는 것은 당연하다. 한편, 창가학회 콘텐츠는 일반인이 아닌 회원을 주 대상으로 제작하고 있었지만, 온라인 스토어나 만화, CM, 영상 등과 같이 일반인들도 전혀 거부감 없이 접근 할 수 있도록 흥미롭게 구성되어 있다. 즉, 콘텐츠를 통한 직·간접적 종교 활동이 이루어지고 있는 것이다. 이처럼 창가학회의 문화사업과 콘텐츠는 종교활동과 공익을 위한 사회 활동의 경계가 애매한 가운데서 실시되고 있었는데, 이러한 애매한 경계를 종교 활동과 공익 활동으로 명확히 구분 짓기보다는 오늘날은 이러한 현상 그 자체를 일본 신종교의 종교 활동 그 자체로 인식해야 할 것이다. This study aims to introduce a case of Japanese new religion, concerning the cultural programs and contents of the religion and to investigate its characteristics. For this purpose, this study investigated the cultural programs and contents of Soka Gakkai, which secures the greatest number of believers among the new religions. Based on issues such as peace, environment and poverty that humanity faces in common, Soka Gakkai cultural programs develop varies social activities related to them. And yet, in these cultural programs, there is no strong religious color. In the meantime, the production of the Soka Gakkai contents is mainly targeted on its members instead of the general public. However, they have been produced in various forms so that the public can approach without any repulsion, e.g. Online store, cartoon, CM and video. In other words, direct or indirect religious activities are conducted through the contents. Like this, the cultural programs and contents of Soka Gakkai are implemented while the boundary between its religious activities and social activities for the public interest is vague. It is necessary to accept this phenomenon as a characteristic of the Japanese new religion, rather than clearly separating this vague boundary into religious activities and the activities for the public interest.

      • KCI등재

        한말 관동학회의 결성과 활동

        오영섭(Oh Young-Seob) 독립기념관 한국독립운동연구소 2010 한국독립운동사연구 Vol.0 No.36

        관동학회는 1908년 3월 강원도 출신의 중하급 관료들과 신지식층과 유학생들이 서울에서 창립한 애국계몽학회이다. 관동학회는 서북학회 · 기호학회 등 다른 학회의 활동에 자극받아 설립되었다. 관동학회는 1910년 11월 다른 학회들과 함께 중앙학교로 편입될 때까지 대략 2년 반 정도 기능을 발휘했다. 관동학회는 한말 강원도의 민족교육운동과 신교육운동을 대표하는 유일한 학회였다는 점에서 역사적 의미가 있다. 관동학회의 설립취지는 강원도의 근대교육을 진흥하는 것이었다. 관동학회 창립자들은 서양이 동양으로 진출하고 시대사조가 급속히 변화하는 시대에 국가의 강약과 성패는 문명개화의 달성 여부에 달려있다고 생각했다. 그들은 교육을 통해 문명개화를 달성하는 것만이 한국을 일제의 침략에서 구해내고 강원도를 노예의 처지에서 벗어나게 하는 길이라고 생각했다. 따라서 그들은 모든 강원인들이 분발하여 교육진흥에 매달려야 한다는 절대적 사명감에서 관동학회를 설립하였다. 관동학회는 강원도의 교육을 진흥하기 위해 지회와 학교를 설립하였다. 관동학회가 다른 학회들과 달리 토론회와 강연회를 중시하지 않고 지회와 학교 설립에 매달린 것은 강원도의 근대교육문제가 중요하다고 생각했기 때문이다. 관동학회는 강원 각지에 권유위원을 파송하여 군수와 유지들에게 지회 설립을 촉구하고, 이어 지회를 통해 학교를 설립해 나감으로써 교육구국운동을 강원도 전역으로 확산시켜 나갔다. 원주 · 강릉 · 춘천 · 횡성 · 양양 등 강원도 각지에 설립된 관동학회의 학교들은 근대교육을 통해 학생들의 애국계몽사상을 고취하고 인근 지역의 학교설립운동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관동학회는 강원지역의 교육진흥사업을 지속적으로 펼치지는 못하였다. 관동학회의 교육사업이 중단된 것은 외적 · 내적 요인이 동시에 작용한 결과였다. 그러한 요인으로는 1908년부터 심해진 일제의 학회 및 사립학교 탄압정책과 관동학회의 극심한 재정난을 들 수 있다. 일제의 탄압이 거세질수록 의연금과 기부금은 줄어들었고, 이것은 다시 관동학회의 극심한 재정난과 교육사업의 침체로 이어졌다. 따라서 임원들의 정력적인 모금활동에도 불구하고 관동학회는 설립된 당일부터 해체의 위험을 안고 있었다. 관동학회는 강원도에서 근대교육의 진흥과 확산에 상당한 공헌을 하였다. 강원도의 근대교육은 1895년 갑오경장의 신교육정책에 의해 공립학교들이 설립되면서부터 시작되었다. 그러나 1906년 통감부가 공립학교들을 친일교육기관으로 변질시킴에 따라 많은 사립학교들이 설립되어 민족교육운동을 펼쳤다. 그러나 이들 사립학교들은 재정난을 이기지 못하고 학교 문을 닫고 말았다. 이런 상황에서 관동학회가 다시금 강원지역 근대교육의 재흥분위기를 조성하는 계기를 만들었다. 요컨대 관동학회는 을사늑약 후부터 경술국치까지 강원도 각지에서 벌어진 두 차례의 교육구국운동 중에서 1908년 이후의 교육구국운동을 떠받드는 의미 있는 역할을 수행하였다.

      • 한국교육상담학회의 활동 방향 탐색: 한국교육상담학회의 활동과 학교상담 관련 학술논문의 주제를 중심으로

        임은미(Eun-Mi Lim) 한국교육상담학회 2023 교육상담연구 Vol.4 No.2

        This study aims to explore the direction of the Korean Education and Counseling Association(KECA)'s activities as an academic organization for counseling in education. For this purpose, an analysis was conducted on the academic activities of the KECA from 2020 onwards, as well as an analysis of the topics of papers published in major academic journals on educational counseling from 2013 to May 2023. The research results revealed the following. Firstly, the KECA has been publishing academic journals and organizing academic conferences since 2020. They have also been developing the curriculum for subjects such as 'Guidance and Counseling' and 'Understanding School Violence.' Through these activities, the association has established itself as a professional group of experts which study counseling from an educational perspective, taking into consideration the school system. As a result of analyzing papers published in related journals over the past decades, the subjects and targets of school counseling, school counseling methods and effects, school counseling research trends, school counseling systems and legalization studies have been underway. It can be seen that school counseling in Korea has a strong tendency to apply the knowledge and skills of counseling to schools rather than studying counseling based on schools. In order to implement sufficiently working school counseling in the school system, it was found that research on the field of counseling operating in the school system needs to be conducted more actively. 이 연구에서는 교육 장면에서의 상담을 위한 학술단체인 한국교육상담학회의 활동 방향을 모색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2020년부터 이루어진 한국교육상담학회의 학술 활동을 분석하고, 교육상담 관련 주요학술지에 2013년부터 2023년 5월까지 약 10년간 게재된 논문들의 주제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첫째,한국교육상담학회는 2020년부터 학술지를 발간하고 학술발표회를 개최함과 아울러 교직과목인 [생활지도 및 상담]과 [학교폭력의 이해]의 구상 등을 진행하였다. 이러한 활동들을 통해 한국교육상담학회는교육학적 관점으로 학교체계를 고려하여 상담을 연구하는 전문가 모임으로서의 위치를 다지고 있다.최근 10년간 관련분야 학술지에서 발표된 논문들을 분석한 결과 학교상담의 주체와 대상, 학교상담 방법 및 효과, 학교상담 연구동향, 학교상담 제도 및 법제화 연구 등이 진행되고 있었다. 이 과정에서 우리나라 학교상담은 학교에 기반을 두고 상담을 연구하기보다는 상담학의 지식과 기술을 학교에 적용하고자 하는 연구 경향이 강하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학교체계에서 충분히 작동하는 학교상담을 구현하기 위해서는 한국교육상담학회를 중심으로 학교체계에서 작동되는 상담의 현장에 대한 연구들이 보다 활발하게 이루어질 필요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 KCI등재

        한국 신약학자들의 활동사

        윤철원(Chulwon Yoon),김동수(Dongsoo Kim) 한국신약학회 2012 신약논단 Vol.19 No.3

        본 논문은 신약학회 창립 50주년을 맞아 그 간의 신약학자들의 활동사를 기록한 것이다. 먼저, 학회장을 지낸 인물들을 중심으로 한국 신약학의 발전을 위한 그들의 주요 업적을 기술하려고 했다. 다음으로, 지난 50년의 학회의 주요 업적으로 신약논단의 한국 연구재단 등재, 해외학자들과의 교류, 신약학자들 간의 교류의 활성화, 총서 출판, 최근의 활발한 학문 활동 등을 들었다. 마지막 부분은 분야별 활동사를 다룬 것이다. 해외에서 활동하는 학자들, 목회와 기관에서 활동하는 학자들, 대학 행정을 맡은 학자들, 여성 학자들, 그 외 중요한 몇 가지 통계를 제시하였다. 이러한 활동사는 독자들로 하여금 한국 신약학회의 발전의 이면을 이해하고 현황을 파악하는데 기여할 것이다. This study attempts to investigate the history of the activities of Korean New Testament scholars for the last 50 years. First, it traces the activities of the presidents of the New Testament Society of Korea. Next, it suggests 5 most significant events in the society during last 50 years. Finally, it deals with the activities of the NT scholars in various areas such as those who work in the foreign institutions, those who work both in the pastoral ministries and in the church institutions, and those who work in the church administrations. The activities of women scholars are also dealt with. Also it gives several important data with regard to the society. This study, accordingly, will contribute to the better understanding of the development of the society.

      • KCI등재후보

        대한부동산학회의 발전방향 연구

        신우진(Shin, Woo-Jin),백승철(Baek, Seung-Cheol),김태원(Kim, Tae-Won) 대한부동산학회 2012 大韓不動産學會誌 Vol.30 No.1

        본 연구는 사단법인 대한부동산학회 창립 30주년이 되는 시점에서 지난 30년간의 운영실태를 조사⋅분석하고, 이를 토대로 대한부동산학회가 나아가야 할 발전방향을 제시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연구의 내용적 범위는 대한부동산학회의 위상제고를 위한 발전적 제언을 하는 것으로 한정하고, 연구방법으로 조사방법은 문헌조사법과 인터넷조사법을 병행하였으며, 분석방법은 기술적(記述的) 분석방법을 사용하였다. 분석 결과, 대한부동산학회는 지난 30년간 학회 회원의 지속적인 증가, 정관의 세분화, 꾸준한 학술대회 개최, 대한부동산학회지의 한국연구재단 등재후보지 선정 등을 통해 학회의 위상이 크게 제고되었다. 그러나 운영상 문제점으로 학회 회원 관리 및 영입체계미비, 재정확보의 어려움, 형식적인 학술대회, 단행본 및 부동산다이제스트 발행 중단 등이 나타났다. 본 연구는 이러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첫째, 학회 회원관리의 체계화 둘째, 학회회원수 확대 셋째, 학회 예산구조의 개편 넷째, 학회의 교육사업 활성화 다섯째, 대한부동산학회 전용회관 건립 여섯째, 학회지의 한국연구재단 등재지화, 마지막으로 단행본 및 전문지를 발간하는 등 학술활동을 다변화해야 하는 것으로 제시되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management of Korea Real Estate Society(KRES) for 30 years and to seek for the future direction. The scope of this study is addressed to make suggestions for improving the status of KRES. To do that, literatures review and internet search, and descriptive analysis were applied. During last 30 years, the status of KRES has been improved by the steady increase of members, the subdivision of the articles of association, and holding symposiums continuously. In addition, KRES journal became a candidate of registered journal of NRF. On the other hand, there are several problems such as an inadequate management of members, a lack of funds, a cursory ymposium, discontinued publication of real estate magazines. To solve above problems, several future directions of KRES are suggested. First, members should be managed systematically. Second, the number of members should be increased. Third, the budget structure of KRES should be reorganized. Forth, the educational work of KRES should be vitalized. Fifth, a meeting hall which is only for KRES should be built in near future. Finally, academic works of KRES should be diversified.

      • KCI등재

        학문공동체로서 학회의 역할과 참여 실태 분석: 교육행정·교원교육·교육재경·교육정치학회를 중심으로

        박상완(Park, Sang-wan),김민조(Kim, Min Jo),박소영(Park, So-Young),장우천(Jang, Woo-Chun) 한국교육행정학회 2022 敎育行政學硏究 Vol.40 No.1

        본 연구는 학문공동체로서 학회의 역할 및 학회 활동 참여에 대한 학회원의 인식을 바탕으로 학회의 발전 방안 마련을 위한 시사점을 탐색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한국교육행정학회, 한국교원교육학회, 한국교육재정경제학회, 한국교육정치학회의 학회원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설문조사 결과 분석은 빈도분석과 평균값 등 기술통계를 주로 활용하되, 학회원의 배경 특성에 따른 차이를 분석하기 위해 집단 간 차이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학회원의 활동 참여는 회비 납부, 학술대회 단순참여, 논문투고, 학술대회 주제발표 순으로 나타났다. 둘째, 학회의 역할에 대해 학회원들은 교육실제 개선보다 연구자의 학술활동 촉진 및 지원, 해당 분야 학문 발전을 중요하게 생각하였다. 셋째, 학회참여 실태 및 인식에서 학회원의 배경변인(박사학위취득 연도, 직업, 재학 시 학회 참여 경험 등)에 따라 차이가 있었다.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학문공동체로서 학회의 역할 구현, 학회 역할 인식 및 참여에 대한 집단별 차이, 학회 실천지향성 제고의 방향성 등에 대해 논의하였다. This study investigated the role of academic societies as academic communities and the perceptions of about participation in academic activities, and explored implications for improving academic societies. To this end, a survey was conducted on members of the Korean Educational Administration Society, the Korean Society for the Study of Teacher Education, the Korean Society for the Economics and Finance of Education, and the Korean Society of the Politics of Education. Technical statistics such as frequency analysis and average values, which focused on summarizing and describing the meaning and role of the society, were mainly used, but difference analysis between groups was conducted to identify differences according to the background characteristics of the members. As a result of the study, first, the members’ participation activities were more frequent in the order of payment of membership fees, simple participation in academic conferences, thesis contribution, and presentation for academic conference. Second, regarding the role of the society, the members considered supporting researchers" academic activities and academic development in the field more important than improving the educational reality. Third, there were differences in participation and perceptions on the society according to the background variables.

      • KCI등재

        한국 미디어 아트의 어떤 태동 - 서울미디어 연구회 출현 및 한국영상학회의 형성과 초기 활동

        심철웅 한국영상학회 2019 한국영상학회 논문집 Vol.17 No.3

        본 논문은 1995년 11월 결성된 서울미디어 연구회 모임 기록과 연구 내용 등의 활동과, 서울미디어 연구회를 기반으로 1998년 창립된 한국영상학회의 초기 활동 기록과 발간물에서 발췌한 주요 내용을 고찰한 글이다. 서울미디어 연구회는 당시 미디어 매체를 다양한 작업으로 활용한 작가들과 연구자, 전문가 등으로 구성된 그룹으로서 정규적으로 모여 서로의 작품을 발표하고, 우리나라 미술계 및 미디어 시각문화 산업계에서 발돋움하기 시작한 미디어 아트 영역에 대한 다각적인 시각을 교류하였던 모임이다. 이 모임은 몇 해 후에는 한국영상학회의 창립으로 이어지게 된다. 우리나라 미디어 아트와 시각문화예술 전반에 걸친 급격한 변화와 확장에 요구되는 시각미술 담론과 비평적 시각에 대한 보다 깊은 연구와 논의의 장의 설립이 절심함을 인지하였기 때문이다. 초기 한국영상학회의 활동은 서울미디어 연구회에서 제기되었던 미디어 아트 담론과 기술적인 확장에 따른 형식과 변화 및 관련된 미적 가치 등에 대한 연구를 추진하고, 당시 활발한 미디어 아트 작가들의 작품 전시를 기획하는 일로 이루어지게 된다. 본 글은 서울미디어 연구회 회장직을 수행하고 2,3대 한국영상학회 회장이었던 심철웅의 기록물과 소장 서류 및 발간물 등에서 발췌한 사실들을 모아 정리한 것으로서, 20여 년 전 우리나라 미디어 아트 역사의 한 활동들을 조망하여, 오늘날 급진적으로 더욱 확장되고 있는 뉴미디어 아트의 제반 담론과 작품들의 현상들을 보다 새로운 관점과 미래에 대한 현안으로 고찰할 수 있기를 바라는 목적을 가진 논문이다. This paper concerns the activity of the Seoul Media Research Group (SMRG), which lasted from November of 1995 to 1998 and the Korean Society of Image Arts & Media (KOSIAM), which was in existence from1998 to 2005. The resources informing this writing are the selective written records on the activities of SMRG and KOSIAM by Cheol-Woong Sim, the president of SMRG and KOSIAM (2000-2004). SMRG consisted of artists, professors, instructors and professionals in various areas of media arts in Korea at that time. They gathered regularly for discussions and exchanged their perspectives on the aspects of media arts, visual culture and the media industry which had emerged as new futuristic phenomena. Several years later the activities of SMRG moved to KOSIAM after members realized the need to form an organization to deal with many drastic changes, the expansions of areas of media arts, and critical perspectives and discourse on visual arts, especially in relation to new media art areas. The early activities of KOSIAM included research that started in SMRG, focusing on discourse, aesthetic value and the phenomenon of new media technologies that appeared to influence heavily the formation of media and visual arts. This writing was facilitated given the vast, varied, and precious rare records of Cheol-Woong Sim kept during those periods, written in his personal calendar notes, paper handouts, in KOSIAM journals and in an exhibition catalogue at that time. The purpose of this writing is to review the accomplishments of SMRG and the early activities of KOSIAM, which presented important perspectives on and provided critics of the new media arts of the time. These critical views and the related discourse are applicable to the phenomenon of media arts in their new and current form. I hope this work becomes meaningful text capable of generating new viewpoints on the current issues of media art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