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완벽주의와 학업소진 및 학업열의와의 관계에 있어서 성취목표의 매개효과

        조한익,이현아 한국청소년학회 2010 청소년학연구 Vol.17 No.12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relationship among perfectionism, achievement goal, academic burnout and academic engagement in high school students. Also, this study was intended to verify whether achievement goal mediated the relationship among perfectionism, academic burnout and academic engagement. Questionnaires were administered to 392 high school students(Male:257, Female:135).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perfectionism was positively correlated with achievement goal, academic burnout and academic engagement. Second, when perfectionism and achievement goal were simultaneously used as independent variables to predict academic burnout and academic engagement, both perfectionism and achievement goal turned out to be a significant predictor of academic burnout but only achievement goal turned out to be a significant predictor of academic engagement. Third, it was found that performance-avoidance completely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perfectionism and academic burnout. On the other hand, master and performance-approach completely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perfectionism and academic engagement. 본 연구의 목적은 고등학생을 대상으로 완벽주의, 성취목표, 학업소진 및 학업열의와의 관계를 살펴보고, 완벽주의와 학업소진 및 학업열의와의 관계에서 성취목표가 매개역할을 하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고등학생 392명(남:257, 여:135)을 대상으로 설문조사 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완벽주의는 성취목표, 학업소진 및 학업열의와 모두 정적 상관을 나타내었다. 즉, 완벽주의일수록 성취목표 지향을 많이 하며, 완벽주의일수록 학업소진과 학업열의가 많이 나타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둘째, 완벽주의와 성취목표가 학업소진 및 학업열의에 미치는 영향에서는 학업소진의 경우, 완벽주의와 각각의 성취목표 모두가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 반면, 학업열의의 경우는 성취목표만이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 즉, 학업소진에 대해서는 완벽주의와 성취목표 모두가 잘 설명하고 있지만 학업열의에 대해서는 완벽주의보다 성취목표가 더 잘 설명하였다. 셋째, 완벽주의와 학업소진 간의 관계에서는 수행회피목표가 완전 매개한 반면, 완벽주의와 학업열의 간의 관계에서는 숙달목표와 수행접근목표가 완전 매개하였다. 이것은 완벽주의 성향이 학업소진과 학업열의와 관련성이 있지만, 완벽주의 성향 그 자체로 학업소진과 학업열의에 이르기보다는 어떠한 성취목표를 지향하느냐에 따라 학업소진에 이를 수도 있고 학업열의가 커질 수 있게 됨을 의미한다.

      • KCI등재

        청소년의 자아존중감과 협동심 및 학업열의 간의 종단적 관계

        장성민 한국교육방법학회 2023 교육방법연구 Vol.35 No.4

        본 연구는 청소년의 자아존중감과 협동심 및 학업열의 간의 종단적 변화양상을 살펴보고 협동심의 매개효과와 성별의 조절효과를 살펴보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연구대상자는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이 수집한 한국아동·청소년패널조사 2018(KCYPS 2018)로 중1 코호트 1차(중1), 2차(중2), 3차(중3), 4차(고1)패널 데이터를 다변량 잠재성장모형을 적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청소년의 자아존중감과 협동심 및 학업열의는 시간의 흐름에 따라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자아존중감과 협동심 및 학업열의 간의 종단적 경로에서 자아존중감 초기치는 협동심의 초기치와 학업열의 초기치에, 자아존중감 변화율은 협동심 변화율에, 협동심 초기치는 학업열의 초기치에 정적으로 영향을 미쳤으며 자아존중감 초기치는 협동심의 변화율에, 협동심 초기치는 학업열의 변화율에 부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협동심 변화율이 학업열의 변화율에, 자아존중감 초기치와 변화율이 학업열의 변화율에 미치는 영향은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자아존중감과 학업열의 간의 관계에서 협동심의 매개효과는 자아존중감 초기치가 학업열의 초기치로 이어지는 경로에 부분매개와 자아존중감 초기치에서 학업열의 변화율로 이어지는 경로에 완전매개하였다. 넷째, 성별에 따른 조절효과는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청소년의 학업열의를 함양하기 위한 시사점을 제안하였다. This study aimed to examine the longitudinal changes in adolescents’ self-esteem, cooperation, and academic engagement, as well as to assess the mediating effect of cooperation and the moderated effect of gender. Data were drawn from the Korean Children and Youth Panel Survey 2018 (KCYPS 2018) collected by the National Youth Policy Institute. The panel data included information from the first (1st year in middle school), second (2nd year in middle school), third (3rd year in middle school), and fourth (1st year in high school) cohorts. Multivariate latent growth models were employed for data analysis. The study yielded the following key findings: First, adolescents’ self-esteem, cooperation, and academic engagement decreased over time. Second, longitudinal relationships revealed that initial self-esteem values positively influenced initial cooperation and academic engagement values. Moreover, the rate of change in self-esteem positively affected the rate of change in cooperation, while the initial cooperation value positively influenced the initial academic engagement value. Conversely, the initial cooperation value negatively influenced the rate of change in academic engagement value. However, there were no significant effects observed between the rate of change in cooperation and the rate of change in academic engagement, as well as between the initial values and rate of change in self-esteem and the rate of change in academic engagement. Third, the mediating effect of cooperation in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esteem and academic engagement was partially mediated through the path from the initial self-esteem value to the initial academic engagement value and fully mediated through the path from the initial self-esteem value to the rate of change in academic engagement. Fourth, gender did not demonstrate any significant moderating effect. Based on these findings, this study proposed implications for enhancing adolescent academic engagement.

      • KCI등재

        초등학생과 중학생의 학업탄력성을 예측하는 요인 : 그릿과 학업열의의 매개효과

        최정윤(Choi, Jeong Yun),임효진(Lim, Hyo Jin)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1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1 No.1

        본 연구에서는 초등학교 4학년과 중학교 1학년이 지각한 부모의 양육태도, 교사관계, 그릿, 학업열의와 학업탄력성의 관계를 살펴보았다. 또한, 그릿과 학업열의가 부모의 양육태도, 교사관계와 학업탄력성의 관계를 어떻게 매개하는지 확인하고, 이러한 관계가 초등학생과 중학생 집단에서 어떠한 차이를 보이는지 살펴보았다. 연구를 위해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의 한국아동청소년패널조사 2018의 1차년도 조사자료 중 연구의 목적에 맞게 추출한 1,235명의 자료를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부모의 양육태도, 교사관계, 그릿은 학업탄력성에 직접효과가 나타나지 않았던 반면 학업열의는 학업탄력성에 정적으로 유의한 예측력을 보였다. 또한, 양육태도, 교사관계에서 학업탄력성에 이르는 경로는 그릿과 학업열의를 이중매개할 때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학생이 양육태도와 교사관계를 긍정적으로 인식할수록, 부정적 양육태도를 낮게 인식할수록 그릿과 학업열의가 높아짐으로써 학업탄력성도 높아질 수 있음을 의미한다. 마지막으로 초등학생과 중학생의 집단 간 차이는 일부 간접 경로에서만 확인되었고, 그릿과 학업열의의 이중매개를 포함한 경로에서는 초등학생과 중학생의 차이가 없었다. 이는 그릿과 학업열의가 두 집단 모두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음을 의미한다. This study examined the mediating effect of grit and academic engagement between parent and teacher variables and academic resilience. This study also seeks the difference of a structural relationship among variables in terms of the school-level (i.e. elementary and middle school). A total of 1,235 students were selected and analyzed from 4th graders (elementary school students) and 7th graders (middle school students) in the Korean Children and Youth Panel Survey (KCYPS) 2018. As a result of the study, parenting attitude, teacher-student relations, and grit had no direct effect on academic resilience, while academic engagement had a direct positive effect on academic resilience. In addition, the paths from parenting attitude and teacher-student relations to academic resilience were significant mediated by grit and academic engagement. Finally, group differences between elementary and middle school students were found in a few indirect paths, and there was no difference in terms of mediational effects between elementary and middle school students. This means that grit and academic engagement play an important role in both groups. Implications for educational policies that can improve academic resilience are discussed.

      • KCI우수등재

        청소년의 학업정서 양극화 현상 연구: 학업 열의와 학업 무기력을 중심으로

        김정아 한국교육학회 2023 敎育學硏究 Vol.61 No.5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the phenomenon of educational polarization in the domain of adolescents’ emotional development by analyzing the changes in academic enthusiasm and academic helplessness based on students’ academic achievement levels and identifying the factors influencing these changes. The data for the study were obtained from the Korean Children and Youth Panel Survey 2018 (KCYPS 2018). A multiple-group latent growth model was applied for analysis. The results of the study offer essential educational implications and policy insights. First, academic enthusiasm, as a positive emotion, decreased over time, while academic helplessness, as a negative emotion, consistently increased. Second, by applying a multiple-group latent growth model to compare academic enthusiasm and academic helplessness between high-achieving and low-achieving students, the study revealed the phenomenon of polarization in academic emotions. Third, it was found that several factors have similar impacts on the initial levels and rates of change in academic enthusiasm for both high-achieving and low-achieving students. Specifically, relational factors within the school environment contribute significantly to the exacerbation of polarization in academic emotions. Fourth, along with school-related factors, family and individual factors also influence the development of academic emotions. Lastly, the study underscores the importance of initial values in addressing the issue of educational polarization in students' emotional development. It emphasizes the need for multifaceted educational and policy support to ensure that academic emotions are not determined solely by academic achievement levels. 최근 사회적 문제로 부각되고 있는 교육 양극화 문제가 학생의 정서적 발달 영역에서도 나타나는지 규명하기 위하여 학생의 학업성취 수준에 따른 학업 열의와 학업 무기력 변화 행태와 영향요인을 분석하였다. 한국아동・청소년패널 2018(KCYPS 2018) 제1~4차 조사 데이터를 활용하여 다집단 잠재성장모형(multiple-group latent growth model) 분석을 실시하였으며,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교육적 함의와 정책적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첫째, 학업정서 중 긍정정서에 해당하는 학업 열의는 시간이 지남에 따라 감소하는 반면, 부정정서인 학업 무기력은 점점 증가하는 양상을 보이는바, 이는 현행의 학교교육에 대한 반성과 비판적 검토가 요청됨을 시사한다. 둘째, 다집단 잠재성장모형을 적용하여 상위권 학생들과 하위권 학생들의 학업 열의 및 학업 무기력 변화 행태를 비교한 결과, 상위권의 학업 열의는 점점 높아지고 하위권의 학업 열의는 점점 낮아지면서 격차가 심화되는 양상과 더불어, 하위권의 학업 무기력이 점점 높아지면서 상위권과의 격차가 커지는 ‘학업정서 양극화 현상’이 나타났다. 셋째, 학업 열의의 초깃값과 변화율에 영향을 미치는 학교요인, 가정요인, 개인요인은 상위권과 하위권 학생들 간에 동일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학업성취 수준에 따라 학업정서의 수준과 변화 양상이 달라지며, 학교요인 중 특히 관계적 요인(교우관계 및 교사관계)이 학업정서 양극화 현상에 상당한 영향력을 미쳤다. 넷째, 학교요인 외에도 학업정서 발달에는 가정요인과 개인요인이 함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학업 열의에는 가정의 경제 수준, 학생의 자아존중감, 구체적 진로결정 여부가 영향을 미쳤으며, 학업 무기력에는 학생의 자아존중감이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를 통해 학업정서 양극화 현상에 있어 초깃값의 중요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에 학업성취 수준이 낮은 학생들의 학업정서가 부정적인 수준(낮은 학업 열의, 높은 학업 무기력)에서 고착되지 않도록, 전인적 교육의 관점에서 학업정서 발달이 이루어지도록 다각도의 교육적・정책적 지원이 요구된다.

      • KCI등재

        대학 이러닝 학습자의 과제가치, 스트레스, 학업소진 및 학업열의의 구조적 관계

        송윤희(Song Yun Hee)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5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5 No.11

        이러닝 학업상황에서 학업소진과 학업열의는 동시에 발생하는 변인이다. 그러나 지금까지 주로 학업소진이나 학업열의에 대해 따로 연구되어지고 있다. 따라서 학업 소진과 학업열의에 동시에 영향을 주는 선행변인을 살펴볼 필요가 있다. 본 연구에 서는 학업소진과 학업열의에 영향을 미칠 핵심 변인으로 과제가치와 스트레스를 선 정하여 네 변인의 구조적 관계를 규명하였다. 100%로 이러닝 강좌를 수강하는 A대 학교 300명으로부터 자료를 수집하였으며 구조방정식 모형을 통해 분석하였다. 연 구결과, 과제가치는 스트레스와 학업소진에 부적으로, 학업열의에는 정적으로 영향 을 미쳤다. 또한 스트레스는 학업소진에 정적으로, 학업열의에는 부적으로 영향을 미쳤다. 스트레스는 과제가치와 학업소진, 과제가치와 학업열의 사이에서 매개효과 를 가졌다. 본 연구는 대학 이러닝 학습자의 학업소진을 낮추고 학업열의를 높이는 방안을 마련하는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structural relationship among task value, stress, academic burnout, and learning engagement in an e-learning course. Data were collected from 300 students at A university. The collected data was analyzed by using structural equations modeling. The research findings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it turned out that task value had a significant and negative impact on academic burnout. Second, task value influenced learning engagement positively. Third, stress had a significant and positive impact on academic burnout. Fourth, stress influenced learning engagement negatively. Fifth, stress mediated between task value and academic burnout as well as task value and learning engagement. These findings offer theoretical background and practical implications for e-learning courses.

      • KCI등재

        부모의 부정적 양육태도와 청소년의 학업성취도 간 관계에서 학업무기력과 학업열의의 이중매개효과

        이시혜(Lee Si-hye),하문선(Ha Moon-sun)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1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1 No.13

        목적 본 연구는 부모의 부정적 양육태도와 청소년의 학업성취도 간 관계에서 학업무기력과 학업열의의 이중매개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방법 이를 위하여 2018한국아동⋅청소년패널조사의 중1데이터 중 청소년 2,471명(남 1,337명, 여 1,134명)을 대상으로 SPSS PROCESS Macro(Model number 6)를 적용하였다. 결과 분석결과 첫째, 부정적 양육태도는 청소년의 학업무기력과 학업열의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며, 학업무기력은 학업열의와 학업성취도에 부적 영향을 미치고, 학업열의는 청소년의 학업성취도에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부정적 양육태도와 청소년의 학업성취도 간 관계에서 학업무기력과 학업열의의 매개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Bootstrapping을 실시한 결과, 부정적 양육태도는 학업무기력과 학업열의가 순차적으로 매개하여 청소년의 학업성취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부모의 부정적 양육태도가 높을수록 청소년의 학업무기력이 높아지며 이것이 학업열의를 낮추어 결국 학업성취도에 부정적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의미한다. 결론 본 연구는 부정적 양육태도와 청소년의 학업성취도 간 관계에서 학업무기력과 학업열의의 순차적 매개효과를 구체적 밝힘으로써, 부모와 청소년 간 관계에서 작동되는 청소년들의 심리적 기제에 대한 이해를 넓혔다는 측면에서 의의가 있다. 연구결과를 토대로 시사점과 제언이 제시되었다.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verify the dual mediating effects of academic helplessness and academic engagemen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negative parenting attitude and the adolescents academic achievement. Methods For this purpose, SPSS PROCESS Macro (Model number 6) was applied to 2,471 middle school adolescents (1,337 boys, 1,134 girls) in the 2018 Korean Children and Youth Panel Survey. Results First, negative parenting attitude has a significant effect on adolescents academic helplessness and academic engagement, and academic helplessness has a negative effect on academic engagement and academic achievement, and academic engagement was found to have a positive effect on the academic achievement of adolescents. Second, as a result of performing Bootstrapping to verify the dual mediating effects of academic helplessness and academic engagement in relationship between negative parenting attitude and adolescents academic achievement, negative parenting attitudes were found to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adolescents academic achievement by sequentially mediating academic helplessness and academic engagement. Conclusions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broadens the understanding of the psychological mechanisms of adolescents that operat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parents and adolescents by specifically clarifying the sequential mediating effects of academic helplessness and academic engagemen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negative parenting attitudes and adolescents academic achievement. Implications and suggestions were presented based on the research results.

      • KCI등재

        대학생의 숙달목표지향성과 학업소진의 관계에서 미래시간조망과 학업열의의 이중매개효과

        노수림,문선현,배성아 한국청소년학회 2021 청소년학연구 Vol.28 No.6

        This study examined the mediating effects of future time perspective (future as open, limited, ambiguous) and academic engagemen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mastery goal orientation and academic burnout. A total of 319 university students participated in this study. The main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a significant indirect effect of mastery goal orientation on academic burnout was observed through the sequential process of perceiving the future as open as well as academic engagement. Thus, as university students have higher mastery goal orientation, they tend to perceive their future as open. This perception increases academic engagement which, in turn, decreases academic burnout. Second, mastery goal orientation had a significant indirect effect on academic burnout through the sequential process of perceiving the future as ambiguous as well as academic engagement. That is, as university students have lower mastery goal orientation, they tend to perceive their future as ambiguous. This perception decreases academic engagement, which, in turn, increases academic burnout. These results suggest that in developing a program to reduce and prevent academic burnout among university students, it is critical to help them reach academic engagement by having a positive and clear view of the future. 본 연구는 숙달목표지향성과 학업소진의 관계에서 미래시간조망(확장·제한·모호)과 학업열의의 매개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4년제 대학생 319명을 대상으로 자기보고식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성별과 학년을 공변인으로 설정하고, PROCESS macro를 사용하여 이중매개효과를 분석하고 부트스래핑(bootstrapping)으로 매개효과의 유의성을 검증하였다. 연구의 주요 결과로는 첫째, 대학생의 숙달목표지향성과 학업소진 사이에 확장된 미래시간조망과 학업열의의 단순매개효과가 나타났으며, 숙달목표지향성이 확장된 미래시간조망과 학업열의를 순차적으로 매개하여 학업소진의 감소를 예측하는 이중매개효과를 보였다. 둘째, 숙달목표지향성과 학업소진 사이에 모호한 미래시간조망과 학업열의의 단순매개효과가 나타났으며, 숙달목표지향성이 모호한 미래시간조망과 학업열의를 순차적으로 매개하여 학업소진의 증가를 예측하는 이중매개효과를 보였다. 셋째, 숙달목표지향성과 학업소진의 관계에서 확장된 미래시간 조망과 학업열의 그리고 모호한 미래시간조망과 학업열의의 완전매개효과가 나타나 미래시간조망과 학업열의가 함께 작용할 때 학업소진이 적극적으로 증가되거나 완화됨을 알 수 있었다. 이로써, 대학생의 학업소진 예방 프로그램 개발 시 개별학생의 숙달목표지향성을 높이고 학생이 자신의 미래에 대해 긍정적인 태도를 증진시켜 학업열의에 이르도록 도와야함을 알 수 있다.

      • KCI등재

        중학생의 사회적 관계와 학업성취도 간의 관계에서 그릿과 학업열의의 매개효과와 성별의 조절효과

        최은영(Choi, Eunyoung),윤영(Yoon, Young) 한국교육심리학회 2021 敎育心理硏究 Vol.35 No.1

        본 연구의 목적은 중학생의 사회적 관계와 학업성취도 간의 관계에서 그릿과 학업열의의 매개효과와 성차를 확인하는 것이다. 본 연구는 아동․청소년 패널조사의 중학생 1-2차년도 자료를 사용하였으며, 중학교 1학년 2,471명(여자 50.8%)을 연구대상으로 선정하였다. 본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사회적 관계를 부모관계, 교사관계, 또래관계로 구분하여 그릿과 학업열의, 학업성취도와의 구조적 관계와 성별에 따른 차이를 함께 살펴보았다. 분석결과 사회적 관계와 학업성취도 간의 관계에서 그릿과 학업열의의 매개효과가 유의하게 나타났다. 사회적 관계는 중1학업성취도와 중2학업성취도에게 직접적인 영향을 끼치지 않고, 그릿과 학업열의를 매개하여 학업성취도에 유의한 영향을 끼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부모관계의 경우 그릿과 학업열의의 순차적 매개효과만 유의하게 나타났으며, 교사관계의 경우 학업열의를 매개하여 중2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이 유의하였고, 또래관계의 경우 학업열의만을 매개하는 경우 중1학업성취도와 중2학업성취도에 부적 영향을 끼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집단분석을 통해 구조모형의 성차를 살펴본 결과, 전체 경로 중 교사관계가 중1학업성취도에 직접 영향을 미치는 경로에서 성별에 따른 차이가 확인되었다. 본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선행연구와의 관련성과 시사점 및 후속 연구에 대한 제언이 논의되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valuate the mediating effect of grit and academic engagement as well as the effect of gender difference on the association between social relationship and academic achievement of middle school students. In this study, data on 2,471 first-year middle school students from the Korean Children & Youth Panel Survey were used. For evaluation purposes, social relationship was subdivided into parental, teacher, and peer relationships. The study results reveal that the effect of grit and academic engagement as mediating factors was significant on the association between social relationship and academic achievement although social relationship did not directly affect academic achievement. For parental relationship, only the sequential mediating effect of grit and academic engagement was significant. For teacher relationship, the mediating effect of academic engagement on 8th grade students’ academic achievement was significant. For peer relationship, it was observed that the mediating effect of academic engagement alone had a negative effect on the 7th and 8th grade students’ academic achievement.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gender differences in the structural model through multi-group analysis, gender differences were identified in paths wherein teacher relationship directly affected 7th grade students’ academic achievement among all pathways.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implications and suggestions for subsequent studies were discussed.

      • KCI등재

        부모양육태도, 교사애착, 학업열의, 학업무기력의 관계에서 자아존중감의 매개효과 : 중학생의 학년 변화에 따른 차이를 중심으로

        정은혜(Jung, Eun-Hye),김현주(Kim, Hyun-Joo),손은령(Son, Eun-Young)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1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1 No.18

        목적 본 연구에서는 중학생의 학업열의와 학업무기력에 대해 학년 진급에 따른 변화를 확인하고, 부모양육태도, 교사애착, 학업열의 및 학업무기력의 관계에서 자아존중감의 매개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방법 이를 위해 한국아동⋅청소년패널 조사 중1 패널의 중학교 1학년(1차년도, 2018), 2학년(2차년도, 2019) 종단자료를 활용하였으며, 중학생 2,438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t-검정을 통해 학년 및 성별에 따른 차이를 확인하였고 구조방정식 모형 분석을 통해 변인들 간의 구조적 관계 및 매개효과를 검정하였다. 결과 첫째, 학업열의는 1차년도와 2차년도에 유의한 차이가 없었으나, 하위요인 중 헌신과 효능감이 1차년도에 비해 2차년도에 낮았고, 활기와 학업무기력은 1차년도에 비해 2차년도에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남학생의 경우 학업열의가 1차년도에 비해 2차년도에 유의하게 낮게 나타난 반면, 여학생은 1차년도에 비해 2차년도에 학업열의가 높게 나타났다. 한편, 학업무기력은 남⋅여 학생 모두 1차년도에 비해 2차년도에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다. 둘째, 1차년도에 남학생이 여학생에 비해 학업열의가 높았으며, 학업무기력에서는 성별에 따른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셋째, 부모양육태도는 자아존중감을 완전매개하여 학업열의에 영향을 미쳤으며, 자아존중감을 부분매개하여 학업무기력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교사애착은 자아존중감을 부분매개하여 학업열의 및 학업무기력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이러한 연구결과는 중학교 1학년에서 2학년으로 성장하는 시기에 학업무기력이 높아지는 문제에 대한 사회적 관심과 적절한 개입의 필요성을 시사하며, 학업열의를 높이고 학업무기력을 낮추기 위해 부모의 긍정적 양육태도 및 교사와의 애착, 건강한 자아존중감의 중요성을 시사한다.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changes in the academic engagement and academic helplessness of middle school students, and to verify the structural relationship among parenting attitude, self-esteem, teacher attachment, academic engagement and academic helplessness. Methods For this purpose, the longitudinal data of the 1st year of middle school(1st year, 2018) and 2nd year(2nd year, 2019) of the 1st panel of the Korean Children s and Youth Panel survey were used. The t-test and structural equation analysis were performed on 2,438 middle school students. Results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academic engagement of middle school students between the 1st and 2nd years. However, the academic helplessness increased in the second year. Second, male students had higher academic engagement than female students, and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academic helplessness. Third, it was found that parenting attitude completely mediated self-esteem and influenced academic engagement, and it was found that it affected academic helplessness by partially mediating self-esteem. Also, teacher attachment was found to have an effect on academic engagement and academic helplessness by partially mediating self-esteem. Conclusions Based on this result, implications of this study and suggestions were disscussed.

      • KCI등재

        초등학교 4학년이 지각한 부모의 강요, 자율성 지지가 학업열의에 미치는 영향: 스마트폰 의존의 매개효과

        유계환 ( Yoo¸ Kae-hwan ),최희정 ( Choi¸ Hee-joung ) 한국아동교육학회 2021 아동교육 Vol.30 No.3

        본 연구는 코로나19 시대를 살아가는 아동들이 비대면 수업으로 인하여 학업에 대한 열의가 떨어지는 상황에서 가정에서의 부모의 양육태도가 학업열의에 어떻게 작용을 하는지 알아보기 위하여 진행되었다. 특히 비대면 수업으로 인하여 아동들이 스마트기기를 더욱 많이 사용하게 됨에 따라 자연스럽게 스마트폰 의존에 빠져들게 된다. 이때 부모의 양육태도와 학업열의 사이에서 스마트폰 의존의 매개효과 있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에서 수행한 한국아동·청소년패널조사 2018 (KYCPS 2018)의 초등학교 4학년 1차년도 자료를 사용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각 변인들 사이에는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둘째, 부모의 강요는 학업열의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주지는 않지만, 스마트폰 의존에 영향을 주어, 학업열의에 영향을 주는 것을 확인하였다. 셋째, 자율성을 지지하는 부모의 양육태도는 학업열의에 직접적인 영향을 주기도 하지만, 스마트폰 의존에 영향을 주어, 학업열의에 영향을 주는 것을 확인하였다. 즉 스마트폰 의존이 학업열의에 영향을 줌에 있어서 강요적인 양육태도에 있어서는 완전매개를, 자율성지지에 있어서는 부분매개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이를 통하여 자율성을 인정하는 자율성지지와 자율성을 인정하지 않는 강요 부모가 초등학교 고학년이 시작되는 시기인 4학년 시기 자녀에 대한 양육태도의 형태에 따라 스마트폰 사용에 대한 통제력을 길러줄 수 있으며, 이를 통하여 학업열의에 영향을 줄 수 있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본 연구를 통하여 부모의 양육태도에 있어서 스마트폰에 의존하는 태도와 학업열의에 미치는 태도를 확인함으로써, 초등학교 고학년 시기를 맞이하는 자녀에게 어떠한 양육태도를 가져야하는지에 대하여 확인하였으며, 이를 부모교육에 있어서 적절하게 적용할 필요성을 확인하였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find out how parental attitudes at home affect academic enthusiasm at a time when children living in the covid-19 era are less enthusiastic about their studies due to non-face-to-face classes. In particular, as children use smart devices more often due to non-face-to-face classes, they naturally fall into smartphone dependence. At this time, he wanted to see if there was a mediation effect of smartphone dependence between parental pressure and autonomy support and academic enthusiasm. For this purpose, the first-year data of the fourth grade of elementary school was used in the Korean Children and Youth Panel Survey 2018 (KYCPS 2018) conducted by the Korea Youth Policy Institute.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we confirm that there is a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each speaker. Second, parental pressure does not directly affect academic enthusiasm, but it does affect smartphone dependence, confirming that it affects academic enthusiasm. Third, parenting autonomy support also directly affects academic enthusiasm, but also influences smartphone dependence, confirming that it affects academic enthusiasm. In other words, it is confirmed that smartphone dependence is fully marketed in terms of forced parenting and partially in support of autonomy. Through this, it was discovered that parents who acknowledge autonomy and who do not acknowledge autonomy can develop control over the use of smartphones depending on the type of parenting attitude of their children during the 4th grade, which can affect their academic enthusiasm. Through this study, we identified attitudes that depend on smartphones and attitudes that affect academic enthusiasm in the parenting attitude of parents and identified the need to apply them appropriately to parents' educa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