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청소년 학업성취도의 종단적 변화와 영향요인 분석: 정의적 특성을 중심으로

        최진수,정혜원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2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2 No.12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longitudinal effect of affective characteristics of adolescents on academic achievement. Methods To do this, hierarchical linear growth model was applied to the 1st to 3rd year of the 1st panel by the Korean Children and Youth Panel Survey 2018 (KCYPS 2018). Results First, academic achievement increased linearly over the years. Second, the initial status of academic achievement appeared to be higher as creativity, monthly average income, and father's final education were higher. And emotional problems, life satisfaction, and number of siblings showed negative effect on the initial status. Third, it was found that academic enthusiasm had a significant effect on both initial status and change rate of academic achievement. Especially for the girls, the rate of change in academic achievement was in a positive direction. Conclusions It is expected to provide basic data to discuss various teaching and learning methods for increasing academic achievement by improving students' intrinsic and affective characteristics. 목적 본 연구는 청소년의 정의적 특성이 학업성취도의 종단적 변화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는데 목적이 있다. 방법 연구를 위해 한국아동⋅청소년패널조사 2018 (KCYPS 2018)의 중1 패널 1차(2018년)~3차년도(2020년) 자료를 활용하였다. 학업성취도의 종단적 변화와 개인차를 탐색하고자 2수준 다층 성장 모형(hierarchical linear growth model)을 분석하였다. 결과 첫째, 학업성취도의 초기치와 변화율은 통계적으로 유의하였고, 창의성, 월평균 소득, 아버지 최종학력이 학업성취도의 초기치에 유의한 정적 영향을 미쳤다. 정서 문제, 삶의 만족도, 형제자매 수는 부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만, 이들 변인이학업성취도 변화율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아 변인의 긍정적 영향력이 지속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학업열의는 학업성취도의 초기치와 변화율에 모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학업열의가 높을수록 학업성취도 초기치가 높지만, 학업성취도의 평균적 선형 감소 양상을 보이는데 학업열의가 높은 경우 이와 같은 감소율을 더욱 증가하는 것으로 판단하였다. 넷째, 성별에 따라 학업성취도의 변화율에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여학생의 경우 학업성취도 변화율이 양적 방향인 것으로나타났다. 결론 청소년들의 학업성취도를 예측할 수 있는 개인의 정의적 특성요인과 가정환경요인을 함께 탐색함으로써 학업성취도의 효과적인 향상을 위해 다양한 교수학습 방안을 논의하기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KCI등재

        학업 성취도에 기반한 교육의 책무성 평가에 관한 연구- 미국의 사례를 중심으로

        정제영,신인수,이희숙 한국교원교육학회 2009 한국교원교육연구 Vol.26 No.1

        이 연구의 목적은 학교교육의 책무성을 평가하는 요소로서 학생의 학업 성취도 평가를 활용하는 것에 대한 이론과 실제를 살펴보고, 시사점을 도출하는 것이다. 학교교육의 성과를 높이기 위한 노력은 세계적으로 진행되고 있으며, 학업 성취도 평가가 학교교육의 책무성을 평가하는 주요 기제로 활용되고 있다. 미국에서는 2002년 통과된 NCLB 법률에 의해 거의 모든 주에서 학업 성취도 평가를 실시하고 있으며, 그 결과를 통해 학교교육의 책무성을 높이고자 시도하고 있다. 워싱턴 D.C.에서는 학업 성취도 평가 결과에 근거하여 21개의 학교를 폐쇄하고, 36명의 학교장과 270명의 교사를 해임하는 등 강력한 교육개혁을 추진하고 있으며, 플로리다 주에서도 학업 성취도 평가의 결과를 바탕으로 학교의 책무성을 강하게 요구하고 있다. 여러 가지 문제점에도 불구하고, 효율적으로 책무성을 평가할 수 있다는 점에서 앞으로 학업 성취도 평가의 활용도가 더욱 커질 것으로 예상할 수 있다. 우리나라에서 학업 성취도 평가를 활용한 책무성 평가 체제를 안정적으로 구축하기 위해 고려해야 할 다섯 가지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첫째, 학교교육의 책무성을 평가하기 위한 체제에 대한 종합적인 계획이 필요하다. 둘째, 학업 성취도 평가의 목적을 올바르게 설정할 필요가 있다. 셋째, 학업 성취도 평가의 내용을 올바르게 구성해야 한다. 넷째, 학업 성취도 평가를 학교교육의 책무성 평가에 활용하기 위해서는 과정과 방법에 대한 교육 주체들의 합의를 도출하는 것이 필요하다. 다섯째, 법적 분쟁의 소지를 없애기 위해서 학업 성취도 평가와 함께 교육의 책무성을 관리하는 체제를 법제화할 필요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est based educational accountability systems. In many countries, governments are trying to improve school education, and student achievement tests are the basis for evaluating educational accountability.The No Child Left Behind Act of 2001 required every state to implement a statewide test in an effort to improve the results of public school education. For instance, in the State of Florida, student test results on the Florida Comprehensive Assessment Test (FCAT) are the core factor of its school accountability system. Additionally, using test results, Michelle Rhee, Chancellor of the District of Columbia Public Schools system, has closed 21 schools, fired more than 100 workers of central bureaucracy, dismissed 270 teachers, and removed 36 principals. We can expect that the test-based accountability system will be used in Korea: therefore, five things should be considered carefully. First, we need a grand plan for evaluating an educational accountability system. Second, we need to customize the purpose of the student achievement test. Third, we should make authentic tests based on core competencies. Fourth, the testing process and its methodologies need the mutual consent of teachers, parents, and community members. Fifth, we need to develop legislation for the test and accountability system.

      • KCI등재

        학생의 인성과 학업성취도 관계의 종단적 분석

        오희정(Oh Hui Jeong),김갑성(Kim Kap Sung)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8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8 No.2

        본 연구에서는 한국교육개발원의 한국교육종단조사2013 1~4차년도 데이터를 사용하여 학생의 인성과 학업성취도의 종단적 관계를 분석하였다. 전국 5364명의 초등학교 5학년부터 중학교 2학년까지 4년간의 종단 자료에 대해 요인분석, 상관분석 및 자기회귀교차지연모형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그 결과, 첫째, 학생의 인성과 학업성취도 간에는 정적인 상관관계가 존재하였다. 둘째, 학생의 인성은 시간의 경과에 따라 안정적이었다. 셋째, 학생의 학업성취도는 다음 시점의 학업성취도에 대한 설명 력이 매우 높게 나타났다. 넷째, 이전 시점의 인성은 다음 시점의 학업성취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다섯째, 이전 시점의 학업성취도는 다음 시점의 인성에 유의하게 정적인 영향을 끼쳤다. 이러한 연구결과에 따라 회귀분석을 통해 동일 시점 에서 인성이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력을 추가적으로 살펴본 결과, 통계적으로 유의한 정적인 영향력이 있었다. 즉, 이전 시점의 인성과 학업성취도는 다음 시점의 인성과 학업성취도를 높게 예견하였고, 이전 시점의 학업성취도는 다음 시점의 인성에 정적인 영향을 끼쳤지만 이전 시점의 인성은 다음 시점의 학업성취도에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고 있었다. 그러나 동일 시점에서 인성은 학업성취도에정적인 영향력을 가졌다. 이를 바탕으로 다음과 같이 제언하였다. 학업성취도가 후 속하는 인성 및 학업성취도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므로, 학습자들에게 성취의 기회를 제공하고, 학업성취에 단절이 없는 올바른 지식을 함양하는 것이 요구된다. 또한, 인성의 함양을 위한 노력은 현재와 미래의 바른 인성을 예견하며, 현재의 학업성취도에 정적인 영향력을 끼치므로, 꾸준한 인성교육이 필요하다. In this study, we analyzed the longitudinal relationship between student’s character and academic achievement using data from Korean Educational Development Institute’s Korea Education Longitudinal Study 2013 1st~4th year. We performed factor analysis, correlation analysis and analyzed autoregressive cross-lagged modeling using 5,364 students’ 4 year term data from elementary fifth graders to middle school second graders across the country. The results were as follow. First, There was a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student’s character and academic achievement. Second, The character of the student appeared to be stable over time. Third, The student’s academic achievement showed a very high explanatory power on the academic achievement at the next time point. Fourth, the character at the previous time was found to have no significant effect on the academic achievement at the next time point. Fifth, the previous academic achievement had a significantly positive effect on character at the next time point.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we confirmed that the character influenced on the academic achievement at the same time through regression analysis additionally. As a result, it was shown that character ha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influence on the academic achievement. In other words, the character and academic achievement predicted highly that at the next time point. Also, the academic achievement had positive effect on the character at the next time point but the character had no a statistically significant influence on the academic achievement at the next time point. However, the character influenced on the academic achievement at the same time positively. Based on these, we suggested the followings. Since the academic achievement ha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influence on subsequent character and academic achievement, it should provide students with opportunities for achievement and foster correct knowledge without disruption to academic achievement. Also, it needs constant student character education because efforts to cultivate character predict the right character of present and future and have a positive influence on current academic achievement.

      • KCI등재

        학교자원과 학교 교육성과의 관계 분석

        우명숙(Myung-Suk Woo),김지하(Ji-Ha Kim) 한국교육재정경제학회 2013 敎育財政 經濟硏究 Vol.22 No.1

        본 연구의 목적은 학교교육의 대표적인 성과로 볼 수 있는 학업성취도, 학교향상도와 학교의 교육자원간의 관계를 분석하고 단위학교의 효율적인 자원 배치 및 운용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을 제시하는 것이다. 분석자료는 「학교정보공시」와 「국가수준학업성취도」자료를 결합하여 사용하였다. 국어, 영어, 수학과목의 학교평균 학업성취도와 학교향상도를 종속변수로 한 12개의 중다회귀모형 추정 결과, 학생 1인당 교육비와 학교의 주요 정책사업들이 학업성취도와 학교향상도 제고에 유의미한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대부분의 회귀모형에서 방과후 학교 참여학생 비율이 증가함에 따라 학업성취도와 학교 향상도가 높아졌고자율학교 2년차에 해당하는 학교는 자율학교를 운영하지 않는 학교에 비해 전체 회귀모형에서 학업성취도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정(+)의 영향을 주었다. 방과후 학교의 긍정적인 영향력은 선행연구들에서 나타났던 방과후 학교 활성화의 필요성을 더욱 공고히 하는 것이며, 자율학교의 효과에 대해서는 자율학교의 유형구분을 통한 보다 정교한 분석이 요구된다. 수준별 수업의 효과는 과목과 종속변수에 따라 차이는 있지만 학업성취도에 유의미한 영향을 주지 못했고 영어교육 프로그램 사업 2년차 학교는 사업을 운영하지 않는 학교에 비해 영어 학업성취도가 높게 나타났지만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지는 않았다. 수익자부담경비를 포함한 교육비는 학업성취도에 유의미한 긍정적인 영향을 주었으나 수익자부담경비를 제외한 교육비는 유의미하지 않거나 부(-)의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수익자부담경비를 포함한 총교육비만이 학업성취도에 유의미한 영향을 준다는 결과는 학교의 사회경제적 여건에 따라 학생들의 학업성취도에 영향을 주는 직ㆍ간접적인 교육활동의 범위와 내용에 제약이 있다는 점을 시사한다.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analyze the relationship between National Achievement Test scores and value-added scores as representative educational outcomes and educational resources with policy implications on efficient resource allocations and management. The data from School Information Site and National Achievement Test scores were merged to analyze. The study used independent variables such as school mean test scores and value-added scores of Korean, English, and Math and twelve multiple regression models. The result found that the coefficients of per pupil spending and some educational programs were positive and statistically significant on National Achievement Test scores and value-added scores. In most regression models, as the proportion of students attending after school programs increased and schools operated autonomous programs for two years, the mean test scores and value-added scores of schools rose. The positive effect of after school programs were consistent with some previous studies. The effect of schools with autonomous programs needs to analyze elaborately according to the types of autonomous programs in further studies. The coefficient of trackings were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with some exceptions. The effect of English programs were positive, with no statistical significance. Educational coefficient of per pupil spending including parents' payments such as after school programs, school activities, and lunches were positive and statistically significant on achievement test scores, but that of spending excluding parents' payments were not positive with some negative effects. The findings implied that schools might have limitations of the range and contents in educational programs and activities depending on school socio economic status.

      • KCI등재후보

        중학교 3학년 학생의 학습습관과 학교적응이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

        이영민(Lee Yeong Min) 한국복지상담교육학회 2018 복지상담교육연구 Vol.7 No.2

        본 연구는 중학교 3학년 학생들의 학습습관과 학교적응이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의 요인을 분석하였다. 구체적인 연구 문제로 중학교 3학년의 학습습관 및 학교적응과 학업성취도 간 양상을 살펴보고 세 변수 간의 유의한 상관관계를 살펴보았다. 또한, 중학교 3학년 학생의 학습습관과 학교적응이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력의 상대적인 크기를 알아보고 그 차이를 검증하였다. 연구 대상은 한국청소년정책 연구원의 한국 아동․청소년 패널 조사의 초4 코호트의 6차년도 (2015년 기준, 중3) 자료를 사용하였다. 대상은 총 2,378명이며, 사용된 측정도구는 학습습관, 과목별 주관 학업성취도와 학교적응의 세 가지의 척도이다. 자료분석을 위해서 SPSS Windows 22.0 프로그램을 이용해 중학교 3학년 학생의 학습습관과 학교적응이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중학교 3학년 학생의 학습습관은 전체적으로 보통 이상의 높은 점수로 학습습관이 잘 형성되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학습습관에서는 여학생보다 남학생의 점수가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학교적응은 전체적으로 높은 수준을 나타냈으며 학교적응의 경우 남학생이 여학생보다 더 학교생활에 잘 적응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학업성취도는 전체적으로 높은 수준으로 나타났다. 넷째, 학습습관은 중학교 3학년 전체 학생의 학업성취도에 영향을 주었다. 남학생 경우 행동통제가 학업성취도에 가장 큰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여학생의 결과도 동일했다. 따라서 학습습관과 학업성취도의 영향 변인은 성별의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학교적응은 중학교 3학년 전체 학생의 학업성취도에 영향을 주었다. 특히 학습활동이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력이 가장 컸다. 따라서 학교와 가정에서 중학교 3학년 학생의 학업성취도 향상을 위하여 다양한 학교적응 프로그램과 적절한 학습습관에 대한 지원체계와 방향 제시가 필요함을 시사한다. This research analyzed the influential factors of grade 9 students study habits and school adjustment on academic achievement. More specifically, the patterns among their study habits, school adjustment, and academic achievement were explored. The resultant gender difference was verified, and the significant correlation of the three variables was investigated. Furthermore, relative effects of the students study habits and school adjustment on academic achievement and the resultant gender difference was studied. For the research, the data of Year 6 of Grade 4 Cohort (As of 2015, grade 9) from Korean Children & Youth Panel Survey by National Youth Policy Institute were utilized. A total of 2,378 students were recruited and studied with three scales for study habits, academic achievement by subject, and school adjustment. SPSS Windows 22.0 Program was used to analyze the effects of grade 9 students study habits and school adjustment on academic achievement. The research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it was revealed that they had well developed study habits, generally showing high scores above average. Study habits, in particular, showed that male students had higher scores than the counterparts. Second, school adjustment was generally high, and it was revealed that male students better adjusted to school than female students. Third, the level of academic achievement was high in general. Fourth, study habits affected the entire grade 9 students academic achievement. Both male and female students revealed that behavioral control had the greatest effects on academic achievement. Accordingly, there was no gender difference in the influential variables of study habits and academic achievement. Fifth, school adjustment affected the entire grade 9 students academic achievement. In particular, learning activities showed the greatest effect on academic achievement. Therefore, this research implies that various school adjustment programs and proper support and guidance for study habits are required at school and home to help improve grade 9 students academic achievement.

      • KCI등재

        학생의 시민의식과 학업성취도의 관계 분석

        김범주(Kim Bum Joo)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9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9 No.2

        본 연구에서는 경기도교육연구원 경기교육종단연구(GEPS) 3~6차 년도(2015~2018년) 데이터를 활용하여 학생의 시민의식과 학업성취도의 종단적 관계를 살펴보았다. 2018년 8월 경기도교육연구원으로부터 데이터를 제공받아 자료 분석을 실시하였다. 9월 요인분석, 기술통계, 상관분석 및 자기회귀교차지연모형(ARCL)을 활용한 분석을 실시하였다. 시민의식 관측변인으로는 공동체의식, 개방의식, 준법의식으로 분류한 각 문항 응답자료를, 학업성취도의 관측변인으로는 국어, 수학, 영어의 수직척도점수를 활용하였다. 그 결과 먼저, 학생의 시민의식과 학업성취도 간에는 명백하게 정적인 상관관계가 존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학업성취도와 학업성취도 간 매우 높은 상관관계를 가지고 있었고, 시민의식과 시민의식 간에도 높은 상관관계를 가지고 있었다. 시민의식과 학업성취도 간에도 비교적 낮지만 유의하게 정적인 상관관계를 보여 구체적으로 상호인과관계를 규명할 필요를 보였다. 다음으로, 학생의 시민의식과 학업성취도는 시간의 경과에 따른 안정성을 가지고 있었다. 이전 시점의 시민의식과 학업성취도는 각각 다음 시점의 시민의식과 학업성취도와 유사할 것이라는 예측이 가능하다. 특히 학업성취도는 시민의식에 비해 예측력이 더 높다고 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학생의 시민의식과 학업성취도 간 교차하여 미치는 종단적 영향력은 시점에 따라 다르나 일부유의하게 나타났다. 5차 년도의 시민의식은 6차 년도의 학업성취도에 유의하게 정적인 영향력을 가졌다. 역으로 5차 년도의 학업성취도가 6차 년도의 시민 의식에, 3차 년도의 학업성취도가 4차 년도의 시민의식에도 유의하게 정적인 영향력을 보였다. In this study, we analyzed the relationship between student’s civic consciousness and academic achievement using data from Gyeonggi-do Institute of Education’s Gyeonggi Education Longitudinal Study 3rd~6th year. We performed factor analysis, descriptive statistic, correlation anlaysis and autoregressive cross-lagged analysis. As a observer of civic consciousness, it was utilized each question and answer data classified as community spirit, open spirit, and law-abiding spirit. And, as a observer of academic achievement, it was utilized evaluation of a vertical-scale in Korean, English, and math. As a result, first, there was a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student’s civic consciousness and academic achievement. Between academic achievement, it was a very high correlation. And between civic consciousness, it was a high correlation. The relationship between civic consciousness and academic achievement was low but statistically significant correlated. So, I needed to check cause-and-effect relationship between them. Second, the civic consciousness and academic achievement of student apeared to be stable over time. A previous civic consciousness or academic achievement was able to explain the next time that. In particular, an academic achievement had a power of explanation about a next time that than a civic consciousness. Finally, there was a partially significant crossing longitudinal influence depending on time between student’s civic consciousness and academic achievement. A civic consciousness of 5th year ha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influence to an academic achievement of 6th year. In the meanwhile, An academic achievement of 5th year influenced statistically significant to a civic consciousness of 6th year. Also,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influence from an academic achievement of 3rd year to an academic achievement of 4th civic consciousness.

      • KCI등재

        학생이 지각한 교수전략과 학습전략 및 학업성취도 간의 관계

        노원경 한국교원교육학회 2009 한국교원교육연구 Vol.26 No.4

        본 연구의 목적은 학생이 지각한 교수전략과 학습전략 및 학업성취도 간의 관계를 살펴보고, 학생이 지각한 교수전략이 학업성취도에 직접 미치는 영향과 학생의 학습전략을 통해서 간접적으로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고자 하였다. 선행연구 및 이론에 근거하여 학생이 지각한 교수전략은 외생변수로, 학습전략과 학업성취도는 내생변수로 설정하였으며 내생변수 중 학습전략은 매개변수로 구조방정식에 포함되었다. 분석은 한국교육종단연구 3차년도(2007년) 자료 중 중학교 3학년 학생이 지각한 교수전략과 학습전략, 학업성취도를 대상으로 실시되었다. 주요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학생이 지각한 교수전략과 학습전략 및 학업성취도는 서로 유의한 긍정적인 상관관계를 갖는다. 둘째, 학생이 지각한 교수전략은 학생의 학습전략과 학업성취도에 영향을 미치고 학습전략은 학업성취도에 영향을 준다. 셋째, 학생이 지각한 교수전략이 긍정적일수록 학생은 학습전략을 많이 활용하고 이를 통해 간접적으로 학업성취도의 향상을 가져오게 된다. 넷째, 과목별 성취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수학 과목이 영어와 국어 과목에 비해 학생이 지각한 교수전략과 학습전략의 영향을 많이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학생이 지각한 교수전략과 학습전략이 학업성취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칠 뿐 아니라, 학생이 지각한 교수전략과 학업성취도의 관계에 있어서 학습전략이 중요한 매개 역할을 한다고 볼 수 있다.

      • KCI등재

        고등학교 유형에 따른 영어 학업성취도 변화 요인 분석

        정제영,정예화,최지원 중앙대학교 한국교육문제연구소 2019 한국교육문제연구 Vol.37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the difference of the change of English academic achievement according to the type of high school and to find the school factors influencing English academic achievement. For the analysis, we used the school information disclosure data from 2013 to 2016 and national grade achievement evaluation data provided by 'Edu Data Service System(EDSS)'. In order to analyze the data by year, we used panel analysis to identify the school factors influencing academic achievement by high school type. According to the result of this study, the changes of English academic achievement by high school type from 2013 to 2016 show similar patterns in the academic achievement of foreign language high schools, international high schools and autonomous private high schools; and similar patterns in the academic achievement of autonomous public high schools, non-equalization general high schools and equalization general high schools.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school factors influencing the academic achievement by the high school type using the fixed effect model of the panel analysis, it was found that in foreign language high schools and international high schools, the lower the number of students per teacher, the higher the academic achievement of school; in autonomous public high schools, the higher the proportion of the students receiving the school meal, the higher the dropout rate, the more the level-based classes, the higher the academic achievement of school. In non-equalization general high schools and equalization general high schools, the higher the number of students per teacher, the higher the dropout rate, the more the subject classroom system, the more the English education program, the higher the academic achievement of the school. 본 연구는 고등학교 유형별로 영어 학업성취도의 변화 양상이 어떤 차이를 나타내고 있는지와 영어 학업성취도에 영향을 미치는 학교요인을 찾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분석을 위해 ‘에듀데이터서비스시스템(EDSS: Edu Data Service System)’에서 제공하는 2013년부터 2016년까지의 학교정보공시자료와 국가수준 학업성취도 평가자료를 활용하였다. 연도별 자료를 분석하기 위하여 패널분석을 활용하여 고등학교 유형별로 학업성취도에 영향을 미치는 학교요인을 파악하였다. 분석 결과, 2013년부터 2016년까지의 고교 유형별 영어 학업성취도의 변화는 외고와 국제고, 자사고의 학업성취도가 비슷한 패턴을 보였고, 자공고 및 비평준화 일반고, 평준화 일반고의 영어 학업성취도가 비슷한 패턴을 보였다. 패널분석의 고정효과모형을 사용하여 고등학교 유형별 학업성취도에 영향을 미치는 학교요인을 분석한 결과, 외고 및 국제고는 교사 1인당 학생 수가 적을수록 학업성취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고, 자공고에서는 교사 1인당 학생 수가 많을수록, 급식비지원학생의 비율이 높을수록, 학업중단율이 높을수록, 수준별 이동수업을 실시할수록 학업성취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평준화·비평준화 일반고는 교사 1인당 학생 수가 많을수록, 학업중단율이 높을수록, 교과교실제 및 영어교육 프로그램을 실시할수록 학교의 학업성취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 KCI등재

        사회적 지지와 학업성취도의 관계에서 희망의 매개효과 검증

        조한익 ( Han Ik Cho ) 한국초등교육학회 2009 초등교육연구 Vol.22 No.3

        본 연구는 사회적 지지와 학업성취도의 관계에서 희망의 매개효과를 검증하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대상은 초등학교 5-6학년 학생 744명이며 사회적 지지, 희망 및 학업성취도 검사를 하였다. 회귀분석을 통한 검증 결과 사회적 지지는 희망과 학업성취도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사회적 지지와 희망도 학업성취도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구조방정식을 통해서 희망의 매개효과를 구체적으로 검증한 결과 부분매개모형이 완전매개모형보다 적합한 것으로 나타나 회귀분석의 결과와 일치하였다. 사회적 지지는 희망과 학업성취도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었고, 사회적 지지도 희망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사회적 지지의 하위 요인 중 부모지지와 친구지지는 희망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었지만 학업성취도에는 부모지지만이 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희망의 상대적인 영향력을 살펴본 결과, 사회적 지지가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은 희망이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보다 높게 나타났다. 사회적 지지가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직접효과는 사회적 지지가 희망을 통해서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간접효과보다 높게 나타났다. 희망이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직접효과도 높게 나타났다. 사회적 지지의 하위요인 중에서 부모지지는 친구지지보다 희망과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이 더 높게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investigate the mediation effect of hope on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al support and academic achievement. Data were collected from 744 students from the upper grade in elementary school. Questionnaires were social support, hope and academic achievement test. By the analysis of regression, social support had an effect on hope and academic achievement. In addition to it, social support and hope significantly effected on academic achievement. By the analysis of the equation suggested by Sobel(1982) the Z test between b1, the effect of the independent variable on dependent variable, and B2, the effect of the mediation effect on dependent variable, had a significant difference. So the mediation analysis revealed that the relation between social support and academic achievement were partially mediated by hope. By the result of the stevetural equation model, partial mediation model of hope was better than full medication model on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al support and academic achievement. Social support was significantly effected on hope and academic achievement. And, hope was significantly effected on academic achievement. When analyzed the relative effect of social support and hope on academic achievement, social support had direct effect on academic achievement, and indirect effect by the mediation of hope on academic achievement. Hope also had direct effect on academic achievement. Between friend support and family support, family support effected more on academic achievement than friend support.

      • 저소득 가정 청소년의 자아존중감과 학업성취도의 상관관계 연구-강북구 내 방과후 공부방을 이용하는 청소년을 중심으로-

        이선희 한국인간복지실천학회 2008 한국인간복지실천연구 Vol.1 No.-

        본 연구는 저소득 가정 청소년의 자아존중감이 학업성취도에 영향을 끼친다는 이론적 전제하에 강북구 내 방과후 공부방을 이용하는 청소년 초등학교 5․6학년과 중학교 1․2학년 56명을 대상으로 학업성취도의 상․중․하에 따른 학생의 자아존중감과 학업성취도 간, 성별에 따른 자아존중감과 학업성취도 간의 상관분석을 하였다. 그 결과 저소득 가정 청소년의 자아존중감이 학업성취도와 유의미한 관계가 있음이 나타났으며 또한 자아존중감이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다중회귀분석을 하여 자아존중감이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이 58.9%로 나타났다. 자아존중감 요인 중 사회적 자아존중감과 가정내 자아존중감, 일반적 자아존중감 순으로 학업성취도에 영향을 미쳤으며 이들 요인이 클수록 학업성취도가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저소득 가정 청소년의 자아존중감과 학업성취도와의 관계를 살펴본 결과 자아존중감을 높게 지각할수록 성적에 대하여 만족하고 있으며 학업성취도 또한 높게 나타났다. 이상과 같은 결과를 통해 본 연구는 자아존중감과 학업성취도 간에 상관관계가 있음이 나타났고 이를 통해 저소득 청소년에게 긍정적 자아존중감과 학업성취도를 높이기 위한 방법을 찾고자 한다. 본 연구의 대상은 강북구 관내 방과후 공부방을 이용하는 56명의 청소년만을 대상으로 조사한 것으로 연구결과를 일반화하기에는 한계가 있다. This study is based on the theory that the self-esteem of students in low-income families has influence on their scholastic achievement. This study analyzed the mutual relation between 56 students’ self-esteem and their scholastic achievement depending on score levels and gender. They are in from the fifth-grade of elementary school to the second-year students of middle school and now going to after-schools in Gangbuk-gu. By that results, we can see that the self-esteem has significant reference to the scholastic achievement .By performing wide analysis to see the effect of the self-esteem on scholastic achievement , the result turned out 58.9%. That result influences scholastic achievement Social self respect and then family self respect, general self respect order. It turned out that the higher effect, the higher classwork attainment. The relation a low income family adolescent’s self respect with scholastic achievement show that the more perceive self-respect, the more satisfaction they have and the higher scholastic achievement as well.According to this studies we concluded that the mutual relation self-respect with scholastic achievement. We want to find the way to boast the positive self-respect and scholastic achievement for the low income adolescents. This study is hard to generalize the result because the subject of investigation was only the fifth-grade of elementary school to the second-year students of middle school and now going to after-schools in Gangbuk-gu.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