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대학 수업계획서의 학습자 중심성 분석

        김주연(Kim, Joo Yeun)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1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1 No.12

        목적 본 연구에서는 수업계획서의 작성 시기와 이수 구분이 수업계획서의 학습자 중심성에 미치는 영향을 커뮤니티 요인, 권한과 통제 요인, 평가 요인으로 나누어 실증적으로 검증해 보았다. 방법 이를 위하여 서울 시내 A대학교의 2015-2학기 수업계획서 165개와 2020-2학기 수업계획서 162개를 11개 요인, 4점 척도로 분석하였다. 자료 처리는 SPSS 25.0 프로그램과 다변량분산분석(MANOVA)을 활용하였다. 결과 본 연구의 결과로 첫째, 수업계획서 작성 시기 및 이수 구분은 커뮤니티 요인에 영향을 미쳤으며, 상호작용 효과가 확인되었다. 둘째, 수업계획서 작성 시기 및 이수 구분은 권한과 통제 요인에 영향을 미쳤으며, 상호작용 효과는 확인되지 않았다. 셋째, 수업계획서 작성 시기 및 이수 구분은 평가 요인에 영향을 미쳤으며, 상호작용 효과가 확인되었다. 결론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향후 수업계획서에서 학습자 중심성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학습자들이 교수자에게 접근할 수 있는 여러 시간대 및 전화, 이메일 등을 포함한 더 많은 경로 및 기회 제공, 학습 결과와 연결된 과제와 활동, 방법, 정책 및 절차에 대한 이론적 근거 제공, 수업 시 협력 요구, 더 많은 팀 프로젝트 수행, 과제 유형, 분량, 마감일, 학습 내용 등의 개발에 학습자들의 더 많은 참여 권장, 수업에 더 많은 지식을 가져오거나 생성할 책임을 학습자에게 부여, 학습 결과 및 평가 수단에 무게를 둔 수업계획서 작성과 같은 방안을 제시하였다. Objectives The purposes of this study is to empirically verify the effect of the development period of the syllabus and the classification of teaching/major subjects of learner-centeredness of university syllabus by community, power and control, and evaluation factors. Methods The analysis targets were 327 syllabi for the 2015-1 and 2020-2 semesters at A university in downtown Seoul, and a total of 11 factors were analyzed on a four-point scale. Data processing was performed using the SPSS 25.0 program and multi-variate variance analysis(MANOVA). Results As a result of the study, first, the period to develop the syllabus and the classification of teaching/major subjects had and influence of the community factor, and the interaction effect was confirmed. Second, the period to develop the syllabus and the classification of teaching/major subjects had and effect on the power and control factor, and the interaction effect was not confirmed. Third, the period to develop the syllabus and the classification of teaching/major subjects had an effect on the evaluation factor, and the interaction effect was confirmed. Conclusions Based on these results, the researcher suggested some solutions such as multiple time zones for learners to access professors and more routes and opportunities including phone, e-mail, etc., providing rationale for tasks and activities, methods, policies and procedures linked to learning outcomes, asking for collaboration and more team projects in class, encouraging learners to be more involved in the development of assignment types, volumes, deadlines, contents, etc., giving learners the responsibility to bring or generate more knowledge to the class, developing syllabi that focused on learning outcomes and evaluation methods and standards to improve learner-centeredness in future syllabus.

      • KCI등재

        PBL교수법을 활용한 학습자 만족도에 의한 수업효과성 분석:디자인전공의 대학생을 중심으로

        박양미 한국조형교육학회 2014 造形敎育 Vol.0 No.52

        It has been significant that design education is based on creativity thinking at knowledge-based society. Especially the field of design education needs teaching method and truly aware of problem in the real world to solve various problems. Problem-based learning consists of small group that is able to solve problem through creative ideas and various ways. It is similar to design class. This paper is to understand the feature of PBL and to analyze effects and influence for idea derivation, using a draft of the plan of course materials, and applying PBL in the future. PBL is applied to design theory ‘special design theory’ and practice class ‘product interaction design’ in the second grade of 4-year college. As a result, applying PBL in both classes have positive response from learner satisfaction, idea derivation, using a draft of the plan of course materials, and applying PBL in the future. Students felt comfortable when they took more time to use PBL. In particular, using a draft of the plan of course material is very effective in theory class and practice class. Futhermore, students have a group discussion over three times. It helps them to be an active attitude. Therefore, the teaching method, PBL will improve the quality of design education as it extends time for students’ adaptation. 지식기반사회에 도래하면서 창의적 사고를 기반으로 하는 디자인교육이 중요시되고 있다. 특히디자인 분야는 현실에서 발생할 수 있는 다양한 문제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올바른 문제의 인식과 해결방안에 대한 교육적 방법이 필요하다. 문제중심학습으로 알려진 PBL은 소그룹의 토의수업으로 창의적인 아이디어와 다양한 방법을 통하여 문제를 해결한다는 점에서 디자인 교육에적합한 교수법이다. 본 연구는 PBL교수법의 특징을 이해하고 디자인수업에 활용함으로써 사전・사후검사를 비교분석한 학습만족도, 문제해결을 위한 아이디어도출 용이성, 과제수행계획서도움여부, PBL활용 가능성에 미치는 영향과 학습자들의 수업 반응 및 기대에 대하여 알아보았다. 디자인 이론과목 중 ‘디자인 특론’과 디자인 실기과목 중 ‘제품인터렉션디자인 기초’에 각각PBL교수법을 동질집단인 산업디자인학과 2학년 대학생을 대상으로 수업에 적용하였다. 그 결과, 디자인 이론수업과 실기수업 모두 학습만족도, 아이디어 도출 용이성, 과제수행계획서 도움여부, PBL활용 가능성에 대하여 긍정적인 결과가 나타났다. 특히 PBL프로세스 중 아이디어도출은 1차 과제 해결보다 마지막 과제에서 학습자의 긍정적인 반응이 높게 나타났으며 이는PBL에 대한 적응시간이 길어질수록 학습자의 만족도가 커지는 것으로 해석된다. 또한 PBL과제수행계획서 작성을 통한 문제해결은 이론수업과 실기수업 모두에게서 매우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학생들은 정규수업이외에 3회 이상의 그룹토론을 시행하는 것으로 조사되어 능동적인학습태도에도 도움이 되는 것으로 보인다. 따라서 향후 PBL교수법에 대한 적응시간을 늘여 디자인수업에 적극 활용한다면 디자인교육의 질을 향상시킬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