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대학 플립러닝의 학습자 중심성에 대한 학습자의 경험 연구

        이예경 ( Lee Yekyung ) 인하대학교 교육연구소 2018 교육문화연구 Vol.24 No.5

        본 연구는 대학의 플립러닝에서 학습자 중심성이 실제로 구현되는 방식에 대한 학생들의 경험을 탐색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여기에서 학습자 중심성은 교수자가 자신의 플립러닝 과목에서 계획한 학습자의 주도적 활동, 학생에게 주어진 책임과 자율성의 정도, 그리고 학습자의 주도적 활동, 책임, 자율성을 통해 학습자가 인식한 학습 결과를 모두 포함하는 의미를 지닌다. 이를 위해 현상학적 연구방법을 적용하여 총 7 개 플립러닝 과목을 수강하고 있던 19 명의 학생들을 대상으로 반구조화된 인터뷰를 실시하여 그들의 경험을 심층적으로 분석하였다. 그 결과 3 개의 범주에서 6 개의 주제들이 도출되었다. 첫째, 교수자와 학습자의 관계 속에서 드러난 학습자 중심성 차원에서는, 힘들지만 학습자를 움직이게 하는 책임의식, 그리고 지적 안목 형성의 조력자로서의 교수자의 역할이 주제로 도출되었다. 둘째, 교수법적 차원에서 수렴적 및 확산적 형태로 플립러닝 유형이 구분되고 있었으며, 가장 대표적인 학습자 참여 활동인 토론에 대해서는 다양하게 경험했음을 알 수 있었다. 마지막으로, 학습 결과의 차원에서 경험된 학습자 중심성을 살펴보면, 학습자들은 수업에 주도적으로 참여함으로써 지식의 내면화, 자신의 목소리 찾기, 스스로 결정하기, (지식을) 계속 다져가기 등을 경험하고 지적 성장을 가져오는 대학다운 공부를 경험하였다. 본 연구를 통하여 학습자 중심성을 현실에서 구현할 때 중요한 것은 온라인 동영상 활용 등의 형식적 측면 보다 학습자의 자율성과 선택권, 학습자의 역할, 학습자의 책임과 주도성 등 학습자 중심성의 본질을 구성하는 요인들에 대한 교수자의 이해와 학습관이라고 볼 수 있다. This paper explored students’ experiences of learner-centeredness realized through college flipped learning classes. Learner-centeredness for this study implies studentinitiated activities, responsibility and independence of learners, and the outcomes resulting from the aforementioned elements planned in college flipped learning courses of this study. In order to investigate the experiences of the students, a phenomenological method was implemented, and the experiences of 19 students attending a total of 7 flipped learning classes were investigated using a semi-structured interview method. As a result, 3 categories and 6 assumptions were identified. First, in terms of the relation between the instructor and learner, students possessed a strong sense of responsibility, and considered the instructor’s role as a supporter for intellectual growth. Secondly, in terms of instructional methods, flipped classes could be classified into ‘closed’ and ‘open’ types, and discussions, which were most evident to the students as a learning method, elicited various responses. Lastly, in terms of learning outcomes, students perceived internalization of knowledge, finding one’s voice, making independent decisions, and solidifying knowledge as the main outcomes, and considered these outcomes fit for college learning. The results of this study imply that in order to realize learner-centeredness at the college level, rather than focusing on the technical aspects such as developing online lectures, it is more important to focus on developing perspective and understanding of the essential features of learner-centeredness, such as, independence, choice, role, and initiative of the learner.

      • KCI등재

        초등학교 저학년 통합교과 교육과정 구성에서 학습자 중심성의 적용방식 분석

        김영실 ( Youngsil Kim ) 한국교육과정학회 2020 교육과정연구 Vol.38 No.4

        본 연구는 초등학교 통합교과의 교육과정 정체성으로 ‘학습자 중심성’을 발견하고, 이 개념이 실제 교육과정 내용에서 어떻게 나타나는지 분석하고자 하였다. 통합교과는 초등학교 저학년 학습자들의 미분화된 심신 발달 단계에 적합할 뿐만 아니라 학습자들의 경험을 고려한 내용 구성을 가능하게 한다는 인식에서 출발한 결과, 교육내용을 학습자의 삶과 밀접하게 관련시키는 데 내용상의 특징이 있다. 학습자 중심성이 교육과 정에서 실제로 어떻게 적용되는지 확인하기 위해 본 연구는 통합교과 관련 연구와 7차 국가교육과정부터 2015 개정 국가교육과정까지 통합교과 교육과정, 2015 개정교육과정 교과서를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학습자 중심성은 첫째, 통합교과 교육과정의 발전에 의미 있는 기여를 하고 있었다. 둘째, 통합교과 교육과정은 교육과정에 대한 사회적 압력의 결과 너무 많은 범교과적 내용을 포함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학습자 중심성의 교육과정 적용 결과 통합교과 교육과정은 학습자의 가족을 학습 소재로 활용하며 종종 정상 가족 이미지를 제시한다. 넷째, 예의를 과도하게 중시한 일부 교육과정 내용은 학습자 중심성에 맞지 않는다. 이와 같은 분석에 근거해 본 연구는 초등학교 저학년 통합교과 교육과정을 보다 개선할 수 있는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The paper examines how the concept of “learner-centeredness” as a major characteristic of an integrated curriculum is applied to curriculum contents in the lower elementary grades. The integrated curriculum has characteristics that relate school knowledge to real life, and students in the lower grades are best fitted for integrated activities that match their developmental levels. To explore the application of learner-centeredness, I reviewed the national curriculum from its seventh version to its revision in 2015 and found the following. First, the principle of learner-centeredness contributes meaningfully to the advancement of the integrated curriculum. Second, as a result of social pressure on the national curriculum in the lower grades, it includes too many social themes and issues. Third, despite some application of learner-centeredness to the curriculum in the lower grades, it frequently presents families that fit the stereotypical image of the “normal” family. Fourth, some curriculum contents over-emphasize politeness, which does not necessarily fit well with learner-centeredness. Based on my analysis, I suggested some changes to improve the integrated curriculum at the elementary school level.

      • KCI등재

        대학 수업계획서의 학습자 중심성 분석

        김주연(Kim, Joo Yeun)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1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1 No.12

        목적 본 연구에서는 수업계획서의 작성 시기와 이수 구분이 수업계획서의 학습자 중심성에 미치는 영향을 커뮤니티 요인, 권한과 통제 요인, 평가 요인으로 나누어 실증적으로 검증해 보았다. 방법 이를 위하여 서울 시내 A대학교의 2015-2학기 수업계획서 165개와 2020-2학기 수업계획서 162개를 11개 요인, 4점 척도로 분석하였다. 자료 처리는 SPSS 25.0 프로그램과 다변량분산분석(MANOVA)을 활용하였다. 결과 본 연구의 결과로 첫째, 수업계획서 작성 시기 및 이수 구분은 커뮤니티 요인에 영향을 미쳤으며, 상호작용 효과가 확인되었다. 둘째, 수업계획서 작성 시기 및 이수 구분은 권한과 통제 요인에 영향을 미쳤으며, 상호작용 효과는 확인되지 않았다. 셋째, 수업계획서 작성 시기 및 이수 구분은 평가 요인에 영향을 미쳤으며, 상호작용 효과가 확인되었다. 결론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향후 수업계획서에서 학습자 중심성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학습자들이 교수자에게 접근할 수 있는 여러 시간대 및 전화, 이메일 등을 포함한 더 많은 경로 및 기회 제공, 학습 결과와 연결된 과제와 활동, 방법, 정책 및 절차에 대한 이론적 근거 제공, 수업 시 협력 요구, 더 많은 팀 프로젝트 수행, 과제 유형, 분량, 마감일, 학습 내용 등의 개발에 학습자들의 더 많은 참여 권장, 수업에 더 많은 지식을 가져오거나 생성할 책임을 학습자에게 부여, 학습 결과 및 평가 수단에 무게를 둔 수업계획서 작성과 같은 방안을 제시하였다. Objectives The purposes of this study is to empirically verify the effect of the development period of the syllabus and the classification of teaching/major subjects of learner-centeredness of university syllabus by community, power and control, and evaluation factors. Methods The analysis targets were 327 syllabi for the 2015-1 and 2020-2 semesters at A university in downtown Seoul, and a total of 11 factors were analyzed on a four-point scale. Data processing was performed using the SPSS 25.0 program and multi-variate variance analysis(MANOVA). Results As a result of the study, first, the period to develop the syllabus and the classification of teaching/major subjects had and influence of the community factor, and the interaction effect was confirmed. Second, the period to develop the syllabus and the classification of teaching/major subjects had and effect on the power and control factor, and the interaction effect was not confirmed. Third, the period to develop the syllabus and the classification of teaching/major subjects had an effect on the evaluation factor, and the interaction effect was confirmed. Conclusions Based on these results, the researcher suggested some solutions such as multiple time zones for learners to access professors and more routes and opportunities including phone, e-mail, etc., providing rationale for tasks and activities, methods, policies and procedures linked to learning outcomes, asking for collaboration and more team projects in class, encouraging learners to be more involved in the development of assignment types, volumes, deadlines, contents, etc., giving learners the responsibility to bring or generate more knowledge to the class, developing syllabi that focused on learning outcomes and evaluation methods and standards to improve learner-centeredness in future syllabus.

      • KCI등재

        학습몰입의 교육혁신 여정에 관한 종단적 사례연구

        차민석(Min-Seok Cha) 인문사회과학기술융합학회 2018 예술인문사회융합멀티미디어논문지 Vol.8 No.7

        고등교육에서 교수-학습 체계상의 주도성은 전통적으로 교수자에게 있었지만, 학습자의 몰입도를 높이고 학습전이를 위해서는 학습자 중심성이 강화될 필요가 있다. 기존 강의식 수업의 한계 (예: 학습자의 낮은 관여도)와 멀티미어어 매체와 외부교육자료에 대한 활용 등 기회를 통해 전공수업에서 전문가적 사용자혁신을 수행할 수 있다. 교육혁신의 일환으로 수업과정에서 학습자 중심성을 높이는 마인드셋과 전문가로서 교육과정을 새롭게 설계하고 개발해왔다. 전문가가 자신의 지식과 실험의 과정을 통하여 자신의 문제를 스스로 해결해가는 현상이다. 본 사례연구는 수업의 내용의 적용과 새로운 교수법을 개발 및 도입하는 과정과 결과에 대한 분석이다. 역할연기, 자율경영팀, 문제기반학습, 사례기반학습, 프로젝트기반학습, 멀티미디어활용, 온라인강의, 블렌디드 학습, MOOC, 동표평가, 워크숍 등을 다년간(2007-2017) 복합적으로 도입하여 왔다. 또한 조직론 수업내용을 수업 자체에 적용하여 학생들의 학습공동체를 구성하고 운영하고, 다양성, 팀경영, 창의성, 조직구조, 조직문화, 리더십의 원리 등을 적용하여 진행하였다. 이는 명시적인 지식이기보다는 수업운영방식에 내포된 암묵지적인 속성을 가지고 있다. 진행한 수업들에서 도입한 다양한 수업방법의 도입계기, 도입내용, 적용 및 효과, 평가들을 살펴보았다. The learning centricity of the teaching and learning system could be reconsidered to enahance the learners’ engagement. We need to address the challenge of the lower engagement of traditional toward the teaching method of higher learning transfer and engagement. The educator can learn the new teaching methods as well as innovate the process by applying professional user innovation. There have been new desgin and development from the learner centered mindset. The educator could innovate the educational process as the professional. The professional user innovation in education occurs when the educator transform one s educational process. It is the problem solving of one s problems using one s knowledge and experimental process. I have applied two kinds of innovation (new to the class): new teaching method and the managerial practice. I have used the various approach to the organizational behavior course with the self-managed team, role play, problem-based learning, case-based learning, project-based learning, multimedia, e-learning (SPOC & MOOC), and blended learning in addition to the lecture and discussion for many years (2007-2017). Moreover, I organize the community of learning to apply the practices of organizational structure, team leadership, creativity method, and culture. These are embedded implicitly in the process of teaching-learning. There could be changes of evaluations and learner s anonymous feedback at the end of each semester to be analyzed. The reason why the new teaching methods are developed and applied, the design of new class, the implementation, the situations, and the results are compared. As a result and the process, the class evolves to the community of learning for the artistic skills in the management as well as the conceptual knowledge. The engagement and performance are mostly exceed the expectation. The relations among the team members are maintained after the class projects. This is the educational journey searching for the more complete learning experience for the students. And it will continue to evolve in every classroom.

      • KCI등재

        의미연결망을 활용한 한국어 학습자의 쓰기 특성 연구

        유소영,공나형 한민족문화학회 2023 한민족문화연구 Vol.81 No.-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writing characteristics of Korean learners using the semantic network analysis method. Specifically, this study attempted to explore implications from a writing evaluation and educational perspective by examining the discriminant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the writing performance level. To this end, in this paper, learner's writings were first evaluated high and low groups, and then the compositions were analyzed using the semantic network method. Through this, this paper compared and analyzed learners' writing characteristics revealed according to the level. In addition, in order to verify the results, two writings for each level were selected and qualitative analysis was performed. This study made intuitive comparisons possible by visualizing the characteristics of writings according to the level through a semantic network. Through this, it is meaningful to derive educational implications in Korean writing education. In addition, it is significant in that it can be used in future research such as automatic scoring and automatic evaluation in that it identifies writing factors that affect writing evaluation. 이 연구는 의미연결망 분석 방법을 활용하여 한국어 학습자의 쓰기 수행 수준에 따른 쓰기 특성을 분석하는 데 목적이 있다. 구체적으로는 쓰기 수행 수준에 따른 변별적 특성을 살펴봄으로써 쓰기 평가와 쓰기 교육적 관점에서의 교육적 시사점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본고에서는 동일한 주제로 쓰인 115편의 학습자 작문을 평가한 후, 상․ 하 집단으로 나누어 의미연결망 방법을 활용한 분석을 실시하였다. 이를 통해 쓰기 수행 수준에 따른 학습자의 쓰기 특성을 비교 분석하는 한편, 그 결과를 검증하기 위하여 수준별 작문 2편씩을 선정하여 질적 분석을 함께 병행하였다. 이 연구는 쓰기 수행 수준에 따른 작문의 특성을 의미연결망으로 시각화함으로써 객관적인 비교가 가능하게 하였다는 점에서 의의를 지닌다. 또한 작문 평가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였다는 점에서 추후 자동 채점 및 자동 평가 등의 연구에 활용될 수 있다는 점에서 유의미하다.

      • KCI등재

        韓國語 言語文化 敎育의 자리매김을 위한 一考察 -韓國語 言語文化 敎育의 內容 體系化와 學習者 中心性의 認識을 中心으로-

        석주연 한국어문교육연구회 2008 어문연구(語文硏究) Vol.36 No.4

        The importance of Korean linguaculture education is now well recognized by Korean language educators and scholars.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more systematically how various aspects of Korean lingua- culture can be understood, and then be applied to the practice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I examine the contents of Korean lingua- culture in terms of visibility and non-linguistic communicative behaviors, and clarify the interconnections between them. Also I argue that ‘learner-centeredness' should be taken seriously in order to obtain the objectivity of Korean linguaculture and to cultivate participatory attitudes among Korean linguaculture accommodators, when we develop and systematize Korean linguaculture education. 文化의 힘과 價値에 대한 認識이 새로워지고 社會 構造가 多文化的으로 變貌해 가고 있는 지금 韓國語 文化 敎育의 重要性이 나날이 고조되고 있다. 본고에서는 ‘韓國語의 言語文化’의 내용을 可視性, 言語的․非言語的 意思疏通 行爲 등의 觀點을 중심으로 構造化, 體系化하고 統合的으로 이를 이해하는 方案을 摸索하는 한편 이들 相互間의 關聯性을 理解하고 韓國語 言語文化를 좀더 總體的으로 인식함으로써 韓國語 言語文化 敎育의 性格과 位相을 정립해 보고자 하였다. 아울러 韓國語 言語文化 敎育의 내용을 발굴하고 체계화할 때 ‘學習者 中心性’을 바탕으로 해야 한다는 점은 韓國語 言語文化의 客觀性을 확보하는 데에도 큰 의미가 있지만 言語文化 受容者의 能動性을 高揚하고 그것이 결국 韓國語가 介在된 文化 現象에 대한 洞察과 理解로 나아갈 수 있는 礎石이 된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음을 확인해 보았다.

      • KCI등재

        원형적 혁신조직의 설계와 구현: 매트릭스 구조 기반의 지식부서와 프로젝트팀 구성의 양손잡이 수업조직 사례연구

        차민석(Min-Seok Cha) 사단법인 인문사회과학기술융합학회 2019 예술인문사회융합멀티미디어논문지 Vol.9 No.9

        본 연구에서는 종단적인 현장사례 기반으로 수업조직의 설계와 운영의 여러 가지 가능성을 원형과 변화라는 시간축과 다양한 시도라는 설계를 시도한 탐험적 사례조사이다. 직소 방법(Jigsaw method)와 사업환경의 양손잡이 매트릭스 조직(ambidextrous matirx organization)과 같은 혁신조직(innovative organization)들을 바탕으로 학습효과를 높일 수 있는 조직설계 및 운영방안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초기의 시행착오를 즉각적으로나 성찰적으로 설계과정에 반영하는 수업조직 혁신과정을 지속적으로 진행하였다. 학생참여형 수업조직에 대한 현장사례 연구를 진행한 지난 12년간의 실험과 시행착오와 실험을 통해 개발한 매트릭스 방법(Matrix method)을 소개한다. 교수-학습방법을 혁신하는 접근으로서 해야 할 일 이론(Jobs theory)에 기반하여, 대학생의 관점에서 보다 유익하고 복잡한 대학생활 과업들을 수업과 캠퍼스 학습활동을 통해 가치를 실현하고자 하였다. 교수자는 학습자들이 수동성에서 능동성, 자율성, 친교성과 창의성을 갖도록 변혁의 과정을 견인하고자 한다. 학습자 관점에서는 다양성과 효과성을 가진 팀구성 및 프로젝트 팀협업 방법을 통해 지식과 스킬셋의 습득, 사회적 관계개발, 정서적 만족, 소속감을 가지고, 공유할 창의적 아이디어 등을 나눌 기회를 필요로 한다. 매트릭스 수업조직의 도입결과로 평균 9명 이상의 새로운 관계형성이 이루어졌고, 목표한 지적인 성취와 함께 도전적인 자료조사와 문제해결과정을 경험하였다. 이에 대한 매트릭스 방법의 가치와 가능성을 제시하고 논의하고 있다. This is an explorative case study on the desgin and development of classroom organization with the archetype and the evolution of organization design embedded in the field of the university classroom. The aim of this study is that increase the learning effects by designing organizational structure and process effectively with the established jigsaw method and matrix organization with ambidexterity that adapt to the changing environments. There was many trials and experiment since 2007 fall when the author started teaching the undergraduate courses. Using the recent innovation framework of job theory, the coursework could include the diversity and effectiveness to deliver the knowledge and value to the university students. From the perspective of the educator, the learner should transform from the passivity to proactivity, autonomy, friendliness, and the creativity. From the learners’ perspective, they need to have knowledge, skillset, social relations, affective satisfaction like pleasure and joy, sense of belonging-ness, and creative ideas to share. Matrix method results in building more than 9 relations and experiencing the creative problem solving project. This research shows the feasibility of the matrix method in the classroom context.

      • KCI등재후보

        외국인을 위한 한국어 문법 내용 설정 연구 -교육 문법 내용의 영역, 등급과 순서 제시

        김재욱 ( Jae Wook Kim ) 한국문법교육학회 2009 문법 교육 Vol.10 No.-

        This article aims to establish standards about grammar selection for teaching Korean as a foreign language. First and foremost, this study investigated the differences between school grammar and grammar for Korean for foreign learners(KFL) in order to detect problems in grammar for KFL. Then, attention was drawn to the standards for grammar hierarchy and grammar gradation order. Under the assumption that grammar for KFL is for successful communication in Korean, the study presented standards for grammar hierarchy and grammar gradation order: (1) learner-centeredness, (2) specific grammar area for a teacher and a student, and (3) spiral learning. This article also argued that, while grammar system at the advanced level should be presented separately, grammar system at the novice and intermediate level should be presented focusing on meaning and function of language structure. It is necessary for advanced learners to shortened grammar distance with native speakers of Korean. In other words, grammar system at the beginning level should be established aiming efficient communication focusing on meaning and function of grammar structure. Then, grammar system should be elaborated for the advanced learners along with developing grammar content which they can understand.

      • 문법 평가 내용 선정 원리에 대한 연구 -문법 평가 문항에 대한 학생들의 인식을 바탕으로-

        하성욱 ( Sung Wook Ha ) 한국문법교육학회 2007 문법 교육 Vol.7 No.-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propose the principles of content selection in the evaluation of Korean Grammar. These days, lack of understanding for evaluating Korean Grammar has caused instability in grammatical area in the government-sponsored scholastic aptitude test. So it is raised the need for developing specific principles for content selection in evaluating Korean Grammar. To study those principles, analyzing learners` awareness on grammars is required first. So I use a method of ethnography in this paper. In conclusion, the principles are classified into three categories. (1) First category is a grammatical thinking power centered-principle. it is well known that the government-sponsored scholastic aptitude test has been centered on basic knowledge. It is not easy to evaluate learner`s grammatical ability with the exam. At this point, it is required to develop new tests that make is possible to encourage students to strengthen their grammatical thinking power. (2) Second factor is a learner centered-principle. Since subject of Korean grammar education is based on learners, and the government-sponsored scholastic aptitude test also has been focused on learners, tests should be able to give meaningful feedbacks to learners. (3) The last category is an integration centered-principle. The process of revision of Korean language curriculum has been emphasized the importance of integration of all area. In the same manner, the government-sponsored scholastic aptitude test should be designed to encourage integration among each test.

      • KCI등재

        사회연결망 분석을 통한 대학생의 교우 관계와 학업성취도 간의 상관관계

        채영숙(蔡濚叔) 동북아시아문화학회 2017 동북아 문화연구 Vol.1 No.53

        Nowadays, the characteristics of university students make a relationship only with their friends as a small group. Teamwork is one of important features in content creation field.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sis of friend relationship and to establish a teaching strategy for improvement of relationship with students who do not like to make a relationship. We investigate the shape and effect of peer relationship structure on learning and interactive team work based on social network analysis method. The subjects of this study are twenty-one students who participated in the game project I and II of Y university. They write three friend names as their best friends and we analysis the collected data to network structure using the UCINET 6.0 tool, one of the social network analysis tools. Friend relationships affect academic achievement and learning performance. In the comparison of the strong and weak networks, the strong network shows the influence of the information in the case of the academic achievement factors, but the weak network shows the low effect in the diversity of the information acquisition required for the academic achievement. Students with weak connectivity have a place to make fellowship through individual counseling and SNS and have played a role as a teacher to avoid alienation from team work. Further research requires in-depth studies on the analysis of characteristics and learning styles of university students, the development of strategic learning support programs, and the improvement of learning consulting including life guidance, team-based project instruction, and so 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