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메타컨텍스트(Meta-context) 시론

        이용욱 국어문학회 2019 국어문학 Vol.71 No.-

        This paper is an introduction to the future of texts triggered by hypertext theory. Since the publication of George P. Landow's 『Hypertext 2.0 - The Convergence of Contemporary Critical Theory and Technology』 in 1997, hypertext has become a keyword that symbolizes literary aesthetics in the digital era. But twenty years later, hypertext theory no longer produces meaningful discourse. Now Hypertext became hypermedia. The change from text to media means that we have been liberated from the centrality of character centrism that has dominated us for centuries. Although hypertext (non-mediated) uses digital technology called link and node, the visual representation style is displayed in the form of old medium called book, which makes text attention to technology rather than technology, but hypermedia Focus on technology rather than text, where levels are determined by understanding, intimacy, and proficiency. Hypertext is no longer valid as a keyword. It does not produce any aesthetic value or artistic meaning, only to the technical concept of electronic linking of text through links and nodes. With the advancement of digital technology, we no longer recognize hypertext as an unfamiliar, odd, and new form. As technology evolves, text in hypertext becomes blurred. This researcher proposes the concept of meta - context as a new aesthetic keyword to replace hypertext. The meta-context, which means "the total reproduction of the context that encompasses everything beyond boundaries and distinctions," restores self-reflection through the restoration of the totality and by using hypertext technology as a means of improving literacy, It is the outcome of the recognition conversion that overcomes the boundaries and exclusions that have been. 이 논문은 하이퍼텍스트 이론에서 촉발된 텍스트의 미래에 대한 시론이다. 1997년 조지 랜도우의 『하이퍼텍스트 2.0』이 출간한 이후 하이퍼텍스트는 디지털시대 문예미학을 상징하는 키워드가 되었다. 그러나 20년이 지난 지금 하이퍼텍스트이론은 더 이상 유의미한 담론을 생산해내지 못하고 있다. 이제 하이퍼텍스트는 하이퍼미디어가 되었다. 텍스트에서 미디어로의 변화는 수백년 동안 우리를 지배했던 문자중심주의의 구속에서 해방되었다는 것을 의미한다. 하이퍼텍스트(비매개)는 비록 링크와 노드라는 디지털기술을 사용하나 시각적 표상양식이 책이라고 하는 올드미디어의 형식으로 표시되면서 기술보다는 텍스트에 주목하게 만들지만, 하이퍼미디어(하이퍼매개)는 디지털기술에 대한 이해와 친밀감, 숙련도에 따라 수준이 결정되는, 텍스트보다는 기술에 주목한다. 하이퍼텍스트는 이제 더 이상 키워드로 유효하지 않다. 링크와 노드를 통한 텍스트의 전자적 연결이라는 기술적 개념에 국한될 뿐 어떠한 미학적 가치나 예술적 의미도 생산해내지 못한다. 디지털기술의 발전으로 우리가 더 이상 하이퍼텍스트를 낯설고 기이하고 새로운 형식으로 인식하지 않게 됐기 때문이다. 기술이 발전할수록 하이퍼텍스트에서 텍스트는 희미해지고 만다. 본 연구자는 하이퍼텍스트를 대체할 새로운 미학키워드로 메타컨텍스트라는 개념을 제안하고자 한다. “경계와 구분을 넘어 모든 것을 아우르는 맥락의 총체적 재생산”이라는 의미의 메타컨텍스트는 총체성의 회복을 통해 자기반성 장치를 복원하는 것이며, 하이퍼텍스트 기술을 문식력 제고의 한 수단으로 활용함으로써 그동안 견고하게 작동되어 왔던 경계와 배타를 극복하는 인식 전환의 소산이다.

      • KCI등재

        한국 현대시에서의 하이퍼텍스트 문제 고찰

        이성혁(Lee SeongHyuk) 한국외국어대학교 외국문학연구소 2012 외국문학연구 Vol.- No.46

        2000년을 전후하여 한국에서는 하이퍼텍스트가 가진 문명사적인 의미에 대한 논의가 활발하게 생산되기 시작했다. 특히 문학 분야에서 하이퍼텍스트 문학의 가능성에 대해 논의가 활발하게 이루어졌고, 2000년 직후에는 하이퍼텍스트 문학 프로그램이 직접 제작되기도 하였다. 시 장르에서는 ?언어의 새벽?이나 ?팬포엠?이 대표적이다. 두 하이퍼텍스트 시 모두 독자를 시작(詩作)의 주체로 끌어올리겠다는 취지로 제작되었다. 하지만 하이퍼텍스트 문학 제작 실험은 실패했다고 평가된다. 이 두 편의 하이퍼텍스트 시는 독자의 능동성과 창의성을 북돋는다기 보다는 도리어 가로막는 경향이 있었다. 시 창작에서는 발상이 매우 중요한데, 하이퍼텍스트 시에서 독자는 이미 제시된 시구에 자신의 상상력을 맞추어 시를 써야 했기 때문이다. 또한 문학 독자는 텍스트에 몰입되는 것에서 흥미를 느끼지만, 하이퍼텍스트 시는 관심의 지속이나 심화를 방해할 가능성이 많았다. 그래서 하이퍼텍스트 시는 독자 대중의 호응을 이끌어내지 못했다. 시의 하이퍼텍스트 변환이라는 문제보다는 시와 ‘하이퍼텍스트’의 관계라는 문제를 제기할 필요가 있다. 한국 현대시는 하이퍼텍스트에 대해 두 가지 상반된 태도로 대응했다. 하나는 하이퍼텍스트 환경이 인간의 삶에 갖는 의미에 대해 관찰하고 이에 비판적으로 대응하는 태도다. 대표적으로 이원의 시는 인간을 탈주체화하고 무력화하는 ‘장치’로서 하이퍼텍스트를 조명한다. 다른 하나는 하이퍼텍스트 환경을 긍정하고 하이퍼텍스트 원리를 종이로 인쇄된 시에 구현하려는 태도다. 심상운이 제창한 ‘하이퍼시’가 그러하다. 하지만 하이퍼텍스트가 등장하기 이전에 창작된 이상의 초현실주의 시에서 ‘하이퍼시’의 특성이 이미 나타나 있었다는 점에서, ‘하이퍼시’를 새롭다고 할 수는 없다. 이를 보면, 하이퍼텍스트에 의해 시의 변화가 일어났다기보다는 도리어 시가 하이퍼텍스트의 특징을 선취하여 예시했다고 할 수 있다. 하이퍼텍스트가 사람의 자연스러운 연상 과정에 연동되는 정보 시스템을 창출한다는 발상에서 만들어졌다는 점에서, 하이퍼텍스트는 인간의 정신을 갖가지 억압과 속박에서 해방하고자 하는 시의 노력에 영향을 받아서 탄생했다고 말할 수 있는 것이다. There had been the liveliest discussion as to the hypertext from viewpoint on the meaning of civilization history in Korea around 2000. Especially in the literature field, the possibility of hypertext literature was being actively discussed. The projects of hypertext literature were produced directly after 2000. 「Dawn of Language」, 「Fan Poem」were the representative hypertext literature in the poetry. These two hypertext poems were produced for the purpose of raising the reader to poetic subject. However the trial of hypertext literature was judged to be a failure. These two hypertext poems tended to discourage the reader"s activeness and creativity rather than encourage it. Because the reader of hypertext poem should write the poem adjusting his imagination according to presented verse. But the idea is very important in the creation of poetry. Ordinary literature reader felt interested in the text immersion, while hypertext reader could not feel it. Hypertext poem had a lot of possibility of immersion disturbance. Therefore hypertext poem could not derive the response of the public literary audience. It is necessary that the relationship between poem and hypertext should be issued rather than the change from poem to hypertext. Korean modern poetry had the directly-opposed attitude about hypertext. One was the attitude which observes the meaning of hypertext environment to human life, responds critically. Representatively Lee Won"s poem used the hypertext as the dispositif of human desubjectivation and incapacitation. The other was the attitude which affirms the hypertext environment, realizes the hypertext principle to the printed poem in the paper. Sim Sang-yun"s hyper poetry belongs to that. However considering Lee Shang"s surrealism poetry already had the feature of hyper poetry before the hypertext made an appearance, hyper poetry could not be new. Based on that, we can say that poetry had got the hypertext feature in advance rather than the change of poetry took place by the hypertext. Considering the hypertext produces the information system interlocked human natural association process, we can say that the hypertext was influenced by the poetry effort which liberates the human spirit from various repression and restriction and then was born. 2000년을 전후하여 한국에서는 하이퍼텍스트가 가진 문명사적인 의미에 대한 논의가 활발하게 생산되기 시작했다. 특히 문학 분야에서 하이퍼텍스트 문학의 가능성에 대해 논의가 활발하게 이루어졌고, 2000년 직후에는 하이퍼텍스트 문학 프로그램이 직접 제작되기도 하였다. 시 장르에서는 ?언어의 새벽?이나 ?팬포엠?이 대표적이다. 두 하이퍼텍스트 시 모두 독자를 시작(詩作)의 주체로 끌어올리겠다는 취지로 제작되었다. 하지만 하이퍼텍스트 문학 제작 실험은 실패했다고 평가된다. 이 두 편의 하이퍼텍스트 시는 독자의 능동성과 창의성을 북돋는다기 보다는 도리어 가로막는 경향이 있었다. 시 창작에서는 발상이 매우 중요한데, 하이퍼텍스트 시에서 독자는 이미 제시된 시구에 자신의 상상력을 맞추어 시를 써야 했기 때문이다. 또한 문학 독자는 텍스트에 몰입되는 것에서 흥미를 느끼지만, 하이퍼텍스트 시는 관심의 지속이나 심화를 방해할 가능성이 많았다. 그래서 하이퍼텍스트 시는 독자 대중의 호응을 이끌어내지 못했다. 시의 하이퍼텍스트 변환이라는 문제보다는 시와 ‘하이퍼텍스트’의 관계라는 문제를 제기할 필요가 있다. 한국 현대시는 하이퍼텍스트에 대해 두 가지 상반된 태도로 대응했다. 하나는 하이퍼텍스트 환경이 인간의 삶에 갖는 의미에 대해 관찰하고 이에 비판적으로 대응하는 태도다. 대표적으로 이원의 시는 인간을 탈주체화하고 무력화하는 ‘장치’로서 하이퍼텍스트를 조명한다. 다른 하나는 하이퍼텍스트 환경을 긍정하고 하이퍼텍스트 원리를 종이로 인쇄된 시에 구현하려는 태도다. 심상운이 제창한 ‘하이퍼시’가 그러하다. 하지만 하이퍼텍스트가 등장하기 이전에 창작된 이상의 초현실주의 시에서 ‘하이퍼시’의 특성이 이미 나타나 있었다는 점에서, ‘하이퍼시’를 새롭다고 할 수는 없다. 이를 보면, 하이퍼텍스트에 의해 시의 변화가 일어났다기보다는 도리어 시가 하이퍼텍스트의 특징을 선취하여 예시했다고 할 수 있다. 하이퍼텍스트가 사람의 자연스러운 연상 과정에 연동되는 정보 시스템을 창출한다는 발상에서 만들어졌다는 점에서, 하이퍼텍스트는 인간의 정신을 갖가지 억압과 속박에서 해방하고자 하는 시의 노력에 영향을 받아서 탄생했다고 말할 수 있는 것이다. There had been the liveliest discussion as to the hypertext from viewpoint on the meaning of civilization history in Korea around 2000. Especially in the literature field, the possibility of hypertext literature was being actively discussed. The projects of hypertext literature were produced directly after 2000. 「Dawn of Language」, 「Fan Poem」were the representative hypertext literature in the poetry. These two hypertext poems were produced for the purpose of raising the reader to poetic subject. However the trial of hypertext literature was judged to be a failure. These two hypertext poems tended to discourage the reader"s activeness and creativity rather than encourage it. Because the reader of hypertext poem should write the poem adjusting his imagination according to presented verse. But the idea is very important in the creation of poetry. Ordinary literature reader felt interested in the text immersion, while hypertext reader could not feel it. Hypertext poem had a lot of possibility of immersion disturbance. Therefore hypertext poem could not derive the response of the public literary audience. It is necessary that the relationship between poem and hypertext should be issued rather than the change from poem to hypertext. Korean modern poetry had the directly-opposed attitude about hypertext. One was the attitude which observes the meaning of hypertext environment to human life, responds critically. Representatively Lee Won"s poem used the hypertext as the dispositif of human desubjectivation and incapacitation. The other was the attitude which affirms the hypertext environment, realizes the hypertext principle to the printed poem in the paper. Sim Sang-yun"s hyper poetry belongs to that. However considering Lee Shang"s surrealism poetry already had the feature of hyper poetry before the hypertext made an appearance, hyper poetry could not be new. Based on that, we can say that poetry had got the hypertext feature in advance rather than the change of poetry took place by the hypertext. Considering the hypertext produces the information system interlocked human natural association process, we can say that the hypertext was influenced by the poetry effort which liberates the human spirit from various repression and restriction and then was born.

      • 작문 교육을 위한 하이퍼텍스트 기반의 작문 공간 모형 설계 방안

        임천택 국어교육학회 2002 國語敎育學硏究 Vol.15 No.-

        본고는 새로운 작문 환경과 교수·학습 환경에 부응하여 컴퓨터 하이퍼텍스트 환경을 이용하여 작문 교육을 위한 지원 시스템을 어떻게 구축할 것인가에 대하여 논의하였다. 하이퍼텍스트란 노드들이 링크로 연결되어 네트워크 구조를 가지는 언어적, 비언어적 텍스트의 총체를 말한다. 하이퍼텍스트의 구조는 작문을 위해 정보를 탐색하는 측면에서 방향감 상실이나 인지적 과부하의 문제와 관련이 있고, 의미 구성의 측면에서는 표현의 자율성 문제와 관련이 있는데, 하이퍼텍스트가 작문 교육에 유용성을 가지기 위해서는 작문 과제, 작문 과정, 학습자의 특성을 보다 잘 반영할 수 있는 망 구조를 가져야 한다. 본 연구에서는 하이퍼텍스트 기반의 작문 과정을 계획하기, 탐색하기, 작성하기, 다듬기의 네 가지로 나누어 살펴보았다. 계획하기 단계는 과제를 인식하고, 필요한 지식이나 전략을 선택하고, 전체적인 작문 계획을 수립하는 단계이다. 탐색하기는 계획하기 단계에서 산출한 아이디어를 단서로 삼아 필요한 내용을 찾고, 이해하고 해석하는 과정이다. 작성하기 단계는 탐색하기를 바탕으로 내용을 생성하고 초고를 작성하는 실질적인 글의 산출 단계이다. 하이퍼텍스트 환경에서는 작문 매체 자체는 조작이 가능하고, 텍스트의 조작과 저장이 비교적 자유롭기 때문에 내용을 생성화고, 조직하고, 연결하는 것과 동시에 전사하기가 이루어진다. 다듬기는 초고를 작성한 후에 작문 과제에 비추어 초고를 점검하고 수정하며, 의사 소통 상황에 맞게 편집하는 단계이다. 하이퍼텍스트 환경에서는 펜-작문과는 달리 텍스트의 조작이 용이하고 시각적 요소가 차지하는 비중이 크므로 다듬기 단계가 중요하다. 조정하기는 필자가 작문 과정을 점검하고 통제하고, 의미의 연결 망을 만들어 내는 과정으로 하이퍼텍스트 시스템은 사고를 즉각적으로 처리하고, 작문 단계의 이동을 자유롭게 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작문 공간 모형'은 이러한 프로그램의 하나로서, 쓰기 자료, 쓰기 지식, 쓰기 전략의 설계를 통하여 쓰기 과정을 지원하는 일종의 개념 지도라고 할 수 있다. 작문 공간은 이른 바 '계획 공간', '조직 공간', '쓰기 공간' '상호작용 공간'으로 구성하였다. 계획 공간은 과제를 초점화하고 쓰기 계획을 지원하는 공간이다. 자료 공간은 필자가 다양한 자료를 탐구하고 활용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공간이다. '쓰기 공간'은 텍스트를 구성하고 교정하는 것을 지원하는 공간이다. '상호 작용 공간'은 필자가 다른 사람들과 텍스트를 공유하고 생각을 주고받는 공간이다. 필자는 이러한 공간을 활용함으로써 쓰기 과정에 필요한 지식과 전략을 인식할 수 있고, 내면화할 수 있다. 즉, 작문 공간은 필자에게 쓰기 지식과 전략을 내면화하는 데 비계 역할을 할 수 있다. The study proposed model of writing space for system supporting composition education in hypertext environment considering new instruction-learning environment. First, I explained characteristics and moving structures of hypertext. It is basic discussion to be necessary for searching content and method of composition education. Hypertext is the whole of verve and non-verve text having network structures that nodes is connected with link. Hypertext has to have web structure to be used within composition education. This study investigated composition process based hypertext to divide it four courses paining researching, composing, to divide it four courses paining, researching, composing, revising. Planning is the step to know task, choose knowledge and strategy, and make whole plan of composition. Researching is the step to understand, interpreter, and research content needed on basis of cues in planning step. Composing is the step to product text practically. Revising is the step to check a draft, revise it, and edit it on basis of situation. Regulation is the course controlling and cheking composition process, and making meaning web connected. Hypertext system supports to process thinking immediately and move composition steps easily. Model of composition space is one of the these programs, it is concept-map that support writing process with design of materials, knowledge, strategy, composition space consists of called 'plan space' , 'organization space', 'materials space', 'writing space', 'interaction space'. Plan space supports writer to know task accuracy and plan writing. 'Organization space' supports writer to make a model of text and make organizer-map. 'Materials space' supports writer to investigate and use various materials. 'Writing space' supports writer to make and revise text. 'Interaction space' supports writer to exchange think and own in common text with others, Writer knows the knowledge and strategy that can use in writing process using these spaces.

      • KCI등재

        하이퍼텍스트의 새로운 글쓰기 : 프랑스 디지털 문화이론을 중심으로

        심은진(Shim Eun Jin),윤학로(Yun Hak Roh) 한국외국어대학교 외국문학연구소 2007 외국문학연구 Vol.- No.26

        디지털이 가져온 문학에서의 첫 번째 변화는 매체, 즉 물질적 장치의 변화이다. 컴퓨터는 책을 탈 물질화 시켜 우리시대 특유의 새로운 문체를 만들어 내었다. 인간과 세계에 대한 진실을 표상 하던 전통적인 서사행위는 이제, 끊임없이 변화를 추구하는 전자세계의 하이퍼텍스트에 의해 도전을 받고 있다. 하이퍼텍스트의 비물질적인 텍스트로의 변화는 단순히 기술적인 차원에서만 아니라 인식의 구조에 있어서도 혁명적인 변화를 가져 왔다. 문학의 영역, 특히 픽션의 영역에서 하이퍼텍스트적 장치에 의해 가장 큰 영향을 받은 것은 담화의 선조성이다. 하이퍼텍스트의 특성은 작가가 담당한 서사 담화의 선조성을 파괴하고, 특정 독자에게 재선조화를 맡기게 된다. 독자는 더 이상 작가가 만들어 놓은 텍스트를 일방적으로 수용하는 수동적인 입장에 머물지 않고 자신의 텍스트를 네트워크에 연결시켜서 텍스트를 재구성한다. 그래서 하이퍼텍스트의 독자는 상호 텍스트성이 보장되는 한에서 작가에 필적하는 지위에 오를 수도 있다. 독자들의 잠재적인 자유로움을 부추기는 하이퍼텍스트는 중심화 된 주체로서의 저자의 지위를 흔들어 놓지만, 다른 한편으로는 새로운 글쓰기의 가능성을 만든다. The primary consequence of the digitalization process is the dematerialization of the specific support structure of literature. This dematerialization disrupts our book-centered culture, which results in changes that reach far beyond our relationship with books. Our ways of thinking and forms of speech that articulate our thinking are, indeed, so closely related to the book that the programmed obliteration of the book in the digital world creates a shock that has not only technological but also intellectual and epistemological ramifications. In the field of literature, discursive linearity is severely damaged by the hypertextual device. This damage is characterized by a delinearisation of the narrative auctorial speech and a relinearisation of it by the reader. Hypertext may seem like an attempt to deconstruct text, or, in other words, a release from the constraints and artifices of traditional rhetoric that has hitherto been subordinated to the linearity of speech. The disorganization of linear speech has opened a way to transfer privileges from the authorial statement to the reader. However, hypertext is not a release from textual constraints; in fact, it creates new ones. The link writing is a difficult and intricate art, but it creates new perspectives for literature.

      • KCI등재

        하이퍼미디어.멀티미디어.하이퍼텍스트: 정의(定義)와 개관(槪觀)

        김지희,Kim, Ji-Hee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과학기술정보센터 1994 Journal of Information Science Theory and Practice Vol.25 No.1

        본 논문은 하이퍼미디어, 멀티미디어, 하이퍼텍스트의 정의(定義)와 개관(槪觀)에 관한 것이다. 하이퍼텍스트에서는 관련 정보가 노드의 형태로 분류되며, 각 노드는 링크로 서로 연결된다. 하이퍼텍스트의 경우, 노드는 텍스트 혹은 그래픽 정보를 소장하고 있다. 멀티미디어에서는 여러 유형의 미디어(음성, 애니메이션, 텍스트, 그래픽, 비디오)가 결합된다. 하이퍼미디어는 하이퍼텍스트와 멀티미디어의 확장으로 볼 수 있다. 하이퍼미디어에서는 시스템에서 정보를 조직(組織)함에 있어서 노드와 링크를 사용하는 하이퍼텍스트의 개념(槪念)에 기초하고 있으며, 이런 경우 노드는 위의 멀티미디어 정의에서 언급된 여러 데이터 유형(類型)으로 구성된다. '노드와 링크' 개념은 하이퍼미디어 시스템에서 정보(情報)를 조직(組織)하는데 사용된다. 하이퍼미디어 시스템 계발의 새로운 접근방법은 지식기반(知識基盤) 접근(接近)이다. Joel Peing-Ling Loo는 지식기반 접근이 이러한 종류의 기술을 다루는 데 가장 효과적(效果的)이라고 제안하였다. 의미기반(意味基盤) 하이퍼미디어 모형(模型)이 정보책임, 유지와 검색을 표현하는데 있어서의 제한점(制限點)에 대한 해결책으로서 개발되었다. 정보의 지식기반(知識基盤) 표현은 전통적인 데이터 구조의 사용을 포함한다. 이러한 데이터 구조는 전문가(專門家) 시스템에서 사용되는 프레임(객체(客體)), 슬롯, 계승이론을 사용한다. 이러한 객체들이 데이터베이스에 포함되기 때문에 관계가 여러 객체 사이에서 개발되었으며, 또한 관계는 프레임이 속하는 어트리뷰트에 의하여 프레임 사이에서 존재(存在)할 수 있다. In this paper I will discuss definitions of hypermedia, multimedia and hypertext. Hypertext is the grouping of relevant information in the form of nodes. These nodes are then connected together through links. In the case of hypertext the nodes contain text or graphics. Multimedia is the combining of different media types for example sound, animation, text, graphics and video for the presentation of information by making use of computers. Hypermedia can be viewed as an extension of hypertext and multimedia. It is based on the concept of hypertext that uses nodes and links in the structuring of information in the system. In this case the nodes consist of an the different data types that are mentioned in the multimedia definition above. The 'node-and-link' concept is used in organisation of the information in hypermedia systems. The 'book' metaphor is an example of the way these systems are implemented. This concept is explained and a few advantages and disadvantages of making use of hypermedia systems are discussed. A new approach for the development of hypermedia systems, namely the knowledge-based approach is now looked into. Joel Peing-Ling Loo proposed this approach because he thought that it is the most effective way for handling this kind of technology. A semantic-based hypermedia model is developed in this approach to formulate solutions for the restrictions in presenting information authoring, maintenance and retrieval. The knowledge-based presentation of information includes the use of conventional data structures. These data structures make use of frames(objects), slots and the inheritance theory that is also used in expert systems. Relations develop between the different objects as these objects are included in the database. Relations can also exist between frames by means of attributes that belong to the frames.

      • 하이퍼텍스트를 통한 읽기 교육 개념의 재설정

        권순희 국어교육학회 2003 國語敎育學硏究 Vol.16 No.-

        하이퍼텍스트를 통한 읽기 교육에 대한 개념은 다음 영역에서 재설정되어야 한다. 첫째, 독자의 문제를 들 수 있다. 하이퍼텍스트는 능동적인 독자 즉 필자의 자격으로서 읽기의 기회까지도 선택할 수 있는 독자와 관련을 맺고 있다. 둘째, 읽기 교육의 대상과 교육 내용이 달라지고 있다. 하이퍼텍스트의 이해는 독자마다 각기 다른 구현물을 선택하여 이해한다는 것을 의미하고 공동체적 나눔을 통한 이해가 필요함을 의미한다. 셋째, 인지 구조의 변화이다. 하이퍼텍스트는 하이브리드적 사고로의 변화를 불러일으키고 있다. 하이브리드적 사고는 비판적 이해를 통한 창조적 사고의 도출을 의미하는 종합적인 사고이다. 넷째, 필자의 문제이다. '읽기 텍스트'와 '쓰기 텍스'가 전통적인 인쇄 텍스트와 하이퍼텍스트와 대응 관계에 있다. 읽기 텍스트는 읽을 수는 있지만 쓸 수 없는 '정전'개념이 강한 텍스트로서 인쇄 텍스트에 해당한다. 하지만 쓰기 텍스트는 '쓸 수 있는 텍스트', 또는 '쓰기를 위한 텍스트'로서, 필자가 네트워크로 연결된 텍스트들을 비연쇄적인 방식으로 읽어나가는 하이퍼텍스트가 이에 해당한다. 쓰기 텍스트에서는 필자가 구성한 의미를 독자가 재구성함으로써, 독자가 필자가 되는 상황에서 독자와 필자의 개념적 구분은 모호해진다. 이해 교육에서 읽기 대상을 형식적 측면의 텍스트, 내용적 측면의 텍스트, 맥락, 필자, 독자 등으로 범주화하여 지도 내용의 범주를 나누는 방안을 제안하였다. 읽기 단계로 '이해 비판, 의사 결정'에 이르는 이해 과정을 '독자와 텍스트 이해의 단계, 독자의 현실 인식을 동반한 비판의 단계, 독자의 자기화의 단계, 독자간 상호작용 단계'로 설정하였다. The definition of reading comprehension in hypertext should be reestablished as followings. First, hypertext has relation to the active readers, who can choose reading hypertext as a writer. Second, the objects and contents for reading education are changed. The comprehension in hypertext means that every reader chooses the text by oneself and understands it and that comprehends it through communication in reading com-munity is necessary. Third, hypertext is bringing about the hybridic thinking. Hybridic thinking is a complex process leading to creative thinking through critical comprehension. Fourth, The relation between 'reading text' and 'writing text' is similar to that between 'printing text' and 'hypertext'. Reading text is a printing text which the reader can read but not write anything. However, writing text is a writable text or a text for reading. Hypertext is a writing text which the wr- iter discontinuously reads the text connected through ne-twork. In writing text, reader reorganizes the text which wr- iter composes. Therefore, the division of writer and reader is obscure in such case that reader becomes writer.

      • 마이클 조이스의『오후 : 어떤 이야기』에 나타난 하이퍼텍스트의 특성

        여국현 한국방송통신대학교 통합인문학연구소 2012 통합인문학연구 Vol.4 No.1

        90년대 이후 컴퓨터를 기반으로 한 전자 매체의 급속한 발달과 더불어 시작된 새로운 글쓰기 형식으로서 하이퍼텍스트에 관련된 논의는 문학 영역에 적잖은 영향을 끼쳐왔다. 하지만 실제 하이퍼텍스트에 대한 논의는 1940년대 중반 베네바 부시를 중심으로 시작되어 이후 넬슨, 마이클 조이스를 포함한 다양한 이론가들에 의해 진행되어 왔다. 하이퍼텍스트 이론의 논의에 주도적으로 참여했던 마이클 조이스는 1987년『오후 : 어떤 이야기』(Afternoon : a story)라는 작품을 통하여 하이퍼텍스트 이론을 구현한 최초의 작품을 선보였다. 스토리의 비선형성, 계속된 분지, 결말의 부재, 혹은 열린 결말, 독자 역할의 변화 등 하이퍼텍스트의 특징으로 언급되었던 양상들이 이 작품을 통하여 구현되었다. 본 논문에서는 최초의 하이퍼텍스트 소설인 이 작품의 실제 형식과 내용의 분석을 통해 구현된 하이퍼텍스트의 특징들을 구체적으로 살펴보고 하이퍼텍스트와 관련된 현재까지의 논의에 대한 비판적 고찰과 더불어 향후 논의에 필요한 점들을 간략하게 검토해보고자 한다. Hypertext as a new kind of writing method based on the rapid development of computer and electronic media, and its concept has been widely discussed from the early 1990s, resulting in lots of influence upon the literary field. But, in fact, the discussion of hypertext has been conducted from the 1940s to the 1980s with some brilliant theorists like Vennevar. Bush, Theodor. Nelson, and Michael. Joyce. Among them, M. Joyce wrote Afternoon: a story in 1987, the first hypertext novel written through his own writing program, StorySpace. Through Afternoon: a story, M. Joyce illustrated the characteristics of Hypertext like nonlinear narrative of a text, everlasting branching, absence of the end of a story or open ending, change of the role of the reader and etc. In this thesis, at first, I tried to identify those characteristics of hypertext mentioned above in Michael Joyce's Afternoon: a story, and then examine some former points of view on hypertext, and last propose some critical points with regard to how we should consider hypertext afterward.

      • KCI등재

        디지털리터러시 교육의 방향성 연구

        이용욱(Lee, Yongwook) 인문콘텐츠학회 2018 인문콘텐츠 Vol.0 No.50

        인터넷은 물리적 공간이 아니라 네트워크로 연결된 의식적 공간이다. 이 공간의 핵심 가치는 네트워크이며, 연결의 중심에 하이퍼텍스트가 있다. 문자텍스트에서 하이퍼텍스트로 지식의 형식과 내용이 변화하고 총체적, 선형적, 인과적, 누적적이었던 텍스트의 구성과 작동원리가 파편성, 비선형성, 우연성, 휘발성으로 해체되고 있다. 그리고 무엇보다 지식의 생산과 소비가 ‘연결된 정보망’인 네트워크-공간에서 진행되면서 우리는 이전과는 전혀 다른 새로운 리터러시를 요구받고 있다. 특히 4차산업혁명이 화두로 떠오르고 있는 작금의 시기에 디지털리터러시 교육의 방향성 연구는 학문의 다양성 측면에서도 중요한 주제이다. 본 논문의 목적은 디지털리터러시의 의사소통능력과 학습능력의 필요충분조건이 되는 하이퍼텍스트와 네트워크-공간의 특징을 살펴보고, 디지털리터러시의 개념을 새롭게 정립하는데 있다. 궁극적으로는 최적화된 디지털리터러시 교육을 위한 방향성을 제안할 것이다. 미래의 지식으로 나아가기 위해서는 완성된 작품에 대한 독서경험이 무엇보다 중요하다. 블록(하이퍼텍스트)이 모여 키트(텍스트)가 되고, 읽기와 쓰기가 서로 연결돼 있듯이, 텍스트와 하이퍼텍스트 관계 역시 상호 보완적이다. 작가와 독자, 시간과 공간, 층층과 겹겹, 선형성과 비선형성, 중심과 탈중심은 서로 대립하는 것이 아니라 함께 조화를 이루어 네트워크-공간을 채워야 한다. 디지털리터러시는 현실과 가상, 아날로그와 디지털, 텍스트와 하이퍼텍스트를 연결하고 그 경계를 허무는 것이다. 인문공학적 입장에서 문해력을 향상시키기 위한 디지털리터러시 교육이 이루어져야 하며, 그 방향성은 텍스트와 하이퍼텍스트를 아우르는 메타컨텍스트 교육이 될 것이다. The Internet is not a physical space but a networked conscious space. The core value of this space is the network, and there is hypertext at the center of the connection. The form and content of knowledge change from the text to the hypertext, and the constitution and the working principle of the text which are collective, linear, causal and cumulative are disintegrated into fragmentation, nonlinearity, contingency and volatility. And above all, as the production and consumption of knowledge progresses in network-space, which is connected information network, we are demanding new literacy which is completely different from the previous one. The problem is that even though it has been more than a decade since the new literacy has been named Digital Literacy, there is still no proper academic discussion about what it is and what it is and how to educate it.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investigate the characteristics of hypertext and network - space, which are necessary and sufficient condition for communication ability and learning ability of digital literacy, starting from such a problem, and to establish a new concept of digital literacy. Ultimately, we will propose a direction for optimized digital literacy education. In order to advance to the knowledge of the future, the experience of reading about the finished work is more important than anything else. Just as blocks (hypertext) come together as kits (text) and read and write are interconnected, text and hypertext relationships are also complementary. Writers and readers, time and space, stratification and layering, linearity and nonlinearity, center and decentralization should not be confronted with each other, but should be harmonized to fill network-space. Digital literacy connects real and virtual, analog and digital, text and hypertext, and breaks the boundaries. Digital literacy education should be done in order to improve literacy in educational engineering. The direction should be meta - context education that includes text and hypertext.

      • KCI등재

        하이퍼링크 DB를 이용한 메타텍스트 연구 방법

        김원경 상허학회 2008 상허학보 Vol.24 No.-

        This paper investigates the textuality of ‘The series ≪an Imperishable history≫’ based on Hyperlink Database information. To accomplish this purpose, this paper suggests a structured-hyperlink database system suitable for quantitative linguistics and text analysis. The database is made up to six modules: a bibliographic, a history & philosophy, an everyday language, a person’s name, a literature, an article database. In inquiring Text Analysis, formulation of the textuality is the most complicated and serious task. Since Beaugrande & Dressler(1981) suggested the textuality, many researchers laid emphasis on inquiry into the substance of coherence and cohesion. In this paper coherence is defined as semantic relationship gives consistency to texts, and cohesion as structural or overt representation enables texts to acquire a coherence inclusive of quantitative information and processing information. This paper gives salience to a fact that ‘The series’ constitutes a metatext as a whole. These features of metatext are attributed to appreciable similarities between the texts in many respects: PLO, main characters, words of high frequency, narrative structures, information extraction structures and so forth. Based on the Hyperlink Database, these similarities are well-organized and features of ‘The series’ are made a close investigation. This methodology furnishes researchers with efficiency and accuracy in inquiring Text Analysis. 이 논의에서는 ‘총서’ 내용에 의거한 하이퍼링크 DB 정보를 이용해 총서 텍스트가 지니는 특성을 분석하는 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계량적 방식의 연구에 적합하도록 구조화된 ‘총서’ 하이퍼링크 DB의 구성을 살펴보고, 이 정보를 이용한 ‘총서’의 메타텍스트 분석 예에 대해 논하였다. 여기에서는 특히 ‘총서’의 메타텍스트적인 특성에 주목하였는데, 이는 ‘총서’ 전체의 텍스트가 ‘수령 형상 문학’이라는 분명한 정체성을 획득하기 위해 유기적으로 조직화되어 있다는 특징을 기반으로 한다. 또한 각 텍스트의 중심에 위치한 ‘수령’의 모습이나 인물 간의 관계, 이야기 구조 등에도 상당한 수준의 유의성이 존재한다는 점에서 ‘총서’는 메타텍스트로 다루기에 매우 적합한 대상이다. 특정한 텍스트에 내재한 고유의 특성들을 규명하는 텍스트성에 대한 연구는 다양한 방식으로 진행되어 왔는데, 여러 유형의 텍스트성 중 ‘통일성’과 ‘응집성’에 대한 논의가 가장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다. 이 논의에서는 ‘통일성’을 ‘텍스트의 일관성을 부여하는 의미 관계’로, ‘응집성’을 ‘통일성의 획득을 가능하게 하는 구조적인 지표 혹은 외현적인 지표로 계량적 정보나 가공 정보를 포함’하는 것으로 그 외연을 넓혀 정의하였다. 이러한 정의는 외현적이거나 구조적인 텍스트의 정보를 의미 내용으로 환원하는 과정에서 유용한 해석의 방식을 제공할 수 있다. ‘총서’와 같은 대용량의 텍스트나 구조적으로 복잡한 자료체의 연구에서는 유관 정보의 참조가 용이하도록 설계된 하이퍼링크 DB를 활용하는 것이 효율적이다. 이 논의에서 제안하는 하이퍼링크 DB는 그 자체로 텍스트 내의 인물이나 용어, 역사적 사건 등에 대한 유의미한 정보를 제공할 뿐 아니라, 이 정보를 기반으로 빈도 분석, 공기어 분석, 캐릭터-레마 구조 등을 구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러한 연구 방법론은 단일 텍스트의 텍스트성을 연구하거나 복수의 텍스트 간에 존재하는 메타텍스트성의 실체를 규명하는 데 대한 핵심적인 근거를 효율적인 방식으로 제공할 수 있다는 특징을 지닌다.

      • KCI등재

        하이퍼 텍스트와 상호 텍스트성, 그리고 게르만신화 - 영화 <토르>ㆍ<어벤져스> 시리즈와 로키 관련 게르만신화를 중심으로

        이민용 ( Lee Min-yong ) 한국독어독문학회 2020 獨逸文學 Vol.61 No.1

        현대 사회는 많은 것들에 연결되어 있다. 현실을 반영하는 텍스트의 경우도 그렇다. 이런 텍스트의 본고장인 문학에서 시작하여 예술·문화에 이르기까지 텍스트는 역사적으로 연결 확산의 과정이었다. 일찍이 제라르 주네트는 이런 하이퍼텍스트성을 설명하면서 히포텍스트와 하이퍼텍스트 개념을 제시하였다. 본 논문에서는 주네트의 이론과 포스트고전서사학(서사텍스트학) 이론을 근거로 하여, 상호텍스트성과 히포 텍스트, 하이퍼 텍스트의 관점에서 로키 관련 게르만신화와 MCU(마블 코믹스 유니버스)의 로키 신화 관련 영화 시리즈를 연구하였다. 본 논문은 히포 텍스트로서의 게르만신화집 운문 『에다』와 산문 『에다』에 나타난 로키 관련 게르만신화가 상호텍스트성을 통해 하이퍼 텍스트, 혹은 하이퍼 미디어 텍스트로서의 MCU 영화 <토르> 시리즈와 <어벤져스> 시리즈에 연결되고 변용되어 리스토리텔링되는 양상과 원리, 방법을 연구하였다. 이를 통해 필자는 게르만신화의 로키 이야기가 현대에서 하이퍼 텍스트로 연결되어 표현될 때 서사텍스트학의 디스코스 이론과 상호텍스트성의 원리에 따라 로키의 성격과 행동 및 게르만신화 내용이 다양하게 변용되어 등장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그리고 이와 함께 초연결사회의 상호텍스트성과 내러티브 연결에 관해 살펴보았다. In der modernen Gesellschaft ist vieles untereinander verbunden. Gleiches gilt für den Text, der die Realität widerspiegelt. In Kunst und Kultur, zumal in ihrer Erscheinungsform Literatur, vollzog sich, historisch betrachtet, der Prozess der Verbreitung von Verbindungen in Form von Texten. Um diese Phänomene zu studieren, untersuche ich in der vorliegenden Arbeit die Loki-Erzählungen in der germanischen Mythologie und die Loki-bezogenen Filme von MCU(Marvel Comics Universe) aus der Sicht des Hypertextes und der Intertextualität. Hypotext ist ein früherer Text, der als Quelle für ein nachfolgendes Stück Literatur oder Hypertext dient. Die Wörter wurden vom französischen Theoretiker Gérard Genette wie folgt definiert: Hypertextualität bezieht sich auf jede Beziehung, die einen Text B (“Hypertext”) mit einem früheren Text A (“Hypotext”) verbindet. Ein Hypertext leitet sich also aus Hypotext(en) durch einen Prozess ab, den Genette Transformation nennt. Diese Begriffe werden in jüngerer Zeit in einem erweiterten Sinn verwendet. In dieser Arbeit geht es um die beiden germanischen Mythossammlungen Lieder-Edda und Prosa-Edda als Hypotexte und die <Thor>- und <Avengers>-Filmreihen als Hypertexte. Ich untersuche die Loki-bezogene germanische Mythologie und die Loki-bezogenen Filme von MCU unter dem Blickwinkel von Intertextualität, Hypotext, und Hypertext. Es werden Aspekte, Prinzipien und Methoden untersucht, die die Loki-bezogene germanische Mythologie in Lieder-Edda und Prosa-Edda als Hypotexte intertextuell in den <Thor>- und <Avengers>-Filmreihen als Hypertexten verknüpfen, transformieren und nacherzählen. Dadurch stellt sich heraus, dass so, wie die Loki-Erzählungen der germanischen Mythologie in der Neuzeit im Hypertext ausgedrückt werden, Lokis Persönlichkeit, Verhalten und die germanische Mythologie gemäß der Diskurstheorie und Intertextualität der westlichen Theorie auf verschiedene Weise transformiert erscheinen. Darüber hinaus werde ich auch die Intertextualität und narrative Verbindung in der hyperverbundenen Gesellschaft untersuche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