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국가장서 포괄성 측정 연구: 판매도서를 대상으로

        장혜란,홍현진,노영희,오의경 한국정보관리학회 2009 정보관리학회지 Vol.26 No.4

        The purpose of the national library is to collect all publications as part of the national heritage and preserve them. This study is undertaken to determine the coverage of the book collection of the National Library of Korea. Bibliographies for the year 2007 and 2008 publications are obtained from the Kyobo Book Centre and sampled 10 % systematically to be used as checklists. Coverage was determined by searching the citations against the OPAC of the National Library of Korea. Results indicate 92.25% of coverage for the books published in 2008, 78.10% coverage for the books published in 2007, and the cumulative coverage is 85.16%. The analysis shows time lag and subject fields with low coverage. Results are compared with previous studies. Reasons for the unpossessed books, such as delay of deposit and publisher characteristics, are identified. Recommendations for the coverage improvements and future research are suggested. 국가도서관은 문화유산의 일환으로 국가의 출판물을 망라적으로 수집하고 보존한다. 본 연구는 서지대조법을 활용하여 국립중앙도서관의 판매도서 포괄성을 측정하였다. 2007년과 2008년 출판 도서에 대해 교보문고 판매용목록을 기준서지로 설정하고 10%를 체계적으로 표집한 후, 국립중앙도서관 온라인목록을 탐색함으로써 수록 비율을 측정하였다. 탐색 시점에서, 2007년 출판 도서의 포괄성은 92.25%, 2008년 출판 도서의 포괄성은 78.10%, 누적 포괄성은 85.16%로 나타났다. 주제별 분석에 따라 포괄성이 낮은 분야를 알 수 있었고, 미소장도서의 출판사 규모를 분석하였으며, 국내외 선행연구 결과와 포괄성을 비교하였다. 납본지연 등 불완전한 수집의 원인이 식별되었으며, 포괄성 향상 및 후속 연구를 위하여 제언하였다.

      • KCI등재

        후보선출방법의 포괄성 확대와 민주주의: 새정치민주연합의 서울시 기초의회 공천 사례

        유진숙 고려대학교 한국사회연구소 2018 한국사회 Vol.19 No.2

        본 논문은 공직후보선출의 포괄성 확대가 민주주의정치체제 작동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가 라는 질문을 제기하며 2014년 지방선거의 민주당 서울지역 기초의회 후보선출을 대상으로 예비경선이 민주주의작동에 미치는 효과를 분석하였다. 분석은 하잔과 래힛(2010)의 분석틀에 의거하여 참여성(Participation), 대표성(Representation), 경쟁성(Competition), 반응성(Responsiveness)의 네 가지 지표로 이루어졌다. 참여성 측정은 투표율 변동에 기반하여 이루어졌으며 결과는 후보선출방법 포괄성 확대가 전반적으로 참여를 증진시킬 수 있음을 시사한다. 대표성 측정 결과는, 폐쇄적인 후보선출방식이 여성대표성의 제고에 더 유리한 제도적 여건을 조성하며 당원 또는 유권자가 선출자로 참여하는 포괄적인 후보선출방식에서 여성대표성은 낮게 나타난다는 기존의 가설을 입증해 주고 있다. 경쟁성 측정에서는 폐쇄적인 하향식 선출방법보다는 당원이나 유권자가 참여하는 포괄적인 상향식 선출방법에서의 경쟁성이 다소 높게 나타남을 보여준다. 반응성 요소에 있어서 본 분석결과는 포괄성이 높을 때 정당 위주의 반응성이 다소 강하게 나타나고 있음을 보여준다. 이 결과는 후보선출방법의 포괄성 확대가 정당조직 약화를 초래한다는 기존의 우려와는 달리 오히려 정당통합을 촉진할 수도 있음을 시사한다. This paper examines the impact of the inclusiveness expansion of candidate selection on the democratical political system and examines the effect in the case of the primary of the Democratic Party in the regional election in 2014. The analysis was conducted in four indicators: Participation, Representation, Competition, and Responsiveness based on the analytical framework of Hazan and Rahat (2010). Evaluation of participation was made based on the voter turnout, and the results suggest that broader inclusiveness of candidate selection methods could improve the participation in general. The results of the representativeness measurement show that the closed candidate selection system is more favorable for the enhancement of the women's representation. Competitiveness measurement shows that the competitive bottom-up selection method in which party members or voters participate is rather higher than closed top-down selection methods. The results of the responsiveness evaluation show that the more inclusive, the stronger the party-oriented responsiveness. This result suggests that enlargement of inclusiveness of the candidate selection method may facilitate party unification rather than the existing concern that the party organization weakens.

      • KCI등재

        캘빈의 포괄적 십자가사상의 가치와 한계

        차재승 ( Jae Seung Cha ) 기독교학문연구회 2011 신앙과 학문 Vol.16 No.2

        캘빈의 십자가사상은 형벌적 대속론(Penal Substitutionary Theory)의 극단적인 형태로 잘못 이해되어왔고 이로 인해서 많은 비판이 제기되어 왔다. 이러한 비판에 대해서 캘빈옹호자들은 그의 십자가사상이 여러 가지 주제(motifs)를 함께 가지고 있다는 점을 들어서 캘빈을 변호하고 있다. 캘빈의 십자가사상은, 그 자체로도 여러 동기들을 포함하고 있을 뿐만 아니라, 그리스도의 십자가를 다른 신학의 주제와 깊이 연계시키고 있기 때문에 포괄적이고, 그리스도의 십자가가 구원의 총체성으로, 성례의 실재로 이해되고 있다는 점에서도 포괄적이며, 객관적인 면과 주관적인 면을 아우르는 균형을 보여준다는 면에서도 포괄적이다. 따라서 캘빈의 십자가사상은 연계적 포괄성, 종합적 포괄성, 균형적 포괄성을 보여주는, 광범위한 사상이라고 정의 내랄 수 있다. 그런데 이러한 포괄성에도 불구하고 캘빈의 십자가사상은 몇 가지 점에서 동시성을 결여하고 있다. 용서와 심판으로 드러난 하나님의 속성의 동시성, 그리스도 한사람의 죽음으로 모든 사람이 함께 죽는 그리스도와 민간의 동시성, 그리스도의 인성과 신성의 동시성 등이 캘빈의 십자가사상에서 충분히 강조되고 있지 못하다. 캘빈이 ``십자가의 다양한 실재가 동시적인 것``에 주목하지 못한 이유는 상업적, 제례적 논리 구조, 교환을 근거로 하는 대속, 철학적인 신개념(concept of the divine) 등을 십자가 해석에 적용했기 때문인 것으로 보인다. 그리스도의 십자가는 신비(mystery)이며 드러남(revelation)이다. 한편으로는 인간의 논리를 쉽게 적용할 수 없기 때문에 인간지성을 파괴하는 ``드러난 신비``이며, 다른 한편으로는 인간의 틀을 압도하는 구체적인 실재를 드러내고 있기 때문에 ``신비스러운 계시``이다. 동시성이란 이러한 십자가신비의 구체적인 실재를 적절하게 표현하는 하나의 실마리이다. It has been argued that Calvin`s atonement thought represents one of the extreme types of penal substitutionary theory, on the basis of which various criticisms on Calvin`s overarching atonement view have been made. The strategy of the defenders of Calvin is to hold that Calvin`s atonement view is much more diverse than what penal substitutionary perspective can denote. The present paper aims to demonstrate how comprehensive and synthetic his atonement view is not only within his atonement paradigm but also in its comprehensive and balanced links with other fields of theology. Calvin maintains that Christ`s crucifixion is both a vehicle leading us to God and a representation of God`s glory, accomplishes totality of salvation, represents reality of the sacraments, and originates justification and sanctification in us. Notwithstanding this comprehensiveness, Calvin`s atonement thought lacks appropriate emphases on simultaneity in three ways: (1) Attributes of God such as forgiveness and punishment, (2) Christ and his followers, and (3) Christ`s humanity and divinity. The reason Calvin is not fully aware of the simultaneity is because he seems to apply to his interpretation of the cross a human legal and commercial logic, a concept of exchange for substitution, and a notion of divine impassibility. But the cross is mystery and revelation. On the one hand, it is revealed mystery that destroys human reason, and, on the other hand, it is the concrete reality that mysteriously overwhelms human paradigms. Simultaneity is one of a few clues that show us this concrete reality of the mystery of the cross.

      • KCI등재

        한국 소득보장제도군의 효과성 평가

        강신욱(Kang, Shin-Wook) 한국사회정책학회 2017 한국사회정책 Vol.24 No.1

        사회보장제도에 대한 정책평가의 핵심은 그것이 국민들을 사회적 위험으로부터 얼마나 효과적으로 보호하고 있는지를 살펴보는 데 있다. 본 논문은 <한국복지패널>자료를 이용하여 현재 시행중인 5개 주요 소득보장제도가 빈곤의 위험에 대처하는 데 얼마나 효과가 있는지를 포괄성과 충분성에 주목하여 분석하였다. 이때 각 제도별로는 물론 5개 제도 묶음이 나타내는 효과에 대해서 살펴보았고, 그 효과를 세분화된 집단별로 비교하였다. 그 결과 빈곤층 가운데 약 35%가 소득보장제도의 혜택을 전혀 받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노인층에 대한 소득보장제도의 포괄성과 충분성은 상대적으로 높았으나 비노인층, 특히 실업자에 대한 포괄성과 충분성이 매우 낮게 나타났다. 이러한 점들은 한국의 소득보장제도가 여전히 많은 개선의 여지를 남겨두고 있다는 점, 특히 근로연령층 대상 소득보장제도의 개선과 확충이 필요하다는 사실을 시사한다. It is essential in social policy evaluation to examine how effectively they protect people from social risks. The aim of this study is to evaluate the effectiveness of five income security programs of Korea in coping with poverty, using KoWEPs data. We analyse the coverage and adequacy of these programs, joint as well as individual, for each sub-groups. As a result, it was found that 35% of the poor get none of the benefits. The coverage and adequacy for the aged is rather high. However, for the working age people, the unemployed in particular, are very poorly covered and average benefits levels are very low. These findings imply that there are much room and demand for improvement of Korean income security program, especially for working age population.

      • KCI등재

        전문대학 사이버교육 기반 토론학습에서 사회연결망이 토론성과에 미치는 영향

        김경(Kyung Kim) 한국직업교육학회 2007 職業 敎育 硏究 Vol.26 No.1

        본 연구는 전문대학 학습자의 사이버교육 기반 토론학습(Cyber Education Based Argumentation Learning)에서 토론학습자간의 사회연결망 결속 중 포괄성(inclusiveness)과 중심성(centrality) 그리고 집단 구성 방식이 토론성과와 만족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실증적으로 분석하였다. 포괄성이 높을수록 토론성과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고, 집단 구성원들 간에 중심성이 높을수록 토론성과가 높았다. 만족도의 경우 포괄성이 높을수록 만족도가 높았고, 중심성이 높은 집단이 만족도가 높았다. 특히 중심성이 높은 경우 만족도에서 상호작용효과가 나타났다. 그러나 집단 구성 방식에 따른 토론성과에서는 낯설은 동료로 이루어진 집단이 오히려 토론성과가 높았으며, 만족도에서는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analyze the effects of social network among learners and grouping on outcome of argumentation and satisfaction degree of learners` network in web based argumentation learning in cyber education based argumentation learning in junior colleges. First, The result of experiment showed that learner`s social network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when inclusiveness of learners` interaction was differentiated. Second, The result of experiment showed that the satisfaction degree of learners` argumentation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high when inclusiveness of learners` interaction was high. Third, According to the results of experiment, the grouping of learners` argumentation learning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when group consisted of not familiar learners was gotten on outcome of argumentation. However, the grouping of learners` argumentation learning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when group consisted of not familiar learners was gotten on satisfaction degree of learners` argumentation.

      • KCI등재

        국어과 교재론의 발전 방향

        김대행(Kim Dae-haeng) 우리말교육현장학회 2008 우리말교육현장연구 Vol.2 No.1

          국어과 교재론의 발전 방향을 진지하게 논의하려면 먼저 전수적(傳授的) 교육관과 성서적(聖書的) 교과서관을 공들여 검토하지 않을 수 없다. 이들 두 가지 고정관념에서 자유로워진 바탕에서 ‘국어’라는 교과의 본질적 요소인 ‘언어’의 다면성에 대하여 가장 먼저 고려함으로써 본론의 토대가 완성된다.<BR>  언어의 다면성을 구현하기 위하여 언어의 본질로서 체계, 행동, 문화를 꼽고, 언어의 기능으로서 사고, 소통, 예술을 꼽는 점을 감안하면, 교재는 이 영역들의 통합성을 추구하는 것이 마땅하다. 교재의 통합성은 국어교육의 목적으로 보아 포괄성을, 국어교육의 내용으로 보아 균형성을, 국어교육의 방법으로 보아 효율성을 유지하는 것으로 성취될 수 있다. 그렇다면 평가의 통합성을 구현하기 위해서도 포괄성, 균형성, 효율성의 세 요소를 동시에 고려하지 않을 수 없다. 결국 통합적 평가와 관련한 활동이 이루어지는 교재를 하나의 이상으로 제안할 수 있다. 국어과 교재론의 진정한 발전 방향은 국어교육의 본질에 충실한 교재에 대한 논의라야 한다는 데서 찾자는 것을 논문의 전제이자 결론으로 제시한다.   In debating on the evolutive plan for the theory of Korean-language textbooks, the view on initiatory education and the one on scriptural textbooks should be preferentially reviewed. The various factors of ‘language’, i.e., the essential factor of the Korean-language curriculum, should be considered first and foremost on the premise that it can be free from the above-mentioned fixed ideas.<BR>  In point of the various factors of language the unifiability of textbooks should be realized although system, action and culture belong to linguistic essentiality and thought, communication and art belong to linguistic function. The unifiability of textbooks is realized only when comprehensibility is sustained in point of teleology, when balanceability is sustained in point of contents, and when effectivity is sustained in point of method. Consequently, comprehensibility, balanceability and effectivity should be simultaneously considered so as to realize the unifiability of evaluation. In the end the textbook, which satisfies activities related to unific evaluation, may be considered as an ideal one. Korean-language curriculum may be evolved if and only if its essentiality is fully reviewed. That is presupposition and at the same time conclusion.

      • KCI등재

        공론화를 통한 정책결정의 한계 연구: 제주 녹지국제병원사례를 중심으로

        김주환,하동현 고려대학교 정부학연구소 2019 정부학연구 Vol.25 No.1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how the nature of the agenda in the deliberative poll affects the decision making process in case of Jeju Greenland International Hospital and to draw out the limitations of the use of deliberative poll in the policy making process that has been spreading lately. As a result of the analysis of Jeju case, the following implications were derived. 1. With unclear issues of deliberative poll, it is difficult to secure the rationality of contents as the significance of deliberative poll as a decision process is diminished. 2. It is necessary that sufficient and fair information be provided at the point in time before and after deliberative poll. 3. According to the result of the public debate, in case of excessive fall in the profit and loss to the actors, the inclusiveness of the discussion structure will be lacking, therefore hindering the acceptance of the participants. In conclusion, deliberative poll agenda that does not have issue clearness, possibility of deliberation, and inclusiveness in its nature can rather discourage the meaning of the deliberative poll itself. 이 연구는 제주 녹지국제병원의 개원허가를 둘러싸고 실시된 공론조사의 사례를 대상으로 공론의제의 성격이 정책결정과정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이를 통해 최근 확산되고 있는 정책결정과정에서의 공론화 활용의 한계점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제주 사례의 분석 결과 다음의 함의를 도출할 수 있었다, 첫째 공론의제의 명료성 차원이다. 공론의제의 쟁점이 명확하지 않으면 그만큼 결정과정으로서의 공론화의 의의가 퇴색되면서 내용적 합리성을 확보하기가 어려워진다. 둘째 공론의제의 숙의가능성 차원이다. 공론 참여대상자만이 아니라 공론조사 전후로 하는 그 시점에서 충분하고 공정한 정보가 제공되는 것이 필요하다. 셋째 공론의제의 포괄성의 차원이다. 공론화의 결과가 가져올 당사자들의 손익구조에 지나친 낙차가 발생할 경우, 논의구조가 지닌 포괄성이 결핍되면서 공론화의 수용성을 제한할 수 있다. 결론적으로 명료성, 숙의가능성, 포괄성 등이 확보되지 않는 의제의 성격이나 시점에서의 공론화는 오히려 공론화 자체의 의미를 퇴색시킬 수 있다. 따라서 향후 공론화를 활용한 정책결정을 하고자 할 때는 사전에 공론의제의 성격이 고려한 의제 선정 과정이 필요하다는 것을 보여 주었다.

      • KCI등재

        분석성, 포괄성, 유연성이 임금에 미치는 영향

        박기성 ( Ki Seong Park ) 한국노동경제학회 2012 勞動經濟論集 Vol.35 No.3

        맡고 있는 일에 문제가 발생했을 때 문제의 원인을 아는 정도로 분석성을 측정하고, 회사의 전체 업무를 이해하는 정도로 포괄성을 측정하고, 본인의 일에 예외적인 상황이 발생하는 정도로 유연성을 측정한다. 기업의 고정효과 또는 임의효과와 연령, 근속, 직위 직급 등 전통적인 인적자본 변수들을 통제한 후 이 특성들은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임금을 높인다. 맡고 있는 일에 문제가 발생할 때 문제의 원인을 거의 모르는 자보다 대부분 정확히 아는 자가 임금이 5.2% 높다. 맡고 있는 팀(부서)의 업무만을 어느 정도 이해하고 있는 자보다 회사의 전반적인 업무를 이해하고 있는 자가 임금이 2.52% 높다. 일상적이고 반복적인 일을 하는 자보다 하나하나가 새로운 일을 하는 자가 임금이 2.98% 높다. We measure a worker`s analyzability by how correctly he grasps its causes when a problem occurs, comprehensiveness by how much he understand the overall process of his firm, and flexibility by how frequently unusual situations occur at his job. After controling firm-specific fixed of fandom effects, his age, tenure, position, and rank, the characteristics increase a worker`s wage. A worker who grasps correctly the causes of problem is paid more by 5.2% than a worker who scarcely does. A worker who understands the overall process of his firm is paid more by 2.52% than a worker who understands roughly the process of his team or department. A worker whose job is mew one by one is paid more by 2.98% than a worker whose job is routine and repetitive.

      • KCI등재

        통일교육 평가기준에 따른 시대적 통찰과 통일교육 방향 모색

        여현철,조철호 사단법인 한국평화연구학회 2018 평화학연구 Vol.19 No.4

        This research aims to examine the previous unification education with the three main criteria (universality, inclusiveness, and spontaneous). This paper evaluates the present unification education and seeks the new direction for the future. This research suggests three main future tasks by applying the aforementioned three criteria. First, the unification education should contain the rational contents which are based on democratic value. The political and legal institution is required not to be affected by the specific political faction. Second, in terms of inclusiveness, the unification education has to embrace various agencies as much as possible. It should be designed to promote the actual integration capacity by providing profound information and knowledge on unification. Third, voluntarism refers to interactive learner-centered education including various discussion, fieldwork. Unification education in the new era should follow this policy direction rather than the previous teacher-centered education. To fulfill this goal, governance between private and the government is required rather than the previous government leading education. 본 연구는 통일교육의 주요 평가기준을 가지고 과거 통일교육 흐름에 따른 변화를 분석하고 현재 통일교육을 진단・평가한 후 미래 통일교육의 대안을 위한 방향과 과제를 모색하고자 하였다. 연구를 위해 통일교육 평가의 주요 기준을 통일교육의 보편성, 포괄성, 자발성으로 설정하였다. 통일교육의 주요 평가기준을 통해 본 향후의 통일교육의 방향 및 과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통일교육의 보편성과 관련하여 통일교육은 민주적 가치에 부합하는 합리적 내용을 확보하여야 하며, 정치적 이해관계의 영향을 받지 않도록 정치적・법적 제도적 장치를 마련해야 한다. 둘째, 통일교육의 포괄성과 관련하여 통일교육은 통일 관련 국내외적인 관심 제고 및 교육대상의 확보를 위해 최대한 수용하여야 하며, 통일에 대한 풍부한 정보와 지식을 제공함으로써 통일 이후 실질적 통합능력을 배양하는 교육을 포함시켜야 한다. 셋째, 통일교육의 자발성과 관련하여 통일교육의 교육방식은 일방형 공급자 중심의 주입식 교육보다는 토론, 체험학습, 참여학습과 같은 쌍방형 수요자 중심의 학습자 주도형 교육을 증대시켜 나아가야 한다. 이를 위해 정부주도형의 통일교육에서 탈피하여 민관이 유기적으로 역할을 분담하는 통일교육 거버넌스를 창출시켜 나아가야 하겠다.

      • KCI등재

        한국 공공부조 제도의 현황과 개선과제에 관한 탐색적 연구: 국민기초생활보장제도와 국민취업지원제도를 중심으로

        윤성원 국회입법조사처 2024 입법과 정책 Vol.16 No.1

        본 연구는 국민기초생활보장제도와 국민취업지원제도를 중심으로 한국 공공부조 제도의 현황을 파악하고 개선과제가 무엇인지 점검하고자 한다. 공공부조 제도는 사회의 가장 취약한 계층을 위한 최후의 사회안전망이다. 이러한 공공부조 제도가 고령화, 노동시장 변화로 인한 새로운 취약계층의 증가, 새로운 제도의 산발적인 도입 등으로 인해 다양한 도전에 직면해 있다고 보고, 연구를 시작하게 되었다. 본 연구는 행정부 문건, 국회 자료, 국책연구기관 연구 자료, 연구논문 등을 바탕으로 현황과 개선점을 파악하는 리뷰 (review) 논문이자 기술적(descriptive) 연구이다. ‘제도의 포괄성’, ‘급여의 충분성’, ‘전달체계’ 세 가지 측면에서 한국 공공부조 제도의 현황과 문제점을 개괄적으로 점검하고, 앞으로 개선을 위한 방향성을 제시하고자 한다. 분석 결과 제도의 포괄성 측면에서는 사각지대의 존재가 가장 큰 문제였다. 급여의 충분성 측면에서는 주거, 교육, 자활급여 등 일부 급여의 수준이 복지 수요에 비해 낮다는 문제가 있었다, 전달체계 측면에서는 고용과 복지서비스 간 분절/파편성 문제가 두드러졌다. 이러한 문제에 대처하는 것이 앞으로 공공부조 제도의 문제 해결을 위한 과제가 될 것이다. This study seeks to understand the current status of South Korea's public assistance system and examine what needs to be improved. The public assistance system is the last social safety net for the most vulnerable classes of society, and in South Korea, it is centered around the National Basic Livelihood Security System. We began this study after realizing that this public assistance system is facing various challenges due to aging, the increase of new vulnerable groups due to changes in the labor market, and the sporadic introduction of new programs. Based on government and National Assembly documents and research paper from national research institutes, this study provides an overview of the current status and problems of South Korea's public assistance system in three aspects: ‘comprehensiveness of the system’, ‘sufficiency of benefits’, and ‘delivery system’. Also this study would like to suggest directions for future improvement. As a result of the analysis, the problem of blind spots in terms of comprehensiveness of the system, the level of some programs’ benefits in terms of benefit sufficiency, and the problem of segmentation/fragmentation in terms of the delivery system were prominent. Addressing these problems was the key to solving problems in the public assistance system in the futur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