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SCOPUSKCI등재

        포스터 발표 : 폐내 단락이 간이식의 결과에 미치는 영향

        김현영,최문석,이준혁,고광철,백승운,유병철,이종철 대한간학회 2003 Clinical and Molecular Hepatology(대한간학회지) Vol.9 No.3(S)

        배경/목적: 간폐증후군은 만성 간질환이 있는 환자에서 폐내 가스 교환의 장애로 저산소증이 유발되는 상태이다. 간이식이 간폐증후군의 유일한 치료법으로 알려져 있으나 일부 보고에 의하면 간폐증후군이 간이식의 위험인자로 작용한다고 한다. 이에 연자 등은 간폐증후군이 간이식의 결과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과 방법: 1999년 11월부터 2002년 11월까지 만성 간질환으로 간이식을 시행한 환자 78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조영 증강 심초음파에서 2 등급 이상의 의미 있는 폐내단락이 있는 36예(46.2%)와 폐내 단락이 없는 42예(53.8%)로 나누었고, 양 군간의 기관삽입 기간, 중환자실 재원기간, 폐합병증, 총입원 기간과 3개월 생존율을 비교하였다. 결과: 1) 폐내 단락과 간이식 후 기관삽입 기간(폐내 단락이 있는 군에서 3.2±4.9일, 폐내 단락이 없는 군에서 5.5±18.6일)과의 양군 간에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p>0.05) 2) 폐내단락과 간이식 후 중환자실 재원 기간(폐내 단락이 있는 군에서 12.0±8.8일, 폐내 단락이 없는 군에서 15.7±23.2일)과의 양군 간에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p>0.05) 3) 폐내 단락과 간이식 후 총입원 기간(폐내 단락이 있는 군에서 40.0±25.0일, 폐내 단락이 없는 군에서 39.8±24.9일)과의 양군 간에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p>0.05) 4) 폐내 단락과 간이식 후 폐합병증 발생률은 폐내 단락이 있는 군에서 3.8%, 폐내 단락이 없는 군에서 5.1%로 양군 간에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p>0.05). 4) 폐내 단락의 유무와 간이식 후 3개월 단기 생존율은 폐내 단락이 있는 군에서 85.7%, 폐내 단락이 없는 군에서 86.7%로 양군 간에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p>0.05). 결론: 이상의 결과로 폐내 단락의 유무가 간이식의 위험인자로 작용하지 않음을 알 수 있었다.

      • 간이식 대기 중인 간경변 환자에서 의미 있는 폐내 단락의 빈도와 이와 연관된 인자에 관한 연구

        이지민,최문석,이상철,박승우,배문희,이준혁,고광철,백승운,이풍렬,김재준,이종철 대한간학회 2002 Clinical and Molecular Hepatology(대한간학회지) Vol.8 No.3

        목적: 간폐증후군은 간질환이 있는 환자에서 저산소증이 유발되는 상태로서, 폐내 단락이 그 주된 기전으로 알려져있다. 간이식은 간폐증후군의 유일한 치료 방법으로 알려져 있고, 이식 후에 폐내 단락의 정상화가 일어날 수 있다. 그러나 간이식을 시행할 경우 가역성을 미리 예측할 수 없는 것이 문제이다. 국내에서는 이식 대기중인 간경변증 환자에서의 폐내 단락의 유병률에 관한 연구가 아직 없는 실정이다. 저자 등은 간이식 대기중인 간경변증 환자에서 의미 있는 폐내 단락의 유병률과 폐내 단락과 연관된 위험 인자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과 방법: 1999년 11월부터 2001년 2월까지 삼성서울병원 에서 간경변증이나 이에 동반된 간암으로 간이식 대기 중인 환자 57명 (남 : 여 = 38 : 19, 연령 18∼71 세, 중앙값 49세)을 대상으로 하였다. 간경변증의 원인은 B형 간염이 47명, C형 간염이 4명, 그 외 알코올과 윌슨병, 원발성 담도성 간경변증 등이 6명이었고, 전체 환자 중에 간암이 동반된 환자는 13명이었다. 이들에게 조영 증강 심초음파를 시행하여 폐내 단락의 유무 및 정도를 평가하였으며, Ⅱ등급 이상의 단락을 의미 있는 단락으로 보았다. 대상 환자를 의미 있는 단락을 가진 군과 그렇지 않은 군으로 나누어, 양 군 간의 간기능, 식도 정맥류 유무, 위 정맥류 유무, 복수, 간성 뇌증 유무를 비교하였다. 결과: 총 57명의 환자 중 의미 있는 폐내 단락을 가진 군 은 30명(52.6%)이었다. 의미 있는 폐내 단락은 Child- Pugh분류 C군에서 38명 중 24명(63.2%), A, B군에서 19명 중 6명(31.6%)으로 관찰되었다(p< 0.05). 의미 있는 폐내 단락이 있는 군과 없는 군 간의 성별, 나이, 간경변증 원인, 식도 정맥류 유무, 위 정맥류 유무, 복수, 간성 뇌증 유무 등에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결론: 이상의 결과로 폐내 단락은 간이식 대기중인 간경변증 환자에서 흔히 관찰되는 소견이며, Child-Pugh 분류 C군은 의미 있는 폐내 단락의 위험 인자임을 알 수 있었다. Backgrounds/Aims: Hepatopulmonary syndrome is a condition of severe hypoxia with intrapulmonary shunt (IPS) in the setting of hepatic dysfunction. Liver transplantation has been suggested as a definite treatment for hepatopulmonary syndrome with reversal of IPS in some patients. Inconsistency of response and inability to predict reversibility, however, are significant problems. We performed this study to evaluate the prevalence of significant IPS in pretransplantation cirrhotic patients and to find any risk factors of IPS. Methods: Fifty-seven patients (M:F = 38:19, median age 49 years (range 18 - 71)) with liver cirrhosis awaiting liver transplantation were serially included. Their IPS status was evaluated using contrastenhanced echocardiography. Significant shunt was defined as a shunt of grade ≥2. Results: Significant IPS was detected in 30 (52.6%) among 57 patients. Significant shunt was found in 24 (63.2%) of 38 Child-Pugh class C patients and in 6 (31.6%) of 19 Child-Pugh class A or B patients (p<0.05).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prevalence of significant shunt was seen according to age, sex, presence or absence of hepatocellular carcinoma, ascites, hepatic encephalopathy, and gastroesophageal varix. Conclusion: Significant intrapulmonary shunt is a common finding in cirrhotic patients awaiting liver transplantation. Child-Pugh class C is the risk factor associated with high prevalence of significant shunt. (Korean J Hepatol 2002;8:271-276)

      • SCOPUS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