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호흡기 ; 만성 폐쇄성폐질환의 폐기능 검사와 운동 검사의 비교

        나운태 ( Woon Tae Na ),박주호 ( Joo Ho Park ),이고은 ( Go Eun Lee ),권선중 ( Sun Jung Kwon ),손지웅 ( Ji Woong Son ),나문준 ( Moon Jun Na ),최유진 ( Eu Gene Choi ) 대한내과학회 2009 대한내과학회지 Vol.76 No.5

        목적: 일반폐기능 검사만으로는 COPD 환자가 실생활에서 겪는 장애정도와 운동 내성의 한계를 예측하는 데는 한계가 있어, 일반폐기능 검사와 운동부하심폐기능 검사를 이용하여 COPD 환자를 중증도별로 하여 각각 분류하고 그 결과를 비교하여, 운동부하폐기능 검사의 유용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법: COPD 환자 105명을 대상으로 안정 시 폐기능 검사와 운동부하심폐기능 검사를 시행하였고, 결과는 표준 의학중증도 분류에 의해 categorical statistical comparison으로 분석하였다. 결과: 두 검사에서 COPD 환자 105명 중 오직 44명(42%)의 환자가 일치된 결과를 보였다. 나머지 환자들 중 21명(20%)은 일반폐기능 검사보다 운동부하심폐기능 검사에서 경한 판정을 받았고, 40명(38%)은 운동부하심폐기능 검사에서 더 심한 판정을 받았다. 운동부하심폐기능 검사에서 더 심한 판정을 받은 환자들은 운동부하 검사 심혈관계 지표들이 보다 감소되어 있었다. 결론: COPD 환자의 운동능력은 일반폐기능 검사만으로는 예측하는 데는 한계가 있으며, 전신질환으로서의 COPD 질환을 이해하고 예측하는데 있어 운동부하폐기능 검사도 일부 도움을 주리라 생각되나, 앞으로 좀 더 많은 연구가 필요하리라 사료된다. Background/Aims: Chronic obstructive pulmonary disease (COPD) is characterized by an incompletely reversible airflow limitation. Pulmonary function test (PFT) has been considered the gold standard test for diagnosis and severity evaluation in COPD. However, PFT by spirometry does not provide information about exercise performance in COPD patients. Therefore, the present study was performed to compare pulmonary function determined by spirometry with exercise function determined by cardiopulmonary exercise test (CPET) for grading of COPD. Methods: A total of 105 patients with airway obstruction were examined. The patients` mean age was 65 years, and the mean smoking history was 27 pack-years. The patients underwent spirometry and CPET. The results were analyzed by categorical statistical comparison, based on the Global Initiative for Chronic Obstructive Lung Disease (GOLD) and American Thoracic Society guidelines. Results: The two methods agreed on the classification of only 44 patients (42%). Of the remaining patients, 21 (20%) were found to be less severe according to CPET than according to PFT, whereas 40 (38%) were more severe. Those who were more severe according to CPET had significantly low maximal minute ventilation, low anaerobic threshold, low oxygen pulse, and high breathing reserve. Conclusions: The present study revealed the large disagreement between the results of resting and exercise pulmonary function tests, and therefore suggests the need for a novel approach or guideline. Additional cardiological evaluation may be needed in patients classified as more severe according to CPET, who are assumed to have a greater degree of impairment of cardiovascular function. (Korean J Med 76:571-577, 2009)

      • KCI등재

        폐 기능 검사에 의뢰된 환자에서의 공황발작의 빈도와 특성

        정 건,고정선 大韓神經精神醫學會 1998 신경정신의학 Vol.37 No.6

        연구 목적 : 저자들은 폐 기능 검사에 의뢰된 내과 환자들에서 공황발작의 빈도를 알아보고 공황발작과 불안의 민감도 그리고 폐 기능과의 연관성을 알아보려 하였다. 방 법 : 종합병원에서 폐 기능 검사에 의뢰된 대상자들에게 공황발작 설문지와 Beck의 불안검사, 그리고 특성 불안검사의 설문지를 작성케 하였다. 결 과 : 55명의 폐 기능 검사를 받은 대상자중 16명(29.1%)이 공황발작을 경험하였다. 공황발작을 경험한 집단이 경험하지 못한 집단보다 Beck의 불안 검사 점수와 특성 불안검사 점수가 모두 의미 있게 높았다. 폐기능검사 이상 유무에 따른 비교에서는 공황발작의 유병율에 의미 있는 차이가 없었고, Beck의 불안검사의 특성불안 검사에서도 의미 있는 차이가 없었다. 결 론 : 폐 기능검사를 받은 환자에서 공황발작의 유병율이 높았으나 이들환자들 중에서 적절한 정신과 치료를 받는 사람은 거의 없었다. 공황 발작은 불안의 민감도와 연관이 있었지만 폐 기능장애와의 연관이 없었다. Objectives : This research aims to measure the prevalence of panic attack among the internal patients who were referred to pulmonary function test and to ascertain the relationship of panic attack to the anxiety sensitivity and funker to pulmonary function. Methods : The research was conducted in a general hospital through the questionnaire survey. The patients completed the panic attack Questionnaire(PAQ), Beck's anxiety inventory (BAI), and Trate anxiety inventory. Results : Sixteen out of 55 case(29.1%) experienced panic attacks. The group who experienced the panic attack got significantly higher score in Berk's anxiety inventory and trate anxiety inventory than the group who didn't. But considering the result of pulmonary function test there was no meaningful relationship between the pulmonary function and the panic attack. And it was the same in the Beck's anxiety inventory and trate anxiety inventory. Conclusion : The patents who were referred to pulmonary function test were more likely to suffer the panic attack. But few received the proper treatment. The panic attack had relation with the anxiety sensitivity, but no relation with the pulmonary function.

      • SCIESCOPUSKCI등재
      • SCOPUSKCI등재

        전산화 폐관류주사를 이용한 폐절제술후 폐기능의 예측

        오덕진,이영,임승평,유재현,나명훈,Oh, Duck-Jin,Lee, Young,Lim, Seung-Pyeung,Yu, Jae-Hyun,Na, Myung-Hoon 대한흉부심장혈관외과학회 1996 Journal of Chest Surgery (J Chest Surg) Vol.29 No.8

        폐절제술후 발생할 수 있는 호흡부전증을 예방하고 수술후 사망율을 줄이기 위해 수술범 위를 조정하 는 것이 필요하며 이를 위해서는 수술전에,수술후의 폐기능을 예측할 수 있어야 한다 술후 폐기능을 예측하는 방법은 여러 가지가 .있으나 폐관류주사법이 편리하고 환자에게도 위 험도가 작으며 또한 비교 적 정확하고 비용이 적게드는 방법으로 알려져 있다. 충남대 학교병 원 흉부외과에서 폐절제술을 시행한 34명을 대상으로 수술전 폐관류주사법을 이용하여 수술후 폐기능 예측치를 계산하고 수술후 평균20일에 폐기능검사를 실시하여 예측치와실측치의 관계 를 비교분석하였다. 폐엽절제술후 폐기능 예측치가 일측전폐절제술후 폐기능 예측치보다 훨신 더 좋은 상관관계를 보였으며 그 중에서도 1초내 강제호기량이 상관계수 R=0.693으로 가장 높은 상관관계를 나 타내었다. 폐실질의 손실없이 개흉술만 시 행한 대조군에서 수술전후의 상관관계는 1초내 강제호기 량이 상관계수 R=0.871 이 었으며 강제폐활량이 R=0.896으로 폐 절제수술을 시 행한군에 비해 매우 높은 상관 관계를 보이는 것으로보아 수술후 폐기능검사치는 개흉술 자체만으로도 영향을 받 嗤\ulcorner폐절제수술을 시행한군에서 휠신 더 영향을 받는것을 알수 있었다. A preoperative prediction of postoperative pulmonary function after the pulmonary resection should be made to prevent serious complications and postoperative mortality. There are several methods to predict postoperative lung function but the 99m7c-MAA perfusion lung scan is known as simple, inexpensive and easily tolerated method for patients. We studied the accuracy of the perfusion lung scan in predicting postoperative lung function on 34 patients who received either the resection of one lobe(17 patients) or 2 lobes(2 patients) or pneumonictomy(15 patients). We performed pulmonary function test and lung scan immediately before the operation and calculated the postoperative lung function by substracting the regional lung function which will be rejected. We compared this predictive value to the observed pulmonary function which was done 20 days after the surgery. We also compared the data achieved from 12 patients ho received open thoracotomy due to intrathoracic disease that are not confined in the lung. The correlation coefficient between the predicted value and observed value of FEVI .0 was 0.423, FVC was 0.557 in the pneumonectomy group and FEVI . 0 was 0.693, FVC was 0.591 in the lobectomy group. The correlation coefnclent between the'postoperative value and preoperative value of FEVI .0 was 0.528, FVC was 0.502 in the resectional group and FEVI .0 was 0.871, FVC was 0.896 in the comparatives. We concluded that the perfusion lung scan is accllrate in predicting post-resectional pulmonary function.

      • KCI등재

        대학생의 폐활량에 대한 기초체력과 신체활동량의 관계

        배주용(Ju Yong Bae),박경진(Kyung Jin Park),김지영(Ji Young Kim),이율효(Yul-Hyo Lee),김지선(Ji-Sun Kim),하민성(Min-Seong Ha),노희태(Hee-Tae Roh)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 (구.한국유화학회) 2021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 Vol.38 No.4

        본 연구의 목적은 한국 대학생들의 기초체력과 신체활동량이 폐기능과 상관관계가 있는지를 분석하고, 성별에 따른 차이를 검증하는데 있다. 건강한 참여자 312명(남성 150명[평균연령: 19.29±1.72세], 여성 160명[평균연령: 19.05±1.17세])은 신체조성, 기초체력, 신체활동량 설문지, 그리고 노력성폐활량 (FVC)과 1초간 강제호기량(FEV1)의 폐기능 검사를 수행하였다. 연구결과, 남학생의 폐기능은 우악력과 좌악력, 그리고 배근력과 관련이 있었고, 여학생의 폐기능은 모든 기초체력 하위 요인과 관련이 있었다. 또한 여성의 폐기능은 중강도 신체활동량과 관련이 있는 반면 남성의 폐기능은 신체활동량의 모든 하위 요인과 관련이 있었다. 본 연구의 주요 발견은 폐기능을 개선하기 위해서 남학생은 신체활동량을 증가시키고, 여학생은 기초체력을 향상시킬 필요가 있음을 제안한다. 대학생들의 폐기능을 유지하고 개선시키기 위해서는 폐기능 관련 인자에 대한 성별의 차이를 이해하고, 성별에 맞는 교육적 노력이 필요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correlation between pulmonary function, basic physical fitness (PF), and physical activity (PA), and to compare the differences by gender in Korean college students. Measurements of body composition, basic PF, PA (questionnaire), and pulmonary function tests of forced vital capacity (FVC) and forced expiratory volume in one second (FEV1) using a Quark pulmonary function test were carried out on 312 healthy participants (150 males [mean age: 19.29±1.72 years] and 162 females [mean age: 19.05±1.17 years]). The pulmonary function of male students was related to right-handedness, left-handedness, and back strength, and the pulmonary function of female students was related to all basic PF. The pulmonary function of male students was related to all PA variables, whereas the pulmonary function of female students was related to middle-intensity PA. The findings of this study suggest that male students need to increase PA, and female students need to improve basic PF to sustain a healthy pulmonary function. Understand gender differences for pulmonary function-related factors and the gender-specific educational efforts are needed to improve and maintain pulmonary capacity in college students.

      • SCOPUSKCI등재

        노인환자의 기도가역성 검사에서 FEV6의 보완적 지표로서의 역할

        김새희 ( Sae Hee Kim ),이양덕 ( Yang Deok Lee ),이정윤 ( Jung Yun Lee ),조용선 ( Yong Seon Cho ),나동집 ( Dong Jip Na ),한민수 ( Min Soo Han ) 대한결핵 및 호흡기학회 2006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Vol.61 No.3

        연구배경 : 기도가역성 측정시, 1초간 노력성 호기량(forced expiratory volume in one second, FEV1)과 노력성 폐활량(forced vital capacity, FVC)은 흔히 사용되는 지표인데 양성반응의 권장기준은 기저치보다 증가치가 절대량이 200㎖이상 그리고 백분율로는 12%이상의 두 조건을 다 만족하는 것이다. 그러나 노인 환자는 천식에 합당한 병력을 가지고 있어도 기도가역성의 진단기준을 만족시키지 못하는 경우가 종종 있다. 저자들은 6초간 노력성 호기량(FEV6)이 노인의 기도가역성 검사에서 역할을 알아보자고 하였다. 방법: 65세 이상의 노인환자 중 폐기능검사에서 FEV1/FVC가 80%미만인 236명에게 폐활량측정법으로 기도가역성 검사를 시행하였다. 기저 FEV1에 따라 다음과 같이 세 군으로 분류하였으며 각 군에서의 FVC, FEV6, FEV1의 지표에 따른 기도가역성을 비교 분석하였다. 제1군 : FEV1≥80%, 제2군 : FEV1 60~80%, 제3군 : FEV1≤60% 결과: 전체 환자에서 기도가역성은 각각의 지표에 따라 FEV1에서는 33명(14.0%), FEV6는 55명(23.3%), FVC는 55명(23.3%)로 양성반응을 보였고, 제3군(FEV1≤60%)에서는 FEV1을 지표로 할 때는 15명(22.4%), FEV6는 30명(44.8%), FVC는 32명(47.8%)으로 나타났다. 결론: 본 연구에서는 FEV6가 노인환자에서 기도가역성 검사의 새로운 보완적 지표로서의 역할을 보여줬지만 이의 일반화를 위해서는 좀 더 많은 연구가 필요할 것이다. Background: In the measurement of bronchodilator reversibility, the forced expiratory volume in one second(FEV1) and the forced vital capacity(FVC) are commonly used parameters and recommended criteria for the reversibility requiring an increase of more than 200㎖ and 12% above the baseline, respectively. However, aged patients do not often meet the criteria of an increase in volume(>200㎖) even though the medical history of that patient is adequate for asthma. This study investigated the role of the forced expiratory volume in six seconds(FEV6) in the bronchodilator reversibility test in elderly patients. Methods: A total of 236 patients more than 65 years of age with a FEV1/FVC ratio<80% were enrolled in this study. The bronchodilator revesibility tests were examined. With the setting FEV1 as the baseline, the patients were divided into three groups; Group I : FEV1≥80% of the predicted value, Group II : 60%<FEV1<80% of the predicted value, Group III : FEV1≥60% of the predicted value. Results: Positive reversibility in the FEV1, FEV6, and FVC was in 33(14.0%), 49(20.8%) and 55(23.3%). However, Group III presented with reversibility in the FEV1, FEV6, and FVC in 15(22.4%), 30(44.8%) and 32(47.8%) respectively. Conclusions: The FEV6 might be used as a complementary parameter in bronchodilator reversibility in elderly patients. However, more study will be needed to determine the usefulness of FEV6 in bronchodilator reversibility test. (Tuberc Respir Dis 2006; 61: 227-232)

      • SCOPUSKCI등재

        노인환자의 기도가역성 검사에서 FEV<sub>6</sub>의 보완적 지표로서의 역할

        김새희,이양덕,이정윤,조용선,나동집,한민수,Kim, Sae Hee,Lee, Yang Deok,Lee, Jung Yun,Cho, Yong Seon,Na, Dong Jip,Han, Min Soo 대한결핵및호흡기학회 2006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Vol.61 No.3

        연구배경: 기도가역성 측정시, 1초간 노력성 호기량(forced expiratory volume in one second, $FEV_{1}$)과 노력성 폐활량(forced vital capacity, FVC)은 흔히 사용되는 지표인데 양성반응의 권장기준은 기저치보다 증가치가 절대량이 200ml이상 그리고 백분율로는 12%이상의 두 조건을 다 만족하는 것이다. 그러나 노인 환자는 천식에 합당한 병력을 가지고 있어도 기도가역성의 진단기준을 만족시키지 못하는 경우가 종종 있다. 저자들은 6초간 노력성 호기량($FEV_{6}$)이 노인의 기도가역성 검사에서 역할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 법: 65세 이상의 노인환자 중 폐기능검사에서 $FEV_{1}$/FVC가 80%미만인 236명에게 폐활량측정법으로 기도가역성 검사를 시행하였다. 기저 $FEV_{1}$에 따라 다음과 같이 세 군으로 분류하였으며 각 군에서의 FVC, $FEV_{6}$, $FEV_{1}$의 지표에 따른 기도가역성를 비교분석하였다. 제1군 : $$FEV_{1}{\geq_-}80%$$, 제2군 : $FEV_{1}$ 60~80%, 제3군 : $$FEV_{1}{\leq_-}60%$$ 결 과: 전체 환자에서 기도가역성은 각각의 지표에 따라 $FEV_{1}$에서는 33명(14.0%), $FEV_{6}$는 55명(23.3%), FVC는 55명(23.3%)로 양성반응을 보였고, 제3군($$FEV_{1}{\leq_-}60%$$)에서는 $FEV_{1}$을 지표로 할 때는 15명(22.4%), $FEV_{6}$는 30명(44.8%), FVC는 32명(47.8%)으로 나타났다. 결 론: 본 연구에서는 $FEV_{6}$가 노인환자에서 기도가역성 검사의 새로운 보완적 지표로서의 역할을 보여줬지만 이의 일반화를 위해서는 좀 더 많은 연구가 필요할 것이다. Background: In the measurement of bronchodilator reversibility, the forced expiratory volume in one second($FEV_{1}$) and the forced vital capacity(FVC) are commonly used parameters and recommended criteria for the reversibility requiring an increase of more than 200ml and 12% above the baseline, respectively. However, aged patients do not often meet the criteria of an increase in volume(>200ml) even though the medical history of that patient is adequate for asthma. This study investigated the role of the forced expiratory volume in six seconds($FEV_{6}$) in the bronchodilator reversibility test in elderly patients. Methods: A total of 236 patients more than 65 years of age with a $FEV_{1}$/FVC ratio<80% were enrolled in this study. The bronchodilator revesibility tests were examined. With the setting $FEV_{1}$ as the baseline, the patients were divided into three groups; Group I : $$FEV_{1}{\geq_-}80%$$ of the predicted value, Group II : 60%<$FEV_{1}$<80% of the predicted value, Group III : $$FEV_{1}{\leq_-}60%$$ of the predicted value. Results: Positive reversibility in the $FEV_{1}$, $FEV_{6}$, and FVC was in 33(14.0%), 49(20.8%) and 55(23.3%). However, Group III presented with reversibility in the $FEV_{1}$, $FEV_{6}$, and FVC in 15(22.4%), 30(44.8%) and 32(47.8%) respectively. Conclusions: The $FEV_{6}$ might be used as a complementary parameter in bronchodilatror reversibility in elderly patients. However, more study will be needed to determine the usefulness of $FEV_{6}$ in bronchodilator reversibility test.

      • KCI등재
      • KCI등재

        흉곽 심호흡 스트레칭이 폐기능과 유산소성 운동 능력에 미치는 영향

        강일기,윤진호,오재근 한국스포츠학회 2021 한국스포츠학회지 Vol.19 No.1

        본 연구는 남자체육전공 대학생 집단 11명을 대상으로 흉곽 심호흡 스트레칭 적용 유무 간의 폐기능 검사와 운동 부하검사를 통하여 폐기능(노력성호기량, 최대흡기류속, 최대호기류속, 최대수의적환기량)과 유산소성 운동능력(최대 산소섭취량, 호흡교환율, 분당환기량, 운동지속시간)을 비교 분석하여 유산소성 운동 전에 효과적으로 시행할 수 있는 스트레칭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기초자료로 제공하기 위해 실시하였다. 흉곽심호흡 스트레칭에 따른 결과로는 폐기능에 서 최대흡기류속(p=.046), 최대수의적환기량(p=.008)에서 유의한 증가가, 유산소성 운동능력에서는 호흡교환율 (p=.029), 분당환기량(p=.027), 운동지속시간(p=.001)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따라서 흉곽심호흡스트레칭이 폐 기능과 유산소성 운동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간편하고도 의미 있는 단기 처치방법이라 할 수 있다. The aim of study is to identify the effects of thoracic deep breathing stretching on pulmonary function and aerobic exercise capacity of male university student in physical education major. Lung function(FVC, PIF, PEF, MVV) and aerobic exercise capacity(VO2max, RER, VE, Exercise Duration) were measured by pulmonary function test and Graded exercise testing before and after thoracic deep breathing stretching program. All data were compared and analyzed to provided fundamental data for development of stretching program that can be effectively. Thoracic deep breathing stretching improved the result of lung function(PIF(p=.046), MVV(p=.008)) and aerobic capacity(RER(p=.029), VE(p=.027), Endurance Time(p=.001)). Therefore, thoracic deep breathing stretching is a simple and effective treatment method to improve lung function and aerobic capacity.

      • KCI등재후보

        액와 림프선 종대로 진단된 난소암

        이천준,전창완 대한부인종양학회 2006 Journal of Gynecologic Oncology Vol.16 No.3

        Ovarian carcinoma is usually asymptomatic in early stage and over 70% of it initially diagnose advanced stage due to diffuse intraabdominal disease. Presenting symptoms and signs often relate to the degree of intraabdominal spread. The most common presenting symptoms and sign include abdominal pain, distension and palpable pelvic mass. The enlarged finding of isolated, distant lymph node without intraabdominal symptom and sign is vary rare. We experienced a patient who initially diagnosed enlarged axillary lymph node from ovarian carcinoma. We report this case with a brief review of literature. 난소암은 70%이상에서 3기 이상으로 첫 발견되며 대게 골반과 복강 내에 직접 전이되기 때문에 골반과 복강증상으로 진단된다. 그리하여 골반과 복강의 증상 외에 첫 진단되는 예는 아주 드물다. 액와 임파선종대로 난소암이 첫 진단되는 예는 세계적으로 희귀하며 유방전이 없는 액와 임파선종대는 Hockstein이 1997년에 1예를 보고한 후에 지금까지 없었다. 이에 저자들은 69세 여성에서 촉지되는 우측 액와 임파선 종대를 주소로 내원하여 원발병소를 찾던 중 발견된 난소암 1예를 경험하여 문헌고찰과 함께 보고하는 바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