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평생교육의 비교교육학적 접근

        최돈민(Choi, DonMin) 한국비교교육학회 2018 比較敎育硏究 Vol.28 No.3

        평생학습의 가치가 부각 되면서 각국은 평생학습의 시스템을 구축하는 데 노력을 경주하고 있다. 이러한 경향에 따라 논문에서는 평생학습 참여율, 학습성과, 학습지원 인프라, 학습비 지원, 평생학습 결과 인정 등을 국제 비교하고자 한다. 비교교육학적 접근을 위하여 Bray와 Thomas(1995)의 비교교육학적 프레임인 지리적/지역 수준, 비지정학적 인구 통계학 집단, 사회와 교육측면의 큐브를 활용하였다. 우리나라의 평생학습 참여율은 2017년 34.4%로 OECD국가 평균 46%보다 낮다. 성인의 역량을 측정하는 PIAAC 조사에서는 언어능력, 수리력, 컴퓨터 기반 문제해결력 3영역 모두 OECD국가 평균보다 낮았다. 사전학습 인증에서 EU국가는 EQF를 개발하여 모든 비형식, 무형식 학습의 결과에 가치를 부여하고 있다, 반면 한국은 학점은행제에 의하여 자격을 학점은행제 학점으로 인정하고 있다. 평생학습의 국제비교는 한 국가의 평생학습의 실태를 진단하고 향후 평생학습 정책을 수립하는데 중요한 자료로 활용될 수 있다, 유럽의 시민사회 형성과 맥락을 같이 하였다. 따라서 평생학습의 비교교육학적 접근은 근대국가의 형성 과정과 특성 등 역사적 맥락과 사회경제적 성격, 인구 동태 등에 따라 다르다는 것을 견지할 필요가 있다. As the value of lifelong learning becomes important, states are making efforts to build a system of lifelong learning. According to this tendency, this paper intends to compare the participation rate of lifelong learning, learning outcomes, learning support infrastructure, support of learning expenses, and recognition of lifelong learning. For the comparative pedagogical approach, Bray and Thomas’ cubes such as geographical / regional level, non - geographical demographic statistics, social and educational aspects were utilized. The participation rate of lifelong learning in Korea is 34.4% in 2017, which is lower than the OECD average of 46%. The competency scores of Korean adults were lower than the OECD national averages of the PIAAC survey which measured adult competence, language ability, numeracy, and computer-based problem solving ability. In order to recognize prior learning, EU countries have developed EQFs to evaluate all non-formal and informal learning outcomes, while Korea recognizes qualification as a credit banking credit under the academic credit banking system. International comparisons of lifelong learning can be used as an important tool for diagnosing the actual conditions of lifelong learning in a country and establishing future lifelong learning policies.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maintain that the comparative pedagogical approach of lifelong learning differs according to the historical context, socioeconomic characteristics, and population dynamics, including the formation process and characteristics of modern countries.

      • KCI등재후보

        국가 평생학습 정책 분석 - 2006년 교육인적자원부 정책을 중심으로

        김영준(Kim Young-Joon) 한국평생교육학회 2006 평생교육학연구 Vol.12 No.1

          교육인적자원부의 2006년 주요업무계획은 올해 추진할 국가 교육정책 방향 및 과제를 제시하고 있다. 본 연구는 정부의 주요업무계획을 통해 우리 나라 평생학습정책의 현황을 진단하고, 올해의 평생학습정책내용을 분석하였으며, 이를 바탕으로 평생학습정책 방향 및 과제를 모색하였다. 향후 중점 추진되어야 할 정책으로서 ‘학습국가 구축을 위한 마스터플랜 마련’, ‘국가 평생학습추진체계의 네트워크 강화’, ‘평생학습정책 전담기구의 기반 강화’, ‘평생학습관점에서의 학제개편 추진’, ‘지역평생학습 추진주체간 파트너십 형성’, ‘평생학습도시의 확산 및 질적 제고’, ‘방과후 학교의 활성화’, ‘대학의 성인교육 참여 확대’, ‘교육복지사업간 연계 강화’, ‘여성 및 노인 등 소외 계층 평생학습 지원’ 등 10개 과제를 제시하였다. 이 과제들은 국가경쟁력 제고를 달성하기 위한 학습전략의 핵심으로 향후 주요한 정책과제라 할 것이다.   This study reviews the progress of Korea"s lifelong learning policies and examines lifelong learning policy based on the 2006 annual plan of the Ministry of Education & Human Resources Development. As a future development of lifelong learning policy, the study suggests the following tasks: 1) to prepare a master plan for building learning society; 2) to build a strong network for national lifelong learning system; 3) to solidify a basis for an establishment that assumes full responsibility for lifelong learning; 4) to reform a school system from a perspective of lifelong learning; 5) to form a partnership among local lifelong learning entities; 6) to increase the number of learning cities and to enhance their qualities; 7) to activate local lifelong learning by utilizing schools; 8) to expand participation of higher education in adult education; 9) to strengthen a collaboration among various education-welfare support systems, and 10) to provide lifelong education to women and the old, so-called, the disadvantaged. These are the policy directions that should be taken as a learning strategy to improve national competitiveness.

      • KCI등재

        중년기 여성의 학습자 특성, 참여동기, 학습만족도 및 평생교육 참여성과 간의 구조적 관계

        이상희(Lee Sang Hee),김정희(Kim Jung Hee) 한국평생교육학회 2016 평생교육학연구 Vol.22 No.3

        본 연구는 다양한 학습상황을 갖고 평생교육에 참여하는 중년기 여성학습자의 평생교육 참여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 이들 변수들이 참여성과와 어떻게 구조적인 관계를 형성하는지 고찰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서울 및 경기도에 소재하는 평생교육기관에서 평생교육프로그램을 수강중인 여성학습자를 연구대상으로 선정하고 조사에 응답한 846명의 설문지를 분석하였다. 설정된 연구모형을 검증하기 위해 SPSS(18)와 Amos(18)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분석하였고 분석방법으로는 구조방정식을 활용하였다. 연구결과는 첫째, 중년기 여성학습자의 학습자특성은 매개변인인 학습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은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지만, 평생교육 참여성과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외생변인으로 설정한 참여동기는 평생학습에 참여하는 중년기 여성학습자의 평생교육 참여성과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변인이면서, 학습만족도의 매개변인을 통해서 참여성과에 연결되어 간접 효과까지 미치고 있다. 셋째, 매개변인인 학습만족도는 평생교육 참여성과에 정적인 영향을 주는 요인 중 가장 큰 효과를 가지고 있는 변인인 것으로 나타났다. 학습만족도는 평생교육기관 차원의 준거들로서 중년기 여성학습자들의 참여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학습과정상의 중요한 변인이라 할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multi-phased effects and outcomes of middle-aged women learners who have participated in lifelong learning activities and to explore the proposed structural relationships among the four latent variables(i.e., learner characteristics, participatory motivation, learning satisfaction, lifelong education participation performance). The conclusion drawn from research is as follows: First, though the effect of learner characteristics of middle-aged women learners on learning satisfaction is statistically insignificant, it has a direct effect on the outcome of lifelong-education participation performance. Second, participatory motivation as an exogenous variable has a direct influence on the outcome of lifelong-education participation performance of middle-aged women learners as well as an indirect influence on the outcome of lifelong-education participation performance through a mediatory variable of learning satisfaction. Third, it reveals that learning satisfaction as a mediatory variable is the greatest causal variable influencing statically the outcome of lifelong-education participation performance. We can say that learning satisfaction as criteria for lifelong-education institutions is an important variable influencing the outcome of participation performance of middle-aged women learners throughout their learning process.

      • KCI등재

        평생학습도시 유형별 조성전략에 관한 비교연구

        양흥권(Yang Heung-kweun) 한국비교교육학회 2006 比較敎育硏究 Vol.16 No.1

          평생학습도시 사업은 한 지역사회의 교육자원을 총체적으로 동원하고 활용하여 지역사회 주민의 평생학습기회를 확대함으로써 지역사회의 변화, 발전을 지향하는 사업이다. 연구자는 이 같은 평생학습도시 사업의 세 가지 유형인 직업능력개발형, 산업혁신형, 학습공동체형 평생학습도시 사례의 조성전략을 비교·분석하였다. 세 가지 유형의 평생학습도시에 대한 비교·분석은 사업추진배경, 사업추진체제, 사업 및 학습 참여촉진방법, 평생교육 프로그램 운영이라는 네 가지 준거에 의하여 이루어졌다. 연구결과 각 유형의 평생학습도시 사업은 조성전략에 차이점과 공통점이 있었다. 그러나 평생학습도시 조성전략의 차이는 사업추진체제, 참여촉진방법 등에 있어서는 약간의 차이가 있었으며, 가장 큰 차이를 보이는 점은 평생학습도시 사업으로 운영되는 평생교육 프로그램 내용이었다. 한편, 사업추진 배경, 참여촉진방법 등에 있어서는 평생학습도시 조성이론으로 일반화 할 수 있는 공통점을 발견 할 수 있었다.   Public work on lifelong learning city has been to provide citizens various opportunities of lifelong learning, using educational resources in local cities. This study compared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among three representative types of lifelong learning cities: 1) Type Ⅰ-career development; 2) Type Ⅱ-industrial innovation; and 3) Type Ⅲ- learning community. This study conducted the comparative study in terms of four criteria, which were work background, the initiative, strategies for participation, lifelong learning programs. In the result, we did find each type of lifelong learning cities began by similar background. However, initiative and strategies for participation among lifelong learning cities were somewhat different. Especially,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lifelong learning programs among lifelong learning cities.

      • KCI등재후보

        평생학습 증진을 위한 공동재정 기제 - 주요국 제도 비교를 중심으로

        이남철(Lee Nam Chul),정지선(Chung Ji-Sun) 한국평생교육학회 2006 평생교육학연구 Vol.12 No.2

          The goal of this paper is to explore various mechanisms of co-financing lifelong learning at OECD and EU. By sharing experiences and strategies among OECD and EU member countries, this paper will help develop the mechanisms for the co-financing of lifelong learning.<BR>  Lifelong learning is of central importance to individuals, the economy and government in a knowledge-based economy. Adequate financing of lifelong learning, such as mortgage-type loans, human capital contracts, graduate taxes, income-contingent repayment schemes, individual learning account, and saving account, depends on the creation of new institutional structures to support financing schemes. Public financing schemes are needed to empower individual learners to choose what, how, where and when to learn, and to enable them to exercise choice in deciding where to go with their acquired skills and competences. According to OECD and EU countries" policy, lifelong learning must be co-financed, because government cannot shoulder the burden alone, and because the benefits of lifelong learning are widely shared, government should concentrate its resources on those individuals least able to pay.   OECD가 주창한 “모든 이를 위한 평생학습”은 개인의 발달, 사회적 결속, 경제 성장을 목적으로 하는 것이다. 이를 성취하기 위해 평생학습 기초 강화, 학습과 일의 유기적인 연계성 증진, 평생학습과 관련한 모든 파트너의 책임과 역할 제고 및 평생학습에 대한 투자 전략이 강조된다.<BR>  평생학습을 촉진하기 위한 정책으로 주요국에서 근로자, 기업가 및 정부가 재정을 공동으로 지원하는 방안이 강구되고 있다. 이 연구에서는 이들 국가에서 평생학습을 촉진하기 위한 공동재정 지원기제(mechanism)로 추진되고 있는 비용공유 기제 및 보조금지급 기제와 우리나라의 고용보험사업의 일환으로 근로자 평생학습 능력을 증진하기 위하여 추진되고 있는 직업능력개발사업을 심층적으로 분석하여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이와 같은 분석결과는 우리나라가 현재 적극적으로 추진하고 있는 평생학습 및 인적자원개발 정책에 주요한 시사점을 제공한다.

      • KCI등재

        주민학습문화센터 평생학습매니저의 역할 수행에 나타난 학습 특성 분석: 평생학습마을 사업을 중심으로

        지희숙(Hiesuk Ji)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9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9 No.23

        이 연구는 동 주민학습문화센터에서 평생교육 전담 인력으로 활동하며, 평생학습마을을 조성해가는 평생학습매니저의 역할 수행 과정에 나타난 학습의 특성을 질적사례 연구 방법으로 분석했다. 자료 수집은 문헌 조사, 평생학습매니저 12명의 심층 면담, 참여 관찰을 활용하였다. 주민학습문화센터의 평생학습매니저는 일상적 주민학습상담, 주민학습프로그램 기획 및 운영, 마을 공동체사업 기획 및 운영, 마을 평생학습축제 지원의 역할을 수행한다. 평생학습매니저의 학습 활동은 기존의 공공의 지원에서 빠진 주민교육의 틈새를 발견하고 메워가는 공공적 학습이며, 마을 주체들과의 만남과 대화로 구성되는 일상적 방식이며, 평생교육의 가치를 자신의 삶에서 전유하고 마을로 확산하는 학습의 운동성을 전략으로 활용하고 있다. This study analyzed the characteristics of learning that appear in the role fulfillment of lifelong learning managers that act as personnel responsible for lifelong education in local community learning and culture centers and construct lifelong learning communities using qualitative case study methods. Data collection was made through literary analysis, in-depth interviews with 12 lifelong learning managers, and participative observations. Lifelong learning managers of community learning and culture centers fulfill the roles of daily resident learning counseling, resident learning program planning and operation, community group project planning and operation, and community lifelong learning festival support. The learning activities of lifelong learning managers are community learning activities that fill gaps that have been discovered in resident education left by existing public support and they are daily methods constructed through conversations with the main agents of community and they are using as their strategy the motility of learning in which the values of lifelong education are possessed in the lives of individuals and then spread out to communities

      • KCI등재후보

        지방자치 수준에서의 평생교육체제 구축 방안

        권인탁(Kwon In-Tak) 한국평생교육학회 2006 평생교육학연구 Vol.12 No.4

          이 연구는 우리나라 평생교육의 활성화에 대한 성패가 지방자치단체의 평생교육체제화에 달려있다는 전제 아래 대표적인 외국의 평생학습도시와 우리나라 평생학습도시의 평생교육추진체제에 대한 분석을 토대로 우리나라 지방자치 수준에서의 평생교육체제 구축 방안을 탐색하는데 목적이 있다. 지방자치수준에서의 평생교육체제 구축방안은 평생학습의 비전 및 방향 설정, 기초 및 광역 자치단체의 평생학습추진체제 구축 및 강화, 행정부서 및 평생학습기관의 평생교육사 배치, 읍ㆍ면ㆍ동 단위 평생학습마을운동 체제 구축, 평생학습인적자원개발 및 지역지도자양성 체제 구축, 시민주도의 평생학습운영체제 구축, 학습동아리 활성화 체제 구축, 지역교육청과의 연계ㆍ협력체제 구축, 지역 평생교육활성화를 위한 네트워크 체제 구축 등이 제시되었다.   This study is to explore strategies for building lifelong education systems in local governments. This study reviewed lifelong education systems of lifelong learning city in foreign countries and operation systems of the lifelong learning city in korea, and suggested strategies for building lifelong education systems in local governments<BR>  For strategies for building lifelong education systems in local governments, there is the presentation of visions and directions for lifelong learning, the establishment and strengthening of the lifelong learning support system and promotion system in county and province level, placement of a lifelong educator in administrative institutes, lifelong learning centers, and lifelong education institutes, establishment of a lifelong learning village movement system in the UbㆍMeoynㆍDong level, establishment of a leader fostering system for the development of regional human resources, establishment of lifelong learning operation system directed by the public, organization and activation of study circles, activation of local lifelong education in connection with regional education office, and establishment of the network system for activating the local lifelong education.

      • KCI등재후보

        평생학습도시 유형별 활성화 방안에 관한 연구 - 대도시형, 중소도시형, 농촌형을 중심

        김남선(Kim Nam-Sun),안현숙(An Hyun-Sook) 한국평생교육학회 2007 평생교육학연구 Vol.13 No.1

          본 연구는 2001년부터 실시하고 있는 우리나라 평생학습도시 정책이 매우 획일적으로 전개되고 있어 지역적 특성을 고려하지 못함으로써 평생학습도시 발전에 많은 문제점을 야기하고 있기에 그 해결방안 모색의 일환으로 시작되었다. 특히 우리나라 대부분의 정책은 행정구역을 중심으로 이루어지고 있기에 평생학습도시 사업도 행정구역의 특성을 고려하여 전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할 수 있다. 본 연구목적은 행정구역을 중심으로 대도시형 평생학습도시, 중소도시형 평생학습도시 그리고 농촌형 평생학습도시로 분류하여 각 유형의 특성을 살펴보고 그 유형에 적합한 평생학습도시 사업을 전개하는 방안을 모색하는 것이다. 유형별로 중요한 특성과 활성화 방안을 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대도시형 평생학습도시는 평생교육프로그램에 참여하는 학습자의 대부분이 주부이며, 평생학습기관마다 프로그램의 특성이 없다. 따라서 기관간의 체계적인 네트워크 구축을 통한 프로그램의 특성화를 기하고 남성의 참여를 확대할 방안을 모색해야한다. 둘째, 중소도시형 평생학습도시는 도농복합도시가 많아 같은 행정구역내에서 지역 간의 격차가 심하다. 특히 농촌지역주민의 평생학습참여가 매우 저조함으로 지역 간의 격차를 해소할 수 있도록 농촌지역에는 찾아가는 프로그램운영과 저녁 시간에 프로그램을 제공하는 방안이 요구된다. 셋째, 농촌형 평생학습도시는 평생학습을 위한 시설이 매우 부족하다. 그리고 주민에 대한 평생교육프로그램에 대한 정보가 매우 부족하다. 따라서 농촌지역의 평생학습시설을 읍면단위 중심으로 건립 또는 기존의 공공시설을 최대로 활용하여 주민과의 근접성을 확보해야 한다. 그리고 각종 매체 또는 모임을 통해 평생교육프로그램에 대한 정보를 제공받을 수 있도록 해야 한다.   The purpose of this were to find out the characteristics of respectively type of Lifelong Learning Cities, namely lifelong learning city in metropolitan area(Gu level), city level and rural area(Gun level), and to grope the ways for improving the lifelong learng cities. Because the policy of lifelong learning city from 2001 has been done monolithically, there are raised several problems.<BR>  Most of policies by central government in Korea are based on administrative district, and lifelong learning city project should be done based on administrative district that has the various characteristics, so that the policy of lifelong learning city could make the most something"s characteristics.<BR>  Three lifelong learning cities, in the words, metropolitan area type(Haeundae gu, Busan Metropolitan area), Urban type(Andong city, Kyungpook), and rural type (Kechanggun, Kyungnam) were selected by the purposive sampling of nonprobability sampling methods, and the data were collected from learners of each lifelong learning city, the analytical methods of statistics for the data were frequency, percentile, χ², and ANOVA.<BR>  The major finding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ly, most of learners in metropolitan area type are housewife, and the programs carried out by the lifelong learning organizations are no characteristics, in other words, the programs in each lifelong learning organizations are very similar. And the lifelong learning city in metropolitan area should provide the variety of the programs for community people. Secondly, the gap between city area and rural area in city government is high, because most of cities in Korea are combined of city and rural, and the rural people"s participation in the lifelong education program is very difficult, because it is a quite away in the geographic space to attend the program. And The equipments in administrative Yeup, Myun and Dong office should make used for rural people, and the programers are to serve the outreaching programs for the rural people. Thirdly, The equipments for lifelong learning are insufficient in rural, and it is difficult for the farmers to get the information about lifelong education. To improve the lifelong education for rural people, local government should provide the equipments for lifelong education in Yeup, Myun and Dong level in administrative district for the rural people, and make them get the information about lifelong education through every kind meeting and media.

      • KCI등재후보

        일제하 이상촌 운동을 통해 본 평생학습도시 사업의 실천 원리

        오혁진(Oh Hyuk-Jin) 한국평생교육학회 2007 평생교육학연구 Vol.13 No.2

          최근 활성화되고 있는 평생학습도시 사업은 이념적으로는 평생교육이 추구해왔던 학습공동체를 지역차원에서 구현하기 위한 시도임과 동시에 현실적으로는 지식기반사회와 지방화 시대에 적합한 현대적 의미의 지역사회개발사업이라고 할 수 있다. 지역사회개발의 성격을 갖는 평생학습도시 사업을 통해 지역학습공동체를 구현하기 위한 역사적 사례로 일제강점기하 이상촌 운동을 들 수 있다. 도산 안창호, 남강 이승훈, 소래 김중건, 백산 안희제, 일가 김용기 등에 의해 이루어진 일제하 이상촌 운동은 자주독립과 경제적 자립이라는 시대적 사명을 구현하기 위한 지역공동체운동이었다. 또한 일제하 이상촌 운동은 지역사회개발 차원에서 학습을 중시함과 동시에 공동체적 가치를 공유하며 지역학습공동체를 형성하였다는 점에서 현대의 평생학습도시 사업이 추구해야 할 모본이 될 수 있다. 이상촌 운동의 사례를 통해 얻을 수 있는 평생학습도시 사업의 실천 원리로는 평생학습도시 사업이 인류보편적인 공동체적 가치를 기초로 해야 한다는 것, 학습내용이 지역의 자립을 위한 실무교육 중심적이어야 한다는 것, 공식적인 평생교육시설에서의 형식적인 교육 이외의 지역 현장 중심의 다양한 학습활동을 지원해야 한다는 것, 그리고 정부 주도 외부 평생교육전문가 중심이 아닌 일반 지역주민 주도의 학습활동이 이루어져야 한다는 것, 지방자치단체 차원의 거시적인 접근이 아닌 작은 지역차원의 미시적 접근을 해야 한다는 것 등을 들 수 있다. 이러한 원칙을 따를 때 평생학습도시 사업은 효과적인 지역사회개발은 물론 진정한 의미의 지역학습공동체를 구현할 수 있는 현대판 이상촌 운동이 될 수 있다.   Recent learning city project is a modern type of community development project as well as a effort to realize ideal learning community in the level of local area. In realizing the value of local learning community and community development through learning city at the same time, we can consider Ideal Village Movement under the rule of Japanese imperialism as a guide. Ideal Village Movement tried by Dosan, Namgang, Sorae, Baiksan and Ilga was a movement for building local community to realize the mission of the time pursuing independence and economical wealth, and educational institutes and learning activities of local residents played a decisive role in performing the mission of Ideal Village Movement. We can learn several lessons from the Ideal Village Movement which is a model of learning city project. We should set objectives integrated with universal value of humankind beyond just regional interests, pursue the education for economical self-reliance, include all kinds of learning activities of all sphere of real life, try so that the residents should be real subject in learning city project, and take a deep interest in lower level of local community. By doing so, learning city project can be modern type of the Ideal Village Movement which realize the real value of local learning community as well as implement successful community development.

      • KCI등재

        마을만들기사업과 평생교육의 협동 가능성 탐색

        양병찬 한국평생교육학회 2015 평생교육학연구 Vol.21 No.3

        최근 지방 정부의 ‘마을만들기사업’은 기존 지역 개발 사업의 성과주의와 하향식 추진 방식에 대한 문제 제기를 통해서 진행되고 있다. 이 과정에 주민들의 참여를 위해 마을학교 등의 교육과정을 운영하고 있다. 한편, 평생교육법 제정과 평생교육 전담 조직이 정비되는 과정에서 한국의 평생교육의 공적 기반은 급격하게 확대되고 있다. 시민들의 학습 요구나 참여율도 급격하게 상승함에 따라 각 지자체의 평생교육 공공 시설과 공적 지출이 증가하고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한국 평생교육 실천은 마을 단위의 주체 역량 강화와 같은 근본적인 변화에 기여하지 못하고 있는 상황이다. 이러한 문제의식 하에서 본 연구는 시흥시 학습마을 사례를 통해서 마을공동체 사업의 추진과 주민의 평생학습의 관련성읕 탐색하고자 하였다. 또한 이 과정에서 나타나는 주민의 사회참여형 학습의 특징을 분석하였다. 이 실천 사례에서 발견한 마을만들기와 평생학습의 협동 가능성은 세 가지로 정리할 수 있다. 첫째, 마을공동체 활동에서의 평생학습은 실천과 학습의 관계성에 주목하여 개인 욕구 기반의 학습보다는 사회적·공동체적 실천의 과정으로서 학습을 강조하고 있다. 둘째, 마을 활동과 관련해서 마을학교는 마을의 사회적 경제와 강한 결합의 가능성을 보이고 있다. 세 번째, 마을공동체 활동에서 민관의 협력적 거버넌스가 중요한 과제로 떠오르고 있다.이에 기존의 행정 체제와 주민의 참여를 매개하는 평생교육 영역의 역할에 주목해야 함을 밝히고 싶다. Recently, Korean municipalities have been leading a boom of ‘the Community Building Project’ in order to overcome the limitations of the central government policy, arguing its performance based principle on existing regional development project and top-down approach. On the other hand, Korean lifelong education has been rapidly expanding in accordance with enactment of Lifelong Education Act and alignment of its exclusive organization. Also, the municipal public facilities for lifelong education and its public spending on lifelong learning are rising sharply to fulfill diverse people's needs for learning and increased participation rates. Nevertheless the Korean lifelong education has not been could not contributing to fundamental changes as reinforcement of subject capacity for community units. With having a sense of these problems, this study analyzed affinity between lifelong education and community building project municipalities have been recently promoting, focusing on a example of Siheung City lifelong learning villages project. A possibility of collaboration between ‘Community Building’ and lifelong education from the example can be defined as three findings. There are three findings as follow. First of all, community activities in lifelong learning emphasize the learning as a process of social and collective practices, social practice learning, taking note the relationship between practice and learning rather than learning based on personal needs. The second is that community learning shows prospect of a strong bond with local social economy, related with community activities. Lastly, collaborative public-private governance is emerging as important tasks in the community activities. Therefore This study urges to pay attention for the role of lifelong education that mediates existing administrative framework and new who form the participation of resident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