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지방 정부의 평생교육 체제 구축 동향 분석

        전광수,김형재,황정훈 사단법인 인문사회과학기술융합학회 2017 예술인문사회융합멀티미디어논문지 Vol.7 No.3

        This study tried to analyze an ordinance related to the lifelong education in local governments to promote lifelong educational developments. In order to achieve the object of the study, it was selected for the wide-area local government - "K"city - as the object of analysis The criteria and contents of the analysis were reviewed and analyzed in accordance with the provisions of the Local Education Act, which was amended by the Ministry of Education, Welfare and Municipal Affairs, and the subsequent lifelong education ordinance of the municipal government, after revising the entire education law. The results are as follows. After revising the lifelong education law, the autonomous districts have been established to enact the legislation of the law and strive to establish a systematic foundation for educational advancement and the establishment of a lifelong education system. However, it was revealed that the ministry enacted the ordinance to reflect the contents of the proposed ordinance, and set up the ordinance in consideration of the local law. It is analyzed that there is a difference in the implementation of the system. Taken together, it seems that the, district has been trying to establish a series of institutional and practical systems for lifelong education. However, there was a substantial difference in actual administrative practices that fit the purpose of the enactment of the ordinance. 본 연구는 평생교육법의 전면 개정을 통해서 부여된 지방 정부의 책무가 조례에 어떻게 반영되었는지를 살펴보고, 실제 지자체별 평생교육 시스템의 구축 동향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K광역시 산하 5개의 자치구를 분석 대상으로 하였다. 분석의 기준과 내용은 평생교육법 전부 개정 이후 교육부에서 제시한 광역시․도와 시․군․자치구의 평생교육 조례(안)과 이후에 일부 개정된 평생교육법 중에서 관련된 조항을 중심으로 비교․분석하였다. 결과는 다음과 같다. 평생교육법 전면 개정 이후 자치구들은 법의 제정 취지에 부합하고, 평생교육 진흥을 위한 제도적 기반과 체제를 구축하기 위해 노력해 온 것으로 나타났다. 다만, 교육부가 제시한 조례의 내용을 그대로 반영하지 않고, 지역의 실정을 고려하여 조례를 제정한 것으로 나타났다. 체제 구축에 있어서도 차이가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종합해보면, K광역시 자치구는 평생교육 진흥을 위한 일련의 제도적 기반과 실질적인 체제를 구축하기 위해 노력해 온 것으로 보인다. 다만 조례의 제정 취지에 걸 맞는 실질적인 행정 행위가 지역마다 차이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 KCI등재후보

        시민교육 활성화를 위한 평생교육의 역할과 가능성 탐색

        박상옥 한국NGO학회 2018 NGO연구 Vol.13 No.3

        시민교육은 평생교육에서 매우 중요한 한 축을 담당해 왔다. 실질적 민주주의로 발전하기 위해서 시민교육이 강조되고 있는 지금 상황에서 평생교육은 시민교육 활성화에 기여할 수 있는 가능성이 크다. 따라서 본 연구는 평생교육의 관점에서 시민교육의 방향을 분석하고, 시민교육 활성화를 위한 평생교육의 역할을 탐색하고자 하였다. 평생교육은 교육자 중심에서 학습자 중심으로의 교육주체의 변화, 즉 교육의 민주화를 추구한다. 평생교육이 실현하고자 하는 학습사회는 시민이 주체가 되어 자유롭게 의견을 표현하고 민주적 의사결정 참여를 통해서 만들어진다. 시민교육은 평생교육이 추구하는 새로운 관점 실현에 있어서 필수적이라고 할 수 있다. 이렇듯 평생교육에서 핵심적인 시민교육은 앞으로 지식교육의 틀을 벗어나 일상적 실천을 통해서 지식뿐만 아니라 시민적 가치와 태도, 참여기술 학습을 강조할 필요가 있다. 또한 시민을 계몽의 대상하기보다 인식의 주체, 실천의 주체로 보는 시민교육으로 발전하고, 시대가 요구하는 시민성을 기르는 시민교육이 되어야할 것이다. 이러한 시민교육 실천을 위해서 본 연구에서는 평생교육에서 새로운 교육 실천보다는 기존의 평생교육 실천을 재구조하는 방식을 제안하였다. 평생교육 영역에서 활발하게 실천되고 있는 학습동아리나 지역학 교육, 또는 평생교육 프로그램에 시민교육의 ‘옷’을 입히는 것이다. 학습동아리나 지역학교육에 참여하면서 학습자들이 지역의 문제를 인식하고 문제해결에 참여하도록 교육을 설계하면 시민으로서 필요한 태도와 역량을 기를 수 있을 것이다. 이 과정에서 평생교육사들은 시민교육 실천가로서 전문성이 요구받게 될 것이고 전문성 향상을 위해 노력해야할 것이다.

      • KCI등재

        인적자원개발과 평생교육의 개념적 관계에 대한 인적자원개발과 평생교육 연구자의 인식 유형과 상호지향성 분석

        백평구 한국기업교육학회 2017 기업교육과인재연구 Vol.19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recognition types and co-orientation between HRD and lifelong education researchers about the conceptual relationship of HRD and lifelong education using Q methodology. For the purpose, Q sample was constructed of 30 statements and P sample was composed of 18 Korean researchers in HRD and lifelong education. Finding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lifelong education researchers more accurately understood the conceptual relationship than those of HRD researchers did understand the conceptual relationship. Nevertheless, the perspective on the conceptual relationship of some of lifelong education researchers were based on ‘differences’ rather than ‘commonalities’ between two fields. Second, HRD researchers more deeply perceived there are differences between two fields than those of lifelong education researchers. In conclusion, the conceptual relationship of HRD and lifelong education are dependent on how to set the relationship between individual and organization. In addition, different perspectives on the meaning of leaning in workplace affect on differentiating the conceptual relationship between two fields. Lastly, workforce development was appreciated as the link between two fields while critical approach to HRD was not. For further research, analyzing the conceptual relationship among HRD, workforce development, vocational education and training, and international comparative research including researchers from U.S. and U.K. were suggested. 이 연구의 목적은 인적자원개발과 평생교육 연구자가 인식하는 인적자원개발과 평생교육의 개념적 관계를 상호지향성 모형과 결합된 Q방법론을 활용해 분석하는 것이다. 30개의 진술문을 Q표본으로 하고 인적자원개발과 평생교육 분야의 연구자 총 18명의 P표본을 구성하여 분석한 결과를 다음과 같이 종합하였다. 첫째, 평생교육 연구자가 HRD 연구자보다 상대 분야 연구자의 개념적 관계에 대한 인식에 대해 더 높은 일치 정도를 보였지만, 평생교육 연구자 집단 내에서 일부 평생교육 연구자의 HRD와 평생교육의 개념적 관계는 ‘같음’ 보다는 ‘다름’ 위에 성립하는 것이라고 할 수 있다. 둘째, HRD 연구자들이 평생교육 연구자들보다 HRD와 평생교육의 개념적 관계를 바라보는 관점의 차이를 더 크게 인식하고 있다고 할 수 있다. 결론적으로 HRD와 평생교육의 개념적 관계는 HRD에서의 개인 대 조직의 관계를 어떻게 설정하느냐의 문제로 귀결될 수 있다. 또한 일터에서의 성인이 경험하는 학습의 의미에 대한 입장 차이가 HRD와 평생교육의 개념적 관계에 대한 입장 차이로 이어질 수 있다. 마지막으로 HRD와 평생교육의 개념적 관계에 있어서 일능력개발이 접점으로서의 가능성을 인정받은 것에 비해 HRD에 대한 비판적 접근은 국내 연구자들에게 충분히 인정받지 못했다. 후속 연구로는 HRD와 일능력개발 또는 직업교육훈련의 개념적 관계 분석, 미국과 영국을 포함한 해외 연구자들과의 비교 연구를 제안하였다.

      • KCI등재
      • KCI등재

        UNESCO와 OECD의 평생교육전략 비교를 통한 우리나라 평생여가교육의 가능성

        김성길(Seonggil Kim) 연세대학교 교육연구소 2004 미래교육학연구 Vol.17 No.1

        평생교육은 선택이 아니라 필수다. 이렇게 평생교육이 필수요소가 되는 데는 UNESCO와 OECD의 역할이 컸다. UNESCO는 ‘모든 이를 위한 교육’을 주장하면서, 개인의 자아실현을 평생교육의 기본으로 삼고, 이를 위해 기존 교육제도의 통합과 지역사회의 학습도시로의 전환을 실천하였다. 이에 비해, OECD는 개인의 발달과 사회적 결속, 그리고 경제적 성장을 위한 학습지역 형성을 주장하면서, 인적 자본과 사회적 자본의 중요성 강화와 전 생애에 걸친 직업능력의 개발을 강조하고 있다. 이 연구는 평생교육 이론수립과 실천의 양대 산맥인 UNESCO와 OECD의 평생교육전략 비교를 통해 우리 평생교육에 적용 가능한 시사점을 찾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먼저 우리나라의 평생교육 현실을 짚어보았고, 그 다음으로 UNESCO와 OECD의 평생교육이론을 비교하고 우리에게 주는 시사점을 정리하였으며, 마지막으로 우리나라 평생교육 증진을 위한 평생교육전략, 특히 평생여가교육 전략의 가능성을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find some applications to lifelong leisure education in Korea. In order to achieve the goal, this paper, first of all, reviewed the lifelong education situation of Korea in terms of philosophical, administrative, and legitimative aspects. Secondly, this study used the comparative analysis on the lifelong education strategies of UNESCO and OECD, who are the two mainstreams of the theory-building on and practicing for international lifelong education. And finally, this paper showed the strategies for lifelong leisure education in Korea under the conclusion of the exploring the UNESCO and OECD lifelong education strategies.

      • KCI등재

        Q방법을 활용한 대학생의 평생교육에 대한 인식 유형 분석

        강현,유기웅 안암교육학회 2019 한국교육학연구 Vol.25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tract the perception types of university students on lifelong education and to analyze the characteristics. Q method was conducted for this research. As the result of the study, the perception type that university students had on lifelong education was in 4 total. First, ‘integration of education through the whole lifetime importance type’ indicates that lifelong education should be for every person from the cradle to the grave and regardless of the gender and age, it is important to learn everything needed in life as a integration of education. Second, ‘selfsatisfaction for individual happiness pursuit type’ means that lifelong education is perceived as enhancing the quality of life of individuals, pursue happiness, and as an opportunity for selfactualization. Third, ‘improvement of societal perception for equal opportunity emphasis type’ shows that lifelong education should be provided equally to every person, and perceives the need to improve the social perception of lifelong education by securing various lifelong education programs and through promotions and marketing. Fourth, ‘learner customized education for opportunity consideration emphasis type.’ indicates that lifelong education should be provided firstly to the social underprivileged, and perceives that professional personnel is needed to provide customized education in consideration of the learners characteristics. This study came to the conclusion as follows. First, in consideration of the university student’s perception type of lifelong education, there is a need to discuss the concept and range of lifelong education. Second, the opportunity of lifelong education is the fundamental right for every person. Third, making the condition so people may participate in high quality lifelong education also has major influence in the perception of lifelong education. 본 연구에서는 대학생의 평생교육에 대한 인식 유형을 도출하여 그 특성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개인의 인식이나 신념 등 주관성을 연구하기 위해 적합한 연구방법인 Q방법을 활용하였다. 연구 결과, 대학생의 평생교육에 대한 인식 유형이 총 4개의 유형으로 도출되었다. 첫째, 전 생애에 걸친 교육의 통합 중시형은 모든 사람이 태어나서부터 죽을 때까지 성별, 연령 등에 구애받지 않고, 삶에 필요한 모든 것들을 배울 수 있는 교육의 통합을 중요시하고 있었다. 둘째, 개인의 행복을 위한 자기만족 추구형은 평생교육을 개인의 행복과 자아실현을 위한 기회로 인식하고 있었다. 셋째, 기회균등을 위한 사회적 인식 제고 강조형은 평생교육이 모든 사람들을 대상으로 동일하게 제공되어야 하고, 이를 위해 평생교육에 대한 사회적 인식 제고가 필요하다는 것을 강조하고 있었다. 넷째, 기회배려를 위한 학습자 맞춤 교육 강조형은 평생교육이 소외계층에게 우선적으로 제공되어야 하고, 학습자의 특성을 고려한 맞춤형 교육이 필요하다는 것을 강조하고 있었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대학생들의 평생교육에 대한 인식 유형을 고려하여 평생교육에 대한 개념과 범위에 대해 논의해볼 필요가 있고, 평생교육의 기회는 모든 사람들의 기본적인 권리이며, 양질의 평생교육에 참여할 수 있도록 여건을 조성하는 것은 평생교육에 대한 인식에 중요한 영향을 미친다는 결론을 도출하였다.

      • KCI등재

        장애인 평생교육기관 종사자의 평생교육 인식 및 요구 –경기도내 기관 종사자를 대상으로–

        김두영,이경준 한국특수교육학회 2018 특수교육학연구 Vol.53 No.1

        This study looked at the recognition and needs of lifelong education by workers at facilities for lifelong education of people with disabilities. Based on this, the purpose is to find out the policy direction and tasks that lifelong education facilities for lifelong education of people with disabilities should carry out for the lifelong education for people with disabilities. For this purpose, researched survey of 201 workers at facilities for lifelong education of people with disabilities in Gyeonggi Province: night schools, welfare centers, day care centers, residential facilities and other facilities for lifelong education of people with disabilities. In addition, eight experts with five or more years of experience were surveyed in writing to analyze in depth the overall recognition and needs for lifelong education of people with disabilities as a second survey. Based on the results of the study, the following conclusions were reached as a result of discussions on policies and activation of lifelong education for people with disabilities. First, training programs should be developed and a variety of training opportunities should be provides to empowerment of those who work at facilities for lifelong education of people with disabilities. Second, it should expand the integrated lifelong education programs for people with disabilities and without disabilities. Third, the government and local governments should expand financial support for the operation of lifelong education programs for people with disabilities. Fourth, specific policies and measures should be sought to increase the local community’s interest in lifelong education for people with disabilities and to improve the perception of their. Firth, it should carry out projects to nurture and dispatch professional instructors for lifelong education of people with disabilities. Sixth, diverse lifelong education programs should be developed and distributed to reflect the needs of people with disabilities and their families. 이 연구는 장애인 평생교육기관 종사자의 평생교육에 대한 인식 및 평생교육 관련 요구를 조사하고 이를 바탕으로 장애인 평생교육기관이 장애인 평생교육 활성화를 위하여 앞으로 나아가야할 정책적방향과 과제를 모색하는데 목적을 두었다. 연구를 위해 경기도 내 장애인야학, 장애인복지관, 장애인 주간보호시설, 장애인 거주시설, 장애인 직업재활시설 및 기타 장애인 평생교육기관에 종사하고 있는 201명의 설문조사 결과를 분석하고, 추가로 장애인 평생교육에 대한 전반적 인식과 요구를 심층․분석하기 위하여 5년 이상의 경력자 8명을 대상으로 2차 서면조사를 진행하였다. 연구 결과를 토대로 장애인 평생교육 활성화 및 정책과제에 대해 논의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에 도달했다. 첫째, 장애인 평생교육기관 종사자의 평생교육 및 특수교육 역량 강화를 위한 연수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다양한 연수 기회를 마련해야한다. 둘째, 장애인과 비장애인의 통합 평생교육 프로그램을 확대해 나가야 한다. 셋째, 장애인 평생교육프로그램 운영을 위한 정부와 지방자치단체의 재정적 지원을 확대해 나가야 한다. 넷째, 지역사회의 장애인 평생교육에 대한 관심을 제고하고 장애인에 대한 인식을 개선하기 위한 구체적인 정책과 방안을 모색해야 한다. 다섯째, 전문적인 장애인 평생교육강사를 육성하고 파견하는 사업을 추진해야 한다. 여섯째, 장애인 당사자 및 가족의 요구를 반영하여 다양한 평생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보급해야 한다.

      • KCI등재

        장애성인의 평생교육 참여 실태 및 요구 분석 : 장애인복지관 이용자를 중심으로

        조창빈,김두영,이상진 대구대학교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소 2018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 Vol.57 No.1

        This study is designed to research on the situation of participation in the lifelong education and the demand for the operation of future lifelong educational program for the disabled adults using the nationwide community rehabilitation center for the disabled adults. For the research, 390 disabled adults having the experience of using the lifelong educational program supplied by the community rehabilitation center for the disabled were selected and the main results of the research are as follows. First, the analysis result of the disabled adults' participation in the lifelong education showed that most of them participated in the lifelong education of 'instructor lecture' in the form of education, 'community rehabilitation center" as the program participating organization and "academic ability supplementation education" in the number of participation for scope of program. In addition, the main objectives of participating in the lifelong program was "euphoria" and most of responses to the degree of achievement were "very helpful". Second, the analysis result of the demand for the operation of lifelong education program for the disabled adults showed that most of them showed that they "want to participate" in terms of the intention of participating in the future lifelong educational program, preferred "the community rehabilitation center" as the participating organization and most of them wanted to participated in the "culture-art education". Next, for the activation of lifelong education program, most of them wanted "expansion of support in budget" Based on the research results above, some methods of activating the lifelong education for the disabled were discussed. 이 연구는 전국의 장애인복지관 이용 장애성인을 대상으로 평생교육 참여 실태와 향후 참여할 평생교육 프로그램 운영에 대한 요구를 조사하고, 장애성인의 생애주기에 따른 차이를 분석하였다. 연구를 위해 장애인복지관에서 공급한 평생교육 프로그램 이용 경험이 있는 장애성인 390명을 연구대상으로 선정하였으며,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장애성인의 평생교육 참여 실태를 분석한 결과, 평생교육 참여경험은 ‘강사강좌’가 가장 많았으며, 평생교육 프로그램 참여기관은 ‘장애인복지관’이 가장 많았고, 프로그램 영역별 참여 개수는 ‘학력보완교육’이 가장 많았다. 또한 평생교육 프로그램 참여목적은 ‘행복감’이 가장 우선순위였고, 이에 대한 달성정도는 ‘매우 도움이 되었다.’는 응답이 가장 많았다. 둘째, 장애성인의 평생교육 프로그램 운영에 대한 요구를 분석한 결과, 향후 평생교육 프로그램 참여 의사는 ‘참여하고 싶다.’가 가장 높았으며, 참여 희망기관은 ‘장애인복지관’을 가장 선호하였고, 참여희망 영역은 ‘문화예술교육’이 가장 많았다. 다음으로 평생교육 프로그램 활성화를 위하여 ‘예산 지원 확대’를 가장 많이 요구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상의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장애인 평생교육 활성화 방안에 대하여 몇 가지 논의하였다.

      • KCI등재

        논리모델을 적용한 평생교육실습 프로그램의 사례연구

        박명신(Park Myeungsin),한상훈(Han Sanghoon) 한국열린교육학회 2016 열린교육연구 Vol.24 No.2

        본 연구는 사례분석기법인 논리모델을 적용하여 평생교육실습 프로그램의 사례를 분석하기 위해 대전․ 충남지역의 4년제 대학교에서 평생교육실습 프로그램 참여 경험이 있는 대학생 12명(남자 6명, 여자 6 명)을 대상자로 선정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투입과정에서는 실습생들의 실습비용은 실습기관에 따라 차이가 있었고, 대부분 표준화된 실습 매뉴얼 없이 실습이 이루어지고 있었으며, 한 기관에서 1명 정도의 실습생만을 선발하고 있었다. 또한 실습 전 사전정보․상호작용이 부족하였으나, 실습지도자의 전문성 은 어느 정도 갖추고 있었다. 활동과정에서 실습지도자는 평생교육법에 규정되어 있는 평생교육사의 업무 에 충실히 수행하고 있었으나, 실습생들은 실습지도자의 지도에 따라 실습지도자의 업무들을 보조하는 역 할을 하였으며, 실습생에 대한 실습지도자의 교육․훈련․슈퍼비전이 부족한 것으로 나타났다. 산출과정에서 실습지도자와 실습생의 매칭은 대부분 1:1로 이루어졌고, 실습시간․횟수, 기간은 충분하였으나, 실습지도 자의 슈퍼비전 횟수․기간은 더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성과과정에서 실습생들은 평생교육실습 프로그램 에 대체로 만족 및 효과가 있었으며, 평생교육사의 직업 선택에 대해 관심을 갖게 되었으며, 평생교육기관, 평생교육프로그램, 평생교육사들을 통해 지역사회와의 연계․협력 및 세대 간 상호작용이 이루어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개선사항으로는 평생교육사 양성교육기관을 선정․지정하여 프로젝트 공모 혜택과 예산 지원 등의 적극적인 지원과 혜택 등이 이루어질 필요가 있다. 따라서 본 연구결과는 평생교육 사 양성을 위한 평생교육실습 프로그램의 질적 수준 향상과 전문성을 갖춘 평생교육사 양성에 대한 이론 적이고 실증적인 자료에 시사점을 준다. This study selected 12 persons who had an experience of participating in a lifelong education practicum program and then made an analysis in order to analyze the cases of lifelong education practicum program using logic model, case analysis method. The results of study are as follows. First, in input, trainees' practicum costs were different according to practicum site. And most of practicum is taken without standardized practicum manual. A site selected only 1 trainee or so. Advance information․interaction was insufficient before practicum. However, practicum instructor had expertise to some extent. Second, in activity, a practicum instructor faithfully performed lifelong educator's tasks specified in Lifelong Education Act. However, trainees played a role in assisting the practicum instructor with tasks according to the practicum instructor's instruction. And it was shown that practicum instructor's education․training․ supervision of trainees was insufficient. Third, in output, for the most part, practicum instructor was 1:1 matched with trainee. And the hours, frequency and duration of practice was sufficient. However, it was shown that more frequency․duration of supervision was required. Fourth, in outcome, trainees were generally satisfied with lifelong education practicum program and an effect was produced. And they became interested in choosing the long educator job. It was shown that, through lifelong education institute, lifelong education program and lifelong educators, connection․cooperation with community and interaction between generations was accomplished. Fifth, with regard to improvements, it was necessary to select․designate an educational institution for training a lifelong educator, and actively give support and incentive such as budgetary support and incentive in inviting the public to a prize contest for best projects. Therefore, this study is intended to provide theoretical and empirical data on training a lifelong educator who has expertise and an increase in the quality of lifelong education practicum program to train a lifelong educator.

      • KCI등재

        평생교육으로서 행정학 전공의 가능성 분석 : 성인학습자들의 행정학 전공 선택의 이유를 중심으로

        김민주 ( Min Ju Kim ),서송원 ( Song Won Seo ) 연세대학교 사회과학연구소 2018 社會科學論集 Vol.49 No.1

        평생교육 시대에 사람들은 여러 형태와 분야에서 평생학습을 하면서 살아간다. 실제로 평생교육은 다양한 분야에서 이루어지고 있고, 기존 일반대학의 전공도 평생교육의 한 분야가 되고 있다. 본 연구는 행정학이 평생교육의 전공으로 가능한지에 대해 분석한다. 그동안 평생교육으로서 행정학 전공의 가능성이 어느 정도인가에 대한 논의는 거의 이루어지지 않았다. 하지만 교육환경 변화와 평생교육 시대에 발맞추어 행정학도 평생교육의 한 전공이 될 수 있다는 점을 이해하는 것이 중요하며, 그에 대한 논의도 필요한 때가 되었다. 이미 일부사회과학 분야에서는 비슷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평생교육으로서 행정학 전공의 가능성 분석을 최초로 시도한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실제 행정학을 평생교육 전공으로 선택한 평생학습자들을 대상으로 인터뷰를 진행하였다. 분석결과, 그동안 평생교육의 전공으로 행정학을 선택한 이들은 ‘우연히’ 행정학을 전공으로 선택하였던 것으로 나타났다. 그런 점에서 전공 ‘선택’이 전공 유지의 가장 기본적인 전제가 된다고 할 때, 평생교육으로서 행정학 전공의 가능성은 그리 높지 않다고 할 수 있다. 하지만 그 가능성을 조금은 더 높일 수 있는 방법이 없는 것은 아니다. 그것은 계획된 우연을 실천하는 것인데, 그보다 더 중요하고 선행되어야 할 것은 행정학에 대한 오해 풀기이다. The era of lifelong learning society already comes to our everyday lives. There is increasing the need for various institutions and programs related education in terms of lifelong education simultaneously. Despite these trends and demands, lifelong education has yet to begin discussions of how Public Administration education could be revitalized in the field of lifelong educat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possibility of Public Administration as lifelong education. To do this, interviews were conducted on students who have experience in lifelong learning. The result of this study shows that ‘happenstance’ affected their choice of lifelong educa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