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편지의 광기 ― 기유라그, 『포르투갈 수녀의 편지』

        김영욱 ( Kim Younguk ) 서울대학교 인문학연구원 2021 人文論叢 Vol.78 No.3

        이 논문의 목적은 18세기 서간체소설의 유행을 예고하는 기유라 그의 『포르투갈 수녀의 편지』(1669)에 일관된 문학적 구조를 부여하고, 이를 통해 문학사에서 그것의 정확한 위치를 지정하는 것이다. 이 이중의 목적은 『편지』의 주제를 편지의 광기, 즉 편지를 쓰는 주체의 비이성적 상태로 고찰함으로써 달성될 것이다. 이를 위해 먼저 연구사를 일별함으로써, 실연당한 수녀의 감정과 언어를 표현하는 광기가 『편지』 해석의 쟁점임을 관찰하고, 이것은 결국 편지의 양태를 독백과 대화 중 결정하는 문제임을 확인한다. 이때 『편지』에서 대화로부터 독백으로의 이행을 재구성하고, 이 전환에 광기의 위험과 이성의 복구라는 서사를 부여한 레오 슈피처의 해석은 우리 분석의 출발점이다. 다음으로 구체적인 텍스트 분석을 통해 우리가 입증할 것은 다음과 같다. 수녀의 각 편지는, 편지를 보냄으로써 부재하는 대상과 육체적 접촉을 꿈꾸는 이상적 논리부터 더 이상 편지를 쓰지 않겠다고 다짐하는 편지 작성자의 역설적 논리까지, 고유한 광기에 의해 지배된다. 그런데 이 광기는 화자의 혼란스러운 상태를 반영할 뿐만 아니라, 화자가 편지를 쓰는 자신의 행위에 부여하는 의미에도 결부되어 있다. 따라서 『편지』의 문학적 구조는 광기와 이성의 단순한 대립이 아니라 일련의 광기들의 연쇄이며, 이와 같은 광기의 연속적 형상화는 단지 주체의 이성과 감정의 문제가 아니라 독백과 대화 사이에서 진동하는 편지라는 매체의 특수성을 비판하는 작업이다. 이에 따라 『편지』의 문학사적 위치는 광기에서 이성으로 회귀하는 고전주의적 이념 혹은 내면의 무질서를 자유롭게 묘사하는 낭만주의적 언어와 관련되기보다, 화자의 감정을 편지 매체의 특성과 결부시켜 사유한다는 점에서 서간체소설의 역사에 할당된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by analyzing Guilleragues’ Lettres portugaises under the theme of epistolary madness, to decide their structure and their place in the history of literature. First, the research history shows that the madness has been a main issue of the interpretation, and that its understanding is a matter of determining the mode of narration between monologue and dialogue. Leo Spitzer’s study is the starting point, because it observes the transition from dialogue to monologue and the meaning of this transition which is a restoration of reason. However, our analysis demonstrates that the Lettres are composed of a succession of madness, and that each madness expresses a specific epistolary logic. Therefore, the Lettres must be regarded as an important moment in the history of the genre of epistolary novels, in that they investigate the modern subjectivity in connection with the characteristics of the letter as medium.

      • KCI등재

        내적 형식으로서의 ‘편지’와 한국 근·현대문학의 소설사 기술의 가능성-개화기를 중심으로-

        임형모(Im, Hyeong-Mo) 우리문학회 2020 우리文學硏究 Vol.0 No.67

        근대적 우편제도가 도입된 이후 공간적ㆍ물리적 거리를 극복케 하는 편지가 지닌 이점들은 우편제도가 근대적 문화로 빠르게 자리 잡는 데 일조하는 한편 소설 속에도 본격적으로 등장하게 되면서 편지라는 형식은 신소설의 서사를 조직하는 데에 작가들의 상상력을 자극하는 중요한 내적 형식으로 기능하게 된다. 신소설의 주인공들은 하나같이 가족이나 가족과 유사한 관계로부터 멀리 떨어지게 되며 이들 인물들이 자신의 소식을 전하는 방법은 근대적 우편제도에 따른 편지나 전보 등이다. 이러한 설정 자체는 근대적 우편제도가 없었다면 불가능한 일로서 편지 자체가 소설 속에서 내적으로 형식화되어 있음을 방증해 준다. 이것은 작가와 독자의 경험이나 인지적 정의적 측면이 공통된 기반을 내포하고 있어야 가능한 일이기 때문이다. 한편, 편지가 신소설만의 전유물이 아닌 이상 고소설과의 차이를 짚고 가야 하는데, 고소설과 신소설에 나타나는 편지는 공간적 단절을 극복하고 서사를 전개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는 점에서 내용상으로는 차이가 없다. 양자의 차이라면 우편제도가 도입되며 달라지는 편지의 전달방식과 소비방식에서 찾을 수가 있다. 편지를 부치는 비용이 저렴해지면서 사소한 안부도 편지로 전하는 일상의 대화가 가능해지며, 위서(僞書)의 경우라면 공적인 방식을 활용한 거짓 편지의 위장술이 가능해진다. 결론적으로 신소설에 나타난 편지는 작품의 흥미성을 배가시키고 교훈을 담보하는 형식화된 내용으로서 당대 작가들의 상상력을 세계 전체로 확대케 하는 데 기여했다. 편지는 서간체 소설로 1917년에 발표된 〈어린 벗에게〉를 시작으로 이후에도 꾸준히 확인되는 바 내적 형식 자체만으로 읽어 내는 소설사도 충분히 가능할 것이다. This study explores the aspects of the letter in the history of novels. The letter is a form of confession in novel. Additionally, the letter represents an inner form within novel. Therefore, this paper focuses on a possibility of the history of Korean novels as the inner form of the letter. Since the introduction of the modern postal system, letters have facilitated communication between spatially distant people. Thus, the postal system rapidly consolidated its position within modern culture. It also appears in earnest in the novel. In this way, the letter becomes an important inner form that stimulates the imagination of the writers in organizing the narrative of a new novel (sinsoseol). The protagonists of the new novel (sinsoseol) are mostly shaped at work, away from their families. Thus, they use letters or telegrams to communicate with their families. This would have been impossible without the modern postal system, thereby demonstrating that the letter is internally formalized in the novel. In other words, in order for this to be possible, the experiences of the writer and reader or the cognitive and affective aspects must have a common foundation. On the other hand, the letter is not exclusive to the novel. Therefore, we need to point out the difference between classical novels and new novels (sinsoseol). In both these types of novels, letters help to overcome the spatial disconnection between characters. It also plays an important role in developing the novels’ narratives. Therefore, there is no difference in terms of content. The difference between the two is found in the method of delivering and consuming the letter, which has changed since the introduction of the postal system. As the cost of sending a letter reduced, even short daily conversations were conducted through letters. Additionally, a camouflage method that uses public methods could be employed to send a false letter. In conclusion, the letters appearing in the new novel are formal contents that enhance the interest of the work and deliver certain lessons. Moreover, these letters helped to expand the imagination of contemporary writers throughout the world. Even later, the letter continues to be valuable in literature, such as in the novel “To a Little Friend” (1917). Therefore, a novel history that can be read only by the inner form itself will be possible.

      • KCI등재

        대학생들의 전자편지 제목 분석 -교수와 학생 간의 전자편지를 중심으로-

        허상희 우리말학회 2012 우리말연구 Vol.30 No.-

        이 논문은 대학생들의 전자편지 제목을 대상으로 송신자들이 어 떤 제목을 사용하는지, 본문과의 상관관계를 살펴 제목이 어떠한 기능을 하는지 살펴보는 것에 목적이 있다. 일반 편지와 전자편지의 구조적인 차 이 중 대표적인 것이 제목이다. 전자편지에는 ‘제목’이라는 형식이 있지만 그 내용이 어떠해야 한다는 형식이 정해져 있지는 않다. 전자편지 제목의 유형을 살펴본 결과, 송신자를 밝히는 경우, 수신자를 부르는 경우, 편지 쓴 목적이나 내용을 밝히는 경우, 의성어?감탄사?이모티콘 등을 사용하는 경우, 답장 형식(Re:)을 이용하는 경우로 나타났다. 그리고 송신자의 목적 이 안부하기, 마음 나타내기, 질문하기, 요청하기일 경우 제목에 수신자를 포함한 형태가 많이 나타났으며, 정보 전하기와 제출하기와 같이 송신자 에게 중요하거나 유리한 것은 송신자를 포함한 형태가 많이 나타났다. 이 처럼 제목과 본문의 상관관계를 살펴봄으로써 송신자가 전자편지 목적에 따라 의도적으로 제목을 선택함을 알 수 있다. 이러한 전자편지 제목의 사례를 통해 전자편지의 제목이 정보 제공 기능, 의도 표현 기능, 친교 기능, 감정 표현 기능이 있음을 알 수 있다.

      • KCI등재

        조선조 3代 왕조 부부의 한글편지<御筆諺簡>서체 형성의 상관관계 고찰

        박정숙(Park Jung sook) 한국서예학회 2018 서예학연구 Vol.32 No.-

        조선 왕조 3종혈맥(三宗血脈)으로 유명한 효-현-숙종 3대 왕은 우연하게도 명필가로 유명한 3종서맥(三宗書脈)으로 재탄생하였고, 삼대(三代) 임금의 왕비인 인선왕후, 명성왕후, 인현왕후도 역시 3종 서맥을 이루었다. 3종 혈맥의 조종격인 제17대 효종은 조선 역대 명필로 손꼽히는 왕이다. 이러한 효종 혈맥의 서예적 우월성은 이하 제18대 현종을 거쳐 제19대 숙종에 이르기까지 서맥이 이어졌고, 효종의 비인 인선왕후의 한글 궁체류 서간서체의 필사력은 며느리인 현종의 비 명성왕후, 그리고 손자 며느리이며 숙종의 비인 인현왕후에 이르기까지 한글명필로 그 명성이 이어졌다. 이러한 일련의 3대 왕과 왕비의 서사력은 서로 보이지 않는 서예적 영향을 받아 3종 서맥이 형성되었다고 본다. 1600년대 왕실에서의 한글편지서체 형성은 1700, 1800년대 궁중의 궁체형성의 효시역할과 1400년대 최초의 필사체인 상원사권선문(1464)의 한글서체 생성이후 큰 가교역할을 해 왔다고 볼 때 대단히 중요한 자료라고 말 할 수 있다. 이에 이들 서맥이 어떻게 이어지고, 어떤 영향을 주었으며, 서체적 유사성이 어느 정도인가를 이들 3대왕과 왕비 6인의 한글편지 분석을 통해 고찰하여 보고자 한다. 본 연구대상의 한글편지는 3대 왕과 왕의 부인 6인이 직접 쓴 115건의 편지 중 필사시기를 고려하여 효종 10건, 현종 10건, 숙종 8건, 인선왕후 10건, 명성왕후 7 건, 인현왕후 5건 등 전체 50건을 엄선하여 연구대상으로 삼는다. 이 연구를 위해 이들이 남긴 한글편지 분석을 통해 3대 왕과 3대 왕비의 친필에 나타나는 장법의 특징, 문자결구의 특징, 자모 용필의 특징을 분석하고, 이를 기본으로 장법미, 결구미, 용필미를 비교하여 유사도(類似度 : 싱크로율 : synchro率)의 상관관계 정도를 파악한다. 장법의 분석으로는 배자형식 분석으로 축선형식, 외형중첩형식을 분석하여 부합도 정도를 분석하고, 결구법 분석으로는 초중성합자, 초중종성합자를 분석하며, 용필법 분석은 기본자모음 28종의 구조를 분석하여 최종으로 고부간(인선:명성, 인선:인현, 명성:인선), 부부간(효종:인선, 현종:명성, 숙종:인현) 등으로 나누어 6인의 서체 유사도를 검증하여 관계성을 탐색하였다. 그 결과 3대 왕 중에는 현종과 숙종과의 유사율이 가장 높고, 효종과 숙종과의 유사율이 가장 낮았으며, 3대왕비 중에는 효종비 인선왕후와 명성왕후와의 유사율이 가장 높고, 인선왕후 : 인현왕후와 명성왕후 : 인현왕후의 유사율은 비슷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그리고 3대 왕과 왕비 즉 부부간의 유사율은 효종:인선왕후와의 유사율과 현종:명성왕후의 유사율이 비슷하게 아주 높고, 숙종:인현왕후의 유사율이 아주 낮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상과 같이 가까이에서 생활을 한 부자간의 왕 사이나 부부간의 왕과 왕비 사이의 유사율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기대효과로는 명필서체 발굴 응용에 따른 예술적(학문적) 발전 기여도가 크다고 할 수 있으며, 이 논문에서 분석한 유사도(싱크로율) 분석방법을 활용하여 일반 가문별 서체의 특징을 찾아낼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기도 하였다. King Hyojong, King Hyeonjong and King Sukjong were known as the royal lineage of three kings in Joseon dynasty, and they were coincidentally famous for calligraphy, so they were also noted as the calligraphic lineage of three kings. Their wives Queen Inseon, Queen Myeongseong and Queen Inhyeon were also renowned for calligraphy. The 17th King Hyojong was one of the best calligraphers in Joseon dynasty, and the 18th King Hyeonjong and the 19th King Sukjong succeeded to his calligraphic superiority. In addition, Hyojong’s wife, Queen Inseon’s ability to write the court style of Hangeul script in letters was succeeded by her daughter-in-law and granddaughter-in-law, and her reputation as the master calligrapher continued to them as well. The transcribing abilities of three kings and three queens formed the calligraphic lineage of three kings due to invisible calligraphic influences. The Hangeul chirography in letters in the royal court in the 1600s was the beginning of forming the court style of writing Hangeul script in the 1700s and 1800s, and it has played a role as a bridge to develope the court style of writing Hangeul script since Hangeul chirography of Sangwonsa Gwonseonmun(1464), the first handwriting script in the 1400s, was formed. Therefore, the letters written in Hangeul are very important materials. Thus, by analyzing the Hangeul letters of these three kings and three queens, this study intends to examine how their calligraphic lineage are connected, what kind of influence they have, and how similar the chirographic similarity is. Among the 115 letters written by the three kings and the three queens, 50 letters were selected in consideration of the time, and the Hangeul letters to be covered in this study are: 10 letters of King Hyojong, 10 of King Hyeonjong, 8 of King Sukjong, 10 of Queen Inseon, 7 of Queen Myeongseong, and 5 of Queen Inhyeon. This study analyzed the characteristics of disposition law, character structure, and brush wielding in the handwritings of the three kings and the three queens. Based on this analysis, it investigated a correlation of degree of similarity by comparing them based on the disposition beauty, the structure beauty, and the brush wielding beauty. It investigated the degree of conformity by analyzing the type of disposing characters based on the axial type and the shape superposition type in terms of the disposition law. It analyzed the combined character of initial consonant and vowel and the combined character of initial consonant, vowel, and final consonant in terms of the structure law. At last, it examined the structures of 28 fundamental consonants and vowels in terms of brush wielding law. Therefore, it tried to figure out the relation by verifying the similarity of six people’s chirography dividing into two groups: mother-in-law and daughter-in-law(Inseon:Myeongseong, Inseon:Inhyun, and Myeongseong:Inseon) and the couple (Hyeongjong:Inseon, Hyeonjong:Myeongseong, Sukjong:Inhyeon).

      • KCI등재

        한·중 근대 편지 쓰기 교육에 대한 고찰 -한·중 편지 쓰기 교재 분석을 중심으로-

        김소연 ( Jin¸ Xiao-yan ) 청람어문교육학회 2021 청람어문교육 Vol.- No.83

        본 연구는 한국과 중국의 근대 문식 환경의 변화에 주목하고, 한ㆍ중 근대 편지 쓰기 교육에 대해 고찰하고자 한다. 근대에 들어 우편제도가 발달함에 따라 사람들은 우표만 붙이면 언제든지 편지를 쓸 수 있었고, 편지를 쓰는 것이 하나의 유행으로 자리 잡게 되었다. 따라서 근대인들은 자연스럽게 편지는 어떻게 쓰는 것인지, 어떻게 하면 편지를 잘 쓸 수 있는지에 대해 관심을 갖게 되었으며, 다양한 편지 쓰기 교재가 출현하였다. 또한 편지는 근대 초기 글쓰기 교육의 중요한 교육내용이었다. 이러한 변화에 주목하여 본 연구는 20세기 이후 한국과 중국의 근대적 편지 쓰기 방식은 어떠했는지, 양국의 편지 쓰기 교육이 어떻게 이루어졌으며, 어떤 공통점과 차이점을 가지는지에 대해 고찰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한국과 중국의 편지 역사와 편지 교재에 대해 살펴보았고, 근대적 글쓰기로서의 편지 쓰기의 성격에 대해 검토하였으며, 한국과 중국의 공교육과 민간에서 이루어진 편지 쓰기 교육의 구체적 양상을 살펴보았다. 본 연구는 그동안 논의가 적었던 근대 편지 쓰기 교육에 주목하고 한국과 중국에서 편지 쓰기 교육이 어떻게 이루어졌는지, 어떤 특징을 가지는지 살펴 보았다는 점에서 의의를 지닌다. This study focuses on the changes in the modern literacy environment of Korea and China, and considers the education of modern letter writing in Korea and China. With the development of the postal system in modern times, people could write letters at any time by attaching stamps, and writing letters became a trend. Therefore, modern people naturally became interested in how to write letters and how to write letters well, and various letter-writing textbooks appeared. The letter was an important educational text in early modern writing education. Noting these changes, this study sought to examine how modern letter writing methods in Korea and China have been since the 20th century, how letter writing education between the two countries has been conducted, and what commonalities and differences they have. To this end, we examined the history of letters in Korea and China, the nature of letter writing as a modern writing, and the specific aspects of letter writing education in Korea and China. This study is significant in that it paid attention to modern letter writing education, which has been discussed less so far, and looked at how letter writing education was conducted in Korea and China and what characteristics it has.

      • KCI우수등재

        한국 한자어 ‘편지(片紙/便紙)’의 형성 과정

        연규동(Yurn, Gyu-dong) 국어국문학회 2021 국어국문학 Vol.- No.194

        한국어에서 ‘편지’의 한자 표기는 ‘片紙’와 ‘便紙’ 두 가지가 있을 뿐만 아니라, 그 어느 것도 한자어를 구성하는 개별 한자의 의미에서 편지라는 의미가 투명하게 드러나지 않는다는 특징이 있다. 이 글에서는 한국어에서 어떤 과정을 거쳐 ‘片(조각)’과 ‘紙(종이)’라는 의미에서 “안부 등을 적어 보내는 글”이라는 편지의 의미가 발생했는지 살펴보고, 첫 번째 음절의 한자 표기가 ‘便(전달 수단)’으로 변화한 과정을 추적해 보았다. 언어 변화에는 여러 가지 원인이 있지만, 사회 제도 또는 사회생활의 변화가 한 요인이 될 수 있다. ‘片紙’라는 단어는 문해력이 높아지는 과정에서 편지가 담는 내용이 ‘간단한 소식’을 벗어나게 되면서 의미가 확대되었고, 또한 편지를 전달하는 과정에서 ‘便’과 새로운 유연성을 획득하게 되면서 표기가 ‘便紙’로 변화하였다. 아울러 이 글에서는 동아시아 여러 언어의 편지를 가리키는 단어를 비교해서 ‘片紙/便紙’가 한국에서 만들어진 한자어라는 사실을 명백히 하였다. In the Korean language, there are two types of Chinese character notation for pyeonji ‘letter, epistle’, that is 片紙 and 便紙, and none of them are transparent in the meaning of individual Chinese characters that make up the two Sino-Korean words. In this article, we examined how the meaning of letter, “a written message” arose in Korean from the combination of 片 ‘piece’ and 紙 ‘paper’. We also tried to track the process of how the Chinese character of the first syllable of 片紙 changed to 便 ‘means’. The word 片紙 expanded its meaning as women’s literacy got higher. In addition, the notation 片 became 便 as the word gained new motivation in the process of delivering letters. There are many causes for language change, and changes in social institutions or social life can be one of the factors. It also revealed that ‘片紙/便紙’ are Sino-Korean words, by comparing words referring to letters in several East Asian languages.

      • KCI등재

        18세기 이후 한글 편지에 나타난 ‘-- ’ 변 화 양상

        한주희(Han Ju hee) 어문연구학회 2017 어문연구 Vol.92 No.-

        이 논문은 한글편지를 대상으로 중세국어에서 객체 높임의 기능을 수행하던 ‘-- ’의 변화양상을 살펴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17세기 이후 ‘-- ’은 객체 높임의 기능을 보이거나, 화자를 겸양하여 청자를 높이는 부수적 기능을 수행하는 양상을 보인다. 19세기 이후 객체 높임의 기능은 어휘로 남아있고, 청자높임의 종결어미로 문법화한다. 본고에서 대상으로 하고 있는 한글 편지 자료은 17세기부터 20세기 초까지의 송준길 가의 것이다. 현재까지파악된송준길가소장한글편지의발신자는61명이고, 편지건수는429건으로 40건은<선세언독>에수록되어있고, 그외374건은낱장으로되어전해진다. <선세언독>의 40건과낱장96건은판독되어역주작업이진행되어136건의송준길가한글편지의판독이 이루어진 것이다. 이에 미판독된 약 200여건의 한글편지를 판독하여 연구를 진행하였다. 확인 결과, 송준길 가의 한글편지에 나타난 ‘-- ’의 변화에 따른 청자 높임법의 양상 역시기존에연구된한글편지와동일하다는것을발견할수있었다. 즉17세기이후객체 높임의 기능의 잔재로 현대 국어에 남아있는 어휘 ‘여쭙다, 받잡다’ 등의 기능과는 별개로서 화자 겸양의 기능을 수행한다는 것이다. 화자를 겸양하여 청자를 높이는 부수적 기능을 하던 ‘-- ’이 19세기 이후에는 상대 높임으로 문법화되는 현상을 보인다는 것이다. This study is aimed to the function changes of ‘-( sa p)-’ in letters of Song Jungil family since 17th century. The senders of letters are 61people, and the numbers of letters are 429 pieces. About 136 letters were deciphered. So this study is aim to remained 200 letters. Since the 17th century, ‘-- ’ demonstrates the function of enhancing the objective or modests the speaker to enhance the listener. Since the nineteenth century, the function of enhancing the objective remains a vocabulary, and it grammaticalizes as a ending of the ending of the listener. The letters of Han-gul are from the 17th century to the beginning of the 20th century. To explain concretely, ‘-- ’ had been a pre-ending of objective honorific in 15th century before the change to a pre-ending of speaker modesty in 17th century. Since then it has been changed the speaker modesty to the listener honorific ending in 19th century. Today it is confirmed ‘-ㅂ/습니다’ ‘-- ’ s hows the grammatical characteristic contemporaneousness but the letters are written that is why the grammatical forms are conservative. Although those features, this study has to be given the meaning of confirming the function changes ‘-( sa p)-’ This Hangeul letters have not been deciphered perfectly until now. They need to decipher in the next study.

      • KCI등재

        조선시대 한글편지 서예미의 변천사적 고찰

        박정숙 한국서예학회 2015 서예학연구 Vol.26 No.-

        본 연구는 조선시대 16세기부터 19세기까지 왕, 왕비, 상궁, 사대부 남성과 여성, 등 각계 각층의 450년간에 쓴 편지 400여편 중에서 서체사적 비교의 체계성이 있는 편지 64종 70여편을 선정하고 분석대상으로 삼았다. 분석방법은 조선시대 1500년대부터 1800년대 사이에 쓰여진 한글편지를 대상으로 하였으며, 제1단계로 편지별 문장의 장법적 특징을 분석하고, 제2단계로 편지별 어휘 및 음절을 추출하여 조형성을 분석하고, 제3단계로 편지별 문장의 종합적 서예미를 분석하는 등 3단계로 나누어 수행하였다. 한글편지 서체의 신분별 특징을 살펴보면, 왕들의 편지글씨는 1600년대의 정적으로 나타낸 선조와 1700년대의 숙종 1800년대의 활달한 대원군의 편지글씨에 이르기까지 장법의 변화가 크게 드러나지 않아 시기의 변화과정보다는 개인의 개성적 특성에 따른 서체적 특징을 찾아볼 수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으며. 왕비의 편지글씨는 대부분 배행 배자방법이나 문자의 결구 방법이 자유분방한 필체로 나타내었으나 1600년대 인목왕후의 편지 등에서 글자의 중심축을 중앙에 두는 배자 방법을 구사하였는데, 장렬왕후 편지부터는 세로줄을 맞추기 위해 노력한 모습이 엿보여서 한글 서체의 장법의 변화를 찾아볼 수 있으며, 1700년대 인현왕후 편지부터 1800년대 후기로 오면서 정돈되고 정형적인 궁체 유형의 자형과 장법이 구사 되었다. 특히 1840년대의 순원왕후의 궁체에 가까운 서체, 1890년대의 순명효황후의 유연한 궁체유형의 글씨가 대표적인 예라고 할 수 있다. 궁녀의 편지글씨는 1600,1700년대는 찾아보기 힘들고, 1800년대에 이르러 궁체 흘림의 완숙기를 이룬 것으로 나타난다. 남성의 편지글씨는 시기의 흐름에 관계없이 개성이 뚜렷한 필체로 썼고, 한자필체의 필의를 토대로 한글편지를 쓴 것으로 보여지며, 자모음의 획형을 생략화하여 연결성을 많이 살려 쓴 것으로 분석된다. 궁체의 필법을 살려 쓴 서체가 없으며 정자체로 쓴 편지를 찾아보기 힘들다. 여성의 편지글씨는 남성의 편지와 같이 각각의 개성이 잘 나타나지만 조형미가 남성편지보다 좀 더 높이 평가된다. 1500년대의 신천강씨나 이응태부인의 편지는 장법의 일관성이 나타나지 않지만, 1600년도의 배천조씨, 안동김씨의 편지에서 보면 점점 장법의 틀이 잡히면서 세로획 중심의 장법변화가 보이다가 1700년대 여흥민씨의 편지에서 완연한 궁체의 결구와 장법을 구사하여 궁체 흘림체의 서체와의 유사정도가 높이 나타난다. 한글편지의 신분별 우수서체는 군왕으로는 서선을 유연하고 힘차게 나타낸 효종 글씨(1652년)와 굵고 힘찬 서선표현과 대소조화를 이루어 연결성이 잘 나타난 대원군 글씨(1882년)가 있다. 왕비로는 정통적인 궁체의 특징을 잘 나타낸 순원왕후 글씨(1842년)와 굵고 부드러운 선으로 상하의 문자 사이를 자연스럽게 연결하여 아름답게 쓴 순명효황후(1897년)의 글씨가 있다. 궁녀의 편지로는 모두 궁체 흘림체로 각각의 개성미가 돋보이는 모법서체로 평가될 수 있다. 남성의 우수 편지서체로는 한자의 필의를 살려 활달하게 쓴 김정희 글씨(1818년)와 김정희의 부친 김노경의 편지 글씨(1791년)가 돋보인다. 여성의 우수 편지로는 굵은 선으로 자모획형을 간결하게 생략형으로 쓴 안동김씨 글씨(1697년)와 궁체 흘림체와 유사하게 쓴 여주이씨 글씨(1726년), 연결성을 자연스럽게 나타낸 여흥민씨 편지글씨(1735년)가 돋보인다. 이들은 한글서예 임모 자료로 활용할 가치가 큰 것으로 평가된다. 또한 조선시대 한글편지 서체는 조선시대 최고 명필들이 조화롭게 역동적으로 써내려간 서체로서, 고전적이면서도 전통적 조형성이 뛰어나기 때문에 출판 ․ 광고 ․ 패션분야 등 현대 디자인 분야에서 활용하기에도 적합하며, 캘리그래피(calligraphy)와 같은 현대서체를 창작하거나 전통적인 서체를 응용할 때에도 그 유용 가치가 크다고 볼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컴퓨터용 서체인 한글폰트 개발에 다양하게 활용할 수 있는 컨텐츠를 제공하게 될 것이다. 또한 조선시대 한글편지의 서체적 변천사를 교재로 활용할 수 있으며, 한글편지의 서체와 변천적 특징은 초․중․고등학교 미술교과서의 서예단원 내용 편찬에 활용할 수 있고, 일반인들의 한글서체 교육에 활용할 수 있다. Among more than 400 letters written by all social standings of kings, queens, court ladies, noblemen and noblewomen for 450 years from 16th to 19th century Joseon, this study selects approximately 70 letters from 64 kinds which have systemicity in comparison of chirographic history and analyzes them. With the letters in Korean written from 1500s to 1800s of Joseon period as the analytical subject, this study analyzes; first, their sentence structure; second, their formativeness by extracting vocabularies and syllables from each letter and; third, their comprehensive calligraphic beauty in sentences of each letter. Taking a look into characteristics of letters written in Korean by the writer's social standings, the sentence structure in kings' letters does not greatly vary from static style of King Seonjo and King Sukjong in 1600s and 1700s to lively one of regent Heungseon in 1800s, which therefore is analyzed that calligraphic characteristics did not change over time but depended upon each king's personal traits. Queens' letters are indicated as liberal writing style in their arrangement of lines and of letters and formative principles in characters but Queen Inmok in 1600s put the characters at the center in her letter as adopted in Chinese characters; changes in sentence structure of Korean chirography are observed from Queen Jangnyeol's letter and; well-organized and formal court-style shape of characters and sentence structure was adopted and settled in late 1800s, starting from queen Inhyeon in 1700s. Queen Sunwon's characters in 1840s which were almost court-style one and flexible court-style characters of Empress Sunmyeong in 1890s can be representative examples. Court ladies' characters in letters are hardly found in 1600s or 1700s and their letters written in Korean seem to attain complete maturity of a cursive hand in court-style writing in 1800s. Men's characters in letters are of unique individuality regardless of time period. They seem to write letters in Korean based on brush stroke for Chinese characters and their characters are analyzed as having marked connectivity by omitting strokes of consonants and vowels. There is no chirography on which court style is applied and letters written in square style are hardly found. Women's characters in letters are also of unique individuality but their formative beauty is more highly appreciated than that of men. Letters written by Mrs. Sincheon Kang or Lee Eung-Tae's wife in 1500s do not demonstrate consistency of sentence structure but in letters of Mrs. Baecheon Jo and Andong Kim in 1600s, sentence structure is gradually settled and its change is observed that vertical strokes come to play a central role and; formative principles and sentence structure of complete court style is adopted in Mrs. Yeoheung Min's letter, which demonstrates significant similarity with the cursive hand in court-style writing. Outstanding calligraphy on letters written in Korean for each social standing includes that of King Hyojong (1652) which is of flexibility and vigor and that of regent Heungseon which is with thick and energetic expression and marked connectivity in harmony of big and small. Among queens' calligraphy, that of Queen Sunwon (1842) which well demonstrates orthodox traits of court style and that of Empress Sunmyeong which is of thick and soft strokes beautifully arranged between upper and lower characters through natural curves are considered eminent. Distinguished letters of court ladies can be evaluated as example calligraphy that are of the cursive hand in court-style writing with distinct individuality. Among men's letters, that of Kim Jeong-hee (1818) which is vigorously written with brush stroke for Chinese characters and that of Kim No-gyeong (1791), Kim Jeong-hee's father are impressive ones. Superb calligraphy of women's letters includes Mrs. Andong Kim (1697) whose characters are thick and concisely written by omitting strokes of consonants

      • KCI등재

        The aspects of literary criticism mentioned in classical letter writing

        ( Baek¸ Jin-woo ) 한국어문학국제학술포럼 2010 Journal of Korean Culture Vol.14 No.-

        오늘날 우리는 편지를 통해 다른 이의 안부를 묻고 자신의 소식을 전하며 의사를 주고받는다. 또한 현대의 '편지'는 지극히 사적(私的)인 영역에 속하는 글이다. 주로 개인과 개인 사이의 의사 전달을 매개하는 기능을 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공개서한 등의 예외적인 경우를 제외한다면 대부분의 편지는 비공개를 원칙으로 한다. 반면 전근대 시기의 편지는 다분히 공개적인 성격을 지녔다. 문인들은 편지를 작성할 때 같은 내용의 편지를 한 부 더 작성하여 보관해 두었다. 이는 훗날 자신의 문집을 정리할 때 싣기 위한 목적에서였다. 발신자는 편지를 보내는 순간 이미 내용이 공개될 것을 염두에 두었다. 특히 편지를 통해 자신의 정치적인 입장, 철학적인 견해, 문학론 등을 공개적으로 천명하는 경우가 많았다. 이는 마치 오늘날 신문, 잡지, 블로그 등의 매체에 기고하여 자신의 견해를 공개하는 행위를 떠올리게 한다. 수신자 역시 한 명으로 제한되지는 않았다. 편지를 받은 이는 그 내용을 주변의 다른 이들과 공유하며 의견을 주고받기도 하였다. 이렇게 형성된 의론은 서로가 주고받는 편지를 통해 일종의 공개적인 토론으로 발전하기도 하였다. 따라서 편지가 단순히 둘 사이의 의사 전달 수단을 뛰어넘어 여론 형성의 기능까지도 담당했던 셈이다. 바로 이 점이 전근대 시기의 편지가 지닌 독특한 매력이라고 할 수 있다. 문학과 관련하여 전근대 시기의 작가들의 편지에서 주로 보이는 형식과 내용은 다음의 몇가지 전형으로 구분해 볼 수 있다. 첫째, 자신의 시문(詩文)에 대한 평론과 평가를 요구하는 경우이다. 전근대의 작가들은 자신이 작성한 초고(草稿)를 명망 높은 상대방에게 보내어 평가를 요청하는 일이 빈번하였다. 그리고 요청을 받은 상대방은 자세한 평론과 함께 초고를 돌려보냈다. 편지가 어렵지 않게 공개되었기 때문에, 이런 경우에 이들이 주고받은 편지는 다른 이들도 함께 읽고 평가에 참여할 수가 있었다. 따라서 편지를 통해 공개적인 문학 평론이 가능했던 셈이다. 둘째, 전시대의 유명 작가와 작품에 대해 평론하는 경우이다. 이 경우 주로 언급이 되었던 작가들은 문학 창작의 전범(典範)으로 평가받던 이들이다. 대표적으로는 문(文)의 당송팔대가(唐宋八大家)와 시(詩)의 이백(李白)·두보(杜甫)를 들 수 있다. 고려(高麗)와 조선(朝鮮)의 이름난 거장(巨匠)들도 빈번하게 언급되었다. 특히 이러한 언급들은 시대에 따른 인식 변화의 추이(推移)를 살펴 볼 수 있다는 점에서 중요하다. 셋째, 경전과 문학 작품 가운데 의문이 있는 구절만을 조목으로 만들어 질의 형식으로 묻는 경우이다. ‘문목(問目)’이라는 제목으로 보내는 편지는 대부분 이 경우에 해당한다. 자신의 지식만으로 의미를 명확히 파악할 수없는 경우, 혹은 전대의 학자들과 견해를 달리 하는 경우에 동시대의 견식이 뛰어난 학자에게 질문지 형식의 편지를 보내어 이에 대한 답변을 요구한 것이다. 문학과 관련해서는 문학의 본질에 대해 묻는 경우도 있었다. 편지를 통해 ‘문학이란 무엇인가?’, ‘문(文)이란 무엇인가?’, ‘시(詩)란 무엇인가?’ 등의 본질적인 문제를 논한 것이다. 이처럼 전근대 시기의 작가들은 편지를 통해 문학의 다양한 영역을 검토하고 함께 고민하였다. 그리고 이는 편지를 공적인 영역에 속하는 것으로 간주하였기 때문에 가능한 일이었다. Unlike nowadays, the letter had a different meaning in pre-modern society, especially in the cultural area of Chinese ideography. In this paper, I tried to examine special meaning of pre-modern letter writing. Pre-modern writers usually wrote letters to state their opinions to the public, just like we write for journals, newspapers or personal blogs today. Their letters usually included political, literary, or philosophical view. In this way, the letter meant more than just a means of communication among the people at that times. Relating to the literature, I analyzed pre-modern letter writings into three typical cases like following. First, the case of requiring comments from other writers. Pre-modern writers usually sent their drafts to other writers who were highlyevaluated. And then, the receiver sent back drafts with comments in detail. In this case, their letters revealed to public by naturally. Through this exchanging of letters, writers could took advice from others and revise their writings. Second, the case of estimating former writers and writings. Relating to actual prose composition, they usually mentioned the Eight Great Prose Masters of the Tang and Song. Among them, Han Yu and Ouyang Xui were so particular. And as a rhetorical model of poetry, Du Fu and Li Bai replaced them. We also can read the transforming trends of literature and literary theory from their letter writings. Third, the case of questioning and answering through letters. In the pre-modern, when writers encountered difficult or ambiguous points while they were reading or studying, they recorded unsolved problems for the future. After a while, they itemized all the questions and sent letters to the fellows or teachers. They also mentioned the history of literature, the style of prose and poetry, the literary models, the type of writers and poets, and the meaning of literature. Therefore, those letters show us a writer's literary theory very well As a result, pre-modern writers could suggest their literary opinions by exchanging letters, and could accept new literary trends surrounding themselves. For them, letter was not just a mean of communication, but it was a useful tool to improve their academic and literary knowledge.

      • KCI등재

        『명성황후 편지글』의 텍스트 구조와 특징

        강연임(Gang Youn im) 어문연구학회 2016 어문연구 Vol.89 No.-

        이논문은19세기말여성지도자로널리알려진명성황후의한글편지를대상으로텍스트 구조와 특징을 살피는 데 목적이 있다. 19세기 한글편지인 『명성황후 편지글』은 모두 134편이 전해지는데, 이들은 일관되게 ‘인사→날씨→사연’의 통일된 형식구조를 보이며, 편지의 사연도 가족의 건강 염려와 정치 현안 논의로 유형화되었다. 당시 궁중 여인의 한글편지와 비교할 때, 매우 짧은 분량과 지극히 간결한 표현 등이 독특성을 보인다. 『명성황후 편지글』은일관되게 받은 편지에대한답장이라서짝 텍스트구조를보인다. 모든편지의 시작이 같은 문구로나타나는 것도그러한 이유 때문이다. 또한수신자와 발신자가 공유하는 배경정보에 의존하여 답신을 전달하다 보니 생략과 대용에 의한 표현이 많다. 그래서화자의감정이나생각을구구절절이묘사하는신변잡기적인편지글의보편성에서 많이 벗어나 있다. 사건이나 사안에 대해 간단하게 요약․제시한 것에 초점을 두고 있다. 또한 명성황후의 편지는 대부분의 어휘사용이 한자어에 국한된다. 한글로 표기했을지라도 문법적인 어휘를 제외하고는 대다수가 한자어를 바탕으로 하고 있다. 그리고 특정의미장의 어휘를 한정적으로 사용하기도 한다. 몇몇 한정된 어휘만을 빈번하게 발화하여, 이들 어휘의 의미를 바탕으로 명성황후의 심적 상태 및 내면세계를 짐작할 수도 있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suggest a text structure and characteristic of Myeongseonghwanghu’s Letters. Through this text, humane image of Myeongseonghwanghu who was known as a woman leader and her inner world are found out. And it can show the characteristics of how Korean was used at that time. For this purpose, I examined the main structure of Myeongseonghwanghu’s Letters and its main subject. And I considered her letter’s characteristics such as text form, writing style, often used words and her main emotion ect. To sum up the discussion as follows. First, Myeongseonghwanghu’s Letters have an unified structure that is ‘greeting →weather → story’. Depending on story’s characteristic, this structure is transformed ‘greeting → weather’, ‘greeting → story’, or ‘story’. The subject of Myeongseonghwanghu’s Letters is family’s health and political issue. And letter’s quantity is so brief. Second, the characteristics of Myeongseonghwanghu’s Letters are considered. Myeongseonghwanghu’s Letters are a pair text that she wrote after she got a letter from her nephew. So its structure is so simple and simple expressions are appeared often. Myeongseonghwanghu’s Letters are showed brief expression. Though a letter has the random characteristics, but her letter doesn’t show that characteristic. Her letters are very simple, so that made a summarized presentation. Therefore her letters are like a memo or reports. Myeongseonghwanghu’s Letters show many chinese character nouns. The name of a disease and weather word are almost chinese characters. Just a postposition and ending of a word are korean. Her feeling was very gloomy and negative in letters. She used words about bad weather and sickness very often. With this, it can figure out that she was to be in a difficult situation and her emotion was very ba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