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데이터 품질을 고려한 국가R&D정보 데이터베이스의 통합 사례 연구

        신성호(Sung-Ho Shin),윤영준(Young-Jun Yoon),양명석(Myung-Suk Yang),김진만(Jin-Man Kim),손강렬(Kang-Ryul Shon) 한국컴퓨터정보학회 2011 韓國컴퓨터情報學會論文誌 Vol.16 No.6

        데이터 품질관리 관점에서 볼 때, 데이터의 품질은 품질정책, 품질조직, 업무프로세스, 업무규칙 등 여러 요인에 의해 영향을 받는다. 이중에서도 업무규칙은 실제 데이터를 조작하는 행위의 지침이 되는 것으로써 데이터 품질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친다. 여러 기관의 데이터베이스를 통합하여 단일의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는 경우에는 더 신중하게 업무규칙을 수립할 필요가 있다. 분산된 데이터베이스 내에 있는 데이터를 단일의 데이터베이스로 통합한다는 것은 단순히 데이터의 통합만을 의미하는 것이 아니라 상이한 스키마, 코드 체계, 데이터 표준 등을 사전에 고려해야 함을 의미한다. 이런 요소들을 고려하더라도 데이터 자체는 형식, 단위, 표현 등에 따라서 다양한 모습을 가진다. 결국 데이터베이스의 구조적인 문제와 데이터 자체의 의미적인 문제가 데이터베이스 통합과 통합된 데이터베이스 내 데이터의 품질 제고를 위한 선결 과제라 할 수 있다. 이러한 문제들을 해결하기 위해서는 먼저 통합 시 통합 모델의 설계가 필요하고, 통합된 데이터베이스의 데이터에 대한 정제가 필요하다. 범부처적으로 분산되어 있는 국가R&D정보를 수집하여 서비스하는 국가과학기술종합정보서비스(NTIS)도 여러 기관에 존재하는 데이터베이스를 연계 통합하여 단일의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였다. NTIS의 사례를 통해 체계적인 통합 모델 수립과 정제에 의해 통합된 데이터베이스의 데이터는 그렇지 않은 데이터보다 정확도 측면에서 품질이 제고되었음이 입증되었다. On the point of data quality management, data quality is influenced by quality policy, quality organization, business process, and business rule. Business rules, guide of data manipulation, have effects on data quality directly. In case of building an integration database among distributed databases, defining business rule is more important because data integration needs to consider heterogeneous structure, code, and data standardization. Also data value has various figures depended on data type, unit, and transcription. Finally, database structure and data value problem have to be solved to improve data quality. For handling them, it is needed to draw database integration model and cleanse data in integrated database. NTIS(stands for National science and Technology Information Service) has an aim to serve users who need all information about national R&D by internet, and for that aim, it has a integrated database which has been made with several database sources. We prove that database integration model and data cleansing are needed to build a successful integrated database through NTIS case study.

      • KCI등재

        박물관 자원의 통합 데이터베이스 구축 및 활용에 관한 연구 - 서울공예박물관 사례를 중심으로 -

        김하연,김정화 한국예술경영학회 2022 예술경영연구 Vol.- No.61

        The purpose of the present study is to perform introductory exploration of the meanings and possibilities of the establishment and application of integrated museum resource database through the analysis of a specific example. Despite the diversification of the museum resources, many of the databases or information disclosure systems for accumulating and managing the information about the resources are still focused on their collections. Therefore, discussions are necessary about how to establish, connect and apply integrated databases of the various types of museum resources to open to and share with the society. The example analyzed in this article was the Seoul Museum of Craft Art that has established and applied an integrate database regarding not only the collections but also the archival records, publications, intangible knowledge resources and museum activity information. The case analysis showed that the establishment of an integrated museum resource database can extend the scope of museum resources and increase their value and applicability. An integrated database enables the data administrator to establish, maintain and apply the data efficiently. In addition, the database allows the data users to approach the associated resources in a comprehensive manner, providing them with the opportunities to personally utilize and enjoy the data to the fullest extent. Therefore, the establishment and utilization of an integrated museum resource database are significant from the viewpoint of arts management. 본 연구는 박물관 자원의 통합 데이터베이스 구축과 활용이 가지는 의미와 가능성을 구체적 사례 분석을 통해 시론적으로 탐색하는 데 목적을 두었다. 박물관이 다루는 자원의 유형이 다양해졌지만, 이들에 대한 정보를 축적하고 관리하는 데이터베이스나 정보 공개 시스템은 아직 많은 경우 소장품 위주에 머물러 있다. 따라서다양한 유형의 박물관 자원에 대한 데이터를 통합적으로 구축, 연계, 활용하여 사회에 공개, 공유하는 방안에 대한 논의가 필요하다. 이를 위해 소장품뿐만 아니라 기록물, 도서, 무형의 지식 자원, 박물관 활동 정보에 대한 통합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고 활용한 서울공예박물관을 단일 사례로 연구하였다. 사례 분석을 통해 박물관의 통합 데이터베이스 구축이 박물관 자원의 영역과 가치를 확장하고, 활용도를 높일 가능성을 내포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통합 데이터베이스는 데이터 관리자 관점에서 효율적인 데이터 구축과 유지 관리, 활용을가능하게 한다. 또한, 데이터 이용자 관점에서 연관 자원에 통합적으로 접근할 수있도록 함으로써 이용자 고유의 활용성과 즐거움을 극대화할 기회를 제공해준다. 따라서 박물관 자원의 통합 데이터베이스 구축과 활용이 예술 경영 측면에서 의미가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 KCI등재

        XML을 이용한 데이터베이스 통합방안에 관한 연구

        오세웅,이홍걸,이철영,박종민,서상현 한국항해항만학회 2005 한국항해항만학회지 Vol.29 No.10

        물류환경에 있어서 데이터베이스 통합의 문제는 중요 과제로 인식되어 스키마 통합 시 발생하는 스키마 충돌을 이론적인 측면에서의 해결 방법이 제시되었으나 실제 시스템 구현 측면에서의 연구는 부족한 실정이다. 본 연구는 실제적인 DB 통합법과 관련하여 XML 기술을 이용한 통합법을 제시하고 통합 알고리즘으로 개체 및 속성간의 유사도 측정에 기반한 계량화된 충돌 식별법을 사용하였다. 구체적으로 DB 스키마를 XML 스키마로 변환시켜 개체명과 속성명을 추출한 다음, DB 통합 시 빈번히 발생하는 의미적 충돌(Semantic Conflict) 현상인 이른바 이름 충돌 식별을 위한 하나의 해결법으로서 시소러스(Thesaurus) 사전과 형태소 분석을 통해 개체 및 속성 간 종합적인 유사도 측정하는 계량화된 식별방안을 사용하였다. Database Integration problems has been recognized as a critical issue for effective logistics service in logistics environment. However, researches related to effective methodology for this have been studied theoretically in the DB schema integration, are insufficient in the side of the system realization. The aim of this paper is to present a schema integration technique to integrate DB using XML(extensible Markup Language) in the part of practical DB integration, a quantitative methodology for the identification of conflict that is a representative problem on database integration. To achieve this aim, we extracted the entity name and attribute name from DB schema and suggested a quantitative methodology to easily fine name conflict that frequently give raise to a trouble when schema integration, based on the level of semantic similarity between attributes and entities.

      • KCI등재

        광역 실시간 웹 서비스를 위한 통합 사면 데이터베이스 시스템 개발

        이규웅(Kyu-Woong Lee),차영환(Yeong-Whan Tscha),이승호(Seung-Ho Lee) 한국콘텐츠학회 2010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10 No.6

        본 논문은 “낙석 및 산사태 방지를 위한 차세대 신기술개발(05지역특성B02-01)”과제와 관련하여 연구사업에 참여하고 있는 제1세부과제와 제2세부과제의 사면정보 관련 데이터베이스들을 통합하여 이를 관리하기 위한 통합 관리 데이터베이스 시스템의 설계 및 개발과정에 대한 서술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구축된 통합 데이터베이스 시스템을 기반으로 원스톱 검색 및 입력이 가능한 웹 기반 서비스 시스템에 대한 구현 결과를 설명한다. 통합 데이터베이스 시스템을 구축하기 위하여 각 세부과제에서 도출된 데이터를 수집 및 분석하고, 공유될 수 있는 데이터들을 통합하여 표준 통합 데이터베이스 스키마를 설계하고 이를 기반으로 통합 데이터베이스 관리 시스템 및 관리용 웹 서비스 시스템을 개발하였으며 이에 대한 구현결과를 보인다. The main contribution of this paper is to propose the integrated database schema from several research projects included in The Next Generation New Technology for Rock-falling and Landsliding Project. Furthermore this paper describes the development of integrated standard database system for the slopes databases. We also develop and implement the global real time web service system in order to provide one-stop data service for the slopes. In this paper, the new integrated database paradigm for rock-fall and landsliding data is designed and proposed and also data management system is developed based on the global web service system.

      • KCI등재

        혁신적이고 포괄적인 동아시아 음악데이터베이스(EMDB II)의 디자인 및 웹 시스템 구축: 통합적인 음악 역사 기술(記述)의 길을 열다

        채현경,김은하,박정숙,김주섭,문봉기,유진선,김신효,신승남 한국음악학학회 2019 음악학 Vol.27 No.2

        Since November of 2011, our research of East Asian Music Culture, built a music database called EMDB (Ewha Music Database, 2011~2014) and EMDB II (East Asian Music Database, Innovative and Inclusive, 2014~2017). They are unique as it contains a vast array of primary music sources of the 20th century East Asia, namely, China, Japan, Korea, and Taiwan, in one place for the first time in history. The reason our research team dedicated the past eight years to establish such databases is that there has been no database for modern and contemporary music of East Asia available until this point. There have been a few archives or documentation of primary music sources of the modern era from the region, yet those include only one culture as in the case of collections in Japan’s Diet Library and Kunitachi Library. As there has been no prior or concrete model to follow in the region, we have been dealing with many technical, practical, as well as philosophical issues in developing our databases, especially establishing the second Database (EMDB II) of composers, compositions, and performances of the contemporary music of East Asia. As it is technically innovative as its 3.0 symentic web system allows users to engage in dialogues with each other, and also with the composers for providing more accurate information of such a vast culture specific materials. Some features in EMDB II, such as ‘timeline’ and ‘events’, providing socio-cultural overview of the 20th century East Asia are especially useful for anyone who wants to learn more about the background of or positioning individual composers or compositions beyond just sonic experience. As with its 3.0 symentic technological advancement in EMDB II, this paper will focus on the technical merits, its design and web system and advocate the importance of using integrated and dialogic approaches in building database. Our research team hopes to generate further discourses on the more advanced development of music culture specific contents. 21세기 아카이브, 웹, 그리고 도서관의 역할이 2.0에서 3.0으로 변화하며 디지털 아카이브 구축에서 ‘개인 맞춤화’와 ‘협업화’가 중요해졌다. 급속도로 변화하는 디지털 환경에서 시맨틱 웹을 통한 논리적 추론을 기반으로 사용자 패턴 및 성향을 예측하여 최적의 정보로 개인별 맞춤형 서비스를 제공하는 데이터베이스의 구현을 위해 본 동아시아 음악문화 연구팀은 한국연구재단의 중점연구소 사업(2014~2017)을 수행하며 동아시아 음악문화 데이터베이스(East-Asian Music Database: Innovative/Inclusive, EMDB II)를 구축하였다. 연구의 핵심 방법론은 서구와 비교하여 현저하게 침체 된 동아시아 음악에 대한 교육, 창작, 공연예술의 활성화를 목적으로 다양한 분야(디지털 인문학, 음악학, 문헌정보학, 데이터베이스 설계 및 기술과 방법론을 제시하는 컴퓨터 공학 등)의 전문가들의 의견이 동등하게 고려되는 대화적(dialogic)이며 통합적인(integrated) 방법으로 시대별·유형별 음악콘텐츠를 구축하는 것이었다. 이 논문은 ‘협업’과 ‘개인맞춤’을 통한 새로운 음악문화 콘텐츠 창출에서, 설계와 제반기술에 중점을 두고, 그 과정을 연도별, 단계별로, 즉 3차연도의 최종결과물에서 1차연도로 거슬러 올라가는 형태로 각각의 항목별 진행을 면밀하게 제시하며, 우리 문화에 맞는 미래의 아카이브 구축 개선을 위한 정보 및 의견을 개진하고 공유하는 새로운 논의의 장(場)을 마련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그와 더불어 본 논문은 연구팀이 연구 수행과정에서 직면해야 했던 가장 큰 어려움, 즉 어떻게 서로 다른 학문의 목소리(polyphony-multiple voice)가 대화(dialogic)를 통해서 통합(inegrated)되고 실질적인 결과물인 동아시아 음악문화콘텐츠를 만들어냈는지, 특히 음악문화 연구의 방법론과 컴퓨터 공학 기술, 그리고 웹 디자인 설계가 일상작업에서 어떻게 서로 작동하여 어려움을 극복할 수 있었는지 대한 실질적 가이드라인을 제시하고자 한다.

      • KCI등재

        연안통합관리를 위한 통합수치도 개발에 관한 연구

        이기철(Lee Gi Cheol),서상현(Seo Sang Hyeon),정희균(Jeong Hui Gyun),박창호(Park Chang Ho),여기태(Yeo Gi Tae) 한국지역지리학회 2003 한국지역지리학회지 Vol.9 No.4

        본 연구는 연안지역의 과학적이고 효과적인 개발, 보존, 관리를 위해 항해용 전자해도와 수치지형도를 통합한 통합수치도를 개발하기 위한 기술과 개발된 통합수치도의 활용방안을 모색하였다. 연구의 예비적 단계에서, 연안지역과 연안통합관리의 개념이 정리되었으며, 한국의 국립지리원과 국립해양조사원에서 제작된 국가 수치지도들의 구조적 차이와 특성이 파악되고 난 후, 수치지도들은 KVR-1000고해상도 인공위성자료와 중첩되어 통합수치도로 제작되었다. 제작과정상에 발생된 해안선 오차를 분석하기 위해 부산광역시 서구 해안지역의 인공지형 2개 지역과 자연지형 지역 1개를 대상으로 전자해도와 육도의 매칭과 GPS 측량에 의한 해안선 불일치의 원인 및 차이를 분석한 후, 그 문제점, 원인 및 해결방안에 대해 서술하였다. 또한, 본 연구에서는 제작된 통합수치도를 기반으로 연안통합관리에 필요한 다양한 응용방안 및 활용가치를 서술하였다. Integrated approach is presented by developing the technology and the ways of the practical use of the integrated digital map of an Electronical Navigational Chart(ENC) and Digital Terrain Map(DTM) for the effective and scientific based conservation, development and management of coastal area in this study. At first, as preliminary studies to make eventual integrated maps, the necessity of the integrated map is described with the concept of coastal areas. Then, the characteristics of digital maps developed by Korean Geography Institute and National Marine Investigation Institute are carefully analyzed and integrated to a digital map as a test for edge matching in coastal line. Developed test coastal map was overlayed with a high-resolution satellite image(KVR-1000). The ground survey using Global Positioning System was conducted for the analysis of edge matching along the coastal line. Results from the edge matching analysis of coastal lines showed about 14 meters mean difference in artificial terrain and 4 meters mean difference in natural terrain. The problems, causes and solutions for the edge-matched differences are described. Furthermore, the value of utilization the future use and various fields of application produced by the integrated digital map database are suggested as a basic for ICZM implementation, in South Korea.

      • KCI등재

        데이터베이스의 효과적인 통합방안에 관한 연구

        이홍걸(Hong-Girl Lee),比嘉邦彦(Kunihiko Higa),富士川孝之(Takayuki Fujikawa) 한국항해항만학회 2005 한국항해항만학회지 Vol.29 No.5

        Database integration has been recognized as a critical issue for effective logistics service in logistics environment. However, research related to effective methodology for this have been little studied, and also, prominent achievements have yet to be suggested. The aim of this paper is to present a quantitative methodology for the identification of conflict that is a representative problem on database integration. To achieve this aim, we suggested a quantitative methodology that can efficiently fine troubles such as name conflicts when schema integration, based on the level of semantic similarity between attributes and entities. And, in order to measure these semantic similarities, we used a thesaurus dictionary that proposed previous research. Finally, we presented effectiveness of the proposed methodology through some typical examples. 물류환경에 있어서, 데이터베이스의 연계와 데이터베이스 통합의 문제는 매우 중요한 과제로 인식되어 왔다. 그러나, 여기에 대한 빈번한 문제제기에 비해 합리적인 데이터베이스 통합방안에 관한 학술적 측면의 연구는 아직까지 매우 미흡한 실정이다. 본 연구는 효과적인 DB통합법과 관련하여 개체 및 속성 간의 유사도 측정에 기반을 둔 계량화된 충돌 식별법을 제안하는 것을 연구의 목적으로 한다. 구체적으로, DB 통합 시 빈번히 발생하는 의미적 충돌(Semantic Conflict)현상인 이른바 “Name Conflict”의 식별을 위한 하나의 해결법으로서 개체 및 속성 간 종합적인 유사도를 측정하는 계량화된 식별법을 제안하고자 한다. 그리고, 간단한 예제를 통해 제안한 방안의 유효성과 식별방안을 가늠해 보고자 한다.

      • KCI등재

        동아시아 음악 데이터베이스 II (포괄적이고 혁신적인)와 새로운 통합적, 대화적 음악 연구에 대한 함의

        채현경 ( Hyun Kyung Chae ),김은하 ( Eun-ha Kim ) 한국음악학학회 2018 음악학 Vol.26 No.1

        ‘동아시아 음악데이터베이스[East Asian Music Database]’ 구축은 그 연구 방법에 있어 ‘발화의 지점[the location of utterance]’을 서구가 아닌 한국과 아시아에 두고, 크게 두 가지 접근방법을 토대로 한다. 첫째는 철학적인 접근으로 한국의 근ㆍ현대 자료들을 통합적[integrated]이고 대화적인 [dialogic] 접근법으로 인접 지역인 일본 및 중국어권과의 관계 안에서 살펴 보는 것이다. 여기서 통합적이란 자료의 분석 및 해석을 특정 문화권을 중심으로 보는 것이 아니라 다수의 문화현상들 모두가 편견 없이 동등하게 독해되어야 한다는 것이다. 또한 대화법[Dialogic approaches]을 통해 각 나라의 문화가 제시한 서로 다른 음악문화의 변용이 ‘다성[polyphony 多聲]’의 차원에서 이해되어야 한다는 원칙을 ‘동아시아 음악 데이터베이스’ 구성에 반영하였다. 이 논문은 많은 양의 음악문화 켄텐츠를 처음으로 수집하고 디지털화하는 시도로 제시 된 방법론의 적합성에 대해서 비판적으로 논하기보다는 그것이 어떻게 데이터베이스에 적용되었는지에 대해 소개하는 것에 더 큰 목적이 있다. Asia or inter-Asia has been an emerging field of study since the 1990s, and new ways of examining historical as well as socio-cultural aspects of the region has been called for. One of the advocation has been placing the ‘location of utterance’ in Asia not the west in the center of Asian discourses. Furthermore, the need for provocative approaches, such as ‘integrated’ as well as ‘dialogic’ has been expecially emphasized by scholars from countries that have been deeply affected by colonialism and imperialism. However, lack of primary sources which resulted in thin scholarship in the region hinders the invigorating research in East Asian Music. Under this circumstances, a group of researchers in diverse fields, including music, area studies (especially China, Japan, & Taiwan), computer science, library science, and copyright Law, integratedly and dialogically built the East Asian Music Database, called EMDB 1 and II, since 2011 to present a vast array of primary sources of East Asia. It has been a new challenge for scholars in Korea. Therefore, this paper deals with practical as well as philosophical challenges in building music database with a large quantity. Two most important concepts, ‘integrated’ and ‘dialogic’ approaches, so effective in both establishing and interpreting East Asian Music is introduced. In addition, two specific features unique to the EMDB, a chronological overview of the four nations included in the database will be explained, ‘Keyword Search’ design that reveals the relationship between and among composers with similar musical trends, as in many ‘isms’ in the 20<sup>th</sup> century western music is also presented. At the end, the future direction in Asian Music Research in terms of using Music database is concisely stated.

      • KCI등재

        지방자치단체의 경제, 사회, 문화 통합 DB 구축 방안

        임광혁(Kwang Hyuk Im) 한국콘텐츠학회 2016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16 No.6

        지방 균형발전을 위한 지방자치단체(이하 지자체) 현황 분석을 위해서는 경제, 사회, 문화 전반에 걸친 종합적인 자료의 활용이 필수적이지만, 지자체의 각 예산 및 활동별로 담당 중앙정부 부처가 다른 이유로 통합적인 관리가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정부 3.0 시대에 맞춰 다양한 정보가 공개되고 있으나, 관계된 정보들이 여러 기관에 산재되어 있어 연구자들이 하나의 논제에 대해 통합적인 분석을 하는 데 큰 어려움이 상존한다. 그리고 이러한 정보 분산은 지역 균형발전을 위한 현황 분석 및 대안 제시를 목적으로 하는 연구자들의 연구 활용에 필요한 기반자료의 부족을 초래하고 효율적인 연구에 저해가 되고 있다. 본 연구는 지자체 관련 연구자들의 연구 활동을 지원할 수 있는 지자체 통합 데이터베이스(DB)의 구축방안을 제안하였다. 지자체 통합 DB는 지자체의 경제, 사회, 문화 활동에 대한 분산되고 이질적인 자료를 망라하여야 하며, 지자체 간 그리고 데이터 구성 요소 간의 차이를 고려해서 전체 자료를 통합할 수 있는 스키마(schema)를 설계하고 이에 바탕을 두고 구축되어야 한다. 그리고 지자체별 또는 연도별과 같은 공통 요소를 통한 교차 분석이 가능하도록 통합 DB를 설계함으로써 다면적인 연구 분석을 위한 프레임워크를 구축하는 데 중점을 두어야 한다. The integrated data is an essential in the analysis for the balanced development of the local governments, but economic, social and cultural data in local governments is not being made with integrated management. A variety of information is being published according to the Government 3.0 era, but the researchers has great difficulty in integrating the analysis for one topic because related information is scattered in various sites. This paper proposes an integrated database(DB) of local governments to support the research activities. It has to contains total information of economic, social and cultural activities of local governments, and accommodate the distributed and heterogeneous data. It has the schema designed to integrate the entire data for considering the differences between local governments or data components. We should focus to build a framework for the multifaceted research to enable the cross analysis over common elements.

      • KCI등재

        지자체별 데이터 조회 및 분석을 위한 통합 데이터베이스 설계 방안

        임광혁(Kwang Hyuk Im) 한국콘텐츠학회 2018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18 No.2

        지방자치단체(이하 지자체)의 경제, 사회, 문화 분야의 현황 파악 및 다양한 분석을 위해서는 지자체의 분야별 현황자료를 분석 목적에 맞게 다양하게 조회하고 이를 바탕으로 하여 다양한 분석을 수행할 수 있도록 통합적으로 지원할 수 있는 지자체 통합 데이터베이스(DB)의 구축은 필수적이다. 본 연구는 지자체별 데이터를 통합적으로 조회하고 분석할 수 있도록 지원할 수 있는 지자체 통합 데이터베이스(DB)의 설계방안을 제안하였다. 지자체 통합 DB는 지자체의 경제, 사회, 문화 활동 전반에 대한 광범위하고 이질적인 자료를 망라하여야 하며, 지자체 간 그리고 데이터 구성 요소 간의 차이를 고려해서 전체 자료를 통합할 수 있는 스키마(schema)를 설계하고 이에 바탕을 두고 구축되어야 한다. 데이터는 특성에 맞게 구조화되어 조회할 수 있어야 하며, 키워드를 통한 검색을 통하여 관련 데이터를 종합적으로 조회할 수 있어야 한다. 또한, 연구자가 자신의 연구 목적에 필요한 데이터를 쉽게 조회하고 다운로드 받아 분석데이터를 편집하여 작성할 수 있도록 데이터의 조회 및 다운로드 기능이 필수적으로 필요하다. It is essential to build a integrated database (DB) to grasp the present status and various analysis of the economic, social and cultural sectors of local governments and to provide various inquiries on the status data of the local governments according to the purpose of analysis. This study proposed a design method of the integrated DB which can support the inquiry and analysis of the data by the local government. The integrated DB should cover a wide range of heterogeneous data on the economic, social and cultural activities of local governments, and it is necessary to design a schema that can integrate the entire data considering differences between local governments and data elements. The data should be structured in accordance with the characteristics, and it should be possible to inquire related data comprehensively through the search through the keywords. In addition, data retrieval and downloading functions are indispensable for the researcher to easily retrieve data necessary for research purpose and to download and modify data for analysi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