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한국 통합체육에 대한 체육지도자의 역량 연구

        윤석민,김태형 한국스포츠학회 2016 한국스포츠학회지 Vol.14 No.4

        본 연구는 일반체육교사 및 방과후체육교사 455명을 대상으로 통합체육 역량에 대해 인구사회학적 특성인 성별, 자격, 학력, 그리고 통합체육지도경력과의 관계를 분석 하였다. 분석에 따른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통합체육 역 량으로 본 연구에서 조사된 전문성, 태도, 자아효능감, 위상, 그리고 의사결정력은 정적인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둘째, 남녀 체육지도자간 통합체육의 역량 차이는 통계적으로 검증되지 않았으나 통합체육에 대한 전문성은 남성 체육지도자 가 태도는 여성체육지도자가 높게 나타났다. 셋째, 체육지도자들중 정규체육교사가 방과 후 교사와 비교하여 통계적으 로 통합체육 역량이 높게 나타났다. 넷째, 학력과 통합체육 역량과의 관계 및 통합체육 지도경력과 통합체육 역량과의 관계는 본 연구에서 통계적으로 무의미하게 검사되었다. 본 연구를 통하여 제시된 교사의 통합체육 역량을 바탕으로 후 속연구에서는 체육교사 또는 체육지도자의 통합체육 역량에 따른 수업 참여 학생(장애학생 및 비장애학생)들의 수업 만족도를 비롯하여 체력 및 사회성 검사를 통한 과학적인 근거(evidence based practice)를 제시하는 연구가 필요하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competency in inclusive physical education(IPE) and demographic characteristics such as gender, qualification, level of education, and career as a IPE teacher in general school physical education teacher or after-school physical education teacher. 455 physical education(PE) teachers or after-school physical education teacher participated in the study. The results of the analysis are as follows. First,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professionalism, attitude, self-efficacy, status, and decision-making in this study. Second, between the different gender of physical director, the competency toward IPE was not statistically verified. However, male PE teacher's professionalism toward IPE was higher than female’s and female teacher’s attitude toward IPE was higher than male’s . Third, in qualification, among physical directors, regular PE teachers showed statistically higher competency toward IPE than after - school teachers’. Fourth, the relationship between level of education and career as a IPE teacher were statistically insignificant in this study.

      • KCI등재후보

        일반초등학교 체육교사들의 통합 체육수업에 관한 인식

        이성철 ( Seong Chul Lee ) 한국특수아동학회 2007 특수아동교육연구 Vol.9 No.1

        본 연구에서는 일반 초등학교의 성공적인 통합 체육수업 운영을 위하여 우리나라 일반 초등학교 현장에서 통합체육 수업을 직접 운영하고 있는 일반 초등학교 체육교사들에 대한 통합 체육수업 시행 상황을 확인하고 통합 체육수업에 대한 인식 및 문제점을 파악하여 향후, 통합 체육수업의 문제 해결 방안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시하였다. 첫째, 일반 초등학교 장애아동을 위한 통합 체육수업이 지속적으로 이루어져야하는 통합교육의 당위성을 제시하였으며, 둘째, 현재 일반 초등학교 통합 체육수업을 담당하고 있는 교사들의 태도와 앞으로 통합 체육수업이 나아가야할 방향을 제시하였고 셋째, 초등학교 통합 체육수업이 실질적으로 운영되기 위해서 개선되어야 할 현실적인 문제들을 제시하였다. 이와 같은 연구 자료들은 일반 초등학교 통합 체육수업을 담당하고 있는 체육교사들의 직전 교육이나 초등학교 통합 교육 관련 정책 마련에 유용한 자료가 될 것으로 생각된다. This research has two purpose. The one is to inspect the situation of inclusive physical education in general elementary schools. The other is to analyse opinions of general elementary physical education teachers about inclusive physical education. Subjects for this research were 145 physical education teachers in general elementary schools in Gyeong-nam province. The questionnaire consists of 16-item which related to inclusive physical education of general elementary schools. Result indicated that about 6.44 students with disability were in each general school and many of them participated in inclusive physical education. That 44% of them always participated in inclusive physical education and 49% of them sometimes participated in inclusive physical education. The most of teachers thought that they need the additional education about inclusive physical education.

      • KCI우수등재

        일반체육교사의 통합체육지도역량이 비장애학생의 수업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윤석민(YunSeok-Min) 한국체육학회 2019 한국체육학회지 Vol.58 No.3

        본 연구의 목적은 체육교사의 통합체육지도역량별 통합체육수업에 참여하는 비장애학생의 수업 만족도에 대한 분석으로서 12명의 체육교사를 통합체육지도역량별로 3단계(상·중·하) 분류 후 그들의 통합체육수업에 참여하는 비장애학생 316명의 수업만족도를 분석하였으며,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통합체육환경에 참여한 학생의 수업만족도의 상위요인인 교수행동만족도, 체육환경만족도, 운동능력만족도, 그리고 체육성적만족도는 p<.01 범위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정적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둘째, 학생들의 통합체육 수업만족도의 상위요인인 교수행동만족도는 교사의 통합체육지도역량별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p<.001)가 나타났다. 셋째, 학생들의 통합체육 수업만족도의 상위요인인 체육환경만족도는 교사의 통합체육지도역량별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p<.001)가 나타났다. 넷째, 학생들의 통합체육 수업만족도의 상위요인인 운동능력만족도는 교사의 통합체육지도역량별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p<.001)가 나타났다. 다섯째, 학생들의 통합체육 수업만족도의 상위요인인 체육성적만족도는 교사의 통합체육지도역량별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p<.001)가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student’s class satisfaction toward PE Teacher’s level of teaching ability in an inclusive PE environment. Twelve PE teachers were divided 3 group (upper, middle, lower) according to the their teaching ability in an inclusive PE environment and to analyze student’s class satisfaction, 316 students who learned from the 12 PE teachers in an inclusive PE environment participated in the research. The result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among the satisfaction of teaching behavior, PE environment, exercise ability, and PE score (P<.01). Second,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p<.001) between group of teacher's teaching ability and satisfaction of teaching behavior. Third,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p<.001) between group of teacher's teaching ability and satisfaction of PE environment. Forth,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p<.001) between group of teacher's teaching ability and satisfaction of exercise ability, Fifth,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p<.001) between group of teacher's teaching ability and satisfaction of PE score.

      • KCI등재

        성공적 통합체육을 위한 구성요소 및 우선순위 선정

        박상수 ( Sang Soo Park ),김춘종 ( Chun Jong Kim ) 한국특수체육학회 2011 한국특수체육학회지 Vol.19 No.4

        본 연구에서는 성공적인 통합체육 수업을 위한 구성요소를 도출해내고, 그 구성요소들의 우선순위를 선정하는데 목적이 있다. 성공적인 통합체육 수업을 위한 구성요소를 결정하기 위하여 델파이 기법(Delphi technique)과 전문가 회의(professional conference)를 실시하였고, 결정된 구성요소들의 우선순위를 결정하기 위하여 분석적계층화 과정(AHP: analytical hierarchy process)을 사용하였다. 델파이 패널(Delphi panel)로는 통합체육 경험이 있는 체육교사 153명으로 선정하였고, 1차 전문가 회의는 통합체육 교사 6명, 2차 전문가 회의는 특수체육 박사3명, 특수체육 박사과정 3명으로 구성되었다. 또한 분석적 계층화 과정 참여자는 특수체육학과 교수 3명, 특수체육 박사 3명 특수체육 박사과정 3명, 통합체육 교사 15명, 장애인체육관련 단체 직원 1명으로 총 25명으로 구성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성공적인 통합체육 수업을 위해 가장 중요한 구성요소로 통합체육에 대한 교사 전문성 향상이 결정되었고, 그 하위 구성요소의 우선순위로는 체육교사 양성 시 통합체육 교과 필수로 지정, 통합체육 직무연수 실시, 통합체육 및 특수체육 관련 자격증 취득, 통합체육 매뉴얼 개발 및 보급 순서로 결정되었다. 둘째, 성공적인 통합체육 수업을 위해 두 번째로 중요한 구성요소는 통합체육 수업지원으로 결정되었고, 그 하위 구성요소의 우선순위로는 전문성 있는 보조교사 확충, 장애학생을 위한 측정 및 평가 기준제시, 특수교사와의 멘토링 제도 실시, 교육지원청 차원의 관리시스템 구축, 장애학생에 적합한 체육시설 및 용기구 확충, 학급당 인원수 축소 순서로 결정되었다. 셋째, 성공적인 통합체육 수업을 위해 세 번째로 중요한 구성요소로 통합체육에 대한 긍정적 인식 형성으로 결정되었고, 그 하위 구성요소의 우선순위로는 장애이해 교육실시, 통합관련 행사 실시 순서로 결정되었다. 넷째, 성공적인 통합체육 수업을 위해 네 번째로 중요한 구성요소는 수준별 과제제시로 결정되었고, 그 하위 구성요소의 우선순위로는 개별화 교육 실시, 보조교사 활용을 통한 눈높이 교육 실시, 장애정도에 적합한 과제제시, 수준별 그룹 수업 실시, 단계별 수업 프로그램 개발 순서로 결정되었다. 다섯째, 성공적인 통합체육 수업을 위한 다섯 번째로 중요한 구성요소로 또래교수 활용으로 결정되었고, 그 하위 구성요소의 우선순위로는 또래교사 사전교육 실시, 또래교사 인센티브 부여, 친한 급우를 또래 교사로 지정, 또래교사에게 책임전가 금지, 순환식 또래교수 실시, 또래교사 주도 수업 실시 순서로 결정되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factors for the successful inclusive physical education and determine their levels of contributions. In order to determine the contributing factors for the successful inclusive physical education, we used the delphi technique and professional conference as well as the analytical hierarchy process. One hundred fifty three physical education teachers who have experienced in an inclusive physical education were participated in the delphi panel. Six inclusive physical education teachers joined the first professional conference while the second conference included three Phd experts and three doctoral candidates in an adapted physical education. Furthermore, a total of twenty five experts including three physical education professors, phd researchers, three doctoral candidates in an adapted physical education, fifteen inclusive physical education teachers, and an officer who works in the organization for physical activity for the handicapped were participated in the process of classification. The findings were as follow: First of all, the most important factor for the successful inclusive physical education is to educate knowledge and expertise of teachers. Other priorities is as follow: an inclusive physical education as major course work, conducting the refreshment hours or workshop for the teachers, providing an opportunity of the related certificates program, and the development of the manual for an inclusive physical education program.. Secondly, the support for an inclusive physical education class is the second most important factor among the potential contributors for the successful inclusive physical education. The order of other priorities is as follow: the recruitment of professional assistant teachers, the development of the measurement and evaluation for the handicap students, conducting a mentor system, the development of supporting system from the government, providing enough facilities and equipment for the handicap students, and the reduction of class size. Thirdly, the development of positive attitude about an inclusive physical education is the third most important factor for the successful inclusive physical education. The order of other priorities is as follow: workshop to understand the program and events for an inclusive physical education. Fourthly, the development of task based program with focused on the different levels is the fourth most important factor for the successful inclusive physical education program.. The order of other priorities is as follow: an individualized education program, man to man teaching with an assistant teacher, the suggestion of customized program depending on the levels of handicap, and the development of group program for the different levels and stages. Finally, the organizing peer group is the fifth most important factor for the successful inclusive physical education program.. The order of other priorities is as follow: prerequisite class for the peers, providing an incentive, appointing the friendly peer as a teacher, the prohibition of avoidance of others` responsibility, conducting the circulation system, and conducting the class driven by the peer.

      • KCI등재

        국내 통합체육 연구의 동향: 텍스트 마이닝 분석

        진주연,이후경,김지안,최서언 한국특수체육학회 2022 한국특수체육학회지 Vol.30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understand the research trends of inclusive physical activity in Korea. A total of 209 papers published in Korean academic journals from 1991 to 2021 were analysed. For objective and systematic analysis, text mining using keyword analysis, topic modeling, and semantic network analysis were used. In addition, time-series analysis was used to reveal the 10-year-patterns of research topics. As a result, many domestic journals(n=47) published studies regarding inclusive physical activity, but similar amounts of research have been published since 2005. For keyword analysis, N-gram analysis showed that‘inclusive physical activity’ and ‘attitude’ had the highest frequency, and ‘inclusive physical activity classes’, ‘students with disability’, and ‘inclusive physical activity’, were sorted in the order of high weight of TF-IDF. For topic modeling analysis, ‘teaching method’, ‘inclusive physical activity environment’, ‘value of inclusive physical activity’, ‘role of physical education teacher’, and ‘inclusive physical activity program’were clearly categorized without overlapping when classified into five topics. For the analysis of degree centrality and betweenness centrality of the semantic network analysis, the number of links with other nodes appeared in the order of ‘inclusive physical activity', ‘inclusive physical activity class’, and ‘inclusive physical activity education'. Closeness centrality analysis revealed that‘physical self-concept' and ‘physical environment' were the most influential nodes in the entire network. Time series analysis demonstrated no noticeable change although there was a 10-year-pattern of inclusive physical education adopted from special education-importance of a teacher and an independent role of inclusive physical education-an extension of the study topics considering inclusive physical activity environment. Compared to the past, IPA research in Korea still do not have significant changes in both quantity and quality. Future researchers may extend the research scope from school to community settings and consider a variety of factors for better understanding complicated mechanism of IPA and for successful IPA implementation in practice. 본 연구는 성공적인 통합체육의 실행을 위한 연구동향의 분석을 위해 1991년부터 2021년까지 국내 학술지에 게재된 논문 중 통합체육을 주제로 진행된 논문 209편을 분석하였다. 국내 통합체육 관련 연구를 객관적이고 체계적으로 분석하기 위해 키워드 분석, 토픽모델링, 의미연결망 분석을 이용한 텍스트 마이닝 기법을 활용하여 지난 30년간 국내에서 수행된 연구의 흐름을 종합적으로 파악하였다. 또한, 시계열 분석을 통해 1990년대를 시작으로 10년 단위의 구분을 적용하여 연구주제의 변화 과정을 구체적으로 파악하였다. 연구 결과, 국내 많은 학술지(n=47)에서 통합체육 관련 연구를 출판한 것으로 나타났지만, 출판된 논문의 수는 2005년 급격한 증가한 이후 큰 폭의 변화 없이 비슷한 양의 논문이 매년 출판되고 있었다. 키워드 분석 결과, N-gram 분석에서는 ‘통합체육’과 ‘태도’의 연속 출연 빈도가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고, ‘통합체육수업’, ‘장애학생’, ‘통합체육’이 TF-IDF의 가중치가 높은 순으로 정렬되었다. 토픽모델링 분석 결과, ‘교수방법’, ‘통합체육 환경’, ‘통합체육의 가치’, ‘체육교사의 역할’, ‘통합체육 프로그램’ 5개의 토픽으로 분류되었을 때 서로 겹치지 않고 명확하게 범주화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의미연결망의 연결중심성과 매개중심성 분석 결과, ‘통합체육’, ‘통합체육수업’, ‘통합체육교육’ 순으로 다른 노드와의 링크수가 많이 나타나고 네트워크 내 중재 역할을 하였으며, 근접중심성 분석 결과, ‘신체적자기개념’과 ‘물리적환경’이 전체 네트워크에서 가장 영향력을 갖는 노드로 밝혀졌다. 시계열 분석 결과, 1구간(1991~2000)은 특수교육과 연계된 ‘통합체육 개념 도입’, 2구간(2001~2010)은 교사의 중요성과 독립적인 영역으로써 ‘통합체육 가치 확산’, 3구간(2011~2021)은 일부 ‘통합체육 환경’을 고려한 연구주제의 확장으로 이어지며 10년 단위로 변화를 보이긴 했으나 눈에 띄는 명확한 변화는 찾아볼 수 없었다. 본 연구를 통해 과거와 비교했을 때 여전히 국내 통합체육 연구는 양적, 질적 모두 변화의 폭이 크지 않은 것을 파악할 수 있었다. 따라서 앞으로 통합체육 연구는 전 연령을 대상으로 학교뿐만 아니라 지역사회 환경 안에서 광범위한 연구의 범위를 설정하고, 다양한 변인을 연구할 필요가 있다고 생각된다.

      • KCI등재

        통섭적 관점에서의 체육과 통합 교육과정 탐색

        전지영,양정모,조순묵 한국초등체육학회 2013 한국초등체육학회지 Vol.18 No.4

        창의인재육성을 강조하는 수월성 교육측면에서 다양한 교육적 아이디어가 제시되고 있는 가운데 환원주의적 지식탐구방식에 의한 패착을 해결하기 위하여 ‘통합적 체육교육’이 주목받고 있으나 교육현장의 실천적 난점이 상존하는 바, 이에 대안적 방법으로 통섭(consilience)적 관점에서 체육과 교육과정을 통합하는 방식을 탐색하였다. 이는 기존 ‘통합적 체육교육’이 교과 내 통합에 머물러 있을 뿐 아니라 다학문적 통합에 의하여 과목 간 학습내용이 분절적으로 통합되는 방식에 의해 운영되었던 것에 대한 대안적 방법으로 교과 간 통합을 바탕으로 신체적 활동 시간을 확보하여 체육교과 고유영역은 유지하되 교과 간 소통을 전제로 하는 통합 방식이다. 이는 학문중심 교육과정 통합에 근거한 기여적 통합, 간학문적 통합 방식에 의한 접근방법으로, 물리적인 합산적 통합이 아니라 교과 간 교육과정 내용을 통섭적으로 통합함으로써 학습자들로 하여금 인식론적인 통합적 경험을 할 수 있도록 돕는 것이다. 이에 따라 교사는 교육과정을 선정·조직하여 가르칠 수 있는 안목을 갖춘 ‘교육과정 개발자로서 교사’이자 ‘교육과정 실천가로서 교사’의 역할이 동시에 요구되며 이를 통해 체육교육이 지향하는 신체활동의 가치와 진정한 의미로서의 통합을 실현하는 방법론적 측면과 통합을 통한 새로운 지식창출이라는 가능성의 접근적 측면에서 매우 의미 있고 새로운 시도라 판단된다.

      • KCI등재

        통합체육 수업 개선을 위한 경험에 관한 협력적 자문화기술지

        정현철(Jeong, Hyun Chul),제성준(Zae, Sung Zoon) 한국체육교육학회 2021 한국체육교육학회지 Vol.25 No.4

        이 연구는 통합체육 수업 경험을 토대로 어려움과 개선의 노력을 실천한 ‘나’와 ‘우리’의 협력적 자문화 기술지로 통합체육 수업 운영의 구체적인 사례를 기술하고자 하였다. ‘우리’는 통합체육 수업에 관한 집필을 위해 모였으며 통합체육 수업에 대한 철학과 개선의 노력을 함께 공유하고 실천한 사례에 대한 자료를 수집·분석하였다. 우리가 경험한 통합체육 수업의 어려움은 첫째, 우리는 통합체육에 대한 심층적인 이해없이 장애학생 수업 참여를 위해 다양한 노력을 기울였고 이는 장애학생과 비장애학생 모두에게 부담으로 작용하였다. 둘째, 기존 통합체육 수업을 위한 자료는 보통 장애 유형별 중심으로 제시되어 있어 실제적인 통합체육 수업 운영을 위한 자료들이 부족하였다. 셋째, 학교별 일반학생 중심의 체육 수업 운영으로 인해 통합체육 수업을 위한 장소, 용·기구, 수업 설계 등 통합적인 수업 여건을 마련하는 데 어려움이 있었다. 이러한 통합체육 수업의 어려움을 극복하기 위한 개선방안은 첫째, 통합체육 수업을 위한 교사의 전문성 함양을 위한 자발적인 의지와 노력이 필요하다. 둘째, 장애 유형을 구분 짓지 않는 수준별 수업으로 모둠 활동 안에서 협동이 중심이 되는 수업을 설계하고 운영해야 한다. 셋째, 통합체육 수업과 평가의 일체화를 위해 과정 중심의 세부적인 활동에 관한 기록과 피드백이 필요하다. 끝으로, 이 연구가 효율적인 통합체육 수업을 고민하고 실천하는 학교현장의 체육교사들에게 실천적 지식 함양에 도움이 되길 기대해본다. Purpose: As the collaborative autoethnography of ‘I’ and ‘We’ who practiced efforts to improve difficulties based on experiences of inclusive physical education class, this study aimed to describe the concrete cases of operating the inclusive physical education class. Methods: ‘We’ got together to write about inclusive physical education class, and then collected and analyzed case data of sharing and practicing the philosophy and improvement of inclusive physical education class. Results: In the difficulties of inclusive physical education class we experienced, first, we put various efforts for encouraging students with disabilities to participate in class without in-depth understanding of inclusive physical education, which was working as a burden to both students with disabilities and students without disabilities. Second, the existing materials of inclusive physical education class were usually focusing on each type of disabilities, so there were not many materials for the actual operation of inclusive physical education class. Third, due to the operation of physical education class focusing on ordinary students in each school, it was difficult to establish the conditions of inclusive class such as place, tool/instrument, and class design for inclusive physical education class. In the improvement measures for overcoming such difficulties of inclusive physical education class, first, the teachers should have voluntary will and efforts to cultivate the professionalism for inclusive physical education class. Second, it would be necessary to design and operate classes focusing on collaboration within group activities through graded class without dividing the type of disabilities. Third, there should be records and feedbacks on process-centered detailed activities for the unification of inclusive physical education class and evaluation. Conclusion: this study could be helpful for the cultivation of practical knowledge for physical education teachers who study and practice such efficient inclusive physical education class in school field.

      • KCI등재

        통합체육의 국내 학술 연구동향 분석: 2015~2020

        하윤수 ( Yun-su Ha ),박수경 ( Soo-gyung Park ),이현수 ( Hyuen-su Lee ) 한국특수체육학회 2021 한국특수체육학회지 Vol.29 No.1

        본 연구는 통합체육 연구학술 동향 분석을 위해 국내 저명학술지에 발표된 논문을 중심으로 2015년부터 2020년까지 게재된 논문 중 통합체육과 관련된 논문 52편을 비교분석하였으며, 이현수(2005), 박수경, 박진우, 이현수(2011)의 국내 통합체육 연구동향을 분석한 선행연구의 후속활동으로써 연구동향의 변화를 통해 국내 통합체육의 발전에 의미 있는 자료를 제공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또한 연구목적을 규명하기 위해 평가자간 일치도(inter-rater agreement) 내용분석법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이에 국내 통합체육의 연구동향에 대한 연구주제, 연구대상, 연구방법, 학술발표지에 대해 다음과 같은 연구결과를 도출하였다. 첫째, 국내 통합체육 연구주제별 특성을 살펴보면, 인식/태도, 기타, 교수/학습, 제도/행정, 교육과정순으로 나타났다. 둘째, 국내 통합체육 연구대상별 특성을 살펴보면, 교사, 비장애학생, 통합, 장애학생, 문헌/기타, 부모 순으로 나타났다. 셋째, 국내 통합체육 연구방법별 특성을 살펴보면, 조사연구, 질적연구, 문헌연구, 통합연구, 실험연구, 관찰연구의 순으로 나타났다. 넷째, 국내 통합체육 발표학술지별 특성을 살펴보면 기타, 한국특수체육학회지, 한국체육학회지, 한국체육과학회지, 한국사회체육학회지, 스포츠교육학회지 순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최근의 통합체육에 중요한 대상으로 장애학생만이 아니라 통합체육에 영향을 줄 수 있는 모든 영역을 포함하고, 통합적인 관점에서 폭넓은 연구와 대상이 필요하다고 생각된다. 또한 비장애학생, 교사, 부모 등에 대한 연구가 중요함을 시사하며, 후속 연구에서는 통합체육의 바탕아래 통합체육 환경에서 교육과정의 개선과 교재 연구 및 교육과정과 제도의 뒷받침, 그리고 비장애학생과 장애학생이 함께 학습하는 협동적, 포괄적 통합체육이 필요하다고 생각된다. This study compared and analyzed 52 papers related to integrated sports among papers published in Korea's prestigious journal from 2015 to 2020, and was conducted to provide meaningful data for the development of integrated sports in Korea through changes in research trends. In addition, the analysis was conducted using the inter-rater agreement content analysis method to identify the purpose of the study. Therefore, the following research results were derived for research topics, subjects, research methods, and academic presentations on the research trends of integrated sports in Korea: First, if you look at the characteristics of each subject of integrated sports research in Korea, it was shown in the order of perception/attitude, other, teaching/learning, system/administration, and curriculum. Second, looking at the characteristics of each integrated sports research subject in Korea, teachers, non-disabled students, integrated students, disabled students, literature/others, and parents were shown in the order. Third, the characteristics of each integrated sports research method in Korea were shown in the order of survey research, qualitative research, literature research, integrated research, experimental research, and observational research. Fourth, if you look at the characteristics of each integrated sports presentation journal in Korea, it was followed by the other, the Korea Special Sports Association, the Korea Sports Association, the Korea Social Sports Association, and the Sports Education Association. These results suggest that recent integrated sports include all areas that can affect integrated sports, not just disabled students, but also extensive research and research on non-disabled students, teachers, parents, etc. are important.

      • KCI등재

        학교체육에서의 ‘통합체육교육’의 재개념화

        유정애(You Jeong Ae),권민정(Kwon Min Jung)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5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5 No.3

        본 연구는 학교체육에서의 통합체육교육 을 재개념화하고, 향후 체계적인 통합 체육교육을 실현하기 위해 고려해야 할 과제를 제안하는 것에 목적을 두었다. 이러 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첫째, 일반적인 ‘통합’의 개념으로 ‘사회통합’과 ‘체계통합’ 을 살펴보고, 본 연구에서는 사회 현상 및 교육 현상과 밀접한 관련성을 갖는 ‘사회 통합’ 개념을 전제로 함을 밝혔다. 둘째, 학교체육에서의 ‘통합’ 개념의 다의성을 논 의하였다. 구체적으로는 수단 또는 목적으로서의 통합, 내용과 방법으로서의 통합에 대한 논의를 통해 현재 학교체육에서 다양한 의미로 혼용되고 있는 통합 개념을 탐 색하고 그에 따른 시사점을 논의하였다. 셋째, ‘통합체육교육’ 재개념화의 필요성을 논의함과 동시에 재개념화를 위한 선행 조건으로 통합 대상 선정 및 논점 형성의 근 거를 찾고, 최종적으로 통합 대상에 따른 통합 논점(성, 장애, 문화)을 도출하여 학교 체육에서의 ‘통합체육교육’을 재개념화 하였다. 마지막으로 앞서 제시한 결과에 따 른 시사점을 토대로 향후 학교 현장에서의 ‘통합체육교육’ 실현을 위해 고려해야 할 과제를 제안하였다. This paper has aimed to re-conceptualize the concept of ‘integrated physical education’ in school physical education. For doing this, this paper has suggested the followings: In the first part, after the meanings of ‘integration was reviewed, ‘social integration’ and ‘system integration’ were discussed and then the concept of ‘social integration’ that is closely related with social and educational phenomena was assumed in this study. In the second part, the multiple concepts of ‘integration’ in school physical education were examined. That is, regarding the concept of ‘integrated physical education,’ first of all, there was a necessity of discussing the concept of integrated physical education as a means or purpose and also content or method . In the third part, the rationales of re-conceptualization for the integrated physical education were discussed, the preceding logics for doing re-conceptualization were also addressed, and then the re-conceptualization was finally made. In the last part of this paper, some futuristic tasks were introduced.

      • KCI등재

        통합체육교사의 통합체육 태도와 수업 실행도 간의 관계 분석

        오원석 ( Won Seok Oh ),권택환 ( Taeg Hwan Kwon ) 대구대학교 한국특수교육문제연구소 2015 특수교육저널 : 이론과 실천 Vol.16 No.4

        본 연구는 통합체육 교사의 통합체육 태도에 영향을 미치는 관련 변인을 파악하고, 통합체육 태도와 수업 실행도 간의 관계 모형을 개발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연구대상은 통합체육 수업을 담당하는 교사들이며, 연구자의 임의표집방식에 의해 총 252명을 선정 활용하였다. 연구도구는 통합체육 태도 척도와 수업 실행 척도를 활용하였으며, 문항 구성의 타당도와 신뢰도에 대한 검정 절차를 거쳐 활용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에 따르면 교사들의 통합체육 태도는 인식 및 연수 요구 등의 영역에서는 대체로 긍정적이나 지도 효능감은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수업 실행도에 있어서는 학생들의 요구를 수용하고 지지적인 노력 정도에 있어서는 양호하나 장애학생의 수업 참여 지원을 위한 노력에서는 다소 미흡한 것으로 나타났다. 통합체육 수업 실행도는 통합체육교사들의 지도 효능감과 정적 상관이 있으며, 교사의 지도 효능감은 직접 경험 및 관련연수 정도와 정적 상관을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들을 중심으로 보면 통합체육의 효율적 운영을 위해서는 통합체육 교사들의 지도 효능감을 향상시켜야 하며, 이를 위해 다양한 연수 기회를 제공하고 통합체육 전담교사제 등을 통해 장애학생을 직접 지도할 수 있는 기회를 확대 제공하여야 할 필요성을 제언하였다. This study was conducted in order to survey physical education teachers’ attitude toward inclusive physical education and instructional performance and to develop a relation model between the tow factors. For these purposes, 252 teachers in charge of inclusive physical education were sampled through random sampling and data collected from them were used in analyses. Tools used in this study were scales on attitude toward inclusive physical education and on inclusive physical education teachers’ instructional performance, and the items of the scales and their validity and reliability were examined before use.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is study, the teachers’ attitude toward inclusive physical education was generally positive in the domains of perception, need of training, etc., but not in instructional efficacy. With regard to instructional performance, moreover, the teachers’ efforts to accept and support students’ needs were satisfactory, suggesting that inclusive physical education teachers were making efforts to support disabled students’ class participation. In addition, inclusive physical education teachers’ instructional performance was in a positive correlation with their instructional efficacy, and their instructional efficacy was in a positive correlation with their direct experiences and related training. These results suggest that, for the efficient operation of inclusive physical education, it is necessary to enhance inclusive physical education teachers’ instructional efficacy and, for this, to provide opportunities for various types of training and to expand opportunities to teach disabled students directly through the subject teacher system for inclusive physical educa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