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생활동화를 활용한 토의활동이 유아의 대인문제해결능력과 창의성에 미치는 효과1)

        윤미승,윤여진 한국유아교육학회 2015 정기학술대회 논문집 Vol.2015 No.1

        본 연구의 목적은 생활동화를 활용한 토의활동이 유아들의 창의성 향상을 위한 효과를 밝히기는 것으로 이를 해결하기 위한 연구문제는 첫째 생활동화를 통한 토의활동이 유아의 대인문제해결능력 향상에 효과가 있는가? 둘째, 생활동화를 통한 토의활동이 유아의 창의성 향상에 효과가 있는가? 이다.연구의 대상은 만 5세 유아 45명으로 실험집단 15명, 비교집단 15명, 통제집단 15명으로 나누어 6주 동안 총 15회의 토의활동을 실시하였다. 토의활동으로 실험집단는 생활동화를 들은 후 토의활동을 실히하였고, 비교집단은 생활동화를 듣고 토의활동은 하지 않았다. 마지막으로 통제집단은 일일교육계획에 따라 자유선택활동을 진행하였다. 집단간 차이를 비교하기 위해 토란스 창의적 사고 검사(TTCT, 1990) 중 도형검사와 대인문제해결검사 검사(박찬옥, 1996)를 실시하였다. 실험집단의 토의활동은 5권의 생활동화를 선정하여 한 권의 생활동화로 3회에 걸쳐 토의활동을 실시하였는데 1회기는 동화책 읽고 이야기 나누기를 하고 2회기는 문제발견하기, 3회기는 문제해결하기 및 뒷이야기 꾸미기로 토의 활동이 이루어졌다. 수집된 자료의 분석은 SPSS 14.0 통계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집단 간의 t-검증을 실시하여 비교분석 하였다. 그 결과 생활동화를 통한 토의활동이 유아의 창의성 향상에 전반적으로 유의한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하위영역별로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생활동화를 통한 토의활동을 한 실험집단이 생활동화를 듣기만 한 비교집단이나 생활동화 듣기활동을 하지 않은 통제집단에 비해 창의성의 하위요소인 유창성, 독창성, 정교성의 점수에서 유의하게 높게 나타나 생활동화를 활용한 토의 활동이 유아의 창의성 증진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대인문제 해결능력의 하위요인인 대안적 해결사고와 결과예측사고에서 생활동화를 활용한 실험집단이 비교집단과 통제집단에 비해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다. 본 연구를 통해 생활동화를 통한 토의활동은 유아들이 친구의 입장이 되어보는 경험과 협동하여 문제를 해결하는 과정에서 대인관계능력과 창의성 향상에 긍정적 영향을 준다는 것을 확인할 수있었다. 따라서 본 연구의 결과는 유아교육 현장에서 대인문제해결능력과 창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교육적인 방법으로 생활동화를 활용한 토의활동을 적극 도입할 필요성이 있음을 시사한다.

      • KCI등재후보

        비디오재방문 토의활동과 비디오재방문 토의활동 후 유아의 사회극놀이에 나타난 갈등해결방법

        홍선희,김경철 한국교원대학교 유아교육연구소 2017 한국유아교육연구 Vol.19 No.1

        본 연구는 만 5세 유아의 비디오재방문 토의활동에 나타난 유아의 갈등해결방법은 무엇인지, 비디오 재방문 토의활동 후 사회극놀이에 나타난 유아의 갈등해결방법은 무엇인지 살펴보고자 하였다. 본 연 구의 대상은 대전광역시에 위치한 A초등학교병설유치원 만 5세 유아 27명으로 2016년 3월 11일에서 6월 29일까지 자유선택활동시간 중 쌓기놀이영역과 역할놀이 영역에서 이루어지는 사회극놀이에 대하 여 총 21회의 참여관찰과 10회의 비디오재방문 토의활동이 이루어졌다. 비디오재방문 토의활동은 유 아들의 실제 사회극놀이에서 일어난 갈등 상황 영상을 보여준 후 어떻게 갈등을 해결할 것인지 토의 활동을 진행하였다. 비디오재방문 토의활동 후 사회극놀이 활동에 나타난 갈등해결방법을 관찰한 결 과 비디오재방문 토의활동과 사회극놀이에 나타난 유아의 갈등해결방법은 차이가 있었다. 첫째, 비디 오재방문 토의활동에 나타난 갈등해결방법으로는 공평하게 사용하기, 공평하게 나누기, 공평한 방법으 로 역할 정하기로 모두 공평과 관련된 방법이었고 둘째, 비디오재방문 토의활동 후 유아의 사회극놀이 에 나타난 갈등해결방법으로는 가위바위보로 정하기, 상황과 대상에 따라 나누기, 공평한 방법으로 역 할 정하기였다.

      • KCI등재후보

        만 5세 유아를 위한 소집단 토의활동의 효과적인 운영에 대한 실행연구

        장혜은 이화여자대학교 이화어린이연구원 2018 영유아교육: 이론과 실천 Vol.3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make a plan for running small-group discussion activities effectively for 5-year-old children and examine the changes it brought to the children. Eighteen children in the class for 5-year-olds at the kindergarten attached to the public elementary school in Seoul were participated in this study from August 1 to November 7, 2017. The researcher ran education activities and videotaped them to transcribe small-group discussion activity and collect and analyzed data. The plan for running small-group discussion activities effectively was as follows: First, it was to experience a small group, understand the basic concepts of discussion activity and make a promise, and select a theme and have a discussion. Second, it was to divide roles within the small group and reconstruct a small group by reflecting children’s opinions. Third, it was to secure play time for children, run discussion activity connected with a living theme, and give continuous guidance for attitudes toward participation in discussion activity and for communication methods. As a result, the children got a better understanding of the concepts and methods of discussion along with a better sense of responsibility and belonging through role division as discussion activity was repeated. This study is expected to give guidelines for allowing discussion to become the key of instruction, not its supplementary means, and help teachers apply it in practice. 본 연구는 만 5세 유아들의 소집단 토의활동을 효과적으로 운영하기 위한 방안을 모색하여 실행하고, 운영방안에 따른 유아의 변화를 살펴보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연구는 2017년 8월 1일부터 2017년 11월 7일까지 서울시에 소재한 공립초등학교병설유치원 만 5세 학급에서 이루어졌으며 연구대상은 학급 유아 18명이다. 교육활동은 연구자가 직접 실시했으며 이를 녹화 후 소집단 토의활동 전사, 토의활동 결과물, 유아의 관찰기록, 연구자 저널 등 자료를 수집하여 분석하였다. 만 5세 유아를 위한 소집단 토의활동의 효과적인 운영방안은 첫째, 소집단 경험하기, 토의활동 기초 개념 이해 및 약속 정하기, 주제를 선정하여 토의하기였다. 둘째, 소집단 내의 역할분담과 유아의 의견을 반영한 소집단 재구성이었다. 셋째, 유아의 놀이시간 보장 및 생활주제와 연계된 토의활동을 실시하고 지속적인 유아의 토의활동 참여태도 및 의사소통 방법을 지도하였다. 그 결과 유아는 토의활동이 거듭되면서 토의 개념과 방법에 대한 이해력이 신장되었으며 역할분담을 통해 책임감과 소속감이 향상되었다. 본 연구를 통해 현장에서 토의가 수업의 보조적인 수단이 아닌 수업의 핵심이 될 수 있는 작은 지침이 되어 교사들이 실제로 적용하는데 도움이 될 수 있기를 기대한다.

      • 토의활동 중심 유아참여권 증진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나정숙,김경숙 한국어린이미디어학회 2019 한국어린이미디어학회 학술대회 자료집 Vol.2019 No.6

        본 연구는 아동권리협약의 기본권 중 유아들에게 가장 미진한 권리로 보고 된 참여권을 증진하고자 토의활동 중심 유아참여권 증진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그 효과를 분석하는데 연구의 목적이 있다. 본 프로그램을 개발하기 위해 유아 인권교육 관련 문헌 및 선행연구를 토대로 목적 및 목표를 추출하였으며, 국내·외 학자들이 공통적으로 참여권 관련 조항으로 선정한 것을 토대로 교육내용을 개발하였다. 유아 인권교육과 토의활동의 선행연구를 분석하고 그 결과를 종합하여 교수-학습 단계를 개발하였으며 본 프로그램의 활동은 전문가의 추천활동 및 선행연구를 분석하여 교육내용 범주와 토의주제, 형태, 제시방법을 고려하여 16개 활동을 선정하였다. 유아교육 전문가와 현장전문가들에게 프로그램의 적합성과 내용타당도를 검증받았으며 개발된 본 프로그램은 유아의 인권관련 태도와 또래 상호작용 증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토의활동 중심 유아참여권 증진 프로그램이 유아의 참여권 증진을 위한 체계성과 현장 적용성을 갖춘 프로그램으로서 유아교육 현장에 적용 가능 하다는 점을 시사하고 있다.

      • KCI등재

        토의활동 중심 유아참여권 증진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나정숙(Na Jung Sook),김경숙(Kim Kyung Sook) 한국어린이미디어학회 2020 어린이미디어연구 Vol.19 No.1

        본 연구는 아동권리협약의 기본권 중 유아들에게 가장 미진한 권리로 보고 된 참여권을 증진하고자 토의활동 중심 유아참여권 증진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그 효과를 분석하는데 연구의 목적이 있다. 본 프로그램을 개발하기 위해 먼저, 유아 인권교육 관련 문헌 및 선행연구를 토대로 목적 및 목표를 추출하였으며, 교육내용은 국내⋅외 학자들이 공통적으로 참여권 관련 조항으로 선정한 것을 토대로 개발하였다. 유아인권교육과 토의활동 선행연구를 분석하여 교수-학습 단계를 개발하였으며 본 프로그램의 활동은 전문가의 추천활동 및 선행연구를 분석하고 교육내용 범주와 토의주제, 형태, 제시방법을 고려하여 16개 활동을 선정하였다. 유아교육 전문가와 현장전문가들에게 프로그램의 적합성과 내용타당도를 검증받았다. 이에 개발된 본 프로그램은 유아의 인권관련 태도와 또래 상호작용 증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토의활동 중심 유아참여권 증진 프로그램이 유아의 참여권 증진을 위한 체계성과 현장 적용성을 갖춘 프로그램으로서 유아교육 현장에 적용 가능 하다는 점을 시사하고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 discussion activity-based program to promote early childhood participation and to analyze its effects to promote the right of their participation, reported as the least among the basic rights of the Convention. To develop this program, we first extracted the purpose and objectives based on literatures and previous studies related to early childhood human rights education. With appropriate consideration to educational content categories, discussion topics, form and presentation methods, 16 activities of this program were selected based on the analysis of recommendations for activities by experts and previous studies. Content reliability and validity have been verified for each activities. The results of the program was found to have a positive effect on children’s human rights attitudes and peer interaction. These findings suggest that discussion-based infant participation promotion program can be applied to the field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as a systematic and on-site applicale program for promoting infant participation rights.

      • 효 관련 그림책을 활용한 토의활동이 유아의 효 관련 행동에 미치는 영향

        이선화 한국교원대학교 유아교육연구소 2014 한국유아교육연구 Vol.16 No.2

        이 연구의 목적은 효 관련 그림책을 활용한 토의활동을 실시했을 때 유아의 효 관련 행동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는 데 있다. 이를 위해 경기도 이천시에 소재한 A병설유치원 1개 학급에 재원중인 만 5세 유아 27명(남17명, 여10명)이었다. 연구 도구는 유아의 효 관련 행동을 알아보기 위해 박석일(2001)이 초등학생의 효행 실태를 알아보기 위해 제작한 설문지 문항을 토대로 유아에게 적합하게 수정·보완한 유아 효 관련 행동 설문지를 사용하였다. 실험처치는 효 관련 그림책을 활용한 토의활동을 2013년 10월 14일(월) ~ 2013년 12월 20일(금)까지 10주 동안 주 1회씩 총 10회의 교육활동을 자유선택활동시간에 20~25분씩 모둠별로 실시하였다. 자료 처리는 연구문제에 따라 효 관련 그림책을 활용한 토의활동이 유아의 효 관련 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효 관련 그림책을 활용한 토의활동을 경험한 집단의 사전․사후 점수 차이에 대하여 대응표본 t검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효 관련 그림책을 활용한 토의활동이 유아의 효 관련 행동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p< .001)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는 효 관련 그림책을 활용한 토의활동이 유아의 효 관련 행동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을 의미한다. The subjects for this study were 27 children(17 boys, 10 girls) at the age of five from one class of a kindergarten attached to an A Elementary School located at Icheon city in Geonggi Province. And the material as the tool for the study, was based on the questionnaire which was already used for Seokil Park(2001) who was an elementary school at that time because of finding out the actual conditions of filial behavior, but the questionnaire was evaluated and revised for the study. For the experiment for the study, the small group discussion activities using picture books about filial duty was carried out for once a week, total ten times from October 14(Mon), 2013 through December 20(Fri), 2013, during which ten educational activities were conducted for about 20-25 minutes of their Free Choice Activities by group. As for the handling of the data, the paired t-test was conducted on the remaining score of post experiment was subtracted by preliminary score to check the differences of the effect of small group discussion activities using picture books about filial duty on young children's filial behavior. The result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Small group discussion activities using picture books about filial duty has shown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p<.001), which means it has positive effect on a child’s filial behavior. First, the small group discussion activities using picture books about filial duty was revealed to hav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stinction(p<.001) in the behavior of being thankful the parents’ love, a sub factor of a child’s filial behavior, and this represented that the activity had positive effect on a child’s behavior of being thankful the parents’ love. Second, the small group discussion activities using picture books about filial duty showed that it had statistically meaningful disparity(p<.01) in the attitude towards parents, a sub factor of a child’s filial behavior, indicating that the activity has positive effect on a child’s attitude towards parents. Third, the small group discussion activities using picture books about filial duty was believed to show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p<.001) in the behavior for pleasing parents, a sub factor of a child’s filial behavior, indicating that the activity has positive effect on a child’s behavior for pleasing parents. Fourth, the small group discussion activities using picture books about filial duty revealed that it made statistically significant gap(p<.01) in the obedient behavior towards parents, a sub factor of a child’s filial behavior, which led to the positive effect of the activity on a child’s obedient behavior towards parents. Fifth, the small group discussion activities using picture books about filial duty revealed statistically meaningful difference(p<.05) in the brotherly affection, a sub factor of a child’s filial behavior, indicating that the activity has positive effect on a child’s brotherly affection. Sixth and the last, the small group discussion activities using picture books about filial duty showed that it had statistically meaningful disparity(p<.01) in the respect towards elders, a sub factor of a child’s filial behavior, indicating that the activity has positive effect on a child’s respect towards elders.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how experiencing activities developing responsibility effect young children's practice of making relationships with self and others. For the purpose, 27 five-year-old children participated 12 activities developing responsibility during 6 weeks, and each child experienced 12 activities. The difference of pre- and post-test performances of making relationship with self and others were compared. Results of this study were, first, young children’s self-esteem presented as performance of making relationship with self,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of self perception on performance ability of cognitive ability and mother acceptance. Second, young children’s peer acceptance presented as performance of making relationship with others,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on all sub-categories of social ability, social spontaneity, and leadership. These results show the possibility of implementation of activities developing responsibility and verify that activities developing responsibility can be the major experience to realize a desirable development through the change of the performance of making relationships with self and others.

      • KCI등재

        토의를 통한 경제교육활동이 유아의 창의적 인성 및 수학능력에 미치는 영향

        곽현주,이예숙 한국영유아교원교육학회 2013 유아교육학논집 Vol.17 No.5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influence of early childhood economic education through discussion activities on children’s creative personality and mathematical ability. In this study, The experimental group and the comparison group was composed of fifty-six 5-year-old children. The experimental group was involved in 13 times of economic activity through discussion activity for 8 weeks. In the experimental group, discussion activities connected to large and small group activities or free choice activities were applied.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early childhood economic education through discussion activities positively influenced children’s creative personality. Second, the early childhood economic education through discussion activities positively influenced children’s mathematical ability. Therefore, the activities developed in this study can be an effective approach for economic education for children. 본 연구는 토의를 통한 경제교육활동이 유아의 창의적 인성 및 수학능력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는 데 목적이 있다. 연구대상으로 만 5세 유아 56명을 실험집단과 비교집단으로 구성하였다. 실험집단 유아들에게는 토의활동을 한 후 대소집단활동이나 자유선택활동으로 확장한 경제교육활동을 8주간 13개를 실시하였다. 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창의적 인성 검사와 수학능력 검사를 사전, 사후로 실시하여 점수의 차를 통계처리 하였다. 연구결과, 토의를 통한 경제교육 활동은 유아의 창의적 인성과 수학능력에 긍정적인 효과가 있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유아교육 현장에서 적용 가능한 경제교육활동의 접근 방법을 의미 있게 제안하였다.

      • KCI등재

        그림책 활용 또래중재 문제해결 토의활동이 유아의 배려적 사고에 미치는 영향

        이윤옥 ( Yeun Ok Lee ) 한국어린이문학교육학회 2014 어린이문학교육연구 Vol.15 No.4

        본 연구는 만5세 유아들의 인성함양을 목적으로 그림책을 활용하여 또래중재 기법에 의한 문제해결 토의활동을 구안하여 그 적용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수행되었다. 연구대상은 서울에 소재한 유치원에 재원중인 만 5세 학급의 유아32명을 선정하여 실험집단 유아들에게 또래중재 기법에 의한 문제해결 토의활동을 9주 동안 실시하였다. 문제해결 토의활동의 내용은 배려적 사고의 구성요소를 내포한 그림책 선정과 이에 대한 브레인스토밍, 문제해결 토의상황과 또래협동 과제로 구성하였으며, 문제해결 토의활동의 교수·학습 방법은 문제해결 인식단계, 문제해결 토의단계, 문제해결 수행단계, 문제해결 평가단계로 구성하였다. 연구결과, 또래중재 기법에 기초한 문제해결 토의활동을 적용한 실험집단 유아들의 배려적 사고가 증진된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mprove the caring thinking ability of children through the problem solving discussion activities through fairy tales based peer intervention. The following research question was formulated to address the purpose of this study: How does the problem solving discussion activities through fairy tales affect young children`s caring thinking ability? The subjects for this study were 32 children at the age of five from two kindergartens in Seoul City. The experimental group consisted of 15 children and the control group was made up of 17 children. The measuring tool for the study, which was developed by Lee Choon-hee(2007) was based on the type characteristics ofcaring thinking by Lipman (2003). The problem solving discussion activities through fairy talesbased peer intervention composed of 9 sessions was developed on the basis of related four steps: The children participated in the problem solving discussion activity with social competent peers for 9 weeks by theirteachers. They completed three-four activities, 30~40 minutes-per-activity and one cooperative game per week. The results were as follows: the children showed a significant increase in caring thinking ability. This fact implies that the problem solving discussion activities through fairy tales based peer intervention is effective for the improvement of young children´s caring thinking ability.

      • 소집단 토의활동이 유아의 비판적 사고에 미치는 영향

        임혜란(Hye Ran Im),오은순(Enu soon Oh) 한국포괄영유아아동교육지원학회 2014 포괄영유아,아동교육지원연구 Vol.2 No.1

        This study aims to discover how small group discussion activity affects the critical thinking of infants. In order to achieve this purpose, the study set up the following research questions. For research subjects, there were 25 infants in an experimental group and 25 infants in a control group. As a test tool used for proving this study, the study used a “critical thinking test tool” created by Kim Hyeong-gyeong (2002) in order to discover the level of critical thinking of infants. This study proceeded in the order of preliminary test, pre-test, experimental treatment, and post-test. For data analysis, the study conducted a linear mixed model analysis using the SAS 9.2 program, and applied the interactions between groups, time, and groups and time with a fixed condition. Then the study applied a non-structural variance covariance matrix while taking time as a repetitive condit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include the following. Among the critical thinking functions, recognition of different perspectives, talking about the reason by determination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Meanwhile there w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results for proof of thinking and forecasting of results, applying standards applied to others to me. In conclusion, small group discussion activity has an effect on the critical thinking of infants. 본 연구는 소집단 토의활동이 유아의 비판적 사고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연구는 2013년 4월부터 6월까지 진행하였고, 연구대상은 경북 구미시에 소재한 D유치원의 만 5세 두 학급의 유아 50명을 대상(실험집단 25명, 통제집단 25명)이였으며, 자료 분석은 선형혼합모형(Linear Mixed model)을 사용하였다. 본 연구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소집단 토의활동을 경험한 실험집단 유아는 통제집단유아보다 ‘서로 다른 관점 인식하기’에서 의미 있게 향상되었다. 둘째, 소집단 토의활동을 경험한 실험집단과 통제집단 유아 모두 ‘생각을 검증하기’에서는 사전검사와 사후검사의 점수에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셋째, 소집단 토의활동을 경험한 실험집단 유아는 통제집단 유아보다 판단하여 이유 말하기 에서 의미 있게 향상되었다. 넷째, 소집단 토의활동을 경험한 실험집단과 통제집단 유아 모두 ‘결과 예측하기’에서는 사전검사와 사후검사의 점수에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다섯째, 소집단 토의활동을 경험한 실험집단과 통제집단 유아 모두 ‘타인에게 적용한 기준을 나에게 적용해 보기’에서는 사전검사와 사후검사의 점수에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 KCI등재

        그림책을 활용한 토의활동이 유아 리더십과 정서지능에 미치는 영향

        김은실 ( Kim Eun-sil ),김낙흥 ( Kim Nak-heung ) 한국어린이문학교육학회 2016 어린이문학교육연구 Vol.17 No.3

        본 연구는 그림책을 활용한 토의활동이 유아 리더십과 정서지능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가를 알아보고자 서울시 K구에 위치한 만 5세 유아 48명(실험집단 23명, 비교집단 25명)을 대상으로 실험연구를 실시하였다. 실험집단에게는 그림책을 활용한 토의활동을 실시하고 비교집단에게는 같은 그림책을 읽어주기만 하였다. 실험은 8주간 주 2회 총 16차시에 걸쳐 이루어졌고, 사전ㆍ사후 검사를 위해 교사용 유아 리더십 측정도구와 정서지능 척도를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1.0을 이용하여 집단 간 평균의 차이를 독립표본 t-검정으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그림책을 활용한 토의활동 여부의 집단 간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고 실험집단에서 그림책을 활용한 토의활동을 하고 난뒤 유아 리더십과 정서지능은 토의활동을 실시하기 전보다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는 그림책을 활용한 토의활동의 교육적 가치를 재확인하였을 뿐 아니라 유아의 리더십과 정서 발달을 위해 이러한 교육적 접근을 유아교육현장에서 활용할 수 있는 토대를 마련하였다. This study investigated how children’s discussion activities using picture books affect the leadership and emotional intelligence of children. S kindergarten located in K district, Seoul was selected for this study. The subjects included 48 five-year-old children: 23 for the experimental group, 25 for the comparison group. The teacher of the experimental group read aloud picture books and held discussion activities. The treatment was given 16 times to the experimental group from August 30 to September 23, 2015 (for about 8 weeks). Prior to and after the experiment, pre-examination and post-examination were done. Each examination was done by measuring the children``s leadership and emotional intelligence. The data were analyzed by independent-sample t-test using the SPSS 21.0 program.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results show that the children’s discussion activities using picture books had a positive influence on their leadership. Improvement in the experimental group was found for every sub-construct of leadership assessment: challenge and confidence, respect for others, self-control, and problem solving. Second, the results show that the children’s discussion activities using the picture books had a positive influence on their emotional intelligence. Three sub-constructs of emotional assessment were encouraged: self-awareness, self-management, and empathy. However, the results show that the children’s discussion activities using picture books did not affect their social skill which is included in emotional intelligenc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