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조(調)가 지시하는 선법과 토리의 개념

        이보형 한국국악학회 2012 한국음악연구 Vol.51 No.-

        조(調=Diao)’라는 음악용어는 중국에서 비롯되었는데 이것은 선법, key, 노래곡조양식 등 여러 가지음악적 개념을 지시하고 있다. 여러 음악적 개념을 조라는 한 가지 용어로 지시하는 것이 혼란스러우므로 근래에 중국음악에서는 조의 선법 개념은 조식(調式), key 개념은 조성(調聲) 또는 조고(調高), 노래곡조양식 개념은 조 또는 강조(腔調=Tiangdiao)라 변별하여 지시하고 있다. 필자는 한국에서도 조의 선법의 개념은 조(調), key의 개념은 ‘청’, 노래곡조양식의 개념은 ‘토리(Tori)’라 변별하여 지시하자고 주장하여 왔다. 그런데 한편 이를 모두 ‘조’라는 용어로 통일하여 지시하자는 의견이 나왔다. 본 논문은조가 지니는 여러 개념을 한 가지 용어로 지시하게 되면 혼란이 있으므로 조의 여러 개념에 따라 다른용어로 지시하자고 다시 주장하기 위하여 조의 ‘선법’ 개념과 ‘토리’ 개념이 다르다는 것을 밝힌 것이다. 본 논문에서는 먼저 선법의 개념을 정리하기 위하여 여러 민족의 음악에서 선법끼리 변별되는 음악적특징은 반드시 궁(宮), 수조음(首調音), Sa 등으로 지시되는 선법적 주음(중심음)이 규명되어야 하고, 이선법적 주음을 기준으로 하여 각 구성음간의 음정 차이를 규명해야 한다는 것을 밝혔다. 그러나 한국의노래곡조양식인 ‘토리’에는 선법끼리 변별되는 특징으로 구명할 수 없는 특성이 있다는 것을 밝혔다. 먼저 메나리토리, 육자배기토리, 성주풀이토리(남도경토리), 창부타령토리(진경토리), 수심가토리에 나타나는 토리의 음악적 특징을 밝히고, 이들 토리끼리 변별되는 음악적 특징을 추려 보았다. 토리에는선법적 특성으로 변별되는 것도 있지만 오히려 선법적 주음(중심음)을 밝히기 어려운 것들이 있어 시김새 차이, 중요음의 음정 차이, 관용적 선율형 차이 등 여러 가지 특성 차이로 변별되는 점을 밝힌 것이다. 이런 특성은 중국음악의 강조(腔調), 베트남음악의 Hoi과 같은 노래곡조양식에서도 볼 수 있었다. 토리 특성 가운데 중심음이 애매한 경우에는 선법적 특성으로 규명할 수 없고 시김새 차이로 변별되는 특성, 중요음 간의 음정구조 차이, 관용적 선율형과 같은 다른 특성으로 토리끼리 변별되는 특성을규명할 수 있다는 것이다. 이와 같이 조의 여러 개념 가운에 선법 개념과 토리 개념은 서로 달라서 이것을 ‘조’라는 용어로 함께지시하게 되면 혼란이 있으므로 중국음악이나 베트남음악에서 그런 것처럼 한국음악에서도 조의 여러개념에 따라 선법의 개념은 조(調), key의 개념은 ‘청’, 노래곡조양식의 개념은 ‘토리(Tori)’라 하여 의미및 개념에 따라 다른 용어로 지시하는 것이 합리적이라고 주장하는 것이다. A musical terminology of “Jo(調)” came from that of Chinese, of which meaning indicates various musical meanings such as mode, key, and style. Because it's very confusing to designate a concept with a single terminology, Chinese musicologists subdivide it into Diaoshi(調式) for mode, Diaosheng(調聲) for key, and Qiangdiao(腔調) for style. I have claimed to name it as Jo(調, 조) for mode, Cheong(청) for key, and Tori(토리) for style. Mean while, there's another opinion to call all of it as a single word of “Jo” in Korea. This thesis is to tell the difference between the concept of Mode and Tori, and to subdivide their terminologies according to its meanings. Otherwise, we could face nothing but confusion to grasp the idea in one terminology with no subdivided terminologies. To prove the difference between Mode and Tori, I summarized musical characteristics among those of Korean, Chinese, and Vietnamese. As a result, I figured out that a music should be equiped with center tone(中心音),designated as 宮, 首調音, or Sa. The characteristics, where their mode differs lie on its interval between organized tones in a scale. Tori does not always possess its center tone(中心音) within folksongs or shaman ritual music. The characteristics among Tori are made by many variants such as intervals between organized tones, grace notes, and the intervals of major tones, idiomatic melodies, and so on. These characteristics are also appear in Chinese and Vietnamese music. Mean while, it is impossible to call it a “characteristics” in such cases that they have uncertain center tone, subdivided its characteristics by grace notes, discrimination by intervals between major tones. Like the above, the concept of Mode and Tori is different. It is strongly confusing when we call it only with a sing terminology without subdivision. Therefore, I claim to name them with different terminologies according to each meanings of their concept such as Jo (調, 조) for mode, Cheong(청) for key, and Tori(토리) for style like people do in Vietnam and China.

      • KCI등재

        토석류 유도둑의 도류각에 따른 퇴적형태 및 충격파 위치의 변화에 관한 실험적 연구

        김진학,서정일,김석우,이상인,이윤태,전근우 경상대학교 농업생명과학연구원 2018 농업생명과학연구 Vol.52 No.3

        이 논문은 상류로부터 유입되는 토석을 도시생활권의 목표공간까지 유도하기 위한 유도둑의 도류 각 변화에 따른 토석류 퇴적형태 및 최대 충격파고의 변화를 파악할 목적으로 실시한 실내 모형실험 결과를 정리한 것이다. 실험결과, 유도둑이 상류에서 발생한 토석류를 목표로 하는 방향으로 유도하는 데 매우 효과적인 것으로 파악되었다. 또한 유도둑의 도류각이 30° 이상일 경우 토석류의 유심이 유도둑과 충돌하여 에너지가 손실됨으로써 토석의 퇴적이 발생하였다. 특히, 유도둑의 도류각이 0° 에서 30°까지 증가할수록 퇴적토석의 폭이 점차 좁아지고 두꺼워지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유도둑의 도류각이 45°인 경우에는 지나친 통수단면의 감소를 초래하여 상류구간에서 토석퇴적의 집중도가 높아 토석류가 유도둑을 월류하여 범람할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판단되었다. 한편, 유도둑의 도류각이 30° 이하일 경우 토석류의 최대 충격파고는 유심선과 유도둑이 만나는 지점에서 형성되고, 이 지점을 기준으로 실험 중에 상류구간에서 최대의 토석퇴적이 형성되며, 실험 종료 후 하류구간에서 토석 퇴적의 피크가 낮게 형성되었다. 다만, 유도둑의 도류각이 45°인 경우에는 최대 충격파고가 실험 중 최대 토석퇴적이 발생한 지점에서 매우 높게 형성되는 것으로 나타나 토석이 집중적으로 퇴적되어 후속류 등에 의한 토석의 유도에 효과적이지 못할 것으로 판단된다. 비록 이번 연구를 통하여 유도 둑이 토석류 처리에 유효하다는 점은 확인되었지만, 토석류의 충격파고에 따른 유도둑의 적정 유효고 설정에 관한 수리학적 연구가 추후 필요하며, 나아가 이러한 설계기준을 근거로 현지적용에 대한 시공기준을 정립하여야 할 것이다. This paper summarized the results of flume experiment conducted to determine the sediment storage pattern and the peak water wave of debris flows in accordance with the changes in the deflecting angle of debris-flow guide bank, that guides debris flows to target space in urban areas. The result showed that the guide bank was very effective in guiding debris flows to target direction. In case of the deflecting angle was more than 30°, an energy loss, caused by collision between the thalweg of debris flows and the guide bank, occurred, thereby causing sedimentation. In particular, the sedimentation was gradually narrower and thicker as the deflecting angle increases from 0° to 30°. However, when the deflecting angle reached 45°, the debris flows were likely to run over the guide bank due to excessive reduction of cross-sectional flow area. When the deflecting angle was less than 30°, the peak water wave of debris flows was formed where the thalweg of debris flows and the guide bank met; the maximum sediment storage was formed in the upstream section of this point during the experiment; and the peak of sediment storage was observed at low level in the downstream section of this point after the experiment. However, in case of the deflecting angle was 45°, the maximum peak water wave was highest at the point with the maximum sediment storage formed during experiment, and thus it was not likely to be effective in guiding sediment by subsequent flow due to the intensive sedimentation. Although this study showed that the guide bank was effective for guiding debris flows to target direction, the future study with hydraulic interpretations should be necessary to optimize the designed height of the guide bank and to make standards for on-site field construction.

      • KCI등재

        저감시설의 설치 유무에 따른 토석류 유출량 해석

        전계원,전병희,장창덕 위기관리 이론과 실천 2013 Crisisonomy Vol.9 No.3

        강한 호우로 인한 토사재해 중 토석류 재해는 발생시기와 위치의 예측이 어려워 이를 예방할 수 있는 저감시설의 도입에 대한 연구가 필요한 분야이다. 2006년 강원도에 발생한 대규모 산사태 및 토석류 재해와 2011년 7월 서울 서초구 우면산 일원 및 춘천시 천전리 일대의 토석류 재해 발생은 이러한 점을 잘 나타내는 사건이라 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실제 토석류 발생 실험을 수행한 연구지역을 대상으로 저감시설물(사방댐)의 설치 유무에 따른 토석류 발생량을 예측하여 토석류 저감시설의 저감효과를 분석해보았다. 토석류 발생량 예측에는 침식과 퇴적의 모의가 가능한 1차원 수치해석모형을 이용하였다. 토석류 유하구간을 상류부, 하류부 및 유출부로 나누어 토석류 발생량을 분석한 결과 저감시설물 설치 시 발생하는 토석류 체적을 미 설치 시에 비해 약 27% 감소시키는 저감효과를 나타내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 신라 장경호 부장 정형과 신라 토기의 확산

        김대환(Kim,Dae-hwan) 중앙문화재연구원 2012 중앙고고연구 Vol.0 No.11

        이 글은 신라 고분에서 확인되는 장경호 부장 정형(pattern)을 찾아 기술하고, 이를 통해 신라 토기 확산에 대한 2가지 가설인 ‘토기제사법(土器祭祀法)’과 ‘양식적 선택압 (selective pressure)’의 실체를 설명하면서 신라 토기의 지방 확산론을 재검토한 것이 다. 장경호 부장 정형이란 신라 고분에서 토기를 부장할 때, 동일한 형태 또는 유사한 장 경호를 망자의 머리 쪽에 세트로 부장하는 방식을 말한다. 이것은 신라 고분이 분포하는 대부분 지역의 대형 무덤과 중·소형 무덤에서 많이 확인된다. 장경호 부장 정형은 시기적으로 볼 때, 신라 중앙인 경주지역에서 먼저 출현한 후 신라 지방에 점차 나타난다. 장경호 부장은 지역에 따라 세부적인 차이는 있으나 광범위한 정형이 확인되는 것이 큰 특 징이다. 이러한 정형은 기왕에 제안된 ‘토기제사법’과 밀접한 관련이 있다고 생각되며, ‘토기제사법’의 실체는 이러한 장경호를 이용하는 제사 및 이와 같은 토기의 최종적인 배 치나 배열과 관련이 깊다고 생각한다. ‘양식적 선택압’은 신라 토기의 확산을 설명하는 중요한 가설 중 하나인데, 신라 정치 지배력의 확대를 전제로 한다. 그러나 ‘양식적 선택압’ 은 ‘토기제사법’의 수용 과정으로 볼 때, 신라 중앙에서 일방적으로 발신되는 것이 아니 다. 다시 말해, 장경호 부장 방법과 같은 ‘토기제사법’을 수용하는 과정에서 지역마다 다양한 방식으로 나타난다. 따라서 신라 토기의 확산 과정은 신라 지배력의 확대와 같은 정치적 요인뿐만 아니라 좀 더 다양한 관점에서 논의가 필요하다고 생각한다. This article is to find out and describe Pattern of Jar with long necked Burial which can be seen in tombs of Shilla Dynasty so that the truth of two hypotheses on the spread of Shilla earthenware, ‘Funeral Ceremony Mode with earthenware’ and ‘Selective Pressure’, may be explained along with the review of the theory that Shilla earthenware was spread into provinces. Pattern of Jar with long necked Burial is to bury a pair of jars called Jar with long necked with identical or similar shape at the head of the dead when Shilla people buried earthenware along with the dead body, which is confirmed in small, medium and large tombs in most areas which are spread with ancient Shilla tombs. From the viewpoint of time, this pattern appeared first in Gyoungju-city area, the central part of Shilla Kingdom and then spread to provinces gradually. The burial of Jar with long necked shows detailed difference by province, but its extensive pattern is characteristically confirmed. This pattern is thought to be closely related to ‘Funeral Ceremony with Earthenware’ proposed in the past and its substance is assumed to be arrangement or placement of earthenware like Jar with long necked. ‘Selective Pressure’, one of the very important hypotheses for explaining the spread of Shilla earthenware, presupposes the expansion of political control of Shilla Kingdom. However, when the process of accepting ‘Funeral Ceremony with Earthenware’ is considered, Selective Pressure was not unilaterally sent from the center of Shilla Kingdom. In other words, each process of accepting ‘Funeral Ceremony Mode with Earthenware’ like the burial of Jar with long necked is seen different at each area. Accordingly, it is thought that the process for earthenware of Shilla Dynasty to spread needs the discussion from various viewpoints as well as any political factors like the expansion of Shilla's control.

      • KCI등재

        영남지방 목곽묘 출토 신선로형토기의 출현과 성격

        이원태 영남고고학회 2018 嶺南考古學 Vol.- No.81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iscuss the emergence and character of chafingdish- shaped earthenware found in the wooden chamber tomb of Yeongnam Region from the Early Age of Three Empires. As a result, it shows that the chafing-dish-shaped earthenware from wooden chamber tomb in Young-nam area in Proto Three Kingdoms Age was found mainly in Ulsan and Gyeongju region, based on the current data only, and developed in Gyeongju district zone. Existing study divides chronology of the chafing-dish-shaped earthenware into 4 phases. The 1st phase is in the early 3rd century A.D., the 2nd phase in the mid 3rd century A.D., the 3rd phase in the late 3rd century A.D. and the 4th phase in the early 4th century A.D.. Hence, the chafing-dish-shaped earthenware started to appear in the early 3rd century A.D. and continued to last until the early 4th century A.D. Considering the accompanied relics and the scale of wooden chamber tomb, chafingdish- shaped earthenware seems to reflect the authority of people. In other words, it is possible that even the same earthenware can take different forms for the commoners and the ruling class. However, the accompanied relics and the scale of wooden chamber tomb degraded from the early 4th Century B.C. and chafing-dish-shaped earthenware weakened its representation of authority. Also, chafing-dish-shaped earthenware was newly developed along with other ceremonial earthenware. Considering the accompanied steel artifacts, they are rather unpractical to prove that they were related to ceremonies. In sum, chafing-dish-shaped earthenware seems to reflect the character of authority and ceremonies. 이 글은 원삼국시대 영남지방 목곽묘 출토 신선로형토기의 출현과 성격에 주목하여 접근하였다. 그 결과 원삼국시대 영남지방 목곽묘 출토 신선로형토기는 현재 자료에 한정하면 경주와 울산지역에 집중되어 경주권역을 중심으로 전개된다. 신선로형토기의 편년은 기존의 연구 성과에 적용하면 기원 3세기 전엽에 출현하여 기원 4세기 전엽까지 연속해서존속한다. 신선로형토기의 지역별 출현양상은 기원 3세기 전엽에 울산과 김해지역에서 처음 출현하여 기원 3세기 중·후엽까지 전개된다. 반면에 경주지역은 울산과 김해지역보다 늦은 기원 3세기 중엽에 출현하지만 4세기 전엽까지 전개되고출토량도 가장 많아 신선로형토기의 중심이다. 신선로형토기의 성격은 동반유물과 목곽묘 규모를 통해 볼 때 위세품적 성격이 반영된 것으로 보았다. 결국 토기라는 같은 물품의 범주 내에서도 평민의 토기와 지배층 토기는 생산이 차별화될 수 있다는 점을 고려해 볼 때 그 가능성은 크다. 하지만 신선로형토기는 기원 4세기 전엽부터 동반유물과 목곽묘 규모도 빈약해져서 위세품적 성격이 약화되어 시기에 따라 차이를 보인다. 한편 신선로형토기는 의례용 토기의 개발, 발달이라는 당시 흐름 안에서 새롭게 개발되었는데 동반 출토된 철기류를 보더라도 비실용적인 측면이 강해 의례와 관련이 있음을 방증한다. 결론적으로 신선로형토기는 위세품적 성격과 의례적 성격이 반영된 것으로 해석하였다.

      • KCI등재

        可樂洞式土器의 初現과 系統

        裵 眞 晟 부산고고학회 2012 고고광장 Vol.- No.11

        요동반도에서 이중구연각목문의 深鉢이나 甕은 신석기시대의 산동용산문화 병행기부터 청동기 시대의 요령식동검이 등장하는 때까지 상당히 오랜 기간 지속되었고, 단동지구와 압록강하류역에도 이중구연각목문토기와 각목돌대문토기가 확인된다. 압록강 이남의 청천강유역부터는 청동기시 대에 들어서면서 이중구연각목문토기가 본격화하는데, 이러한 양상은 남한도 마찬가지이다. 남한 무문토기에 있어 이중구연각목문토기와 가락동식토기는 동일 개념으로 사용되어 온 경향이 강했지 만, 그렇게 되면 가락동식토기의 출현 시기나 지역색 및 계통의 파악 등 고고학적 해석은 혼란스러 워진다. 그래서 본고에서는 이중구연의 폭이 넓고 동체로부터의 융기가 약한 둔산 2호·용정동· 사양리·수당리 1호 출토품 등을‘ 가락동식토기’로, 연기 대평리처럼 이중구연의 폭이 좁은 것을 ‘요동계이중구연(각목문)토기’로 구분하였다. 요동반도에도 폭이 넓은 이중구연은 주로 쌍타자 Ⅲ 기 이후 시기에 집중된다. 대부분의 연구에서 쌍타자 Ⅲ기는 주로 남한의 早期와 병행하므로, 이에 후행하는 목양성Ⅰ류토기와 상마석상층기의 이른 시기는 남한의 前期 前半에 병행한다고 보면, 이시기에 폭이 넓은 이중구연의 유행은 요동반도와 남한의 금강유역에 공통되는 흐름으로 볼 수 있다. 남한에서 돌대문토기와 공반하는 이중구연각목문토기를 단지 이중구연과 각목문이라는 요소만 으로 가락동식토기라고 한다면 가락동식토기의 출현은 조기이겠지만, 앞에서와 같이 요동계이중구 연과 구분하면 前期가 될 것이다. 이러한 가락동식토기는 요동지역과 한반도를 포함한 동북아시아 이중구연각목문토기 전반에 흐르는 변화의 경향에 在地 요동계이중구연으로부터의 변화가 더해져서 錦江流域化 된 토기로 해석할 수 있다.

      • KCI등재후보

        수심가토리 지도의 문제점과 개선 방안

        한윤이 한국국악교육학회 2020 국악교육 Vol.50 No.50

        Tori is one of the most critical instructional concepts in teaching Korean music melodies. After the 2007 Revised Curriculum, when the instruction on tori was in full swing, studies related to this have been conducted in various ways, but there are still problems in the real classroom. Thus, this study aimed to examine the current status of the instruction on susimga-tori among folk songs and present problems and improvement plans to help the tori education be properly implemented. To this end, the study first reviewed the instructional contents and the teaching and learning activities and methods of susimga-tori presented in current elementary and middle school music textbooks to examine the status of the instruction comprehensively. As a result, it was found that the instructional contents in elementary and middle school music textbooks included the definition of terms, subtypes and constituent notes, sigimsae and singing styles, regions and their representative musical pieces, and the mood and impressions of the music. For teaching and learning activities, singing focused on the sigimsae instruction and music appreciation centered on understanding musical traits were embodied. Garakseonbo (melody line notation) and son-sigim (sigimsae expressed by hands) were suggested as a teaching and learning method. The result of the examination identified the following problems of the susimga-tori instruction in the current elementary and middle school music textbooks: 1. inconsistency between the definition of the terms using the region name and the song titles used in the terms 2. disunity in the presentation of subtypes and constituent notes 3. a music piece that does not have the typical characteristics of susimga-tori is selected as a representative piece 4. inconsistency of symbols and notations of sigimsae 5. differences in music transcription of an identical music piece 6. standardized teaching and learning activities 7. no presentation of teaching and learning methods. To solve the problems, the study suggested the improvement plans in the following: 1. definition of terms using song titles 2. precise division of subtypes and unification of constituent notes 3. selection of sigimsae responding to expression methods and matching of notation 4. unification of major notes in the same piece 5. presentation of various teaching and learning activities for singing and appreciation activities 6. planning of teaching and learning activities for susimga-tori in the area of playing musical instruments and making music 7. suggestion of teaching and learning methods using apps and various materials. 토리는 국악 지도 개념 중 국악의 가락을 지도하는 주요 개념이다. 토리의 지도가 본격화된 2007년 개정 교육과정 이후 이와 관련된 연구가 다양하게 이루어졌으나 여전히 지도에 있어서 문제점이 발생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의 목적은 민요 토리 중 수심가토리를 중심으로 지도 현황을 살펴보고 이를 바탕으로 문제점과 개선 방안으로 제시함으로써 학교 교육에서 토리 지도가 올바르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 먼저 현행 초․중학교 음악 교과서에 제시된 지도 내용과 교수․학습 활동 및 방법 등의 지도 현황을 살펴보았다. 그 결과, 음악 교과서에는 지도 내용으로 용어 정의, 하위 유형과 구성음, 시김새와 창법, 해당 지역과 대표 악곡, 음악의 느낌 등이 실려 있음을 알게 되었다. 교수․학습 활동으로는 시김새 지도 중심의 노래 부르기와 음악적 특징 이해 중심의 감상하기 활동이 구현되어 있었다. 교수․학습 방법으로는 가락선보와 손시김을 활용하는 방법이 제시되어 있었다. 현행 초․중학교 음악 교과서의 수심가토리 지도 시 문제점으로 지역명을 활용하여 용어를 정의한 점, 하위 유형의 제시와 구성음의 제시가 통일되지 않은 점, 전형적인 수심가토리의 특징을 지니지 않은 악곡을 대표 악곡으로 선정한 점, 시김새의 기호와 표기가 일치하지 않은 점. 동일 악곡의 음 채보가 다른 점, 획일된 교수․학습 활동, 교수․학습 방법의 미제시 등을 지적하였다. 이를 해결하기 위한 개선 방안으로는 악곡명을 활용한 용어 정의의 필요, 하위 유형의 정확한 구분과 구성음의 통일, 표현법에 따른 시김새 기호 선정과 표기의 일치, 동일 악곡의 주요 음의 통일, 노래 부르기와 감상하기 활동에서 다양한 교수․학습 활동의 선정, 악기 연주하기 활동과 음악 만들기 활동의 구안, 앱과 다양한 자료를 활용한 교수․학습 방법의 제시 등을 개선 방안으로 제시하였다.

      • 토석류 유동 해석을 위한 침식모형 평가

        이승준 ( Seungjun Lee ),안현욱 ( Hyunuk An ),김민석 ( Minseok Kim ) 한국농공학회 2020 한국농공학회 학술대회초록집 Vol.2020 No.-

        산 경사면에서 발생하는 토석류는 지형변화에 큰 영향을 미치는 대표적인 자연재해 중 하나다. 특히, 도심지역 및 산림지역에서 발생된 토석류는 유동 및 퇴적과정에서 막대한 인명 및 재산 피해를 야기할 수 있다. 이에 여러 선행연구들에선 수치모형을 활용하여 토석류의 유동과정과 피해규모를 분석하여 토석류로 인한 피해를 예측하고 이를 저감시키고자 하였다. 또한 최근 10년 동안 정화도 높은 예측을 위해 토석류의 침식 및 연행작용에 대한 연구들이 활발하게 이루어졌다. 침식 및 연행작용은 토석류의 유동과 퇴적과정에 큰 영향을 미치기에 토석류 분석 및 예측에 있어서 필수적으로 고려되어야하는 요소이다. 하지만 국내·외적으로 다양한 침식 및 연행작용 알고리즘(이하 침식모형)을 고려하여 분석한 연구는 아직 미비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는 다양한 침식모형과 유동모형을 선택하여 각 침식모형에 따른 토석류의 유동과 피해규모를 분석하였다. 토석류 분석에는 국내에서 개발되어 여러 유동 및 침식모형을 선택하여 모의·분석할 수 있는 Deb2D 모형을 활용하였다. Deb2D 모형은 2차원 수치해석 모형으로 적응형 격자를 기반으로 토석류를 구현하고 있으며 본 연구에선 유동 모형으론 Voellmy, Bingham 그리고 Coulomb-viscous 모형을 선택하고, 침식모형으론 Sovilla, Frank 그리고 Medina 모형을 선택하여 모의하였다. 2011년 우면산에서 발생한 일련의 산사태를 대상으로 토석류의 유동과 피해규모를 구현했으며 수치모형의 정확성 판단을 위해 현장 조사를 통해 얻어진 토석류의 피해 범위, 총 퇴적량 그리고 특정 지점에서 관측된 최대 퇴적 높이 및 최대 속도를 비교자료로 활용하였다. 특히, 연구지역의 토석류 발생 전·후 DEMs(Digital Elevation Models)을 활용하여 공간에 따른 침식 깊이 자료를 구축하였으며, 이를 Deb2D 모형을 통해 분석된 침식깊이 결과와 비교·분석하였다. Deb2D 모형을 통한 토석류 모의는 성공적으로 이루어졌으며, 피해 규모를 예측하기 위해선 침식모형의 선택이 중요한 것으로 분석되어졌다.

      • KCI등재

        무문토기 취사흔의 관찰과 해석

        손준호(Son, Joon-ho),최인건(Choi, In-gun) 부산고고학회 2012 고고광장 Vol.- No.11

        필자들이 직접 취사흔을 관찰한 5개 유적 85점의 자료에, 기존 연구에서 분석 내용이 도면으로 제시된 98점을 합한 총 183점의 토기를 대상으로 몇 가지 해석을 시도해 보았다. 먼저 용량에 대하여 살펴본 결과 중소형 토기가 주로 취사에 이용되었다는 점과 후기가 되면 상대적으로 중대형 토기를 조리에 이용하는 사례가 줄어든다는 점이 확인되었다. 다음 기종별 비교를 통하여 전·후기 모두 발형토기가 다수를 차지하지만 후기가 되면 옹형이 새롭게 등장하여 발형과 호형의 역할을 일부 대신하였을 것으로 판단하였다. 그리고 완형의 경우는 일정한 취사 방식이 시기에 관계없이 존속하였을 것으로 추정하였다. 기종별 조리 방식에 대해서는 발형과 옹형이 거의 모든 조리에 이용 되는 데 반하여, 호형과 완형은 밥 짓기로 대표되는 A형 조리에 사용되지 않았음이 짐작되었다. 용량과의 관계를 보면 A형 조리에는 주로 중형 이상, 유사한 방식이 상정되지만 취사흔 분포 패턴이 다른 B형 조리에는 비교적 소형 토기가 이용되었으며, 상대적으로 많은 수분이 유지되는 조리(C형) 와 물 끓이기(D형) 등에는 소형부터 대형까지 다양한 크기의 토기가 모두 활용된 것으로 추정되었 다. 조리 방식은 시기에 따라 변화하는데, 밥 짓기 토기가 크게 감소한 반면 물 끓이는 용도의 토기가 증가하는 양상을 통해 저부 투공 토기의 시루 사용 가능성을 제기하였다. 한편, 노지 이용의 구체적인 모습은 토기를 지면에 세우고 그 주변으로 연료를 돌려 가열하는 방식으로 복원하였으며, 취사용 토기의 출토 위치를 검토하여 필요시에만 노지 근처로 옮겨 사용한 것임을 확인하였다. The authors collected 183 pottery samples, including 85 samples from 5 sites recorded by ourselves, as well as 98 samples recorded in the previous studies to investigate the cooking traces on the Mumun pottery. As a result, we pointed out the following; 1) Middle and small size pots were mainly used for cooking especially in the Late Bronze Age, 2) pottery belonging to Ong category newly appeared in LBA and they partly substituted the role of Bal bowl or Ho jar, while Bal bowl are major in the combination of Mumun pottery through time, 3) cooking method using Wan bowl did not change in the Bronze Age, 4) most of Bal bowl and Ong jar were used for cooking, while Ho and Wan were not used for rice boiling named as A type cooking. Considering the relationships between cooking traces and pot capacity, 1) A type pattern appeared mainly middle and large size, 2) on the contrary B type pattern appeared in relatively small size pots, 3) while C type, cooking which leave a lot of water inside pot after finishing cooking and D type, water boiling were observed on various size of pottery from small to large. Finally, about the pot using we concluded as follows, 1) considering the decrease of rice-boiling pots and the increase of water boiling pots, pots with a small hole on their bottom could be used for steaming, 2) they seemed to put the fuel around the pot standing on the ground, based on the structure of fireplace and cooking trace on the pottery, 3) comparing excavated context of cooking pots and cooking traces, pots were moved to the fireplace while they kept them in the other places inside the house.

      • 토석류 위험구역 설정과 재해 후 항공사진을 이용한 유효성 검토

        이광연,장수진,서기범,김석우,김경남 한국방재학회 2015 한국방재학회 학술발표대회논문집 Vol.14 No.-

        우리나라의 토석류 위험지 관리는 산림청의 산사태 위험지 관리제도와 구 소방방재청의 급경사지 관리 제도를 준용하고 있으나, 토석류 위험지를 구체적으로 관리하고 있지 못하다. 그 이유는 우리나라의 토석류 발생지의 대부분이 황폐산지의 반복되는 토석류 발생지가 아니라, 국지성 집중호우로 인해 돌발적으로 발생되는 토석류가 대부분이기 때문에 위험지 관리 대책을 수립할 수 없는 어려움이 있다. 이 연구는 지형 및 입지특성에 근거한 기준점 설정을 통해 토석류 위험구역 구획방안을 제시한 선행연구를 검토하고자 시행되었다. 2011년 7월 토석류 피해지역인 춘천시 신북읍 천전리 일원의 퇴적토사량과 토석류의 도달거리를 산정하여 위험구역을 구획하였다. 실제 피해 대상지인 2개의 유역을 연구대상지로 선정하여, 산정된 침식가능토사량(지질·계류 차수별 원단위 기준 산정법)과 운반가능토사량(총수량·용적토사농도 이용 산정법)을 현지 측량에 의해 얻어진 퇴적토사량과 비교하였다. 그 결과 침식가능토사량은 실측에 의해 얻어진 토사량과 유사한 범위에 있었고 운반가능 토사량은 과대치가 산정되었다. 토석류의 도달거리는 경험식에 지질·계류 차수별 원단위 기준 산정법으로 계산된 침식가능토사량으로 산정하였다. 경험식으로 산정된 도달거리는 수해 직후 촬영된 항공사진의 판독으로 산정한 도달거리와 비교한 결과 유사 범위에 위치하였다. 수해 직후 촬영된 항공사진을 판독하여 구획된 토석류의 퇴적범위는 구획된 토석류 위험구역 내에 위치하여 이 방법이 유효함을 확인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