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우수등재

        영산강 유역 원통형토기의 제작 집단 검토

        김수빈(Kim, Subeen) 한국고고학회 2020 한국고고학보 Vol.0 No.114

        일본의 원통하니와(圓筒埴輪)와 기형이 유사한 ‘원통형토기’는 장송의례의 목적으로 제작된 토기로 한반도에서는 주로 영산강 유역의 분묘 유적을 중심으로 출토되는 양상을 보이고 있다. 일부 선행 연구에서 제작 기법을 언급하거나 실험고고학을 통하여 제작 공정을 복원하였지만, 대부분이 속성 연구에 치중되어 고고학적 접근에 한계를 드러내 왔다. 본고에서는 이러한 선행 연구를 보완하고자 출토 사례가 증가하고 있는 영산강 유역의 자료를 대상으로 선정하여, 원통형토기의 제작 기법을 분석한 내용을 바탕으로 제작 집단의 성격을 추정해 보았다. 전체적으로 외형에 영향을 주는 투창이나 돌대 등 장식적인 요소가 거의 관찰되지 않는 I식 원통형토기는 정립 기법과 분할정립 기법을 중심으로 제작되었다. 획일적이지 않고 다양한 기형이 확인되며 같은단계에서도 다른 제작 기법을 이용하여 만들어진 원통형토기가 출현하기도 한다. 따라서 I식은 중앙의 통제를 받지 않은 재지세력을 중심으로 ‘독립적으로 전문화’된 비전업-반전업의 성격을 띠는 공인이 제작하였다고 추정되므로 외부 영향적인 의미보다는 자생적인 의미에 초점을 두어야 할 것이다. II식 원통형토기는 분할도립 기법과 도립 기법이 관찰되며, I식과 단계적으로는 이어지지만 기형과 성형 기법 및 소성도에서 큰 차이를 보이기 때문에 계승 관계가 없다고 판단된다. 또한 수량이 증가하며 획일성이 높아지기 때문에 중앙과 관련있는 일련의 생산 시스템을 공유한 ‘부속된 전문화’적인 전업의 성격을 띠는 공인이 제작하였다고 추정된다. Cylindrical pottery (圓筒形土器) was made for a special purpose, similar to that of the Japanese Entou-Haniwa (円筒埴輪). Cylindrical pottery is usually found around the burial sites of the Yeongsan River basin. Cylindrical pottery can be divided into Types I and II, based on the lower section, which best illustrates chronological characteristics. Type I cylindrical pottery has a variety of forms, with relatively small quantities excavated per site. It is believed to have been made within a socio-political production system that was not subject to central control. The Type II cylindrical pottery witnessed a transition from the upside-down technique (倒立技法) to the partial upside-down technique (分割倒 立技法). Because these production techniques appear to be very similar in each stage the production of these vessels may have been conducted under central political control. The production of cylindrical pottery, which utilized the upside-down technique (倒立技法), was similar to the way in which a large jar coffins were constructed in the Yeongsan River basin, suggesting that the group producing the pottery was aware of the existence of keyhole- shaped tombs. This paper is meaningful in that it provides data gained from systematic research based on archaeological verification by observing the cylindrical pottery of the Yeongsan River basin.

      • KCI등재

        선사토기 제작기술 변화와 의미

        천선행 호남고고학회 2023 湖南考古學報 Vol.74 No.-

        본고에서는 기존의 선사시대 토기 제작기술 연구성과를 종합하여, 선사토기 제작기술 변화양상과 변화의 배경을 살폈다. 그 결과 신석기시대에는 토기의 성형과 소성 시의 실패를 줄이기 위해, 다양한 비짐을 혼입하고 점토띠 너비를 좁게 하여 제작하는 방법을 채택한 것으로 추정하였다. 반면 청동기시대에는 유적 주변에서 구할 수 있는 비교적 점성이 있는 바탕흙을 이용하고, 이 경우 바탕흙의 가소성이 향상되어 성형 조건을 이미 갖추게 된다. 그리고 좀 더 원활하고 신속하게 제작할 수 있도록 점토띠 너비가 넓어진다. 따라서 무문토기는 토기 성형을 위한 조건이 갖추어졌고, 성형보다는 소성 시의 실패품을 감소시키고, 연료 절감을 도모하며 소성온도를 안정적으로 유지하고 균일한 소성환경을 조성하는 방식으로 소성기술을 발달시켜 왔다고 추정하였다. 통시적으로 선사토기의 제작기술은 바탕흙과 성형기술, 소성기술이 상관성을 가지며 변하고, 제작기술 변화는 새롭고 뛰어난 기술의 도입으로만 이룩되는 것이 아니다. 오히려 새로운 기술이 도입되더라도 생업경제적 배경, 주변환경(내륙으로의 확대, 지질환경 변화), 사회적 여건(조리방식과 전통, 기술력, 토기의 사회적 의미 등)에 따라 채용되지 않을 수도 있음을 무문토기의 타날기법을 통해 확인하였다. 이러한 사례는 선사시대 토기 제작기술이 단선적인 발전양상에 있는 것이 아니라, 당시의 여러 상황에 적응 변용해 왔음을 보여준다. 지금까지의 연구성과를 통해 어느 정도 선사시대 토기 제작기술을 복원할 수 있었지만, 여전히 한계점도 있다. 토기 제작기술을 단순한 제작과정이 아니라, 기술체계로 복원하기 위해서는 자연과학적 분석을 이용한 기초자료 결과가 계속 축적되어야 하고, 주변 유적과의 비교검토가 필요하다. 또한 선사토기 제작방법을 알 수 있는 증거가 남기 어려운 상황에서 고고학 자료의 정밀한 관찰과 분석, 실험고고학의 성과가 서로 보완되는 순환적 구조가 이루어져야 한다. 이러한 과정과 성과가 축적됨으로써, 일부 유적 혹은 유물에 한정되었던 분석결과를 유적 전체로 확대시켜 기술체계의 복원이 가능해질 것이다.

      • KCI등재

        영산강유역 원통형토기의 제작기법 검토

        김수빈 호남고고학회 2019 湖南考古學報 Vol.62 No.-

        원통형토기는 4세기 초반부터 6세기 전반까지 비교적 짧은 기간에 의례적인 목적으로 사용된 토기로 기형이 매우 다양한 특징을 가진다. 한반도에서는 주로 영산강유역의 분묘유적을 중심으로 일본 원통하니와(圓筒埴輪)와 기형이 유사한 토기가 출토되는 양상을 보이고 있으며, 전방후원형분의 기원문제와 맞물려 한일 학자들의 관심을 불러 일으켰지만 형태적 속성연구에 집중되어 제작기법에 대한 심도 있는 연구는 부족한 실정이었다. 따라서 본고에서는 출토사례가 증가하고 있는 영산강유역의 자료를 대상으로 설정하여 원통형토기의 상부와 하부의 접합기법을 중심으로 소성방법까지 포함한 제작기법을 살펴보고, 그 결과를 바탕으로 제작공정을 복원해보았다. 그 결과, Ⅰ式 圓筒形土器는 정립기법과 분할정립기법을 중심으로 덮개소성된 것으로 생각되며, Ⅱ式 圓筒形土器는 분할도립기법과 도립기법을 중심으로 가마소성이 되었을 것으로 추정할 수 있었다. 특히 정립기법과 분할정립기법에서 분할도립기법과 도립기법으로 원통형토기의 제작기법이 발전되면서 제작공정이 간소화되는 경향을 관찰할 수 있는데 이는 토기의 대량생산과 전문화를 바탕으로 이루어졌다고 생각되며 제작집단을 추정할 수 있는 단서가 될 수 있기 때문에 주목된다.

      • KCI등재

        靑銅器時代早期二重口緣土器의 觀察

        정대봉(Jung, Dae Bong) 한국상고사학회 2015 한국상고사학보 Vol.89 No.-

        한반도 남부지역에서 청동기시대의 시작과 함께 등장하는 이중구연토기는 청동기시대 早期부터 前期까지 장기간 존속하는 토기이다. 하지만 이러한 이중구연토기의 장기존속에도 불구하고 계통과 분류가 분명치 않아 혼란을 초래하고 있다. 돌대문계토기와 공반하며 (석상)위석식노지를 갖춘 대형 (장)방형 주거지에서 출토되는 이중구연토기의 계통은 크게 조기의 古式과 전기의 新式으로 구분되고 古式은 다시 조기전반의 재지계와 외래계로 분류 할 수 있다. 조기전반으로 편년되는 고식의 재지계이중구연토기는 상촌리식토기와 같이 점토띠를 기벽에 두르는 형태로 제작되고 외래계는 요동계이중구연토기와 같이 점토띠 자체가 구연단을 형성하는 방식으로 제작된다. 하지만 현재까지 고식이중구연토기는 초창기 모습인 조기전반의 사례만 확인될 뿐, 한반도남부지역에서 어떠한 변화과정을 거치면서 전기 가락동식토기로 변모하였는지에 대한 연구가 미진한 편이다. 이러한 문제점에 착안하여 본고에서는 진주 평거 3–1지구 유적에서 출토되는 이중구연토기군이 일반적으로 알려진 조기전반의 고식이중구연토기와 형태적 차이점이 있다는 점에 주목하고 이를 종합적으로 고찰하였다. 그 결과, 이중구연부의 제작기법은 구연단을 꺾어 접는 방식으로 제작한 것이 밝혀졌고 이러한 제작방법 및 외형적 특징은 서북지역 및 동북지역에서 전혀 확인되지 않는 방식이며 이는 원형에서 다소 변형한 형태로 파악된다. 요컨대, 이러한 제작방식은 조기 전반 외래계 古式이중구연토기가 서북지역에서 한반도 남부지역으로 남하하면서 변형된 고유의 형태로 파악되며 중심연대는 조기 후반에 속하며 이를‘평거동식이중구연토기’로 지칭하여 구분할 것을 제안하는 바이다. 즉, 고식이중구연토기는 조기전반 이중구연부를 별도로 제작하는 방식(재지계/외래계)에서 조기후반 이중 구연부를 꺾어 접는 방식으로 변형한 다음, 최종적으로 전기의 가락동식토기로 완전히 재지화되는 양상으로 파악한 것이다. It is a double-rimmed pottery and Doldaemun pottery which is marking a beginning of early Bronze Age in the Korean Peninsula. The material culture of Early Bronze Age has been identified by increasing data and continuous research. It is that their origin is from northwestern province of the Korean Peninsula and some is from the northeast area of the Korean Peninsula. However, so far the Research trends have been focused on typical Doldaemun pottery and now there is a lack of research on double-rimmed pottery in early Bronze Age. Therefore, in this paper, I looked up the meaning of the double-rimmed pottery, and making a classifying between double-rimmed pottery by old and new type. An old type double-rimmed pottery is also divided traditional type and exotic type. Meanwhile, according to the most recent data, it is so difficult to divide double-rimmed pottery or Doldaemun pottery. Because of morphological resemblance. So I suggested that the way of division method by manufacturing techniques. Also I made a conclusion the origin of these pottery is individual variation of northwestern province of the Korean Peninsula. So, to propose naming of these new type of double-rimmed pottery to “double-rimmed pottery of Pyunggeodong type”, It appears only early Bronze Age in the Nam river basin in southern area of the Korean Peninsula.

      • KCI등재후보

        영광 군동 마전 원삼국시대 토기와 가마의 제작특성 및 태토의 산지해석

        장성윤,이기길,문희수,이찬희 한국문화재보존과학회 2009 보존과학회지 Vol.25 No.1

        전라남도 영광군 대마면 원흥리 군동과 마전에서 발굴된 원삼국시대 가마 2기와 토기 20점을 대상으로, 광물학적 및 지구화학적 연구방법을 사용하여 태토의 산지, 토기의 제작특성, 그리고 원삼국시대 가마의 재료학적 특성을 분석하였다. 이 결과, 토기와 가마는 인근 토양과 유사한 광물조성을 갖고 있으며 주성분 원소와 희토류 원소에서 동일한 진화 경향성을 가져, 주변 토양으로 제작되었음을 유추할 수 있다. 일부 토기에서는 P2O5, CaO, Na2O의 부화현상이 관찰되어 토기가 오랜 매장기간동안 토양환경의 영향을 받은 것으로 판단된다. 또한 군동유적에서 동쪽으로 약 600m 떨어진 마전유적 집자리에서 발견된 토기도 군동의 토기와 같은 태토와 제작기법으로 생산되어 인근 마전 마을에서 사용되었던 것으로 보인다. 이 토기들은 물리적 특성, 소성온도, 제작기법에 따라 세 그룹으로 분류되었다. 그룹 1은 적갈색 연질의 타날문 토기가 주를 이루는데, 붉고 공극이 많은 기질에 산화철을 많이 함유하고 비짐은 0.5㎜ 이하로서 소성온도는 700~800℃로 추정된다. 그룹 2는 회백색 및 회청색의 타날문 토기를 포함하는데, 유리질화된 기질에 공극이 적고 비짐은 0.5㎜ 이하로서 소성온도는 900~1,000℃로 추정된다. 그러나 일부 토기는 태토, 조직, 비짐의 특성상 그룹 2에 속하지만 소성온도가 1,100℃ 이상의 고온으로 해석되었다. 그룹 3은 적갈색 및 회청색의 타날문 토기를 포함하는데, 유리질화된 그릇에 공극이 적은 편이고 비짐은 2㎜ 이상의 다결정질 석영과 장석으로 구성되며 소성온도는 1,000℃ 부근으로 추정된다. 토기들이 같은 가마에서 동일한 태토로 제작되어도 3개의 그룹으로 나누어지는 것은 기형과 용도에 따라 다소 다른 제작방법(태토의 수비, 비짐, 가마의 소성조건)이 존재하기 때문인 것으로 보인다. 1호 가마는 가마벽이 600~700℃의 열을, 바닥면은 900~1,000℃의 열을 받은 것으로 나타나 고온소성이 가능한 가마였고, 2호 가마는 바닥이 500℃ 이하의 열을 받은 것으로 나타나 가마로서의 역할을 수행하기는 어려웠을 것으로 해석된다.

      • KCI등재

        복제(replica)법을 이용한 청동기시대 토기 압흔 분석

        孫晙鎬,中村大介,百原新 한국문화유산협회 2010 야외고고학 Vol.0 No.8

        본 연구에서는 농경사회로 인식되고 있는 청동기시대의 토기를 대상으로 복제법을 이용하여 압흔을 분석하고, 이를 통하여 당시 사회의 식물 이용에 대하여 고찰해 보았다. 분석 결과는 다음의 세 가지로 요약된다. 첫째, 돌대문토기 단계의 벼와 기장이 확인되어, 신석기시대 이후로 조, 기장의 재배에 벼가 더하여졌음을 알 수 있었다. 특히 벼가 확인된 주거지는 돌대문토기 단계 중에서도 이른 시기에 해당하여 벼의 이용이 돌대문토기 단계 성립의 계기가 되었을 가능성이 추정되었다. 더불어 돌대문토기가 출토된 취락들은 대부분 벼농사에 적합한 하천 주변의 충적대지에 위치하기 때문에, 이 단계에 논농사가 도입되었을 가능성도 언급하였다. 둘째, 토기에 찍힌 압흔의 위치를 바탕으로, 제작 중의 토기를 의복 위에서 조정하거나 작업대 위에 토기를 두는 경우, 점토 반죽 시에 혼입될 가능성 등을 상정하였다. 또, 청동기시대 이른 단계의 토기에서 상대적으로 다수의 압흔이 관찰되는 이유에 대하여, 전기 이후 토기를 제작하는 공동 작업장에 더 이상 곡물이 흩어져 있지 않은 상황과 토기 제작 장소가 별도의 공간으로 분리되었을 가능성을 제시하였다. 한편, 토기 제작의 계절에 대해서는 곡물 이외에도 가을에 관찰되는 열매의 압흔이 확인되어, 수확 종료 후의 가을, 즉 농한기에 토기를 제작한다는 제작 주기가 존재하였을 것으로 추정하였다. 마지막 세 번째는 일본열도 농경과의 관계에 대하여 벼의 확실한 사례가 한반도의 돌대문 토기 단계와 이에 병행하는 조몬시대 후기 후반에 등장하기 때문에, 이 시기를 벼 이용의 획기로 상정하였다. 그리고 일본열도에서는 조의 사례가 매우 적고 기장의 이용도 야요이시대 이후에나 확인되는 것에 반해 한반도에서는 신석기시대부터 조·기장의 이용이 성행하여, 양 지역 농경의 차이도 어느 정도 인정할 수 있었다. The replication of impressions on pottery is an effective method for reconstructing subsistence from sites without plant residue. Even if excavation has already finished, it is possible to identify cereals by replication. In addition, the replication of impressions left on pottery can be used from Neolithic to historical times, so far as pottery exists. In the case of severely weathered pottery it is difficult to replicate a large number of impressions. However, by attentive observation, it is at least possible to obtain some impressions from the pottery. The most meaningful result from our research was the identification of rice and millet from the Hanam Misari site, which has not yet yielded cereal remains. Pottery from Hanam Misari has been dated to the earlier part of the Initial Bronze Age. This period was examined as it is related with agricultural developments of the Late Jomon period in the Japanese archipelago. In addition, the season in which pottery production took place was calculated using impressions of plant remains other than cereals. These results illustrate that replications can be widely used and not be limited to the reconstruction of subsistence. It may therefore be suggested that the replication of impressions left on pottery, as with the analysis of plant remains, is a useful way to shed light on the nature of human lives in the past. It should therefore be established as an important method of archaeological analysis.

      • KCI등재

        복원실험을 통해 본 樂浪 盆形土器와 평기와의 제작기법

        정인성(Jung, In-Seung) 한국상고사학회 2006 한국상고사학보 Vol.53 No.-

        낙랑토기는 일찍이 영남지역의 와질토기 기원과 그 전개를 둘러싸고 크게 주목 받은 바 있지만, 낙랑토기 그 자체에 대한 인식이 부족했던 까닭에 양자가 구체적으로 비교된 위에서 논쟁이 이루어지지 못했다. 최근에는 한성기 백제토기나 기와의 성립이 낙랑문화의 영향이라는 틀 속에서 이해하는 연구자가 늘어났으나, 정작 낙랑토기에 대한 이해부족은 개선되지 않았다. 본 고는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낙랑의 대표적인 토기 器種의 하나인 「분형토기」의 제작기법을 검토한 것이다. 또한 기법이 유사한 평기와의 성형기법도 참고하여 전체 제작공정을 추론하고 복원실험을 통해서 이를 검증하였다. 낙랑의 분형토기는 내면에 횡방향으로 승문 내박자흔이 남으며 외면에는 종방향의 승문 타날흔이 남을 것이 일반적인데 이는 낙랑 평기와의 그것과 동일하다. 즉 「분형토기」는 분할하지 않은 기화처럼 원통모양의 기본형을 만든 다음, 이를 2차 조정하여 완성시키는 것이다. 이러한 성형법은 분형토기 뿐만이 아니라 낙랑 「니질계」토기에 일반적으로 채용되는 기법이다. 노끈을 감은 棒狀의 내박자를 사용하여 기본형을 만드는 제작기법은 지금의 자료로 보는 한 戰韓∙漢代의 중국이나 중국 동북지역에서는 관찰되지 않는다. 그렇기 때문에 낙랑 토기의 典形을 정하는 중요한 기준이 된다. 그런데 낙랑토기와의 관련이 강조되었던 영남지역의 와질토기에는 이 기법이 채용된 예가 확인되지 않는다. 반면 경기도와 강원도를 중심으로 출토례가 늘어난 초기 타날문 단경호에는 비록 출현시기는 영남지역에 비해 늦지만 이러한 기법이 확인되는 자료가 있다. Related to the origin and development of Wajil-pottery(gray-soft pottery), Nakrang pottery attracted academic attention earlier. Due to the lack of knowledge of Nakrang pottery, however, there is a lacuna in comparative studies on the two. Recently, more scholars examine the relation between Nakrang-gun and existence of Paekche pottery and roof-tiles in Hansong Paekche period, but further studies on Nakrang Pottery is necessary. In this paper, I review the making technique of pottery pots, representative Nakrang Pottery. Because the making technique of plain roof-tiles is similar to that of pottery pots, the remolding technique of plain roof-tiles is referred to infer the whole process, and the result is verified through restoration experiment. Nakrang Pottery pot as a whole has characteristics referred to as Jomon paddling, a horizontal trace at the inside and Jomon paddling a vertical traces at the outside. These are also characteristics of Nakrang roof-tiles. In sum, the first step of making pottery pot was to make a cylindrical form, as if two roof-tiles clung together. The next step was to reshape it through second molding . This technique was used not only for pottery pots, but also widely employed as a general method for clay-line of Nakrang pottery. Existing studies whow that earthenware from the northeastern part of China or Warring States and Han China did not use cord-coiled sticks to make primary form. Thus, the above-mentioned technique seems to be a characteristic of Nakrang pottery. Although scholarship has noticed the possible connection between Nakrang pottery and Wajil-pottery excavated from Yongnam area, there is no evidence that the technique of Nakrang pottery was used to make Wajil-pottery. Here, Jomon paddling jar, which has been increasingly excavated centering around Kyonggi province and Kangwon province is noteworthy. Even though the Sungmun paddling jar appeared later that Wajil-pottery, it has the tract of the Nakrang technique.

      • KCI등재

        靑銅器時代早期二重口緣土器의 觀察 –진주 평거 3– 1지구 유적을 중심으로–

        정대봉 한국상고사학회 2015 한국상고사학보 Vol.89 No.-

        It is a double-rimmed pottery and Doldaemun pottery which is marking a beginning of early Bronze Age in the Korean Peninsula. The material culture of Early Bronze Age has been identified by increasing data and continuous research. It is that their origin is from northwestern province of the Korean Peninsula and some is from the northeast area of the Korean Peninsula. However, so far the Research trends have been focused on typical Doldaemun pottery and now there is a lack of research on double-rimmed pottery in early Bronze Age. Therefore, in this paper, I looked up the meaning of the double-rimmed pottery, and making a classifying between double-rimmed pottery by old and new type. An old type double-rimmed pottery is also divided traditional type and exotic type. Meanwhile, according to the most recent data, it is so difficult to divide double-rimmed pottery or Doldaemun pottery. Because of morphological resemblance. So I suggested that the way of division method by manufacturing techniques. Also I made a conclusion the origin of these pottery is individual variation of northwestern province of the Korean Peninsula. So, to propose naming of these new type of double-rimmed pottery to "double-rimmed pottery of Pyunggeodong type", It appears only early Bronze Age in the Nam river basin in southern area of the Korean Peninsula. 한반도 남부지역 청동기시대의 시작과 함께 등장하는 이중구연토기는 청동기시대 早期부터 前期까지 장기간 존속하는 토기이다. 하지만 이러한 이중구연토기는 장기존속에도 불구하고 계통과 분류가 분명치 않아 혼란을 초래하고 있다. 돌대문계토기와 공반하며 (석상)위석식노지를 갖춘 대형 (장)방형 주거지에서 출토되는이중구연토기의 계통은 크게 조기의 古式과 전기의 新式으로 구분되고 古式은 다시 재지계와 외래계로 분류할 수 있다. 고식의 재지계이중구연토기는 상촌리식토기와 같이 점토띠를 기벽에 두르는 형태로 제작되고 외래계는 요동계이중구연토기와 같이 점토띠 자체가 구연단을 형성하는 방식으로 제작된다. 본고에서는 제작기법상 이러한 분류에 속하지 않는 진주 평거 3–1지구 유적의 이중구연토기군에 대해 필자가 실견하여 관찰한 내용을 종합적으로 고찰하였다. 그 결과, 이중구연부의 제작기법은 구연단을 꺾어 접는방식으로 제작한 것이 밝혀졌고 이러한 방식은 서북지역 및 동북지역에서 전혀 확인되지 않는 방식이다. 이러한 제작방식은 조기 전반 외래계 古式이중구연토기가 서북지역에서 한반도 남부지역으로 남하하면서변형된 고유의 형태로 파악되며 중심연대는 조기 후반에 속하며 이를‘평거동식이중구연토기’로 지칭하여 구분할 것을 제안하는 바이다.

      • 토기 제작기술의 실험적 연구 : 가마복원 및 소성실험 자료를 바탕으로

        홍진근 국립중앙박물관·한국고고미술연구소 2010 동원학술논문집 Vol.11 No.-

        2009년 5월 경남 양산 호계동에서 발굴 조사된 삼국시대 토기 가마를 복원하고 여기에 다양한 형태의 삼국시대 토기를 성형, 소성실험을 실시하였다. 이 글에서는 고고학적으로 처음 시도된 삼국시대 가마 복원, 토기 소성실험 과정을 소개하고 실험 결과를 바탕으로 삼국시대 토기 생산과 제작 기술을 살펴보았다. 삼국시대 대형 무덤의 축조는 토기 제작기술과 생산체제에 큰 변화를 가져왔다. 짧은 시간에 많은 토기를 생산하기 위하여 중첩소성 하였고, 이상재(離床材)·이기재(離器材)라는 새로운 기술적 발전이 있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도질토기는 가마와 소성법, 태토와 성형 등 모든 측면에서 이전 시기에 비해 획기적으로 변화, 발전한 모습을 볼 수 있었다. 이번에 실시한 가마 복원과 토기 소성실험은 흙, 물, 불이라는 구성요소 각각을 살펴보고 이를 바탕으로 토기의 실체를 확인하고자 하는 시도였다. 한번의 실험 결과를 바탕으로 삼국시대 토기제작 기술을 밝혀내고 토기 생산체제를 추적, 복원한다는 것은 무리가 따르지만 토기제작 실험과 복원을 위한 하나의 기준을 제시하였다는데 의미를 두고자 하였다. Attempts were made to reconstruct the pottery production kiln of the Three Kingdoms period, which was recently excavated in Hogye-dong, Yangsan, Gyeongsang province, and manufacture various forms of pottery of this period. Firing experiments were also conducted in order to restore the pottery manufacture technology of the Three Kingdoms period. Through the experiments, various aspects were confirmed regarding firing techniques of Three Kingdoms pottery. The advent of large size tombs required many pottery pieces for burial purpose. In order to produce a large quantity in a short period of time, ceramics were stacked (about 2 to 3 levels) and then fired. Rice straw, sandy soil, branch and kiln tools were placed between the pottery pieces and at the bottom of kiln so as not to let the pieces stick together. However, only traces of stacking and firing are visible on the wares. Mass production through stacking pottery began with the advent of large size tombs. Since then, kiln tools for stacking were employed. Pottery firing using various kiln tools reveals the best manufacture technology of pottery and its development. The firing experiments left a number of questions to be answered, such as the firing time and temperature. At the same time, they provided an opportunity for verifying ancient pottery manufacture technology. This will provide basic data in reconstructing the social contexts of the period in regard to pottery production, distribution and circulation.

      • KCI등재후보

        실험 고고학을 통해 본 백제 흑색마연토기 제작기술 연구

        남상원 ( Nam Sang Won ),김수경 ( Kim Suk Yong ) 백제학회 2014 백제학보 Vol.0 No.12

        백제 흑색마연토기는 당시 일반인들이 향유할 수 없는 고급 용기였음이 고고학적으로 밝혀지고 있으며, 모방품과 출토 정황으로 볼 때 당시로서는 하이테크가 투영된 물품이라 할 수 있다. 그렇기 때문에 이러한 하이테크의 등장과 이동은 백제의 중앙집권화 시점, 백제의 마한 영역화 여부, 주요 유구의 성격 파악 등에 활용되면서 백제사에 있어 중추적인 역할을 해왔다. 이러한 흑색마연토기는 명확한 제작기술이 밝혀지지 않은 만큼 그 기준이 모호하여 해석에 오류가 발생하기도 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는 무엇이 백제 중앙의 흑색마연토기인지 이를 명확히 하는 것이 목적이다. 당시 백제 중앙 제도기술의 결집체라고 볼 수 있는 흑색마연토기의 제작기술을 밝히는 연구는 백제 토기문화를 복원하는데 많은 기여를 할 것으로 보인다. 우선 자연과학적 분석으로는 흑색마연토기에 대한 XRF분석을 통해 다른 토기들보다 인(P)수치와 L.O.I. 값이 높다는 것을 알았고, 이는 유기물의 탄화와 관련된 공정이 있었을 것으로 판단하였다. 그 후 시편을 제작하여 마연실험을 통해 적절한 건조와 마연도구의 선택이 광택과 깊은 연관이 있다는 것을 밝혔다. SEM-EDS분석을 통해서는 흑색 성분이 탄소(C)와 깊은 연관이 있다는 것을 검증하였고, 연료를 달리하여 탄소흡착 예비실험을 진행하였다. 태토의 선정도 재료과학적으로 백제토기와 광물 비율이 유사한 점토를 사용하였으며, 토기제작도 전문 도예가를 통하여 전통 도구만을 사용하여 재현을 의뢰하였다. 소성 또한 광주 비아유적을 모델로 한 전통가마를 제작하여 사용하였다. 이번 재현실험을 통해 밝혀진 흑색마연토기 제작공정을 간단히 요약하자면, ① 정선된 태토를 사용, ② 토기 반건조 후 강돌이나 매끄러운 견과류로 표면 마연, ③ 600℃이하의 낮은 온도에서 서서히 소성, ④ 소성 마지막 단계에서 탄소발생연료 투입 후 가마를 밀폐로 볼 수 있다. 그 결과 외형적로 흑색마연토기와 비슷한 결과물을 얻을 수 있었다. 그러나 재현토기 단면을 보았을 때 고고유물처럼 속심까지 검은 토기는 재현하지 못했다. 이는 탄소침투가 활발히 일어나지 않은 것으로 해석되며 소성방식이나 연료의 선택 등의 차이가 있었던 것으로 보인다. 과거 물질문화를 복원하는데 있어 실험고고학이 실증적 자료로 제시되려면 다양한 변수를 고려한 많은 데이터가 축적되어야 한다고 본다. 앞으로 고고학 다방면의 분야에서 실험고고학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기를 기원한다. Archeological inquiries have shown that the black-burnished pottery from the Baekje period were luxury vessels that remained out of commoner’s reach. Judging from the existence of its imitations and how the old artifacts are retrieved through excavation, it must have been a high-tech piece by the standards of the day. Thus, the appearance and mobility of such high technology has played a crucial role in the history of Baekje, as it has been employed in figuring out when the dynasty had a centralized government, whether Baekje incorporated Mahan into its domain, and the characteristics of major remaining structuers. Because the technology for manufacturing black-burnished pottery has yet to be clarified, its ambiguous standards often cause errors in interpretation. Therefore, the current study is designed to make clear what constitutes the black-burnished pottery produced by the central regime of the Baekje Dynasty. A study that intends to bring light on the technology for making black-burnished pottery, a product of the institutionalized technology of the central regime of Baekje, is expected to contribute greatly to the recovery of the pottery culture in the Baekje period. First of all, through XRF analysis on the black-burnished pottery, I have seen that it registers higher phosphorus (P) value and L.O.I. value, and understand that this points to a process related to the carbonization of organic matter. Then, through an experiment in burnishing a manufactured specimen, I have found out that selection of appropriate drying and burnishing tools is closely related to gloss. Through SEM-EDS analysis, I have confirmed that the black color has much to do with carbon, and conducted a preliminary experiment in carbon absorption with different fuels. In selecting earth, I adopted clay that includes a composition of minerals which is similar from the perspective materials science to that found in the pottery from the Baekje period. And for the making of the pottery, I asked a professional pottery artist to take care of its reproduction. For firing, I used a traditional furnace modelled on the reliicn Bia, Gwangju. The reproduction experiment has come up with the specifics of the manufacturing of the black-burnished pottery as follows: a. strictly screened earth was used; b. half-dried pottery was put to burnishing with pebblestones or sleek nuts; c. slowly fired at a low temperature of maximum 600℃; and d. at the last phase of firing and after carbon-generating fuel was put in, furnace was sealed. As a result, I have obtained products which are similar in appearance to the black-burnished pottery. However, I could not create pottery that shows black to the core like the ancient artifacts in a cross-sectional inspection. This suggests that there has not been active carbon penetration, which difference seems to be caused by firing method or selected fuel. In order for experimental archeology to serve as empirical data in restoring material culture from the past, large quantities of data that consider many variables must be accumulated. It is hoped that a lot of studies in experimental archeology will be actively carriedo ut in various fields of archeolog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