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太極問」의 太極에 관한 고찰

        손흥철 경상국립대학교 경남문화연구원 2016 남명학연구 Vol.51 No.-

        There is a doubt about 『Gubongjip(龜峯集)』 Vol.3 「TàiJíwèn(太極問)」’s original author, but the contents’s self have good reference for the school of Yulgok’s the theory of LǐQì and TTàiJí. In this article. I consider 「TàiJíwèn」’s author is Gubong Song Yikpil(宋翼弼. 1534~1599), and I will study his philosophical thought in there. For this purpose first, I researched about the concept of Wújí(無極) and TàiJí(太極), and there inter-relationship. Gubong said that Wújí and TàiJí are the eternal substance, and the genuine of Wújí is just TàiJí. Next, I studied the relation between TàiJí and LǐQì. Gubong regarded TàiJí that is Lǐ, Lǐ and Qì is “one, but it's where Two(一而二), two and, as one”. Lǐ and Qì is “not be separated from each other(不相離), not mix together(不相雜)”. Lǐ have the ability of the communication, Qì have the limitations, also Lǐ and Qì they forming the diversity and unification in nature. Lastly, I studied the Moving and stopping of Yīn·Yáng(陰陽) in Gubong’s philosophy. He explained the Moving and stopping of Yīn·Yáng is the principle of TàiJí, and that is the mandate from Heaven(天命). In this study, I sought after the Gubong’s Concept of TàiJí have another Characteristic with Zhūxī(朱熹. 1130~1200) and Lǐěr(李珥. 1536~1584), and how we can utilize “the TàiJí” in modern viewpoint. In the age of globalization, We need developing Korean bland using the draw a TàiJí(太極) symbol. 『구봉집(龜峯集)』 권3의 「태극문(太極問)」은 원작자가 누군가에 대한 진위 문제는 있지만, 그 내용 자체로 조선중기 율곡학파의 태극관(太極觀)과 리기관(理氣觀)을 엿볼 수 있는 중요한 자료라고 생각한다. 이 글에서는 「태극문」의 저자를 구봉(龜峯)으로 보고, 그 속에 담긴철학사상을 객관적으로 알아보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먼저, 무극(無極)과 태극(太極)의 개념과의 상호관계를알아보았다. 구봉은 무극과 태극이 차제(次第)없는 하나의 실체이며, 무극지진(無極之眞)이 곧 태극이라고 하였다. 다음으로는 태극과 리기(理氣)의 관계를 살펴보았다. 구봉은 태극이 곧 리(理)며, 리(理)와기(氣)는 ‘하나면서 둘이며, 둘이면서 하나’라는 ‘불상리 불상잡(不相 離 不相雜)의 관계이며, 리(理)는 소통성을 가지고 기(氣)는 국한(局 限)성을 가져 다양성과 통일성이 이루어진다고 보았다. 마지막으로 기인 음양(陰陽)의 ‘움직임과 정지(靜止)함’, 즉 동정(動靜)에 대한 구봉의 이해를 살펴보았다. 구봉은 음양이 움직이고 정지하는 원리를 태극으로 설명하고, 이러한 동정의 원리가 천명(天命)이라고 하였다. 이러한 연구를 통하여 구봉의 태극관(太極觀)은 주희(朱熹)나 이이(李珥) 와 다른 독창성이 있는지를 알아보고, 태극을 현대적 의미로 활용 가능한지 그 가능성을 찾아보았다. 세계화시대의 국제경쟁에서는 국가의이미지와 그 이미지브랜드의 상품가치는 매우 중요하다. 현재 한국을대표하는 문화적 국가브랜드를 만들어야 한다면 이 태극(太極)이 가장의미 있는 내용이 될 수 있을 것이며, 이에 대한 연구개발이 필요하다.

      • KCI등재

        삼태극의 의미고찰

        김명희 국립문화재연구원 2012 헤리티지:역사와 과학 Vol.45 No.1

        Sam-Tai-Ji has been used as one of the korean traditional symbol patterns including the emblem of the Seoul olympic. Despite Sam-Tai-Ji@ included in 태극(Tai-Ji:太極), it has been interpreted widely as Sam-jae(三才)theory called Tian(天), Di(地) and Ren(人), or Tian, Di and Ren harmony thought(天地人調和思想) by some religion groups and some intelligent people without exact philosophical poofs. For this reason, this research on Tai-Ji(太極) pattern follows. Although Joseon dynasty selecting Confucianism as a ruling principle, it accepted Buddhism, Taoism and Shamanism by applying them to royal tombs not officially but privately. For example, If Confucianism has to be expressed in the public places,@ Er-Tai-Ji(二太極) pattern having an expressing type of Li-Ben-Lun(理本 ) was employed, in the private places like royal tomb construction, Er-Tai-Ji(二太極) pattern having an expressing type of Qi-Ben-Lun(氣本 ) was employed. To figure out clear identification of Sam-Tai-Ji(三太極) and Er-Tai-Ji(二太極), this research was conducted to study on the change process of Tai-Ji(太極). It has been considered that Tai-Ji(太極) pattern has something to do with universe in these countries such as Korea, China and Japan. In Tai-Ji(太極) pattern, Sam-Tai-Ji had been used more widely than Er- Tai-Ji(二太極) untill the Han·Dang dynasty. The meaning is also indicated as Yin-Yang-Te(陰陽德) in the books like 『Hanseo(漢書)』「Yulryeokji(??曆志)」. But, in the chinese history, there was a change of the pattern into white spot Er-Tai-Ji(二太極) in『 KoTaiJiDo(古太極 圖)』. It had been interpreted as “Yin-Yang and vitality(陰陽生氣).”since Song Dynasty when Confucianism settled down. In this process, unlike Wu-Ji(無極), Li(理) means immateriality. So Yin-Yang(陰陽) and Li(理) were expressed with the form of Er-Tai-Ji(二太極). Therefore, Sam-Tai-Ji(三太極) is the pattern that stands for Yin-Yang-Te(陰陽德). It means that Yin-Yang(陰陽) gives a life to all the living things , grows them along with Te(德). It developed and flourished in Taoism and Buddhism@ accepting spirit existence. It is the universe view that Qi(氣) is an entity. 서울 올림픽의 휘장을 비롯하여 우리나라를 대표하는 전통 문양 중의 하나로 삼태극이 사용되고 있다. 삼태극은 태극임에도 불구하고 정확한 철학적 규명없이 일부 종교단체나 지식인들에 의해‘천지인’이라는 삼재론으로 혹은‘천지인 조화사상’이라는 넓은 틀로 해석되고 있다. 이에 삼태극의 정확한 의미를 알아보고자 하는데 본 연구의 목적을 두었다. 조선은 건국과 더불어 유교를 통치이념으로 삼았으나, 이념의 테두리에서 비교적 자유로운 곳에서는 노장과 불교, 무속 등 을 묵인하여왔다. 그리하여 태극 문양을 사용함에 있어서도 유교적 이념이 드러나야 하는 공식적인 곳에서는 이태극 문양을 사용하고, 왕릉과 같은 사적인 곳에서는 삼태극 문양을 새겨왔음을 밝혀 놓았다. 이와 같이 문양을 분리 사용한 이유를 규명해보기 위하여 태극의 변화 발전 과정을 고찰해 보았다. 동양(한·중·일)에서는 태극 문양을 우주와 관련지어 생각하는 경우가 많았다. 이 문양은 한당시대까지는 삼태극이 주로 사용되었으며, 그 의미도 『한서』「율력지」속에서‘음양덕(陰陽德)’으로 나타나 있다. 그러나 이후 중국사에서 등장한『고태극도』속에서는 이태극 속의 흰점으로 문양이 변화되어 나타나며, 그 의미도‘음양과 생기’로 표현된다. 그러다 유가 사상이 자리 잡은 송대 이후로는‘음양과 리’로 그 해석이 이루어지게 된다. 이 과정에서 리는 ‘생기’와 달리 비실체성을 나타내는 것이어서,‘음양과 리’를 문양으로 표현할 때는 이태극으로 표현하게 되었음을 논해 놓았다. 결론적으로 삼태극은‘음양덕’혹은‘음양생기’,‘ 음양무극’등을 문양으로 나타낸 것이다. 이것은 영(??)의 세계를 인정하는 도가와 불교의 사상 속에서 주로 발달하였으며‘기’를 본체로 하는 세계관이다.

      • KCI등재

        『참동계』와 태극(태일)-음양-오행 체계

        이봉호 대진대학교 대순사상학술원 2021 대순사상논총 Vol.37 No.-

        지금까지는 주돈이의 <태극도>가 『주역참동계』에서 연원한다는 학설이 정설처럼 인식되었다. 그러나 최근 몇몇 학자들은 기존의 학설에 의문을 제기하면서 새로운 논쟁이 일었다. 이들은 <태극도>의 『주역참동계』 연원설에서 청대 학자들이 근거로 사용한 책들과 도상이 주돈이 이후의 것이거나, <태극도>에 기초해서 후대에 그려진 것임을 주장한다. 반면에 최근 학자들의 주장에서 <태극도>의 『주역참동계』 연원설을 최초로 제기한 남송 시대의 주진(朱震)과 양갑(楊甲)의 학설은 해명하지 못하였다. 이들 남송 시대 학자들은 주돈이와 주희 사이에서 활동했던 인물들이다. 이러한 문제를 다른 각도에서 접근해 보았다. 주돈이의 <태극도>는 태극-음양-오행의 체계를 골자로 한다. 따라서 이 체계가 탄생하는 과정에서 『주역참동계』가 직접 연관이 있음을 해명하고자 하였다. 태극-음양-오행의 체계 형성 과정은 한대의 종교적 사상적 영향에 의한 것이다. 한무제의 태일신(太一神) 신학체계에서 태일-음양-오행의 체계가 신학적으로 정립된다. 동중서에 의해 유학의 육예(六藝) 해석에 음양오행이 도입되며, 이는 한대 역학자들이 『주역』 해석에 오행을 개입하게 하는 사상적 흐름을 형성한다. 그러나 한대 역학자들은 음양재이설을 중심으로 하였기에 태일-음양-오행의 체계를 형성하지 못했다. 그러나 동한시기에 쓰여진 『주역참동계』는 한 대 역학자들이 『주역』을 해석한 다양한 『역위(易緯)』 이론과 연단 이론을 결합하면서, 태일-음양-오행의 체계를 사상적으로 형성한다. 이때 『주역참동계』는 ‘감리위역설(坎離爲易說)’을 중심으로 한 역학 이론을 적용했기 때문이었다. 물론 『주역참동계』와 그 주석들에는 <태극도>와 같은 도상은 나타나지 않는다. 하지만 ‘감리위역설’을 중심으로 한 태일-음양-오행의 체계가 나타날 뿐만 아니라, <태극도>를 구성하는 도상의 부분들을 그려낼 수 있는 내용은 존재한다. 이 체계에서 ‘태극’이 아니라 ‘태일’이 사용되었다. 하지만 ‘태일’을 ‘태극’으로 해석할 사상적 이론은 등장하고 있었다. 한대 역학자들은 역에 원기(元氣) 개념을 적용하였고, 공영달에 의해 태극이 ‘원기’이자 ‘태일(太一)’이라고 정의하기에 이른다. 이러한 논의를 통해, 『주역참동계』가 <태극도>와 같은 도상을 담고 있지 않아도 태일(태극)-음양-오행의 체계를 형성하고 있으며. <태극도> 도상의 부분들을 그림으로 그려낼 수 있음을 해명하였다. Until recently, academic consensus held that Zhou Dunyi’s Taijitu (Taiji Diagram) originated from Cantongqi. However, a new debate has arisen wherein some scholars question that theory and related theories. They criticize these previous theories because the books and charts used as evidence in those theories were published after the lifetime of Zhou Dunyi, and this disqualifies their influence on his thought. However, identifying certain authors as being of a slightly later period than Zhou Dunyi does not definitively answer whether or not Zhou Dunyi’s diagram was based on Cantongqi. I approached this problem from a different perspective. Zhou Dunyi’s Taijitu is based on the system of taiji (Taiyi), yin-yang, and the five movements. Consequently, the formation of this system should be traced back historically. In the process of tracing it back, I intended to explain that the main character of Cantongqi is closely related to the formation of the system of taiji (Taiyi), yin-yang, and the five movements. The system of taiji (Taiyi), yin-yang, and the five movements was first established as a religious theological system in the Han Dynasty. In this process, yin-yang and the five movements were combined by Dong Zhongshu, and the five movements were introduced by Han Dynasty scholars as a method of interpreting the I-ching. However, Han Dynasty scholars did not form this system. In the late Han Dynasty, Cantongqi adopted the theological system of yin-yang and the five movements to theoretically form the system of taiji (Taiyi), yin-yang, and the five movements. Cantongqi was able to form this system because of the logic that yin-yang is the essence of the I-ching. Cantongqi does not have the same schematic as Taijitu. However, the system of taiji (Taiyi), yin-yang, and the five movements appears and extracts the components that make up Taijitu. Therefore, I do not think we should hastily agree with the recent claims made by scholars.

      • KCI등재

        ‘太極’의 위상과 ‘人極’ : 인간 존엄성의 형상화

        이천수 원광대학교 원불교사상연구원 2024 원불교사상과 종교문화 Vol.101 No.-

        본 연구는 유가와 도가의 우주 본체론 핵심인 태극(太極)의 논리와 인간의 존엄성이 형상화로 드러난 ‘삼태극(三太極)’의 인극(人極)에 주목하였다. 특히 음양태극과 삼태극 등의 문양은 고대로부터 현대까지 이어지며 사람들에게 태극의 이미지를 각인시키는데 크게 기여하였다. 상징적인 의미에서 땅과 하늘을 상징화 한 것이 음양태극이라면, 삼태극은 거기에 사람을 더한 것으로 이를 ‘인극’으로 이해하였다. 태극은 우주의 본체를 의미하는 것이고 인극은 인간 존재의 본질을 의미하는 것이다. 따라서 태극의 자의적 의미와 위상을 통해 ‘인극’을 중시한 삼태극의 가치를 재인식해야 한다. 또한 인극이 형상화되어 인간의 존엄성이 담긴 태극을 삼태극으로 이해하였다. 태극을 인간의 본질로 파악하는 관점이 인극에 함축되어 있으며, 삼태극은 천지와 더불어 최고 극치의 존재로서 인간의 존엄성을 형상화한 것이라고 본 것이다. 이러한 사유의 근저에는 유기체적 철학과 더불어 기(氣) 본위의 사상이 자리하고 있다. This study focused on the Human pole of 'SamTaiji', which reveals the logic and anthropocentric thinking of Taiji, the core of the universe's body theory of Confucian philosophy and Taoist philosophy. In particular, patterns such as Yinyang Taiji and SamTaiji have continued from ancient times to the present day and contributed greatly to imprinting the image of Taiji on people. If it was Yinyang Taiji that symbolized the land and the sky in a symbolic sense, SamTaiji understood it as the 'Human pole' as adding people to it. Taiji means the body of the universe, and the Human pole means the essence of human existence.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re-recognize the value of SamTaiji, which emphasizes the 'Human pole' through the meaning and status contained in Taiji's letters. In addition, Taiji, which contains human-centered thinking in the image of the Human pole, was understood as SamTaiji. The perspective of understanding Taiji as the essence of human beings is implied in the Human pole, and SamTaiji is seen as the embodiment of anthropocentric thinking as the supreme being along with heaven and earth. At the root of this thinking lies the idea of Qi as well as the organic philosophy.

      • 人身의 太極에 관한 考察

        尹暢烈 대한한의학원전학회 2000 대한한의학원전학회지 Vol.13 No.1

        對太極的內容和在人身內應將何處看作太極的問題進行了考察, 得到了如下結論. 1. 太極最早在周易繫辭傳中由孔子將太極提示爲八卦生成的基本原理, 之後, 兩漢到唐代的這一期間內, 認爲太極是創造萬物的原始的混沌之氣, 中央元氣, 沒有分化爲陰陽的氣的槪念, 當時被解釋爲宇宙間最初的渾然一體的元氣的思想占了主流. 2. 周敦頤作太極圖說, 最初提示了無極的槪念, 之後, 以朱子爲代表, 宋代的性理學者將太極解釋爲萬物中的窮極之理, 最初將太極解釋爲理. 3. 韓東錫繼承了金一夫的三極說, 以三極的變化原理說明了太極.. 孫一奎, 趙獻可, 張介賓等主張命門說, 堅持命門爲太極, 認爲這命門位于太極的本體水起作用的腎臟之間, 同統制水火, 推動人體生命力的源泉, 因此與哲學上所論及的太極的槪念有類似之處. 4. 黃元御主張的中氣爲太極說 認爲太極乃創造生命的根源之氣, 創造之後也不斷供給生命 力的中氣具有太極的屬性. 在這一点上可以解釋爲水土合德之空的位置, 對此還有待進一步的考察. 5. 邵同珍主張的脾胃太極說認爲脾爲十土, 爲生命統一的基礎, 因此應把它認爲是無極爲妥. 6. 邵康節主張的心爲太極說認爲萬物中每一物都是一个太極, 具有太極的屬性, 心在五行中屬火, 爲發動光明之處, 因此以三極的原理來看, 以五土將太極水進行分裂, 至七火的皇極的位置及統治幷主宰萬物的君主之位. 7. 唐宗海主張的未分之卵爲太極之說, 將太極比喩爲鷄卵的原始物質, 卵核等, 但精子與卵子相結合, 尙未進行分裂的狀態爲原始的渾淪之物, 爲將分化爲陰陽之處, 因此本人認爲將其定爲太極的想法最爲貼切.

      • KCI등재

        ‘太極’論의 패러다임 轉換에서 드러나는 문제점과 그 해소 - 朱熹와 王夫之의 ‘太極’論을 중심으로 -

        김진근 한국동양철학회 2019 동양철학 Vol.0 No.52

        In this study, I investigated various Taegeuk theories from Zhou Tunyi, 周敦頤; Zhuxi, 朱熹 and Wang Fuzhi, 王夫之. To begin with, until Zhou Tunyi published Taiqitushuo, 太極圖說, in eleventh century, the theory was negligence despite of the fact that this theory is undoubtedly important for scholars in modern eastern philosophy. Second, the impact of Taiqitushuo in the field was not from Zhou Tunyi, the original author, but from Zhuxi, the later interpreter. However, the interpretation of Zhuxi did not deliver the original meaning of the theory. He transformed the meaning of the theory based on his own perspectives which is libonlon, 理本論. This caused two major issues for us to understand Taiqitushuo. The first issue is that it is difficult to clarify the meaning of giving a birth, 生 in the theorem of dichotomous status in Taiqi, 太極生兩儀. The other issue is that 太極生兩儀 would be explained as li giving birth to qi, 理生氣 due to the fact that Taegeuk is a whole of lis, 理一體. These issues were revealed in scholars of Joseon. The last point of this study is that Wang Fuzhi’s Taegeuk theory could be a resolution of these issues. Wang Fuzhi argued his own explanation of Taegeuk theory by succeeding the Zhangzai’s, 張載 qi monism. Chapter two, three and four will discuss these points respectively in this study. 이 논문에서는 周敦頤로부터 朱熹, 王夫之에 이르는 ‘태극’론을 다루었다. 이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오늘날 동아시아 철학을 연구하는 이들에게서 ‘태극’론은 매우 중요하다는 것이 상식으로 통하는데, 동아시아철학사에서는 11세기에 이르러 周敦頤가 『太極圖說』을 발표함으로써 비로소 부각되기 시작하였다는 점이다. 둘째, 이후 동아시아철학사에서 ‘태극’론이 주요 논제가 된 것은 『태극도설』의 저자인 주돈이의 영향력에 의한 것이라기보다는 주희의 영향력에 의한 것이었다. 그런데 주희는 주돈이의 원본 『태극도설』을 그대로 부각시킨 것이 아니라 자신의 철학적 관점인 理本論 패러다임으로 전환시켜버렸다. 그 결과 우리가 『태극도설』을 이해하는 데서 두 가지 난점을 초래하였다. 그것은 다름 아니라 ‘太極生兩儀’에서의 ‘生’ 字를 처리하는 것이 난감하다는 것과 태극이 理一體이기 때문에 ‘太極生兩儀’라 하면 ‘理生氣’라 하는 난점이 제기된다는 것이다. 이에 대한 논란이 이후 조선의 철학자들에게서 여실하게 드러났다. 셋째, 왕부지의 ‘태극’론에서는 주희에 의해 초래된 위의 두 가지 난점이 해소될 수 있다는 것이다. 주지하다시피 張載의 氣一元論을 계승하며 氣哲學을 집대성한 것으로 알려진 왕부지는, 이미 이 두 가지 난점을 의식하며 자신의 ‘태극’론을 펼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이상의 문제를 II, III, IV章으로 나누어 논의해 보았다.

      • KCI등재후보

        退溪의 太極論 硏究

        황상희 영남퇴계학연구원 2015 퇴계학논집 Vol.- No.16

        본 논문의 목적은 退溪의 太極觀을 살펴보는 데에 있다. 橫渠는 虛를 지극히 善하다고 하고 하였다. 橫渠는 太虛가 인간에게 응하면 神이니 이 神을 보존하는 것을 중요하다고 여겼다. 濂溪의 ‘無極而太極’은 動靜 으로 陰陽을 낳는다. 橫渠와 濂溪가 말하는 太虛와 太極은 天이 인간을 낳는 시원성을 강조하여 말하고 있다. 周濂溪의 動靜論에 朱子는 動靜하게 하는 ‘所以’가 理임을 부가적으로 설명했다. 朱子는 太極과 陰陽을 形而上과 形而下로 나눈다. 朱子가 만들어 놓은 理氣의 존재론에서 太極은 그 이전의 누렸던 종교적 시원성의 권위가 상당부분 손상되었다. 退溪는 太極과 理의 차원에도 體用이 있다고 한다. 退溪의 太極은 합 리적 理法性을 뛰어 넘어 스스로의 작용을 인정한다. 그리고 太極을 率 性이라고 말한다. 朱子가 一陰一陽의 道로 이법화 시킨 太極을 退溪는 天이 命한 性을 따르는 太極으로 자리매김하였다. 天이 부여한 내 삶을 다 사는 것이 초월성과 신성을 만나는 길이라고 믿는 退溪의 종교성을 알 수 있다. 또한 退溪는 無極而太極을 ‘지극한 有와 지극한 實이 존재’ 한다고 해석하였다.

      • KCI등재

        주자학에서 태극에 관한 소고

        강현(Kang, Hyun) 원광대학교 종교문제연구소 2010 한국종교 Vol.34 No.-

        주자의 태극은 만유의 근본적 원인이며 모든 도리의 총합을 의미한다. 또 理는 본체로서 천지만물을 생산하는 그것, 혹은 본원이다. 그리고 無極而太極을 理로 보고 이 理는 사물을 초월해 있는 원리로서 사물의 존재 이전에 존재하는 것으로 보았다. 이러한 二分的인 본체개념은 形而上과 形而下의 상호관련성을 보여주고 있으며 또한 氣의 속성으로서의 陰陽을 설명하고 있다. 氣는 본래 형이하에 속하는 것으로서 모든 사물의 存在材料가 되는 것이며 아울러 본체론적인 始原에서는 이미 物의 理가 존재하지만 그것은 시공 속의 陰陽動靜과 별개로 존재하는 것이 아니라 理와 氣가 그 속에 내재하고 있는 것으로, 決是二物이면서도 不相離의 관계를 이루고 있는 것이다. 주자의 견해에 의하면 動靜은 太極이 아니라 動靜하는 所以가 태극이다. 그렇다면 動靜은 바로 氣요, 太極은 動靜하게 하는 理에 불과하다. 본체에서는 태극의 동정이 없지만 동정을 포함하고 있다. 동정을 포함한다는 것은 동정의 理를 포함한다는 뜻으로 보인다. 주자는 태극을 하나의 理로 보면서 한편으로 만물이 하나의 태극을 各具하는 것으로 보고 있다. 이는 理에 관한 중요한 논의인 理一分殊說에서 만물을 생성시키는 근원적인 理와 각각의 사물에 있는 理로 크게 두 충차로 나누어 보고 있는 것에서 드러난다. 統體太極은 절대적인 理로서 일반의 보편적 근거 내지 초월적 근원이고 各具太極은 상대적인 理인 만물의 개별적 理이다. 본고에서는 이러한 태극론에서 대해서 태극과 음양, 동정의 관계 등을 주자의 시각에서 고찰해 보고자 한다. Taiji of Zhu-xi means the fundamental cause of all beings and the totality of the way(道) and the principle(理). The principle is the substance which originates all beings in heaven and earth, or is the origin. He analysed "Wuji er Taiji"(無極而太極) as the principle which according to him is the transcendental principle of beings and exists before the existent of beings. This dichotomous substance concept shows co-relation of metaphysic(形而上) and physic(形而下) and also explains on Yin-Yang as an attribute of the energy(氣). The energy actually belongs to the dimension of physic and is becoming existential element of all beings. In the origin of substantialism, the principle of matter is already existed, however, it is not separately existing against ′Yin-Yang, movement and stillness′, but the principle and the energy are immanent in those. Therefore, both are different two beings, but making inseparable relationship. According to the opinion of Zhu-xi, Taiji is not the movement and stillness, but the reason of them. Then, it can be analyzed that the movement and stillness are very the energy, and Taiji is nothing but the principle to make move or still. Substance dose not have the movement and stillness of Taiji, but containing the movement and stillness. That containing the movement and stillness can be considered as the meaning of containing the principle. Zhu-xi considered Taiji as one principle as well as all of each being possessing one Taiji. It is manifested in the theory of Li-yi-fen-shu(理一分殊說), an important discussion on the principle(理), in which he considered the principle into two levels in general as the fundamental principle generating all beings and the principles contained in each matter. Holistic Taiji is the absolute principle as the universal basis of general or the transcendental origin, and individual Taiji is the relative principle as the individual principle.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on the theory of Taiji, mainly on the relation between Taiji and ′Yin-Yang, movement and stillness′ from the viewpoint of Zhu-xi.

      • KCI등재

        현행 정부기(政府旗)의 태극(太極) 디자인에 대한 비판적 고찰

        우실하(Woo, Silha) 비교민속학회 2021 비교민속학 Vol.- No.73

        ‘정부기’는 입법부, 행정부, 사법부 등 정부 기관에서 사용하는 또 다른 국기이다. 현재 사용되고 있는 ‘정부기’의 태극 디자인은 근본적인 여러 문제점을 지니고 있다. 첫째, 현행 정부기의 태극 디자인의 바탕은 ‘음양태극도’인지 ‘삼일태극도’인지가 불분명하다. 왜냐하면, (1)‘진한 파랑’, ‘선명한 빨강’, ‘흰색’ 3가지 색을 사용하고 있어서 언뜻 보기에는 삼일태극도를 바탕으로 한 것 같지만 면 분할이 3등분 되어 있지 않고, (2) ‘진한 파랑’과 ‘선명한 빨강’을 하나로 묶어서 ‘흰색’과 비교해보아도 음양태극도로 볼 수 없을 정도로 면 분할이 비대칭적이다. 둘째, 역사적으로 발견되는 모든 태극 관련 도상들은 모두 음양 흑은 천지인 삼재(三才) 사이에 균일한 면 분할을 하고 있다. 이것은 음-양, 혹은 천-지-인 가운데 어느 하나가 우위에 있거나 한 것이 아니라 이 둘 혹은 셋의 기(氣) 사이의 어울림과 조화를 상징하고 있기 때문이다. 현행 정부기가 음양태극도를 바탕으로 하였든, 삼일태극도클 바탕으로 하였든 균등한 면 분할이 되어 있지 않다. 따라서 정부기의 태극 디자인은, (1) 태극도처럼 보이지만 근본적으로 태극도라고 볼 수 없으며, (2) 인위적으로 만들어진 것에 불과하다. 셋째, 현행의 정부기 디자인이 ‘음양태극도’를 바탕으로 한 것이라면, (1) 면적의 분할로 볼 때 ‘진한 파랑’, ‘횐색’만으로 표현되었어야 하며, (2) ‘진한 파랑’과 ‘흰색’이 음양을 상징하는 것이라면 분할된 면적은 당연히 같아야 하는데 그렇지 않고, (3) 중간에 띠처럼 들어가 있는 ‘선명한 빨강’은 태극도라는 철학적 의미와 연결된 아무런 의미도 없다. 넷째, 현행 정부기 디자인이 ‘삼일태극도’를 바탕으로 한 것이라면, (1) ‘진한 파랑’, ‘선명한 빨강’, ‘흰색’의 면 분할이 3등분으로 균등해야 하는데 그렇지 않고. (2) ‘진한 파랑’의 꽁무니에 띠처럼 들어가 있는 ‘선명한 빨강’은 태극도의 한 중앙에서 보면 독자적으로 배당된 면적도 없이 ‘진한 파랑’ 부분에 결들여져 있어서, (3) 삼일태극도로 볼 수도 없다. 다섯째, 결론적으로 현행 정부기는 그간 태극, 음양태극, 삼일태극 등에 대한 여러 학문 분야 학자들의 연구 성과를 전혀 참고조차 하지 않고 디자인된 그야말로 “어느 한순간에 인위적으로 만들어진 것”에 불과하다. 정부 차원에서 재검토가 이루어져야 한다. 특히 국가나 정부를 대표하는 상징들이 더이상 이런 식으로 디자인되어서는 안 된다. ‘The government flag’ is another flag used by government agencies such as the legislature, the administration, and the judiciary. The Taegeuk design of the ‘government flag’ currently in use has many fundamental problems. First, it is unclear whether the basis of the Taegeuk design of the current government flag is the ‘Yinyang Taegeukdo(陰陽太極圖) ’ or the ‘Samil Taegeukdo(三一太極圖)’. This is because (1) the three colors ‘dark blue’, ‘clear red’ and ‘white’ are used, so it seems to be based on the Samil Taegukdo at first glance, but the face is not equally divided into three parts and (2) the face is asymmetrical beyond the Yinyang Taegeukdo. Second, all historically discovered Taegeuk-related drawings are divided evenly between Yinyang or chcon-ji-in(天地人) Samjae(三才). This is because either the yin-yang, or the Samjae, is not superior, but symbolizes the harmony between these two or three. Whether the current government flag is based on the ‘Yinyang Taegeukdo(陰陽太極圖)’ or the ‘Samil Tacgeukdo(三一太極圖)’, there is no equal division of the plane. Thus, the Taegeuk design of the government flag is not (1) fundamentally Taegeuk, but (2) it is only artificially made. Third, if the current design of the government flag is based on ‘yinyang taegeukdo(陰陽太極圖)’, (1) it should have been expressed as ‘dark blue’ or ‘white’ in terms of area division, (2) if ‘dark blue’ and ‘white’ symbolize yinyang, then (3) ‘clear red’ in the middle means nothing. Fourth, if the current design of the government flag is based on ‘Samil Taegukdo(三一太極圖)’, (1) the face division of ‘dark blue’, ‘clear red’ and ‘white’ should be evenly divided into three equal parts, or (2) ‘dark red’ is independently allocated from the center of Taegeukdo, (3) so It may not be considered to be the extreme of ‘Samil Taegukdo’. Fifth, in conclusion, the current government flag is only an artificially designed design that is designed without reference to the achievements of scholars in various fields of study on Taegeuk, Yinyang Taegeuk, and Samil Taegeuk. The current government flag should be reviewed at the government level. In particular, symbols representing the state or government should no longer be designed this way.

      • 주자학과 토미즘

        소병선(So Byung-Seon) 경북대학교 인문학술원 2012 동서사상 Vol.12 No.-

        주자학과 토미즘의 철학적 유사성은 두 철학의 동일한 전제에서 기원한다. 이 전제는 주자학과 토미즘이 우주만물의 제일원인으로서 태극과 신을 상정하고 있다는 것이다. 그러나 토미즘에서의 신은 위격적인 우주의 창조자이지만, 주자학에서의 태극은 토미즘의 신처럼 위격적인 존재는 아니다. 우주만물이 각각 태극과 신으로부터 유래하기 때문에 주자학과 토미즘이 바라보는 세계구조 또한 유사하다. 만물과 모든 존재자들은 각각 태극과 신으로부터 리와 존재를 분여받았다. 하지만 만물과 모든 존재자들은 각각 기와 본질의 다름에 의해 차등적으로 존재하게 된다. 우주만물 중에서 인간은 가장 빼어난 존재자이다. 왜냐하면 인간의 기와 본질이 다른 어떤 존재자보다도 좋기 때문이다. 그럼에도 만물과 모든 존재자들은 각각 태극과 신에서 유래하기 때문에 한 가족이나 다름없다. 주자학과 토미즘은 이러한 만물이 선하다고 간주한다. 왜냐하면 태극과 신이 선하기 때문이다. 그러나 이 세계에는 분명히 악이 존재한다. 주자학과 토미즘은 이 악을 선의 결핍으로 간주한다. 그러므로 주자학과 토미즘은 인간이성이 이 세계의 모든 존재자들은 인식하고, 존재와 선을 일치시키려고 노력하는 하는 이성적 의지의 철학이다. 즉 주자학과 토미즘은 실재론적 이성주의의 철학이다. The similarity of Chutzuism and Thomism has originated from the same philosiphical presupposition of two philosophies. This pilosophical presupposition of Chutzuism and Thomism considered the Great Ultimate(太極) and God as the First Cause of Universe. But there are a little difference between Chutzuism and Thomism, because God is the Personal Being as the Creator of Universe in Thomism, and The Great Ultimate(太極) is not the CreatOr of Universe in Chutzuism. Nevertheless the Great Ultimate(太極) included in the Heavenly God(上帝) implicitely. Accordingly, the Great Ultimate(太極) and God are the Absolute and the Ulitimate Being. All things in this world have the similar structures, because they originate from The Great Ultimate(太極) or God as the First Cause. Therefore all finite beings originate from the Infinite Being. Accordingly, all things are given esse or li(理) from God or The Great Ultimate(太極). And yet all things varies respectively as the degree of essentia or chi(氣) given by the First Cause. So, there are the various beings in this world. Nonetheless all things in this world ate the only Family. Chutzuism and Thomism considered human reason as the esssentials of human. So two philosophies could explain all things in the universe by human reason. In this world, Chutzuism and Thomism considered all things and all beings as good. And the goodness of these all things and beings has originated from the Great Ultimate(太極) and God. For the Great Ultimate(太極) and God as the greatest goodness gave their goodness to all things and all beings respectively. And yet there is evil necessarily in this world. Chutzuism considered this evil as the defect of Ch"i(氣), and Thomism considered this evil as the privation of the good or the privation of being. Therefore according to Chutzuism and Thomism, nature is good, but evil is never nature because of the privation of the good. Chutzuism and Thomism are the philosophies of the rational will that they cognize being, and then go for the good. Namely, Chutzeism and Thomism are the realistic intellectualism.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