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RISS 인기논문 KCI등재

        신종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COVID-19)에 대한 국제개발협력의 대응 전략

        임형백(Lim, Hyung Baek) 한국지역개발학회 2020 韓國地域開發學會誌 Vol.32 No.4

        이 논문은 우선 팬더믹의 개념을 고찰하고, 팬더믹의 원인으로 미생물, 인구증가와 환경파괴, 인수공통감염병(zoonosis)을 고찰하였다. 이를 통하여 신종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COVID-19)와 같은 전염병이 앞으로도 계속될 것이며, 오히려 더 자주 발생할 수 있음을 경고하였다. 코로나바이러스에 초점을 맞추어, 2003년 중증급성호흡기증후군(SARS)은 중증급성호흡기증후군 코로나바이러스(SARS-CoV), 2015년 중동호흡기증후군(MERS)은 중동호흡기증후군 코로나바이러스(MERS-CoV), 2019년 신종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COVID-19)은 코로나바이러스(SARS-CoV-2)가 원인임을 고찰하였다. 즉 이 3가지 전염병이 모두 코로나바이러스라는 동일한 바이러스에 의한 것임을 고찰하였다. 또 COVID-19의 원인인 SARS-CoV-2(2019-nCoV)가 계통분류학적으로 MERS-CoV 보다는 SARS-CoV에 가까움을 고찰하였다. 한국의 신종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COVID-19)에 대한 대응을 고찰하였고, 이전의 MERS 사태에서 이루어진 변화와 경험이 어떻게, 신종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COVID-19)에 유리하게 작용하였는지를 고찰하였다. 이를 통하여 신종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COVID-19)에 대한 국제개발협력에서의 대응전략을 의료적 차원, 법적·제도적 차원, 인력교류 차원, 윤리적 차원, 정치적 차원, 공간적 차원의 6가지 차원에서 모색하였다. Even in modern times, infectious diseases have constantly threatened humanity. The Spanish flu broke out from 1918 to 1919. The Spanish flu disappeared after infecting a third of the world s population at the time. Smallpox brought by Europeans killed 90% of Native Americans. The most common microorganisms that cause disease are fungal, bacteria and viruses. The problem is that various causes such as domestication of animals, destruction of animal habitats due to population increase, concentration of population in cities, increase in population movement, and climate warming increase the frequency and extent of infection of infectious diseases. In other words, population growth and environmental destruction are the causes of infectious diseases. Domestication of animals has brought a zoonosis. As animals became domesticated, human contact increased, and germs adapted to humans appeared. More than 75% of recent human infectious diseases are infectious diseases, and about 250 species are known to date. Cities cluster humans, the host of viruses. As a result, the city acts as an incubator for infectious diseases. On the other hand, the causes of these infectious diseases cannot be easily blocked because they are connected with human survival, lifestyle, and economic and social systems. As humanity increases, human mobility increases, and the area of residence and activity of humanity increases, it is the root cause of contact with new infectious diseases. Therefore, new epidemics will continue to occur, and there is a risk of occurrence more often. This paper considered response direction to COVID-19 the in six dimensions, in other words, medical dimension, legal and institutional dimension, manpower exchange dimension, ethical dimension, political dimension, and spatial dimension.

      • KCI등재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 팬데믹 시대 민간경비 업무 환경에 대한 질적연구 : 출입통제 민간경비원을 대상으로

        박한호(Park, Han Ho) 한국민간경비학회 2021 한국민간경비학회보 Vol.20 No.4

        민간경비 산업의 발전은 소극적 위험방지에서 적극적 안전확보에 대한 활동의 확장에 따른 결과이다. 범죄예방활동 외에 계약자의 생명·신체·재산의 보호 활동과 관련된 업무 외에도 공공안전에 기여하면서 발전되었다. 유례없는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에 대한 대유행은 민간경비가 제공하는 안전과 관련해 심각한 위협이 되었다.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는 범죄와 유사하게 민간경비와 관련된 생명·신체·재산과 안전을 위협하는 요소 중 하나가 되었으며 관련 업무의 발생은 민간경비업무에 영향을 미치고 있다.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는 공적인 측면과 사적인 측면 모두에 영향을 주고 있다. 사적으로는 자신의 감염예방을 위한 추가적인 시간을 소비해야 하며, 심리적으로는 감염에 대한 두려움으로 인해 적극적인 대면 서비스의 한계를 가져왔다. 공적으로는 방역과 예방 그리고 확진자 발생에 따른 확진자 동선 확인까지 추가적인 업무가 발생하였다. 이와 같이, 사회적 재난으로 인한 사적영역의 위협을 예방하는 현대 민간경비업무가 포함되어 업무가 변화됨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 팬데믹에 대해 반구조화된 질문과 심층 인터뷰를 통해 민간경비원의 업무 인식을 조사하였다. 우선,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 감염증과 관련된 방역업무가 민간경비업무에 속하는가에 대해 대부분은 민간경비 업무로 인지하고 있었다. 또한 다른 직업군에 비하여 경비업무가 감염에 더 취약하다고 인식하고 있었다. 이외에도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 방역지침 위반에 따른 출입통제와 관련된 민간경비원이 강제적인 권한에 있어 한계가 존재함에 따라 적극적인 제지를 못한다는 점에서 스트레스가 발생되었다.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 팬데믹이 장기화되는 실정에 따라 위드 코로나 시대를 위해 민간경비원에 대한 인식이 개선되어야 할 필요성이 존재한다. The development of the private security industry is the result of the expansion of activities from passive risk prevention to active safety secure. In addition to crime prevention activities, it was developed by contributing to public safety in addition to tasks related to the protection of life, body, and property of contractors. The unprecedented pandemic of COVID-19 has become a serious threat to safety provided by private expenses. Like crimes, COVID-19 is one of the factors that threaten safety related to life, body, and property in relation to private expenses, and the occurrence of related tasks is affecting private security services. COVID-19 is affecting both public and private aspects. In private, they have to spend additional time to prevent their infection, and psychologically, there is a limit to active face-to-face services due to fear of infection, and additional tasks have occurred, including quarantine and prevention, and confirmation of confirmed patients movements of confirmed patients. Like this, since the work has changed as modern private security services that prevent threats to private areas caused by social disasters are included, this study investigated the perceptions of private security guards through semi-structured questions and in-depth interviews on the COVID-19 pandemic. First of all, most of the quarantine work related to COVID-19 infection was recognized as private security work. In addition, compared to other occupational groups, it was recognized that security work was more vulnerable to infection. In addition, stress was also found in that private security guards were unable to actively restrain access control due to violations of the COVID-19 quarantine guidelines as there were limitations in compulsory authority. With the COVID-19 pandemic prolonged, there is a need to improve awareness of private security guards for the With Corona era.

      • KCI등재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COVID-19)의 장기화에 따른 부정적 정서가 심리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낙관성의 매개효과

        정윤주(Jeong Yun Ju),강진령(Kang Jin Ryung)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1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1 No.21

        목적 중국 우한(武漢)시에서 2019년 12월 최초로 발생한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가 장기화되자 많은 사람들이 각종 부정적 정서를 표출하고 있어, 이를 극복할 수 있는 방안의 연구가 필요함을 느꼈다. 이에 부정적 정서를 표출하는 사람들에 대한 심리적 안녕감과의 관계를 낙관성을 매개하여 살펴보는 연구가 필요함을 느꼈다. 본 연구에서는 코로나19의 장기화에 따라 유발된 부정적 정서가 심리적 안녕감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고자 하였으며 낙관성을 매개효과로 선정하여 효과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방법 이를 위해 서울, 경기 소재 20대~60대 412명을 대상으로 부정적 정서와 심리적 안녕감, 개인이 가진 낙관성 정도를 측정하기 위한 검사를 실시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6.0과 SPSS Process Macro 25 v3.5를 활용하였다. 연구대상의 인구통계학적 특성을 알아보기 위해 빈도분석을 실시하였고 신뢰도 검증을 위해 신뢰도 분석을 실시하였으며, 상관관계 분석을 실시하여 다중공선성 문제 유무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마지막으로 부분매개효과 분석을 위해 SPSS Process Macro의 4번 모델을 적용하였다. 결과 첫째,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의 장기화에 따른 부정적 정서와 낙관성, 심리적 안녕감 간의 상관관계를 살펴본 결과,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의 장기화로 인한 부정적 정서가 높을수록, 심리적 안녕감이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의 장기화에 따른 부정적 정서와 심리적 안녕감 간의 관계에서 낙관성의 매개효과를 살펴본 결과, 낙관성은 부정적 정서와 심리적 안녕감의 관계를 완전하게 매개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결론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의 장기화에 따른 부정적 정서는 심리적 안녕감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칠 뿐만 아니라, 낙관성을 매개로 하여 심리적 안녕감에 간접적으로도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를 통해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의 장기화에 따른 부정적 정서는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 같은 전염병이 창궐하는 시대를 겪고 있는 사람들로 하여금 정상적인 일상으로 돌아가고 싶다는 열망과 함께 심리적 안녕감을 낮추는 역할을 하였다. 이를 통해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와 같은 전염병으로 인한 부정적 정서를 완화하고 심리적 안녕감을 증가시키기 위한 지역 상담센터의 교육 및 상담적 개입, 집단상담 프로그램 개발과 낙관성 증진 교육 등의 적극적인 관심이 필요함을 시사하였다. Objectives As the first COVID-19 in Wuhan, China, was prolonged in December 2019, many peoople expressed various negative emotions, and felt the need foe research on ways to overcome it. Therefore We felt the need for research to look at the relationship between psychological Well-Being, which is often mentioned in the study of positive psychology. In this study, we wanted to find out how negative emotions induced by the prolonged COVID-19 affect psychological Well-Being and to select Optimism as a mediationg effect to examine its effectiveness. Methods For this study, 412 people in their 20s ~ 60s in Seoul and Gyeonggi Province were examined to measure negative Affectivity, Psychological Well-Being, and the degree of Optimisim that individuals have. For the collected data, SPSS 26.0 and SPSS Process Macro 25 v3.5 were used. Frequency analysis was conducted to find out the demographic characteristics of the study subjects, reliability analysis was conducted to verify the presence or absence of multicollinearity problems by conducting correlation analysis. Finally, model 4 of SPSS Process Macro was applied to analyze the partial mediating effect. Results First, the correlation between Negative effectivity, Optimism and Psychological Well-Being caused by the prolonged COVID-19 showed that the higher the Negative effectivity caused by the prolonged Covid-19, the lower the Psychological Well-Being. Second, looking at the mediating effect of Optimism in the relationship between Negative Affectivity and Psychological Well-Being following the prolonged COVID-19, we can see that Otimism fully mediates the relationship between Negative Affectivity and Psychological Well-Being. Conclusions It means that the Negative Affectivity caused by the prolonged COVID-19 not only directly affect Psychological Well-Being, but also indirectly affect Psychological Well-Being through the medium of Optimism. Through this, the Negative Affectivity caused by the prolonged COVID-19 played a role in lowering Psychological Well-Being along with the desire to return to normal life fow those suffering from an era of infectious dieases such as COVID-19. It suggested that active attention is needed such as education and counseling intervention of local counseling centers, group counseling programs, and Optimism promotion education to alleviate negative Affectivity caused by infectious diseases such as COVID-19.

      • KCI등재

        바이러스 전염행위에 대한 형법적 대응 -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를 중심으로 -

        고명수 대검찰청 2020 형사법의 신동향 Vol.0 No.69

        The pandemic of coronavirus infection-19 (COVID-19) causes numerous deaths. To prevent the spread of the virus, each country is focusing on controlling the people's behaviors with punishment, which is the strongest sanction. This study deals with the form of criminal punishment for the transmission of viruses. The main theory of virus-transmission was developed in the late 1980s through a discussion in Germany about punishing the transmission of Human Immunodeficiency Virus (HIV). This theory can be applied on a large scale for the transmission of coronavirus. If the infected person deliberately or negligently transmits the virus to others, depending on the case, the (attempted) injury, serious injury, death resulting from injury, death and injury by negligence, homicide can be applied without difficulty. However, the specific characteristics (especially the pathology) of each virus should be reflected in the punishment for the transmission of viruses. The specific characteristics of COVID-19 must be considered.: asymptomatic infection (17-30%), strong infectivity and a relatively low mortality rate, while a high mortality when transmitted to older patients, patients with reduced immune function and patients with underlying disease(high-risk group). The general understanding that the completion of injury can be recognized once the victim is infected, even before clinical symptoms appear, is caused by the characteristics of HIV.: The virus does not disappear from the body and has a continuous effect on the body for the rest of life. And manifestation of symptoms after infection has a high incidence rate, but it takes a long time. AIDS through HIV is an incurable disease (100% mortality rate). However, the coronavirus can be cured so that the infection is limited in time. After a complete recovery (without symptoms and medical remedies), the infected condition is not permanent, but temporary. And the fact that the victim's body is contagious doesn't mean that there is health damage in the pathological sense. For the completion of the injury crime, the result of an injury from the act must have occurred. If the injury is recognized only by a simple infection, this character of the injury crime would be transformed into the crime with an abstract endangerment of legal interests. The introduction of a separate regulation punishing the deliberate transmission of viruses itself under the 「Infectious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Act」 could control the transmission of viruses more actively. The high infectivity of the coronavirus can also make it easier to recognize the intent related to the difference between intent and negligence, and a high mortality rate for high-risk groups could be considered for the recognition of homicide crimes, if the actor enters the area for high-risk groups(e.g. nursing homes).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 (COVID-19)의 세계적 유행으로 인해 수많은 사망자가 발생하고 있다. 각 국가는 바이러스 확산방지를 위해 가장 강력한 제재수단인 형벌을 앞세워 국민들의 행동 통제에 주력하고 있다. 이 연구는 바이러스 전염행위에 대한 형법상 규율을 구체적으로 조명한다. 1980년대 후반 독일에서 인체면역결핍바이러스(HIV) 전염행위에 대한 제재 논의가 활발히 이뤄졌고, 이로써 바이러스 전염행위에 대한 형법적 대응의 이론적 기반이 마련되었다. 코로나바이러스 전염행위에 대해서도 큰 틀에서는 이 이론이 적용가능하다. 고의 또는 과실로 바이러스를 타인에게 전염시킨 행위를 구체적 사례에 따라 상해(미수)죄, 중상해죄, 상해치사죄, 과실치사상죄, 살인죄로 규율할 수 있다. 특히, 감염사실을 알지 못했더라도, 감염자와 밀접한 접촉이 있었거나 해당 바이러스의 특정 증상이 나타났기 때문에 자신이 감염되었을 수도 있다는 사실을 인식하여야 하였음에도 부주의하여 이를 인식하지 못한 경우(인식 없는 과실)에도 과실치사상죄 성립이 가능하다. 또한, 해당 바이러스의 전염경로가 명확하게 밝혀졌는데도 행위자가 이를 알지 못하고 오인하여 다른 전염경로를 수단으로 고의적인 전염행위를 한 경우, 감염자가 객관적으로는 완치되어 더 이상 보균하지 않았지만 이를 알지 못하고 완치 판정을 받지 않은 상태에서 고의로 타인에 대해 전염행위를 한 경우, 행위자가 실제로는 바이러스에 감염되지 않았기 때문에 결과발생이 불가능함에도 불구하고 이것이 가능하다고 오인한 채 고의로 해당 바이러스의 전염경로에 해당하는 행위를 타인에 대하여 한 경우에도 행위의 위험성을 전제로 상해불능미수가 성립할 수 있다. 그러나 특정 바이러스의 전염행위에 대한 구체적인 형법 적용은 각 바이러스의 특성(전염경로, 발병양상 등)이 반영되어야 한다.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는 전염성이 매우 강하고, 일정 비율 (17∼30%)로 무증상감염이 이뤄진다. 그리고 다른 바이러스에 비해 상대적으로 낮은 치명률을 내기는 하지만, 고위험군에 대한 치명률은 상당히 높다. 행위자가 고의적으로 전염행위를 하였음에도 무증상감염에 그친 경우에는 상해미수로 규율하여야 한다. 증상발병 전일지라도 감염 그 자체만으로 상해기수를 인정할 수 있다고 보는 견해는, 전염행위로 인한 피해자의 전・후 건강상태를 세포 수준에서 비교할 때 정상적인 신체기능에 대한 불리한 이탈상태가 확인된다는 입장이다. 감염자는 해당 바이러스를 보균하여 그의 신체가 전염성을 갖게 된다는 점 또한 논거로 제시한다. 그런데 이것은 인체면역결핍바이러스의 특성, 즉 감염 이후에 아직 발병이 되지 않았더라도 바이러스가 체내에 남아 지속적으로 영향을 미치고 사망 때까지 사라지지 않으며, 후천성면역결핍증이 불치의 질병이라는 특성에 기인한 것이다. 그에 반해, 코로나바이러스는 무증상감염 이후 별도의 치료가 없더라도 완치가 가능한 경우가 있고, 그러면 지금까지의 연구에 의하면 체내에 살아 있는 바이러스가 남지 않는다. 이때 무증상감염 여부는 객관적, 병리적 관점에 따라 판단되어야 할 것이다. 그리고 피해자 신체가 전염성을 갖고 있다는 것은 병리학적 의미에서 증상발병, 즉 건강손상을 의미하지 않는다. 특히, 바이러스로 인한 일정 증상이 발병되지 않았음에도 단순감염만으로 상해기수를 ...

      • KCI등재

        트위터에서의 COVID-19와 관련된 반시민성 주제 탐색: 혐오 대상 및 키워드 분석

        김규리,오찬희,주영준 한국정보관리학회 2022 정보관리학회지 Vol.39 No.1

        This study aims to understand topics of incivility related to COVID-19 from analyzing Twitter posts including COVID-19-related hate speech. To achieve the goal, a total of 63,802 tweets that were created between December 1st, 2019, and August 31st, 2021, covering three targets of hate speech including region and public facilities, groups of people, and religion were analyzed. Frequency analysis, dynamic topic modeling, and keyword co-occurrence network analysis were used to explore topics and keywords. 1) Results of frequency analysis revealed that hate against regions and public facilities showed a relatively increasing trend while hate against specific groups of people and religion showed a relatively decreasing trend. 2) Results of dynamic topic modeling analysis showed keywords of each of the three targets of hate speech. Keywords of the region and public facilities included “Daegu, Gyeongbuk local hate”, “interregional hate”, and “public facility hate”; groups of people included “China hate”, “virus spreaders”, and “outdoor activity sanctions”; and religion included “Shincheonji”, “Christianity”, “religious infection”, “refusal of quarantine”, and “places visited by confirmed cases”. 3) Similarly, results of keyword co-occurrence network analysis revealed keywords of three targets: region and public facilities (Corona, Daegu, confirmed cases, Shincheonji, Gyeongbuk, region); specific groups of people (Coronavirus, Wuhan pneumonia, Wuhan, China, Chinese, People, Entry, Banned); and religion (Corona, Church, Daegu, confirmed cases, infection). This study attempted to grasp the public’s anti-citizenship public opinion related to COVID-19 by identifying domestic COVID-19 hate targets and keywords using social media. In particular, it is meaningful to grasp public opinion on incivility topics and hate emotions expressed on social media using data mining techniques for hate-related to COVID-19, which has not been attempted in previous studies. In addit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practical implications in that they can be based on basic data for contributing to the establishment of systems and policies for cultural communication measures in preparation for the post-COVID-19 era. 본 연구는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 (이하 코로나19)로 인해 생겨난 코로나19 반시민성 주제와 코로나19 혐오 정서를 파악하기 위해 소셜 미디어 중 하나인 트위터의 코로나19 관련 게시물을 분석하였다. 2019년 12월 1일부터 2021년 8월 31일까지 21개월 동안 작성된 코로나19 관련 혐오 대상별(지역, 공공시설 혐오, 특정 인구 집단 혐오, 종교 혐오) 게시물 수집 및 전처리를 진행하여 총 63,802개의 게시물을 분석하였다. 혐오 대상별 빈도 분석, 다이나믹 토픽 모델링, 키워드 동시 출현 네트워크 분석 기법을 통하여 혐오 대상별 반시민성 주제와 혐오 키워드를 파악하였다. 첫째, 빈도 분석 결과, 지역, 공공시설 혐오는 상대적으로 증가하는 추세를 보이고 특정 인구 집단과 종교 혐오는 상대적으로 감소하는 추세를 확인할 수 있었다. 둘째, 다이나믹 토픽 모델링 분석 결과, 지역, 공공시설 혐오는 ‘대구, 경북지방 혐오’, ‘지역 간 혐오’, ‘공공시설 혐오’로 나타났고, 특정 인구 집단 혐오는 ‘중국 혐오’, ‘바이러스 전파자’, ‘실외(야외)활동 제재’로 나타났으며, 종교 혐오는 ‘신천지’, ‘기독교’, ‘종교 내 감염’, ‘방역 의무 거부’, ‘확진자 동선 비난’으로 나타났다. 셋째, 키워드 동시 출현 네트워크 분석 결과, 지역, 공공시설 혐오(코로나, 대구, 확진자, 신천지, 경북, 지역), 특정 인구 집단 혐오(코로나바이러스, 우한폐렴, 우한, 중국, 중국인, 사람, 입국, 금지), 종교 혐오(신천지, 코로나, 교회, 대구, 확진자, 감염) 등을 핵심 키워드로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연구는 소셜 미디어를 활용한 국내 코로나19 혐오 대상 및 키워드 파악을 통해 코로나19 관련한 대중의 반시민성 여론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특히 기존의 선행연구에서 시도하지 않았던 주제인 코로나19 관련 혐오에 데이터 마이닝 기법을 이용하여 소셜 미디어에서 표출하는 대중의 반시민성 주제와 혐오 정서 탐색은 대중들의 여론을 파악하는 것이 의의가 있다. 더불어 본 연구 결과는 포스트 코로나 시대를 대비하는 문화적 소통 방안의 제도 및 정책 수립 기여를 위한 기본 자료에 기초할 수 있다는 점에서 실질적 함의를 시사한다.

      • KCI등재

        코로나 팬데믹이 러시아어에 미친 영향 - 코로나 신조어를 중심으로 -

        손현익 ( Hyunik Son ) 한국외국어대학교(글로벌캠퍼스) 러시아연구소 2021 슬라브연구 Vol.37 No.3

        인류가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이하 코로나-19)의 고통 속에서 신음한 지도 어느덧 2년 가까이 되어간다. 일시적이고 단편적인 현상으로 끝나게 되길 간절한 바람에도 불구하고, 팬데믹으로까지 확산된 코로나-19가 전 세계를 휩쓸면서 인류의 삶은 크게 달라지고 있다. 코로나-19가 발발하고 장기간 지속 되면서 우리의 삶에 가져온 변화로 언어생활의 변화를 꼽을 수 있다. 대표적으로 코로나-19와 관련된 다수의 새로운 어휘들이 쏟아져 나왔는데, 이른바 ‘코로나-19 신조어(이하 코로나 신조어)’의 출현이다. 본 연구에서는 코로나 팬데믹이 러시아어에 미친 영향과 이에 따른 언어 변화 양상에 주목하여 러시아 언론매체에 나타난 코로나 신조어들의 수집과 분석을 통해 언어 변화 양상을 고찰하고, 이를 토대로 러시아인의 삶에 나타난 다양한 현상을 표면적으로 관찰하여 포스트 코로나 시대의 러시아 사회의 모습을 전망해 보고자 한다. The new COVID-19 coronavirus infection, which has infected many people worldwide since December 2019, not only caused chaos in human life and collapse of social activity. It became a catalyst for drastic changes that can stay with us for a long time even after the creation of a medicine or vaccine. This article is devoted to the influence of the coronavirus pandemic on Russian. Firstly the author collected and examined Russian neologisms related to COVID-19 and analyzed their usage patterns. This article is analyzing the life and social changes of Russian individuals under the influence of COVID-19 focusing only on the newly emerging neologisms in Russian after the outbreak of COVID-19 on the premise that COVID-19 brought about a tremendous revolution in human life.

      • KCI등재

        119구급대원의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COVID-19)에 대한 지식 및태도가 감염관리 수행도에 미치는 영향

        박대성,김예림 인문사회 21 2022 인문사회 21 Vol.13 No.2

        119구급대원의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COVID-19)에 대한 지식 및태도가 감염관리 수행도에 미치는 영향박 대 성**ㆍ김 예 림*** 요약: 본 연구는 119구급대원의 코로나19에 대한 지식 및 태도를 파악하여 감염관리 수행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연구 대상은 광주광역시, 전라남북도에 소재한 119안전센터 및 119지역대에서 근무하는 119구급대원 170명이다. 수집된 자료는 SPSS/WIN 16.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빈도 백분율, 평균 및 표준편차, t-검정, ANOVA, Pearson 상관관계, 다중회귀분석을 사용하였다. 연구 결과 119구급대원의 감염관리 수행도에 코로나19에 대한 태도와 지식 순으로 영향을 미쳤다. 119구급대원의 코로나19에 대한 태도와 지식을 향상시킬 수 있는 교육프로그램 개발과 행정・재정적 지원이 필요하다. 핵심어: 119구급대원,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 코로나19 지식, 코로나19 태도, 감염관리 수행도 □ 접수일: 2022년 3월 14일, 수정일: 2022년 4월 8일, 게재확정일: 2022년 4월 20일* 이 논문은 2021년 광주보건대학교의 지원을 받아 수행된 연구임(2021026). ** 주저자, 광주보건대학교 응급구조학과 교수(First Author, Professor, Gwangju Health Univ., Email: emtppds1@naver.com)*** 교신저자, 동주대학교 응급구조과 교수(Corresponding Author, Professor, Dongju College, Email: ye_rimi_@naver.com) Effect of 119 EMTs Knowledge and Attitude About CoronavirusInfection-19 (COVID-19) on Infection Control PerformanceDaesung Park & Yerim Kim Abstract: This study is a descriptive research study to determine the knowledge and attitudes of 119 EMTs about COVID-19 and their effect on infection control performance.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170 119 EMTs at the 119 safety center and 119 fire house in Gwangju Metropolitan City and Jeollanambuk-do Province. For the collected data, frequency percentage, mean and standard deviation, t-test, ANOVA, pearson correlation,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ere used using the SPSS/WIN 16.0 program. As a result of the study, the attitude and knowledge of COVID-19 had an effect on the infection control performance of 119 EMTs in the order. It is necessary to develop an educational program that can improve the attitude and knowledge of the 119 EMTs about COVID-19 and provide administrative and financial support. Key Words: 119 Emergency Medical Technician, Coronavirus Infection-19, COVID-19 Knowledge, COVID-19 Attitude, Infection Control Personal

      • KCI등재후보

        국내 코로나19 대유행에 대한 예방접종 및 사회적 거리두기 정책

        김정아,이희언,김지원,장다슬,최남경 한국에프디시규제과학회 2023 FDC법제연구 Vol.18 No.2

        2019년 12월 중국 우한시에서 최초 보고된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코로나19)는 전 세계적으로 대유행을 일 으켰다. 한국은 코로나19 백신이 개발되지 않았던 초반에 사회적 거리두기 정책을 실시하며 코로나19 확산을 억제하 려고 노력하였다. 하지만 다양한 방역 정책을 추진함에도 불구하고 코로나19 확진자가 지속적으로 증가하였고, 이에 코로나19 바이러스의 감염 및 전파를 예방하는 효과적인 수단인 코로나19 예방접종의 중요성이 강조되었다. 2020년 하반기에 코로나19 백신이 개발 및 생산되면서 2021년 2월 26일에 국내에서 첫 코로나19 예방접종이 시작되었다. 국 내 코로나19 대응 과정과 예방접종 전략은 미래의 신종감염병을 대비하는 중요한 수단으로써 주요 사항들을 파악하 는 것이 필요하다. 이에 본 연구는 국내에 도입된 코로나19 백신 종류, 예방접종기관, 예방접종 일정, 코로나19 대유 행 및 사회적 거리두기 정책에 대해 살펴보고자 한다. 한국은 바이러스벡터 백신 2종(아스트라제네카, 얀센), mRNA 백신 2종(화이자, 모더나), 유전자재조합 백신 2종(노바백스, 스카이코비원) 등 총 6종의 코로나19 백신을 도입하여 사 용하였다. 예방접종은 예방접종센터, 위탁의료기관, 보건소, 자격을 갖춘 인력이 직접 찾아가는 방문접종 서비스를 통 해 이루어졌다. 또한, 국내에 여러 종류의 코로나19 백신이 순차 공급됨에 따라, 예방접종은 코로나19 감염 시 중증 진행 위험, 코로나19 전파특성 및 의료 방역체계 등을 고려하여 순차적으로 시행되었다. 사회적 거리두기 정책은 코 로나19 환자가 한국에서 최초로 발생한 2020년 1월 20일부터 여러 번의 대유행을 거치며 기준 및 수행 규칙이 지속 적으로 변경되며 시행되었다. 본 연구는 추후 신종감염병 출현 시, 감염병 대응 정책을 계획하고 필요한 보건 및 의 료자원의 우선순위와 범위를 결정하는 데 기초자료로 활용되고자 한다. 또한, 예방접종전략 수립을 위해 백신 안전성 과 효과에 대한 지속적인 모니터링과 새로운 변이 유행에 대한 해외 동향을 지속적으로 감시해야 함을 제안한다. The COVID-19 outbreak, first reported in Wuhan, China, in December 2019 led to a global pandemic. In the absence of a COVID-19 vaccine, South Korea implemented social distancing policies as a measure to mitigate its spread. Despite various quarantine policies, a sustained increase in cases emphasized the importance of vaccination as an effective tool against the COVID-19 infection and transmission. The first COVID-19 vaccination in South Korea began on February 26, 2021, following the development and production of vaccines in the latter half of 2020. Understanding Korea's approach to COVID-19 response and vaccination is vital for preparing for future outbreaks of emerging infectious diseases. This review examines the types of COVID-19 vaccines introduced in South Korea, vaccination institutions, vaccination schedules, and social distancing strategies. South Korea introduced a total of six COVID-19 vaccine types, including two viral vector vaccines (AstraZeneca, Janssen), two messenger ribonucleic acid (mRNA) vaccines (Pfizer, Moderna), and two recombinant protein vaccines (Novavax, SKYCovione). COVID-19 vaccines were administered through vaccination centers, entrusted medical institutions, public health centers, and door-to-door services by qualified personnel. The vaccinations were initiated sequentially, considering the severe progression of COVID-19 infection, the maintenance of medical systems, and the characteristics of COVID-19 transmission. Social distancing policies evolved continuously since the first COVID-19 case in South Korea on January 20, 2020, adapting standards and implementation guidelines through multiple waves of the pandemic. This study contributes foundational information for shaping policies for emerging infectious diseases, establishing priorities, and aiding in the allocation of crucial healthcare resources. Furthermore, it suggests continuous monitoring of vaccine safety and effectiveness, as well as global surveillance of new variant trends, to formulate vaccination strategies and respond to emerging infectious threats

      • KCI등재

        미중 무역전쟁과 코로나19의 파급효과 분석

        윤승환 ( Seung-hwan Yoon ),안세화 ( Se Hwa Ahn ) 아시아.유럽미래학회 2021 유라시아연구 Vol.18 No.3

        본 연구는 트럼프 정부 출범 이후 촉발된 미중 무역 전쟁과 2020년 초에 중국 우한에서 발현되어 세계적 대유행으로 확산된 코로나19가 세계 경제와 국제무역에 미칠 영향을 추정하고 이에 따른 시사점을 도출하고자 시도되었다. 분석 결과, 미중 무역 전쟁은 미국과 중국 양 당사국 모두에게 실질 GDP를 감소시켰고 기타 다른 국가들에게는 GDP를 증가시키는 결과를 초래했다. 하지만 그 규모는 매우 미미하여 미국의 보호무역주의 정책 실효성에 의문이 들 정도이다. 여기에 코로나19 대유행이 겹치자 미국을 포함한 모든 국가들의 GDP가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는데 그 중 미국과 ASEAN의 GDP가 좀 더 큰 폭으로 감소하였고 이는 실업률의 급격한 증가가 주된 원인으로 보인다. 그리고 미중 관세 전쟁보다도 코로나19 대유행의 경제적 피해가 훨씬 더 크게 나타나 가능한 빠른 시일내에 코로나19 대유행을 극복하는 것만이 경제적 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다는 것을 시사해 주고 있다. 이를 극복하기 위한 각 국의 경기부양책은 일부 국가를 제외하면 미중 무역전쟁과 코로나19 대유행과 같은 이중고(double whammy)로 인한 피해를 완전히 극복하지는 못하더라도 어느정도 완화시키는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미국과 중국이 관세를 인상했을 때 국제 교역과 무역 수지는 양국 모두 수출입이 감소세를 보였으나 수출보다 수입 감소 규모가 상대적으로 더 커 무역수지 흑자를 기록하였다. 하지만 코로나19 대유행의 경우 분석대상 국가 모두 수출입이 감소하였지만 국가마다 감소 규모와 방향이 다르게 나타나면서 무역수지에도 차이를 보였다. 소비 지출의 경우, 미중 무역 전쟁 시나리오의 경우 양국 모두 소비 지출이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지만 기타 다른 국가들에서는 미미하지만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코로나19 대유행의 경우 모든 국가들의 소비지출이 감소하였는데 중국만 증가한 것으로 나타나 실업률 감소 규모가 상대적으로 작아 소득도 유지될 수 있었고 이로 인한 소비 지출이 늘어난 것으로 보인다. 부문별 산출을 살펴보면, 미중 관세 전쟁과 코로나19 대유행에 따른 이중고를 가정한 시나리오의 경우, 중국과 ASEAN을 제외한 모든 국가들에게서 제조업에 비해 서비스 산업의 산출량이 전반적으로 좀 더 큰 폭으로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다. 분석의 현실성을 높이기 위해 각 국의 실제 실업 변화율을 반영하였는데 각 국의 실업률 변동 격차가 원인으로 보이며 각 국가의 경제 및 산업 구조에 따라 실업률 증가에 대한 충격 반응이 달리 나타난 것으로 보인다. 이는 각 국가의 경제 운용에 있어 고용 유지가 산업별 산출량에 상당한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것을 보여주고 있다. 특히 자영업자 비중이 비교적 높은 서비스 산업(음식 숙박업, 여행 및 관광업, 문화 관광업 등)의 산출량이 상당한 규모로 감소함에 따라 이들 서비스 산업 종사자들의 타격이 그만큼 클 것으로 보인다. 또한 코로나19 대유행으로 인한 실업 증가가 가계 소득 감소, 소비 지출 감소, 결과적으로 생산 감소로 이어지는 만큼 고용 유지에 필요한 지원책을 강구할 필요가 있으며 제조업보다 더 큰 피해를 입은 서비스업 종사자들을 위한 지원도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총평하면, 미국의 보호무역주의 대외통상정책(일방적 관세인상)은 실효성에 의문이 들 만큼 효과가 미미하였고 실제 미중 양국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또한, 미중 무역 전쟁으로 인한 피해보다는 코로나 19로 인한 피해가 훨씬 더 크게 나타나 가능한 빠른 시일내에 코로나19 대유행을 극복하는 것만이 경제적 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는 유일한 방법이며 특히, 코로나19로 인한 일자리의 급격한 감소가 다른 요인보다도 가장 큰 피해를 초래한 것으로 볼 수 있어 그만큼 고용 유지가 경제 운용에 매우 중요하다는 점을 시사해 주고 있다. 미중 무역 전쟁이 양국 간 합의에 따라 현재 소강상태에 있지만 다시 재현될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고 코로나19 대유행도 올해 안에 진정될 가능성은 낮아 보인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전세계 경제가 지속적으로 성장하기 위해서는, IMF의 정책 권고처럼, 각 국가의 경제활동이 정상화될 때까지 정책적 지원을 지속할 필요가 있으며 코로나19 대유행이 한시바삐 극복될 수 있도록 모든 국가의 백신 접근성 제고를 위해 국제 공조를 강화해야 할 것이다. Using a global, multisector, computable-general-equilibrium model, this paper undertakes to identify the economic impact of the US-China trade war initiated by the Trump administration and the impact of COVID-19, which spread as a global pandemic in 2020, on the global economy and international trade. Analytical results reveal that the US-China trade war had a negative effect on both the U.S. and China and resulted in an increase in real GDP for the rest of the world. But the effect of the protectionist policy implemented by the U.S. was very minimal, raising questions about the effectiveness of the policy. When COVID-19 struck the world, the GDP of all countries, including the United States, decreased. Among them, the GDP of the United States and ASEAN fell more sharply, and the rapid increase in the unemployment rate seems to be the leading cause. In addition, the economic damage arising from the COVID-19 pandemic was much greater than that of the US-China trade war around the world, suggesting that overcoming COVID-19 as soon as possible is required to minimize economic damage. Each country’s economic stimulus packages were found to have a mitigating effect to some extent, with the exception of some countries, even if the damage caused by the US-China trade war and the COVID-19 pandemic could not be completely reversed. Regarding the impact of each scenario on international trade and trade balance, when the U.S. and China raise tariffs, both the U.S. and China show a decrease in both exports and imports. Still, the extent of the drop in imports is even greater than in exports, leading to a surplus in the trade balance. In the case of the COVID-19 pandemic, exports and imports decline in all countries, but the scale and direction of the decline are different for each country. The U.S. records a trade surplus, but China shows otherwise. In the case of private consumption expenditure, which is closely related to income, both countries’ expenditure decreases when tariff hikes by the U.S. and China. However, in all countries except the U.S. and China, consumption expenditure increases, albeit minimally. Consumption in all countries decreases due to COVID-19, albeit variously. Only in China does consumption expenditure increase, in this scenario by 0.98% to 2.2%, suggesting that economic disruption caused by COVID-19 is relatively small. Compared to other countries, as the decline in the unemployment rate is also relatively small, income most likely could be maintained, leading to increased consumption. In terms of the sectoral output in each country, in the case of scenario 5, assuming the double whammy of the US-China trade war and the COVID-19 pandemic, overall production of the service industry significantly decreases compared to that of the manufacturing industry. In particular, a decline in the service industry’s output is experienced in all countries except China and ASEAN. In order to reflect the damage caused by COVID-19 as realistically as possible in the model, the actual unemployment data of each country is used; however, the difference in the absolute terms of the unemployment rate in the scenarios seems to provide these results. Also, depending on each country’s economic and industrial structure, the shock response to the drop in the employment rate appears to be different. This suggests that job security has a significant impact on each country’s economy. In particular, the output of service industries (accommodation & food, transport, travel and tourism, recreation and leisure activities) with a relatively high proportion of self-employed workers reflects a significant decline, which is expected to impact these self-employed workers severely. Besides, as the increase in unemployment caused by COVID-19 has led to a decrease in household income, decrease in consumption expenditure, and consequently decrease in production, seeking measures to maintain job security and support for service industry workers who have suffered more damage than manufacturing industry workers is advisable.

      • KCI등재

        코로나19 팬데믹으로 본 바이오테러리즘의 대응방안 고찰

        신소영(Shin, So Young) 한국경호경비학회 2020 시큐리티연구 Vol.- No.특별호

        Among the various terrorist weapons, bioterrorism using bacteria and viruses can be a social disaster that has a high killing power and can cause a permanent injuries to bring about national disaster. To prevent this disaster, prediction of the terrorism has been performed by analyzing bio and chemical weapons and researching relevant technologies, however, as seen in the case of COVID-19 spreading in world wide. In addition, even if it is an infectious disease that happened by chance at the time the COVID-19 Pandemic was declared, it can be used as a means of terrorism by weaponizing the Corona virus with future intentions through social confusion. In fact, the infectious diseases and bioterrorism are significantly close, and the response systems against these are simply similar and mutually applicable. Thus, this study analyzed the current status of COVID-19 and its response system, predicted the seriousness of possible bioterrorism in the future, and suggested the various countermeasures. 다양한 테러무기 중에서도 세균 및 바이러스를 이용한 바이오테러리즘은 국가적 재난을 가져올 수 있을 만큼 살상력이 높고 영구적 상해를 유발할 수 있는 사회적 재난이다. 이에 대응하기 위해 바이오 및 화학테러 무기를 분석하고 관련 기술을 연구하여 테러를 예측하고자 하였으나 현재 전 세계적으로 확산되고 있는 코로나19바이러스 사태에서도 알 수 있듯이 감염자가 발생하고 확산이 시작되는 순간 대응이 쉽지 않다. 특히, 코로나19 팬데믹이 선언된 시점에서 살펴보면 우연히 발생한 감염병이라고 할지라도 향후 사회혼란을 틈타 의도를 가지고 코로나 바이러스를 무기화하여 테러행위 수단으로 이용할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 실제로 감염병과 바이오테러리즘의 관계는 아주 밀접하며 대응 시스템 역시 기본적으로 유사하고 상호적용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코로나19바이러스감염증의 현황과 대응체계를 분석하여 앞으로 발생 가능한 바이오테러리즘의 심각성을 강조하고 출입국관리시스템과 질병보건통합관리시스템의 연계와 바이오테러리즘 맞춤형 의료시스템 구축, 정보공개에 따른 ‘사생활 침해’ 등에 대한 제도적 보완을 통해 실질적인 위기관리 인프라 구축을 대응방안으로 제시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