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이종상 한국농업교육학회 2008 농업교육과 인적자원개발 Vol.40 No.2
농업인력 개발을 하는데 있어서 농업생산부문과 농업관련산업에 펼요한 인력을 정확히 파악하는 것은 매우 중요한데, 농업생산직의 취업자수는 농업통계연보 등과 같이 직접적인 통계 수치를 이용할 수 있으나, 농업관련산업의 농업관련 취업자수에 관한 통계는 작성하지 않기 때문에 추계하여 사용하지 않으면 안 된다. 농업관련산업의 농업관련 취업자수를 추계하기 위해서는 산업간 투입관계와 산업별 취엽자수가 필요한데, 이러한 자료로 적합한 것이 산업연관표가 있다. 이 연구의 목적은 산업연관표를 이용하여 농업관련산업의 농업관련 취업자수를 추계하는 방법을 제시하고, 농업관련산업의 농업관련 취업자수를 산업별로추계하는데 있다. 산업연관표를 이용하여 농업관련 취업자수를 추계하는 방법은 후방관련산업의 경우 일반부문과 「도소매」, 「운송 및 보관」 부문의 추계방법이 동일하나, 전방관련산업은 일반부문과 「도소매」, 「운송 및 보관」 부문의 추계방법이 서로 달라야 한다. i후방관련산업의 농업관련 취업자수는 (i부문에서 농업에 투입액)/(i부문의 총산출액)×(i부문의 취업자수)로 추계할 수 있으며, 전방관련산업에 있어서 「도소매, 운수 및 보관」 부문을 제외한 일반부문 j부문의 농업관련 취업자수는 (농업에서 j부문의 투입액/j부문의 「도소매, 운수 및 보관」 을 제외한 중간투입액)×(j부문의 취업자수) , 농업에서 j부문에 투입하는데 필요한 「도소매, 운수 및 보관」 의 취업자수는 (j부문에 투입한 도소매, 운수 및 보관 투입액/ 「도소매, 운수 및 보관」 총생산액) x {농업에서 j부문에 투입액/(j부문중간투입액- 「도소매, 운수 및 보관」투입액)}×(「도소매, 운수 및 보관」 취업자수)으로 추계할 수 있다. 2003년 기준으로 농업생산부문의 취업자수는 1,791,607명, 농업관련산업의 농업관련 취업자수는 355,484명으로 이중 후방관련산업의 농업관련 취업자수는 101,390명, 전방관련산업의 농업관련 취업자수는 254,094명으로 농산엽의 농업관련 종사자수는 2,147,091명이었다. 산업연관분석은 각 산업 간의 관계가 무한히 반복적으로 이루어지는데, 이 연구에서는 농업과 직접 적인 전·후방농업관련산업만을 고려했기 때문에 간접적인 전·후방관련산업의 취업자를 포함하는 경우에는 농업관련 취업자수는 더 늘어날 것이다. Agricultural product industry is related with other industries, input industries(backward) in agriculture and post-farm gate industries(forward). We call agriculture-related industry a agribusiness. When we develop manpower in agriculture we should consider not only the number of employed person in agriculture also that related to agriculture in agribusiness. We can use the number of employed person in agriculture by using agricultural statistic books. But we must estimate the number of employed person related to agriculture in agribusiness. The objectives of this study was to suggest the estimation method and to estimate the number of employed person related to agriculture in agribusiness by using Input-Output Tables. The number of employed person in 「Wholesale and retail trade」 and 「Transport and storage」 sector is contained in input industries in agriculture, but the number of employed person in 「Wholesale and retail trade」 and 「Transport and storage」 sector is not contained in post-farm gate industries. (Total intermediate input) The method of estimating the number of employed person in i input industries in agriculture should be (Value of input from i industry to agriculture)/(Gross Domestic Output of i input industries)×(the number of employed person of i input industries). The method of estimating the number of employed person in j post-farm gate industries, in case of general industry that 「Wholesale and retail trade」 and 「Transport and storage」 is excluded in total industry, should be (input of agriculture to j industry)/(Total intermediate input of j industry except 「Wholesale and retail trade」 and 「Transport and storage」)×(the number of employed person in j industry) and in case of 「Transport and storage」 should be (input of 「Wholesale and retail trade」 and 「Transport and storage」 to j industry)/(Gross Domestic Output of 「Wholesale and retail trade」 and 「Transport and storage」)×(input of agriculture to j industry)/(Total intermediate input of j industry ·「Wholesale and retail trade」 and 「Transport and storage」)×(the number of employed person in 「Wholesale and retail trade」 and 「Transport and storage」) The number of employed industry of agriculture was person related to agriculture in agribusiness was 355,484, that in input 101,390, that in post-farm gate industry was 254,094.
마상진 한국농·산업교육학회 2021 농업교육과 인적자원개발 Vol.53 No.3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recent trends of employment in agriculture, forestry, and fishery sector as well as the causes of the changes, based on the employment-related surveys and statistical data of national agencies such as the National Statistical Office and the Ministry of Agriculture, Food and Rural Affairs. Recently, there is an unprecedented phenomenon in agricultural employment in Korea. For the first time since national financial crisis in the late 1990s, the number of workers employed in agriculture, forestry, and fishery sector began to increase, and since then, the number has been increasing continuously. As the number of employed people in agriculture, forestry, and fisheries has recently increased throughout the four seasons and the seasonal fluctuations in employment have tended to decrease. By age group, the number of workers in the 30s and below and 60s and above has increased, while those in their 40s and 50s have been declining. By employment status, the number of self-employed, family workers, and regular workers increased, while the number of temporary and daily workers decreased. There was an increase in the number of employed people with relatively more employment hours, long-term career, in farm household, and in rural areas. The recent increase in employment in agriculture, forestry and fisheries is estimated to be a worsening employment situation in the non-agricultural sector, an increase in labor demand in the agriculture, forestry and fisheries sectors, and an increase in social and economic benefits of rural residence. In addition, this study suggested that the number of family members and the youth generation should be noted in the future study and policy. 이 연구에서는 통계청, 농림축산식품부 등 국가기관의 고용 관련 조사 및 통계 자료를 바탕으로 최근 농림어업 취업자 변화 동향과 더불어 변화 원인에 대해서 분석하고자 하였다. 농림어업 취업자 변화 동향 분석을 위해 통계청 자료(경제활동인구조사, 지역별 고용조사) 원자료를 분석하였고, 원인 분석을 위해 통계청 자료 외에 농림어업 고용관련 기존 설문 조사(신규 취농자 조사, 농업법인 고용실태 조사, 농어업인 등의 대한 복지실태조사, 귀농·귀촌 실태조사) 자료를 사용하였다. 농림어업 취업자는 지난 1970년대 중반 5백만 명을 넘었다가 이후 지속적으로 감소를 하여 1980년대 초, 1990년대 말 국가 경제위기시 한해 반짝 상승한 적이 있지만 지속적으로 감소하는 추세였는데, 2017년 이후 다시 증가하고 있다. 주요 개인 특성별 최근 취업자 변화 동향을 종합해보면, 농림어업 취업자는 계절적 변화에 관계없이 사계절 내내 증가 추세를 보이며, 계절간 취업자 변동폭이 감소하는 경향이 있고, 연령대별로는 30대 이하, 60대 이상 연령대에서 증가하였다. 종사상지위로 보면 경영주, 가족종사자 그리고 임금근로자 중에서는 상용·임시 근로자 증가하고, 취업시간이 상대적으로 많은 취업자의 증가가 있었고, 가구형태별로는 농가 출신자, 지역별로는 농촌 지역에서 증가하고, 장기 종사자가 증가하는 경향이 있었다. 관련 이론(이주, 노동이동) 등에 비추어 관련 통계와의 비교를 통해 분석한 결과, 최근 농림어업 취업자 증가의 원인으로는 비농업어업 분야 고용사정 악화, 농림어업 분야의 노동수요 증가, 도시대비 농촌 거주의 사회·경제 이점 증가 등이 있는 것으로 추정된다. 마지막으로 향후 농업경영체 내부의 인력구조 개편에 따른 농림어업 분야의 가족종사자 증가, 그리고 청년 세대 증가를 연구와 정책에서 주목할 필요가 있다는 점을 지적하였다.
류기철 忠北大學校 社會大 社會科學硏究所 2012 사회과학연구 Vol.29 No.1
2010년 충청권 취업자의 규모는 246만 9천명으로 우리나라 전체 취 업자의 10.2%를 차지하였다. 이는 충청권 경제활동인구의 전국 대비 비 율과 동일한 수준이다. 충청권 3개 시도의 2000년대 후반의 취업자 증가율을 보면 대전은 경기와 인천에 이어 전국에서 세 번째로 높은 취업자 증가율을 기록하 였으며 충북 또한 대전의 뒤를 이어 전국에서 네 번째로 높은 취업자 증가율을 기록하였다. 한편 충남은 전국의 연평균 취업자 증가율을 약 간 상회하는 취업자 증가율을 기록하였다. 2010년을 기준으로 충청권 취업자의 산업별 구성을 보면 대전의 경우 서비 스 산업 취업자의 점유율이 서울에 이어 전국에서 두 번째로 높았다. 이와는 대조적으로 충북과 충남의 경우에는 제조업 취업자의 점유율이 전국 평균값에 비해 크게 높았다. 한편 충청권은 멀지 않은 장래에 세종시 및 이에 인접한 대전, 충북, 충남의 일부지역을 중심으로 우리나라의 행정, 보건의료, 과학의 중심지 로 부상할 전망이다. 이에 따라 충청권의 산업 및 취업구조는 상대적으로 제조업의 비중이 높은 현재의 구조로부터 제조업과 함께 서비스산업의 비중이 높은 도시형 산업 및 취업구조로 전환될 것으로 보인다.
학생-교수 관계의 질이 교육만족, 진로포부, 취업자신감에 미치는 영향
이환의,차재빈 한국취업진로학회 2020 취업진로연구 Vol.10 No.3
고등교육의 발전과 더불어 교육수요자인 학생들에 대한 교육서비스 품질의 중요성이 강조되면서 교 육만족 뿐만 아니라 학생과 교직원 간의 관계에 대한 연구가 점점 더 중요해지고 있다. 본 연구의 목적 은 학생-교수의 관계의 질이 교육만족, 진로포부, 취업자신감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고자 경기도 북부 에 위치한 K대학교 학생들을 중심으로 분석하였다. 자료 수집은 2020년 7월 13일부터 7월 24일까지 약 2주간 의정부에 위치한 K대학교 호텔관광경영 학과, 호텔외식조리학과 1, 2학년 학생 20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첫째, 학생-교수 관계의 질 중 교수신뢰와 감정적 몰입은 교육만족과 진로포부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쳤다. 둘째, 학생-교수 관계의 질 중 감정적 몰입과 만족은 취업자신감에 유의한 정(+) 의 영향을 미쳤다. 셋째, 교육만족은 진로포부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쳤다. 넷째, 교육만족과 진로 포부는 취업자신감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쳤다. 결론에서는 학생-교수 관계의 질이 교육만족, 진로 포부, 취업자신감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봄으로써 교육성과로서 교육만족의 향상방안과 학생들의 진로 포부와 취업자신감을 높일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With the development of higher education and the emphasis in college education service quality, research on the relationships between college faculty and staff and the so-called ‘student-consumer’ as well as educational satisfaction has become increasingly important.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explore the impact of student–faculty relationship quality on the educational satisfaction, self-confidence in getting a job, and career aspirations. The proposed hypotheses were tested using the empirical data collected from 200 students majoring in hotel & tourism management, hotel beverage management and culinary arts & hotel food service. Based on the data analysis, findings indicate that first, trust in faculty and staff and affective commitment have a positive impact on the educational satisfaction and career aspirations and affective commitment and second, satisfaction have a positive effect on self-confidence in getting a job. Third, the educational services satisfaction has a positive influence on career aspirations. Lastly, he educational satisfaction, and career aspirations influences positively self-confidence in getting a job. Based on the findings, meaningful implications are discussed to achieve better academic outcomes such as better educational satisfaction and boost of self-confidence in getting a job and career aspirations.
4년제 대졸 취업자의 직업가치의 차이 분석 및 직무적합성에 미치는 영향
조윤서(Yun-Seo Jo)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3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3 No.2
목적 본 연구는 2016~2020년 대졸자직업이동경로조사를 활용하여 4년제 대졸 취업자의 직업가치의 차이와 직무적합성에 미치는 영향을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는 것이다. 이는 각 연도에 따른 직업가치의 차이를 알아보고, 5개년 횡단자료를 활용하여 직무적합성에 일관된 영향을 미치는 직업가치를 규명하는 것에 있다. 방법 본 연구는 대졸자직업이동경로조사의 2016년부터 가장 최근 공개된 2020년의 5개년 자료를 활용하여 4년제 대졸 취업자 2016년 9,132명, 2017년 9,768명, 2018년 10,066명, 2019년 10,296명, 2020년 9,016명 총 48,278명을 대상으로 직업가치에 대한 차이검증을 위해 분산분석과 직무적합성을 규명하기 위해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결과 첫째 2020년 4년제 대졸 취업자의 직업가치는 과거 4개년 4년제 대졸 취업자에 비해 많이 낮아졌다. 둘째, 4년제 대졸 취업자의 내재적 직업가치는 직무적합성에 일관적으로 정(+)의 영향을 보였다. 셋째 4년제 대졸 취업자의 외재적 직업가치는 직무적합성에 연도마다 상이한 결과를 보였다. 결론 내재적 직업가치는 5개년 4년제 대졸 취업자의 직무적합성에 일관적으로 안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매우 중요한 요인으로 검증되었지만 외재적 직업가치 연도에 따라 영향이 없거나 부정적인 영향을 주고 있었다. 이는 직업을 선택할 때 개인의 특성이 잘 부합되고 발전성과 미래전망성을 고려하는 내재적 직업가치를 중요하게 여길 때 직무적합성이 높은 일자리에서 일할 가능성이 높다는 것이다. 그런데 내재적 직업가치가 최근 낮아지는 경향이 검증되었고 이러한 추세를 주목해야 할 것이다. 본 연구결과로 대학생은 올바른 직업가치의 확립과 더불어 내재적 직업가치를 높여야 하겠다. 대학교와 정부에서도 진로교육에 직업가치에 대한 내용을 포함하여 직업가치에 대한 교육과 훈련에 대한 프로그램을 적극 도입해야 하겠다. Objectives This study analyzes the difference in job value and the effect on job fit of four-year college graduates workers using the Graduates Occupational Mobility Survey (GOMS).This is to find out the difference in job value and to find out the job value that has a consistent effect on job fit. Methods Using The Graduates Occupational Mobility Survey (GOMS) 2016-2020 and subjects of this surveys were 48,278 people who college graduate workers(9,132 people in 2016, 9,768 people in 2017, 10,066 people in 2018, 10,296 people in 2019, and 9,016 people in 2020). ANOVA was conducted to verify differences in job value. And regression analysis was performed to determine job fit. Results The study results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job value of four-year college graduates in 2020 has been significantly lower than that of four-year college graduates in the past four years past. Second, the intrinsic job value of four-year college graduates consistently showed a positive (+) effect on job fit. Third, the external job value of four-year college graduates showed different results from year to year for job fit. Conclusions The intrinsic job value was verified as a very important factor that consistently had a stable effect on the job fit of five-year, four-year college graduates. However, although the external job value varies from year to year, it had no or negative effect. This means that when choosing a job, individual characteristics are well matched, and considering development and future prospects, there is a high possibility of working in a job with high job fit. However, the tendency of job value, an important factor affecting job fit, to decrease recently has been verified, and this trend should be noted. As a result of this study, college students should establish the correct job value and increase the intrinsic job value. Universities and governments should also actively introduce programs on education and training on job value, including information on job value in career education.
지방대학생의 첫 일자리 만족도에 미치는 예측요인과 경로 연구 : 경상권 취업자와 수도권 취업자간 비교
김문수,이교일 한국인적자원개발학회 2018 인적자원개발연구 Vol.21 No.4
This research study examined the prediction factors and vocational path research that influence the levels of satisfaction of the first job for non-urban area university students, and conducted a comparative analysis for vocational path between students seeking a job from the Gyeongsang area and students seeking a job from Seoul metropolitan areas. To conduct this research, the GOMS(Graduates Occupational Mobility Survey) survey provided by the KEIS (Korean Employment Information Service) was referenced. The data for 1,205 graduates from the Gyeongsang area was utilized. The results of the analysis confirmed that, firs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student impressions of corporations and levels of satisfaction of their first job for non-urban area university students, levels of satisfaction for regional society had a partially mediating effect. Second, in the relationship between student impressions of corporations and levels of satisfaction of their first job for non-urban area university students, levels of satisfaction with school had a partially mediating effect. Third, while it was confirmed tha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student impressions of corporations and levels of satisfaction of their first job for Gyeongsang area university students, both levels of satisfaction for regional society and also levels of satisfaction with school had a partially mediating effect, both these factors were confirmed not to have a mediating effect for students in Seoul metropolitan areas. By verifying the relationships between impressions of corporations, levels of satisfaction of their first job, levels of satisfaction for regional society, and levels of satisfaction with school for non-urban area university students, this research is significant in that it proposes a method and system for developing human and intellectual resources for regional societies. This research also suggests the need for regional universities, the government and regional municipal organizations to develop programs that strengthen to ability for getting a job according to both the need to strengthen regional infrastructure and also the characteristics of the region. 본 연구는 지방대학생의 첫 일자리 만족도에 미치는 예측요인과 경로를 살펴보았으며, 이러한 과정에서 경상권 취업자와 수도권 취업자간 경로를 비교분석하였다. 이 연구의 분석을 위해한국고용정보원에서 제공하는 ‘대졸자 직업이동 경로조사(Graduates Occupational Mobility Survey: GOMS)를 주된 분석 자료로 사용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경상권 대학 졸업자인 1,205명의 응답을 분석에 활용하였다. 분석결과, 첫째, 지방대학생이 가진 기업이미지와 첫 일자리 만족도 간의 관계에서 지역사회만족도는 부분매개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지방대학생이 가진 기업이미지와 첫 일자리 만족도 간의 관계에서 학교만족도는 부분매개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경상권취업자는 기업이미지와 첫 일자리 만족도 간의 관계에서 지역사회 만족도와 학교만족도는 매개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수도권 취업자는 이들 변수가 매개역할을 하지 않는 것으로나타났다. 본 연구는 지방대학생의 기업이미지, 첫 일자리 만족도, 지역사회 만족도, 학교만족도 간의 관계를 검증함으로써 지역사회 인적자원 개발을 위한 방안을 제시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또한, 본 연구결과를 통해 정부 및 지방자치단체, 지역사회 대학이 지역사회 인프라의 구축의 필요성과 학교의 지역특성에 맞는 취업역량 강화를 위한 프로그램이 필요하다는 점을 시사하고 있다.
김성남,하재영 한국진로교육학회 2018 진로교육연구 Vol.31 No.4
This study is proposed to identify and describe the transition path of labor market of High school graduates, which means “career patterns”. By using optimal matching and clustering analysis, data from Korea Education and Employment Panel (KEEP) is analysed.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transition paths of male high school graduates cluster 5 Types : ‘Cluster 1 : Unknown status’, ‘Cluster 2: Permanent job’, ‘Cluster 3: Unstable permanent job’, ‘Cluster 4: Unemployment and noneconomic status’, ‘Cluster 5: Self-employed status’. Second, the transition paths of female high school graduates cluster 5 types: ‘Cluster 1 : Unknown status’, ‘Cluster 2: Career interrupted status after permanent job’, ‘Cluster 3: Permanent job’, ‘Cluster 4: Unemployment and noneconomic status’, ‘Cluster 5 : Work First-then to College’. 이 연구에서는 한국교육고용패널(KEEP) 2~12차년도의 시계열 자료를 활용하여, 고졸 취업자의 노동시장 이행 경로를 확인하였다. 연구의 대상이 되는 고졸 취업자들은 일반고 및 직업계 고교를 졸업한 직후 취업한 사람들을 의미하며, 고졸 취업자가 첫 직장 입직 이후부터 30세까지 어떤 노동시장 이행 과정을 경험하는지 탐색하는 것은 고졸 취업 활성화 정책의 내실화를 기하기 위해 중요한 시사점을 줄 수 있다. 이를 위해 이 연구에서는 고졸 취업자의 1년 단위 경력을 6개 하위 범주로 구분하여 분석하였으며, 남성 및 여성을 구분하여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첫째, 남성 고졸 취업자의 경우 ‘미상형’, ‘정규직형’, ‘불안정 정규직형’, ‘실업 및 비경제활동형’, ‘자영업형’의 5개 유형이 확인 되었다. 둘째, 여성 고졸 취업자의 경우 ‘미상형’, ‘정규직 후 경력단절형’, ‘정규직형’, ‘실업 및 비경제활동형’, ‘후진학형’의 5개 유형이 확인되었다.
영남권 취업자의 일자리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김문수,이교일 한국지역사회학회 2018 지역사회연구 Vol.26 No.4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factors affecting employee job satisfaction in Yeongnam region. For this purpose, study analyzed 1,159 employees in Yeongnam region and mainly used 'Youth Panel' provided by Korea Employment Information Service as analysis data. The results of this analysis are as follows; first, working conditions for the employees in Yeongnam region were found to affect the level of their job satisfaction. Second, mismatch causes changes the relationship between working conditions for the employees in Yeongnam region and job satisfaction. This study is significant in that it suggests ways to enhance job satisfaction of local employees by verifying relationships among the working conditions for employees in Yeongnam region, mismatch and job satisfaction. In addit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also suggest that central government, local municipalities, companies and universities in local communities need to establish policies and programs to improve the level of mismatch. 본 연구의 목적은 영남권 취업자의 일자리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한국고용정보원에서 제공하는 ‘청년패널조사(Youth Panel)’를 주된 분석 자료로 사용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영남권 취업자인 1,159명을 분석에 활용하였다. 분석결과, 첫째, 영남권 취업자의 근로조건은 일자리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영남권 취업자의 근로조건과 일자리 만족도 간의 관계에서 미스매치로 인하여 이들의 관계는 변화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영남권 취업자의 근로조건과 미스매치, 일자리 만족도 간의 관계를 검증함으로써 지역사회 취업자의 일자리 만족도를 향상시키는 방안을 제시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또한, 본 연구결과를 통하여 정부 및 지방자치단체, 기업, 지역사회 대학이 미스매치 수준을 향상시키기 위한 정책과 프로그램이 필요하다는 것을 제시하였다.
홍종윤,이준구 한국고용노사관계학회 2019 産業關係硏究 Vol.29 No.4
Reducing long working hours has drawn attention lately in Korea as it was discussed in relation to such issues as creating more jobs and striking work-life balance. The existing literature of overtime mainly focused on what factors determine the amount of overtime, and the impact of overtime on wages and other compensations. Yet, little has been known specifically about young employees’ overtime work. This paper fills the lacuna by examining the determinants of college graduate workers’ overtime work in Korea, using a dataset from the 2016 Graduates Occupational Mobility Survey (2016GOMS) and testing hypotheses from the perspectives of human capital mismatch, and economic incentives. The results show that young employees who responded that their current jobs required a higher level of technological or technical skills than the one they actually possessed were likely to work more overtime, supporting the hypothesis that human capital deficiency leads to overtime work. In contrast, the effect of economic incentives measured by the availability of various forms of bonus payment does not have a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 on the amount of overtime work, rejecting the hypothesis based on tournament theory. This paper discusses the theoretical and policy implications of these findings. 최근 장시간 노동과 근로시간 단축 문제가 일자리 창출과 일・생활 균형 등의 이슈와 연계되면서 사회적으로 많은 관심을 받고 있다. 기존 초과근로시간 연구는 초과근로수당 결정요인이나 초과근로가 성과급에 미치는 연구 등이 대표적이었으나, 청년취업자의 초과근로시간에 관한 연구는 부족하였다. 본 연구는 대졸 청년취업자들의 초과근로시간의 원인을 인적자본이론과 토너먼트이론을 중심으로, 한국고용정보원의 2017년 「대졸자 직업이동 경로조사」(2016GOMS) 자료를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자신의 기술(기능) 수준이 일자리에서 요구하는 것에 비해 부족하다고 응답한 취업자가 그렇지 않은 취업자에 비해 통계적으로 유의미한수준에서 초과근로를 오래 하는 것으로 나타나, 일자리와 인적자본 간의 불일치가 초과근로시간에 정(+)의 영향을 미칠 것이라는 가설이 지지되었다. 반면, 상여금을 받을 수 있는 취업자가 그렇지 않은 취업자에 비해 특별히초과근로시간이 많지 않은 것으로 나타나서, 토너먼트 이론에 따른 가설은기각되었다. 이러한 실증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본 논문은 초과근로시간에 관한 이론적・정책적 시사점을 논의하였다.
비근로 노인의 진로장벽이 취업자신감에 미치는 영향 -사회경제적 지위의 조절효과-
류주연,이석미 한국사회복지실천연구학회 2022 미래사회복지연구 Vol.13 No.2
본 연구의 목적은 비근로 노인의 진로장벽이 취업자신감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 이 과정에서 노인이 가진 사회경제적 지위(소득, 주관적 계층의식)의 조절효과는 어떠한지 파악하는 것이다. 연구를 위해 고령화연구패널(KLoSA) 7차년도 자료(2018)를 분석에 이용하였으며 연구대상은 만 55~74세의 비근로 노인 1,459명이다. 연구결과를 보면 먼저, 비근로 노인들의 취업자신감은 39.68점(100점 만점)으로 낮은 수준이었다. 둘째, 응답자는 진로장벽 중 심리적 장벽을 가장 높게, 사회구조적 장벽을 가장 낮게 인식하였다. 셋째, 노인이 직면한 진로장벽이 취업자신감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본 결과는 심리적 장벽에서 취업자신감이 낮아졌고 사회구조적 장벽에서 높아졌다. 마지막으로 진로장벽과 취업자신감 간의 관계에서 노인의 사회경제적 지위가 갖는 조절효과는 주관적 계층의식만이 부분적으로 유의하였다. 연구결과를 토대로 비근로 노인의 진로장벽을 완화하고 취업자신감을 고취할 수 있는 일자리 지원정책의 제고, 서비스의 강화 등을 제언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