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농업관련산업의 농업관련 취업자수 추계

        이종상 한국농업교육학회 2008 농업교육과 인적자원개발 Vol.40 No.2

        농업인력 개발을 하는데 있어서 농업생산부문과 농업관련산업에 펼요한 인력을 정확히 파악하는 것은 매우 중요한데, 농업생산직의 취업자수는 농업통계연보 등과 같이 직접적인 통계 수치를 이용할 수 있으나, 농업관련산업의 농업관련 취업자수에 관한 통계는 작성하지 않기 때문에 추계하여 사용하지 않으면 안 된다. 농업관련산업의 농업관련 취업자수를 추계하기 위해서는 산업간 투입관계와 산업별 취엽자수가 필요한데, 이러한 자료로 적합한 것이 산업연관표가 있다. 이 연구의 목적은 산업연관표를 이용하여 농업관련산업의 농업관련 취업자수를 추계하는 방법을 제시하고, 농업관련산업의 농업관련 취업자수를 산업별로추계하는데 있다. 산업연관표를 이용하여 농업관련 취업자수를 추계하는 방법은 후방관련산업의 경우 일반부문과 「도소매」, 「운송 및 보관」 부문의 추계방법이 동일하나, 전방관련산업은 일반부문과 「도소매」, 「운송 및 보관」 부문의 추계방법이 서로 달라야 한다. i후방관련산업의 농업관련 취업자수는 (i부문에서 농업에 투입액)/(i부문의 총산출액)×(i부문의 취업자수)로 추계할 수 있으며, 전방관련산업에 있어서 「도소매, 운수 및 보관」 부문을 제외한 일반부문 j부문의 농업관련 취업자수는 (농업에서 j부문의 투입액/j부문의 「도소매, 운수 및 보관」 을 제외한 중간투입액)×(j부문의 취업자수) , 농업에서 j부문에 투입하는데 필요한 「도소매, 운수 및 보관」 의 취업자수는 (j부문에 투입한 도소매, 운수 및 보관 투입액/ 「도소매, 운수 및 보관」 총생산액) x {농업에서 j부문에 투입액/(j부문중간투입액- 「도소매, 운수 및 보관」투입액)}×(「도소매, 운수 및 보관」 취업자수)으로 추계할 수 있다. 2003년 기준으로 농업생산부문의 취업자수는 1,791,607명, 농업관련산업의 농업관련 취업자수는 355,484명으로 이중 후방관련산업의 농업관련 취업자수는 101,390명, 전방관련산업의 농업관련 취업자수는 254,094명으로 농산엽의 농업관련 종사자수는 2,147,091명이었다. 산업연관분석은 각 산업 간의 관계가 무한히 반복적으로 이루어지는데, 이 연구에서는 농업과 직접 적인 전·후방농업관련산업만을 고려했기 때문에 간접적인 전·후방관련산업의 취업자를 포함하는 경우에는 농업관련 취업자수는 더 늘어날 것이다. Agricultural product industry is related with other industries, input industries(backward) in agriculture and post-farm gate industries(forward). We call agriculture-related industry a agribusiness. When we develop manpower in agriculture we should consider not only the number of employed person in agriculture also that related to agriculture in agribusiness. We can use the number of employed person in agriculture by using agricultural statistic books. But we must estimate the number of employed person related to agriculture in agribusiness. The objectives of this study was to suggest the estimation method and to estimate the number of employed person related to agriculture in agribusiness by using Input-Output Tables. The number of employed person in 「Wholesale and retail trade」 and 「Transport and storage」 sector is contained in input industries in agriculture, but the number of employed person in 「Wholesale and retail trade」 and 「Transport and storage」 sector is not contained in post-farm gate industries. (Total intermediate input) The method of estimating the number of employed person in i input industries in agriculture should be (Value of input from i industry to agriculture)/(Gross Domestic Output of i input industries)×(the number of employed person of i input industries). The method of estimating the number of employed person in j post-farm gate industries, in case of general industry that 「Wholesale and retail trade」 and 「Transport and storage」 is excluded in total industry, should be (input of agriculture to j industry)/(Total intermediate input of j industry except 「Wholesale and retail trade」 and 「Transport and storage」)×(the number of employed person in j industry) and in case of 「Transport and storage」 should be (input of 「Wholesale and retail trade」 and 「Transport and storage」 to j industry)/(Gross Domestic Output of 「Wholesale and retail trade」 and 「Transport and storage」)×(input of agriculture to j industry)/(Total intermediate input of j industry ·「Wholesale and retail trade」 and 「Transport and storage」)×(the number of employed person in 「Wholesale and retail trade」 and 「Transport and storage」) The number of employed industry of agriculture was person related to agriculture in agribusiness was 355,484, that in input 101,390, that in post-farm gate industry was 254,094.

      • KCI등재

        COVID-19 대응 사회적거리두기 정책 도입의 산업별 취업자 변화 효과

        박승규,이범현 통계청 2021 통계연구 Vol.26 No.3

        The purpose of study is to empirically analyze changes in employment in industry by applying social distancing policy due to spread of COVID-19 pandemic. In addition, in order to reflect the declining characteristics of the number of employment of industry by time and region, this study used the 1st difference model (FDM), difference in difference model (DiD), and triple difference models (DDD) to identify the time point according to the application of policies for each level of social distancing and the change of the employment by region. Also, in addition to the change of employment by industry due to the social distancing policies, this study identified the characteristics of a decrease in the number of employment despite the increase in the demand for employment by industry due to the increase in local population and industrial prices. After level-1 social distancing policy, the number of employment by industry decreased in the manufacturing, construction, and wholesale/lodging/food industries. Also, as the social distancing was upgraded to level-2.5, the number of employment of the construction and wholesale/lodging/food industries decreased. In addition, as a result of considering the change of employment by region due to the social distancing policy, regional differences were confirmed as the number of employment by industry decreased in metropolitan city and Seoul metropolitan area. Also, the number of employment of the construction, wholesale/lodging/food, and public service industry in metropolitan city decreased according to the level-2.5 social distancing, and the number of employment in agriculture/forestry, construction, wholesale/lodging/food industries decreased in the Seoul metropolitan area. In particular, the introduction of social distancing policies due to the spread of COVID-19 showed a decrease in the number of employment by industry, despite regional conditions that increase the demand for employment. 본 연구는 COVID-19 확산에 대응한 사회적거리두기 정책 도입으로 유발되는 산업별 취업자 변화를 2017년1월~2021년1월 산업별 고용 변화 및 단계별 사회적거리두기 정책을 활용하여 COVID-19 확산 시기의 고용 변화를 실증적으로 분석하는 것을 연구의 목적으로 한다. 또한, 1차 차분모형, 이중 및 삼중차분모형을 활용하여 사회적거리두기 단계별 정책 적용에 따른 시점‧지역‧산업별 취업자 감소 특성을 파악하였다. 더불어, 단계별 사회적거리두기 정책에 따른 산업별 취업자 변화 외에 지역의 인구 및 산업 물가 증가로 인한 산업별 취업자 수요 증가에도 불구하고 취업자수가 감소하는 특성을 파악하였다. 사회적거리두기 1단계 정책 도입 이후 제조업, 건설업, 도소매숙박음식업 취업자수는 감소하였으며, 사회적거리두기의 2.5단계 강화로 건설업, 도소매숙박음식업의 취업자는 보다 감소하였다. 특히, 사회적거리두기 정책 도입과 시점을 고려할 경우 제조업과 공공서비스업의 취업자가 감소하였다. 또한, 광역시 및 수도권이 광역도 및 비수도권에 비해 사업별 취업자가 감소하여 사회적거리두기 정책 도입으로 지역별 취업자변화 차이가 확인되었다. 더불어, 사회적거리두기 2.5단계 격상에 따라 광역시는 건설업, 도소매숙박음식업, 공공서비스업의 취업자가 감소하였으며, 수도권은 농림업, 건설업, 도소매숙박업의 취업자가 감소하였다. 특히, COVID-19 확산으로 인한 사회적거리두기 정책 도입은 시점 및 지역별 영향 외에 취업자 수요가 증가하는 지역여건에도 불구하고 산업별 취업자는 감소하였다.

      • KCI등재

        고용탄력성을 이용한 최근 고용추이해석

        최창곤(Choi, Chang kon) 한국경제통상학회 2021 경제연구 Vol.39 No.1

        본고는 2018년에 전년 동기간대비 취업자 증가가 이전의 추이와 비교하여 급격하게 변하였던 현상을 취업자 통계와 고용탄력성의 개념을 이용하여 이해하고자 한다. 경제성장률에 대한 취업자증가율의 비율로 정의되는 고용탄력성의 추정치는 연구마다 조금씩 차이가 있지만 한국의 경우 평균적으로 0.3-0.4 내외정도로 추정되어 왔다. 이는 연간 2-30만 명 정도의 취업자가 증가하는 것을 의미한다. 하지만 2018년도에 이러한 추세는 급격하게 변화하여 매우 적은 수의 취업자증가가 유지되고 급기야는 2018년 7월과 8월에는 전년 동월대비 5천명, 3천명이 증가한 것으로 발표되었는데, 본고는 취업자 증가 추세가 이와 같이 급격하게 감소하는 것이 평균적인 경제성장률을 유지하면서 가능한 것인지 가능하다면 그 원인이 무엇인지를 고용탄력성의 개념을 이용하여 확인하고자 한다. 고용탄력성의 결정요인들 중 노동공급의 임금탄력성, 노동수요의 산출량탄력성, 최저임금의 인상 등은 고용탄력성을 다소 감소시킬 수 있는 것으로 추정되었지만, 전년 대비 취업자증가폭이 3-5천여 명이 되는 현상은 설명하기 어려운 것으로 보인다. 특히, 3-5천여 명의 취업자 증가로 경제성장률추이를 설명하기 위해서는 그에 상응하여 노동생산성이 증가하여야 하는데, 추정결과 노동생산성이 약간 상승하였지만 3-5천여 명의 취업자증가와 경제성장률을 설명하기에는 통계들 간에 일관성이 부족하였다. 추가로 동기간의 구인⋅구직통계에서도 취업자통계만큼의 급격한 감소는 관측되지 않음을 확인하였다. 향후 고용통계지표들 간에 일관성이 유지되도록 하는 것이 필요한 것으로 보인다. This paper aims to explain the recent employment data. One pattern observed in employment data in Korea has been that employment elasticity is about 0.3 or 0.4 which is defined by the ratio of percentage growth of employment and GDP. It means that if the average growth rate of GDP is about 2 or 3 percent, number of jobs increases annually by about 200-300 thousand. In 2018, however, this pattern has not been observed, but the employment elasticity became from 0.007 to 0.07, which differs too much from the average values of 0.3 to 0.4. This paper shows that the employment elasticity observed in 2018 is not explained and is not consistent with other macroeconomic data like the growth rate of GDP and labor productivity, and also like vacancy data.

      • KCI등재

        최근 농림어업 취업자 변화 동향과 원인 분석

        마상진 한국농·산업교육학회 2021 농업교육과 인적자원개발 Vol.53 No.3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recent trends of employment in agriculture, forestry, and fishery sector as well as the causes of the changes, based on the employment-related surveys and statistical data of national agencies such as the National Statistical Office and the Ministry of Agriculture, Food and Rural Affairs. Recently, there is an unprecedented phenomenon in agricultural employment in Korea. For the first time since national financial crisis in the late 1990s, the number of workers employed in agriculture, forestry, and fishery sector began to increase, and since then, the number has been increasing continuously. As the number of employed people in agriculture, forestry, and fisheries has recently increased throughout the four seasons and the seasonal fluctuations in employment have tended to decrease. By age group, the number of workers in the 30s and below and 60s and above has increased, while those in their 40s and 50s have been declining. By employment status, the number of self-employed, family workers, and regular workers increased, while the number of temporary and daily workers decreased. There was an increase in the number of employed people with relatively more employment hours, long-term career, in farm household, and in rural areas. The recent increase in employment in agriculture, forestry and fisheries is estimated to be a worsening employment situation in the non-agricultural sector, an increase in labor demand in the agriculture, forestry and fisheries sectors, and an increase in social and economic benefits of rural residence. In addition, this study suggested that the number of family members and the youth generation should be noted in the future study and policy. 이 연구에서는 통계청, 농림축산식품부 등 국가기관의 고용 관련 조사 및 통계 자료를 바탕으로 최근 농림어업 취업자 변화 동향과 더불어 변화 원인에 대해서 분석하고자 하였다. 농림어업 취업자 변화 동향 분석을 위해 통계청 자료(경제활동인구조사, 지역별 고용조사) 원자료를 분석하였고, 원인 분석을 위해 통계청 자료 외에 농림어업 고용관련 기존 설문 조사(신규 취농자 조사, 농업법인 고용실태 조사, 농어업인 등의 대한 복지실태조사, 귀농·귀촌 실태조사) 자료를 사용하였다. 농림어업 취업자는 지난 1970년대 중반 5백만 명을 넘었다가 이후 지속적으로 감소를 하여 1980년대 초, 1990년대 말 국가 경제위기시 한해 반짝 상승한 적이 있지만 지속적으로 감소하는 추세였는데, 2017년 이후 다시 증가하고 있다. 주요 개인 특성별 최근 취업자 변화 동향을 종합해보면, 농림어업 취업자는 계절적 변화에 관계없이 사계절 내내 증가 추세를 보이며, 계절간 취업자 변동폭이 감소하는 경향이 있고, 연령대별로는 30대 이하, 60대 이상 연령대에서 증가하였다. 종사상지위로 보면 경영주, 가족종사자 그리고 임금근로자 중에서는 상용·임시 근로자 증가하고, 취업시간이 상대적으로 많은 취업자의 증가가 있었고, 가구형태별로는 농가 출신자, 지역별로는 농촌 지역에서 증가하고, 장기 종사자가 증가하는 경향이 있었다. 관련 이론(이주, 노동이동) 등에 비추어 관련 통계와의 비교를 통해 분석한 결과, 최근 농림어업 취업자 증가의 원인으로는 비농업어업 분야 고용사정 악화, 농림어업 분야의 노동수요 증가, 도시대비 농촌 거주의 사회·경제 이점 증가 등이 있는 것으로 추정된다. 마지막으로 향후 농업경영체 내부의 인력구조 개편에 따른 농림어업 분야의 가족종사자 증가, 그리고 청년 세대 증가를 연구와 정책에서 주목할 필요가 있다는 점을 지적하였다.

      • 충청지역 취업구조 분석

        류기철 忠北大學校 社會大 社會科學硏究所 2012 사회과학연구 Vol.29 No.1

        2010년 충청권 취업자의 규모는 246만 9천명으로 우리나라 전체 취 업자의 10.2%를 차지하였다. 이는 충청권 경제활동인구의 전국 대비 비 율과 동일한 수준이다. 충청권 3개 시도의 2000년대 후반의 취업자 증가율을 보면 대전은 경기와 인천에 이어 전국에서 세 번째로 높은 취업자 증가율을 기록하 였으며 충북 또한 대전의 뒤를 이어 전국에서 네 번째로 높은 취업자 증가율을 기록하였다. 한편 충남은 전국의 연평균 취업자 증가율을 약 간 상회하는 취업자 증가율을 기록하였다. 2010년을 기준으로 충청권 취업자의 산업별 구성을 보면 대전의 경우 서비 스 산업 취업자의 점유율이 서울에 이어 전국에서 두 번째로 높았다. 이와는 대조적으로 충북과 충남의 경우에는 제조업 취업자의 점유율이 전국 평균값에 비해 크게 높았다. 한편 충청권은 멀지 않은 장래에 세종시 및 이에 인접한 대전, 충북, 충남의 일부지역을 중심으로 우리나라의 행정, 보건의료, 과학의 중심지 로 부상할 전망이다. 이에 따라 충청권의 산업 및 취업구조는 상대적으로 제조업의 비중이 높은 현재의 구조로부터 제조업과 함께 서비스산업의 비중이 높은 도시형 산업 및 취업구조로 전환될 것으로 보인다.

      • KCI등재

        학생-교수 관계의 질이 교육만족, 진로포부, 취업자신감에 미치는 영향

        이환의,차재빈 한국취업진로학회 2020 취업진로연구 Vol.10 No.3

        고등교육의 발전과 더불어 교육수요자인 학생들에 대한 교육서비스 품질의 중요성이 강조되면서 교 육만족 뿐만 아니라 학생과 교직원 간의 관계에 대한 연구가 점점 더 중요해지고 있다. 본 연구의 목적 은 학생-교수의 관계의 질이 교육만족, 진로포부, 취업자신감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고자 경기도 북부 에 위치한 K대학교 학생들을 중심으로 분석하였다. 자료 수집은 2020년 7월 13일부터 7월 24일까지 약 2주간 의정부에 위치한 K대학교 호텔관광경영 학과, 호텔외식조리학과 1, 2학년 학생 20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첫째, 학생-교수 관계의 질 중 교수신뢰와 감정적 몰입은 교육만족과 진로포부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쳤다. 둘째, 학생-교수 관계의 질 중 감정적 몰입과 만족은 취업자신감에 유의한 정(+) 의 영향을 미쳤다. 셋째, 교육만족은 진로포부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쳤다. 넷째, 교육만족과 진로 포부는 취업자신감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쳤다. 결론에서는 학생-교수 관계의 질이 교육만족, 진로 포부, 취업자신감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봄으로써 교육성과로서 교육만족의 향상방안과 학생들의 진로 포부와 취업자신감을 높일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With the development of higher education and the emphasis in college education service quality, research on the relationships between college faculty and staff and the so-called ‘student-consumer’ as well as educational satisfaction has become increasingly important.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explore the impact of student–faculty relationship quality on the educational satisfaction, self-confidence in getting a job, and career aspirations. The proposed hypotheses were tested using the empirical data collected from 200 students majoring in hotel & tourism management, hotel beverage management and culinary arts & hotel food service. Based on the data analysis, findings indicate that first, trust in faculty and staff and affective commitment have a positive impact on the educational satisfaction and career aspirations and affective commitment and second, satisfaction have a positive effect on self-confidence in getting a job. Third, the educational services satisfaction has a positive influence on career aspirations. Lastly, he educational satisfaction, and career aspirations influences positively self-confidence in getting a job. Based on the findings, meaningful implications are discussed to achieve better academic outcomes such as better educational satisfaction and boost of self-confidence in getting a job and career aspirations.

      • KCI등재

        불완전 취업자에 대한 현황 및 영향요인

        강초미,이지은 (사)한국직업자격학회 2024 직업과 자격 연구 Vol.13 No.1

        본 연구는 2017년 8월부터 2021년 8월까지 통계청 경제활동인구조사 근로형태별부가조사의 원시자료를 활용하여 불완전 취업자 중 비자발적 시간제 근로자와 추가 취업 희망자의 현황을 산업별, 직업별, 고용형태별로 살펴보고, 불완전 취업자가 되는데 영향을 줄 수 있는 영향요인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임금근로자 중 불완전 취업자를 분류하기 위해 비자발적 시간제 근로자와 시간제 근로자 중 추가 취업을 희망하는 임금근로자를 종속변수로 설정하였다. 연령, 성별, 학력, 배우자 유무, 산업분류, 직업분류, 고용형태, 4대보험 가입 여부 변수를 중심으로 프로빗분석을 실시하였다. 5년간의 불완전 취업자 추이를 파악한 결과, 학력, 연령, 종사산업, 종사직무에 따라 불완전 취업자가 되는데 유의미한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연구는 취업자로 분류된 임금근로자들 중에서도 불완전 취업자, 즉 실업자로 분류되어 고용정책 대상자가 될 수 있으며 이들을 위한 정책이나, 일자리 질에 대한 개선 등이 필요하다는 점을 시사할 수 있다. 또한 고령층의 단기적인 시간제 일자리 증가가 시간제 일자리 전체에 영향을 주고 있으며, 해당 일자리가 우리나라 경제 발전에 도움이 되는지는 생각해보아야 할 문제이다. This study examines the status of involuntary part-time workers and those seeking additional employment among the underemployed by industry, occupation, and employment type, using raw data from the Economic Activities Census Work Type Subsurvey of Statistics Korea from August 2017 to August 2021, and aims to identify factors that may affect the underemployed. To categorize the underemployed among wage earners, the dependent variables were involuntary part-time workers and wage earners seeking additional employment among part-time workers. Probit analysis was conducted on the following variables: age, gender, education, spouse, industry classification, occupation classification, employment type, and four major insurance coverage. The results showed that education, age, industry, and occupation had a significant impact on the number of unemployed workers over a five-year period. This study may suggest that wage earners who are classified as employed may also be classified as underemployed, i.e., unemployed, and may be eligible for employment policies, and that policies for them or improvements in job quality are needed. In addition, it is worth considering whether the short-term increase in part-time jobs among older adults is affecting the overall number of part-time jobs and whether such jobs are beneficial to Korea’s economic development.

      • KCI등재

        4년제 대졸 취업자의 직업가치의 차이 분석 및 직무적합성에 미치는 영향

        조윤서(Yun-Seo Jo)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3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3 No.2

        목적 본 연구는 2016~2020년 대졸자직업이동경로조사를 활용하여 4년제 대졸 취업자의 직업가치의 차이와 직무적합성에 미치는 영향을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는 것이다. 이는 각 연도에 따른 직업가치의 차이를 알아보고, 5개년 횡단자료를 활용하여 직무적합성에 일관된 영향을 미치는 직업가치를 규명하는 것에 있다. 방법 본 연구는 대졸자직업이동경로조사의 2016년부터 가장 최근 공개된 2020년의 5개년 자료를 활용하여 4년제 대졸 취업자 2016년 9,132명, 2017년 9,768명, 2018년 10,066명, 2019년 10,296명, 2020년 9,016명 총 48,278명을 대상으로 직업가치에 대한 차이검증을 위해 분산분석과 직무적합성을 규명하기 위해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결과 첫째 2020년 4년제 대졸 취업자의 직업가치는 과거 4개년 4년제 대졸 취업자에 비해 많이 낮아졌다. 둘째, 4년제 대졸 취업자의 내재적 직업가치는 직무적합성에 일관적으로 정(+)의 영향을 보였다. 셋째 4년제 대졸 취업자의 외재적 직업가치는 직무적합성에 연도마다 상이한 결과를 보였다. 결론 내재적 직업가치는 5개년 4년제 대졸 취업자의 직무적합성에 일관적으로 안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매우 중요한 요인으로 검증되었지만 외재적 직업가치 연도에 따라 영향이 없거나 부정적인 영향을 주고 있었다. 이는 직업을 선택할 때 개인의 특성이 잘 부합되고 발전성과 미래전망성을 고려하는 내재적 직업가치를 중요하게 여길 때 직무적합성이 높은 일자리에서 일할 가능성이 높다는 것이다. 그런데 내재적 직업가치가 최근 낮아지는 경향이 검증되었고 이러한 추세를 주목해야 할 것이다. 본 연구결과로 대학생은 올바른 직업가치의 확립과 더불어 내재적 직업가치를 높여야 하겠다. 대학교와 정부에서도 진로교육에 직업가치에 대한 내용을 포함하여 직업가치에 대한 교육과 훈련에 대한 프로그램을 적극 도입해야 하겠다. Objectives This study analyzes the difference in job value and the effect on job fit of four-year college graduates workers using the Graduates Occupational Mobility Survey (GOMS).This is to find out the difference in job value and to find out the job value that has a consistent effect on job fit. Methods Using The Graduates Occupational Mobility Survey (GOMS) 2016-2020 and subjects of this surveys were 48,278 people who college graduate workers(9,132 people in 2016, 9,768 people in 2017, 10,066 people in 2018, 10,296 people in 2019, and 9,016 people in 2020). ANOVA was conducted to verify differences in job value. And regression analysis was performed to determine job fit. Results The study results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job value of four-year college graduates in 2020 has been significantly lower than that of four-year college graduates in the past four years past. Second, the intrinsic job value of four-year college graduates consistently showed a positive (+) effect on job fit. Third, the external job value of four-year college graduates showed different results from year to year for job fit. Conclusions The intrinsic job value was verified as a very important factor that consistently had a stable effect on the job fit of five-year, four-year college graduates. However, although the external job value varies from year to year, it had no or negative effect. This means that when choosing a job, individual characteristics are well matched, and considering development and future prospects, there is a high possibility of working in a job with high job fit. However, the tendency of job value, an important factor affecting job fit, to decrease recently has been verified, and this trend should be noted. As a result of this study, college students should establish the correct job value and increase the intrinsic job value. Universities and governments should also actively introduce programs on education and training on job value, including information on job value in career education.

      • KCI등재

        대학생의 전공만족이 진로결정 자기효능감 및 취업자신감에 미치는 영향

        김수영 중소기업융합학회 2022 융합정보논문지 Vol.12 No.4

        본 연구는 대학생의 전공만족이 진로결정 자기효능감과 취업자신감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고자 한다. 연구방법 은 서울, 경기도의 뷰티전공 2년제 대학생 335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하여 분석에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6.0을 이용하여 빈도분석, 요인분석, 신뢰도분석, 전공만족이 진로결정 자기효능감, 취업자신감의 상관관계를 분석하였 고, 각 변인들 간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기 위해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의 결과는 첫째, 대학생의 전공만족이 진로결정 자기효능감과 취업자신감에 통계적 유의한 정적(+)상관관계가 확인되었다. 둘째, 전공만족이 자기 효능감에 미 치는 영향으로 자기평가, 문제해결, 목표선택에서 통계적 유의미한 영향이 확인되었다. 섯째, 전공만족이 취업자신감에 통계적 유의미한 영향이 확인되었다. 넷째,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이 취업자신감에서 통계적 유의미한 영향이 확인되었다.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college students' major satisfaction on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and job confidence. The research method was used for analysis by surveying 335 two-year college students majoring in beauty in Seoul and Gyeonggi-do.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for frequency analysis, factor analysis, reliability analysis, and correlation between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and job confidence using SPSS 26.0,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as conducted to confirm the effect between each variable. As a result of the study, first, a statistically significant positive (+) correlation between college students' major satisfaction was confirmed between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and job confidence. Second, as the effect of major satisfaction on self-efficacy,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s were confirmed in self-evaluation, problem-solving, and goal selection. Fifth, it was confirmed that major satisfaction ha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 on job confidence. Fourth, it was confirmed that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ha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 on job confidence.

      • KCI등재

        지방대학생의 첫 일자리 만족도에 미치는 예측요인과 경로 연구 : 경상권 취업자와 수도권 취업자간 비교

        김문수,이교일 한국인적자원개발학회 2018 인적자원개발연구 Vol.21 No.4

        This research study examined the prediction factors and vocational path research that influence the levels of satisfaction of the first job for non-urban area university students, and conducted a comparative analysis for vocational path between students seeking a job from the Gyeongsang area and students seeking a job from Seoul metropolitan areas. To conduct this research, the GOMS(Graduates Occupational Mobility Survey) survey provided by the KEIS (Korean Employment Information Service) was referenced. The data for 1,205 graduates from the Gyeongsang area was utilized. The results of the analysis confirmed that, firs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student impressions of corporations and levels of satisfaction of their first job for non-urban area university students, levels of satisfaction for regional society had a partially mediating effect. Second, in the relationship between student impressions of corporations and levels of satisfaction of their first job for non-urban area university students, levels of satisfaction with school had a partially mediating effect. Third, while it was confirmed tha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student impressions of corporations and levels of satisfaction of their first job for Gyeongsang area university students, both levels of satisfaction for regional society and also levels of satisfaction with school had a partially mediating effect, both these factors were confirmed not to have a mediating effect for students in Seoul metropolitan areas. By verifying the relationships between impressions of corporations, levels of satisfaction of their first job, levels of satisfaction for regional society, and levels of satisfaction with school for non-urban area university students, this research is significant in that it proposes a method and system for developing human and intellectual resources for regional societies. This research also suggests the need for regional universities, the government and regional municipal organizations to develop programs that strengthen to ability for getting a job according to both the need to strengthen regional infrastructure and also the characteristics of the region. 본 연구는 지방대학생의 첫 일자리 만족도에 미치는 예측요인과 경로를 살펴보았으며, 이러한 과정에서 경상권 취업자와 수도권 취업자간 경로를 비교분석하였다. 이 연구의 분석을 위해한국고용정보원에서 제공하는 ‘대졸자 직업이동 경로조사(Graduates Occupational Mobility Survey: GOMS)를 주된 분석 자료로 사용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경상권 대학 졸업자인 1,205명의 응답을 분석에 활용하였다. 분석결과, 첫째, 지방대학생이 가진 기업이미지와 첫 일자리 만족도 간의 관계에서 지역사회만족도는 부분매개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지방대학생이 가진 기업이미지와 첫 일자리 만족도 간의 관계에서 학교만족도는 부분매개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경상권취업자는 기업이미지와 첫 일자리 만족도 간의 관계에서 지역사회 만족도와 학교만족도는 매개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수도권 취업자는 이들 변수가 매개역할을 하지 않는 것으로나타났다. 본 연구는 지방대학생의 기업이미지, 첫 일자리 만족도, 지역사회 만족도, 학교만족도 간의 관계를 검증함으로써 지역사회 인적자원 개발을 위한 방안을 제시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또한, 본 연구결과를 통해 정부 및 지방자치단체, 지역사회 대학이 지역사회 인프라의 구축의 필요성과 학교의 지역특성에 맞는 취업역량 강화를 위한 프로그램이 필요하다는 점을 시사하고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