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창의적 행동에 있어 리더 특성과 추종자 성취욕구의 역할

        지성호(Sung Ho Ji),김정훈(Jung-Hoon Kim) 리더십학회 2021 리더십연구 Vol.12 No.3

        본 연구는 리더십 분야에서 연구자들의 지속적인 관심을 받고 있는 리더 특성의 역할과 상황요인을 실증적으로 검증하고자 진행되었다. 주요 연구문제는 리더의 주도성과 진실성이 추종자 창의적 행동에 대한 영향력, 리더 주도성과 창의적 행동의 관계에서 추종자 성취욕구의 상황요인 역할, 추종자 창의적 행동에 대한 영향력에 있어 리더 주도성, 추종자 성취욕구, 리더 진실성의 삼원 상호작용 효과이다. 연구수행을 위한 자료는 서울특별시와 제주특별자치도에 소재하고 있는 대형호텔 종사자를 대상으로 설정하여 리더와 부하를 분리하는 응답원천 분리방법을 적용하여 수집하였다. 총 250쌍의 설문지를 배부하여 215쌍으로부터 획득된 자료를 분석에 활용하였다. 분석결과, 리더 주도성과 진실성은 추종자의 창의적 행동을 촉진하는 주요 원인으로 확인되었고, 리더 주도성과 창의적 행동의 관계에서 추종자의 성취욕구는 양자관계를 완충하는 역할을 하며 , 리더의 진실성이 상황요인으로 포함된 삼원 상호작용 모형에서는 그 효과성이 지지되지 않았다. 본 연구의 시사점은 특정 리더 특성이 추종자의 창의적 행동을 예측하는 하는 주요 원인으로 작용가능성을 입증하고 있고, 리더 특성이 추종자 행동에 대한 역할에 있어 상황요인으로서 추종자 특성은 대적 귀인으로 인해 그 영향력이 약회될 수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마지막으로 상황요인으로 리더의 진실성은 추종자 성취욕구의 상황요인으로서의 역할을 조절하는 기능이 작용하지 않을 수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Many researchers in leadership domain have constantly pay attention to leader traits and the current study focused on the roles of leader traits and its situational variables. There are three research questions such as roles of leader s proactive personality (LP) and integrity (LI) on follower creative behavior (FCB), moderating role of follower s need for achievement (FNA) as interventional variabl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LP and FCB, and three-way interactional effect of LI on FNA in the links between LP and FCB. The data collected from employees who work at 10 large hotel in Seoul and Jeju Island and applied in dual source method from supervisors and followers. Total 250 set of questionnaires were spread and the data from 215 sets was used in empirical analysis. Both both leader s traits were positively related to FCB respectively, the role of FNA as a moderator was proved with buffering effect in that link, and the three-way interactional effect of LI wasn t supported. This study provides a few implications in academy and practice. A sort of leader s traits contribute a kind of follower behavior to strive for organizational goals, follower s internal attribution as a situational component in organizations enable to regulate an effect of leader s traits on follower s behavior.

      • KCI등재

        요한계시록의 니골라 추종자들과 황제숭배

        임진수(Jinsu Im) 한국신학정보연구원 2016 Canon&Culture Vol.10 No.2

        이 논문이 다루고자 하는 요한계시록의 ‘니골라 추종자들’은 요한계시록 해석을 위한 난제에 해당한다. 그것은 니골라 추종자들의 기원과 실체에 대한 정확한 정보를 얻는 것이 불가능하기 때문이다. 이후의 연구에서도 밝히겠지만 니골라 추종자들에 대한 이해의 출발점은 행 6:5에 등장하는 헬라어를 구사하는 유대기독교의 일곱 명 지도자 명단에서 시작된다. 교회사는 전통적으로 방금 언급한 행 6:5의 일곱 명의 명단 중에서도 마지막에 언급되는 ‘안디옥 출신의 유대교 개종자였던 니골라’가 계시록에 나오는 니골라 추종자들의 기원인 것으로 여겨왔다(계 2:6, 15). 그러나 지금 신약학 연구에서는 사도행전의 니골라와 교부들이 주장하는 이단으로서의 니골라 추종자들과는 직접적인 연관이 없다는 결론에 이르고 있다. 오히려 계시록 저자와 니골라 추종자들과의 논쟁은 아직도 신약성경안에 존재하던 강한 유대기독교적인 입장에서 비롯되는 것으로 볼 수 있다는 것이다. 그러므로 필자는 이와 같은 흐름을 염두에 두면서 요한계시록에 니골라 추종자들의 신학적인 입장이 형성된 과정을 살피며, 이 노선이 왜 요한계시록의 저자와 신학적인 갈등을 가지게 되었는지 밝히고 그것을 통해서 궁극적으로 요한계시록 전체를 이해하는 해석을 제시하고자 한다. The Nicolatians in the Revelation of John poses a difficult problem for the interpretation of the book because it is impossible to obtain accurate information about their origin and true identity. The starting point for the understanding of the Nicolites is Acts 6:5, where a list of seven Greek-speaking leaders of Jewish Christianity appears. According to the traditional understanding by the church fathers, “Nicolaus, a proselyte of Antioch”, the last one on the list, was the father of the Nicolatians. The current discussions in the New Testament studies, however, have reached the conclusion that there is no direct connection between Nicolaus of Acts and the Nicolatians of Revelation, whom the church fathers deemed to be a heretical group. Rather, the conflict between the author of Revelation and the Nicolatians could be seen as stemming from the strong stream of Jewish Christianity that still existed in the New Testament. In this paper, I survey the process in which the theological positions of the Nicolatians in Book of Revelation were formulated, investigate why there was a theological conflict between the author of the Book and the Nicolatians, and, based on these attempts, present a hermeneutic understanding of the entire book.

      • KCI등재

        유행선도력에 따른 색조화장품 구매 및 사용에 관한 연구

        김경화(Kyoung Hwa Kim),김덕하(Deuk Ha Kim) 한국디자인문화학회 2010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Vol.16 No.4

        최근 실버 여성들은 사회생활로부터 그들의 위치와 사회에 주는 영향력을 지각하고 있다. 또한 이전과 달리 실버 계층의 증가와 함께 소비자들의 색조 화장도 활발해졌다. 이에, 색조 화장품 시장은 실버 그룹의 취향과 개성을 점점 더 반영하여야 한다. 본 연구에서는 실버 세대의 여성에 있어 유행 선도력에 따른 메이크업 실태를 파악하고 태도를 분석 연구하여 실버 여성의 요구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실버여성 소비자의 유행 선도력에 따라 가치 변화가 있다고 생각하며, 색조 화장 제품 구매와 사용량 및 태도를 유행 선도력에 따라 분석하였다. 연구 대상은 한국에 거주하는 55∼84세의 여성 220명이다. 데이터는 220명 여성에게 설문지를 이용하여 수집하였으며, SPSS 17.0 버전이 분석에 사용되었다. 분석에 사용된 통계 방법은 빈도, 백분율, 교차 분석, 카이 검증, 분산 분석이다. 연구대상을 유행 선도력에 따라 세분한 결과, 패션선도자, 패션 추종자, 패션 지체자로 분류되었다. 인구통계 특성에 따른 유행 선도력을 살펴 본 결과, 유행 선도력에 따라 나이, 월수입, 월 의복비와 월 화장품 사용비용에 영향을 주었다. 월 평균 용돈은 10∼50만원 미만으로 사용하는 경우가 많았다. 그리고 유행 선도력에 따른 그룹은 색조 화장품에 있어서의 구매 태도와 사용량, 흥미 등에서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었다. 일반적으로 유행 선도자들은 색조 화장품에 많은 관심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이 그룹은 다른 그룹에 비해 색조화장 제품 구매 빈도가 높았으며, 사용량이 많았다. 그리고 색조 화장품 구매과정에서도 주로 자신의 의견에 따라 구매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색조 화장품에 대한 가치 효과는 유행 선도력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유행 선도자의 경우 가장 중요한 메이크업 제품의 가치는 품질이었으나, 패션 지체자는 가격을 가장 중요시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메이크업 제품의 사용량, 구매 특성 등도 유행 선도자, 유행 추종자, 유행 지체자 간에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유행 선도자 집단의 경우 6가지 이상을 사용한다고 응답한 비율이 많은 반면, 유행 추종자 집단에서는 2가지 제품, 유행 지체자 집단에서는 1가지 제품을 사용하고 있는 비율이 많이 나타났다. 구매에서도 차이가 나타났는데, 유행 선도자 그룹이 계절별 1회 구입하는 경우가 많은 반면, 유행 추종자와 유행 지체자 그룹에서는 년 1회 구매하는 비율이 많았다. 또한 수입 색조 화장품 사용에 있어서도 유행 선도자 집단은 다른 집단보다 사용하는 비율이 유의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실버 여성들은 대부분 젊어 보이는 이미지를 가장 선호했으며, 다음으로 편안한 이미지 순으로 나타났다. 선호하는 색조화장 이미지로는 젊어 보이는 이미지, 편안한 이미지, 품위있는 이미지였다. 색조 화장을 하는 목적으로는 유행 선도자 그룹과 유행 추종자 그룹은 자기만족을 주된 이유로 선정하였다. 반면 유행 추종자 그룹에서는 타인에 대한 예의를 주된 이유로 선택하여 견해의 차이를 보였다. 오늘날 실버 여성들은 기존의 라이프스타일과는 다른 양상을 보이며, 사회적인 지위가 점차 향상되고 있음에 따라 외모에 관심이 증대되고 보다 적극적으로 외모향상을 위해 투자하는 실버 여성이 증가하였다. 그러므로 실버 여성을 위한 미용 산업에 대한 요구를 보다 구체적으로 파악하고 세분화하며, 실버 여성에서 요구되어지는 차별화된 미용 제품을 개발하는 등 제품전략과 더불어 유효한 마케팅 전략을 수립함으로써 수익 증대 효과를 도모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Recently, silver women perceive their positions and feel impacts influencing themselves and others from social life. Unlike before, through clothing, they increase their desires more and more to express themselves. The market reflecting their tastes and individuality are getting greater. Silver women is increasing in number, so make-up cosmetics usage was growing rapidly, too. Therefore, we have to notice consumers who purchase make-up products in silver women.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understand demands of behaviors about appearance management in silver women`s make-up. In this study intends to find out the make-up attitude according to fashion leadership in silver generation. So, in this study, considering that there have been some changes in consumer`s values, make-up products purchase and usage, responding to the fashion leadership of silver women customers which attract all their attentions, were analyzed. The subjects were 222 women of 55∼84 years old living in Korea. The data were obtained from 220 female using questionnaires and statistically analyzed using by SPSS 17.0 version. Major statistical methods are Frequency, Percent, Cross-tabs, χ2-test and ANOVA. Their is categorize consumers into groups according to fashion leadership. Categorized group are fashion leaders, fashion followers, and fashion laggard. The result of the survey were as follows. The power of fashion leadership was based on demographic characteristics. Fashion leadership had effect on the age, monthly allowance, monthly clothing and cosmetic expense. We found that silver women with an average monthly expense account of 100,000∼499,000won were the most satisfied. Make-up products costs accounted for 20,000∼39,900won of that monthly expense account. And, the group by fashion leadership was classified fashion leaders, fashion follows and fashion laggard. These segmented groups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with regard to interest, usage and purchasing behavior in make-up cosmetics. Generally, fashion leaders showed the tendencies to interest in make-up cosmetics. They had a higher purchase frequency and usage than other groups. And, purchasing process of make-up products had an influence through fashion leadership. The effect of value on make-up cosmetics was significantly different. The most important make-up cosmetics attribute of fashion leaders group was quality. However, the fashion laggard group was price. The effect of value on make-up cosmetics, make-up cosmetics usage and make-up cosmetics purchasing behavior between fashion leaders group and fashion laggard group were different. The differences of the make-up cosmetics usage and purchase behaviors according to the fashion leadership level were significantly observed. The images that the silver women most pursued were younger face image and in repose face image were second. The favorite make-up images were younger face, in response face image and elegance. The purpose of the make-up were self satisfaction in fashion leaders and fashion followers group. On the other hand, fashion laggard group was etiquette. Like the above results, unlike the olden days, even silver women invests for their outer looks, and as the society is changing the increasing high status silver women are changing the old lifestyle of silver women. Therefore, considering the silver women of today beauty industries must divide new products to smaller needs, develop distinctive beauty care systems and increase profit by developing a whole new marketing system.

      • KCI등재후보

        유아의 리더십과 추종자에 관한 연구

        김혜옥,김희태 한국아동부모학회 2017 아동부모학회지 Vol.3 No.1

        본 연구는 또래와의 사회적 상호작용에서 나타나는 유아들의 리더십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 참여자는 S어린이집 바다반 만 5세 유아들 12명으로 자료수집기간은 2011년 4 월부터 8월까지 5개월이며, 참여 관찰을 통한 문화 기술적 연구로 이루어졌다. 본 연구는 그 동안 리더십에 대한 연구에서 리더가 부각이 된 다른 연구와는 달리 추종자의 역할을 중요 하게 여겨 관찰하였다는 것이다. 누구나 리더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는 결과를 통해서 유 아들의 리더십은 상호작용적이고 순환적 모습을 지니고 있어서, 리더로서의 역량을 가진 자 만 리더십을 발휘하는 것이 아니라 맥락과 상황에 따라 리더십의 발생이 다를 수 있다는 것 을 보여준다. 이것은 유아들의 일상생활에서 ‘리더’, ‘추종자’라는 단순 분류가 아닌 누구나 리더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고, 모든 유아가 리더십을 발휘할 수 있음을 시사한다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young children's leadership during their social interaction with peers in a naturalistic setting with a qualitative research approach for 5 months from April to August in 2011. This research is helpful in determining the roles of followers while other studies focus on those of leaders. It is said that leadership could be seen only in a person who has a special potential as a leader. However, according to this research, every young child is able to exert their ability as a leader in a naturalistic setting if a proper situation is allowed. The findings of this study imply that young children's leadership is recursive, which means that leadership belongs to followers as well and a leader takes turns to be a follower too; in other words, a leader can be a follower and a follower can be a leader.

      • KCI등재

        왜 그리스도는 할례의 추종자가 되었나?

        정승우 ( Sung-woo Chung ) 한국대학선교학회 2021 대학과 선교 Vol.48 No.-

        본 논문은 로마서 15장 8절에 등장하는 ‘그리스도는 할례의 추종자(Χρισ τὸν διάκονον γεγενῆσθαι περιτομῆς)라는 바울의 기독론적 진술을 로마교회 내부에서 벌어진 강한 자와 약한 자의 갈등과 관련하여 이해한다. 바울은 로마서의 중요한 단락마다 그리스도를 유대교의 중요한 표징들(다윗, 족장, 율법, 할례)과 연결시킴으로써 그리스도의 유대적 기원(Jewish origin)을 강조하고 있다. 그렇다면 로마서에서 바울이 그리스도를 유대교의 주요한 표징들과 연결시키고 있는 이유는 무엇일까? 바울의 의도는 두 가지로 분석할 수 있다. 첫째, 바울은 이방 크리스천들의 신앙의 뿌리가 유대교에 있음을 상기시킴으로써 로마교회 내부에서 점증하는 탈 유대적 행동들을 제어하고자 한다. 로마서에 등장하는 유대적 예수상들은 이러한 의도의 소산물이다. 둘째, 복음을 받아들이지 않는 유대인들에 대한 이방 크리스천들의 승리주의에 대한 경고이다. 이를 위해 바울은 그리스도의 유대적 뿌리를 강조하는 동시에 할례자의 종으로 오신 그리스도를 윤리적 모델로 제시한다. In Romans Christ is mentioned in terms of the Jewish heritage such as David (1:3), Law(10:4), and the circumcision (15:8). Why does Paul emphasize the Jewish origin of Christ in Romans?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xplore the paranetic characteristic of Rom. 15:8 and its socio-rhetorical context. In this verse Paul uses the slave image of Christ to show how Christ abases himself to achieve God’s promise to his people. With the example of Christ’s self-abasement, he exhorts the two opposing groups to accept each other, In this sense, Paul’s Jewish portrait of Christ in 15:8 functions as an idealized model for mutual acceptance of Roman house-church members. Moreover, Christ as the servant of the Jews legitimates the position of the Jewish minority and reminds the Gentile Christians, who disdain the Jewish way of life, of the Jewish origin of Christ. Paul’s Jewish portrait of Christ in Rom. 15:8 has a double object. Firstly, it apologetically functions to defend Paul’s law-free gospel. Secondly, the Jewish images of Christ in Rom 1:3 and 15:8 functions polemically to warn of the anti-Judaic attitude of the radical Gentile Christians who disdain Jewish customs such as the food laws, circumcision and Mosaic Law. In conclusion, it can be said that Rom. 15:8 was both tailored by and articulated so as to match the social experience of the Roman house-churches, especially the social tension between the Jewish and Gentile Christians.

      • 윤리적 리더십 고찰

        김용주 윤리문화학회 2012 윤리문화연구 Vol.8 No.-

        윤리적 리더십하면 먼저 떠오르는 것은 기업의 CEO 윤리적 리더십을 연상한다. 그러나 윤리적 리더십은 개인은 물론이고 조직이 있는 모든 사회에 적용되는 단어이다. 윤리적이라 함은 정의하기에도 참으로 애매한 의미이다. 왜냐하면 개인마다 옳고 그름을 판단하는 것은 어떤 상황에 따라서 다르게 해석할 수 있기 때문이다. 윤리적 리더십 역시 상황별, 환경, 리더에 따라서 다르게 적용될 수 있기 때문이다. 예를 들면, 기업의 윤리적 리더십은 CEO의 성격, 의식, 정서, 기업의 비전, 기업환경, 기업의 업종, 거래선, 기업의 규모, 기업 종업원의 구성, 업무의 성격 등에 따라서 윤리적 리더십이 적용될 수 있다. 이렇게 모든 상황에서 맞춤형 윤리적 리더십의 이론은 없을 것이다. 그러나 기업의 사회적 책임과 지속 발전 가능성을 위해서는 꼭 윤리경영과 윤리적 리더십은 이행해야만 할 필수 조건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 살펴본 윤리적 리더십 이론들은 리더가 어떤 행동이 옳고 공정한 것인가? 또는 선한 사람은 어떻게 행동할 것인가? 에 대한 기준을 제시함으로써 경영자나 리더들이 자신의 윤리적 리더십 행동을 이해하고 강화시켜 나가는데 활용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 제시한 윤리적 리더십 원칙들은 리더들의 리더십 행동을 위한 행동규범으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구체적으로 말하면 나는 지금 타인을 존중하고 있는가? 나는 타인에게 배려하는 행동을 하는가? 나는 타인에게 공정하게 행동하고 있는가? 나는 타인에게 정직하게 행동하고 있는가? 나는 사회공동체에 대하여 봉사하고 있는가? 라는 질문을 고려하여 윤리적 리더십 원칙들을 활용하게 될 것이다. 즉, 리더십은 조직의 모든 멤버들이 공유하는 사회적 영향 과정이다. 리더십은 특정지위나 역할을 맡은 한 개인이 미치는 영향에서 제한되어 있지 않다. 추종자들도 리더십 과정의 한 부분이다. 최근 학자들과 전문가들은 리더십과 Followership의 연관성을 강조하고 있다. 여기에서 우리는 윤리적 리더십의 가장 중요한 핵심적 과제는 리더와 추종자(Followership)들의 관계라는 사실을 인식할 수 있다. 따라서 우수한 윤리적 리더가 되려면 타인의 욕구에 민감하게 반응하고, 타인을 공평하게 대우하며, 타인을 성실하게 보살펴주는 리더가 되어야 할 것이다.

      • KCI등재

        호서지역 청동기시대 전-중기 사회 최대화 전략에 대한 행위이론적 고찰

        우정연(Woo, Jung-Youn) 고려대학교 한국학연구소 2018 한국학연구 Vol.65 No.-

        선사시대 사회변동에 대한 행위이론적 접근에서 강조되듯이, 현대적인 형태의 개인주의(individualism)를 전제로 하는 최대화 전략의 정치경제적 효율성이 모든 문화에서 보장되는 것은 아니다. 그러므로 모든 사회에서 최대화 전략이 보편적으로 통용되었다고 가정하기 전에, 해당 사회의 문화 구조와 가치를 구체적으로 검토할 필요가 있다. 이러한 문제의식을 가지고 본고에서는 남한지역 청동기시대 전기와 중기를 대표하는 물질문화가 특징적인 시공간적 분포를 보이며 밀집해 있는 호서지역을 대상으로 하여 당시 사회에서 과연 최대화 전략이 통용되었는지를 살펴보았다. 그 결과 호서지역에서는 - 권역에 따라 그 형태와 성격에 있어 어느 정도의 차이는 있지만 - 개인의 욕망과 역량을 집단의 복지와 번영을 위해 길들이는 담론과 관행이 전기부터 일부 나타나기 시작하여 중기가 되면 호서지역 전역으로 확산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이처럼 집단적 가치에의 공헌을 통해 획득되는 사회적 위신과 상징적 자원이 정치경제적 행위의 주요한 동기이자 수단이 되는 사회에서 우두머리의 최대화 전략은 자멸적인(self-defeating) 전략이었을 수 있다. 그 이유는 이러한 사회에서는 우두머리가 자신의 사회적 지위를 부상시키고자 보다 많은 추종자들을 얻기 위해 노력할수록 그 모든 추종자들의 기대와 요구를 만족시키기가 어려워졌을 것이기 때문이다. As emphasized in agency theory-influenced discussions, maximizing economic wealth or political power was unlikely to be pursued in past societies as universally as in current societies. Politico-economic effects of maximizing strategies are greatly influenced by cultural structures and values. As such, specific cultural contexts of societies in question need to be examined, instead of presuming that maximizing strategies are those which work throughout time and space. With this in mind, the universality of maximizing strategies in Early to Middle Bronze Age societies in the Hoseo region is re-thought. It reveals that in the Hoseo region group-oriented discourses and practices emerged in the Early Bronze Age and expanded in the Middle Bronze Age. In these societies it would be by contributing to group welfare and prosperity that agents acquired social prestige and symbolic resources. Under these circumstances maximizing strategies could be self-defeating strategies. This is because satisfying growing expectations and demands of group members, the very sources of social prestige and symbolic resources, would become impossible as the agents proceeded with their maximizing strategies.

      • KCI등재후보

        비연계 비결속 사회 매체 추종자에 의한 언어 간극(間隙)의 자기강화

        노형남 ( Hyung Nam Noh ) 서강대학교 언어정보연구소 2011 언어와 정보 사회 Vol.14 No.-

        This study sets limits to no-link no-tie social media followers in a speech situation, on treating self-reinforcement of linguistic gapping in agent-based model, and regards these phenomena as covariate relationship among fractals formed spontaneously through rational complicated reciprocal action. By linguistic fluctuation and perturbation according to association path showing convergence of power law Sprachusus is come into being in the long run to be registered as the standard language in Korean language dictionary, setting up general power of speech situation as theoretical framework. Through contrastive-oriented comparison of no-link no-tie social media followers from the standpoint of self-reinforcement by autocatalysis of external linguistics this study focuses on boolean network counting betweenness among routing nodes or vertexes based on cohesion formed with clustering coefficient by unexpected hub in population dynamics of herd behavior. This is a phenom-enon of self-reinforcement on the basis of soliton including volatility clustering caused by nonlinear logic that has not been explained on past quantitative linear logic. This study deals with these concepts from the viewpoint of multi-disciplinary synergetics. Meanwhile this study accomplishes qualitative analysis on no-link no-tie social media followers applying complex adaptive system to variable speech situations in which conflicts and communications among individuals are treated discriminatingly according to the trends from sensitive dependency to initial conditions of self-reinforcement of the boolean network based on linguistic gapping established by social media followers through recognition struggles among fractals of language community, such as QR.

      • KCI등재

        로마서에 나타난 “그 종”이신 예수 그리스도와 그의 종 바울

        김명일 고신대학교 개혁주의학술원 2023 갱신과 부흥 Vol.32 No.-

        바울이 로마서에서 제시하는 예수 그리스도는 이사야서에 기록된 그 종의 역할을 감당한다. 예수 그리스도는 “할례의 추종자”(διάκονος)이시며, 하나님의 언약을 성취하신다. 또한 그 종은 이사야 53장의 고난 받는 종으로서 그 죽음과 부활을 통해서 자기 백성을 의롭게 하시는 분이시다(롬 3:25). 그는 대제사장으로서 열방에 피를 뿌리고 대속의 역할을 감당하는 속죄제물로서 그려진다. 바울의 제사장적 사역은 유일한 그리스도의 대제사장적 사역과 비교할 수는 없지만, 그리스도께서 섬기는 언약의 성취를 위해서 제사장 역할을 감당하는 그분의 일꾼으로서 복음을 전파하는 사역을 감당한다. 바울은 갈라디아서에서 “그러나 내 어머니의 태로부터 나를 택정하시고(ἀφορίζω) 그의 은혜로 나를 부르신 이가”(갈 1:15)라고 구약 성경을 인용한다(사 49:1). 바울은 로마서에서 같은 개념으로 자신의 부르심과 예수 그리스도의 종됨을 설명한다. “예수 그리스도의 종 바울은 사도로 부르심을 받아 하나님의 복음을 위하여 택정함을 입었으니(ἀφορίζω).” 바울은 이사야의 그 종인 그리스도 예수의 종으로서 예수 그리스도께서 섬기는 하나님의 구속의 경륜을 섬기는 역할을 감당한다. 그 역할을 바울은 제사장(ἱερουργέω)으로서(롬 15:16), 좋은 소식을 전하는(ἱερουργέω) 자로서(롬 10:15), 성도를 섬기는(διακονέω) 자로서 이해한다(롬 15:25). 바울은 종으로서 자신의 섬김이 하나님의 구속의 경륜을 성취하는 예수 그리스도의 섬김을 이어가고 있다는 이해를 하고 있다. The Jesus Christ that Paul presents in Romans fulfills the role of the servant in Isaiah. Jesus Christ is “a servant of to the circumcised”(διάκονος), fulfilling God's covenant. He is also the Suffering Servant of Isaiah 53, justifying his people through his death and resurrection (Romans 3:25; 4:25). As a high priest, he is pictured as a sin offering whose blood is sprinkled on all the nations and fulfills the role of ransom. Paul's priestly ministry is not comparable to the high priestly ministry of the one and only Christ, but he is His laborer in the fulfillment of the covenant Christ serves, preaching the gospel as a priest. In Galatians, Paul quotes the Old Testament, “But he who chose (ἀφορίζω) me from my mother's womb and called me by his grace”(Gal. 1:15), quoting Isaiah 49:1. Paul uses the same concept in Romans to explain his calling and servitude to Jesus Christ. “Paul, a servant of Jesus Christ, called to be an apostle, set apart (ἀφορίζω) for the gospel of God.” As a servant of Christ Jesus, the servant of Isaiah, Paul fulfills the role of serving God's redemptive economy that Jesus Christ serves. That role is understood by Paul as a priest (ἱερουργέω, 15:16), as a bearer of good news (ἱερουργέω, Romans 10:15), and as a minister of the saints (διακονέω, 15:25). Paul's understanding is that his service as a servant continues the service of Jesus Christ in fulfilling God's redemptive plan.

      • KCI등재

        혼합복점시장에서 환경 외부효과의 존재와 내생적 시간게임

        이기동(Ki-Dong Lee),최강식(Kangsik Choi) 한국경제통상학회 2020 경제연구 Vol.38 No.2

        본 연구는 혼합복점 Cournot모델에서 기업들이 생산과정에서의 오염물질(pollutant)을 발생시키는 경우, 선도자-후발자 관계의 내생적 결정문제를 다룬다. 먼저 정부에 의한 환경세 도입이 없는 경우이다. 민간기업 오염배출비율이 높은 수준에서는 동시선택(simultaneous move) 이, 중간수준에서는 공기업 선도자(public leadership)가, 그리고 낮은 수준에서는 복수균형으로서 순차게임이 균형에서 나타난다. 이는 혼합과점 쿠르노 경쟁에서 순차게임이 내쉬균형 임을 밝힌 Pal(1998)의 연구결과와 대비된다. 민간기업 오염배출이 낮은 수준에서는 공기업보다 민간기업이 선도자 지위에 있는 것이 높은 후생을 제공한다. 정책적으로는 민간기업 오염배출비율이 높다면 공기업이 시장에서 선도자지위를 가지도록 유도하며 반대로 낮은 경우에는 민간기업이 선도자지위를 가지도록 유도함이 바람직하다. 정부에 의해 최적 환경세가 도입되는 경우, 동시선택 또는 공기업 선도자가 균형에서 나타나며 이때 시장에서의 기업역할에 관련되는 시장구조에의 정책개입은 불필요하다. This paper examines an endogenous timing game in a mixed duopoly wherein environmental damage is associated with production. Suppose that there is no environmental tax by the government. In this case, if private firm’s emission ratio is relatively high (resp. low), then simultaneous-move (resp. sequential-move) emerges in equilibrium. This contrast sharply with Pal (1998), which demonstrated that sequential-move emerges in mixed oligopoly with Cournot competition. In addition, when the emission ratio of the private firm is relatively low, private leadership rather than public leadership provides higher social welfare. However, when optimal environmental tax is levied, then either simultaneous-move or public-leadership emerges in equilibrium and no government intervention is required with respect to leader-follower relationship.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