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추상표현주의를 응용한 네일아트 디자인연구

        이정아,태동숙 한국화장품미용학회 2023 한국화장품미용학회지 Vol.13 No.2

        본 연구는 네일아트 디자인이 트랜드에 민감한 성향을 볼 수 있어 모방에 의한 디자인보다 전문가인 네일리스트들의 다양한 문화적 소재와 색상, 재료, 디자인을 추출하여 트렌드 연구와 함께 디자인 개발이 지속적으로 요구된다. 하지만 네일아트 재료들은 이미 포화상태가 되어가면서 정형적인 틀을 초월한 비정형적인 디자인이나 자연물에 영감을 얻어 융합을 시도하는 등의 유기적 디자인, 주체성이 애매모호 하고 추상적이며 기이학적인 디자인들이 등장하기 시작하여 현대미술에서 보여지는 추상표현주의 표현방법과 네일아트의 표현기법을 융합하여 개성있고 창조적인 네일아트 디자인 연구의 방향성 제시와 네일아트가 추상표현주의 미술적 영향을 받은 하나의 예술임을 규명하고 그 영역을 확대하는 데 있다. 추상표현주의의 드리핑, 타시즘, 색면추상, 서체추상 오토마티즘 등의 다양한 기법을 사용하여 회화에 나타난 추상표현주의 유형은 네일아트의 회화기법으로, 조형에 나타난 추상표현주의 유형은 네일아트의 오브제기법으로 나누어 10점의 작품을 제작하였다. 그 결과 네일아트와 추상표현주의의 예술적 연관성이 있는 표현기법 연구를 통해 네일아트와 추상표현주의가 한 장르임을 알 수 있었으며 네일아트 분야의 한계성을 뛰어넘고 독창성과 창의성이 돋보이는 다양한 연구가 이루어져 예술의 한 분야로 자리매김할 수 있는 가능성을 제시하고 네일아트 디자인 영역의 확장에 기초자료가 될 것으로 사료된다. Nail art designs have a tendency of being sensitive to trends, which raises a constant need to develop designs along with trend research by extracting various cultural materials, colors, raw materials, and designs from works by professional nailists rather than design by copying. As nail art materials are already in a saturated state, organic designs have begun to emerge which attempt at fusion by transcending typical frameworks and getting inspiration from atypical designs and natural objects along with abstract and geometric designs whose independence is ambiguous. This study aims to propose the directionality of research on individual and creative nail art designs, demonstrate that nail art was an art under the artistic influence of abstract expressionism, and expand its area by promoting the fusion of the expressive methods of abstract expressionism in contemporary art and those of nail art. The investigator made a total of ten works by employing various techniques of abstract expressionism including dripping, tachisme, color field abstract, calligraphic abstract, and automatism and dividing the types of abstract expressionism in paintings according to the painting techniques of nail art and the types of abstract expressionism in molding according to the objet techniques of nail art. The findings demonstrate that nail art and abstract expressionism belong to the same genre based on the research on expressive techniques artistically connected to nail art and abstract expressionism. The findings of the study will serve as basic data for diverse future studies highlighting the originality and creativity of the nail art field beyond its limitations, the possibilities of nail art establishing itself as an area of art, and the expansion of nail art designs.

      • KCI등재

        추상표현주의를 활용한 패션디자인에 관한 연구

        이예영(Yhe Young Lee) 한국디자인문화학회 2013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Vol.19 No.1

        본 논문에서는 체계적인 방법을 통해 수집한 추상표현주의 패션디자인 사례의 조형적 특성을 분석하고 그 의미를 미적 가치 측면에서 해석함으로써 창의적 디자인을 위한 참고자료를 마련함은 물론 패션디자이너들의 작품이 담고 있는 철학성을 재고하고자 하였다. 체계적인 자료 수집을 위하여 미국 스타일닷컴(www.style.com), 한국의 삼성디자인넷(www.samsungdesign.net), 해외 신문과 잡지 기사를 통합 검색할 수 있는 고려대학교 도서관의 멀티데이타베이스 검색 시스템을 이용하였다. 각 사이트에서 ‘abstract expressionism’ 또는 ‘추상표현주의’와 대표적인 추상표현주의 작가 22명의 영문명을 키워드로 검색한 결과 2004년에서 2012년 사이에 발표한 컬렉션 중 추상표현주의의 영향을 받은 것은 총 17개로 밝혀졌다. 선별된 17개의 컬렉션을 대상으로 조형적 특성을 분석한 결과는 총 5 부류로 정리할 수 있었다. 추상표현주의의 형이나 색채를 응용한 텍스타일 프린팅과 염색, 추상표현주의 작품에서 추출한 색채의 소재 이용, 색면회화의 수직과 수평 분할선을 내부 구성선이나 니트의 컬러블럭으로 응용한 방법, 추상표현주의 작품의 형태나 느낌을 소재의 질감으로 표현한 방법, 추상표현주의 작가들의 작품 제작 과정이나 재료를 활용한 표면 장식이 있었다. 내적 의미를 해석한 결과로는 네 개의 미적 가치가 추출되었다. 구체적인 미적 가치는 추상표현주의 작가들의 작업 과정을 응용해 탄생한 유일무이한 패션디자인이 갖는 독창성, 추상표현주의 작품이 갖는 전면성과 무방향성을 담은 텍스타일 프린트의 공간 개방성, 색면회화의 대형 규모, 종교적 성향, 힘의 표현 등이 담고 있는 숭고성, 이성에 대한 회의와 기존 유럽미술의 권위에 도전한 추상적 표현이 갖는 자율성으로 나뉘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formative characteristics and interpret aesthetic values of systematically collected examples of abstract expressionism-inspired fashion designs, to provide fashion students and designers with references for the creative fashion design and to reconsider the philosophical meanings embedded in fashion. 17 fashion collections introduced between 2004 and 2012 were searched from U.S. Style. com(www.style.com), SamsungDesignNet (www.samsungdesign.net), and Korea University`s multi-database system with key words including ``abstract expressionism`` and 22 names of abstract expressionist artists. As a result, 5 categories of formative characteristics were found: Textile printing and dying inspired by forms or colors of abstract expressionism, selection of fabric colors inspired by abstract expressionism, constructional inner lines and color-blocked knits inspired by vertical and horizontal lines of color-field paintings, fabric textures inspired by forms and feelings of abstract expressionism, and surface decorations inspired by work process and materials of abstract expressionists. The following 4 aesthetic values were interpreted: Originality embedded in fashion designs which applied abstract expressionists` work techniques, openness of textile designs which represent the all-overness and non-directional features of abstract expressionism, solemnity expressed by extreme sizes, religious themes and power, and liberalness of abstract forms which represented the doubts against rationality and the authority of European academic art world.

      • KCI등재

        보링거의 ‘추상과 감정이입’으로 본 니체의 예술충동에 관한 연구

        이인희 한국니체학회 2021 니체연구 Vol.40 No.-

        The task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Woringer’s abstraction and empathy theory and Nietzsche’s artistic impulse. Through this, I try to trace and grasp the origin of abstraction in art. Abstract art in the early 20th century sought to explore and express the inner source of human beings, breaking away from imitation and representation of the external world. It was Woringer who founded this abstract art theory. Woringer classifies artistic impulses into empathy and abstraction. The empathy impulse aims at the objective representation of an object based on trust with the outside world. On the other hand, the abstract impulse contrasts in that it is oriented toward the fundamental and inner world. Nietzsche explained this artistic impulse through Apollo and Dionysus. For his abstract theory, Woringer embraces the concepts of ‘Thing-in-itself’ and the ‘Veil of Maya’. In addition, he accepts Schopenhauer’s art philosophy and Nietzsche’s Dionysian art theory. The artistic impulses that Nietzsche and Woringer claim are common in that they both develop art in confrontation and reconciliation, and in that they desire psychological insight into the world. Nietzsche’s Dionysian art theory and Woringer’s abstract theory had a profound influence on the subsequent birth of Kandinsky’s Abstract Abstract Expressionism. 기존의 연구들을 통해 현대미술에 대한 니체의 영향은 다수 논의되어 왔다. 즉 20세기 초 표현주의를 비롯하여 다다와 초현실주의, 미래주의에 대한 니체 철학의 영향은 심도있게 다루어졌다. 그러나 추상적 형상을 통한 감정 표출을 근본을 하는 추상표현주의와 니체에 대한 연구는 거의 이루어지지 않았다. 추상 표현주의자 칸딘스키와 로드코의 작품이 니체의 예술론과 밀접한 관계임에도 불구하고 이에 대한 연구 또한 미흡하다. 따라서 논자는 추상표현주의와 니체 관계의 연구에 앞서 추상미술의 개념을 정초한 보링거의 추상이론과 니체의 예 술론의 관계를 고찰하고자 한다. 20세기 초 추상미술은 외적 세계의 재현으로부터 탈피하여 인간의 내적 근원 을 탐구하고 표출하는 데 그 목적을 두었다. 이러한 추상미술 이론을 정초한 인 물이 보링거였다. 보링거는 예술충동을 감정이입과 추상으로 분류한다. 감정이 입충동은 외부세계와의 범신론적 신뢰를 바탕으로 대상의 객관적 재현을 지향 한다. 반면 추상충동은 외부세계에 대한 불안과 공포로부터 벗어나 근원적이고 내적인 세계를 지향한다는 점에서 대조를 이룬다. 니체는 이러한 예술충동을 아 폴론과 디오니소스를 통해 설명했다. 보링거는 ‘물자체’와 ‘마야의 베일’ 개념을 수용하고 쇼펜하우어의 예술철학과 니체의 디오니소스적 예술론을 받아들인다. 니체와 보링거가 주장하는 예술충동은 상대적인 두 개념의 대립과 화해 속에서 예술이 전개된다는 점과, 세계에 대한 심리학적 통찰을 욕구한다는 점에서 그 공통점을 찾을 수 있다. 니체의 디오니소스적 예술론과 보링거의 추상 이론은 향후 추상미술의 탄생과 추상표현주의에 지대한 영향을 끼친다.

      • KCI등재

        바넷 뉴먼의 미국적 숭고: 추상표현주의의 태동기(1946-1950)를 중심으로

        이상윤(Lee, Sangyoon) 서양미술사학회 2020 서양미술사학회논문집 Vol.52 No.-

        추상표현주의를 냉전 이데올로기의 시각에서 분석한 1970년대의 수정주의는 지금까지도 후속 연구에 영향을 미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시각은 1950년대 후반에 한정되었으며, 직접적으로 추상표현주의의 작가, 작품을 분석하는 데에는 한계를 보였다. 이와 달리 1960년대 비평가들은 1946-1950년까지 추상표현주의의 태동기에 나타났던 다양한 형식적 실험에 주목하였다. 이에 따라 논문은 추상표현주의의 태동기에 있었던 조형적 변화를 검토하고, 이 변화의 이면에 자리한 숭고가 어떠한 개념이며, 작품에서 어떻게 시각화되었는지를 분석하고자 한다. 당시 바넷 뉴먼에 의해 제시된 숭고는 그의 글 「숭고는 지금이다」를 통해 알려지게 되었다. 이 글에서 뉴먼은 현대 미술의 지향점을 아름다움이 아닌 숭고의 성취로 설명하였고, 유럽의 모더니즘은 숭고의 성취에 실패함으로써 성공적인 현대 미술로 평가할 수 없으며, ‘지금’의 미국이야말로 숭고를 통해 유럽 미술을 극복할 수 있다고 주장하였다. 뉴먼이 제시한 숭고는 이러한 목적에서 ‘미국적 숭고’로 이해할 수 있다. 논문에서는 우선 뉴먼의 미국적 숭고가 어떠한 개념이며, 어떠한 배경에서 형성되었는지를 밝히고, 다음 뉴먼이 선(先) 콜럼버스시대의 인디언 문화와 19세기 낭만주의 풍경화, 20세기 정밀주의의 작품과의 연계 하에 어떠한 미국적 특성을 적용하였는지를 살펴본다. 그리고 마지막으로는 이러한 숭고성이 추상표현주의의 작품에서 어떠한 형식들로 나타나고 있는지에 관하여 서술한다. 숭고의 경험과 밀접하게 관련된 규모의 지각과 즉각성, 현존성, 즉자성 등에 일찍부터 몰두하였던 추상표현주의자들은 1950년대 초반 미국적 숭고를 시각화할 수 있는 자신만의 형식을 갖추었다. This study aims to discuss the idea of sublimity that was put forward by Barnett Newman as the new standard for Abstract Expressionism. In his 1948 essay titled The Sublime is Now, Newman proclaimed that American artists, free from the weight of European culture, should assert the man’s desire for the exalted (or the sublime), thus setting forth a new goal untethered to European modern art’s habitual pursuit of beauty. In this context, the sublime as proposed by Newman is indeed the American sublime. Most studies on Abstract Expressionism so far have focused on works of the late 1950s when the movement reached its mature form. Some revisionist studies were published during the 1970s, but they were criticized either for their failure to divide the original purpose and aesthetic intent of Newman from their Cold War ideological benefit. This paper, in contrast, analyzes the development of the forms in Abstract Expressionism during its nascent period from the late 1940s to the early 1950s. The background of Newman’s idea of sublimity and how this idea got accepted as the standard for American Abstract Expressionism are investigated. How the American sublime was manifested in the mature form of Abstract Expressionism is also examined.

      • KCI등재

        동양화단의 추상 : 1960년대 묵림회를 중심으로

        박파랑(Park Parang) 한국미술사교육학회 2010 美術史學 Vol.- No.24

        20세기 동양화 영역에서 일어난 제일 큰 변화는 서구로부터의 추상적 조형기법의 도입, 즉 추상화(抽象化)라고 할 수 있다. 동양화단에서의 추상의 수용은 1950년대 초반에 이르러 김기창, 박래현을 시작으로 김영기, 이응노 등 개별적인 작가들에 의해 입체파, 미래파, 표현주의와 같은 서구 모더니즘에 대한 수용과 실험의 형태로 모색되었다. 동양화단의 추상화 단계에서 두드러지는 시기는 1950년대 말에서 1960년대 초로, 일련의 작가들에 의해 다양한 형태의 추상실험이 본격적으로 궤도에 오르면서부터 이다. 서세옥의 주도하에 서울대학교 동양화과 출신의 신진 작가들을 중심으로 1960년에 창립되어 1964년을 끝으로 해산한 묵림회(墨林會)는 동양화단의 수묵추상과 관련하여 빠지지 않고 언급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현재까지 묵림회 자체에 대한 다층적인 연구가 전무한 실정이라 할 수 있다. 따라서 이 글은 동양화단의 추상 수용의 관점에서 묵림회에 대한 문헌적ㆍ조형적 접근을 통해 묵림회의 추상실험이 구체적으로 어떠한 것이었는지, 또한 이것이 1950년대 동양화단에서 선행되었던 추상 실험과 변별점이 있는지, 있다면 구체적으로 무엇인지를 분석하고 이를 통해 동양화단에서의 묵림회의 역할과 한계점을 짚어보게 된다. 묵림회 결성이 당시 큰 주목을 받았던 이유는 동양화단에서 탄생한 신진그룹, 그것도 대학의 동양화과 출신들로 이루어진 신진들의 단체였다는 점에 있다. 권영우, 안상철, 박노수, 서세옥과 같은 서울대 동양화과 출신의 선진들이 이미 1950년대 중반 이후 국전에서 새로운 화풍으로 돌풍을 일으키며 ‘신동양화단의 전위부대’로 일컬어졌던 전례 등을 감안한다면, 서세옥이 주도한 동양화단 최초의 신진 그룹에 대한 기대는 필연적인 것이라 하겠다. 그러나 ‘전위적 청년 작가들의 집결체’를 기치로 내세운 묵림회의 ‘전위’에 대한 의욕은 실질적인 작품의 성과로 이어지지는 못했다. 창립전에 출품된 작품 대부분이 종래 전통적 남화북화(南畵北畵)의 화풍에서 완전히 벗어나지 못했으며, 창립 초기 1-2년간의 치열한 모색기 동안 조형적 지향점을 구체화하고 공유하기 보다는 무분별한 작가 초대로 이들이 애초에 내걸었던 현대적ㆍ전위적 이념이 점차 퇴색하였기 때문이다. 결국 서세옥의 독주 문제와 이후 운영을 둘러싼 갈등, 초기의 실험 의욕을 구체화할만한 조형의식의 부재 등으로 인해 8회의 정기전과 2회의 소품전 등 총 10회의 전시를 끝으로 묵림회는 해체의 수순을 밟는다. 당시 묵림회의 출품작은 전시 기사와 함께 실린 한정적인 이미지 자료를 통해서만 확인할 수 있는데, 흔히 묵림회의 조형적 정체성으로 후에 일컬어지는 ‘수묵추상’의 경우 창립전 때는 민경갑과 서세옥, 전영화 정도에 불과하며, 이후에도 전체 회원들에 비하면 수적으로는 소수의 회원만이 추상ㆍ반추상 작업을 전개해나가는 정도에 그쳤다. 이러한 사실을 감안했을 때 적을 때는 8명, 많을 때는 29명에 이르기까지 전통적인 산수화ㆍ 인물화까지 포함하는 들쑥날쑥한 회원들의 다양한 작품들 속에서 묵림회의 조형적 정체성을 규정하는 것은 어려울 뿐만 아니라, 또한 이들 몇몇 작가의 작품을 통해 묵림회 전체의 성격이나 묵림회의 조형성을 규정하기에는 무리가 따른다. 결국 묵림회는 추상적 기법은 물론 전통적 양식을 포함하는 묵림회 내에 존재했던 다양한 조형의 갈래를 포괄하는 단체로 재정의 할 필요가 있으며, 다만 묵림회의 조형성을 총괄하는 것이 아니라 동양화단의 추상화라는 관점에 한정했을 때 ‘서세옥’, ‘민경갑’, ‘안동숙’, ‘전영화’ 등의 작가에 대한 접근이 그 의미를 지니는 것이다. 이들 일부 작가들에 의해 시도되었던 묵림회의 ‘전위’는 세계미술의 첨단의 상징이자, 1960년대 전후 한국 화단의 시대적 조형 정신이었던 앵포르멜(비정형미술)의 수용이라는 형태로 나타나고 있음을 확인 할 수 있다. 그러나 묵림회 내에서 시도된 추상의 양상 또한 하나의 통일된 형태로 도출되기는 어렵다. 다만 60년도를 전후한 ‘앵포르멜’ 양식의 강력한 영향력 아래에서, 앵포르멜의 조형적 기법을 모두 동일 The most remarkable transformation in Korean ink painting tradition of twentieth century was the introduction of abstract expression from the West, the abstractionism. This abstractionism of ink painting tradition was begun with Korean artists Kim Kichang and Park Raehyun in the early 1950s, and developed in the method of experiment and adoption by Kim Youngki and Lee Ungno who introduced Western modernism including such as Cubism, Futurism and Expressionism. This transformation into abstract technique prospered from the late 1950s to early 1960s when young group of artists who studied Korean ink paintings such as Kwon Youngwoo and Ahn Sangchul progressed and found the experimental techniques of various abstractions in ink painting tradition. 'Mukrimhoe' which was founded in 1960 by young Korean artists graduated from Seoul National University under the leadership of Seo Se-ok and dissolved in 1964. Although it is frequently quoted as important concerning traditional black-and-white abstract paintings, there has no multi-dimensional studies on 'Mukrimhoe' so far. Therefore, from the perspective that abstract techniques were brought into Korean ink painting tradition this paper will take a closer look at Mukrimhoe's experiments with abstract forms and differences, if any, from precedent abstract trials in the 1950s through the bibliographical and figurative approaches. In addition, it will focus on analysis of differences and subsequently reflect on the role and limitations of the organization. First of all, the initiation and organization of 'Mukrimhoe' is discussed and the contemporary criticism of its accomplishment and real activities in the artistic development is followed. Then it continues on the analysis of each artist's work dealing with the visual characteristics of its own. Thus, it is examined how the abstract experiments of the organization had changed and developed through the before and the after of association of 'Mukrimhoe' in the tradition of Korean ink painting. Finally, it will discuss the circumstances and aspects under the emerging activity of 'Mukrimhoe' in the context of abstractionism in Korean ink painting by understanding the limitation and challenge of its meaning of avant-garde progress in the last chapter.

      • KCI등재

        김종삼 시에 나타난 추상미술의 영향

        박민규 ( Min Kyu Park ) 민족어문학회 2009 어문논집 Vol.- No.59

        지금까지 선행 연구들은 김종삼의 시세계가 음악적 상상력에 많이 빚졌음을 밝혀왔다. 하지만 그가 `예술가`의 자의식 속에서 인접예술에 상당한 관심을 기울였음을 감안할 때, 미술에서도 영향을 받았으리란 추정이 가능하다. 특히 그가 「앙포르멜」을 썼으며 이 시에 애착을 가졌다는 사실은 1957년에서 60년대 후반까지 한국 화단을 지배한 추상미술 운동이었던 앵포르멜과의 연관성을 유추하게 한다. 한국의 앵포르멜은 유럽의 것을 수용하면서 촉발되었다. 유럽의 앵포르멜은 선행했던 전전(戰前)의 기하학적 추상과 변별되는 조형론을 추구한 이차대전 후의 추상미술 운동이었다. 한국의 앵포르멜은, 그러나 6·25 직후의 척박한 문화 환경 탓에, 프랑스 앵포르멜에서 `부정`과 `혁신`의 시대정신 정도를 취한 면이 다분히 컸다. 즉 한국의 그것은 추상미술 내의 어떤 사조에 대한 특정적 탐구였기보다는, 기성 미학의 거부와 새로운 미의 창출이라는 미적 태도 속에서 국전(國展)풍의 구상미술 관행을 추상미술을 통해 쇄신하려 한 움직임이었다. 따라서 한국의 화가들은 유럽 앵포르멜만의 특수한 추상조형이념에 일천했을지 모르지만, 미적 제도성의 혁신을 주장할 정도로 구질서의 구상미술과 대결하는 데 필요한 넓은 개념의 추상미술에 대해 알고 있었다. 당대 한국 화단의 이 같은 동향을 파악해온 김종삼 또한 사정은 마찬가지였다. 시 「앙포르멜」을 썼다고 해서 그가 기존의 추상미술과 달라진 특정 사조로서의 유럽적 앵포르멜을 숙지했으리라 보긴 어렵다. 그러나 당대 한국 화가들과 교감했단 점에서 그 또한 넓은 의미의 추상회화론을 알고 있었으며, 이를 시작법에 활용하고 있었다. 그의 시들에서 발견되는 대상의 과감한 생략과 요약, 정신성이 투영된 색채와 색면의 구사, 원근법의 배제, 비재현적·비지시적·비모방적 표현 등은 추상미술의 조형이념을 수용한 결과였다. 한 폭의 추상화 같은 그의 시들은 구체적 형상들이 사라진 빈 공간의 전체를 단일한 색으로 칠한 `색면추상화` 같은 세계를 선보였거나, `수직-수평`의 선 혹은 면으로 공간을 분할한 `기하학적 추상`의 속성을 나타내기도 했다. This article has a purpose to analyze that Kim Jong-sam`s poetry adopted techniques and formative theory of Abstract Painting. Until now, his poetry have been many discussed in connection with the impact of music. But he showed many interests in other arts, and interchanged well with the South Korean painters. In those days, the Abstract Expressionism(Informel) has come into fashion in the South Korean young painters from 1957 to the late 1960`s. The South Korea`s Informel movement received the European Informel, but took the spirit of the times of it rather than the formative theory of European Informel. The spirit of the times was a volition to deny the ready-made aesthetic norm and to create the new aesthetic, and it brought about the Abstract Painting movement in `wide concept`. Kim Jong-sam interchanged with the South Korean Informel`s young painters, so his poetry have showed the influence of Abstract Painting. According to text analysis, his poetry had the daring omission and condensation of forms, the attempt of color and color-field to express sound of the soul, the exclusion of perspective, the pursuit of non-reappeared or non-imitative expression. In this way, his poetry were similar to an abstract painting. His poetry showed the world of `the Color Field Painting` because he had painted the whole of empty poetic space by single color, and also showed the feature of `Geometrical Abstraction` which had divided the poetic space by line or field of `vertical-horizontal`.

      • KCI등재

        현대도자 작품에 나타난 색채대비와 조형적 특징 연구 - 색면추상표현을 중심으로 -

        김창희 ( Kim Chang Hee ),원주안 ( Won Ju An ) 한국기초조형학회 2020 기초조형학연구 Vol.21 No.1

        본 연구에서는 추상표현주의 도예적 관점에서 20세기 현대미술, 특히 추상표현주의의 범주에 속하는 색면추상의 형식과 내용에 기반을 두고, 색면추상의 거장인 마크 로스코(Mark Rothko)와 하태임에 관한 선행연구를 통하여 색면추상의 조형요소인 점, 선 면과 순수한 색채를 이용하여 다양한 형태로의 조형적 특징을 추구하는 현대도자 작가들의 작품에 나타난 색채표현의 확장에 주목하고, 도자조형에서 색면을 사용하는 작가의 작품 분석을 탐구하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방법으로는 추상표현주의 영향으로 현대도예에서 색채 위주의 조형작업을 하는 도자조형 작가들과 색채표현에서의 연관성을 고찰하고 현대도자작품에서 보여지는 색면추상의 특징을 내면적 탐구의 색면추상과 조형적 탐구의 색면추상으로 구분하였다. 분석 결과, 내면적 탐구와 조형적 탐구에 있어서 색면추상은 표현대상 뿐만 아니라 심상의 세계까지 표현해 봄으로써 표현영역을 확장시켜 단순하고 초월적이며 강렬한 색채표현을 추구함과 동시에 무의식적인 세계를 자각할 수 있고 내용이나 행위에 대한 주제의 해석에 중점을 둔 정신적인 숭고의 미가 나타나고 있다. 또한 공예나 조각 등의 입체작품은 형태를 구성하고 있는 내부공간과 형태를 둘러싸고 있는 외부공간에서 나타내는 조형성과 내부공간을 구성하고 있는 표현적 요소들의 융합에서 작품의 조형성을 분석하고 있는데 특히, 형태를 둘러싸고 있는 기면은 도자표현의 중요한 바탕이 되었다. 따라서 색의 사용은 예술과 공예를 구분하여 왔던 전통적 방식에서 벗어나 자유롭게 조형언어를 표출해 냄으로써 색의 물리학적 화학적 바탕과 생리학적, 심리학적 심미적 관전에 바탕을 두는 등 작가 개개인마다 표현의 형식과 내용에 따라 다양하게 표현되어졌다. This study will unfold from the perspective of formative abstract expressionism, especially based on color-field abstract, 20th century's modern art which belong to the boundary of abstract expressionism. Through the existing studies of Mark Rothko and Ha Taeim, the masters of color-field abstract,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artists who adopted the theory of color-field in ceramics and brings attention to modern ceramic pieces which expanded the usage of colors and pursued formative characters using formative elements of color-field abstract, point-lineplane and colors. As a study method, the relationship between artists of modern ceramics using theory of color-field due to influences from abstract expressionism and their actual color usage in artworks has been deeply contemplated and characteristics of color-field shown in modern ceramic pieces are classified into two different categories: color-field abstracts that show internal investigations and formative investigations. After analysis, color-field abstracts in internal investigations expanded and formative investigations surpassing the mere representation of the object, it expresses the mind of the object and thus expanded areas of expression to pursue simple, transcendental and strong color expressions and simultaneously realize the world of unconsciousness and the outcome shows the beauty of spiritual sublime beauty that lay emphasis on interpretation on thematic contents and action. Also, structural and sculptural pieces analyze the artworks' formatives based on amalgamation of expressive elements which form internal space that shapes interior from within and those that form external space that shapes around the external form. Especially what shapes around the form became the important basis of expression in area of ceramics. Thus the usage of color again aided modern ceramics to deviate from old, traditional style to freely express the formative language; each individual artists showed their unique form and contents of expression based on physical, chemical backgrounds or psychological and mental perspectives.

      • KCI등재

        동양화단의 추상: 1960년대 묵림회를 중심으로

        박파랑 한국미술사교육학회 2010 美術史學 Vol.- No.24

        The most remarkable transformation in Korean ink painting tradition of twentieth century was the introduction of abstract expression from the West, the abstractionism. This abstractionism of ink painting tradition was begun with Korean artists Kim Kichang and Park Raehyun in the early 1950s, and developed in the method of experiment and adoption by Kim Youngki and Lee Ungno who introduced Western modernism including such as Cubism, Futurism and Expressionism. This transformation into abstract technique prospered from the late 1950s to early 1960s when young group of artists who studied Korean ink paintings such as Kwon Youngwoo and Ahn Sangchul progressed and found the experimental techniques of various abstractions in ink painting tradition. ‘Mukrimhoe’ which was founded in 1960 by young Korean artists graduated from Seoul National University under the leadership of Seo Se-ok and dissolved in 1964. Although it is frequently quoted as important concerning traditional black-and-white abstract paintings, there has no multi-dimensional studies on ‘Mukrimhoe’ so far. Therefore, from the perspective that abstract techniques were brought into Korean ink painting tradition this paper will take a closer look at Mukrimhoe's experiments with abstract forms and differences, if any, from precedent abstract trials in the 1950s through the bibliographical and figurative approaches. In addition, it will focus on analysis of differences and subsequently reflect on the role and limitations of the organization. First of all, the initiation and organization of ‘Mukrimhoe’ is discussed and the contemporary criticism of its accomplishment and real activities in the artistic development is followed. Then it continues on the analysis of each artist's work dealing with the visual characteristics of its own. Thus, it is examined how the abstract experiments of the organization had changed and developed through the before and the after of association of ‘Mukrimhoe’ in the tradition of Korean ink painting. Finally, it will discuss the circumstances and aspects under the emerging activity of ‘Mukrimhoe’ in the context of abstractionism in Korean ink painting by understanding the limitation and challenge of its meaning of avant-garde progress in the last chapter. 20세기 동양화 영역에서 일어난 제일 큰 변화는 서구로부터의 추상적 조형기법의 도입, 즉 추상화(抽象化)라고 할 수 있다. 동양화단에서의 추상의 수용은 1950년대 초반에 이르러 김기창, 박래현을 시작으로 김영기, 이응노 등 개별적인 작가들에 의해 입체파, 미래파, 표현주의와 같은 서구 모더니즘에 대한 수용과 실험의 형태로 모색되었다. 동양화단의 추상화 단계에서 두드러지는 시기는 1950년대 말에서 1960년대 초로, 일련의 작가들에 의해 다양한 형태의 추상실험이 본격적으로 궤도에 오르면서부터 이다. 서세옥의 주도하에 서울대학교 동양화과 출신의 신진 작가들을 중심으로 1960년에 창립되어 1964년을 끝으로 해산한 묵림회(墨林會)는 동양화단의 수묵추상과 관련하여 빠지지 않고 언급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현재까지 묵림회 자체에 대한 다층적인 연구가 전무한 실정이라 할 수 있다. 따라서 이 글은 동양화단의 추상 수용의 관점에서 묵림회에 대한 문헌적․조형적 접근을 통해 묵림회의 추상실험이 구체적으로 어떠한 것이었는지, 또한 이것이 1950년대 동양화단에서 선행되었던 추상 실험과 변별점이 있는지, 있다면 구체적으로 무엇인지를 분석하고 이를 통해 동양화단에서의 묵림회의 역할과 한계점을 짚어보게 된다. 묵림회 결성이 당시 큰 주목을 받았던 이유는 동양화단에서 탄생한 신진 그룹, 그것도 대학의 동양화과 출신들로 이루어진 신진들의 단체였다는 점에 있다. 권영우, 안상철, 박노수, 서세옥과 같은 서울대 동양화과 출신의 신진들이 이미 1950년대 중반 이후 국전에서 새로운 화풍으로 돌풍을 일으키며 ‘신동양화단의 전위부대’로 일컬어졌던 전례 등을 감안한다면, 서세옥이 주도한 동양화단 최초의 신진 그룹에 대한 기대는 필연적인 것이라 하겠다. 그러나 ‘전위적 청년 작가들의 집결체’를 기치로 내세운 묵림회의 ‘전위’에 대한 의욕은 실질적인 작품의 성과로 이어지지는 못했다. 창립전에 출품된 작품 대부분이 종래 전통적 남화북화(南畵北畵)의 화풍에서 완전히 벗어나지 못했으며, 창립 초기 1-2년간의 치열한 모색기 동안 조형적 지향점을 구체화하고 공유하기 보다는 무분별한 작가 초대로 이들이 애초에 내걸었던 현대적․전위적 이념이 점차 퇴색하였기 때문이다. 결국 서세옥의 독주 문제와 이후 운영을 둘러싼 갈등, 초기의 실험 의욕을 구체화할만한 조형의식의 부재 등으로 인해 8회의 정기전과 2회의 소품전 등 총 10회의 전시를 끝으로 묵림회는 해체의 수순을 밟는다. 당시 묵림회의 출품작은 전시 기사와 함께 실린 한정적인 이미지 자료를 통해서만 확인할 수 있는데, 흔히 묵림회의 조형적 정체성으로 후에 일컬어지는 ‘수묵추상’의 경우 창립전 때는 민경갑과 서세옥, 전영화 정도에 불과하며, 이후에도 전체 회원들에 비하면 수적으로는 소수의 회원만이 추상․반추상 작업을 전개해나가는 정도에 그쳤다. 이러한 사실을 감안했을 때 적을 때는 8명, 많을 때는 29명에 이르기까지 전통적인 산수화․인물화까지 포함하는 들쑥날쑥한 회원들의 다양한 작품들 속에서 묵림회의 조형적 정체성을 규정하는 것은 어려울 뿐만 아니라, 또한 이들 몇몇 작가의 작품을 통해 묵림회 전체의 성격이나 묵림회의 조형성을 규정하기에는 무리가 따른다. 결국 묵림회는 추상적 기법은 물론 전통적 양식을 포함하는 묵림회 내에 존재했던 다양한 조형의 갈...

      • KCI등재

        한국 현대미술의 모더니즘 담론과 추상미술의 성별 정치학

        신지영(Shin Ji-Young) 한국여성학회 2006 한국여성학 Vol.22 No.4

        이 논문은 지난 반세기 한국 현대미술사의 지배담론으로 위치하였던 ‘모더니즘 미술사’와 추상미술을 여성주의적으로 성찰하여 본 글이다. 우리의 현대 미술사는1970년대 생산되기 시작되었는데 서구에서 지배담론으로 구축되어 있던 모더니즘 담론이 우리의 20세기를 조명하는 패러다임으로 사용되었다. 이 때문에 한국의 현대 미술사도 서구와 같은 형식 운동으로 전개되는데 인상주의, 입체주의 순으로 전개된 형식 운동이 추상표현주의에 있어 그 진보의 정점에 이르기는 서구나 한국이나 매한가지이다. 문제는 이 모더니즘 계보에서 여성작가들을 발견할 수 없는데 이 글에서 추상과 모더니즘 담론이 어떤 성별적 함의로 여성을 타자화시키는지 성찰해 보고자 하였다. 그러나 실상 모더니즘 담론과 추상표현주의는 이차대전 이후 뉴욕에서 급부상한 냉전의 담론이다. 이 글은 탈식민 논문이기도 한데 한국의 경우, 추상표현주의는 1957년 한국전쟁 직후 수입되었고 이후 한국 현대미술에서 ‘현대화’란 곧 ‘추상화’를 뜻하게 되었다. 서구의 패러다임을 기반으로 하는 미술이지만 추상미술은 가장 ‘한국적’인 미술로 인식되었는데 추상열풍이 한국 현대미술의 ‘문인화’ 부활로 연결되어 현대미술의 ‘전통담론’을 구축하였기 때문이다. ‘서화일체’의 개념에 있는 문인화는 사실주의적 그림에 반해 관념을 전달하는 그립으로 인식되었고 따라서 한국의 전통의 ‘추상’으로 읽혀졌다. 그러나 이 ‘한국적 추상’은 여성주의 입장에서는 문제적인데, 문인화는 양반 남성의 예술로 계별적 성별적 함의가 있는 미술이기 때문이다. 문인화 부활에는 ‘일본색’ 문제도 개입되는데 세필 사실주의적인 ‘채색화’가 일제 잔재로 인식되면서 조선의 문인화는 더욱 ‘한국적’ 미술로 얽혀졌다. 그러나 ‘일본색’ 문제는 20세기 한국의 여성미술가의 조명을 어렵게 한다. 한국 여성예술가들의 탄생은 여성의 교육과 사회적 활동에 부정적이었던 유교적 전통이 와해되는 20세기 초의 역사이기 때문이다. 나혜석 천경자는 일본 유학에서 ‘양화’와 ‘채색화’를 배우면서 미술가가 되지만 추상이 정점을 이루는 민족주의 담론 속에서 이들의 평가가 긍정적일 수 없다. 이 글은 기호학적인 입장에서 모더니즘 담론을 해체하는데 ‘추상과 구상’, ‘수묵과 채색’ 등의 이항대립으로 미술의 준거를 마련하는 모더니즘 담론이 어떻게 여성 작가들을 타자로 위치시키는지 추적하였다. This essay stems from the author's feminist political intention to deconstruct the dominant 'modernist' mode of South Korean modern art history. Korean Modern Art History began to be produced in the 1970s, when Western Modernist Art History, based in Formalism, was introduced as a matrix to map the "evolution" of 20th century Korean Art. Korean modern art history echoes that of the West, and is based in the same paradigm as the latter, beginning with Impressionism, but "ending" with Abstract Expressionism. Abstract Expressionism was first introduced to the country in 1957, immediately after the Korean War. Though its origin lies in the West, South Korean Abstract Expressionism is also viewed as an art form rooted in Korean soil as well. This is mostly because Korean Abstract Expressionism made a successful transformation into a new, "native" painting style, a modernized form of Korean Scholarly Painting (muninhwa), entailing a full revival of traditional artistic concepts. The problem is that Scholarly Painting was a gender and class specific art born from the culture of pre-modern Korea, and thus its revival as an 'ultimate modern' and 'Korean' form has the consequence of locating traditionally-gendered notions of art and artist at the core of the South's modern art. This essay uses a Semiotic approach to deconstruct this gendered modernist rhetoric by tracing the emergence of the sign 'Koreaness' in South Korean modern art, showing how it is defined within Korean Abstract Painting as an 'ultimate Korean sign'. The essay shows that the sign of 'Koreaness' has been constructed with a view to full assimilation of the West while aiming to eliminate Japanese influence of the early 20th century. The essay argues that this nationalistic art discourse makes Korean women artists in the early 20th century such as Rah Hye-sok Rha and Kyung-ja Chun invisible in the horizon of Korean modern art. Traditional Confucianism has a rigid gender ideology confining women's role to the family, which was challenged in modern times as Korea witnessed the emergence of female artists. These artists became artists as a result of their modern education in Japan, a fact which, in the post-war nationalist climate, has led to the stigmatization of their paintings as 'Pro-Japanese' art.

      • KCI등재

        추상표현주의 회화를 응용한 패션 디자인 개발 연구 -프란츠 클라인(Franz Kline)작품을 중심으로-

        노윤선 한국일러스아트학회 2021 조형미디어학 Vol.24 No.2

        To satisfy the tastes and varying needs of consumers, the modern fashion collaborates with social cultures and diverse genres to create new cultures. The modern fashion also applies the artistic formativeness to the design or tries to combine with paintings. In response, this study seeks to develop fashion designs by applying the artworks of abstract expressionism, which was the most important and influential artistic style in the American painting history from 1940s to 1950s. Among abstract expressionism artists, this study applied the painting works of Franz Kline who adds black color, white color, or vivid colors to express the power in artworks involving a brush stroke technique used in calligraphy. With painting works of Franz Kline, this study seeks to develop creative fashion designs and expand the expression scope of modern fashion. For the theoretical consideration, this study examined the concept, characteristics, and expression methods of abstract expressionism, background and characteristics of artworks by Franz Kline, and fashion design cases applied with abstract expressionism paintings. Based on the examination, this study developed 4 fashion design clothes by applying DTP and collage’s handcraft technique. The results were as follows. Application of painting in fashion was figured out to be the effective way for developing a texture that expresses not only the form and color but also unique pattern and material surface’s fine structure states. Also, combination of fashion and pure art expanded the scope of expression with their infinite expression methods. 현대 패션은 소비자의 개성과 다양한 욕구를 충족시키기 위해 사회 전반에 걸친 문화와 다양한 장르와의 협업을 통해 새로운 문화를 만들기도 하며 미술양식의 조형성을 디자인에 응용하거나 회화와의 접목을 시도하기도 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1940년부터 1950년대까지 미국 회화 사상 가장 중요하고 영향력 있는 미술양식인 추상표현주의 작품을 응용하여 패션 디자인을 개발해 보고자 한다. 이러한 추상표현주의 작가 중 흑과 백, 또는 강렬한 색채를 더하여 서예에서 보여 지는 일필휘지 기법으로 작품에서 강인한 힘을 느끼게 하는 프란츠 클라인의 회화 작품을 응용하여 창의적인 패션 디자인을 개발하고 현대 패션의 표현 영역을 확대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론적 고찰을 위해 추상표현주의, 프란츠 클라인 작품의 형성 배경 및 작품 특징, 추상표현주의 회화를 응용한 패션 디자인 사례를 살펴보았다. 이를 토대로 작품 제작은 DTP(Digital Textile Print)와 콜라주(College)의 수공예적인 기법을 접목 시켜 4벌의 패션 디자인으로 개발하였다. 연구 결과 회화를 패션에 접목시키는 것은 형태와 색채뿐만 아니라 독특한 패턴과 재료 표면의 미세한 조직의 상태를 나타내는 텍스처를 개발하는데 효과적인 방법임을 알 수 있었고 패션과 순수 예술과의 접목은 무한한 표현방법으로 그 표현 영역을 확대시킬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