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최북(崔北), 기인(奇人) 화가의 탄생

        劉宰賓 ( Yoo Jae-bin ) 성균관대학교 대동문화연구원 2020 大東文化硏究 Vol.109 No.-

        본 논문은 崔北(1712~?)의 화가상이 어떻게 형성되었는지 살펴보고자 하였다. 최북의 당대부터 20세기 중반까지의 기록을 살펴본 결과 그의 기행에 대한 일화가 대부분 그의 사후에 생성되었다는 확인할 수 있었다. 최북에 대한 당대의 평가는 그와 가깝게 교유했던 여주 이씨와 근기지역의 남인 소북인 등에 의해 남겨졌다. 이들은 그를 진지한 대화상대로 여겼으며, 애정 어린 독려를 아끼지 않았다. 말년에 그를 만난 사람들은 그의 궁핍함을 안타깝게 여기기도 하였으나, 그것이 그의 기행이나 주색에 기인한다고 여기지는 않았다. 그의 그림에 대한 화평은 찬사에 가까웠으며, 주로 그림 자체에 집중하는 경향이 있었다. 또한 “정밀하다”거나 “고아하다”와 같은 평어를 통해서도 볼 수 있듯이 ‘기이함’과 ‘일탈’보다는 정재 되어 있는 미감에 주목한 것을 알 수 있다. 19세기 전반기에 지어진 남공철의 「최칠칠전」과 조희룡의 「최북전」은 이후 최북에 대해 가장 많이 인용되는 문헌이다. 이들은 최북의 생전 기록보다 더 생생하게 그의 기행을 묘사하고 있다. 그러나 이 두 기록은 상당부분 ‘전기’라는 문학 형식에 기반했음을 고려해야 할 것이다. 남공철은 본인이 직접 경험한 최북이, 세간의 통설과는 반대로 지식과 예술을 겸비한 자라는 점을 강조하기 위해 최북의 기행을 의도적으로 배치하였으며, 조희룡은 여항인의 울분과 기개를 극대화하기 위해 상상력을 발휘했을 가능성이 크다. 19세기 후반기의 인물사전과 전기집은 이전 세대의 기록을 반복하며 다른 의미로 재생산하였다. 유재건의 『이향견문록』이 『금릉집』의 「최칠칠전」을 그대로 전재하였다면, 장지연의 『일사유사』는 신문 기고글로서 전거 없이 「최칠칠전」을 풀어서 이야기하였다. 다른 문헌이나 본인의 평어도 필요에 따라 자유롭게 삽입하기도 하였다. 그에 비해 오세창의 『근역서화징』은 철저히 개입을 자제하고 최대한 많은 자료를 전거와 함께 그대로 전재하였다. 이들 문헌은 이후 고전 문헌에 밝지 못한 이론가들도 조선의 서화에 접근하는데 큰 도움을 주었다. 20세기 중반기 화가이자 이론가였던 윤희순, 김용준은 이러한 자료를 바탕으로 하되 최북의 기행을 다른 시각에서 바라보았다. 이들에게 기행은 화가가 세상의 모순과 부딪히며 ‘미’를 추구해나가는 ‘처절한 몸부림’이었다. 그들에게 최북은 조선시대에 태어난 낭만주의 화가였다. 최북은 출신이 분명하지 않고, 그 자신이 남긴 기록도 없다. 이러한 모호함이 오히려 후대인들이 기록의 빈자리를 상상력으로 메우고, 자신의 화가상을 투영할 수 있는 조건이 되었을 것이다. This paper examines how the image of artist was established over time in case of Ch'oe Puk, the middle class artist in the 18th century Chosŏn. He was known as an eccentric artist, however, stories of his idiosyncratic behaviors were mostly written after his death. His contemporaries- close friends and patrons regarded him as sincere conversation partner and a talented artist. Those who met him in his latter years, regretted his privation but did not consider it as a result of his impulse or alcoholism. The number of biographical literature on Ch'oe Puk were produced after his death. The most cited biographies are Ch'oe Ch'ilch'il-chŏn by Nam Kongch'ŏl and Ch'oePuk-chŏn by Cho Hŭiryong. They introduced new episodes on his idiosyncratic behaviors and described them vividly as if he was in front of their eyes. It is related to the characteristics of biographical literature, "chŏn" in the late 18th century Chosŏn. "chŏn" began to include the people in the lower class who had special talents or eccentric lifestyle as subject of biographies, let alone aristocrats of great achievement. The biography of Ch'oe Puk emphasized his eccentricity in order to magnify the gap and conflict between his low position and exceptional artistic talent. The imaginations of the biography writers may have been exploited to make the writings more interesting as the usual biographies on low class did at that time. Those two biographies on Ch'oe Puk became authoritative documents in the modern period. In the late 19th century, biographical dictionaries or the compilation of biographies repeatedly cites the two texts. The contemporary theorist in the mid 20th century paid more attention to Ch'oe Puk's unusual behaviors than his paintings. They regarded him as a solitary genius in a romantic way. As seen above, the identity of Ch'oe Puk as an eccentric artist was built over time after his death reflecting 'the idea of an outside artist' of the time. Key Words : Ch'oe Puk, ec

      • KCI등재

        毫生館 崔北 書畵의 心學的 美意識 考察

        한경애(Han Kyung ae) 한국서예학회 2017 서예학연구 Vol.30 No.-

        호생관 최북(1712~?)은 조선 후기를 대표하는 화가였으며 문장과 글씨, 그림이 모두 기이하다고 스스로 자부할 정도로 뛰어난 기량과 자존의식을 갖춘 화가이다. 최북의 교유관계에서 주목되는 것은 당시 정치권력에서 일정하게 소외된 여주 이씨를 비롯한 남인계 지식인들과 함께 시서화를 애호했거나 정서적으로 공감대를 형성했다는 점이다. 조선 후기는 보편적인 가치의 실현을 강조한 성리학이 시대 변화의 요구를 수용하는 데 한계점을 드러내고 양명학의 수용과 파급으로 인간의 욕망과 개성을 추구하는 사유가 확대되었던 시기라고 할 수 있다. 나아가 창작활동에서 미학적 인식의 변화는 필연적이라고 할 수 있다. 心學的 미의식의 사유는 主體心이 핵심이라고 할 수 있는바, 이는 최북의 서화세계에 있어 창작과 예술정신에 근원이 되고 있다. 게다가 최북은 타고난 신분적 차별에 의한 울분과 사회에 대한 날카로운 비판력이 창작을 통해 투철한 자아의식으로 투영되었다. 최북의 행적을 보면 사대부에게 버금가거나 그 이상인 절개와 지조로 묘사되는 奇節을 엿볼 수 있다. 또한 그의 진취적 기상과 체제에 안주하지 않는 의지가 작품에 투영되어 초탈하고 자유분방하며 구속됨이 없어 氣格이 高逸하고 放逸한 畵境을 이루었다. 그는 서체에 있어서도 草書와 行草에 능해 창작을 통해 放逸의 경지를 체현함으로써 당시의 구태의연한 규범과 가치를 초월하고자 했다. 따라서 최북의 서화세계에 있어 심학적 미의식은 주체적이고 자유로운 감정의 표출을 생명으로 하는 미의식을 촉발시켰으며, 새로운 근대지향적 미의식의 단초를 제공하였다. Hosaenggwan Choi-Buk (1712-?) was one of the greatest painters from the late Joseon period. He was born in the family of jungin, but became a painter with skills that were as outstanding as those of any sadaebu (scholar-official). What was remarkable about Choi-Buk’s friendships and companionships was that Choi favored poetry, calligraphy, and paintings along with and formed emotional connections with intellectuals of the Namin factions, including the Yeoju Lee family, who had been constantly alienated and excluded from political power. The late Joseon period was an era in which the essence of subjectivity shifted from “human nature” (性) to “human affection” (情) following the acceptance and spread of Yangmyeonghak (Yangming studies). Therefore, the shift in aesthetic consciousness manifested in creative activity was inevitable. Furthermore, subjectivity (主體心) was essential to reflections on aesthetic consciousness as practical ethics, which formed the basis of creation and artistic mindset in the calligraphic world of Choi-Buk. Moreover, Choi-Buk’s resentment towards discrimination based on class and his sharp criticism of society were reflected in his creations with a clear sense of self-consciousness. Choi-Buk’s creations indicate an incredible “kijeol” (奇節) meaning integrity and fidelity, which matched or even surpassed that of any sadaebu (scholar-official). His works reflected his progressive spirit and determination to never stay content with the establishment, transcending and free from worldly constraints. He created paintings of “heedlessness” (放逸) that showed his extraordinary personality and elegance. As for calligraphy, Choi-Buk was a competent writer of cursive script (草書) and semi-cursive script (行草) and, by representing the stage of “heedlessness” through creative activity, he intended to transcend the obsolete norms and values of that period. Thus, aesthetic consciousness as practical ethics in the calligraphy of Choi-Buk encouraged a subjective and free expression of emotion and provided the foundation for new and modern aesthetic consciousness.

      • KCI등재

        「최북전(崔北傳)」에 나타난 중인 예술가의 자의식에 관한 조희룡(趙熙龍)의 문제의식 연구

        김경회 부산대학교 한국민족문화연구소 2023 한국민족문화 Vol.85 No.-

        본고에서는 조희룡의 「최북전」과 최북의 행적이 기록된 자료들을 비교하며 중인 조희룡의 문제의식을 살펴보았다. 첫째, 조희룡은 직업 화가인 중인 최북의 독특한 자의식, 뛰어난 그림 실력, 그림에 대한 강한 자부심, 오만한 성정 등을 인정하였다. 둘째, 자의식이 강한 최북의 결벽적 자신감과 오만한 성격으로 야기된 타인과의 갈등, 그 갈등의 해결의 어려움, 이로 인해 일을 그르친 일 등과 관련된 일화를 제시하였다. 셋째, 자의식이 과잉적으로 확대된 최북의 오만한 성품과 일탈적 성향이 그의 예술과 삶을 파괴할 수 있는 문제성 또는 위험성을 드러낸 일화를 묘사하였다. 넷째, 자의식의 과잉이 초래한 자해 행위를 통해 최북이 자신의 과오로 궁지에 몰린 사실을 인정하였거나, 자신의 과오로 야기된 괴로운 상황에서 벗어나기 위해 저지른 자해 행위를 통해 그의 자부심과 신념이 일순간에 무너진 일화를 서술하였다. 이러한 일화들을 순차적으로 기술하여, 조희룡은 사회적 차별이 엄존하는 현실에서 최북이, 자신이, 중인이 일상적 삶과 예술인의 삶을 지속할 수 있었기를 또는 있기를 바랐다.

      • KCI등재후보

        최북의 서예 연구 - 화제시를 중심으로 -

        허성옥 ( Huh Seong-ok ),하영준 ( Ha Young-jun ) 한국사상문화학회 2018 韓國思想과 文化 Vol.93 No.-

        호생관 최북(毫生館 崔北, 1712~1786?)은 조선의 고흐라 불릴 정도로 기이한 행적과 높은 작품성으로 유명한 조선시대 후기의 직업화 가다. 그의 작품 <공산무인도(空山無人圖)>, <계류도(溪流圖)>, <처사가도(處士家道)>, <수각산수도(水閣山水圖)>, <풍설야귀인도(風雪夜歸人圖)> 등의 화제시는 주로 초서에 가까운 유려한 행서체로 쓰여 있는데 그림의 주제를 설명할 뿐 아니라 그림을 구성하는 중요한 요소로 작용하고 있다. 그가 중인의 신분으로서 이처럼 높은 수준의 서예를 성취할 수 있었던 요인은 다음과 같이 추정할 수 있다. 첫째, 그의 학문이다. 당시는 신분제가 허물어지는 과정이어서 교육대상이 확대되었기 때문에 중인이었던 최북도 서당과 서원에서 학문의 기초를 닦았을 가능성이 크다. 이후 그는 원나라 황공망의 화풍과 사상을 접하고 다양한 독서와 여행을 함으로써 학문이 성숙하였던 것으로 보인다. 둘째, 당시 유행하던 중인들의 노장사상과 시 창작활동에 동참함으로써 시와 글씨를 예술로 인식하고 표현하게 되었을 것이다. 셋째, 당시에 정치적으로는 비주류였으나 학문과 예술의 수준이 높았던 사대부들과의 교분을 통해 실학과 양명학 등 학문영역을 넓히고 예술수준을 높일 수 있었을 것이다. 넷째, 당시의 명필이었던 원교 이광사와 표암 강세황 등과의 교분을 통해 서예에 대한 의취를 직접적으로 높일 수 있었을 것이다. 최북의 화제시에 나타난 그의 서예는 온 몸으로 체득한 ‘문기의 드러남’이었고, 학문과 예술이 상통하여 시·서·화가 하나로 어우러진‘통의 경지’에 이른 예술적 발현이었으며, ‘보는 서예’를 추구하는 현대서 예의 선구였다고 할 수 있다. Hosaengkwan Choi Buk(1712~1786?) was a professional painter of the late Joseon Dynasty, famous for his strange acts. Even though his class of identity was middle layer, he was a painter with excellent calligraphy. The reasons he was able to achieve such a high quality calligraphy are as follows. First, it is his academic background, highly probable that he studied in the Seodang and Seowon because that social environment and various reading and traveling according to Hwng Gongmang's will. Second, he would be possible to express his artistic sensitivity and recognize calligraphy as art through the creation of poetry. Third, the exchange between high-level scholars and art departments. Fourth, the fellowship with outstanding calligraphers such as Lee Kwangsa and Kang Sehwang. Choi Buk's calligraphy shown in his paintings is an artistic manifestation of 'Academic aura' which was acquired by the whole body, and art of the 'Tong', 'Viewing calligraphy' of modern calligraphy.

      • KCI등재

        조선 후기 중서층 화가들의 ‘울분’표현 양상과 그 의미

        이선옥(Lee, Seon-Ok) 강원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13 인문과학연구 Vol.0 No.36

        이 논문은 이인상(李麟祥, 1710~1760)과 최북(崔北, 1712~1786년경)을 중심으로 신분으로 인해 제약을 받았던 조선후기 중서층(中庶層) 화가들이 어떻게 자신의 울분을 표현했는지 살펴본 것이다. 같은 시기 신분차별로 인해 설움을 받고 분노하였던 화가가 이들만은 아니다. 하지만 이들은 각자 개성 있는 화풍으로 조선 후기를 대표할 만한 화가들이며, 개개인이 처한 환경과 성향에 따라 울분을 표출하는 모습도 큰 차이를 보여 당시 중서층 화가들의 다양한 감성표출양상을 볼 수 있었다. 이인상은 서출이라는 신분에서 오는 억울함과 괴로움을 은둔이라는 어쩌면 소극적인 행동양식을 선택함으로써 견뎌내었다. 이러한 이인상의 행동은 그가 비록 불우한 처지에 있지만 당대를 호령하는 핵심 노론계 집안의 후손이자 나라를 걱정하는 지식인으로서 본연의 자세를 잃지 않으려는 완고하면서도 고매한 성품의 소유자였기 때문이다. 이인상은 자신의 울분을 작품을 통해 승화시켰다. 거의 90도로 굽은 굵은 소나무나 병들어 시든 국화 등을 통해 쓸쓸하고 처량한 자신의 처지를 은유적으로 표현하였으며, 갈필과 윤곽선 위주의 산수화로 적막감을 나타내었다. 최북은 술과 그로 인한 기이한 행동으로 세상에 대한 분노를 표출하였다. 그러나 그림은 몇몇 이외에는 당대 유행하던 남종문인화풍의 산수화로 그의 기이한 행적에 부합하는 개성 있는 작품이 많지는 않다. 이는 그의 한계로 지적되며, 역으로 그림을 팔아 겨우 먹고 살았던 그의 처지를 보여주는 것이다. 신분이 낮다는 이유로 받았던 편견과 멸시를 그들은 자신의 예술적 자부심으로 견뎌나갔다. 한편으로는 그런 자부심 때문에 자신에 대한 경시를 더 불합리하게 느끼기도 하였다. 스스로는 문인으로서 예술가로서 누구에 못지않은 능력이 있었음에도 신분이라는 틀 때문에 제대로 인정받지 못하는 현실에 대한 저항의식이 그들 작품의 개성으로 드러나고 또 기행으로 표출되었다고 할 수 있다. This study examined how the middle class painters of the late Josen period expressed their anger as they were restricted due to their social standing centering on Yi In-Sang(李麟祥, 1710~1760) and Choi Buk(崔北, 1712~1786). There were many other painters who were sad about the discrimination according to their social standing. However, as they stood for painting circles of the late Joseon period because of their characteristic painting styles and were different in representing their bitterness according to their situations and tendencies. Yi In-Sang stood grief and suffering derived from his illegitimacy by selecting the negative style of withdrawal from ordinary life. His such conduct was derived from his strict and noble personality as an intellectual and descendant of the dominating family at that time although he was in difficult situation. He sublimed his bitterness through his paintings. He metaphorically expressed his lonely and miserable situation through a curved pine tree or withered chrysanthemum. Choi Buk expressed his anger against the society through drinking and strange behaviors. However, there were only a few paintings that his distinctive character was reflected on as most of his paintings were literary artists" style of the Southern which was popular at that time. It was his limitation and showed his miserable position. Yi In-Sang and Choi Buk stood disregard and ignorance due to their low social standing through their artistic pride. So, they thought that the disregard they received from the society was unreasonable. Their resistance against unreasonable reality was expressed through characteristic paintings and strange conducts as literary persons and artists.

      • 近世給画の指画と朝鮮画について- 延享五年本?寺での交流に關する疑問点

        片山真理子 조선통신사학회 2020 조선통신사연구 Vol.30 No.-

        『대마도 특산물 목록[對州士꿇物控]~의 ‘지두화 한화 이 [指畵韓 畵二]’와의 만남은 지금까지 산적된 과제에 다시 주목해 새로운 관점에서 접근하는 기회가 되었다. 겐닌지 [建仁풍]의 암자인 료소쿠인 [雨足院]의 보물로 전해져 오 는 역사는 이테이안[以업]魔] 윤번제도가 일본에서 조선회화(朝解 續휠)가 전래되는 하나의 루트로 존재했음을 보여주는 역사 문헌 자료로 평가할 수 있다. 그리고 혼코쿠지[本固츄]에서의 교류에 관한 의문점은 야마토고 오리야마[大和都山l 에서 교토의 혼코쿠지로 옹 치소야쿠[홉번走彼; 향응담당]가 야나기사와 노부토커[柳앤信鴻] 2 대 번주이며, 야나 기사와 기엔[柳況벌園]도 치소야쿠로 참가했다는 설에 대해서는 사료가 불분명하나 이미지를 그려볼 수는 있다. 현 상황에서는 1748 년의 교토 혼코쿠지의 치소야쿠는 야나기사와 노부토카이며, 이와 관련하여 앞으로 사료(史料) 발굴에 더 힘쓰고자 한다. 박덕원펼(朴德源筆)의 액자(顯字) <기엔[벌園]>이 가리커는 것 이 누구인가에 대해서는, 미나가와 기엔이 15세 때의 일과 1748 년이 일치한다는 점에서 확인할 수 있고 그 내용도 해외 즉, 조선 에서 이름을 떨쳤다는 점은 다소 과장된 표현이라도 납득이 가는 범주라 할 수 있다. 그리고 지화 그 자체는 찾을 수 없지만, 1748 년 일본을 찾은 화원 이성린(李聖職)과 최북(崔北) 게재 판본(版本)에 대한 것입니 다. 중국회화를 주류로 연구를 거듭해 온 일본의 화단서 최북의 존재가 인정받은 것은 근세회화에 있어 18 세기 무렵 화인(뿔人)들 의 요구와 욕구, 일본 측이 원하던 기호(뺨好)에 있었던 것이 아닐 까한다. 화가의 능력뿐만 아니라 그것을 보는 것을 즐기는 존재도 그림 의 발전을 위해 중요하다. 교토의 효닌[때人; 상인]화인들이 갖춘 기예(技표)와 기법(技法) 외에 화풍에도 큰 관심이 있어 새로운 것 을 추구한, 혹은 새로운 것이 환영받는 교토라는 지역 특성도 크 게 작용한 것이라 생각된다. The encounter with "Finger painting, on Korean painting" in "Taishu Souvenir Book" was an opportunity to revisit the issues that had been piled up so far, and to change the perspective. The history of being introduced as a treasure of Kenninji Ryosokuin can be said to be one of the routes of the introduction of Korean paintings in Japan, and the existence of theTaishu Iteian rotation system can be positioned as a document for manuscripts. Then, the question about the exchange at Honkokuji is that the feast who went from Yamatokoriyama to Honkokuji in Kyoto was Nobutoki Yanagisawa, the second feudal lord, and the theory that Yanagisawa Kien also participated as a feast is lacking in the source, but the image Can be done. However, at present, the role of the feast of Honkokuji Temple in Kyoto in the 5th year of Enkyo is Nobuaki Yanagisawa, and 1 would like to make further efforts to discover historica1 materia1s. As for who refers to the forehead "Kien" written by Park Tokwon, there is confirmation that the possibi1ity of Minagawa Kien is the same as the 15th year of Minagawa Kien, according to the epitaph. The fact that the content of the inscription a1so made a name for itself overseas, that is, in Korea, is a category that can be convinced even if it is a slight1y exaggerated expression. And, a1though 1 can’t find the finger painting itse1f, about the printed book pub1ished by Choi Buk and the painter Lee Seongrin who came to Japan for the fifth year of Enkyo. The fact that the existence of Choi-Buk, who 1ived in Korea, was recognized in Japanese paintings, which main1y focused on Chinese paintings, was due to the demands and desires of painters in modern paintings and the tastes that the Japanese side wanted. 1 wonder if there was. Not on1y the abi1ity of the painter but a1so the existence of peop1e who enjoyed seeing it is important for the deve10pment of paintings. It seems that there was a1so the action of the eyes of the Kyoto townspeop1e and merchants, and not a11 the painters were interested in the arts that the painters had, and they were a1so very interested in the sty1e of painting as we11 as the technique. It is thought that there was an excessive effect of pursuing new things, or the fact that Kyoto was a p1ace where new things were happy.

      • KCI등재

        崔北의 花鳥翎毛畵를 통해 본 安山文人들과의 交遊

        權惠銀(Kwon Hyeeun) 미술사연구회 2012 미술사연구 Vol.- No.26

        This study notes, through observation of the bird, flower and animal paintings of Choe Buk, the fact that Choe associated with literati in the Ansan area, principally the Yeoju Lee family, and “yeohang” (late-Joseon middle-class) literati, sharing the same painting motifs. Choe Buk was born into a jungin (Joseon middle class) family, but was one of a new kind ofprofessional artist that appeared in the mid-18th century. Because he was skilled in poetry, calligraphy and painting and possessed the same levels of refinement and appearance as a literary artists Choe was active primarily in Seoul and the surrounding Gyeonggi-do region, but the town of Ansan, in particular, emerged as cultural center of the activity as literati belonging to the Namin (Southerner) faction gathered there. Some of Choe’s works indicate that he interacted and enjoyed close mutual influence with figures such as Sim Sa-jeong and Gang Se-hwang, who were active in Ansan. Two poetry paintings by Choe take as their theme “Sanhyangjae,” a pen name of Gang Se-hwang and also presumed to be the name of the building in which Gang dwelt during his time in the Ansan region; the paintings have also been stamped with with the word “Banwol,” a local Ansan place name. These facts, in particular, inform us that Choe engaged in active exchange with Gang and Sim in Ansan. The relationship of influence between these three men painters is demonstrated even more clearly by their paintings featuring birds, flowers and animals. Jegahwacheop (諸家畵帖) is an album containing paintings by Choe Buk and Sim Sa-jeong, along with critical commentaries (畵評) by Gang Se-hwang. It is an important work that includes a variety of paintings of flowers in the picture book style of Choe and Sim, confirming that the three figures ― two literary artists and one professional artist ― worked together. They attempted to express their inner worlds through their paintings, investing greater free-style significance in their paintings of birds, flowers and animals. We can recognize this internal world in Choe Buk’s excellent painting of a quail pecking at grains of millet, which signifies the frugal life of a scholar. This study also examines similarities between his painting of hawks and pheasants, long a favorite motif, and the works of Sim Sa-jeong. In paintings flowers, vegetables including aubergines, daikon radishes and cucumbers, rarely seen in picture books, were observed. This informs us that Choe had learned from Chinese picture books, popular in Joseon at the time, used them to brush up his skills, and then completed his works by constantly observing actual objects. It has thus been possible to learn that Choe Buk expressed his inner world through the subjects he depicted, and that he also invested greater free-hand significance in his bird, flower and animal paintings under the influence of Chinese picture books, while taking on rare subjects such as daikon radishes, aubergines and crabs. These are characteristics also apparent in the bird, flower and animal paintings of Sim Sa-jeong and Gang Se-hwang, literati of the “Southerner” school who exerted deep influence on each other.

      • KCI등재

        조선 후기 중서층 화가들의 ‘울분’표현 양상과 그 의미

        강원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13 인문과학연구 Vol.36 No.-

        <P>&nbsp;&nbsp;이 논문은 이인상(李麟祥, 1710~1760)과 최북(崔北, 1712~1786년경)을 중심으로 신분으로 인해 제약을 받았던 조선후기 중서층(中庶層) 화가들이 어떻게 자신의 울분을 표현했는지 살펴본 것이다. 같은 시기 신분차별로 인해 설움을 받고 분노하였던 화가가 이들만은 아니다. 하지만 이들은 각자 개성 있는 화풍으로 조선 후기를 대표할 만한 화가들이며, 개개인이 처한 환경과 성향에 따라 울분을 표출하는 모습도 큰 차이를 보여 당시 중서층 화가들의 다양한 감성표출양상을 볼 수 있었다.</P><P>&nbsp;&nbsp;이인상은 서출이라는 신분에서 오는 억울함과 괴로움을 은둔이라는 어쩌면 소극적인 행동양식을 선택함으로써 견뎌내었다. 이러한 이인상의 행동은 그가 비록 불우한 처지에 있지만 당대를 호령하는 핵심 노론계 집안의 후손이자 나라를 걱정하는 지식인으로서 본연의 자세를 잃지 않으려는 완고하면서도 고매한 성품의 소유자였기 때문이다. 이인상은 자신의 울분을 작품을 통해 승화시켰다. 거의 90도로 굽은 굵은 소나무나 병들어 시든 국화 등을 통해 쓸쓸하고 처량한 자신의 처지를 은유적으로 표현하였으며, 갈필과 윤곽선 위주의 산수화로 적막감을 나타내었다.</P><P>&nbsp;&nbsp;최북은 술과 그로 인한 기이한 행동으로 세상에 대한 분노를 표출하였다. 그러나 그림은 몇몇 이외에는 당대 유행하던 남종문인화풍의 산수화로 그의 기이한 행적에 부합하는 개성 있는 작품이 많지는 않다. 이는 그의 한계로 지적되며, 역으로 그림을 팔아 겨우 먹고 살았던 그의 처지를 보여주는 것이다.</P><P>&nbsp;&nbsp;신분이 낮다는 이유로 받았던 편견과 멸시를 그들은 자신의 예술적 자부심으로 견뎌나갔다. 한편으로는 그런 자부심 때문에 자신에 대한 경시를 더 불합리하게 느끼기도 하였다. 스스로는 문인으로서 예술가로서 누구에 못지않은 능력이 있었음에도 신분이라는 틀 때문에 제대로 인정받지 못하는 현실에 대한 저항의식이 그들 작품의 개성으로 드러나고 또 기행으로 표출되었다고 할 수 있다.</P>

      • KCI등재

        金鑢의 西漁文草 편집에 대한 一考

        김하라(Kim Ha ra) 대동한문학회 2016 大東漢文學 Vol.47 No.-

        본고에서는 金鑢가 편집한 權常愼의 산문집 西漁文草 를 자료로 삼아 산문 작가 권상신과 편집자 김려의 일면에 각각 접근하고자 하였다. 권상신에게는 그 서자인 權正履가 엮은 것으로 추정되는 稿本 문집인 西漁遺稿역시 전하고 있는바, 서어문초 의 검토에 참조가 된다. 서어문초 에 수록된 작품들의 창작 연대를 고증한 결과 이 小集에 수록된 24편의 산문 가운데 적어도 21편이 저자의 20대 所作임을 파악할 수 있었다. 각각의 작품들을 통해 京華世族의 자제로 南公轍 등과 교유하며 書畵古董의 취미를 향유하던 젊은 저자의 면모가 확인되며, 특히 <障上畵石贊> 등의 작품에 나타난바 화가 崔北을 불러 그림을 그리도록 할 수 있는 권상신의 취향 및 사회경제적 지위가 주목된다. 또한 그의 20대 시절 작품으로 干支 표시가 되어 서어유고 에 수습되어 있으나, 본 서어문초 에는 실리지 않은 <崔七七傳>의 존재는 시사하는 바가 있다. 이 작품은 남공철의 金陵集 에도 똑같이 수록되어 있어 작자 고증이 요청되는 상황이었는 데, 김려가 권상신의 20대 시절 작품을 중점적으로 엮은 서어문초 에 해당 작품이 빠져 있다는 것은 그것이 남공철에게 귀속됨을 증명하는 자료가 될 뿐 아니라 편집자로서 김려가 권상신의 계승자인 권정리보다 작가에 대해 정확히 파악하는 식견 있는 편집자로서 존중되어야 할 필요가 있음을 알려주는 단서로서 의미가 있다. I wish to review in this paper both editorial capacity of Kim Lyeo金鑢 and Kwon Sangshin權常愼's individuality as a writer by reading Seoeomuncho 西漁文草 , an anthology of proses of Kwon. Kim Lyeo, edited this short anthology at the request of Kwon, a 53 years old highranking official. Meanwhile Kwon has a voluminous book Seoeoyugo 西漁遺稿 , the posthumous works of his and its compiler is his son Kwon Jeongli權正履. However, Kwon Jeongli was the child of a concubine and there was so much this youngman didn't know yet about his deceased father's writing. There are 24 pieces of prose contained in Seoeomuncho and at least 21 articles had been written at his twenties. We can confirm young Kwon Sangshin’s identity as a literary person is concerned with his remarkable socio-economic status by reading these 21 articles. Kwon is a youngman of delicate tastes of art to call Choi Buk崔北, the most famous painter of Joseon his home and to describe the scene of genius artist's drawing in one prose. Apart from above-mentioned prose, there is “a short biography of Choi Buk” in Seoeoyugo. The same article is included in other writer's collection of works and it is /presumed that Kwon Jeongli made a mistake to compile the script of a friend of his father's in Seoeoyugo. But Seoeomuncho, edited by Kim Lyeo, do not contain an article of dubious authorship like “a short biography of Choi Buk”. This may be a clue to prove that Kim has considerable insight as an editer and his editorial achievement is noteworthy.

      • KCI등재

        蟾窩 李玄煥의 繪畫 관련 ‘說’ 작품 분석

        정은진 근역한문학회 2022 한문학논집(漢文學論集) Vol.61 No.-

        본 논문은 한문학 문체 가운데 說을 주목하여 繪畫와 說 문학의 관계를 점검하고, 이현환의 「崔北畵說」·「謹齋書畫說」·「圖章說」을 분석하였다. 알려진 대로 회화와 밀접하게 연결되는 한문학 문체는 書畫題跋이다. 서화제발이 주로 해당 서화작품에 관한 단형의 비평이 주를 이룬다면, 설은 보다 전문적인 시각에서 작자와 대상의 관계와 일화, 대상에 대한 작자의 주장과 평가 등이 통시적으로 조망된다. 그렇다보니 조선후기 소품의 발달과 함께 양적 증가를 보였던 서화제발에 비해, 설로 표현된 회화 담론 수는 현격하게 적었다. 그런데 강세황․최북과 가까웠던 남인계 이현환은 설이란 문체를 통해 18세기 근기지역의 문화적 분위기를 전하고 있다. 본고에서 논한 이현환의 「崔北畵說」·「謹齋書畫說」·「圖章說」은 최북의 회화, 이관휴의 서화수장, 회화에 첨부되는 도장과 이를 전각하는 인물 강세황을 다룬 작품이다. 제목을 ‘회화 관련 설’이라고 했지만 엄밀히 말해서 회화의 중심과 외연이 함께 표현되어 있다. 이현환은 이 작품을 통해 서화에 대한 가치 부여, 최북·이관휴·강세황이라는 세 인물의 고도의 예술적 경지, 그들을 향한 짙은 공감을 표현하였다. 곧 회화 창작의 주변인이라 할 수 있는 이현환은 조선후기 경기도 안산에서 활동했던 회화 창작 주체들의 회화관과 이념을 ‘설’을 통해 입체적으로 표현해 내었던 것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