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체험마케팅 전략에 따른 쇼룸공간디자인에 관한 연구 -라이프스타일브랜드를 중심으로-

        박규민 ( Park,Kyumin ),이정교 ( Lee,Junggyo ) 한국공간디자인학회 2021 한국공간디자인학회논문집 Vol.16 No.7

        (연구배경 및 목적) 최근 기업들은 브랜드 호감도 제고와 고객과의 수월한 의사소통을 위해 체험마케팅을 기반으로 브랜드 커뮤니케이션을 형성하고 있다. 쇼룸공간 속 체험마케팅전략은 ‘옴니채널(Omni Channel)체험의 비율이 급격히 증가하는‘ 새로운 뉴노멀시대’의 럭셔리로 해석되고 있으며 감성, 오감 마케팅을 통하여 소비자에게 행복한 경험을 선사하며 기업의 이념과 라이프스타일에 이르기까지 브랜드가치를 고취할 수 있는 소비 이상의 경험을 제공하고 있다. 그러므로 본 연구에서 궁극적으로는 체험마케팅전략에 따른 라이프스타일 영역을 중심으로 쇼룸공간디자인에 전략적·기능적특성을 도출하고 오프라인 체험공간의 전향적 방향을 연구하는데 목적을 갖는다. (연구방법) 본 연구는 첫째, 체험마케팅전략과 관련된 선행연구와 문헌조사를 통해 쇼룸디자인에서의 경험 요소를 도출하고 물리적·개념적 공간특성요소를 추출한다. 둘째, 라이프스타일브랜드의 쇼룸공간의 개념과 유형 그리고 전체 공간구성 및 특성을 도출한다. 셋째, 국내외 라이프스타일브랜드 중 직접방문을 통한 오프라인 조사가 용이하고 이커머스를 통해 온라인조사가 가능한 단독공간입점형기업 5곳을 선정하여 정성적·정량적 기준을 적용하여 5점 척도법을 통해 사례분석한다. 이 결과를 통해 체험마케팅전략에 따른 쇼룸공간디자인의 공간적 특성과 브랜드 경험을 상관분석하여 소결을 도출하고, 도출 된 분석자료를 통해서 라이프스타일브랜드의 유의미한 방향에 대하여 예측과 그 가능성을 제안한다. (결과) 이에 본 연구에서는 범세계적인 체험마케팅 그리고‘상업전시공간’패러다임의 속성에 대한 분석을 통해 쇼룸공간디자인의 기능적 특성과 분석의 방향을 수립하였다. 이 분석의 결과 5곳의 사례에서 체험마케팅 5요소는 총체적으로 적용되었으나 그 공간의 목적과 성격에 따라 다르게 적용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감성적, 인지적, 행동적 경험을 통해 얻는 문화적 향유는 소비자의 피로도마저 마비시키는 라이프스타일브랜드 쇼룸공간의 무형적 가치로 보여진다. 과거와 달리 메인쇼룸만이 아닌 동선을 구성하는 모든 공간이 하나의 구성체로 브랜딩되어 체험의 확장을 도모하고 있음을 도출할 수 있었다. 또한 직접적 체험에 목적을 둔 지리적위치 선점을 통해 소비자와의 커뮤니케이션 증진에 적극적으로 활용중이다. (결론) ‘가치의 시대‘에 라이프스타일브랜드가 미래지향적 트랜드인 이유는 자신만의 철학에 조응하는 사람들의 내면을 깊이 살펴 그들의 취향과 가치관을 중심으로 확대하고 고객과의‘ 세계관’구축하고 있다. 경험을 중시하는 미닝아웃 시대에 경험과 라이프스타일을 제안하는 쇼룸공간계획은 오프라인 공간의 대안이 아닌 ’혁신‘으로 철저한 오디언스 중심의 브랜드 커뮤니케이션이 될 것이다. 대표적 체험마케팅전략의 쇼룸공간디자인을 브랜드 차별화 요소로 발전시켜 다른 매장의 공간디자인 특성과 체험마케팅전략의 경험요소를 전략적으로 적용한다면 미래적 브랜드 관리의 방법론으로 적용할 수 있을 것이다. (Background and Purpose) Recently, companies have begun developing communication strategies based on empirical marketing to increase brand preference and promote communication. Experiential marketing is interpreted as the new normal, that provides valuable experiences along with virtual participation through five senses and cognitive marketing. Therefore, this study examines the strategic and functional characteristics of the spatial design of an exhibition hall, focusing on the lifestyle according to the experiential marketing strategy. (Method) First, this study derives experience elements through preliminary research related to experiential marketing. Second, it derives the concept, type, and characteristics of a lifestyle brand's exhibition space. Third, visiting surveys and online research are possible online and offline among domestic and foreign lifestyle brands; five companies to be surveyed are selected to analyze cases in units of five points. Through this, sintering characteristics can be derived by linking the characteristics of the showroom’s spatial design with the brand experience, and meaningful directions of the lifestyle brand can be presented through data analysis. (Results) This study established the direction of the space design analysis of the showroom exhibition hall through the examination of the attributes of the commercial exhibition space paradigm. Five elements of experiential marketing were applied; based on the derivation through case analysis of five companies, it was revealed that they were applied differently according to the purpose of the space. Cultural enjoyment through emotional, cognitive, and behavioral experiences is recognized as the intangible value of the lifestyle brand exhibition space, countering consumer fatigue. In addition to the main showroom, this exercise has been branded as a single configuration to promote experience expansion. It is also actively used to promote communication with consumers through preoccupation of geographic locations aimed at direct experience. (Conclusions) The reason lifestyle brands are a future-oriented trend in the value era is that they expand their value and build a worldview with customers who adapt to their philosophy. In the era of experience-oriented mining, the showroom space plan, which offers experiences and lifestyles, will be thorough audio-oriented brand communication as an "innovation" rather than an alternative to offline space. If the showroom space design of a representative experiential marketing strategy is developed as a brand differentiator and applied as an experiential marketing strategy, it can be applied as a prospective methodology for brand management in the future.

      • KCI등재

        청소년기 체험활동과 학교적응의 관계에서 공동체의식과 자아탄력성의 매개효과

        이응택(Lee, Eungtaek),오승근(Oh, Seunggeun)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2020 한국청소년연구 Vol.31 No.1

        본 연구의 목적은 청소년기 체험활동과 학교적응의 관계에서 공동체의식과 자아탄력성의 매개효과를 살펴보는 것이다. 그리고 청소년기 체험활동은 이론적 근거에 의해 양적인 부분으로 참여시간, 질적인 부분으로 참여만족도로 구성하여 연구목적을 달성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한국아동·청소년패널 2010(KCYPS 2010) 자료 중에서 초등학교 4학년 7차 년도(2016년) 패널 자료를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대상은 체험활동에 참여경험이 있는 고등학교 1학년 총 1,062명(남학생 487명, 여학생 575명)이었다. 주요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체험활동 참여시간과 학교적응의 관계에서 자아탄력성과 공동체의식의 매개효과는 나타나지 않았다. 체험활동 참여시간은 공동체의식과 자아탄력성에 영향을 미쳤으며, 학교적응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둘째, 체험활동 만족도와 학교적응의 관계에서 자아탄력성의 매개효과는 나타나지 않았다. 체험활동 만족은 자아탄력성에 영향을 미쳤으나 자아탄력성이 학교적응에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체험활동 만족과 학교적응의 관계에서 공동체의식의 매개효과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였다. 또한 체험활동 만족은 학교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어 공동체의식은 체험활동 만족과 학교적응의 관계에서 부분매개효과를 지녔다. 이러한 결과는 체험활동 참여시간 보다는 만족도가 학교적응의 관계를 더 잘 규명하는 것을 의미하고, 체험활동과 학교적응의 관계는 자아탄력성보다는 공동체의식을 통해 설명되는 것을 뜻한다. 이러한 분석결과를 바탕으로 체험활동 만족의 중요성과 공동체의식을 매개로한 체험활동의 필요성에 대해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mediating effects of sense of community and self-resilienc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experiential activities and school adaptation. For this purpose, we analyzed 7<SUP>th</SUP> year (2016) data of the 4 primary panels of KCYPS 2010. A total of 1,062 students were in the first year of high school. The research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re was no mediating effect of ego-resilience and a sense of community in the relationship between participation level in experience activities and school adaptation. Second, the mediating effect of self-resilience was not found in the relationship between satisfaction of experience activity and school adaptation, but the mediating effect of a sense of community was found to be statistically significant. The relationship between experience activity and school adaptation was found to be mediated by a sense of community. In addition, it was confirmed that satisfaction in terms of experience activities was more meaningful than participation levels in experience activities. Based on these results, a number of implications of this study were suggested.

      • KCI등재후보

        온라인 브랜드 체험을 통한 브랜드 태도와 브랜드 애착의 이중 경로가 브랜드 몰입에 미치는 영향

        김재영 대한경영정보학회 2010 경영과 정보연구 Vol.29 No.3

        본 연구는 온라인 브랜드 커뮤니티 사이트를 통해 경험한 브랜드 체험의 세 가지 유형(이성적 체험, 정서적 체험, 관계적 체험)들이 브랜드 태도와 브랜드 애착 형성 에 어떠한 역할을 수행하는지에 대해 살펴보는 것이다. 또한 브랜드 체험을 통해 형성된 브랜드 태도와 브랜드 애착이 브랜드 몰입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 지에 대한 실증적인 규명을 하는 데 목적을 두고 있다. 연구결과 이성적 체험은 브랜드 애착보다는 브랜드 태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정서적 체험은 브랜드 태도보다는 브랜드 애착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관계적 체험 역시 브랜드 태도보다는 브랜드 애착 에 보다 강력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음으로 브랜드 체험을 통해 형성된 브랜드 태도와 브랜드 애착에 브랜드 몰입에 어떠한 영향력 차이가 나타나는지 실증적으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브랜드 태도가 브랜드 몰입에 영향을 미치지 못하였으나 브랜드 애착은 브랜드 몰입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 KCI등재

        어촌관광객의 선호속성, 어촌체험관광 만족도 및 체험관광 상품개발 지지도, 추천의도에 관한 실증적 연구

        장양례,윤유식,구본기 대한관광경영학회 2011 觀光硏究 Vol.25 No.6

        관광의 특성이 체험관광이나 관광레저활동, 교육적 활동을 중요시하는 패러다임 전환으로 인해 현장에서 가장 선호하는 경쟁력있는 시장지향 체험형 관광상품을 개발할 필요성에 따라 어촌체험관광객의 선호속성, 어촌체험 만족도, 체험관광 상품개발 지지도, 추천의도에 관한 관계를 고찰하고자 하였으며,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관련선행연구고찰을 통해 어촌관광 선호속성 22개. 어촌체험관광 만족도 3개, 체험관광 상품개발 지지도 12개 변인을 새롭게 도출하여 이론적인 측정개발을 구체화하였다. 둘째, 어촌체험관광 선호속성과 어촌체험관광 만족도에 관한 영향관계 고찰에서는 주변적인 매력요인과 관광자원 요인이 정(+)의 영향력을 보였으며, 어촌체험관광 선호속성과 체험관광 상품개발 지지도와의 영향관계 고찰에서는 학습활동형 관광상품을 지지하는 관광객들은 관광자원 요인과 주변적인 매력 요인, 프로그램 요인에서, 특이활동형관광상품을 지지하는 관광객들은 주변적인 매력 요인과 관광자원 요인에서, 건강활동형 관광상품을 지지하는 관광객들은 주변적인 매력 요인에서 정(+)의 영향력을 보였다. 셋째, 어촌체험관광 만족도와 체험관광 상품개발 지지도약의 영향관계 고찰에서는 어촌체험관광 만족도가 높을수록 체험관광 상품개발 지지도에 정(+)의 영향력을 보였다. 다섯째, 어촌체험관광 만족도와 체험관광 상품개발 지지도가 추천의도에 미치는 영향관계 고찰에서는 어촌체험만족도가 높을수록 추천의도가 높으며, 체험관광 상품개발 지지도에서 부분적으로 정(+)의 영향력을 보이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As characteristics of tourism is changed into paradigm, authors tried to study the relationship among preferred properties of tourists of fishing village experience, satisfaction of fishing village experience, experience tourism product development support and recommendation intention, depending on the need to develop market-oriented experience type tourism products which are the most preferred and competitive in the field and the analysis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it was found that theoretical measurement development by newly drawing 22 variables of preferred properties of fishing village tourism, 3 variables of satisfaction of fishing village experience tourism, 12 variables of experience tourism product development support through review on related previous studies. Second, tourists who support learning activity type tourism products showed positive (+) influence in tourism resources factor and nearby attraction factor, program factor. Third, higher satisfaction of fishing village experience tourism showed positive (+) influence in experience tourism product development support. Fourth, satisfaction of fishing village experience tourism and experience tourism product development support had an influence on recommendation intention, the more fishing village experience is satisfied, the higher recommendation intention is and it partly showed positive (+) influence in experience tourism product development support.

      • KCI등재

        글로벌 브랜드숍의 상업적 공간에 대한 소비자의 체험이 브랜드 자산에 미치는 영향: 슈미트(Schmitt, 1999)의 체험 마케팅적 관점을 중심으로

        이경렬 ( Kyung Yul Lee ),백지희 ( Jee Hee Baek ),박기대 ( Ki Dae Park ) 한국커뮤니케이션학회 2010 커뮤니케이션학연구 Vol.18 No.2

        본 연구의 목적은 글로벌 브랜드숍에 대한 방문객들의 체험이 브랜드자산에 미치는 영향은 무엇인가를 살펴보는 것이다. 구체적으로 슈미트(Schmitt, 1999, 2003)의 총체적 체험이론을 바탕으로 브랜드숍에 대한 체험을 6개의 유형으로 분류하고, 각각의 체험적 요소들이 브랜드자산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가를 검증하였다. 본 연구는 슈미트(Schmitt, 1999, 2003)의 체험 마케팅적 관점이 글로벌 환경에서도 적용되는지를 알아보기 위하여 다인종으로 구성된 싱가포르 소비자들을 대상으로 현장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먼저 정준상관분석을 통하여 브랜드숍에 대한 브랜드자산 간의 정준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 브랜드숍에 대한 총체적 체험과 브랜드자산 간에 강한 양의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다중회귀분석 결과 브랜드숍에 대한 6개의 체험적 요소들 가운데 감성적 체험이 브랜드 자산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감각적 체험과 인지적 체험은 브랜드자산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브랜드숍을 통한 브랜드자산 가치를 높이기 위하여 감성적 체험을 높이는 전략이 필요한 것으로 보인다. 본 연구를 통하여 브랜드숍에 대한 체험이 브랜드자산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함으로서, 슈미트(Schmitt, 1999, 2003)의 체험 마케팅적 관점이 글로벌 환경에서도 통용될 수 있다는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ssess the impact of global consumers` experience of global brand shop on brand equity. Specifically, this study examined whether global consumers` experiences of global brand shop had a positive impact on brand equity composing of brand awareness, brand image, and brand loyalty. A survey of a total of 255 consumers in Singapore was conduct to gather data to test research questions. The independent variable(or predictors) of this study is holistic experience composed of five experiential factors including FEEL, SENSE, THINK, ACT, and RELATION while the dependent variable is brand equity including brand awareness, brand image, and brand royalty. A canonical correlation analysis was conducted to find out the relationship between consumers` experience of brand shop and brand equity. The findings showed that the first canonical correlation coefficient was 0.576, which meant that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relationship between consumers` experience of brand shop and brand equity.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found that FEEL among six experiential factors was the best predictor of brand equity while SENSE and THINK had no relationship with brand equity. The findings of this study will serve as a theoretical foundation of building brand equity by using consumers` experience of brand shop.

      • KCI등재

        무당의 소명(召命) 체험이 삶의 태도에 미치는 영향

        박일영(Park Ilyoung),이정순(Lee Joungsoon) 한국무속학회 2010 한국무속학 Vol.0 No.20

        본 연구에서는 종교체험이 삶의 태도에 어떤 변화를 가져오는지 살펴보고자 한다. 특히 황해도 무당의 소명체험 사례를 통해 삶의 태도 변화를 분석해 본다. 무당의 신체험이 신을 모시는 세계의 삶과 일상의 삶의 태도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자 한다. 샤머니즘 전통에서 종교체험은 인간 삶의 자리에서 신의 현존을 체험하게 하며, 성과 속을 넘나들게 하는 사건이다. 또한 회심(回心)과 삶의 변화를 이끌며, 이전의 삶과 다른 새로운 삶의 형태로 전환하게 한다. 샤머니즘의 종교체험에 관한 선행연구들에는 신병이나 성무과정에 나타나는 신체험 현상, 내림굿을 받은 후 역할의 변화, 의례의 주관자로서 특수한 경험세계와 이들의 일상생활에 대해 잘 나타나고 있다. 그러나 그러한 종교체험이 삶의 태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쳤는지에 대해서는 여전히 규명이 미흡하다고 여겨진다. 본고에서는 무당의 소병 체험을 살펴보고, 신체험 후 달라진 삶의 태도 변화에 관하여 다루었다. l차적으로 출간된 문헌자료들을 분석하였고, 문헌자료에서 살펴볼 수 없는 내용은 미리 준비한 질문 내용으로 실시한 인터뷰 자료를 정리하여 분석하였다. 샤머니즘에서의 신병 체험자는 정신적, 육체적으로 죽음과 같은 고통을 겪지만, 자연과학적으로는 설명이 불가능하다. 신병은 신들림에 의해 생기는 강력한 종교체험이다. 신병은 신내림 의식을 통해 치유되며, 체험자는 평범한 사람에서 무당이라는 특수한 신분으로 바뀌게 된다. 이때 삶의 형태 또한 달라져 자기정화를 통하여 신과의 교감을 강화하고 종교적 존재로서, 봉사자로서의 삶을 살아가게 된다. 이렇듯 샤머니즘의 종교체험은 외형적으로 삶의 형태가 달라지게도 만들지만, 내면적으로 삶을 살아가는 태도에도 영향을 미치고 있다. In this article, we are searching for the influence of religious experience of shamans focused on their attitude. Especially, we analyze the case of vocational experience of possessed shamans originated from Hwanghae-Province. We are trying to show how the divinity experience of shaman could influence on the religious life and ordinary attitudes. It is said that the religious experience in shamanistic tradition is an amazing event in which people can connea with the holy area as well as the profane area. Shamans say that they could feel the presence of divinities when they had such a religious experience. Furthermore, such a experience leads them to a total conversion and makes them transform the way of thinking. As a result, the shaman's life is transformed to new life style and new attitude. In the previous researches on religious experience in shamanism it shows us clearly shinbyung[spirit-illness]' divinity experience in apprenticeship, role thange after the initiation ceremony, unique world of ritual expert, and their ordinary life. However, it has not still discovered what kind of influence is related with the transformation of their attitudes internally. Therefore, in this article, we are trying to study the vocational experience of shamans and the process of changing attitudes after their experience. Primarily, we analyze published documents. And then, we interviewed a well-known possessed shaman with systematized questionnaires. It is really hard to explain the divinity experience of shaman candidates by natural science, even though they undergo suffering as strong as death mentally and physically. Spirit-illness is caused by the divine intention. Further, it is an extremely strong religious experience by possession. Spirit-illness can be cured by initiation ceremony. After that the candidate is aware of transforming his/her identity from a common person to a special status as shaman. Then, shaman completely changes his/her way of life as a religious expert or as a servant of the people by communicating with divinities. As we have investigated in the case study, it is sure that the religious experience in shamanism transforms not only the life style of a shaman externally, but also influences to the attitudes of his/her life internally.

      • KCI등재

        치유체험프로그램이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체험비용과 체험시간을 중심으로

        안혜정,강순아 한국벤처창업학회 2022 벤처창업연구 Vol.17 No.3

        본 연구는 치유농업 분야에서 치유체험프로그램이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이다. 농촌 체험프로그램을 개발 하는데 있어서 치유체험프로그램을 구성하는 어떤 요인이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지와 치유체험프로그램의 마케팅관점에서 어느 정도의 참여시간과 참여비용이 치유체험프로그램의 만족도에 미치는지에 대한 영향을 실증분석하고자 한다. 치유 체험프로그램의 체험비용과 체험시간이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연구해 봄으로써, 치유체험프로그램의 개발 방향성을 제시하고자 한다. 이를 위하여 체험비용과 체험시간을 매개변수로 하는 치유체험프로그램이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실증분석함으로써 농촌 체험프로그램의 개발 시 우선적으로 고려해야 할 부분에 대한 이론적 기반을 제시한다. 체험프로그램의 하위요인으로 오락적 체험, 교육적 체험, 일탈적 체험, 심미적 체험이 있으며, 매개변수로 체험시간, 체험비용이 있으며, 종속변수로 만족도를 두었다. 또 한 설문대상자의 인구통계학적 변수를 통제변수로 설정하여 연구결과의 신뢰성을 확보하였다. 조사대상은 치유체험프로그램에 관심이 있거나 인지하고 있는 불특정 다수를 대상으로 수집한 설문지 중 유효한 314명을 대상으로 실증분석을 시행하였다. SPSS v22.0을 사용하였으며, 매개 효과를 검정하기 위하여 Baron & Kenny(1986)의 3단계 검증법과, Andrew F. Hayes(2018)의 SPSS PROCESS Macro Model No.4 검증 방법을 적용하여 분석결과에 대하여 비교함으로써 매개 효과에 대한 신뢰성을 확보하였다. 연구결과 교육적 체험(β=.134, t=1.759*)이 체험비용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심미적 체험(β=.144 t=1.684*)이 체험시간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교육적 체험(β=.239, t=4.112***)이 만족도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심미적 체험(β=.330 t=4.921***)이 만족도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체험시간은 심미적 체험과 만족도 사이에서 부(-)의 비일관적 매개 효과를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심미적 체험이 만족도에 미치는 총 효과는 β=.330 t=4.921***이며, 체험시간을 매개변수로 투입 시 직접효과(β=.349 t=5.241***)는 총효과에 비해 β=.019 만큼 증가한 반면, 간접효과(β=-.019)로 부(-)의 매개 효과를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This study is a study on the effect of a healing experience program on satisfaction in the field of healing agriculture. In the development of a rural experience program, what factors constituting the healing experience program affect satisfaction, and how much time and participation cost affect the satisfaction of the healing experience program from the marketing point of view of the healing experience program. I want to analyze By researching the effect of experience cost and experience time on satisfaction of the healing experience program, I would like to suggest the development direction of the healing experience program. To this end, by empirically analyzing the effect of a healing experience program using experience cost and experience time as parameters on satisfaction, we present a theoretical basis for priority considerations when developing a rural experience program. There are entertainment experience, educational experience, deviant experience, and aesthetic experience as sub-factors of the experience program, experience time and experience cost as parameters, and satisfaction as a dependent variable. In addition, the reliability of the research results was secured by setting the demographic variables of the survey subjects as control variables. The empirical analysis was conducted on 314 valid questionnaires from the unspecified majority who were interested in or aware of the healing experience program. SPSS v22.0 was used, and to test the mediating effect, the three-step verification method of Baron & Kenny(1986) and the SPSS PROCESS Macro Model No. of Andrew F. Hayes(2018). 4 The reliability of the mediating effect was secured by applying the verification method and comparing the analysis resul. As a result of the study, it was found that educational experience (β=.134, t=1.759*) had a positive (+) effect on experience cost, and aesthetic experience (β=.144 t=1.684*) had a positive (+) effect on experience time. +) was found to have an effect. Also, educational experience (β=.239, t=4.112***) was found to have a positive (+) effect on satisfaction, and aesthetic experience (β=.330 t=4.921***) had a positive effect on satisfaction. It has been shown to have a (+) effect. Experience time was found to have a negative (-) inconsistent mediating effect between aesthetic experience and satisfaction. That is, it is the total effect (β=.330 t=4.921***), and the direct effect (β=.349 t=5.241***) increased by β=.019 compared to the total effect when the experience time was input, while the indirect effect (β=-.019), which was shown to exert a negative (-) mediating effect.

      • 농촌체험마을의 체험유형과 운영특성이 고객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성귀만,이갑두 한국경영학회 2014 한국경영학회 통합학술발표논문집 Vol.2014 No.8

        본 연구에서는 경남지역 농촌체험마을을 방문한 고객을 대상으로 농촌체험유형이 전반적인 고객만족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그리고 농촌체험마을의 운영특성이 고객만족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분석함으로써 향후 농촌관광의 중심이 되는 농촌체험활동의 방향설정, 농촌체험마을의 효과적인 운영방안 등 농촌체험관광의 지속적인 연구기반을 조성하는데 그 목적을 두고자 한다. 이를 위해 선행연구에 대한 검토를 바탕으로 연구모형과 연구가설을 도출하였다. 연구가설은 첫째, 농촌체험유형과 만족도간의 정의 관계, 둘째, 농촌체험마을의 운영특성과 만족도 간의 정의 관계를 중심으로 도출하였다. 이를 검증하기위해 AMOS를 이용한 경로분석을 실시하였다. 농촌체험유형과 만족도간에 유의적인 영향을 미칠 것이라는 가설을 검정한 결과 체험유형 중 영농체험, 문화체험, 건강체험에서 만족도에 유의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힐링체험에서만 유의적이지 못하여 첫째 가설은 부분채택되었다. 농촌체험마을의 운영특성과 만족도간에 유의적인 영향을 미칠 것이라는 가설을 검정한 결과 체험마을의 운영특성은 모두 만족도에 유의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 KCI등재

        자기성찰로서의 종교체험 - 수운과 아우구스티누스를 중심으로 -

        김영철 동학학회 2015 동학학보 Vol.0 No.34

        This study discusses the features of the religious experience of Suun and Augustine. Religious experience of the two thinkers is a discussion of the true cognition. That is the process of cognizing the Absolute that is inherent in him through self-reflection. Suun’s religious experience is the experience of mystery that human is completely united with the Absolute. The religious experience is available through a process of self-reflection. This is not different from each other, the Absolute and me, to realize that the same fundamental existence. Suun expresses this realization that is called ‘my mind is your mind soon’(Oh-sim-jeok-yeo-sim). Augustine is also seeking religious experience of God that is present in him. This is a discussion on God experience as a self-reflection. However, this is not a discussion of the ontological identity. Man himself will realize that God’s Form(imago dei). Therefore, the Augustinian religious experience does not claim that fundamental equality with God. In addition, this study ranged that the religious experience in Suun and Augustine is not simply a mystical experience. This means that the religious experience of the two thinkers is not passiv but active and voluntary. 이 연구는 수운의 종교체험과 아우구스티누스의 종교체험이 갖는 특징에 대하여 논의한다. 두 사상가의 종교체험은 곧 참된 인식에 대한 논의이다. 즉 자기성찰을 통해 자기 자신에 내재하는 절대자를 인식하는 과정에 대한 논의이다. 수운의 종교체험은 인간이 절대자와 완전히 합일되는 신비의 체험이다. 이러한 종교체험은 자기성찰의 과정을 통해 가능하다. 이는 나와 절대자가 서로 다르지 않고, 근원적으로 동일 존재임을 깨닫는 것이다. 수운은 이러한 신비의 깨달음을 ‘내 마음이 곧 네 마음’이라는 오심즉여심(吾心卽汝心)으로 표현한다. 아우구스티누스의 종교체험도 수운과 마찬가지로 자신의 내면에 존재하는 절대자, 즉 신을 찾는 것이다. 이는 자기성찰로서의 신(神)체험에 대한 논의이다. 하지만 인간과 신과의 완전한 합일, 즉 존재론적 동일성에 대한 논의는 아니다. 인간이 신의 모상(imago dei)으로서 신에 가장 유사한 존재임을 스스로 깨닫는 것이다. 따라서 아우구스티누스의 종교체험에서는 신과의 근원적인 동일성이 주장되지 않는다. 이 외에도 이 연구에서는 수운의 종교체험과 아우구스티누스의 종교체험이 단순히 신비적인 체험이 아님을 논의한다. 이는 두 사상가의 종교체험이 수동적이 아니라 능동적이며 자발적임을 의미한다.

      • KCI등재

        어린이 체험전의 전시형태 분석과 체험요소에 대한 만족 관계 연구 - ‘나무야 나무야 체험전’을 중심으로 -

        이혜정 대한사고개발학회 2016 사고개발 Vol.12 No.2

        본 연구는 ‘나무야 나무야’ 체험전을 중심으로 어린이 체험전에 나타난 전시형태를 분석하고, 체험전에 나타난 체험요소와 그에 대한 체험만족과의 관계를 연구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첫째, Manovich(2004)의 이론을 기초로 체험전을 심리적, 물리적 상호작용으로 나누어 관찰하였으며 둘째, Pine 과 Gilmore(1998)이 제시한 체험요소 4가지를 바탕으로 체험만족에 대한 상관을 알아보았다. 이에 따라 2015년 6월 22일부터 10월 30일까지 ‘나무야 나무야 체험전’에 방문하여 체험전 전시형태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첫째, 첫째, 전시형태 분석에 있어 물리적 상호작용은 심리적 상호작용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수가 참여하는 신체이용, 공간공유와 같은 물리적 체험에서는 경쟁, 즉흥, 협동이 골고루 나타나고 있었으며 공간공유가 적은 물리적 상호작용에서는 다른 사람이 만드는 것을 바라보는 관조나 자신이 만들고 싶은 방법으로 나무를 만들어가는 즉흥이 관찰되었다. 둘째, 체험요소(4Es)에 따라 전시회에 대한 전반적인 가치와 만족도가 높아짐을 알 수 있었다. 각 영역간의 상관을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첫째, 체험요소와 가치의 관련성은 .65, 체험요소와 만족도 .65, 체험요소와 행동의도는 .51을 나타냈으며 가치와 만족도의 관련성은 .89, 행동의도와 가치는 .69로 나타났다. 또한 만족과 행동의도는 .71로 나타났다. This study is a children's experience analyzing exhibition shown in the form and relationship with and participation satisfaction. First, It is divided into observed psychological interaction and physical interaction, Second, experience recognize a superior experience satisfaction based on Pine and Gilmore(1998)'s four elements. we visited and studied the war experience from June 2015 22 to October 30 on the children's Activity exhibition 'tree, tree’As a result, First, the exhibition forms Focused on the psychological interactions were shown to affect the physical interaction. Many are used body to take part, appearing space sharing in physical experiences such as competition, spontaneous, cooperation. Little physical interactions in contemplation or improvised a shared space was observed. Second, experience factor(4Es) according to The value and satisfaction level is higher of he children's Activity exhibition. The relevancy of experience with elements of value .65, experience and satisfaction. .65, experience and behavior .51, the relationship of value and satisfaction. 89, behavior and value .69 and satisfaction and behavior .71.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