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범죄청소년과 일반청소년의 심리적 및환경적 특성의 차이:메타분석 연구

        신나영 아시아교정포럼 2023 교정담론 Vol.17 No.2

        This study conducted a meta-analysis comparing psychological and environmental characteristics of juvenile offenders and non-offenders. Of the 84 papers extracted from the DBPia, Kiss, and Riss search databases, 53 papers met the inclusion criteria of the study. It was found that aggression and antisocial traits showed the large magnitude of effect size and self-control, parent-child communication, impulsiveness and parental conflicts showed moderate effect size.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effect size between groups in self-esteem, sociability, borderline personality traits, and stress in school. These results suggest that high level of aggression and antisocial traits may be the psychological characteristics that differentiate delinquent from non-delinquent youth. 비행청소년의 심리적 특성에 대한 이해는 범죄 예방을 위한 개입 전략의 수립에 중요하다. 본 연구는 보호처분이나 형사처벌을 받은 범죄청소년과 일반청소년의 특성(가정요인, 학교 및 친구요인, 개인요인)을 비교 조사한 선행연구들의 결과를 통합하여 메타분석을 통해 두 집단 간 특성의 차이에 대한 효과크기를 조사하였다. DBPia, Kiss, Riss 검색 데이터베이스에서 2023년 1월까지 국내 학술지에 발표된 논문 84편을 추출하여 기준을 충족하는 53개 연구에 대해 메타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범죄청소년과 일반청소년 간 차이의 효과크기가 가장 큰 변인은 공격성(.94), 반사회적 성향(.91), 자기통제력(-.75) 이었고, 부모-자녀 의사소통(-.66), 충동성(.60), 부모간 불화(.58) 등이 중간 수준의 효과크기로 나타났다. 반면, 자아존중감, 사회성, 경계성 성격 성향, 부모로 인한 스트레스 수준, 학교 스트레스 등은 집단 간 차이가 유의하지 않았다. 이러한 결과는 공격성과 반사회적 성향, 자기통제능력, 부모-자녀 소통의 어려움, 부모간 갈등 등이 일반청소년과 범죄청소년 간에 두드러진 차이를 보이는 심리적 및 환경적 특성이며, 재비행 예방을 위해 이들 요인을 타겟으로 하는 개입이 효과적일 수 있음을 시사한다.

      • KCI등재

        청소년동반자의 일반적 특성과 직무열의가 심리적 소진에 미치는 영향

        김영희,이채영 한국청소년상담복지개발원 2016 청소년상담연구 Vol.24 No.1

        The purpose of the present study was to observe youth companions' level of job engagement and burnout according to the general characteristics, and to explore the influence of the youth companion's general characteristics and job engagement on there burnout. For this study, 280 surveys of youth companions were collected and analyzed.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average score of the job engagement displayed significantly higher score than the average(3.5) number of 7 from the Likert scale. Among the sub domain categories, the average score of dedication was the highest, and the average score of immersion was the lowest. Second, the average score of the burnout did not differ from the average(2.5) score 5 of the Likert scale. Within the category, the level of worsening of one's private life was the highest, and the level of incompetence was the lowest. Third, youth companion's job engagement differed markedly according to the age, marital status, and employment status. The work experience of the youth companion showed significant contrast in the sub domain factor of dedication. Fourth, the level of burnout differed significantly based on the gender and employment status, and there were factors that displayed significant contrast in the sub domain factor of the burnout category. Fifth, job engagement and burnout showed significant negative correlation, and displayed significant prophecy. Sixth, job engagement functioned as the main effect of the burnout, and other factors of age, employment status, and education degree influenced significantly in a chronological order. The results of the present study contributes to the settlement of the program of the youth companion by providing the baseline data to be utilized for the individualized method of support for the youth companions. 본 연구는 청소년동반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직무열의와 심리적 소진의 수준을 확인 하고, 일반적 특성과 직무열의가 심리적 소진에 미치는 영향을 탐색하기 위해 수행되었 다. 이를 위해 청소년동반자 280명의 설문조사 결과물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는 첫째, 직무열의의 평균은 7점 Likert 척도의 평균인 3.5보다 훨씬 높았고, 하위영역에서는 헌 신의 평균이 가장 높았고 몰두의 평균이 가장 낮았다. 둘째, 심리적 소진의 평균은 5점 Likert 척도의 평균(2.5)과 차이가 없었으며, 사생활 악화 수준이 가장 높고 무능감 수준 이 가장 낮았다. 셋째, 연령, 결혼여부, 고용형태에 따라 직무열의는 유의한 차이를 나타 냈으며, 동반자 활동경력은 심리적 소진의 하위요인 헌신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넷 째, 성별, 고용형태에 따라서 심리적 소진수준은 유의한 차이를 나타냈고, 심리적 소진 의 하위영역에서도 유의한 차이를 보이는 일반적 요인들이 있었다. 다섯째, 직무열의와 심리적 소진은 유의한 부적 상관관계를 보였고, 유의한 예언력을 보였다. 여섯째, 직무 열의는 심리적 소진의 주효과로 작용했고, 일반적 변인 중 연령, 고용형태, 교육정도 등 의 순서로 심리적 소진에 유의한 영향력을 보였다. 본 연구결과는 청소년동반자 개인에 따른 맞춤별 지원방법에 활용될 수 있는 기초자료를 제공함으로써 청소년동반자 프로그 램의 정착을 도울 수 있을 것이다.

      • KCI등재후보

        청소년의 게임중독과 심리적ㆍ환경적 요인과의 관계에서 대인관계기술의 매개효과

        권재환(Kwon Jae-Hwan) 한국사회조사연구소 2006 사회연구 Vol.- No.11

        이 연구는 청소년의 게임중독에 영향을 미치는 심리적·환경적 요인과 대인관계기술의 관계모형을 검증하고자 하였다. 선행변인으로서 개인의 심리적 특성(충동성, 자아존중감, 공격성), 가정의 심리적 환경특성(부모의 방임적 양육태도, 부모의 감독 및 통제), 학교의 심리적 환경특성(게임에 대한 교사의 부정적 태도, 게임에 대한 친구의 긍정적 태도)과 매개변인으로서 대인관계기술이 청소년들의 게임중독에 영향을 미친다고 가정하였다. 연구대상자는 층화표집을 통하여 선정한 G광역시와 C도 소재 32개 중·고등학교의 재학생 2,197명이었다. 연구모형을 설정하고 공변량구조분석을 실시한 결과, 연구모형에 제시된 15개의 경로 중 12개의 경로가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12개의 경로는 다음과 같다. (충동성→대인관계기술), (충동성→게임중독), (자아존중감→대인관계기술), (공격성→대인관계기술), (공격성→게임중독), (게임에 대한 교사의 부정적 태도→대인관계기술), (게임에 대한 교사의 부정적 태도→게임중독), (게임에 대한 친구의 긍정적 태도→대인관계기술), (게임에 대한 친구의 긍정적 태도→게임중독), (부모의 방임적 양육태도→게임중독), (부모의 감독 및 통제→게임중독), (대인관계기술→게임중독)이다. 나머지 3개의 경로인 (자아존중감→게임중독), (부모의 방임적 양육태도→대인관계기술), (부모의 감독 및 통제→대인관계기술)은 유의미하지 않았으므로 수정모형에서는 제외되었다. 수정모형을 통하여 변인간의 관계를 분석한 결과, 첫째, 충동성, 공격성, 부모의 방임적 양육태도, 부모의 감독 및 통제, 게임에 대한 친구의 긍정적 태도가 청소년의 게임중독 경향성을 증가시키는 유발요인의 역할을 하였다. 둘째, 대인관계기술, 게임에 대한 교사의 부정적 태도가 청소년의 게임중독 경향성을 감소시키는 억제요인의 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선행변인들과 게임중독간의 관계에서 대인관계기술의 매개효과를 검증한 결과, 충동성, 자아존중감, 공격성, 게임에 대한 교사의 부정적 태도, 게임에 대한 친구의 긍정적 태도 요인들이 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끝으로 이 연구의 결과를 근거로 하여 후속연구를 위하여 몇 가지 제언을 하였다. This study was to verify a related model between psychological and environmental variables which affected adolescents" internet game addiction. 7 psychological and environmental variables were selected as prerequisite variables. Those are as follows: Individual"s psychological characteristics(impulsivity, self-esteem, aggression), family"s psychological and environmental characteristics(parents" laissez-faire parenting, supervision and control by the parents), and school"s psychological and environmental characteristics(teachers" negative attitudes to the game, friends" positive attitudes to the game). And their interpersonal skills were selected as a mediated variable. The subjects were 2,197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from 32 schools in G. metropolitan city and C. province through the stratified sampling. According to the results of Covariance Structure Analysis, 12 paths of 15 paths were proved significantly affecting the subjects" game addiction. 12 paths are as follows: (impulsivity→interpersonal skills), (impulsivity→game addiction), (self-esteem→interpersonal skills), (aggression→interpersonal skills), (aggression→game addiction), (teachers" negative attitudes to the game→interpersonal skills), (teachers" negative attitudes to the game →game addiction), (friends" positive attitudes to the game→interpersonal skills), (friends" positive attitudes to the game→game addiction), (parents" laissez-faire parenting→game addiction), (supervision and control by the parents→game addiction), and (interpersonal skills→game addiction). Three paths such as (self-esteem→game addiction), (parents" laissez-faire parenting→interpersonal skills), (supervision and control by the parents→interpersonal skills) were proved not affecting significantly. Therefore, they were excluded in the Correction Model. The results of analysis of inter-variable relations through Correction Model are as follows: First, it was proved that impulsivity, aggression, parents" laissez-faire parenting, supervision and control by the parents, and friends" positive attitudes to the game variables played as inducting factors to their game addiction tendencies. Second, interpersonal skills, and teachers" negative attitudes to the game played as inhibiting factors which leads to decrease their game addiction tendencies. Third, interpersonal skill mediated the effects of impulsivity, self-esteem, aggression, teachers" negative attitudes to the game and friends" positive attitudes to the game on game addiction tendencies. Based on the results several suggestions were made for future studies.

      • KCI등재

        직무 특성이 근로 청소년들의 일과 생활 균형에 미치는 영향: 심리적 안녕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이현우,민현주 세명대학교 인문사회과학연구소 2022 人文 社會科學硏究 Vol.30 No.3

        · 연구 주제: 직무 특성이 근로청소년들의 일과 생활 균형에 미치는 영향에서 심리적 안녕의 매개효과를 검증한다. 특히, 심리적 안녕의 매개효과에 초점을 두어 실증분석을 수행한다. · 연구 배경: 젊은 세대의 가치관은 고연봉이나 직장에 충성하는 삶을 사는 것보다 일과 균형이 조화된 삶을 토대로 스스로 수행한 일에서 느끼는 기쁨과 즐거움, 자기 발전과 같은 요소를 더욱 중요시 하고 있다. 특히, 환경 변화에 민감한 근로 청소년들은 변화하고 있는 직무 특성으로 인해 일과 생활의 균형이 영향을 받고 있다. · 선행연구와의 차이점: 공공데이터를 바탕으로 직무 특성과 일과 생활의 균형 간 매개효과를 분석, 근로 청소년들의 직무 특성으로 인한 심리적 과정을 설명한다. · 연구 방법: 제 5차 근로환경조사 응답자 중 1,620명의 근로청소년을 선별. 요인 간 영향관계 파악을 위한 상관분석과 회귀분석을 시행하고 매개효과를 검증하였다. . 연구결과: 직무 특성은 일과 생활에 균형에 영향을 미치는 반면 직무 특성이 심리적 안녕에 미치는 영향 중 수면 부족의 조절효과는 유의하지 않았다. · 공헌점 및 기대효과: 직무 특성과 일과 생활의 균형 간 심리적 프로세스에 대한 통합적 과정을 고찰하고, 긍정적인 심리적 과정을 촉진시킬 수 있는 방안을 탐색한다.

      • KCI등재후보

        성인성범죄자와 청소년성범죄자의 차별적 특징에 관한 연구

        장석헌(Chang, Suk-Heon),김도우(Kim, Do-Woo),김미경(Kim, Mi-Gyeong) 한국범죄심리학회 2011 한국범죄심리연구 Vol.7 No.1

        본 연구는 성폭력범죄가 이질적인 범죄자 집단에 의해 행해진다는 것에 대한 일환으로 성폭력범죄자를 청소년성범죄자와 성인성범죄자로 구분하여 성폭력범죄의 발생요인을 분석한 것이다. 성폭력범죄의 가해자 연령유형에 따른 범죄 발생장소 및 동기 등의 범죄와 관련된 특성들에서는 뚜렷한 차이를 나타내는 것과 같이 성폭력범죄의 가해자의 심리적 특성에도 그러한 차이가 존재한다. 이러한 심리적 특성의 차이를 분석하기 위하여 전영실(2007)이 실시한 “성폭력 가해자에 관한 설문조사(한국형사정책연구원 시행)”의 원자료를 활용하여, 가해자의 범행 시 연령을 기준으로 20세미만자의 경우에는 청소년성범죄자로 20세 이상은 성인성범죄자로 구분하고 교차분석과 독립표본 T검증, 상관관계분석, 그리고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청소년성범죄자와 성인성범죄자 간의 범행특성에는 뚜렷한 차이를 나타내고 있다. 범행장소의 경우 청소년성범죄자는 기타 공공장소가 42.4%(75명)로 가장 높게 나타났고, 기타주택에서 20.9%(37명), 가해자의 집이 19.5%(35명) 순으로 나타났고, 성인범죄자는 피해자의 집이 36.4%(157명), 유흥업소, 사무실이 23.2%(100명), 가해자의 집이 13.7%(59명) 순으로 나타났다. 범행동기의 경우 청소년성범죄자의 경우에는 호기심이 31.3%(56명)로 가장 높았던 반면, 성인성범죄자의 경우에는 술에 취해서가 45.2%(198명)로 가장 높았다. 청소년성범죄자의 경우 술을 전혀 마시지 않았다가 전체의 46.2%(84명)로 가장 높은 비율을 나타내고 있는 반면에 성인성 범죄자는 취한상태 52.8%(236명), 마셨으나 안취함 22.1%(99명)로 대부분 술을 마신 상태로 범죄를 일으킨 것으로 나타내고 있다. 아동청소년기의 학대경험의 경우에는 아동청소년기의 신체학대, 언어학대, 성학대 경험 중에서 신체적 학대가 가해자의 연령 구분에 관계없이 가장 높은 수치를 나타내고 있는 것으로 볼 때, 신체적 학대로부터 야기되는 범죄의 원인이 가장 높다는 것을 설명할 수 있다. 본 연구는 성폭력범죄를 가해자 범행시 연령에 따라 구분하여 가해자의 특성을 분석함으로써 성폭력범죄의 유형별 차이점을 설명하고 있으며, 범행특성 및 아동청소년기의 특성, 그리고 심리적 특성별 영향요인을 분석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를 통하여 성폭력범죄의 예방 및 처우에 있어서 차별화된 정책이 필요함을 알 수 있다. Sexual assault is a well-recognised problem, but there has been remarkably little research on men as perpetrators. Preventing sexual assault severely hampered by lack of research on sexual assault. This study examines the realities of sexual assaul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cause of the difference between juvenile sexual offense and adult sexual offense. The differential characteristics between two types of offenders placed an emphasis on psychological characteristics, particularly experienced abuses, parents attachment, self-control, self-esteem, rape myth, and sex-role stereotypes. They also included other features, which are the scenes and motive of the crime, and the condition of drinking while offending. To achieve the goal, this study used the data of the survey, “Types of Sexual Assault and Measures against Recidivism”, Jeon et al.(2007) conducted in Korean Institute of Criminology and calculated them with crosstabulation analyses, independent samples t-test, and correlation and regression analyses. The results suggested that there were a great deal of differences between the two group with relation to the criminal scenes, the motive, the condition of drinking, parents attachment, and the three types of experienced abuses-physical, verbal, sexual. In addition, the pattern of Rogistic regressions on the psychological differences showed that self-control, parents attachment, rape myth tended to be the infulence factors to juvenile sexual offenders, while the factors that affected adult sexual offenders were self-esteem, physical and verbal abuse, gender role attitudes.

      • KCI등재

        부모의 외도를 경험한 청소년 특성에 대한 질적 연구

        양미진,송수민 한국청소년상담복지개발원 2011 청소년상담연구 Vol.19 No.1

        The current study was conducted in order to concretely examine what effects parents' extramarital affairs have on the areas of adolescents' cognition, emotions, behaviors and interpersonal relations and to provide data helpful to their education and counseling by qualitatively analyzing juvenile cases of complaining of parents' extramarital affair problems in particular among cases of complaining of parental conflicts on the cyber counseling bulletin board. For this we analyzed with CQR 24 juvenile cases of complaining of difficult situations after experiencing parents' extramarital affair problems out of the cases of the cyber counseling bulletin board. The results of the study indicate that first, the reasons of the extramarital affairs adolescents perceive include family becoming estranged, mothers' emotional loneliness, fathers' untrustworthy attitudes, financial hardships etc. Namely, adolescents who had parents with extramarital affairs recognized mentioned that family was patriarchal or became alienated. Second, it found that the effects of parents' extramarital affairs on adolescents involve cognitive confusion, emotionally strong gloominess, fury, fear and a sense of shame. Finally, what the adolescents expected from cyber counseling was to explore concrete solutions to the problems they were experiencing in relation to parents' extramarital affair problems, and the main reason that they visit cyber counseling was that privacy protection was assured. Limitations and implications of the present study were discussed based on these findings. 본 연구는 사이버 상담 게시판에 부모의 갈등을 호소한 사례 중 특히 부모의 외도 문제를 호소한 청소년의 사례를 질적으로 분석함으로써 부모의 외도가 청소년의 인지, 정서, 행동 및 대인관계 영역에서 어떠한 영향 을 미치는지 구체적으로 살펴보고 청소년의 교육 및 상담에 도움이 되는 자료를 제공하고자 하는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이를 위하여 사이버 상담 게시판 사례 중 부모의 외도 문제를 경험하고 어려움을 호소하는 청소 년 24사례를 CQR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로는 첫째, 청소년이 지각하는 외도의 원인은 가족이 소원해 지거 나, 엄마의 정서적 외로움, 불성실한 아버지의 태도, 경제적인 어려움 등이 보고되었다. 즉 부모의 외도경험 이 있는 청소년들은 가정을 가부장적이거나 소원하다고 지각하였다. 둘째, 부모의 외도가 청소년에게 미치는 영향은 인지적 혼란과 정서적으로 강한 우울과 분노, 두려움과 수치심이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청소년들이 부모의 외도문제와 관련하여 사이버 상담에 기대하는 바는 자신이 경험하고 있는 문제에 대한 구체적인 해결 방안에 대한 탐색이었으며, 사이버상담을 찾는 이유로는 비밀보장이 중요한 요인이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의 제한점과 시사점이 논의 되었다.

      • KCI등재

        입국초기 새터민 청소년들의 심리적 건강상태에 관한 탐색적 연구

        양계민(Yang Kye-Min),황순택(Hwang Sun-Taek)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2008 한국청소년연구 Vol.19 No.2

        본 연구는 입국초기 새터민 청소년들의 심리적응 상태를 파악함으로써 이들의 심리적 건강상태를 다차원적으로 파악하고 이들의 스트레스 및 외상을 체계적으로 다루어 줄 수 있는 지원체제의 필요성을 제안하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연구목적을 위하여 새터민 초등학생 24명과, 중고등학생 79명을 대상으로 한국아동인성평정척도(KPRC: S형)와 청소년성격평가질문지(PAI-A: 단축형)를 실시하였다. 그 결과 새터민 청소년들의 심리적응 상태가 여러 측면에서 문제 있음을 나타내었는데, 특히 중고등학생 연령층 중 약 35%가 정서적 문제, 충동조절 문제, 타해 또는 자해 위험성, 또는 대인관계 부적응 중한 가지 또는 그 이상에서 문제의 가능성을 보이고 있었다. 따라서 새터민 청소년들의 정신건강이 매우 심각한 상태라고 볼 수 있으며, 이를 해결하기 위한 체계적 사회지원체제 구축 및 실행이 매우 시급하고 절실함을 드러내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wofold. Firstly, it sought to examine the degree of psychological adaptation of North Korean refugee adolescents from a variety of perspectives in South Korea. Secondly, it has attempted to propose the establishment of a public support system which can help deal with their psychological and psychiatrical trauma. For these purposes, 24 elementary school students and 79 high school students from North Korea, made out KPRC-S type and PAI-A, each. Our results indicated that North Korean refugee adolescents suffered from several psychological difficulties. In particular, 35% of the highschool aged adolescents had one or more problems among the following; affective problems, impulse control problems, self injury problems, and problems with interpersonal relationships. This indicates that the psychological health and degree of adaptation of these North Korean refugee adolescents has to be taken very seriously indeed and the construction and the application of appropriate remedies to their problems is an issue of some urgency.

      • KCI등재

        MMPI-A 프로파일 양상을 통해 본 청소년범죄자의 심리적 특성 유형과 성차

        최효주(Choi Hyo-Joo),박기환(Park Kee-Hwan)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2012 한국청소년연구 Vol.23 No.1

        본 연구에서는 청소년범죄자의 심리적 특성이 유형화되는지, 유형에 따른 성차가 있는지 알아보고자, 청소년 범죄자를 대상으로 MMPI-A 프로파일에 대한 군집분석 및 변량분석을 실시했다. 변량분석결과, 여자는 남자에 비해 대부분의 척도에서 T 점수의 평균이 유의미하게 높아, 정서적인 고통이 더심하고 주변으로부터 더 많은 스트레스를 경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남녀 각각에서 실시한 군집분석결과, 남녀 모두에서 ‘호소형’과 ‘만성화된 비행’ 집단이 분류되었다. ‘호소형’은 임상척도를 비롯한 다수의 척도의 T 점수의 평균이 60점에 근접해 다른 집단과 뚜렷하게 구별된다. ‘만성화된 비행’ 집단은 임상척도 중 Pd, Ma 척도가 다른 임상척도에 비해 경미하게 상승하고 보충척도 중 약물관련 척도와 성격병리 5요인 척도 중 통제결여 척도가 T 점수 60점에 근접한 특징이 있었다. 그리고 남자에게서만, 타당도 척도 중 방어지표인 L, K 척도가 상승하고 정상 프로파일 패턴을 보이는 ‘방어형’과 신체증상 호소 관련 척도가 상승하는 ‘신체화형’이 발견되었다. 이러한 군집 유형들은, 국내 청소년범죄자의 심리적 특성의 양상을 잘 반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present research was an investigation into the MMPI?A characteristics and gender differences of juvenile delinquents. The One?Way ANOVA and cluster analysis were administered along with the MMPI?A subscales. The results indicated that female delinquents experience more emotional distress and stressors from family or school. In addition, the ‘distress appeal’ type and the ‘chronic delinquency’ type appeared in both genders. However, the ‘defensive’ type and the ‘somatization’ type were relevant to only male delinquents.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 four types outlined in this paper may be unique to juvenile delinquents.

      • KCI등재

        정신건강 심리적 특성이 청소년의 공격성과 학교생활적응 간의 관계에 미치는 영향; 매개효과

        류화라 ( Farrah Rou ) 사단법인 아시아문화학술원 2020 인문사회 21 Vol.11 No.1

        사회문제로 이어지는 학교폭력과 학교생활부적응 및 학업중단을 줄일 수 있는 프로그램 개발이 요구됨에 따라 본 연구는 청소년의 공격성과 학교생활적응 간의 관계에서 정신건강 심리적 특성의 매개효과를 분석하였다. G시 학교생활적응력 향상프로그램 참가자 110명 대상, 자가기입식 설문조사로 수집한 자료를, 기술통계, 상관관계, 위계적 회귀분석으로 분석하였다.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공격성은 청소년의 학교생활적응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 공격성이 높을수록 학교생활적응이 낮음을 알 수 있다. 둘째, 공격성과 학교생활적응 간의 관계에서 정신건강 심리적 특성은 완전 매개효과를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공격성과 학교생활적응 간의 관계에서 신체화, 대인예민, 우울, 불안, 적대감, 공포, 편집증 및 정신증은 부분 매개효과를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결과는 공격성이 높고 학교폭력을 경험하고 있는 청소년들에게 정신건강을 증진시키기 위한 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과 후속 연구가 필요함을 시사한다. The development of programs to reduce school violence, maladjustment and school interruption leading to social problems is required. Therefore, this study analyzed the mediating effect of mental health psychological characteristic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adolescents’ aggression and school life adjustment. Self-reported survey data collected from 110 participants in the G City School Life adjustment Improvement Program and were analyzed by descriptive statistics, correlations, and stepwise regression analysis. The result is as follows. First, aggression has a negative effect on school life adjustment, indicating that adolescents with high aggression have low school life adjustment. Second, mental health psychological characteristics were found to have a full mediating effec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aggression and school life adjustment. Third, somatization, interpersonal-sensitivity, depression, anxiety, hostility, phobic anxiety, paranoid ideation and psychotism had partial mediating effects in the relationship between aggression and school life adjustment. These findings suggest that development and application for mental health promotion program for adolescents with high aggression and school violence and follow-up studies are needed.

      • KCI등재

        다문화 청소년이 지각한 부모와의 상호작용 시간이 학교생활적응 및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자아존중감, 사회적 역량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연은모,최효식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2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2 No.10

        Objectives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differences in perceived interaction time with father and mother by multicultural adolescents and to test how the perceived interaction time affect on school adaption and life satisfaction through self-esteem and social competence of adolescents. Methods 1,492 multicultural adolescents panel data who have Korean father and non-Korean mother from 1st MAPS in 2019 utilized a repeated measures ANOVA and structural equation model to examine the relationship. Results The finding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it was confirmed that multicultural adolescents spent more time to interact with their mothers than their fathers. Second, the interaction time with father showed positive relationship to social competence, while the interaction time with mother showed positive relationship to self-esteem and social competence. Self-esteem and social competence of multicultural adolescents also draw positive relationship to school adoption and life satisfaction. In brief, multicultural adolescents’ perceived interaction time with their parent affect to school adaption and life satisfaction through self-esteem and social competence. Conclusions The results imply that the importance of co-parenting on multicultural adolescents’ school adaption and life satisfaction. 목적 본 연구에서는 다문화 청소년이 지각한 아버지 및 어머니와의 상호작용 시간에 차이가 있는지, 다문화 청소년이 지각한 아버지와의 상호작용 시간, 어머니와의 상호작용 시간이 자아존중감, 사회적 역량을 매개로 학교생활적응 및 삶의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지를 경험적으로 확인하고자 하였다. 방법 이를 위해 다문화청소년 패널조사 2기(MAPS 2기) 제 1차 조사(2019년) 데이터의 1,492명을 활용하였으며, 한국인 아버지와 외국인 어머니로 구성된 국제결혼가정을 대상으로 하였다. 어머니와 아버지 간 상호작용 시간 차이를 확인하기 위해 반복측정분산분석, 주요 변인 간 구조적 관계를 확인하기 위해 구조방정식 모형 분석 방법을 활용하였다. 결과 분석 결과, 첫째, 다문화 청소년은 아버지보다 어머니와의 상호작용 시간이 더 많으며, 성별에 따른 상호작용효과는 없었다. 둘째, 아버지와의 상호작용 시간은 다문화 청소년의 사회적 역량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며, 어머니와의 상호작용 시간은 자아존중감과 사회적 역량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다문화 청소년의 자아존중감과 사회적 역량은 학교생활적응, 삶의 만족도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그리고 어머니와 아버지와의 상호작용 시간은 다문화 청소년의 학교생활적응, 삶의만족도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기보다는 자아존중감, 사회적 역량을 매개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본 연구는 다문화 가정 어머니와 아버지가 자녀의 학교생활적응 및 삶의 만족도에 상호보완적이면서도 고유한 역할을 한다는점을 제시하며, 다문화 가정 어머니와 아버지의 공동양육의 중요성을 시사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