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척추결핵: 고전적 질환에 대한 새로운 이해

        하기용,김영훈,나기태,기세린 대한척추외과학회 2014 대한척추외과학회지 Vol.21 No.1

        Study Design: A review of related literatures of diagnosis and treatment of spinal tuberculosis. Objectives: The aim of the study was to discuss treatment strategies by understanding of emerging problems related to spinaltuberculosis. Summary of Literature Review: Owing to modern diagnostic modalities, development of prevention and chemotherapy, the incidencesof tuberculosis infection including spinal tuberculosishave been decreasing. Moreover, these medical these improvements of medicaland surgical treatments the improvement of surgical techniques for spinal tuberculosis reduced the incidence of kyphosis or neurologiccomplications such as Pott’s paralysis. Materials and Methods: Review of related literatures. Results: Recently,the occurrence of multi-drug resistant strain, an increasing number of opportunistic infections and an atypicalpresentation in spinal tuberculosis are emerging as new challenges. Conclusions: An appropriate diagnosis and surgical interventions are our obligation as clinicians dealing with this unique infectiousdisease to minimize the complications for the treatment of spinal tuberculosis. 연구 계획: 척추결핵의 진단과 치료방법에 대한 문헌고찰목적: 척추결핵의 진단 및 치료에 있어서 새롭게 제시되고 있는 사항에 관한 문헌 고찰을 통하여 이의 치료 지침에 대하여 논의하고자 한다. 선행문헌의 요약: 조기 진단, 예방법의 발전 및 화학요법제의 발전으로 과거에 비하여 전체 결핵 및 척추 결핵의 발병률은 과거에 비하여 많이 감소하였으며, 척추결핵의 수술 치료의 발전으로 후만변형 및 Pott씨 마비와 같은 합병증의 발생률 또한 감소하였다. 대상 및 방법: 문헌 고찰결과: 최근 다제내성균의 출현, 면역억제 환자에서 기회감염의 증가 및 비전형적인 척추 감염의 발생 증가 등으로 척추 결핵의 진단 및 치료에 있어서새로운 국면을 맞고 있다. 결론: 척추 결핵의 진단에 대한 주의와 치료에 있어서 외과적 치료의 목적을 고려하여 적절한 시기에 적절한 수술적 방법을 선택하여 합병증이 최소화되는 치료를 제공 할 수 있도록 노력해야 할 것으로 생각한다.

      • KCI등재후보

        결핵성 척추염과 화농성 척추염의 감별 진단

        구기형,이혁진,염진섭,박건우,이춘기,장봉순 대한척추외과학회 2009 대한척추외과학회지 Vol.16 No.2

        Study Design: This is a retrospective study Objectives: We wanted to make the early differential diagnosis between tuberculous spondylitis and pyogenic spondylitis according to the clinical and MRI findings. Summary of the Literature Review: Making an early differential diagnosis between tuberculous spondylitis and pyogenic spondylitis is essential to start prompt and proper treatment. However, the clinical symptoms and MRI findings of both these illnesses can vary considerably. Material and Method: Ninety-five patients (49 men and 46 women, mean age: 54.5) who were treated from January 2001 to February 2007 and whose diagnosis was confirmed by laboratory or pathological studies were retrospectively reviewed. 50 patients with tuberculous spondylitis and 45 patients with primary pyogenic spondylitis were included. The patients with combined infection or an uncertain diagnosis were excluded. We compared the medical records and MRI findings between the different groups of patients. Results: The patients with tuberculous spondylitis were younger (48.2 years vs. 61.5 years, respectively) and they had a longer symptom duration (4.3 months vs 1.8 months, respectively). The erythrocyte sedimentation rate (ESR) and the C-reactive protein (CRP) level were significantly higher in the patients with pyogenic spondylitis (71.3/49.6 mm/hr and5.74/2.98 mg/dl, respectively). A high fever above 38 degree was more frequent in the patients with pyogenic spondylitis. Intraosseous abscess, epidural abscess, a well-definded paraspinal abscess, focal enhancement and severe destruction of the vertebral body on MRI were more frequent in the patients with tuberculous spondylitis. Four parameters such as a symptom duration longer than 3 months, no fever higher than 38 degree, a well-defined paravertebral abscess and an intraosseous abscess were selected. 42 patients in the tuberculous group had 3 or more of these four parameters. The sensitivity and specificity of these combined 4 parameters were 84% and 97.8%, respectively, for making the differential diagnosis between these 2 maladies. Conclusion: These diagnostic criteria might be useful to discriminate between tuberculous spondylitis and pyogenic spondylitis even without definite laboratory or pathological results. 연구계획: 후향적 연구 연구목적: 결핵성 척추염과 화농성 척추염의 감별은 조기 진단 및 치료에 중요하나 임상 경과 및 방사선학적 소견이 다양하여 감별이 어려운 경우가 많다. 임상 소견 및 자기 공명 영상 소견을 비교 분석하여 이들을 감별하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2001년 1월부터 2007년 2월까지 감염성 척추염으로 수술적 치료를 시행하고 술 중 균배양 및 조직학 적 검사로 확진된 환자 95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남자가 49명, 여자가 46명이었고 평균 연령은 54.5(14~86)세이었다. 각 군에서 성별, 나이, 침범 추체수, 증상 발현 기간, 술전 임상 병리 검사 결과, 동통, 발열, 신경학적 증상 등의 임상 양상과 자기 공명 영상 소견을 비교하여 분석하였다. 결과: 결핵성 척추염이 50례, 화농성 척추염이 45례이었다. 결핵성 척추염에서 평균 연령이 48.2세로 화농성 척추염 의 61.5세에 비하여 조기에 발병하였으며, 평균 발병 기간은 4.3개월로 화농성 척추염의 1.8개월에 비하여 길었고, C 반응성 단백(CRP), 적혈구 침강 속도(ESR)는 화농성 척추염에서 5.74 mm/hr, 71.3 mg/이으로 결핵성 척추염의 2.98 mm/hr, 49.6 mg/이에 비하여 유의하게 높았고, 38도 이상의 고열도 화농성 척추염군에서 유의하게 많았다. 자기 공명 영상 소견에서 추체내 농양, 경막 주위 농양, 경계가 분명한 추체 주위 농양, 추체의 심한 파괴는 결핵성 척추염에서 유의하게 많았으며 조영 증강시 부분적이고 다양한 조영 증강 소견을 보이는 경우가 많았다. 3개월 이상의 이환 기 간, 38도 이상의 발열이 없는 경우의 임상 소견과 경계가 분명한 척추 주위 농양, 추체내 농양과 같은 방사선학적 소 견을 종합하여 이러한 4가지 항목 중 3가지 이상을 만족시키는 경우가 결핵성 척추염으로 진단된 50례 중 42례이었 고 진단의 민감도는 84%이었고, 특이도는 97.8%이었다. 결론: 이러한 진단 기준은 배양 검사나 조직학적 검사가 불확실한 상황에서의 감염성 척추염의 감별 진단에 유용하 게 이용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 KCI등재

        비 전형적 양상의 척추 결핵 - 증례 보고 -

        민학진,유형곤,신성기 대한척추외과학회 2015 대한척추외과학회지 Vol.22 No.3

        Study Design: Case study of two cases. Objectives: The aim of our study is to describe atypical patterns of tuberculous spondylitis. Summary of Literature Review: Few reports of tuberculous spondylitis have discussed atypical cases, which resulted in a poor prognosis due to the delay in early diagnosis and proper treatment. Materials and Methods: A 74-year-old female underwent an incision and drainage, and posterior decompression and fusion (PDF) due to tuberculous epidural abscess after vertebroplasty of a compression fracture at T12. A 52-year-old female underwent interbody fusion and posterior lateral fusion (PLF) because of aggravation of an abscess and neurologic symptoms following non-invasive intervention to treat atypical tuberculous spondylitis. Results: Clinical symptoms and serological tests of the patients were improved at postoperative 6 months. Conclusions: When a patient presents with focal bony or soft tissue abnormality on an image study, the possibility of non-typical tuberculous spondylitis has to be considered when infective spondylitis or a tumor is detected. Moreover, an invasive diagnosis tool such as biopsy will be needed for proper management. 연구 계획: 증례 보고적: 비 전형 양상의 척추 결핵에 대하여 보고한다. 선행 문헌의 요약: 비전형적 양상의 척추 결핵이 드물지만 보고 되고 있으며, 이는 빠른 진단 및 적절한 치료의 지연으로 인한 좋지 않은 예후를 보이는경향이 있다. 대상 및 방법: 74세 여자 환자로 제 12번 흉추 척추체 성형술 시행 뒤 고열이 발생하여 시행한 MRI상 척추염 및 경막외 농양이 관찰되었고 이에 대해배농술 및 후외방 추체간 유합술을 시행하였다. 병리학적 검사상 최종적으로 결핵으로 진단되었다. 52세 여자 환자로 우측 하지로의 방사통을 주소로시행한 MRI 검사상 경막외 농양 및 척추염 소견 관찰되어 농양의 배농을 하였고 결핵성 척추염으로 진단되어 항 결핵요법을 시작하였으나, 술 후 8주째염증 악화 및 신경학적 이상소견 보여 추체간 유합술 및 후 외방 고정술을 시행하였다. 결과: 수술 후 6개월째 임상 증상의 호전 및 혈청학적 검사에서도 정상의 결과를 얻었다. 결론: 척추의 영상 검사에서 뼈나 연부조직의 국소적 이상 소견으로 척추의 염증 혹은 종양을 감별해야 하는 경우 비 전형적 척추 결핵의 가능성도 고려해야 하며 적절한 치료를 위해 조직검사 등의 보다 적극적인 진단 방법이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 KCI등재후보

        결핵성 척추 후만증 첨부에서 발생한 척추 골절 - 증례 보고 -

        김진환,김성수,최준영,김정훈 대한척추외과학회 2009 대한척추외과학회지 Vol.16 No.2

        The spinal kyphosis caused by bony ankylosis is ankylosing spondylitis and tuberculous spondylitis. There are some reports on spinal fractures through the fused vertebral body in ankylosing spondylitis, but there is no report of spinal fractures occurring in a fused vertebral body after tuberculous spondylitis. The authors report a case of spinal fracture at the apex of acute angular kyphosis after tuberculous spondylitis, which resulted in a spontaneous correction of kyphosis without neurological deficits. The fracture was stabilized by posterior interbody fusion using a mesh cage after a posterior vertebral column resection and posterolateral fusion. 골성 강직에 의해 발생하는 척추 후만증에는 대표적으로 강직성 척추염과 척추 결핵에 의한 후만증이 있다. 강직성 척추염에 발생한 골절에 대해서는 여러 보고는 있으나 결핵성 후만증에서 골유합 부위에 발생한 골절에 대한 보고 는 없었다. 저자들은 결핵성 척추 감염 후유증으로 발생한 척추 후만증 환자의 첨부에서 발생한 척추 골절로 신경학 적 증상 없이 자연적으로 후만증이 교정된 상태에서 후방 척추 절제술을 시행하고 좋은 결과를 얻었기에 문헌 고찰 과 함께 보고하고자 한다.

      • KCI등재

        후방부 단독침범을 동반한 다발성 광범위 척추 결핵 - 1례 보고 -

        신동은,이상준,권영우,안태근 대한척추외과학회 2016 대한척추외과학회지 Vol.23 No.3

        Study Design: A case report. Objectives: To report a rare case of atypical spinal tuberculosis. Summary of Literature Review: In spinal tuberculosis, non-contiguous multifocal involvement and isolated involvement of posterior elements of the spine have been considered atypical features. There have been a few reports of each of these atypical features but no reports have described spinal tuberculosis with both of these atypical features. Materials and Methods: A 39-year-old man presented with back pain and progressive weakness of both lower extremities. He was diagnosed with spinal tuberculosis from the cervical to sacral spine, showing multifocal non-contiguous involvement with multiple abscesses on magnetic resonance imaging. Notably, in the thoracic spine area, isolated involvement of posterior elements was found with an epidural abscess compressing the spinal cord. He underwent a total laminectomy of the thoracic spine and multiple abscesses were drained with pigtail catheter insertions into the cervical, thoracic, and lumbar spine. Results: At the 8-month follow-up, the patient’s neurologic status had improved to Frankel Grade D, and the patient was able to walk with the support of a walker. At the 3-year follow-up, the patient had recovered completely without any neurologic deficit. Conclusions: Since atypical spinal tuberculosis may show various patterns, examination of the entire spine is important for early diagnosis. Treatment should be provided properly from minimally invasive procedures to open surgery depending on the extent of structural instability and neurologic deficit. 연구 계획: 증례 보고. 목적: 비전형 척추 결핵의 증례 보고선행연구문헌의 요약: 척추결핵에 있어서 비연속성 다발성 침범 이나 후방부 단독 침범은 비전형적 형태이다. 이전 문헌에 있어 이와 같은 두 비전형적형태가 동시에 나타난 경우에 대한 사례에 대한 보고가 없다. 대상 및 방법: 39세 남자가 요통과 점진적인 양측 하지의 근력약화를 보였다. 자기공명영상상 경추에서 천추까지 이르며 농양을 동반한 다발성 비연속성척추 결핵이 확인되었다. 흉추에서는 후방부에서 단독침범하여 척수를 압박하고 있는 경막 외 농양이 확인되었다. 흉추에 대해서 척추궁 전절제술을 통한 감압을 시행하였고 경추에서 요추에 이르는 다발성 농양에 대해서는 pigtail 도관을 이용한 배액을 시행하였다. 결과: 8개월 추시관찰에서 Frankel Grade D의 신경학적 호전을 보였고 보행기 보조 하에 보행이 가능하였다. 3년 추시관찰에서 신경학적으로 완전한 호전을 보였다. 결론: 비전형 척추 결핵은 다양한 양상으로 나타나므로 조기 진단을 위해서 전 척추에 대한 검사가 중요하다. 치료는 척추의 구조적 안정성과 신경학적증상을 고려하여 최소침습적인 치료부터 관혈적 수술까지 적절하게 시행되어야 한다.

      • KCI등재

        척추암으로 오진된 척추 결핵으로 인한 흉추 병적 골절 - 1예 보고 -

        김대근,조재환,김재현,하정기,이동호,이춘성 대한척추외과학회 2015 대한척추외과학회지 Vol.22 No.2

        Study Design: A case report. Objectives: To report the case of a patient whose preoperative imaging results seemed to show metastatic spine tumor but who actually had a vertebral pathologic fracture caused by spine tuberculosis. Summary of Literature Review: Tuberculosis spondylitis is classified into peridiscal, central, anterior, and posterior spondylitis according to the portion involved, and central spondylitis can be mistaken as a tumor. Materials and Methods: Imaging studies were performed in a 79-year-old female with progressive lower extremity weakness. We found a T12 pathologic vertebral fracture, which was suspected to be metastatic cancer. Results: We performed surgery and found spine tuberculosis in the pathological and immunological examinations. Two weeks postoperatively, the patient could walk with crutches and underwent anti-tuberculosis therapy. Conclusions: Even when the results of imaging studies predict spinal metastasis, we should keep in mind the possibility of spinal tuberculosis. 연구 계획: 증례 보고목적: 영상검사에서 척추 전이암으로 의심되는 흉추 병적 골절이 있는 환자에서 결핵성 척추염으로 진단되는 1예를 경험하였기에 보고하고자 한다. 선행문헌 요약: 척추 결핵은 침범 부위에 따라 추간판 주위성, 중심성, 전방, 후방으로 구분되며, 중심성인 경우에는 종양으로 오인될 수도 있다. 대상 및 방법: 외상없이 내원 2주전부터 진행되는 하지 위약감을 주소로 내원한 79세 여자에게 시행한 영상 검사상 흉추 12번의 전이암이 의심되는 병적 골절이 발견되었다. 결과: 환자는 수술을 하였으며 함께 시행한 병리 및 면역학적 검사상 결핵성 척추염으로 진단되었다. 환자는 위약감이 점차 회복되어 술 후 2주째부터 목발 보행이 가능하였으며, 결핵치료도 병행하고 있다. 결론: 영상 검사의 결과 척추 전이암이라고 진단 예측되어도 척추 결핵의 가능성도 염두에 두어야 한다.

      • KCI등재

        결핵성 뇌수막염 후에 발생한 척수염, 지주막염 및 척추염의 수술적 치료 결과 - 증례 보고 -

        서승표,박동혁,김철웅,강창남 대한척추외과학회 2015 대한척추외과학회지 Vol.22 No.2

        Study Design: A case report. Objectives: To report a rare case of a surgically treated tuberculous myelitis and arachnoiditis patient with incomplete paraplegia. Summary of Literature Review: Tuberculous myelitis and arachnoiditis is a rare disease with a high rate of neurologic deficit. This condition is treated using antituberculous medication and high-dose steroid therapy, but surgical treatment has rarely been reported and the outcomes vary. Material and Methods: A 29-year-old female had tuberculous myelitis and arachnoiditis. The patient was treated with antituberculous medication and high-dose steroid therapy, but the treatment failed and the patient could not walk because of incomplete paraplegia. The surgical treatment was performed twice; we decompressed by total laminectomy and debrided the infected arachnoid membrane. Four months after surgery, we performed anterior interbody fusion due to the development of spondylitis with kyphosis. Results: Three years after the first operation, the patient’s neurologic state improved and she could walk 90 m without assistance. Conclusions: Here, we report a very rare case of surgically treated tuberculous myelitis and arachnoiditis and provide a treatment option for this condition to spine surgeons. 연구 계획: 증례 보고목적: 불완전 하반신 마비를 동반한 결핵성 척수염 및 지주막염 환자에서 수술적 치료를 시행한 증례를 보고하는 바이다. 선행문헌의 요약: 결핵성 척수염 및 지주막염은 신경학적 결손의 발생이 높은 드문 질환이다. 항결핵약제 및 고용량 스테로이드 요법으로 치료하나 수술적 치료에 대한 보고가 드물고 결과가 다양하다. 대상 및 방법: 29세 여성으로 결핵성 척수염 및 지주막염으로 항결핵약제 및 고용량 스테로이드 요법을 시행 받았으나 실패하였으며 불완전 하반신 마비로 걸을 수 없게 되었다. 환자는 두 번 수술을 시행하였는데 처음에는 추궁판 전절제술로 감압술을 시행하고 감염된 지주막을 제거하였다. 4개월 뒤, 결핵성 척추염 및 후만변형이 발생하여 전방 추체간 유합술을 시행하였다. 결과: 첫 수술 3년 뒤 환자의 신경학적 상태는 호전되었으며 보조 없이 90미터를 걸을 수 있게 되었다. 결론: 결핵성 척수염 및 지주막염을 수술적으로 치료한 드문 증례로 치료 방법의 제공을 기대한다.

      • KCI등재

        흉추 5번 압박골절을 동반한 상부흉추(흉추4-6)결핵환자 1예 -증례보고-

        심호용,임오경,이하림,박기덕,이주강 대한척추외과학회 2012 대한척추외과학회지 Vol.19 No.1

        Study Design: Case report Objectives: We report a case of a female patient who had only upper back pain without neurological symptoms and was later diagnosed with spine tuberculosis in combination with a compression fracture. Summary of Literature Review: Spine tuberculosis is the most common type of musculoskeletal tuberculosis. However, the indolent nature of tuberculous bone and joint disease often leads to delayed diagnosis and severe neurologic complications. Material and Methods: A 37-year-old female with only upper back pain for five months was admitted. She had no signs, symptoms or past histories related to tuberculosis. She had taken conservative management, but symptoms persisted. Results: By doing motor and sensory evoked potential studies, we questioned spinal cord jury. Then, we confirmed spine tuberculosis T5with T4 compression fracture by thoracic magnetic resonance imaging and pathologic findings. Conclusions: When a patient presents constant back pain without neurological symptoms, image study and electromyography should be evaluated. 연구 계획: 증례보고목적: 신경학적 증상이 없이 상부 배부통증만을 호소하던 환자에서 압박골절을 동반한 결핵성 척추염을 경험하였기에 보고하고자 한다. 선행문헌의 요약: 척추 결핵은 근골결계 결핵에서 가장 흔히 호발하는 질환이다. 그러나 결핵은 뼈와 관절을 서서히 침범하므로 늦게 진단되며 심각한신경학적인 합병증을 유발한다. 대상 및 방법: 증례는 5개월간 상부배부 통증만을 호소하는 37세 여성이 입원했다. 환자는 결핵과 관련된 어떠한 증상과 증후가 없었다. 입원 이후 배부통증에 대한 보존치료를 시행했으나 통증은 지속되었다. 결과: 체성감각 및 운동 유발전위 검사에서 척수손상을 의심하였고 흉부 자기공명영상검사를 통해 흉추 4번의 압박골절과 흉추 5번의 결핵성 척추염이관찰되어 수술을 통해 얻은 조직검사로 결핵성 척추염을 확진하였다. 결론: 신경학적인 증상이 없는 환자에서 배부 통증이 지속된다면 근전도와 영상검사 등을 통해 통증의 원인을 확인해야한다.

      • KCI등재

        결핵성 척추염의 수술적 치료후 후만각의 변화

        안재성,이준규,전택수,권육상,곽상구 대한척추외과학회 2001 대한척추외과학회지 Vol.8 No.2

        연구계획 : 척추결핵의 수술적 치료에서 전방 병소 제거후 골이식술을 시행한 군과 동시에 후방 기기 고정술을 시행한 군과의 결과를 비교 분석하였다. 연구목적 : 척추 결핵의 수술적 치료에서 후방 기기 사용의 유용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요약 및 문헌고찰 : 후방 기기 고정술후 이차적인 골 소파술과 전방 유합술을 시행함으로써 후만 변형 교정 및 교정 각 유지에 효과적이라는 여로 주장이 제기되고 있다. 대상 및 방법 : 1995년 1월부터 2000년 6월까지 내원한 결핵성 척추염 환자 중 소파술 및 전방 유합술을 시행한 13예를 Ⅰ군, 그리고 소파술 및 전방 유합술에 후방 기기술을 보강한 24예를 Ⅱ군으로 구분하여 각 군에서 후만각의 교정 및 술후 후만 변형의 발생 정도를 알아보았다. Ⅰ군은 남자가 9명, 여작가 4명이었고 Ⅱ군은 남자 14명, 여자 10명이었으며 평균연령은 각각35.5, 54.2세였다 결과 : 전방 도달법을 이용한 지주골 이식술을 시행한 Ⅰ군 중 6예(46.2%)에서 5도이상의 후만 교정각의 소실을 보였는데 이 중 5예는 초기 후만각이 20도 이상이었고 2개 이상의 추체를 침범한 경우가 3예에서 있었으며 6예모두가 흉추 도또는 흉요추부에 발생한 경우였다. 반면 후방 기기술을 보강한 Ⅱ군에서는 4예(16.7%)만이 5동이상의 교정각의 소실을 가져와 Ⅱ군이 Ⅰ군에 비해 후만 변형의 발생 빈도가 더 적은 것으로 나타났다. 각 군에서 술전 후만 변형정도 및 술후 후만각, 그리고 교정각의 소실은 다음과 같다. Ⅰ군에서 흉추부는 평균적으로 술전 후만각 26.5도, 수술 후 18도, 최종 추시 시 31.5도였고 흉요추부는 각각 20도, 12도, 19.7도였으며 요추부는 -2.7도, -6.1도, 그리고 -3.7도였다. Ⅱ군에서의 평균적인 술전 후만각, 술후 후만각, 그리고 최종 추시시 후만각은 흉추부에서 27도, 13.5도, 17.5도 였고, 흉요추부는 29.8도, 13.4도, 16.8도였으며 요추부에서는 3.3도, -2.7도, 그리고 1.3도를 나타냈다. 결론 : 흉추 또는 흉요추부에 발생한 척추 결핵의 수술 시, 술전 후만각이 20도 이상일때와 후만각이 20도 미만일지라고 침범된 추체의 수가 많아 변형이 발생할 가능성이 높을 때는 후방 기기를 이용한 후만 변형의 교정 후 척추의 전후방 동시 고정술을 시행하는 것이 후만 변형의 교정과 진행을 예방하는데 효과가 있고 불유합의 빈도를 감소시킬 수 있는 효과적인 방법으로 사료된다. Study design : Thirty -seven patients with spinal tuberculosis were evaluated according to surgical method. Objectives : To evaluate the effectiveness of posterior spinal instrumentation in the surgical treatment of patient with tuberculous spondylitis. Summary of literature reviews : There are many debates about the effectiveness of posterior spinal instrumentation combined with anterior interbody fusion in tuberculous spondylitis. Materials and Methods : From January 1995 to June 2000. 37 patients were divided into two groups depending on their use of posterior spinal instrumentation. Group Ⅰ consist of thirteen patients who were treated with conventional anterior corpectomy and anterior interbody fusion using autogenous strut bone graft. Group Ⅱ was composed of twenty-four patients who were treated with conventional anterior corpectomy and anterior interbody fusion combined with posterior spinal instrumentation. Changes of corrected kyphotic angle and complication were measured using pre-, post-operative and follow-up radiographs and chart review. Results : In group Ⅰ, six cases (46.2%) showed loss of corrected kyphotic angle. Of these six cases, five cases had initial kyphotic angle of more than 20° and three cases had involvement of two or more vertebrae. All six cases had thoracic or thoracolumbar involvement. Comparing two groups, maintaining corrected kyphotic angle and low complication rates were obtained in group Ⅱ during follow-up period. The change of deformity as followed. In thoracic area, the mean kyphotic angle of 26Ywas reduced to 18° postoperatively, At the most recent follow -up, the mean kyphotic angle was 31.5° in group Ⅰ. a loss of correction of 13.5°. In group Ⅱ, the mean kyphotic angle was corrected from 2rto 13.5°after surgery. At the most recent follow-up, the mean kyphotic angle was 17.5° , a loss of correction of 4˚. Conclusion : Posterior spinal instrumentation combined with conventional anterior corpectomy and anterior interbody fusion were found to be effective for preventing loss of kyphotic angle and for maintaining stable bone fusion in patients with mean Kyphotic angle more than 20˚,or even in case of less than 20˚but with high risk of developing Kyphotic changes due to multiple involved vertebrae.

      • KCI등재

        급성 요통을 일으킨 결핵과 통풍이 혼재된 척추관절병증

        박융(Yung Park),하중원(Joong Won Ha),권지원(Ji-Won Kwon),엄광식(Kwangsik Eum) 대한정형외과학회 2021 대한정형외과학회지 Vol.56 No.4

        부고환 결핵으로 부고환 절제술 및 항결핵제제를 복용중인 67세 남자 환자가 급성 요통 및 방사통을 주소로 내원하였다. 환자는 통풍의 과거력은 없었으나 혈액 검사상 고요산혈증 소견을 보였으며, 요추 후관절 및 후궁 부위의 골 파괴 병변이 관찰되었다. 요추 후관절 부위의 컴퓨터 단층촬영 유도하 바늘 생검을 실시하여 조직학적 검사를 시행한 결과 통풍성 척추관절병증 및 결핵성 척추염이 진단되었다. 환자는 통풍성 관절염에 대한 보존적 치료를 통해 증상은 호전되었다. 항결핵제제 복용 등 고요산혈증 위험을 가진 환자가 급성 요통을 호소하는 경우 통풍성 척추관절병증을 감별진단해야 하겠다. A 67-year-old male patient with a history of epididymectomy and anti-tuberculosis treatment for epididymis tuberculosis was admitted for acute low back pain and radiating pain. The patient had no history of gout but showed hyperuricemia and a bone destruction lesion in the facet joint and lamina of the lumbar spine. A histology examination was performed after a computed tomography-guided needle biopsy, and the findings were compatible with gout spondyloarthropathy and tuberculous spondylitis. The acute symptoms improved after conservative treatment for gouty arthritis. When patients with hyperuricemia risk factors, such as taking anti-tuberculosis drugs, complain of acute low back pain, gout spondyloarthropathy should be considered in a differential diagnosi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