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상징천황제’의 구성원리와 일본적 기억공동체의 특징

        손정권 한국일본근대학회 2013 일본근대학연구 Vol.0 No.42

        본 논문은 현대일본의 ‘상징천황제’와 ‘집단적 기억’과의 연관성을 검토하여 일본사회의 ‘기억의 공동체’의 특징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특히 ‘상징천황제’가 헌법을 법적 근거로 하고 있다는 점, 그리고 천황제가 단순히 ‘상징성’만이 아니라 ‘제도적 장치’로서 기능하고 있다는 사실에서 일본의 ‘상징천황제’는 ‘집단적’ 혹은 ‘문화적’기억을 매개할 수 있다는 사실을 밝혀내었다. 또한 이를 바탕으로 ‘상징천황제’가 현대 일본에 있어서 ‘기억공동체’의 구성 원리로 작용한다는 사실이 결과적으로 우경화의 원인이 되고, 새로운 집단적 기억을 구성하게 될 것이라는 사실에 주목해야 한다는 점을 제언하였다. This paper tended to analyze the relevance of the emperor-as-a-symbol system of present age Japan, and collective memory, and tended to examine the feature of the community of the memory in Japanese society. Since the emperor-as-a-symbol system’s functioning considering the constitution as the legal basis especially and the Tenno system were functioning not only as mere symbolism but as institutional equipment, it became clear that collective memory could be carried. Therefore, the emperor-as-a-symbol system works as a constituting principle of the memory community of present age Japan, and, moreover, can cause a conservative swing. Thus, probably, the emperor-as-a-symbol system of present age Japan should be cautious of constituting new collective memory.

      • KCI등재

        집단적 기억의 정치적 관리

        홍하은(洪ハウン),오명원(吳明元),김성해(金成海) 한일관계사학회 2014 한일관계사연구 Vol.47 No.-

        언론은 집단적 기억의 형성에 개입한다. 해마다 3?1절, 광복절 등의 국경일이 돌아오면 언론은 역사적 교훈과 쟁점을 재조명함으로써 공동체의 정체성을 관리한다. 언론의 재구성을 통해 집단의 기억은 수정되기도 하고 고착화되기도 한다. 언론은 또한 이를 통해 여론 형성과 집단적 태도에 영향을 미친다. 한국과 일본은 가까운 지리적 특성만큼 깊은 교류의 역사를 갖고 있다. 역사적 깊이만큼 일본에 대한 집단적 기억은 끝없이 재구성되고 있다. 과연 언론을 통해 재구성되고 있는 일본의 모습은 어떠할까? 양국 간 관계 및 언론사에 따라 한일 간 갈등 이슈는 다르게 재포장되는 것일까? 본 연구는 이에 한일 간 갈등 이슈를 통해 언론이 집단적 기억에 어떻게 개입하고 있는가를 살펴보고자 했다. 분석사례로 과거 구한말 이후 대두되어 한일 양국의 근현대사를 관통하고 있는 독도 영유권 분쟁, 위안부 문제, 역사 교과서 왜곡문제를 선택했다. 이 쟁점들은 과거 한 시점의 사건으로 종결된 것이 아닌 현재 한일 관계에도 지대한 영향을 미치고 있는 현재진행형의 쟁점이기도 하다. ‘여론주도층’ 역할을 하는 주요 신문의 사설을 분석대상으로 선정했다. 국내 여론 형성에 미치는 영향력을 감안해 <동아일보>, <국민일보>, <서울신문>, <한국일보>, <한겨레신문>, <경향신문> 등 총 6개의 종합지를 분석대상으로 설정했다. 분석기간은 양국 간 화해 기간이었던 김대중 정부를 비롯해 관계가 악화된 것으로 알려진 이명박 정권을 모두 포함했다. 연구문제로 국내 언론의 일본에 대한 규정 방식, 한일 갈등의 원인 및 해결 프레임 등을 제기했다. 분석결과 한일 간 갈등이슈를 둘러싼 원인, 해결 프레임은 관련 주제, 정치적 상황, 언론사에 따라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같은 역사적 사건이지만 언론은 상황에 따라 다르게 프레임을 적용해 집단적 기억을 관리하고 있는 것으로 알 수 있다. 본 연구는 언론이 집단적 기억을 어떻게 관리하고 있는가를 살펴봄으로써 한국과 일본의 공생, 공존을 위한 언론의 역할을 생각해보는 계기가 되길 기대한다.

      • KCI등재

        기억의 장소, 철원 노동당사 폐허

        박은영(Park, Eunyoung) 서양미술사학회 2017 서양미술사학회논문집 Vol.47 No.-

        본 논문은 강원도 철원군에 폐허로 남아 있는 노동당사에 대해 기억의 장소로서 다층적 의미를 부여하려는 연구이다. 노동당사는 1946년 북한 노동당의 기관 건물로 건립됐으나 한국전쟁으로 파손된 채 남한 측에 소속되었다. 비무장지대 민통선 내에 방치됐던 노동당사는 현재 부분 보수되어 등록문화재인 대한민국 근대문화유산으로 지정돼 보존되고 있다. 폐허로서 노동당사는 전쟁으로 파괴된 인공적 폐허이자 자연에 의해 낡은 자연적 폐허이다. 그곳은 기억의 장소로서 서로 다른 텍스트의 층이 쌓인 팔림프세스트 구조를 띤다. 역사적 사건과 경험의 흔적이 남아있고 폐허미가 형성되어 수용자의 관점에 따라 달리 해석된다. 휴전 이후 수십 년간 노동당사는 북한 당국의 만행 장소로 규정돼 반공․안보를 위한 공식 기억인 ‘집단적 기억’을 형성하고 남한 사회의 정체성을 확립하는 데 활용되었다. 그러나 ‘대항기억’의 관점에 따르면, 노동당사는 성취, 파괴, 트라우마, 노스탤지어 등 상이한 경험의 대상으로서 미시적 접근이 필요하다. 되살아난 억압된 기억들은 현재의 경험들과 융합해 새로운 의미를 형성하며, 그것은 또다시 ‘문화적 기억’으로 재코드화해 미래로 계승된다. 문화유산으로 등재된 노동당사는 기억의 장소로서 ‘역사적 기념비’가 되는 한편 일종의 반기념비로서 과거의 성취보다는 상실과 소멸을 상기시킨다. 그곳에서는 문화적 형태로 연성기념비에 해당하는 행사가 열리며 다크 투어리즘이 행해진다. 폐허의 노동당사는 남/북, 중심/주변, 번영/몰락, 현존/부재와 같은 상반된 요소들이 혼재하는 언캐니한 공간이다. 그곳에 잠재한 다양한 기억을 파악함으로 써 한국 근현대사에 대한 기존의 관점을 돌아보고 현 시점에서 역사를 새롭게 재조명할 수 있다. 노동당사는 여전히 새로운 기억이 첨가되고 있는 역동적인 경험과 문화적 실천의 장소이다. This paper examines the Labor Party Headquarters Building in Cheorwon to explore multiple layers of its meaning as a place of memory. Established by the government of North Korea, the political building was destroyed during the Korean War. Its ruin has belonged to South Korea since the armistice. The building is a ruin, both natural and artificial. It is a place with various memories, which have formed a structure of palimpsest. For decades, it has been building on “collective memories” of anticommunism and established a sense of South Korean identity. From a standpoint of the “counter-memory,” however, it is necessary to approach it in a more microscopic manner. Oppressed memories could be resurfaced to be integrated with current experiences to produce a new meaning. It would be subsequently recoded as “cultural memories” to be succeeded in the future. Being registered as a Korean modern cultural heritage, the building became a non-intended “historic monument.” As an anti-monument, it also reminds us of the loss and extinction. Many cultural events of “soft monument” are held there. In the uncanny building, such dualities as south/north, center/periphery, prosperity/collapse, presence/absence are merged and blurred. The various memories lead us to reconsider our viewpoint on Korean modern history. It is still a place of dynamic experiences and cultural practices, which would create new memories.

      • KCI등재

        집단적 기억과 기억 공간: 에쉐데와 엔쉐데 그리고 세월호

        심영섭 ( Young Sub Shim ) 한국커뮤니케이션학회 2018 커뮤니케이션학연구 Vol.26 No.3

        기억은 같은 시간대에 같은 공간에서 살아가는 사람들이 공유하는 인식이다. 이러한 기억은 사회적 소통을 통해 전파된다. 그러나 기억하는 사람들이 사라지면, 기억도 사라질 수 있다. 기억해야할 인식을 전승하는 것이 문화적 기억이다. 문화적 기억을 위해서는 기억장소와 기억물품을 보존하는 일이 필요하다. 이러한 역할을 추모공간과 박물관이 담당한다. 언론은 기억을 간직하려는 사람들을 기록하는 일이다. 언론이 기억과정에 개입하면, 더 이상 기록자일 수 없다. 그러나 언론은 기록을 통해 기억을 보존하는 일의 중요한 매개체이다. Memory is the shared perception of people living in the same space at the same time. This memory is spread through social communication. But when people who remember them disappear, their memory can disappear. It is cultural memory to convey the recognition to be remembered. For cultural memory, it is necessary to preserve memories and memories. This role is played by the memorial space and the museum. The press is recording people who want to keep memories. If the media intervenes in the memory process, it can no longer be a writer. But the press is an important mediator of preserving memories through records.

      • KCI등재

        기억의 개인 원리와 소통의 가능성 -김연수 소설의 기억술을 중심으로-

        정연희 ( Yeon Hee Jeong ) 민족어문학회 2012 어문논집 Vol.- No.65

        이 논문의 목적은 김연수 소설을 대상으로 하여 기억매체를 통한 ``기억하기``를 살펴보고 그것이 소통적 기억과 소통적 진실로 구성되는 양상을 검토하는 것이다. 소통의 문제가 서사의 중심이 되는 그의 소설에는 농담과 진담, 거짓과 진실, 가짜와 진짜, 우연과 필연, 소통과 불소통, 전체와 개인, 기억과 망각 등의 반대짝들이 위성처럼 산포해 있다. 이 반대항들은 뫼비우스의 띠처럼 연결되어 서로 모순되면서 존재이유가 되고 서로 넘나들면서 보완한다. 그렇게 구성되는 세계는 하나의 거대한 뫼비우스 띠이고 그 안에는 혼란스러운 내면에 질서를 부여하고 자신과 세계 사이의 관계를 파악하고자 하는 고립된 개인들이 있다. 고립된 개인은 역사담론으로 대변되는 집단적 주체의 기억에 더 이상 상상적으로 동일시하길 거부하는 자유로운 개인의 등장과 관련이 있다. 이는 또한 자유롭지만 집단적 꿈꾸기가 불가능해진 개인의 불안과도 관련이 있다. 이런 마당에, 작가 자신도 밝혔지만, 견고한 객관적 현실이 사라져버린 자리에서 부상하는 개인성과 개인감각은, 김연수 소설이 시작하는 지점이 된다. 그리고 ``개인의 기억``에 의한 공감능력과 소통능력은 그의 소설이 지향하는 바이다. 이는 김연수 소설이 자기 시대에 대해 가지는 문학적 자의식이며 자기 시대를 향한 문학적 표명에 포함된다. 현대의 사회 상태에서 공동체가 정체성을 결정짓고 정의내리는 힘이 아니라 그저 일시적인 가공품에 불과한 것이 되었다면, 그래서 결합의 원리를 개인 안에서 찾아야 한다면, 김연수 소설은 사회적 관계가 미약해지고 견고한 세계가 붕괴된 ``이후의 삶들``을 연결시키는 소통의 도구를 찾고자 한다. 그것은 ``개인적인 것``을 ``개인적인 방식``으로 연결하는 것이다. 개인의 기억 혹은 서사적 기억은 김연수 소설이 자기 시대에 말을 거는 방식이다. The goal of this paper is to examine remembering by the medium of memory in the Kim, Yeon Soo`s novel, and then to examine the aspect that the truth to communicate is composed of memory to communicate. The problem of communication is the narrative center in his novel, there are false and truth, accident and consequential, fake and real, joking and serious, communicate and not-communicate, society and individual, memory and forgetting to been scattered such as satellites. These binary opposition are connected and are contracted each other like Moebius strip, and then these opposition are reason to be complementary to each other. So the novel world is the huge Moebius strip, and there are isolated individual who try to seek order for confused inside and to grasp the relation between oneself and the world. Isolated individuals are associated with free individual, who no longer refuse to identify with collective subject`s memory. Isolated individuals are associated with uneasy individual, who was born in the society to been impossible to dream collectively. In this context, although the author say, in place a robust objective reality disappeared, personality and personal feelings are the point that the Kim, Yeon Soo`s novel begins. And abilities of sympathy arises in a person`s memory, it is the author`s intention in one`s novel. The status of present age is the time that a community is not power to identify but temporary manufactured good, and we find the principle of combining from the individual, then the Kim, Yeon Soo`s novel seeks to communicate and to connect between the private and the world. Individual interlock in a way that personal, that is the way of Kim, Yeon Soo`s novel. In other words, the personal memory or the narrative memory are the way that the author`s novel hands over to talk to the one`s age.

      • KCI등재

        기억의 정치와스토리텔링 난징대학살(南京大屠殺)과 기억의 정책 -학살에 대한 기억의 전승과 관리를 중심으로-

        김형열 대구사학회 2012 대구사학 Vol.106 No.-

        本論文首先檢討對南京大屠殺的個別記憶,還探索個別記憶즘樣傳播或轉達。而且探討個別記憶和個人記憶變成集體記憶,其集體記憶被國家和民族管理和造成的過程。則本硏究追尋個別和主觀的記憶通過客觀調査和硏究融合下來,最終被國家變成具有政治色彩的集體記憶的過程和樣子。通過上述探索,本論文敍述了客觀曆史事實在集體記憶裏즘樣被管理和利用。在南京大屠殺發生後,這一曆史事件通過個人記憶被傳播下來,被傳播的個人記憶再融合後才呈現出部分摸樣。然後被融合的個人記憶在國家的努力下變爲具有象征意義的集體記憶。南京大屠殺的具體和仔細的內容暴露給世上的主要功勞在於學界的持續硏究,但是中國在解決外交問題上采取的政治戰略也起到了不少的作用。因此對南京大屠殺的記憶旣是學術硏究成果的結果,又是被國家管理和控制的結果。中國政府通過南京大屠殺紀念館(侵華日軍南京大屠殺遇難同胞紀念館)和中學敎科書等各種手段和方法想轉達給中國國民在中國近現代史上的兩大重要紀念-帝國主義與民族主義。代表帝國主義侵略的象征性事件就是南京大屠殺。對中國政府而言,南京大屠殺不但是提高民族主義情緖的重要手段,也是?制帝國主義國家(日本、美國)的戰略性武器。但是如果爲了提高本國民族主義情緖而使用曆史記憶,其曆史記憶?可能變成爲政治目的而存在的集體記憶。因此曆史學者應該進行從集體記憶分別出個別記憶的硏究工作,也得通過追求曆史事實的過程實現曆史敎訓的轉達。若南京大屠殺的曆史眞相在客觀硏究上暴露出來,南京大屠殺紀念館能구具有作爲和平紀念館的存在意義, 周邊國家也能구擁有對南京大屠殺的共同曆史像。

      • KCI등재

        회중의 기억과 설교를 통한 상기

        양승아(Seung?Ah Yang) 한국기독교학회 2018 한국기독교신학논총 Vol.110 No.-

        본 연구는 심리학적 차원에서 설교와 회중과의 연관성을 살펴봄으로써, 설교가 회중의 삶에서 실천될 수 있는 방안을 찾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크래독의 기억과 융의 집단 무의식을 비교 연구하였다. 크래독은 회중을 수동적 청취자로 보지 않았다. 오히려 회중을 설교의 적극적 참여자로 이해했다. 왜냐하면 회중은 설교를 듣고, 자신의 경험 속에서 상상하고, 자신의 삶에서 실천함으로서 완성해 나가기 때문이다. 그래서 크래독은 회중에 대한 관심을 기울인다. 크래독은 설교가 회중의 기억을 상기시키는 역할은 한다고 보았다. 이러한 이해는 심리학의 도움으로 이루어진 것으로 유추된다. 크래독의 보편적 기억과 융의 집단적 무의식, 크래독의 기억의 변화와 융의 원형상의 변화, 크래독과 융의 상징을 통한 상기, 크래독과 융의 상기와 상상력의 연관성은 서로 유사하게 보인다. 이는 크래독의 기억에 대한 이해는 융의 심리학의 도움을 받았다는 것을 유추케 한다. 그런데 크래독은 심리학이 가진 한계를 인식한다. 그래서 크래독은 기독교 공동체만의 기억의 독점성, 해석을 통한 기억의 변화의 확장성, 그리고 상기의 계시성을 통해 심리적 차원에 국한된 융의 집단적 무의식의 한계를 극복한다. 그러므로 설교자는 심리학적 관점에서 회중에게 관심을 기울여야 하는 동시에, 기독교의 계시적 독점성과 특수성을 보다 확실하게 인식할 필요가 있다. Korean churches are in the floods of preaching. Numerous preaching is transmitted through various media, and congregation can easily access to preaching at any time and place. As many preachers preach, many Christians hear preaching. However, Korean churches and Christians are criticized for failing to practice Christian values from society. This may be an evidence that the sermons in Korean churches are not being carried out fully, overlooking the reality that preaching is accomplished through the practice of the congregation. Therefore, in order for the Korean church to change, the petterns of preaching must be changed. This should be done with paying attention to the congregation. Craddock did not view the congregation as a passive listener. Rather, he understood them as active participants in preaching. They listen to preaching, imagine it in their own experience, and accomplishes it by practicing in their own lives. So Craddock focuses on the congregation. Craddock considered preaching as a reminder of the memory of the congregation. This perception seems to have been made with the help of psychology. The Cradock’s universal memory and Jung’s the collective unconsciousness, Craddock’s changes in memory and Jung’s changes in archetypal image, bilateral relation between symbol and remind, and bilateral relation between imagination and remind seems similar. This suggests that Craddock’s understanding of memory has been buttressed by Jung’s psychology. But Craddock recognizes the limitations of psychology. Thus, Craddock emphasizes the monopoly of the Christian community’s memory, the expansion of the memory change through interpretation, and the revelation of the reminding. Through this, he overcomes the limits of Jung’s collective unconsciousness confined to the psychological dimension. The change of Korean churches will be possible by paying attention to the congregation and by preaching that can be practiced through the congregation. To this end, the preacher must understand the memory of the congregation from a psychological point of view, being sensitive to the specific circumstances of the congregation’s life. However, the preacher must recognize the humanistic limitations of psychology. That is why preachers need to be more aware of the revelatory monopoly and specificity of Christianity.

      • KCI등재

        『폴란드 기병 El jinete polaco』 -집단적 역사와 개인적 역사의 만남-

        권미선 한국외국어대학교 외국문학연구소 2009 외국문학연구 Vol.- No.33

        현재 스페인에서 가장 왕성한 작품 활동을 하고 있는 안토니오 무뇨 스 몰리나의 대표작인 『폴란드 기병』은 주인공 마누엘과 나디아의 개인사 위로, ‘1898년 스페인의 대재앙’부터 거슬러 올라가 스페인 내전 발발과 그 이후 프랑코 독재 기간, 프랑코 사후 민주화 이행기와 같은 집단적인 역사를 덧입힘으로써 스페인 현대사 전체를 조명하고 있다. 그리고 현재의 실존적 존재를 결정짓는 과거의 기억을 통해 유년시절 여러 목소리들의 집단적 기억을 얘기하는 1부 <목소리들의 왕국>과 마누엘과 나디아의 기억을 통한 개인적 기억인 2부 <폭우 속의 기병>, 역사와 개인사가 만나 정체성을 회복하는 3부 <폴란드 기병>으로 구 성된다. 이러한 기억은 과거에 대한 단순한 회상이 아니라, 현실의 존 재 조건과 미래 지향성을 담보하는 기억으로 현실 인식을 전제로 하며, 현실은 언제나 과거와의 연속성 위에 존재하고, 현실의 참모습은 언제 나 과거 속에 묻혀있게 된다. 그렇기 때문에 현재의 진정한 존재에 대 한 자각은 과거에 대한 기억에 기댈 때 가능하다. 그런데 글쓰기를 통 해 형성되는 기억이란 사실과 거짓의 혼합물이며, 현재의 입장에서 과 거와 화해하는 방법일 수밖에 없다. 끊어져 있고, 비어있고, 파편화 되 어 흩어져 있던 기억을 통해 주인공 마누엘은, 그리고 작가 안토니오 무뇨스 몰리나는 자신의 과거를 파멸시킨 역사적 참상을, 스페인 내전 을 나름 이해하고 형상화했다. 그리고 그러한 파괴적인 역사적 진실을 극복하는 방법은 정체성 회복을 통한 치유와 기억을 탐색하는 서사적 진실의 재구성임을 깨닫게 한다. Antonio Muñoz Molina describes the modern history of Spain with El jinete polaco. He represents the Spanish situation when Franco died and Spain began its transition from the last fascist state in western Europe to the modern democracy it is today. El jinete polaco is his masterwork and uses a partially autobiographical storyline around a history of the town of Magina. The protagonist is a simultaneous translator, travelling the world from conference to conference, and the story is told in flashbacks, both to the main character's youth and to the history of the town and its people. In this way, the author problematizes the project of respresenting the past in the memory. When past events are selected and written, the narrative is arranged in a chronological order with causality, continuity, and teleology. Muñoz Molina's work moves in the territories of memory trying to reconstruct the recent history of Spai.

      • KCI등재

        19대 총선을 통해 본 대구·경북의 지역주의와 권력의 물질성

        이승협 지역사회학회 2012 지역사회학 Vol.14 No.1

        19대 총선에서도 지역주의는 선거의 전체 결과를 좌우하는 핵심적인 영향요인으로 작용했다. 지역주의 문제의 핵심인 영호남에서는 선거라는 민주주의의 핵심적 제도가 지역주의로 인해 왜곡된 방식으로 운영되고 있으며, 이러한 문제가 그간의 많은 논란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지속되고 있는 것으로 볼 수 있다. 한국사회에서 지역과 선거가 주요한 사회적 및 정치적 문제로 거론되는 까닭이 바로 여기에 있다. 즉 지역과 선거의 문제는 지역주의와 선거의 문제이다. 이 글에서는 이러한 문제의식을 바탕으로 19대 총선결과를 토대로 기존의 지역주의에 대한 연구관점을 비판적으로 검토하면서, 대구·경북의 지역주의와 선거를 분석한다. 특히 대구·경북의 보수정당 독점의 지역주의를 어떻게 접근할 것인가, 대구·경북지역의 지역주의는 지역공동체의 보수적 이념 정체성에 근거하고 있는가, 대구·경북지역의 지역주의는 변화할 것인가라는 세 가지 문제제기를 중심으로 살펴보기로 하겠다. 이 글은 기존의 영호남의 상대성에 초점을 맞춘 비교사회학적 접근보다는 대구·경북의 역사적 경험과 지역공동체 주민의 적극적이고 자발적인 행위로서의 투표행태에 초점을 맞춘 역사사회학적 접근을 동원하여 분석한다. 특히 권력의 기억과 물질성이라는 지역 주민의 주체의 선택을 강조한다. 대구·경북의 지역주의가 더 이상 정치적이거나 경제적인 차원의 문제가 아니라 사회적이고 문화적인 관점에서 접근되어야 한다. 그간에 진행된 여러 번의 선거과정을 통해 대구·경북의 지역주민들은 박정희 시대에 대한 개인적 기억을 집단적 기억으로 형성시켜 왔다. 즉 개인적 기억의 집단적 공유 현상이 나타난 것이다. 이러한 집단적 기억은 대구·경북의 문화적인 집단정체성을 형성하게 되었으며, 매번 선거를 통해 정체성을 더욱 강화시켜 왔다. The clannish regionalism affect the final consequences of the 19th general election. The problem of clannish regionalism is maintained at the southern part of the Korea and distort the election as a key institution of the democratic system. This is the lasting discussion about the region and election as a major social and political problems of the korean society. That is to say, the problem of the region and election means the exclusive character of the korean regionalism. This paper analyses the clannish regionalism and election at the Daegu and Kyeongbuk region in discussing critically the results of the 19th general election on the basis of this perspectives. Especially, how can we approach the political monopoly by the conservative party in the region of Daegu and Kyeongbuk? Secondly, is their clannish regionalism based on the conservative ideology in the regional community? At last, the possible change of clannish regionalism is examined. For this, the approach of historical sociology is borrowed. It focused on the historical experiences and the voting attitude of the regional residents as a active and voluntary action. This approach emphasize the choices action of the regional residents as a actor in focusing the memory and materiality of the political power. As a results, it is stressed that the clannish regionalism in the Daegu and Kyeongbuk cannot be understood any more from the political or economical dimensions, but from the social and cultural dimensions. Through the several elections, the regional residents have developed the individual memory about the Park Jeong-Hee era to the collective memory. That is to say, the individual memories shared collective through the elections as field for the information exchange. And this kind of collective memory is converted to the cultural collective identity that enhanced the inherit solidarity between the regional residents. The elections was a momentum for the confirmation of the cultural collective identity in expecting the return of the prosperity that they enjoyed under the dictator ex-president Park. This is the cause of the absolute support to the his daughter and politician Park Geun-Hyeo.

      • KCI등재

        현대일본의 상징천황제와 기억의 전승

        손정권 한국일본근대학회 2012 일본근대학연구 Vol.0 No.37

        GHQ의 의도하에 개정되고 공포된 일본국헌법은, 천황을 ‘일본국의 상징’으로 만드는 것으로 일본을 「무장해체」할 생각이었다. 역사적인 경위는 본문에서 개략하고 있지만, 맥아더의 의도가 크게 반영된 일본국헌법은 결과적으로 ‘천황제’의 존속을 가능하게 했다. 이처럼 단절되지 않고 계승되었다는 점에서 현대일본의 상징천황제는 폐해를 잠재하고 있는 것이다. 천황제는, 역사적 반성도 전쟁책임에 대한 어떤 처벌도 받지 않았다. 뿐만 아니라 전전의 절대군주였던 천황은 일본국 국민을 통합하는 총람자로 그 지위를 계승하였다. 즉, 본질적인 문제점을 안고 있는 채, 천황은 일본국을 ‘상징’하는 존재로 변모했다는 것이다. 문제는 일본의 천황이 일본신화가 담보하고 있는 존재라는 것이다. 신화란, 신화를 계승하는 집단의 아이덴티티를 상징한다. 이점에서 전후의 상징천황은 일본국의 아이덴티티를 대변하는 표상이 될 수 있고, 일본이란 집단의 기억을 전승하는 매개가 될 수 있다는 것이다. 그러므로 현대일본이 상징천황을 통해 새로운 ‘천황상’을 창출하는 행위는 집단적 기억의 윤색을 가져오게 될 것이며, 역사인식의 왜곡을 조장하는 기억의 공동체가 될 수 있는 것이다. Amended and promulgated under the intention of GHQ Japanese Constitution, the Emperor a symbol of Japan as Japan by creating a "dismantling militant" was going to do. Inspector at the historic overview of the body, but MacArthur's Japanese Constitution is intended largely as a result reflected 'emperor' has made possible the continuation of. Thus in that unbroken succession of modern Japanese emperor is a symbol of the potential dangers and will Emperor, the historical reflection of the war did not receive any punishment for the responsibility. As well as toured the Emperor of Japan was an absolute monarch to consolidate national overview of the status of party succeeded. In other words, while holding substantial issues, the Emperor of Japan to the 'symbol' was transformed into the present is. The problem with Japan's Emperor, the Japanese myth is that the presence in mortgage. The myth is a symbol of the identity of a group to succeed. In this regard, a symbol of post-war to represent the identity of the Emperor of Japan will be represented, and Iranian collective memory of Japanese tradition, is a parameter that can be. Thus, the modern symbol of the Emperor of Japan through the new 'Image of the Tenno' collective memory of the act that creates will be led to embellishment, distortion of history that promotes awareness of the community will be good memories to remember the community can be is tha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