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영어 진행상에서 문법범주와 사건성 - 한국인의 영어 상태술어 진행상 습득

        박세진 ( Park Sejin ),정태구 ( Chung Taegoo ) 한국외국어대학교 외국어교육연구소 2021 외국어교육연구 Vol.35 No.1

        본 연구의 목적은 한국 성인 영어 학습자의 상태동사 및 형용사 진행상 습득 양상을 알아보고 영어 수준에 따른 차이를 비교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본 실험에서는 술어의 문법범주와 사건성, 그리고 학습자의 영어 수준이 진행상 습득 양상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았다. 한국 성인 영어 학습자 75명을 대상으로 진행상 문장에 대한 허용도 판단 테스트를 진행하였으며, 동시에 영어 원어민 11명에게도 동일한 테스트를 실시하여 비교 자료로 활용하였다. 실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한국 성인 영어 학습자들은 전반적으로 형용사의 진행상보다 동사의 진행 상에서 더 높은 습득을 보였다. 둘째, 한국 성인 영어 학습자들은 대체로 비사건 술어의 진행상보다 사건 술어의 진행상에서 더 높은 습득을 나타냈다. 셋째, 한국 성인 영어 학습자들은 상태동사의 진행상보다 사건 형용사의 진행상에서 더 높은 습득 정도를 보였으며 이 경향은 영어 수준이 높아질수록 영어 원어민과 유사한 수준으로 심화되었다. 이러한 실험 결과를 통해 한국인 영어학습자들은 상태동사 및 형용사의 진행상을 어려워하지만, 그 습득에서 사건성이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는 점을 확인하였다. 또한 한국인 영어학습자들이 사건성을 습득하고 있으나, 아직 그 수준이 많이 미흡하다는 것이 발견되었다. 따라서 ‘상태동사는 진행상으로 쓰일 수 없다’는 학습은 부작용이 크므로 교육영문법에서 배제되어야 하며, 영어 진행상은 동사에만 한정되지 않고 형용사나 명사에도 쓰일 수 있다는 점이 교육에서 강조되어야 한다. 또한 영어 진행상의 교육에서 사건성의 역할이 강조되어야 하며 상적 전환에 대한 교수가 요구된다. This study investigates the acquisition of the English progressive of stative predicates by Korean EFL learners. Specifically, it looks into the roles of grammatical category and eventivity in the L2 acquisition of the English progressive. The first finding is that Korean EFL learners have more difficulty with the progressive of stative verbs as their proficiency goes up. The second finding is that the learners have difficulty with the progressive of English adjectives. The last finding is that eventivity plays an important role in the L2 acquisition of the progressive of the stative predicates. We suggest that teachers and textbook writers put focus on the role of eventivity in English progressives, so that the learners are aware of aspect shift; some stative verbs and adjectives can be used with progressives when they have eventive interpretation and they cannot, when they don’t.

      • 한국어와 스페인어의 어휘상에 따른 진행상 대조 연구

        김혜진 한국언어유형론학회 2022 언어유형론연구 Vol.7 No.2

        This paper is to carry out a contrastive analysis of the characteristics that appear when a variety of vocabulary is combined with the progressive aspect in Korean and Spanish according to the Korean lexical aspect. -Ko iss- shows different aspectual characteristics depending on the lexical aspect. In addition, -ko iss- has not only a progressive phase, but also other characteristics such as a resultative, a quasi-resultative, and iterative. Estar + gerundio also has not only the meaning of a progressive but also the meaning of the repetition, the continuation, and the future depending on the lexical aspect. For example, the verb ‘conocer’ has an inceptive property when combined with estar + gerundio(Villorio, 1989). In this paper, after comparing and analyzing the Korean -ko iss- and the Spanish estar + gerundio, parallel texts of the Spanish drama scripts and the Korean drama scripts were cross-analyzed to see how they are truthfully used and what the differences and the similarities are.

      • KCI등재
      • KCI등재

        한국어 진행상과 결과상의 습득 연구 -‘-고 있-’과 ‘-어 있-’을 중심으로-

        정해권 한국국어교육학회 2019 새국어교육 Vol.0 No.118

        Purpose:This paper aims to suggest a pedagogical path on the progressive and resultative aspects based on their typological acquisition. Methods:Aspect Hypothesis was proposed to explain the acquisition of the past tense and the progressive aspect and the developmental sequences of them because of linguistic differences. Korean has a aspectual system in which not only the progressive but also the resultative, and types of the resultative aspect are classified into the subjective, the objective, and the possessive/oblique resultatives based on linguistic typology. Results:As a result of this study, foreign learners of Korean firstly learned the progressive that occurs simultaneously with the utterance situation, and acquired the resultative according to the implicational hierarchy commonly found in various languages. In other words, developmental sequences of Korean aspect are the progressive -ko iss2-, the objective resultative -hi-e iss-, the subjective resultative -e iss-, and the possessive/oblique resultative -ko iss1- respectively. Conculusion:Since these results reflect universal features of cognition, it is recommended that prepare to teach aspects of Korean based on a onomasiological approach and the linguistic typological facts. 목적:본고는 언어유형론적 관점에서 한국어 진행상과 결과상을 습득과 교육 방향에 대해 논하고자 한다. 방법:언어 간 차이로 인해 목표어의 시제와 상을 배우는 데 많은 어려움이 있으므로 상 가설이 제안되어 과거 시제와 진행상의 습득과 발달 과정을 설명하고자 하였다. 하지만 한국어는 기본적으로 진행상과 결과상이 대립을 이루는 상 체계를 가지며, 언어유형론적으로 결과상은 주어 결과상, 목적어 결과상, 소유/부사어 결과상으로 구분되어 각 유형에 대응하는 상 표지가 사용되고 있다. 결과:본 연구의 실험 결과에서 외국인 한국어 학습자들은 발화 상황과 동시에 일어나는 진행상을 가장 먼저 배웠고, 결과상은 여러 언어에서 공통적으로 발견되는 함축적 위계(목적어> 주어 > 소유/부사어)를 따라 습득하였다. 다시 말해 한국어 상의 발달 절차는 진행상 ‘-고 있2-’, 목적어 결과상 ‘-히-어 있-’, 주어 결과상 ‘-어 있-’, 소유/부사어 결과상 ‘-고 있1-’의 순서로 나타났다. 결론:이 결과는 인지의 보편적 자질을 반영하므로 한국어 상을 효율적으로 가르치기 위해 오노마지올로지 접근과 언어유형론적 사실에 근거한 문법 교육이 마련될 필요가 있음을 보여준다.

      • KCI등재

        언어유형론적 관점에서 본 중국어 방언의 진행상 표지의 변이 유형과 발전 기제

        박정구(Park, Jung-ku),강병규(Kang, Byeong-kwu),유수경(Yu, Su-kyong) 한국중어중문학회 2018 中語中文學 Vol.- No.74

        In this study, we have surveyed the presence of the progressive aspect markers and their aspectual variants in 153 dialects distributed in China. Furthermore, it was investigated what kind of grammatical process had undergone for the progressive aspect markers. Especially, this study is focused on whether the aspect markers of Chinese dialects whose functions are the same as Mandarin progressive ‘zai(在)’ was grammaticalized from the prepositions followed by its locative objects. Based on the linguistic typological perspective and cognitive grammatical theory, we have proved that the grammaticalization of "zai(在)" type aspect markers has two major paths, and has made the theoretical explanation in this paper. One path is a process which makes the ‘nar(那儿)’ in ‘zai(在)+nar(那儿)+VP’ construction bleached semantically and eroded phonologically and merged into ‘zai(在)’, which became to function as a progressive aspect marker and a preposition. The other path is a process in which "zai(在)" in the "zai(在)+VP" construction has directly developed into a progressive aspect marker. This path can be supported by the fact that in many Chinese dialects the forms of progressive markers are different from those of prepositions and the fact that verbs with locative meaning have evolved into grammatical aspect markers in many languages of the world. The empirical evidence and theoretical interpretation of this paper show that the grammaticalization of the Chinese progressive aspect does not violate the universal development path of the human languages.

      • KCI우수등재

        보조용언 ‘-어 있-’과 상에 대한 연구

        김천학 국어학회 2018 국어학 Vol.0 No.86

        본고는 보조용언 ‘-어 있-’ 구성의 다양한 표현 의미를 통해 ‘-어 있-’의 상적 기능을 탐구하는 데 목적이 있다. ‘-어 있-’은 피행위주 유형의 자동사는 물론이고 행위주 유형의 [종결성] 동사와도 자연스럽게 결합한다. 완수 동사 중 피행위주 유형의 ‘나다, 돋다, 피다’ 등이나 행위주 유형의 ‘앉다, 눕다, 서다’ 등은 시간 부사구 ‘T-만에’의 결합으로 변화의 과정을 통한 사건의 종결을 나타내기 어렵다. 그러므로 이들 동사와 ‘-어 있-’의 결합 의미는 사건의 종결이 함의된 일시적 상태를 나타내게 된다. Croft(2012)는 자세동사 등과 진행형의 결합으로 표현되는 일시적 상태를 ‘상태적 진행상’이라 하였다. 그러나 한국어에서 ‘-어 있-’은 동사와 결합하여 진행상을 나타낼 수 없다. 그러므로 ‘-어 있-’을 진행상이라 칭할 수는 없을 것이다. 그러나 자세 동사 등과 ‘-어 있-’이 결합하여 ‘사건의 종결이 함의된 일시적 상태’를 나타낼 때에는 영어에서 진행상이 상태적 의미를 나타내는 것과 유사한 면을 지닌다고 할 수 있다. ‘-어 있-’의 상적 의미는 Nedjalkov(1988)에서 제시된 결과상으로 분석 가능하다. 피행위주 유형 동사나 피동사와 ‘-어 있-’의 결합은 P-결과상, 행위주 유형과 ‘-어 있-’의 결합은 S-결과상으로 분석될 수 있다. 피동사는 ‘-어 있-’과 자연스럽게 결합하지만, 피동문의 행위주가 문면에 제시될 경우 ‘-어 있-’과의 결합에 제약이 생기게 된다. 이는 피동문의 행위주가 여전히 동작의 주체로 기능하는 데에 원인을 둘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결합 제약이 과거시제 표지 ‘-었-’과 결합될 때에는 해소될 수 있다. 왜냐하면, ‘-었-’은 완수의 사건에서 영어의 현재완료처럼 현재 관여적 상황으로 해석되기 때문이다.

      • KCI등재후보
      • KCI등재

        영어 상태동사의 진행형 사용에 대한 코퍼스 기반 연구

        노시로바딜료라 ( Dilyorakhon Nosirova ),최문홍 ( Munhong Choe ) 사단법인 아시아문화학술원 2021 인문사회 21 Vol.12 No.4

        본 연구는 영어 상태동사의 진행형 사용 빈도, 사용역, 통시적 변화를 코퍼스 분석을 통해 조사하고, 상태성이 강한 동사들이 실제로 어떤 대화 맥락에서 진행상으로 사용되는지 알아볼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두 단계로 실시된 이 연구는 먼저 진행형 상태동사의 사용 범위와 빈도를 세 종류의 코퍼스(BNC, COCA, Time Magazine Corpus)를 이용하여 분석하고, 다음으로 TV 시리즈 모던 패밀리(Modern Family)의 대화에서 사용된 진행형 상태동사들의 맥락적 의미를 세부적으로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진행상으로 쓰인 상태동사의 수나 빈도가 증가하는 추세를 보이지는 않았지만, 주요 상태동사들이 생산적인 방식으로 진행상과 함께 사용되고 있으며, 일반적인 통념과는 달리 구어 사용역보다 문어 사용역에서 더 자주 발생한다는 사실을 밝힐 수 있었다. 뒤이은 질적 분석으로 진행형 상태동사들의 사용 맥락과 의미 변이에 대한 더 깊이 있는 정보를 제시하였다.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the use of English stative verbs in progressive aspect with a focus on their prevalence in different registers and its change over recent decades. It also explores the conversational contexts in which they are likely to occur. The study first estimates the usage frequency of progressive statives using three corpora (BNC, COCA, and the Time Magazine Corpus) and then examines dialogues in Modern Family to identify their implications and pragmatic functions. The results show that although the frequency of progressive statives has not significantly increased, they are used quite productively in a range of discourse fields, and that they occur more often in written than in spoken texts. The subsequent qualitative analysis reveals further information about their usage contexts and meaning variations.

      • KCI등재

        국어 진행상의 형식과 특징

        구종남(Koo, Jong-nam) 한국언어문학회 2013 한국언어문학 Vol.85 No.-

        This paper has two purposes : One is to examine the differences of two Korean progressive markers ‘-go itta’(-고 있다), ‘-neun joongida’(-는 중이다), the other is to illuminate the grammaticalization of the two progressive form, and to explain the differences between the two forms by ‘-neun joongida’ construction's property triggering the sister-member situations which is due to the etymological meaning of ‘joong’(middle). The two progressive aspect forms differ in allowing time adverb, in negative sentences, and in resultative aspects etc. I discussed the grammaticalization of the two types. ‘-Go itta’ was grammaticalized by the manner schema(X stays in Y manner), and ‘-neun joongida’ was grammaticalized by the locative schema(X is at Y).The meanings of grammaticalized forms are affected by the etymology of elements of the form. ‘Joong’(middle) in the ‘-neun joongida’ construction presupposes the other parts which are not middle pragmatically. Therefore in ‘-neun joongida’ progressive form presupposes the other situations which are the sister members of it, so in ‘-neun joongida’ sentences the V1 situations functions as figure and it's sister-members function as ground. Resultantly all the differences between the two progressive forms can be explained by the facts that the later presupposes the sister-members which has time span in the whole situation as ground.

      • KCI등재

        진행상이 허용되는 영어 형용사의 의미 범주 구분

        황현미 언어과학회 2022 언어과학연구 Vol.- No.101

        . The aim of this study is to examine which kinds of English adjectives are ‘licensed’ by progressives. In order to provide empirical evidence of the adjectives’ progressives, data came from the British National Corpus web. Wmatrix, which is a software tool for corpus analysis and comparison, was used to analyze the semantic categories of the adjectives.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ly, the frequency of the types is 276 and the number of the words is 151 adjectives that are used with progressives. Among the adjectives, silly is the most commonly used, and then stupid, unfair, honest, serious, rude in that order. Secondly, the semantics of the adjectives are related to personality, human relations, and attitudes toward a person or an entit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