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고등학생의 부모-자녀관계 및 교사지지와 진로성숙도 간의 관계에서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

        정문숙,조규판 한국취업진로학회 2023 취업진로연구 Vol.13 No.2

        본 연구의 목적은 고등학생의 부모-자녀관계 및 교사지지와 진로성숙도 간의 관계에서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를 알아보는 데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을 위해 부산광역시 소재 A 고등학교와 경상남도 소재 B 고등학교 학생 354명을 대상으로 부모-자녀관계, 교사지지, 자기효능감, 진로성숙도 검사를 실시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Win 27.0 program으로 신뢰도분석, 요인분석, 상관분석, 위계적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의 결과, 첫째, 부모-자녀관계, 교사지지, 자기효능감, 진로성숙도 간에는 유의미한 정적 상관으로 나타났다. 둘째, 부모-자녀관계와 진로성숙도의 관계에서 자기효능감은 부분매개효과가 나 타났다. 셋째, 교사지지와 진로성숙도의 관계에서 자기효능감은 완전매개효과가 나타났다. 이는 부모- 자녀관계는 진로성숙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칠 뿐만 아니라 자기효능감에 영향을 미친 후 진로성숙에 간접적으로 영향을 미친다는 것이다. 교사지지는 자기효능감을 통하여 진로성숙에 간접적으로 영향을 미친다는 것이다. 본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고등학생의 진로성숙도 향상은 부모-자녀관계, 교사지지, 자 기효능감이 핵심요인임을 알았다. 이를 위하여 교육현장의 적극적인 개입방안에 대한 시사점과 후속 연구를 위한 제언에 대해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mediating effect of self-efficacy in the relationship between parent-child relationship, teacher support, and career maturity in high school students. For the purpose of this study, 354 students from high school A in Busan and high school B in Gyeongsangnam-do were surveyed on parent-child relationship, teacher support, self-efficacy, and career maturity. The collected data were subjected to reliability analysis, factor analysis, correlation analysis, and hierarchical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ith the SPSS Win 27.0 program. As a result of the study, first, there was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parent-child relationship, teacher support, self-efficacy, and career maturity. Second, self-efficacy showed a partial mediating effec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parent-child relationship and career maturity. Third, self-efficacy showed a complete mediating effec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eacher support and career maturity. This means that the parent-child relationship not only directly affects career maturity, but also indirectly affects career maturity after affecting self-efficacy. Teacher support indirectly affects career maturity through self-efficacy.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it was found that the parent-child relationship, teacher support, and self-efficacy are key factors in improving career maturity in high school students. To this end, the implications of active intervention in the educational field and suggestions for follow-up studies were discussed.

      • 중학생의 진로교육 및 진로체험활동과 진로성숙도 향상 효과

        심재희(Sim, Jae-Hee),오정아(Oh, Jung-A),조오숙(Cho, Oh-Sook) 한국청소년상담학회 2017 한국청소년상담학회지 Vol.2 No.4

        본 연구는 진로교육 및 진로체험활동이 중학생의 진로성숙도를 향상시키는 긍정적 효과가 있는지를 분석하여 그 결과를 바탕으로 체험위주의 진로교육이 활성화되게 하는데 연구의 목적이 있다. 체험위주의 진로교육은 2013년 개정된 교육과정에서 자유학기제의 시행으로 현실화 되었다. 자유학기제란 중학교 과정 중 한 학기 동안 학생들이 시험 부담에서 벗어나 자신의 “꿈”과 “끼”를 찾아 미래를 준비할 수 있도록 하는 체험위주의 진로교육으로 자유학기제가 효과적으로 운영된다면 청소년의 진로성숙도 향상에 실질적인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이다. 진로성숙도 연구는 진로와 관련된 의사결정에 대해 학생이 얼마나 성숙되어 있는가를 살펴보고 향후 학생의 진로 성숙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방안을 찾아가는 데 의의가 있다고 할 것이다. 이에 본 연구는 자유학기제 시범학교인 충북 G지역의 중학교 한 곳과 자유학기제를 전혀 실시하지 않은 Y 지역, C시 소재 중학교 각각 한 곳을 대상으로 하여 자료를 수집하여 비교 분석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1.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연구대상의 일반적 배경을 빈도와 백분율로 알아보았고 질문지의 타당도와 신뢰도를 위해 요인분석과 Cronbach’s α의 내적 합치도 계수를 산출하였다. 또한 지역에 따른 중학생의 진로성숙도의 차이를 검증하기 위해 F-test, Scheffe 사후검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자유학기제를 통하여 진로교육 및 진로체험활동을 실시한 G지역 중학생들의 진로 성숙도가 진로체험 교육 경험이 없는 Y지역과 C시 중학생들의 진로성숙도보다 진로성숙 태도 영역의 하위유형인 진로계획과 직업태도, 진로 독립성에 대한 지각에서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자유학기제를 통하여 진로교육 및 진로체험활동을 실시한 G지역 중학생들의 진로 성숙도가 진로체험 교육 경험이 없는 Y지역과 C시 중학생들의 진로성숙도보다 진로성숙 능력 영역의 하위유형인 자기이해, 정보탐색, 합리적 의사결정, 진로지식에 대한 지각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다. 셋째, 자유학기제를 통하여 진로교육 및 진로체험활동을 실시한 G지역 중학생들의 진로 성숙도가 진로체험 교육 경험이 없는 Y지역과 C시 중학생들의 진로성숙도보다 진로성숙 행동 영역의 하위 유형인 진로탐색과 준비행동에 대한 지각에서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이 진로교육 및 진로체험활동이 중학생의 진로성숙도 향상에 긍정적 효과가 있음을 밝혔다. The study is designed to give practical help for the effective operation of the free semester that was extended to the entire Chung-buk area in 2016 by disclosing the positive effects of career education and career experience activities for middle school students on their career maturity. Academic curriculum revision established in 2013 is focused on experience-oriented career training course to free students themselves from the burden of tests during the semester and to find their “dream,” and “talent” for preparing for their future. Therefore, The study is aimed at analyzing the effects of career education and career experience activities on the maturity of middle school students and enabling the career education based on the results. The study on career maturity implies that it is important to refer to the maturity of students in decision making related to their careers and to look for ways to improve their career maturity in the future. Therefore, data of this study were collected and analyzed data from one middle school which practiced the free learning semester in the G region of Chung-buk Province and one in the Y region and one in C city, each with no free learning semester. SPSS 21.0 program is operated to identify the general background of the study subjects with frequency and percentage. The factor analysis and the Cronbach’s alpah which is a measure of internal consistency have been established for the reliability and validity of the assessment. In addition, F-test and Scheffe posteriori test have been implemented to verify the difference of the students’ career maturity according to the regions. The results are listed belows. First, the perceptivity of career plan, occupational attitude, career independence underneath career maturity(Attitude area)of students from a school in G region, implementing free learning semester for career education and career experience activities is the highest, in comparison with students from schools from Y regions and C city where the free learning semester is not implemented. Secondly, the perceptivity of self-understanding, searching information, rational decision making and career knowledge underneath career maturity(Ability area) of students from a school in G region, implementing free learning semester for career education and career experience activities is the highest, in comparison with students from schools from Y regions and C city where the free learning semester is not implemented. Thirdly, the perceptivity of career exploration, career preparation underneath career maturity(Action area) of students from a school in G region, implementing free learning semester for career education and career experience activities is the highest, in comparison with students from schools from Y regions and C city where the free learning semester is not implemented. Therefore, the career education and career experience activities have positive effect on students’ career maturity.

      • KCI등재

        청소년의 창의적 체험활동이 진로성숙도에 미치는 동시 및 지연효과 연구

        원정은(Won, Jungeun),정혜원(Chung, Hyewon)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2019 한국청소년연구 Vol.30 No.1

        연구는 청소년기 학생들의 진로성숙도가 시간의 흐름에 따라 어떻게 변화하는지 살펴보고, 진로성 숙도에 대한 창의적 체험활동(문화체험활동, 동아리활동, 봉사활동, 진로활동)의 시간효과를 탐색해 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서울교육종단연구(Seoul Education Longitudinal Study: SELS)의 초등패널 데이터 중 4차년도(중1)~8차년도(고2)의 자료를 사용하였으며, 이 시기의 진로성숙도 변화양상에 적합한 잠재성장모형을 탐색하고, 시간의존변수인 창의적 체험활동이 진로성숙도에 미치는 동시효과와 지연효과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분석 결과 첫째, 잠재성장모형의 검증을 통해 분할함수 성장모형이 자료에 가장 적합함을 확인하였으며, 중학교 시기에는 학년이 증가할수록 학생들의 진로성숙도가 감소하는 반면, 고등학교 시기에는 진로성숙도가 증가하는 양상을 나타냈다. 둘째, 창의적 체험활동(문화체험활동, 동아리활동, 봉사활동, 진로활동)이 진로성숙도에 미치는 동시 및 지연효과를 살펴본 결과, 문화체험활동의 참여는 중1, 중3, 고1 시점의 진로성숙도에 정적인 동시효과와 중2, 고1, 고2 시점의 진로성숙도에 유의한 지연효과가 나타났다. 동아리활동의 참여는 중1 시점에 동아리활동에 다양하게 참여할수록 중1 시점의 진로성숙도에 유의한 동시효과를 보였으며, 중3 시점 동아리활동 참여가고 1시점의 진로성숙도에 유의한 지연효과를 보였다. 봉사활동과 진로활동은 모든 시점에서 유의한 동시효과를 보였으며, 봉사활동은 중3 시점의 참여가 고1 시점의 진로성숙도에 유의한 지연효과를, 중2 시점과 중3 시점의 진로활동 참여는 중3, 고1 시점의 진로성숙도에 유의한 지연효과를 보였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시사점과 후속연구를 위한 제언이 논의되었다. This study investigated the changing trajectory of career maturity and contemporaneous and lagged effects of creative experience activities (cultural activities, club activities, volunteering, and career activities) on career maturity in adolescents. Data was harvested from the Seoul Education Longitudinal Study data (from 7th to 11th grade) and was utilized for the purposes of this study.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the piecewise latent growth model fitted well to the dataset. Adolescents’ career maturity appeared to decrease during middle school years, however, their career maturity appeared to increase during high school years. Second, the contemporaneous effects of cultural activities on career maturity were positively significant in the case of the 7th, 9th, and 10th grades. In addition, the significant lagged effects of cultural activities in the 7th, 9th, and 10th grades on career maturity in the 8th, 10th, and 11th grades were found. The contemporaneous effect of club activities on career maturity was positively significant in 7th grade. The significant lagged effect of club activities in the 9th grade on career maturity in the 10th grade was found. Moreover, the significant contemporaneous effects of volunteering and career activities on career maturity were found during the time of analysis. The lagged effects of volunteering in the 9th grade on career maturity in the 10th grade were significant The lagged effects of career activities in both the 8th and 9th grades on career maturity in 9th and 10th grades were significant. The implications of the current study and suggestions for future research were also discussed.

      • KCI등재

        대학생활 적응에 따른 대학생의 취업스트레스가 진로성숙도에 미치는 영향 : 취업불안의 매개효과 검증

        소용준,박준성 한국취업진로학회 2016 취업진로연구 Vol.6 No.4

        본 연구의 목적은 대학생의 진로선택에서 대학생활의 적응 수준에 따라 취업스트레스가 진로성숙도에 미치는 영향에서 취업불안의 매개효과에 차이가 있는지를 검증하는 것이었다. 이러한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첫째, 대학생활 적응 수준에 따라 취업스트레스, 취업불안 그리고 진로성숙도의 인식에 차이가 있는지 분석하였다. 대학생활 적응은 전공만족도와 학교만족도로 구분하였다. 둘째, 대학생들이 겪는 취업스트레스와 진로성숙도의 관계에서 취업불안의 매개효과를 검증하였다. 마지막으로, 대학생활 적응수준에 따라 취업스트레스와 진로성숙도의 관계에서 취업불안의 매개효과에 차이가 있는지를 알아보았다. 연구 결과 첫째, 대학생의 전공만족도와 학교만족도에 따라 취업스트레스, 취업불안 그리고 진로성숙도에서 유의한 차이를 검증하였다. 둘째, 취업스트레스, 취업불안 그리고 진로성숙도 사이의 관계를 분석한 결과 취업스트레스가 진로성숙도에 미치는 영향에서 취업불안은 부분 매개하였다. 셋째, 전공만족도에 따라서 상(上), 중(中), 하(下) 집단으로 구분하여 각 집단별로 취업스트레스, 취업불안 그리고 진로성숙도의 관계를 검증하였다. 그 결과, 상(上) 집단에서만 취업스트레스가 진로성숙도에 미치는 영향에서 취업불안은 완전 매개하였다. 학교만족도에 따라서 분류했을 때도 상(上) 집단에서만 취업스트레스가 진로성숙도에 미치는 영향에서 취업불안은 부분 매개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취업스트레스가 진로성숙도에 미치는 영향에서 취업불안의 매개효과를 검증하여 선행연구의 결과들을 지지하는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특히, 전공만족도 상(上) 집단과 학교만족도 상(上) 집단에서만 취업스트레스가 진로성숙도에 미치는 영향에서 취업불안의 매개효과를 검증할 수 있었다. 즉, 대학생활에 적응을 잘 한 학생들에게서 취업스트레스, 취업불안 그리고 진로성숙도의 관계를 확인할 수 있었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하여 대학생활 만족도에 따라서 취업 및 진로 지도를 해야 하며 개인 맞춤형 진로지도가 이루어져야 함을 제안하고 있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에서는 성별에 따른 사회적 편견, 특정 전공계열로의 편중 등의 사회 현상을 설명할 수 있는 심층적인 연구가 필요함을 제안하고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whether the differences in university adjustment for the effects of job-seeking stress and job-seeking anxiety on the career maturity. To this end, this study revealed (1) the influence of the difference in job-seeking stress, job-seeking anxiety, and career maturity in accordance with gender of university students, (2) the influence of the difference in job-seeking stress, job-seeking anxiety, and career maturity in accordance with major satisfaction and school satisfaction. And this study verified the mediation effect of job-seeking anxiety between job-seeking stress and career maturity in accordance with major satisfaction and school satisfaction. To attain at the purpose of this study, we did self-report survey about study variables. Total 180 students are participated in this study in 95 male and 85 female students. The data were analyzed statistically through SPSS ver. 23.0. Technical statistical analysis, independent sample t-test, one-way ANOVA,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and hierarchical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ere conducted to test research hypotheses. Mediation effect qualification procedure which is suggested by Baron and Kenny(1986) is applied to validate mediation effect. Sobel validation is conducted to validate the mediation effect.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results determine the differences in job-seeking stress, job-seeking anxiety and the career maturity based on gender had no significant difference. Second, according to the study for the difference between the job- seeking stress, job-seeking anxiety and career maturity of the major satisfaction and school satisfaction. Third, the impact of job-seeking stress results verified the mediating effect of job insecurity on job insecurity in career maturity was part parameters. Third, the mediation effect of job-seeking anxiety between job-seeking stress and career maturity was significant. Fourth, in high major satisfaction group, we found that the mediation effect of job-seeking anxiety between job-seeking stress and career maturity was significant. It did not verify the effects mediated in the mid satisfaction group and the lower satisfaction group. Finally, the results verified the mediating effects of job-seeking anxiety due to school satisfaction was partial mediated between job-seeking stress and career maturity in high school satisfaction group. But It did not verify the effects mediated in the mid satisfaction group and the lower satisfaction group.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this study is discussed important of major satisfaction and school satisfaction of university students. And implications of this study and suggestions for future research and practice were discussed in the needs of expanding the relations of job-seeking stress, job-seeking anxiety and career maturity in university adjustment.

      • KCI등재

        잠재전이분석을 활용한 대학생 진로성숙도의 발달 유형과 영향 요인 분석

        김미림(金美林),유예림(兪睿琳),황은희(黃銀喜),김선용(金善龍) 서울대학교 교육연구소 2019 아시아교육연구 Vol.20 No.1

        이 연구는 대학생 진로성숙도의 변화 양상과 이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탐색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해 잠재전이분석(latent transition analysis)을 활용하여 대학생 진로성숙도 유형을 종단적으로 살펴본 후,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활용하여 진로성숙도 유형의 전이 양상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탐색하였다. 분석 대상은 「한국교육종단연구2005」의 7, 9차년도 진로성숙도 문항에 모두 응답한 일반대학의 대학생 678명이다. 연구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대학교 1학년 시기와 4학년 시기의 진로성숙도 잠재 프로파일 양상이 다르게 나타났다. 진로성숙도 유형은 대학교 1학년 시기의 경우 ‘소극적’, ‘중수준’, ‘고수준’의 3개 잠재집단으로 분류되었으나, 4학년 시기의 경우 ‘소극적’, ‘저수준’, ‘고수준’, ‘적극적’의 4개 잠재집단으로 분류되었다. 둘째, 대학생 진로성숙도 유형의 전이 양상은 대학교 1학년 시기의 진로성숙도 잠재 프로파일 유형에 따라 다르게 나타났다. 셋째, 대학생 진로성숙도 프로파일의 전이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전이 양상에 따라 다르게 나타났다. 소극적, 고수준 집단의 경우 대학교 1학년 시기의 자아개념이, 중수준 집단의 경우 대학교 4학년 시기의 교내 취업지원 프로그램 경험이 진로성숙도 발달에 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이 연구는 대학생 시기의 진로성숙도 변화에 대한 기초 자료로서 추후 학생들의 진로 발달 지원 관련 정책 수립이나 대학 차원의 진로지원 체계 구축 시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changes in career maturity of college students and the important factors influencing them.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678 undergraduates who responded to both the 7th and 9th year career maturity items of the Korean Educational Longitudinal Study 2005.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latent profiles of career maturity during the first year in college (‘Passive’, ‘Middle Level’, and ‘High Level’) were different from the latent profiles of career maturity during the fourth year in college (‘Passive’, ‘Low Level’, ‘High Level’, and ‘Active’). Second, the transition patterns of career maturity were different according to the latent status of career maturity in the first year in college. Third, the variables affecting the transition of career maturity were different according to the transition pattern. The self-concept of the first year in college, for ‘Passive’ and ‘High Level’ groups, and the experience of on-campus employment support programs during the third and fourth years in college, for ‘Middle Level’ group, had a positive impact on career maturity development. This study provides empirical background on career maturity change in college years. Also, this study may contribute to the establishment of policies related to career development support and career support system at university level.

      • KCI등재

        고등학생이 지각한 학업정서와 진로성숙도가 학교생활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박지현(Park Ji Hyun)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2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2 No.3

        목적 본 연구에서는 고등학생이 지각하는 학업정서, 진로성숙도가 학교생활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과 이들의 영향 관계에서 남녀 성별에 따른 영향력을 분석하였다. 방법 이를 위하여 충청북도 소재의 인문계 고등학생 414명 중, 응답이 불충분한 21명을 제외한 393명의 설문 응답 결과를 분석에 사용하였다. SPSS 23.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기술통계, Pearson의 상관관계 분석을 실시하였다. 성별에 따른 주요변인들의 차이를 알아보기 위해 t검정을 실시하였고, 성별에 따라 학업정서와 진로성숙도가 학교생활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기 위하여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결과 고등학생이 지각한 학업정서 전체와 진로성숙도 전체는 유의미한 상관관계가 나타나지 않았으나, 학업정서의 하위요인과 진로성숙도의 하위요인들에서는 유의미한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학업정서 전체와 진로성숙도 전체는 학교생활 만족도와 유의한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고등학교 여학생은 남학생에 비해 학업정서 전체, 학업정서 하위요인의 일부(지루함, 분노, 불안), 진로성숙도 전체, 진로성숙도 하위요인의 일부(준비성)를 높게 지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남학생은 여학생에 비해 학업정서의 즐거움과 학교생활 만족도를 높게 지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남학생이 지각하는 학업정서 전체, 진로성숙도 전체, 진로성숙도의 하위요인 일부(확신성, 준비성)는 학교생활 만족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여학생이 지각하는 학업정서 전체, 학업정서의 하위요인 일부(즐거움, 희망, 긍지), 진로성숙도 전체, 진로성숙도의 확신성이 학교생활 만족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진로성숙도의 독립성은 학교생활 만족도에 부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고등학생이 지각하는 학업정서와 진로성숙도는 학교생활 만족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고 있으며, 성별에 따라 일부 차이가 있음을 보여준다.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학교생활 만족도를 향상하기 위한 방안 및 제한점을 논의하였다. Objectives The objectives of this study were to compare and analyze the effects of academic emotion and career maturity perceived by high school students on their school-life satisfaction by gender and to derive unique, innovative, and effective measures to improve school-life satisfaction. Methods This study analyzed the questionnaire responses of 393 high school students after excluding the questionnaire responses of 21 students, which were insufficient, from 414 academic high school students residing in Chungcheongbuk-do Province. This study performed descriptive statistics and Pearson s correlation analysis using SPSS ver. 23.0. t-test was conducted to evaluate the effects of gender on major variable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as carried to identify the effects of gender on academic emotion, career maturity, and school-life satisfaction. Results The overall academic emotion perceived by high school students was not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the overall career maturity of them. However, the sub-factors of academic emotion and those of career maturity were significantly correlated. Academic emotion and career maturity were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school-life satisfaction. The results showed that female students perceived overall academic emotion, some sub-factors of academic emotion (i.e., boredom, anger, and anxiety), overall career maturity, and some sub-factors of career maturity (preparedness) higher than male students. It was found that male students perceived the joy of academic emotion and school-life satisfaction higher than female students. The overall academic emotion, overall career maturity, and some sub-factors of career maturity (i.e., certainty and preparedness) affected school-life satisfaction significantly and positively. It was also found that the overall academic emotion, some sub-factors of academic emotion, overall career maturity, and certainty of career maturity perceived by female students had a significant and positive impact on school-life satisfaction. However, the independence of career maturity influenced school-life satisfaction negatively. Conclusions The results showed that academic emotion and career maturity perceived by high school students significantly affected school-life satisfaction and the effects were different between gender in some cases. This study discussed methods and limitations for improving school-life satisfaction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 대학생의 진로성숙도와 취업스트레스, 우울과의 관계

        최경원,김은주 대한보건협회 2011 대한보건협회 보건종합학술대회 Vol.2011 No.-

        [연구목적] 우리나라 대학생들은 입시위주 교육환경으로 자신의 적성과 흥미를 충분히 고려 하지 않은 채 입학하기 때문에 자신의 진로를 결정하는 성숙도가 낮은 상태로 대학생활을 하면서 진로선택과 취업 문제로 혼란을 경험하고 그로 인해 불안과 취업스트레스를 받고 있다 (성영모, 2007; 이미경, 2004). 또한 그 어느 때보다도 급변하는 사회 환경, 불확실한 미래, 취업난 심화와 청년실업 같은 심각한 상황에서 대학생들에게 진로결정은 현실적인 문제로 더욱 절실하고 심각한 수준에서 고민하게 되므로 대학생들의 취업스트레스와 불안은 더욱 가중되고 있다. 대학생들은 취업이 어려워지면서 자신의 진로결정과 취업문제에 많은 스트레스를 겪고 있으며 취업스트레스는 긍정적 영향을 주는 수준을 넘어 정신건강상의 문제를 갖고 있을 가능성이 크다고 보았으며(신현균, 장재연, 2003) 또한 대학생들의 취업스트레스는 우울과 상관이 있다는 연구결과가 보고되고 있다(김혜정, 2004; 정의석, 노안영, 2001). 그러므로 대학생들의 취업스트레스와 우울에 대한 관리는 대학생 진로 지도 뿐 아니라 대학생들의 건강관리를 위한 중요한 부분이라 할 수 있다. 이에 본 연구는 현 시대를 살아가는 대학생들의 진로성숙도, 취업 스트레스와 우울과의 관계를 확인하고자 한다. 이러한 결과는 대학생들의 진로지도 프로그램 개발과 취업 스트레스 대처 및 관리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기초 자료로 활용 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연구방법] 본 연구는 대학생의 진로성숙도와 취업스트레스, 우울과의 관계를 확인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연구대상은 지방에 소재한 2개 대학교 대학생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2011년 4월부터 2011년 6월까지 설문지를 사용하였으며 총 400부 중에 317부가 자료 분석에 이용되었다. 연구도구는 우울 검사, 취업스트레스 검사, 진로성숙도 검사 도구를 이용하였으며 수집된 자료는 SPSS 윈도우 17.0 프로그램으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본 연구 결과, 대학생의 진로성숙도 요인 중에서 독립성 점수가 3.63(±.51)점으로 가장 높았으며 참여성이 3.60(±.44)점으로 두 번째로 높았다. 대학생들의 취업스트레스 요인중에서 학교 환경스트레스가 2.62(±.89)점으로 가장 높았으며 학업스트레스가 2.46(±.82)점으로 두 번째로 높았다. 대학생의 우울정도는 평균은 30.94(±8.6)점이었다. 대학생의 진로성숙도과 취업스트레스와 우울간의 관계는 유의한 음의 상관관계를 보였으며 대학생들의 우울은 진로성숙도와 취업스트레스의 모든 변수와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었다. [고찰] 대학생들의 진로성숙도는 취업스트레스와 우울과 모두 유의한 음의 상관관계가 있었다. 즉 대학생들은 우울과 취업스트레스가 높을수록 진로성숙도가 낮은 것을 의미하며 진로 결정 및 선택과 관련된 취업 준비가 잘 되었다고 생각하는 진로성숙도가 높은 대학생은 취업스트레스와 우울이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대학에서는 대학생 시기는 총체적인 삶의 과정에서 미래를 준비해야 하는 중요한 시점임을 이해하고 취업률 향상이라는 결과 변수뿐 아니라 우울과 취업스트레스를 극복할 수 있는 보다 체계적이고 건강한 진로지도와 취업준비를 하도록 지도할 필요가 있으며 진로성숙도를 향상시키기 위한 체계적인 진로교육과 상담이 이루어지도록 진로상담실 운영이 활성화되어야 할 것이다.

      • KCI등재

        서울시 교육종단자료에 나타난 초·중·고등학생의 자아존중감과 진로성숙도의 관계 탐색

        박혜숙(Hye-Sook Park),전명남(Myong-Nam Jun) 중앙대학교 한국교육문제연구소 2014 한국교육문제연구 Vol.32 No.2

        이 연구의 목적은 인성․진로교육과 관련된 교육 및 사회 정책의 기초자료를 제공해내기 위해, 진로성숙도와 자아존중감 간의 관계를 살펴보는데 있다. 구체적으로는 진로성숙도와 자아존중감 간에 존재하는 인과구조와 장기연구를 위한 비교시 사용될 수 있는 변수의 타당성을 확보해내는데 있다. 이 연구에서는 추후 지속적 자료가 수집되는 서울교육종단연구(Seoul Educational Longitudinal Study: SELS)에서 사용된 두 척도가 각 학교급(초등학교, 중학교, 일반계 및 전문계 고등학교) 학생들에게 동일한 의미를 나타내는지를 SELS 1차와 2차 자료를 사용하여 우선적으로 알아보았다. 연구 결과, 매해 해당 척도를 각 학교급에 동일하게 사용될 수 있음을 보여주었다. 즉, 진로성숙도 및 자아존중감 척도의 문항은 각급 학교 학생들에게 동일하게 해석이 가능하였다. 또한 1차년도 자아존중감이 2차년도의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효과와 1차년도의 진로성숙도가 2차년도의 진로성숙도에 미치는 효과, 그리고 1차년도의 자아존중감과 진로성숙도가 2차년도의 진로성숙도 및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영향이 각급 학교 학생들에게 동일하게 해석되는 것이 가능하였다. 동일척도를 사용한 경로계수 크기가 가장 크게 나왔다. 1차년도의 자아존중감 및 진로성숙도는 2차년도의 자아존중감 및 진로성숙도를 각각 정적으로 예측하였다. 그러나 진로성숙도가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효과크기는 자아존중감이 진로성숙도에 미치는 효과보다 더 근소하게 작았다. 비록 2회의 자료이지만, 2회 진로성숙도 및 자아존중감의 변화의 크기를 비교하는 것이 각급 학교 학생들에게 동일하게 가능하다는 것이 밝혀진 점은 각급 학교 학생들의 진로성숙도 및 자아존중감 간의 변화에 대한 비교 연구가 가능하다는 점에 있어서 매우 고무적이다. 비록 SELS에서 사용된 진로성숙도와 자아존중감 척도가 문항내적일관성 신뢰도는 높기는 하지만, 소수의 문항으로 구성되어 있어서 문항 내용 타당도 관련하여 문제가 있어 보인다. This study aims to provide primary information related to character and career education for educational policy. Specifically, it identified a causal relationship between career maturation and self-esteem Seoul Educational Longitudinal Study (SELS’10). We checked the validity of the scales using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over two years. We investigated whether the scales mean the same thing to students attending different types of schools. The results of the analysis showed that the assumption of metric invariance was satisfied, i.e., the items of career maturation and self-esteem scales were interpreted in the same way by the students attending different levels of schools. In addition, both the autoregressive effect and cross-lagged effects of the two variables were investigated. The effect of 1st year self-esteem on that of the 2nd year was the largest, and the effect of self-esteem and career maturation on that of the respective 2nd year variable was positive. However, the effect of the 1st year career maturation on the self-esteem of the 2nd year was slightly smaller than that of the effect of the 1st year self-esteem on the 2nd year career maturation. Although we analyzed only two time point data sets, the findings of metric invariance of the scales were very encouraging. The internal consistency reliability was high; however, because of the small items used for the self-esteem and career maturation construct, issues related to content-related validity exist.

      • KCI등재

        초등학생의 진로성숙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 성별에 따른 차이를 중심으로

        윤현 이화여자대학교 사회복지연구소 2011 사회복지 실천과 연구 Vol.8 No.-

        본 연구의 목적은 초등학생의 진로성숙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검토하고, 성별에 따른 차이를 살펴봄으로써 사회복지적 함의를 모색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한국청소년패널조사의 초4에서 초6까지 3년간의 자료를 활용하였다. 분석결과 첫째, 학년이 올라갈수록 진로성숙도 역시 높아지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둘째, 초4에서 초6까지의 진로성숙도를 성별에 따라 비교한 결과, 남학생보다 여학생의 진로성숙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3개년에서 공통적으로 진로성숙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변수는 성별, 자기신뢰감, 부모애착, 학업성적, 공부압력, 친구애착으로 확인되었다. 넷째, 남학생의 경우 초4시기에는 친구애착, 초5.6시기는 가정폭력과 부모애착이 진로성숙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난 반면, 여학생은 초5시기에는 자아존중감, 가정폭력, 친구애착, 교사애착, 초6시기에는 친구애착이 진로성숙도 발달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밝혀졌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초등학생의 진로성숙도 향상을 위한 개입방안과 함의를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changes of career maturity according to school grades and to identify predictive factors for career maturity among elementary school students. For the purpose of the study, this study used a 3 year longitudinal data(from 4th grade to 6th grade) of KYPS-Ⅱ of Korea Institute for Youth Development as a secondary data analysis. The results are as following: First, the level of career maturity was increased as students' grade was increased. Second, in terms of gender differences, the career maturity of female students was higher than that of male students. Third, gender, self-efficacy, attachment to parents, school performance, pressure on study, and attachment to friends had significantly positive effects on career maturity throughout three years. Fourth, for male students, attachment to friends affected the career maturity significantly in the 4th grade, while domestic violence and attachment to parents influenced on the career maturity significantly in the 5th and the 6th grade. On the other hand, for female students, self-esteem, domestic violence, attachment to friends and teachers had significant effects on the career maturity in the 5th grade, while attachment to friends had significant effects on the career maturity in the 6th grade. Based on these results, intervention strategies to increase the career maturity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were presented and implications for social work practice in school were discussed.

      • KCI등재

        가구주의 사회적 배제 수준이 청소년의 진로성숙도에 미치는 영향

        김현숙 한국학교사회복지학회 2015 학교사회복지 Vol.0 No.31

        This research is to analyze the pathways that social exclusion level of householder influences in career maturity of youth. So, this study selected 496 youths and householders respectively who participated in the seventh additional data(youth) of Korea Welfare Panel Study. As analysis methods were fussy set theory was used for analyzing to recognize social exclusion level and structural equatioon models were explored, using AMOS 18.0. The key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Social exclusion level of householder was high in order of education, housing, income, employment, social participation, health dimension. Second, Social exclusion level of householder didn’t have direct influnces but had indirect influnces in career maturity of youth through the pathways parent factor, personal psychological factors and school factor. The results of analyzing the pathways were ‘social exclusion→parentes' rearing attitudes→mental health→career maturity’, ‘social exclusion→parentes' rearing attitudes→self-esteem→career maturity’, ‘social exclusion→parentes' rearing →school adjustment→career maturity’, ‘social exclusion→parentes' rearing attitudes→mental health→self-esteem→career maturity’, ‘social exclusion→parentes' rearing attitudes→mental health→self-esteem→school adjustment→career maturity’, ‘social exclusion→parentes' rearing attitudes→self-esteem→school adjustment→career maturity’. Third, as a results of examining through a total effect, the variable that influences career maturity of youth most is self-esteem of youth. 본 연구는 가구주의 사회적 배제 수준이 청소년의 진로성숙도에 미치는 경로를 살펴보고자 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한국복지패널 7차년도의 부가조사(청소년)에 참여한 청소년과 가구주 각각 496명을 조사하였다. 분석방법은 사회적 배제 수준을 파악하기 위하여 퍼지집합이론을 활용하였으며, 구조방정식 모형을 구축하여 Amos 18.0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가구주의 사회적 배제 수준은 교육차원, 주거차원, 소득차원, 고용차원, 사회참여차원, 건강차원의 순으로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가구주의 사회적 배제 수준은 청소년의 진로성숙도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치지는 않았으나 부모요인, 개인 내적요인, 학교요인을 경유하여 간접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 경로를 분석한 결과는 ‘사회적 배제→부모양육태도→정신건강→진로성숙도’, ‘사회적 배제→부모양육태도→자존감→진로성숙도’, ‘사회적 배제→부모양육태도→학교적응→진로성숙도’, ‘사회적 배제→부모양육태도→정신건강→자존감→진로성숙도’, ‘사회적 배제→부모양육태도→정신건강→자존감→학교적응→진로성숙도’, ‘사회적 배제→부모양육태도→자존감→학교적응→진로성숙도’로 나타났다. 셋째, 총효과를 통해 청소년의 진로성숙도에 가장 많은 영향을 미치는 변수를 살펴본 결과 청소년의 자존감인 것으로 나타났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