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지역정체성의 다차원성과 결정요인 검증

        이태원(Lee, Tai-Won),김원동(Kim, Won-Dong) 강원대학교 사회과학연구원 2016 사회과학연구 Vol.55 No.2

        이 논문은 세 가지 목적을 갖는다. 첫째는 지역을 규모(국가, 도, 그리고 마을)에 따라 구분하였을 때, 지역정체성의 현저성(salience)에 차이가 있는가? 그리고 어떤 사회인구적 변수들이 이러한 차이에 영향을 주는가를 규명한다. 둘째는 지역정체성은 단일차원적 개념(unidimensional construct)인가 아니면 다차원적 개념(multidimensional construct)인가 그리고 다차원적 개념이라면 몇 개의 요인으로 구성되는가를 검증한다. 셋째는 지역정체성에 영향을 주는 변수들은 무엇인가에 관심을 갖는다. 사용된 표본추출 방법은 할당표본추출 방법(quota-sampling method)이며, 할당표집을 위해 사용된 변수들은 지역, 성, 그리고 연령이다. 표본의 크기는 2,000명이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지역정체성들의 현저성 분석 결과 응답자들의 경우 국민정체성의 현저성이 가장 높았으며, 그 다음은 지역주민정체성이고, 도민정체성이 가장 낮았다. 지역정체성들에 영향을 주는 변수들을 보면 성은 효과가 없고, 학력과 수입은 부적(-) 효과를 그리고 연령과 거주기간은 정적(+) 효과를 가진다. 둘째, 지역정체성의 다차원성과 결정요인의 효과를 검증한 결과 지역정체성은 단일차원 구성(construct)이 아니라 다차원적 구성이며, 지역주민정체성을 검증한 본 연구에서는 4요인 모델이 가장 적합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지역주민정체성에 영향을 주는 요인에 대한 검증 결과 사회인구적 변수들 중에는 거주기간과 연령만이 유의미한 효과를 보였으며, 지역사회효과는 상대적으로 적었다. 결론부분에서는 본 연구에서 나타난 지역정체성연구에 관한 쟁점, 한계 그리고 앞으로의 과제를 논의한다. Despite the importance of the regional identity construct in research, the issue of its dimensionality remains unsolved in academic communities of South Korea. The aims of this study are to answer the three questions about regional identities. First, are there any differences between the saliencies of regional identities according to scales of regions(state, province, and community)? And socio-economic variables are analyzed to know the impact on the differences of saliencies. Second, is the regional identity constructed by uni-dimensionality or multi-dimensionality? And how many factors construct the regional identity if regional identity is the multi-dimensional concept. Third, this research is interested in the impact of socio-economic variables on the each sub-dimensions of regional identity. The data for this analysis come from interview with residents of Gangwon province in 2013. Quota-sampling method is used for proportionate sampling according to area, sex, and age. Sample size is 2,000. Multi-dimensionality of regional identity is analyzed by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using AMOS. This statistical method is suitable for comparing the fitness of the models of sub-dimensions to data.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OLS) is used for the efficacies of socioeconomic variables on each sub-dimensions of regional identity. The important results of this analysis are following. National identity is the most salience of the regional identities according to the scales of regions. And province identity is lower salient than the identity of community level. The impact of education on the regional identity is negative. Age and duration of residence have the positive effects on the regional identity. Other socioeconomic variables don’t have significant effects on the dependent variables. Results of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by using the community-level identity support the acceptability of four-factor model, which fits the data significantly better than one-two-or three-dimensional alternatives. Age and duration of residence have the significant effect on the sub-dimensions of regional identity comparing with other socioeconomic variables. The impacts of variables about community conditions on the sub-dimensions of regional identity is relatively lower than the effect of socioeconomic variables. We discuss the issues and the limitations of this study in the conclusion.

      • 부여의 지역정체성에 대한 지역 주민의 부정적 수용

        박진희 서울大學校 社會科學大學 地理學科 2014 地理學論叢 Vol.59·60 No.-

        지역정체성은 자연발생적으로 형성되는 것이라고 여겨졌다. 그러나 공간의 사회적 구성론의 대두와 더불어 지역정 체성은 국가나 지방정부가 주도하여 특정한 지역정체성을 형성하거나 강화할 수 있는 것으로 인식되기에 이르렀다. 하지만 점차 지역개발방식이 하향식 개발에서 상향식 개발로 변화하고, 주민의 권리의식이 신장되면서 주민참여의 요구가 높아지고 있으므로 지역정체성 역시 지역민의 수준에서 다루어야 할 시의성이 있다고 보았다. 이에 본 연구는‘백제의 수도’로 널리 알려진 부여군을 사례지역으로 삼아 부여 주민이 지역정체성에 대하여 갖는 태도를 파악하고자 하였으며, 연구결과를 요약 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지역정체성에 대한 논의는 지역마케팅이나 지역발전전략과 결합하여 지역판촉에 적합한 정체성을 형성하고 강화하는 데 집중되었으며, 그 과정에서 지역 주민의 입장은 상대적으로 소홀하게 다루어졌다. 본 연구에서는‘부 정적 수용’이라는 개념을 통하여 지역주민이 지역정체성을 대하는 태도를 파악하고자 하였으며, 지역정체성 형성에 관한 논 의와 부정적 수용에 관한 논의를 살펴보았다. 둘째,‘ 백제의 수도’라는 부여의 지역정체성은 자연스러운 과정을 통해 형성된 것이 아니라. 역사적 진정성을 바탕으로 하여 국가와 지방정부의 노력에 의해 형성되고 강화되었다. 셋째, 지역정체성에 대 한 주민의 태도를 파악하기 위하여 설문조사와 심층면접을 실시하였다. 설문조사를 통해 지역정체성에 대해 주민이 가진 태 도를 파악하였고, 왜 부정적으로 수용하게 되었는가를 규명하기 위해 심층면접과 설문조사를 병행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부 정적 수용의 구체적 양상을 파악할 수 있었는데, 지역정체성을 긍정적으로 생각하지만 불만이 있는‘소극적 수용’계층, 지역 정체성을 부정적으로 생각하지만 거부하지 못하는‘비판적 수용’계층이 존재함을 확인하였다. 넷째, 지역 주민이 지역정체 성을 부정적으로 생각하는 원인으로는 경제적 원인과 정책적 원인이 작용하며, 그럼에도 불구하고 거부하지 않는 이유는 역 사적 정통성과 경제적 이득, 정서적 자부심 때문이다. 두 요인이 복합적으로 작용하여 부정적 수용을 야기하게 되었다. 본 연 구는 지역정체성 논의에서 그간 관심이 저하였던 지역주민의 입장에 주목하여, 지역 주민이 지역정체성에 대하여 반드시 긍 정적인 감정을 가지고 있지는 않다는 것을 실증적으로 구체화하였다는 점에서 의의를 가진다. 또, 다른 학문 분야에서 쓰이 고 있는‘부정적 수용’이라는 개념을 지역정체성 논의에 적용하였다는 점, 상대적으로 적게 다루어진 지역 주민의 입장을 다 루었다는 점 역시 의의를 가진다고 할 수 있다.

      • 지역사회의 정체성이 문화적 갈등 해소에 미치는 영향분석 및 정책적 함의

        김학용(Kim Hag Yong) 한국갈등관리학회 2014 한국갈등관리연구 Vol.1 No.2

        본 연구는 논산시를 중심으로 지역사회와 정체성 및 문화적 갈등의 해소에 미치는 영향분석 및 정책적 함의 도출을 위한 실증적 연구로서 주요 내용은 다음과 같다. 첫째, 시민의 정체성 인식은 예학 충절지역과 도농복합적 특화지역, 정체성의 필요성은 자긍심 고취와 상생?협력의 기반, 정체성 약화ㆍ훼손이유는 세대간 인식격차와 도시화 순으로 나타났다. 둘째, 시민의 문화적 갈등 분야는 사회생활분야와 지역개발분야, 갈등 야기요인은 지역간 불균형 개발사업과 학연ㆍ지연ㆍ특정화 등 분파적 갈등, 문화적 갈등의 영향은 주체성 약화와 시민 자긍심 훼손과 세대간 소통단절, 문화적 갈등의 해소ㆍ극복방안은 상호 이해ㆍ절충노력과 대화ㆍ소통 활성화, 갈등해소ㆍ극복을 위한 주체는 지역사회와 시민의 순으로 나타났다. 셋째, 문화적 갈등이 많이 존재할수록 정체성이 필요하며, 문화적 갈등이 심각하다고 느낄수록 정체성이 지역사회 발전에 도움을 주는 것으로 인식하고 있었다. 넷째, 정체성 관련 시사점은 의식 행태 차원에서는 애향심 내지는 자긍심 고취, 시민참여와 협력, 상호존중과 시민의식 개선이, 제도 정책 차원에서는 정체성 확립을 위한 지역특성화, 정체성 강화 프로그램 개발, 미래비전과 지속가능한 지역발전이 필요하다. 또한 문화적 갈등 및 해소 인식 관련 시사점은 의식 행태 차원에서는 소통?공감 및 상호이해, 시민생활화 운동 전개, 상생?협력의 지역 문화 조성이, 제도 정책 차원에서는 지역균형발전 추진, 교육(학습) 강화 및 협의체 구성, 문화적 갈등의 조정 해소 메카니즘 구축이 필요하다. 한편, 지방정부의 문화정책의 체계적 진단?분석 및 합리적 발전방안 수립, 제3의 갈등전문가의 참여와 역할을 위한 공공갈등관리 차원의 접근, 논산시와인접하고 있는 계룡시, 공주시, 부여군 및 익산시 등과 지역간 협력이 요구된다. This paper summarized the main results as empirical research for impact analysis and policy implications derived on the cancellation of a focus on community and identity, and cultural conflict Nonsan as follows. First, the identity of the citizen awareness, ritual study and loyalty complex urban and rural areas and specific areas, the need for identity and self-esteem and cooperation based on mutual inspiration, weakening and undermining of identity was recognized because the gap between generations and urbanization net. Second, the cultural conflict areas and sectors of civil society living area development, conflict factors causing regional imbalance development and Gakken and characterize such delay and sectarian conflict, the impact of cultural identity and inter-generational conflict is weakening and undermining civic pride communication disconnected, the elimination of cultural conflict and ways to overcome mutual understanding and compromise and dialogue and communication efforts enabled, the subject for conflict resolution and overcoming appeared in the order of the community and the citizens. Third, there are many more cultural conflict requires identity was more serious cultural conflict feel that identity is perceived to aid in the development of local communities. Fourth, identity-related implications is the consciousness, behavior-dimensional aehyangsim and inspire pride, civic participation and cooperation, mutual respect and civic consciousness improvement, institutions, policy-dimensional area characterized for establishing the identity, identity strengthening programs, future vision and sustainability possible regional development is needed. In addition, the recognition of cultural conflict and resolving related implications in consciousness, behavior-dimensional communication. Empathy and understanding, civic development exercise daily life, local culture of coexistence and cooperation, institutions, promote balanced regional development dimension in policy, education(learning) strengthening and the council, the adjustment of cultural conflict, resolving mechanism is needed to build. On the other hand, a systematic diagnosis of the local government"s cultural policy analysis and rational development plan in place, a third of the conflict expert involvement and conflict management dimension to the role of public access, Nonsan and in adjacent Gyeryong City, Gongju City, Buye-gun, Iksan City as regional the conflict and cooperation is required.

      • KCI등재

        초국가적 이주에 따른 결혼이주여성의 지역정체성과 생활 변화에 관한 연구

        정유리(Jeong, Yu-Ri) 한국지역지리학회 2016 한국지역지리학회지 Vol.22 No.1

        결혼이주여성의 지역정체성은 특정 장소나 위치에 고정된 것이 아니라 지리적 이동과 새로운 지역으로의 정착을 통해 유연적・유동적으로 구성된다. 본 연구에서는 이주라는 공간적 전환을 통해 구성・재구성되는 결혼이주여성의 지역정체성과 생활 변화에 주목하였다. 이를 위해 결혼이주여성의 지역정체성을 다문화와 이중문화 정체성, 동화와 한 국문화 정체성, 배제와 본국문화 정체성, 주변화와 주변문화 정체성으로 유형화하여 결혼이주여성의 이주 및 정착과정 에서 나타나는 생활 변화 특성을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이주의 실행이라는 동일한 경험을 한 결혼이주여성이라 할지라도 개인적, 지역적 특성과 그 속에서 주어진 역할에 따라 상이한 지역정체성을 형성했다. 또한 대부분의 결혼이 주여성들은 본국문화 정체성의 유지 및 표출에 소극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과반수이상의 결혼이주여성들이 다문화와 이중문화 정체성, 동화와 한국문화 정체성 유형으로 나타났다. 또한 동화와 한국문화 정체성 유형의 결혼이주여성이 다른 유형보다 생활만족도 변화가 크게 나타났다. 이를 통해 여전히 한국사회의 결혼이주여성에게는 동화와 순응이 적응과 동일개념으로 인식됨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그러나 결혼이주여성 및 다문화 가정 자녀의 이문화 역량은 문화와 문화 사이의 교량적 역할을 가능하게 하며, 한국의 다문화사회・다문화공간으로의 전환을 위해서는 서로의 문화를 상호인정하고, 공존할 수 있는 전세계적 시민성 함양이 필요함을 제언했다. The local identity of a female marriage migrant is not fixed to certain boundary or location, but rather comprised flexibly according to geographical movement or new settlement to different place. This research focuses on the local identity and life change of female marriage migrants that are constituted/reconstituted according to spatial transition, or migration. The analysis was conducted to find out traits of changes in the periods of migration and settlement based on the following categorization: multiculturalism and bicultural identity, assimilation and host country identity, exclusion and origin country identity, marginalization and marginal identity. The results are as follows; while having identical experience in terms of a migration, the local identities of marriage migrant women differed according to individual/regional characteristics as well as their respective roles within those traits. In addition, most of females showed passivity in maintaining and exposing their cultural identities of original states. Moreover the life satisfaction change of female marriage migrant that is type of assililation and host country identity is appeared more than others. through this assimilation and accommodation mean adaptation to female marriage migrant lived in Korea. However the intercultural competences of both marriage migrant woman and children in multicultural families facilitate the connection among different cultures. Based on these outcomes, with the transition to multicultural society and space, this research proposes the necessity of fostering global citizenship for mutual recognition of each culture, thus enabling coexistence.

      • KCI등재

        상대적 박탈감이 지역사회 및 스포츠팀 정체성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이용재 ( Yong Chae Rhee ),강준호 ( Joon Ho Kang ) 한국스포츠산업경영학회 2009 한국스포츠산업경영학회지 Vol.14 No.3

        본 연구의 목적은 지역사회 정체성과 팀정체성의 선행요인을 규명하는 것이다. 구체적으로, 지역사회 정체성과 팀정체성 그리고 상대적 박탈감의 관계를 중심으로 상대적 박탈감을 지역사회 정체성과 팀정체성의 선행요인으로 규명하는 것에 있다. 지역사회 정체성과 상대적 박탈감의 관계를 통해 새로운 시각으로 프로스포츠의 기본적인 단위인 지역연고를 이해하고, 상대적 박탈감과 팀정체성의 관계를 규명함으로써 팀정체성의 본질에 대한 새로운 시각을 제시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본 연구는 강원도에 위치한 H 대학교에서 교양체육을 수강하고 있는 대학생 70명과 전라도에 위치한 S대학과 H대학의 학생 80명을 대상으로 연구를 실시했다. 본 연구의 가설을 규명하기 위해 연구대상으로 하여금 상대적 박탈감을 인위적으로 유발하는 점화(priming)기법을 사용하여 상대적 박탈감에 의해 팀정체성이 어떻게 영향을 받는 가를 알아보기 위해 2 Way-repeated ANOVA를 이용한 실험연구를 실시했다. 연구결과에 의하면, 상대적 박탈감과 팀정체성간에는 인과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상대적 박탈감과 지역사회 정체성간에도 인과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상대적 박탈감이 유발된 집단에서 지역정체성이 향상된 것을 볼 수 있는데, 이는 상대적 박탈감과 지역사회 정체성의 인과관계를 증명한 기존의 연구결과와 일맥상통하는 결과라 할 수 있다(박군석, 2003; 한민, 2003; Elermers & Bos, 1998; Kawakami & Dion, 1993). 개인이 상대적 박탈감을 경험할 경우 개인은 내집단애호성향(in-group favoritism)을 보이게 되는데. 본 연구에서는 지역사회정체성의 증가로 나타났다고 보여진다. 또한 상대적 박탈감이 유발된 집단에서 팀정체성이 강화되는 결과도 나타났는데 이는 지역을 대표하는 스포츠팀을 내집단으로 인지하고 내집단애호성향이 발현된 것이라 볼 수 있다. 향후, 프로스포츠구단은 상대적 박탈감과 지역정체성을 고려하여 팀 정체성 강화전략을 수립할 필요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relative deprivation as the antecedents of team identification and regional identification. An experimental study was performed to examine the causal effects. A total of 150 college students from Jeon-ra and Kang-won provinces in Korea were recruited to participate in the experiments. Experimental instruments including news clips and short movie were designed to provoke relative deprivation. Using the priming technique the participants’ sense of relative deprivation was provoked and participants’ changes in team identification and regional identification were monitored. The results indicated that relative deprivation had casual effects on regional identification and team identification. The group with the provoked relative deprivation showed enhanced regional identity. This concurs with the studies that showed a causal relationship between relative deprivation and social identification (Kawakami & Dion, 1993; Elermers & Bos, 1998; Park, 2003; Han, 2003). The results suggest that when people experience the relative deprivation people tend to show an in-group favoritism. In this case the elevation of the regional identification is an evidence of such action. Also the group with the provoked relative deprivation showed enhanced team identification. This clearly shows that the sport team representing the cities were viewed as an in-group and people showed in-group favoritism toward the sport team. Theoretical and managerial implications are provided.

      • KCI등재

        동북아시아 공동체를 위한 지역 정체성과 민족주의

        지은주(池恩周) 신아시아연구소(구 신아세아질서연구회) 2008 신아세아 Vol.15 No.3

        본 논문은 동북아 지역공동체를 구성에 있어서 장애요인으로 지적되고 있는 민족주의의 문제를 다루고 있다. 성공적인 지역공동체를 위해서는 다양한 조건들이 필요하지만 구성주의적 접근에서는 지역 구성원이 스스로를 지역의 구성원이라고 인식하는 지역정체성을 형성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본다. 동북아시아 국가들은 지리적 인접성, 한자, 그리고 유교문화로 인해 공동의 인식기반을 마련할 수 있는 유리한 조건들이 존재하기 때문에 일반적으로 동북아시아의 지역정체성의 구성은 상대적으로 용이할 것이라고 생각되어 왔다. 그러나 유럽과 동남아시아가 활발한 지역협력을 이루어 가고 있는 것과 상반되게 동북아시아는 낮은 지역협력의 수준과 낮은 지역정체성을 보이고 있는데 그 원인 중에서 핵심적으로 지적되는 것이 동북아 국가들의 높은 민족주의이다. 그러나 유럽공동체나 동남아시아의 협력사례는 민족주의가 존재함에도 불구하고 지역정체성의 구성이 가능하다는 것을 보여준다. 이는 지역 정체성은 민족주의와 충돌하기도 하지만 일정한 조건 하에서는 민족주의와 화합 할 수 있는 측면이 있다는 것을 보여준다. 본 글은 유럽과 동남아시아의 사례와 비교해 보았을 때 동북아시아의 민족주의의 어떠한 문제점이 지역정체성의 구성과 공존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지를 구성주의적 입장에서 진단하고 있다. This paper aims to explain the role of "Nationalism" in Northeast Asia communities from constructivist perspective. Constructivism insists that regional identities are important for promoting regional cooperation. As for Northeast Asia, it is known that they could easily construct regional identities because of their geographic closeness, Chinese character and confucianism. It is believed that these similarities and common bases could create regional identities and lead the regional cooperations. However, Even if 20 years have been passed since the first meeting of Northeast Asia countries including China, Japan and Korea at Singapore, no further progress has not been made. The main obstacle for this is known as "Nationalism." Therefore, this paper exams the "Nationalism" in Europe communities and Southeast Asia cooperation which allows multiple identities. Then it finds out the what kind of Nationalism is being an obstacle for constructing regional identities in Northeast Asia.

      • KCI등재

        과천 신도시의 주민 되기

        윤택림(Yoon Taek-lim) 역사문화학회 2008 지방사와 지방문화 Vol.11 No.2

        이 논문은 한국사회에서 강력하게 작동하고 있는 지역정체성의 실체는 무엇인가하는 문제제기로부터 시작된다. 지역정체성은 긴 역사와 문화를 지닌 확고한 개념으로 인식되고 있는데, 그렇다면 다양한 이주민들로 구성된 신도시에서는 과연 지역정체성은 있는가. 이 질문에 답하기 위해서 본 연구자는 한국 최초의 신도시인 과천시 주민들의 정착 과정 속에서 토박이들의 변화상과 다양한 이주민들의 이주 과정을 살펴본다. 과천 신도시 사람들은 어떤 지역정체성을 만들어가는 가를 살펴보기 위하여 토박이와 이주민들의 구술생애사 자료를 사용한다. 또한 과천 신도시 주민들은 다수의 지역정체성을 가지고 있음을 밝히고, 그러한 지역정체성의 의미는 무엇인지를 논의하고자 한다. 연구 결과, 과천 신도시 주민들은 과천이 ‘좋은 환경을 가진 부자 동네’라는 지역의 정체성을 공유하고 있지만, 출신 지역의 다양성으로 인하여 과천 이외의 다른 지역정체성을 가지고 있다. 과천 주민들은 공유된 역사와 문화에 기초한 지역정체성을 가질 수 없기 때문에, 토박이와 이주민들을 통합할 수 있는 현실적인 쟁점들과 미래에 대한 비젼에 따라 과천이라는 지역의 정체성이 만들어질 수밖에 없다. 결론적으로 현재 신도시 주민들은 다수의 지역정체성을 가지고 있으며, 주민들이 공유할 수 있는 지역의 정체성은 필요에 따라서 만들어지고 형성되어지는 역동적인 개념임을 알 수 있다. This article starts with the question of what the local identity having such a powerful influence is in Korean society. Local identity has been considered to be based on the long history and culture of a locality. Then is there any local identity in the new towns composed of diverse migrants with different origins? To answer this question, I examine the changes in the lives of Gwacheon natives and the migration of new towners in the process of urbanization of Gwacheon since the 1960’s. With oral life histories of the natives and the migrants, I look into the formation of residents’local identity and the identity of Gwacheo as a locale. I will argue that Gwacheon new town residents have multiple local identities and discuss its implications. As a result, it is clear that the residents share the identity of Gwacheon as ‘a rich community with good environment’. But the migrants have multiple local identities since they came from other places than Gwacheon City. Since Gwacheon residents can not have the local identity based on shared history and culture, the identity of Gwacheon seems to be made and remade according to the present issues such as environment or transportation, and visions for the future. In conclusion, new town residents are likely to have multiple local identities which make the identity of a locale very dynamic and situational.

      • KCI등재

        지자체 농산물 공동브랜드에 나타난 지역 정체성 연구

        이미정 한국브랜드디자인학회 2020 브랜드디자인학연구 Vol.18 No.4

        농산물 공동브랜드는 지자체의 농산물 공동브랜드 경쟁이 심화되고 브랜드 개발이라는 시대적 요청과 소비자의 가치 변화, WTO와 시장개방이라는 국제적인 경쟁력을 갖추기 위 한 하나의 전략 모델로 출발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과정에서 일부 지자체들의 농산물 공동브랜드가 성공하자 수많은 지자 체에서 농산물 공동브랜드가 난립하면서 지역의 정체성을 찾 아보기가 더욱 힘들어졌다. 연구목적은 첫째, 지역별로 농산 물 공동브랜드가 지역 정체성이 어떻게 나타나고 있는지? 둘 째, 지역별로 농산물 공동브랜드가 지역 정체성의 차별화가 있는지?를 살펴보고, 지자체에서 농산물 공동브랜드를 개발 할 경우 지역 정체성을 잘 적용하여 개발할수 있도록 정보를 제공하고자 한다. 연구대상은 12개 지역의 지자체 농산물 공 동브랜드 136개를 대상으로 분석하고, 분석방법은 지역별로 농산물 공동브랜드를 지역 정체성의 5개 구성 요소(자연적, 역사적, 생활적, 지역명, 복합적 요소)로 분류하여 분석한다. 연구결과, 첫째, 12개 지역 중 복합적 요소가 9개 지역이며, 자연적 요소가 3개 지역이다. 현재 표현된 브랜드를 보면 2개 이상의 구성 요소가 가장 많이 나타났으며, 여기에 자연적 요 소와 지역명이 대부분을 차지한다. 둘째, 대부분 지역명과 자 연적 요소로 나타나 지역별 차별화가 거의 나타나지 않는다. 이유로는 지역마다 지역을 대표하는 자연경관과 이를 대변할 수 있는 네이밍에 대한 깊은 연구가 이루어지지 않고 단순히 자연경관의 표현작업에만 의지하여 개발했기 때문이다. 따라 서, 지역 농산물 공동브랜드가 일류 공동브랜드로 성장하기 위해서는 지역 브랜드가 가지고 있는 특성을 살려 개발의 목 표를 분명히 하고, 차별적 요소를 반드시 가져야 한다. Agricultural Cooperative Brand started as a strategic m odel to gain international competitiveness, such as the int ensification of competition for Agricultural Cooperative B rands of Local Governments, the demand for brand devel opment, changes in consumer values, and the opening of the WTO and markets. The purpose of the research is: First, how is the regional identity of the Agricultural Coo perative Brand by region? Second, it examines whether there is a distinction in regional identity for Agricultural Cooperative Brands by region, and when Local Governme nts develop Agricultural Cooperative Brands, information is provided so that local identity can be applied well to develop. The study targets 136 Agricultural Cooperative Brands of Local Governments in 12 regions, and the anal ysis method is based on the Agricultural Cooperative Bra nds in each region and five components of regional identi ty (natural factors, historical factors, life factors, region names), Complex elements). As a result of the study, firs t, out of the 12 regions, nine regions were complex eleme nts and three regions were natural elements. When looki ng at the currently expressed brands, two or more compo nents are the most common, and natural elements and loc al names are the majority. Second, most of them are repr esented by region names and natural factors, so there is little difference between regions. The reason is that there is no deep research on the natural landscape representing the region and the naming that can represent it in each region, and it was developed by simply relying on the ex pression work of the natural landscape.

      • KCI등재

        대학생의 지역정체성에 대한 연구

        심재권(Shim, Jae Kwon),황정희(Hwang, Jung Hee) 한국지방정부학회 2014 지방정부연구 Vol.18 No.1

        오늘날 지역이 삶의 장으로 등장하고 경제, 문화, 사회 활동의 주요단위로서 인식되면서 해당 지역의 정체성에 대한 인식 및 확립은 지역발전의 핵심적 요소가 되고 있으며, 이를 뒷받침해 줄 수 있는 것이 지역학이다. 이에 이 연구는 지역학(천안학)을 수강하는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출신지역에 대한 인식 수준을 파악하고, 지역에 대한 인식 및 지역학 수강과 관련하여 지역정체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고찰하였다. 분석의 결과, 학생들의 출신지역에 대한 이해도, 관심도, 만족도, 정보습득정도, 정체성의 수준은 높지 않았다. 구체적으로 남학생이 여학생보다 높았고, 출신지역의 거주기간이 대체로 오래될수록 지역에 대한 모든 인식 정도가 높게 나타났다. 농촌중심도시를 제외하고 도시규모가 클수록 출신지역에 대한 전반적인 만족도도 높았다. 지역정체성의 경우에는 농촌중심도시가 가장 높았으며, 대체로 규모가 클수록 정체성 수준은 낮게 나타났다. 한편 지역정체성에 지역학 수업 만족도, 출신지역에 대한 이해도, 관심도, 만족도, 정보습득정도가 모두 유의한 영향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 연구는 지역학과 지역정체성과의 관계를 다룬 초기 연구로서 지역학의 역할을 지역정체성 관점에서 고찰해 보았다는데 그 의의가 있다. Because the region appears as stage of life and is realized as major unit of economy, culture, and society activities in globalization, the clear realization and establishment on regional identity are the important elements and they are feasible by the Area studies. Therefore this study examines university students' realization on their region and the relationship among awareness of region of birth, class of area studies and regional identity. As a result of analysis, the extent of realization on their region was not high and male students were higher than female students. The longer the residence period, the higher the region understanding, region interest, region satisfaction, information acquisition of region, and regional identity. In satisfaction on their region the lager city size, the higher the extent of satisfaction except rural community. The rural community was the highest in regional identity. But mostly the higher city size, the lower the level of region identity. In addition, all of influence factors on regional identity had a effect on it significantly. The most influencing factor was the region interest and was followed with region satisfaction, information provision on region, Area studies satisfaction, region understanding. This study is different from previous studies in examination the relationship between Area studies and regional identity for the first time and the role of Area studies in prospective of regional identity.

      • KCI등재

        지역사회복지의 정체성에 관한 연구

        박태영(Park, Tae-Young) 한국지역사회복지학회 2012 한국지역사회복지학 Vol.0 No.43

        본 연구는 지역사회복지의 문헌과 실천현장의 상황들을 조망하여 지역사회복지의 정체성을 도출하고, 이를 강화하기 위한 방향을 제안함으로 우리나라 지역사회복지의 기틀을 마련하는데 기여함을 목적으로 한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사회복지학상의 지역사회복지 정체성과 현장에서의 지역사회복지 정체성을 동시에 검토하여 그 정체성을 주체성, 지역성, 종합성, 양면성으로 도출한 후, 이를 더욱 강화해 나가기 위한 방향으로 주민참가의 강화, 지역사회복지에서 다루는 이슈의 확대, 지역사회복지로의 실천 프레임워크의 전환, 지역사회복지 실천기술의 개발 등을 제안하였다. 지역사회 중심의 사회복지실천이라는 큰 흐름을 타고 있는 시점에 지역사회복지의 정체성에 대한 논의는 지역사회복지의 학문적 기반강화와 더불어 실천현장의 방향성 정립에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the literature of community welfare and its conditions of practice fields to yield the identity of community welfare, and by suggesting directions of community welfare as a way of its reinforcement, and to contribute to establishing a framework for community welfare of the country. To achieve this purpose, this study examined both the identity of community welfare in the current literature and that of the fields at the same time to derive subjectivity, locality, integration, and ambidexterity from the identity, and then proposed strengthening of citizen participation, expanding the issues tended by community welfare, the switchover of practice framework to community welfare, development of practice skills for community welfare, etc. as directions to reinforce community welfare. In this moment with a ride on a bid stream of community welfare practice centered by the community, the discussion of the identity of community welfare will contribute to the establishment of orientation for the practice fields as well as firming up of an academic framework for community welfar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