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국가 교육과정 설계에서 핵심역량 설정의 필요성에 대한 이론적 탐색

        한혜정 ( Hyechong Han ) 한국교육과정학회 2021 교육과정연구 Vol.39 No.2

        본 논문은 국가 교육과정 설계에서 핵심역량을 설정해야 하는 필요성을 설명하기 위하여 역량 교육 담론과 형식도야이론의 차이점, 역량 교육과 생활적응교육의 차이점, 역량중심 교육과정과 학문중심 교육과정의 공통점과 차이점을 살펴보았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역량 교육 담론은 역량이 기성의 능력이 아니라 다양한 교과 교육이 공통적으로 추구하는 상위의 목적이라는 점에서 형식도야이론이 야기하는 ‘내용과 형식의 분리’라는 오류를 저지르지 않는다. 둘째, 역량 교육에서 강조되는 ‘지식교육과 삶의 연계’에서 삶은 생활이 아니라 다양한 인간다운 삶의 양식이 존재하는 사회적 실제를 의미한다는 점에서 역량 교육은 생활적응 교육과 다르다. 셋째, 역량중심 교육과정과 학문중심 교육과정의 공통점은 양자가 모두 교육내용으로서 지식의 구조에 대한 학습을 강조한다는 데에 있다. 학문중심 교육과정과 달리 역량중심 교육과정은 지식 습득이 삶과 연계되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교과 간 통합이나 융합을 강조한다. 이러한 결론에 기반할 때, 국가 교육 과정 설계에서 핵심역량을 설정해야 하는 필요성은 무기력한 지식 학습의 폐단을 극복하여 학생들로 하여금 지식을 ‘생생하게’ 습득하도록 하는 데에 있다고 볼 수 있다. In order to discuss the reasons for establishing core competencies in national curriculum design, this study tries to explain the differences between the discourse of competency education and the theory of formal discipline, the difference between competency education and life adjustment education, and the commonalities and differences between competency-centered curriculum and academic-centered curriculum. The results are as follow. First, the discourse of competency education does not make the mistake of ‘separation of content and form’ that the theory of formal theory makes. Because the competency is not real abilities of mind but higher aims that various subject educations commonly pursue. Second, in 'the articulation between knowledge education and life' emphasized in competency education, life is not ordinary life but refers to social practices in which various human life modes exist. Therefore, competency education differs from life adjustment education. Third, the commonality between the competency-centered curriculum and the academic-centered curriculum is that both emphasize learning the structure of knowledge. Unlike the academic-centered curriculum, the competency-based curriculum emphasizes integration between subjects. Based on these conclusions, the reason for establishing core competencies in the national curriculum is to overcome the practice of fragmentary or dead knowledge learning so that students can acquire knowledge vividly in connection with real life.

      • KCI등재

        초복잡성 사회의 대학 이념과 교육과정

        정철민 ( Chul Min Jung ),유재봉 ( Jae Bong Yoo ) 한국교육철학학회(구 교육철학회) 2011 교육철학연구 Vol.33 No.1

        대학의 위기는 늘 존재해 왔으나, 현대 대학이 직면한 위기는 초복잡성 사회를 배경으로 한다는 점에서 이전의 위기와 다르다. 초복잡성 사회의 대학 이념은 이전과 다른 성격의 도전에 직면해 있으며, 이것은 대학 교육과정에 있어서도 변화를 예고하고 있다. 전통적으로 대학 교육과정과 관련된 논의는 자유교육 이념을 바탕으로 한 지식 중심 교육과정이 지배적이었다. 그러나 그것은 실제 삶의 맥락에 있어서 무기력하다는 비판을 받는다. 이런 문제를 극복하기 위해 효율성과 자유 경쟁 등을 강조하는 시장주의 이념을 바탕으로 한 시장 중심 교육과정이 제기된다. 그러나 시장 중심 교육과정은 교육을 수단화시킨다는 점에서 한계를 노정하고 있다. 불확싱성과 다양한 논쟁의 가능성에 열려 있는 초복잡성 사회에 적합한 교육과정은 지식 또는 시장 원리 어느 하나로 환원될 수 없다. 이 논문에서는 지식 중심 교육과정과 시장 중심 교육과정의 한계를 넘어 초복잡성 사회 맥락에 적합한 교육과정을 탐구하고, 그 대안 중 하나로 역량 중심 교육과정의 의미와 가능성을 검토한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xplore a university curriculum which is suitable for a supercomplex society. To this end, we critically examine the limits of a knowledge-oriented curriculum and a market-led curriculum which are dominant in a current university curriculum, explore characteristics of a university curriculum in a supercomplex era, and consider a competence-based curriculum as a candidate for a supercomplex society. A knowledge-oriented curriculum as a dominant idea of a university curriculum is based on a liberal education idea. It is purpose of a liberating human mind through the pursuit of knowledge for its own sake. But it is inclined to overlook needs of actual life. In contrast, a market-led curriculum addresses that education should solve real-life problems through the pursuit of economical efficiency. However, it tends to disregard the intrinsic value to education. A knowledge-oriented curriculum and a market-led curriculum have a common limit in that they are not appropriate for a supercomplex society. A supercomplex society has four features: uncertainty, unpredictability, contestability, and challengeability. A curriculum for a supercomplex society should include a self. It entails that changing from knowledge to knowing and from technique to method. A curriculum for a supercomplex society should be flexible and open. A competence-based curriculum might relevant to a curriculum for a supercomplex society. Competence shares with features of supercomplex in terms of epistemology and empiricism. The idea of a university should be specified by establishing a university curriculum. They are complementary. In conclusion, Korean university should not only discuss an idea of a university, also prepare a university curriculum for a supercomplex society.

      • KCI등재

        백워드 설계를 통한 역량기반 교육과 이해중심 교육과정의 통합 방안

        강현석,이지은 사단법인 인문사회과학기술융합학회 2018 예술인문사회융합멀티미디어논문지 Vol.8 No.1

        We have understood that school curriculum should be designed and implemented by deep learn ing and authentic understanding. So, How can we approach these aims in curriculum development? This article intends to study the integration of competence-based education and understanding by design. These two elements have been studied separately in recent studies. Findings indicate that the educational values and positions of both sides are very similar. Competence-based education is focused on developing the abilities to abandon fragmented knowledge education and the way to understand the content and therefor perform better. It further focuses on enduring understanding. This study is based on the above and explores the integration methods of both. Competence-based education aims to improve the uselessness of invaluable knowledge which is not useful in the context of memorization and acquisition of the expression and the relevant experience and practice, either. It has a lot of things in common with understanding by design which emphasizes the enduring understanding of learners, especially the ways to build a curriculum and manage it. In this study, we have explored the integration methods setting importance on the backward design. Integration of competency-based education with UbD is discussed by two lines within curriculum development. First, competency and understanding as educational aims, contents, teaching method, evaluation can be integrated by key competency and authentic understanding. Second, we may teach competency itself as content in instructional settings. In the future we should study the approach to authentic integration of the two. 최근 학교 교육과정 변화의 폭과 깊이가 크다. 한국 교육과정 개정의 역사를 볼 때 내용 적정화와 학습자 중심 교육과정 추구는 매우 공통적인 화두였다. 현재 교육과정의 양상은 과거보다 매우 진일보한 수준으로 향상되었으나 학습자, 교사, 학부모가 느끼는 수준은 국가나 전문가의 인식 수준과는 큰 차이가 있다. 최근 2015 개정 교육과정의 적용을 두고서도 많은 논의가 활발하다. 그 중심은 역량기반 교육과 이해중심 교육과정에 모아지고 있다. 본 연구는 이러한 점에 착안하여 최근에 강조되는 역량기반 교육과 이해중심 교육과정의 통합 방안을 논의한 것이다. 최근의 연구 경향을 보면 이 양자는 별도로 논의되는 실정이다. 그러나 양자가 추구하는 교육적 가치나 입장은 매우 유사한 측면이 강하다. 역량기반 교육은 단편적인 지식교육을 지양하고 제대로 이해하고 실천할 수 있는 능력을 기르는 데 초점을 두며, 이해중심 교육과정은 진정한 이해에 초점을 두고 있다는 점에서 매우 유사하다. 이러한 입장은 학교교육과정 개발에서 중요한 측면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양자의 통합 방안을 시론적으로 논의하는 데에 초점을 둔다. 지식의 단편적인 암기와 습득, 경험과 실제 맥락의 괴리, 무기력한 지식교육을 개선하고자 하는 역량기반 교육은 학습자들의 진정한 이해를 강조하는 이해중심 교육과정과 그 교육과정 설계와 운영 면에서 공통점이 매우 많다. 본 연구의 주제인 역량과 이해를 타당하게 이해하고, 거기에 기초하여 백워드 설계를 중심으로 양자의 통합방안을 탐구해 본 것이다.

      • KCI등재

        교과 교육과정 지식과 기능 영역의 의미와 설계 방식 고찰: 국어과 교육과정을 중심으로

        온정덕 ( Jungduk Ohn ),윤지영 ( Jiyoung Yoon ) 한국교육과정학회 2021 교육과정연구 Vol.39 No.2

        본 연구는 교과 교육과정의 구성요소로서 지식과 기능 영역의 의미에 대해 고찰하고, 절차적 지식을 중심으로 다루는 교과 교육과정 내용 체계의 문제점을 분석하여 설계 방식을 논의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OECD 학습 나침반 2030의 개념을 기반으로 하여 지식과 기능 영역의 내용을 확인하였고, 이를 바탕으로 기능 교과로 대표되는 2015 개정 국어과 교육과정 문서의 내용 체계를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지식 영역에 있는 전략, 과정의 절차적 지식이 기능 영역의 내용과 중복되어 있는 점, 내용 영역에서 제시한 기능의 역할과 수준이 서로 다른 점, 지식 영역의 내용 요소는 핵심개념을 뒷받침하기에 충분하지 않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에 대해, 교과 교육과정의 내용 체계는 지식 영역에서 서술적 지식뿐만 아니라 절차적 지식을, 기능 영역에서 사고 과정과 사고 기능을 다룰 필요가 있으며, 지식과 기능 영역을 유기적으로 연결하는 학습 기준을 설정하고, 전 학년에 동일하게 적용되는 학습 요소를 중심으로 지식과 기능을 심화할 수 있는 방식으로 설계되어야 함을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meaning of knowledge and skills as the framework of subject curriculum and to analyze the content framework of subject curriculum focused on mastering skills in order to discuss and suggest some implications for curriculum design. To achieve the purpose, we reviewed the meaning of knowledge and skills for curriculum design in OECD Learning Compass 2030, and analyzed the 2015 revised Korean Language Curriculum document. As a result of analysis, procedural knowledge like strategies and processes in knowledge category was duplicated in Skill category, the skills presented in content categories have different roles and level. And key concepts in Knowledge category are not supported by content elements. This study provides the following implications. First, Knowledge category in content frameworks should contain procedural knowledge and Skill category should deal with thinking processes and thinking skills. Second, the learning outcome should be presented in the way of showing the relationship between knowledge and thinking processes/skills. Third, content elements presented in all grades should be designed to deepen knowledge and skills.

      • KCI등재후보

        '학교교육과정'의 재해석 : 교사의 역할을 중심으로 Based Curriculum Theory

        김인 한국교육과정학회 2003 교육과정연구 Vol.21 No.3

        이 글은 학교교육과정의 도입과 관련된 논의를 검토함으로써 학교교육과정의 의의를 규명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학교교육과정은 기존의 국가교육과정이 지닌 문제점을 해결해 줄 대안으로 받아들여지고 있다. 학교교육과정의 도입이 타당성을 지니려면 그것은 국가교육과정의 관련에 비추어 논의되어야 한다. 학교교육과정은 국가교육과정에서는 이루어지지 못한 교육과정의 효율적 운영과 학습권 보장, 그리고 교사의 전문성 신장을 위한 방안으로 파악되고 있다. 그러나 국가교육과정과 학교교육과정을 이런 식으로 차별화하는 것은 학교교육과정의 의의를 제대로 규명하는 것이 될 수 없으며 학습자의 학습권, 교사의 전문성, 교육과정의 효율적 운영이 무엇을 의미하는가를 드러내지 못한다. 학습권, 교사의 전문성 등은 학교교육과정의 시행 여부에 의하여 보장되는 것이 아니라 교과지식 자체의 성격에 의하여 규정되는 것이다. 이러한 관점에 비추어 볼 때 학교교육과정은 교육에서 교사의 위치가 무엇보다 중요하며 교사의 권위와 자율성의 보장은 진정한 의미의 학습권-학습자가 지식의 성격에 충실하게 교육받을 수 있는 권리-를 보장하는 방안이라는 점을 강조하는 것이라고 말할 수 있다. With the 7th revised national curriculum, the arguments of school-based curriculum theory have been recently unfolded. School-based curriculum is appraised at reformative measure of curriculum. But school-based curriculum is not replaced national curriculum, school-based curriculum development is considered within the framework of national curriculum development. It is said that the purpose of school-based curriculum consists in decentralization of authority in the curriculum decision-making and improvement on the professional development of a teacher, and guarantees students' right of studying. And it is said that these are the characteristics of school-based curriculum, on the other hand national curriculum has some limits in achieve-ment of these purposes. In the relation of school-based curriculum, improvement on the professional devel-opment of a teacher is interpreted as the enlargement of teachers' participation in the curriculum decision-making, and students' right of studying is interpreted as the right of students' choice in subject matters. In this sense, school-based curriculum must be the reformative measure of curriculum. However, the concept of the professional trait of teacher and students' right of studying are needed to be interpreted newly. On the one hand, the professional trait of teacher means not teachers' participation in the curriculum decision-making but teachers' ability in teaching. Teacher should have an insight, understand subject matters and comprehend the meaning of teaching knowledge. These abilities of teacher decide the level of education. On the other hand, students' right of studying means not the right of students' choice in subject matters but the right of learning knowledge fitting its traits. For this, it is essential to teachers' active participation in learning and improvement of teachers' ability. School-based curriculum can be interpreted as following assertion. The concept of the professional trait of teacher and students' right of studying are needed to be interpreted in view of the nature of knowledge. In this way, teachers' ability in teaching is very important, because it guarantees students' right of studying. In con-sequence, the assertion that school-based curriculum is necessary emphasizes the importance of teachers' ability and role in teaching.

      • KCI등재

        유아교사의 PCK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재개념화

        최윤경(Choi yoon kyeong),임부연(Lim boo-yeun)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1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1 No.10

        목적 본 연구는 국가 수준 교육과정인 누리과정이 2019 개정 누리과정을 중심으로 유아교사의 PCK를 재개념화하는 데 그 목적이 있으며, 2019 개정 누리과정의 개정 방향인 유아⋅놀이 중심의 교육과정 실행과정에서 유아교사의 PCK가 어떻게 재개념화되어야 하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방법 PCK에 대한 선행 연구들을 분석하여 PCK가 어떻게 정의되고 있는지 알아보며, 유아~놀이~배움이라는 특수성을 가진 유아교육에서 PCK를 어떻게 재개념화해야 하는지 Pedagogy, Content, Knowledge의 개별적 의미를 논의해 보고 유아교사의 PCK를 구성하는 데 어떠한 특성이 있는지 분석해보며, 마지막으로 종합적인 관점으로 정리해 보았다.결과 PCK에서 Pedagogy는 교수, 가르침, 배움, 학습 등 하나로 정의할 수 없는 얽힘과 복잡성 속에서 교육과정을 실천하는 교사의 전문성을 말하며, Content는 유아의 세계, 삶, 경험, 기억, 몸, 감각, 놀이로 표현되는 교육내용이며, Knowledge는 맥락적이며 암묵적이고 창조적으로 생성하는 실천적 지식을 말한다. 유아교사의 PCK는 유아에 대한 이해, 놀이에 대한 이해, 배움에 대한 이해, 교육과정(내용)에 대한 이해, 환경(시공간, 매체, 교실) 등의 이해로 구성된다.결론 본 연구를 통해 2019 개정 누리과정에서 제시한 유아⋅놀이 중심 교육과정을 실행하기 위해 유아교사가 어떠한 PCK를 가져야 하는지 살펴볼 수 있었다. 유아교육이라는 특수성에 맞추어 PCK를 분석하였을 때 놀이를 통한 유아들의 배움이 교육내용이며, 교사들에게는 Content Knowledge가 될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효율적으로 정답만을 추구하는 교수방법이 아닌 교사의 페다고지 즉, 교육을 실천하는 실행성이자, 교사가 교육과정을 실행할 때 교육내용을 지식으로 보지 않고 유아의 경험으로 보는, 놀이를 통해 유아들의 배움이 펼쳐지는 것을 지원해주는 실천성이었다. Objectives The purposes of this study is to reconceptualize the PCK of early childhood teachers in the Nuri curriculum, which is a national-level curriculum, focusing on the 2019 Nuri curriculum. We tried to find out how the PCK of early childhood techers should be reconceptualized. Methods Analyzing previous studies on PCK to find out how PCK is defined, how to reconceptualize PCK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with the specificity of young child~play~learning, discuss individual meanings of pedagogy, content, and knowledge, and finally summarized it from a comprehensive perspective. Results In PCK, Pedagogy refers to the expertise of a teacher who practices the curriculum in the entanglement and complexity that cannot be defined as teaching, learning. Content refers to the world, life, experience, memory, body, sense, and play of children. It is an educational content expressed as, and Knowledge refers to practical knowledge that is contextual, tracit, and creatively created. The PCK of early childhood teachers consists of understanding of young children, understanding of play and curriculum and environment. Conclusions Through this study, it was possible to examine what kind of PCK early childhood teachers should have in order to implement the early childhood curriculum and play-centered curriculum proposed in the 2019 Nuri curriculum. When PCK was analyzed according to the specificity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it was found that the learning of children through play is the educational content, and it can be the content knowledge for teachers. It is not the teaching method that seeks only the correct answer efficiently, but the pedagogy of the teacher, that is, the practicality of practicing education, and when the teacher executes the curriculum, the learning of children through play, seeing the contents of education not as knowledge but as children’s experiences. It was practicality that supported the unfolding.

      • KCI등재

        이해중심 교육과정의 두 원천이 교육과정의 성격과 교사의 역할 논의에 주는 시사

        이승은 ( Lee Seungeun ) 한국초등교육학회 2021 초등교육연구 Vol.34 No.2

        본 연구는 Tyler와 Bruner의 교육과정 이론을 중심으로 이해중심 교육과정의 이론 구조를 분석하고, 이를 바탕으로 교육과정의 성격과 교사의 역할에 주는 시사를 탐색하였다. 이론 구조 분석을 통하여, 이해중심 교육과정이 '수행 없는 이해'와 '이해 없는 수행'이라는 두 방향의 문제 사태를 해결하고자 한다는 점, 핵심 개념인 이해에 대한 의미의 구성이 요청된다는 점, 이해의 의미를 구성하기 위해, 전이, 영속적 이해, 핵심 질문에 대한 탐색이 요청된다는 점 등을 확인하였다. 다음으로 이해중심 교육과정의 두 원천이 되는 Tyler와 Bruner 이론을 재조명함으로써, 백워드 설계의 출발점인 이해에 대한 합리적 설명 가능성, 백워드 설계 속에 지식의 구조 개념을 수용하는 방식, 이해중심 교육과정과 Bruner의 대담한 가설과의 관련 등을 확인하였다. 마지막으로, 이해중심 교육과정의 성격과 관련하여 이해의 개념, 교육과정 분절화, 이해의 증거가 갖는 성격, 지식의 구조론과의 관련, 교육목적의 제약 등과 관련된 논의를 살핀 후, 이로부터 함의되는 교사의 역할을 살펴보았다. 이해중심 교육과정에서 교사의 역할은 당사자적 측면보다 설계의 관리자 측면이 강조되고 있다는 점을 확인하였다. This study analyzed the theoretical structure of Understanding by Design(UbD) on the basis of Tyler and Bruner's curriculum theory. Based on the analysis, this study also explored the implications of UbD and the role of teacher implied by UbD. With the theoretical analysis, this study found that UbD attempts to solve the problems of understanding without performance and performance without understanding at the same time; that UbD is required to construct the meaing of understanding itself; and that UbD requires exploration of the terms such as transfer of learning, enduring understanding, and essential questions to consruct the meaning of understanding. With the re-examination of the two resource theories of UbD, that are Tyler and Bruner repectively, this study found that there exists a possibility of reasonable explanation for the key concept of understanding in backward design; that there is a way of accepting the concept of the structure of knowledge into the backward design; and that the UbD is involved in the embodiment of the Bruner's bold hypothesis. Finally, this study explored several discussions on the nature of UbD itself. Discussions include such topics as a concept of understanding, a problem of fragmentation, doubts on the nature of evidence, relationship with the theory of structure of knowledge, and limitations of educational purpose. Based on the discussion, this study also explored roles of teacher implied in the Ubd which emphasize the teacher's role of manager in the design rather than that of active participant.

      • KCI등재

        인본주의적 소설 교육의 방법론과 방법 - 학문중심 교육과정의 ‘방법론’과 이해중심 교육과정의 ‘방법’을 결합하여 -

        박수민 한국문학교육학회 2019 문학교육학 Vol.0 No.62

        「소설 교육의 방법론과 방법」은 소설의 인본주의적인 특성을 훼손하지 않으면서도 합리적이고 절차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 소설 교육의 방법을 모색한다. 먼저, ‘방법론’과 ‘방법’의 위계와 관계를 개념적으로 규정한다. 다음으로, 학문중심 교육과정과 이해중심 교육과정의 ‘방법론’과 ‘방법’을 구분한다. 이어서 이해중심 교육과정의 ‘방법론’과 ‘방법’을 구분하고, 학문중심 교육과정의 ‘방법론’과 이해중심 교육과정의 ‘방법’인 백워드 설계 모형을 결합한다. 이와 같은 방법론과 방법의 교차 결합으로 소설 교육의 한 가지 가능성을 제안한다. 본고가 문학교육에서 이해중심 교육과정을 이론적으로 이해하고 비판적으로 수용하는 일에 기여하기를 바란다. This study discusses the method of novel education, which can be reasonably and scientifically done without compromising the humanistic character of novels. First, conceptually separate the hierarchy and relationships of methodologies and methods. Based on this, distinguishes the methodologies and methods of discipline centered curriculum and understanding by design. And then, combine the methodology of discipline centered curriculum with the method of understanding by design, the backward design. Through this cross-combination, propose a case of novel education. It is hoped that this study will contribute to a critical understanding of and flexible acceptance of an understanding by design in the discourse of literary education.

      • KCI등재

        지식의 구조 관점으로 본 실과 교육과정의 변화 방향

        이동원(Lee, Dong won)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0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0 No.18

        이 연구의 목적은 역량중심 교육과정으로의 교육과정 변화에 대비하여 실과 교육과정에 대하여 분석해 보고 미래 교육과정에서 실과 교육과정이 어떻게 변화해야 하는지를 고민해 보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지식의 구조’ 관점에서 2015 개정 실과 교육과정을 분석하였으며 그 결과 실과가 쌓아 왔던 교육내용들에서의 계열성 부족 문제, 성취기준, 성취기준 해설, 교수학습방법 및 유의사항에서 실과의 ‘지식의 구조’를 잘 나타내지 못한 문제들을 확인할 수 있었다. 따라서 앞으로의 교육과정 변화에서는 첫째, 나선형 교육과정을 고려하여 교육 내용을 선정하고, 성취기준, 성취기준 해설, 교수학습방법 및 유의사항에서 실과의 ‘지식의 구조’를 담을 필요성이 있다. 둘째, 미래사회에서 ‘삶을 영위’하기 위해서 교육 내용들에 ‘가치’를 담을 필요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Practical Arts curriculum in preparation for changes into a competency-oriented curriculum and to consider how the Practical Arts curriculum should change in the future based on this. Analyzing result focused on the ‘Structure of Knowledge’, the sequencing in the educational contents has accumulated shows a part of collapse. In addition, it was confirmed that the Structure of Knowledge of the Practical Arts was not well represented in the achievement standards, explanation of achievement standards, teaching and learning methods, and precautions. Based on this, Practical Arts Curriculum needs to be change in two aspects. First, in the future curriculum, it is necessary to select the contents of the education in consideration of the spiral curriculum in order to supplement the above-mentioned problems. Second, in order to ‘Lead a life’ in the future society, it is necessary to include ‘value’ in educational contents.

      • KCI등재

        놀이 중심 유아교육과정의 교육내용에 대한 분석

        최윤경(Yoon-Kyeong Choi),임부연(Boo-Yeun Lim) 한국영유아교육과정학회 2023 영유아교육과정연구 Vol.13 No.4

        본 연구의 목적은 유아, 물질, 교사, 놀이, 흥미, 경험 등이 얽혀있는 특이성을 지닌 놀이 중심 유아교육과정의 실행과정에서 교육내용이 어떻게 드러나는지 살펴보는 것에 있다. 연구자는 비판적·사회적 사실주의에서 관계적 존재론의 ‘힘 있는 지식’과 포스트휴머니즘의 관점에서 ‘신물질주의’의 특징을 가지는 관계적-신지식론으로 현장에서 펼쳐지는 교육내용을 해석해보았다. 본 연구는 연구참여자 3인의 교사와 탐구공동체 및 자극회상면담을 통해 2022년 1월부터 6월까지 자료를 수집하였고 분석은 2022년 12월까지 이루어졌다. 연구결과 교육내용은 유아, 물질, 교사가 속한 다양한 열린-요소들의 리좀적 얽힘으로 생성되었다. 구체적으로 첫째, 놀이와 삶에 스며든 지식과 교육내용을 살펴볼 수 있었다. 교육내용이 생성되는 사건(맥락)으로서 교과적 요소가 포함된 지식의 경계를 넘나드는 교육내용을 볼 수 있었다. 둘째, 유아교육환경에서 빚어진 시간과 공간의 연속성 그리고 물질과의 관계성에서 만들어지는 교육내용을 볼 수 있었다. 셋째, 교사-유아와 유아-유아가 실험하며 생성되는 놀이 속 교육내용이었다. 본 연구로 유아교육과정의 실행은 ‘세계 속 물질과 아이들의 사이-내부에서 일어나는 삶, 놀이, 배움, 몰입, 즐거움, 얽힘, 날것, 존중과 배려, 소통의 모든 순간’이 교육내용이 될 수 있음을 유아교육이 가지는 특이성에 주목하여 교육내용에 대해 교사가 인식하는 것에서부터 출발해야 한다는 논의점을 가질 수 있었다. This study purpose to examine the educational content that emerges from a unique play-based early childhood education curriculum, which involves elements such as children, materials, teachers, play, interest, and experiences. The researcher interprets this content through a relational-epistemology by the perspective of 'Powerful Knowledge' from a critical and social realism, as well as the features of 'Neo-materialism' presented in the context of posthumanism. To explore educational content in the field, three teachers participated, engaging in an inquiry community and stimulated recall interviews. Data collection occurred from January to June of the 22nd year, with analysis completed by December of the same year. The research findings reveal that educational content is generated through intricate entanglements among open-elements involving children, materials, and teachers. The analysis results First, the study examines the knowledge embedded in play and life, observing educational content that transcends the boundaries of educational processes and curriculum-specific components. Second, the uniqueness of the early childhood education environment results in evolving educational content over time and space, shaped by the relationship between continuity and materials. Third, play opens the door to generative educational content, with teachers and young children creating and experimenting within play, resulting in educational outcomes. This research was possible to recognize that the implementation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should start from how teachers perceive educational content, emphasizing the uniqueness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The educational content can encompass “moments of life, play, learning, immersion, joy, entanglement, rawness, respect, and care, as well as communication” that occur within the world of materials and the lives of childre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