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스포츠 재미요인과 여가만족 및 운동지속의 관계 : 홀리스틱 교육의 관점에서

        김지수 한국홀리스틱융합교육학회 2016 홀리스틱융합교육연구 Vol.20 No.4

        이 연구는 홀리스틱 관점에서 테니스 동호인들의 스포츠재미요인과 여가만족 및 운동지속의 관계를 규명하기 위한 연구로서 스포츠재미, 여가만족, 운동지속 요인들의 관계를 밝히고 이를 근간으로 현상에 대한 새로운 해석을 통하여 학문적인 기초 자료를 제시하기 위하여 서울, 경기도, 충청남도 소재 테니스 동호인 300명을 대상으로 조사하였다. 이 연구에서 사용된 통계기법은 빈도분석, 요인분석, 신뢰도분석, 상관관계, 중다회귀분석 등이었다. 이상의 방법과 절차를 통하여 얻어진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테니스 동호인들의 스포츠재미요인과 여가만족의 관계를 보면, 스포츠재미요인 중 가족지원을 제외한 모든 요인에서 여가만족의 하위 요인들과 부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테니스 동호인들의 스포츠재미요인과 운동지속의 관계를 보면, 스포츠재미요인 중 건강과 인정 요인이 운동지속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테니스 동호인들의 여가만족과 운동지속의 관계를 보면, 여가만족요인 중 시설과 사회적 요인이 운동지속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he relation among the sport amusement factor, leisure satisfaction and exercise persist of participants in tennis. The study objects that are constant tennis participants in the region of Seoul, Kyeong-gi and Choong-nam area as of at the present. Through the convenience sample collection method, including the object person in the final analysis. as for the disposal of collected data, used SPSS/PC 18.0 statistics package program for window. Survey was performed from 300 players. The t-test, correlation relation analysis, one-way ANOVA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for data analysis were performed. The result of the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looking into relation between sport amusement factor and leisure satisfaction in tennis participants, sport amusement factor affected low factors of leisure satisfaction partly excepting family support factor. Second, looking into relation between sport amusement factor and exercise persist in tennis participants, sport amusement factor affected exercise persist including health and recognition factor. Third, looking into relation between leisure satisfaction and exercise persist in tennis participants, leisure satisfaction affected exercise persist including facility and sociality factor.

      • KCI등재

        소비자 인식을 기반으로 한 지속가능한 소비의 제약 요인 추출과 구매, 사용, 폐기 행동 간의 관계

        김정원(Kim, Jungwon),박소연(Park, Soyeon),성용준(Sung, Yongjun) 한국소비문화학회 2022 소비문화연구 Vol.25 No.1

        코로나19 발생 이후 지속가능성의 중요성은 점점 더 높아지고 있으며 지속가능한 소비에 대한 관심도 증가하고 있다. 그러나 소비자들이 지속가능한 소비에 대해 긍정적인 태도를 갖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실제 지속가능한 소비는 이루어지지 않고 있으며, 지속가능한 소비에 영향을 미치는 제약 요인을 살펴본 연구는 제한적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소비자 인식을 기반으로 지속가능한 소비를 저해하는 제약 요인을 밝히고, 각 제약 요인이 구매-사용-폐기의 소비 단계와 어떻게 연관되는지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총 339명의 일반 소비자들을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을 통해 지속가능한 소비의 제약 요인에 대한 인식을 측정하고 탐색적 요인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지속가능한 소비의 제약 요인은 무력감, 어려움, 무관심, 의심, 기반의 부족, 경제성의 6가지 유형으로 나타났다. 추출된 6개의 제약 요인과 지속가능한 구매, 사용, 폐기 행동 간의 관계를 살펴본 결과 구매 행동의 경우 무력감과 가장 강한 부적인 관계가 나타났으며, 그 뒤를 이어 무관심, 경제성, 어려움과 부적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사용 행동의 경우 비슷한 패턴을 보였으나 경제성보다는 어려움, 무관심과 더 강한 부적 상관관계를 보였다. 폐기 행동은 무관심, 무력감, 의심 요인과 부적인 상관관계를 보였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소비자 관점에서 구매, 사용, 폐기를 포함하는 지속가능한 소비를 저해하는 제약 요인 프레임워크를 제시하고, 지속가능한 소비를 활성화할 수 있도록 기업과 정부를 위한 방향성을 제안했다는 점에서 이론적, 실무적 의의가 있다. Although consumers’ interests in sustainable consumption have increased as the importance of sustainability has been highlighted after the COVID-19 crisis, few consumers actually practice sustainable consumption. Since limited studies examined those factors impeding sustainable consumption, the present study aims to address constraints of sustainable consumption based on consumer perceptions and investigate the relationships between identified constraining factors and sustainable consumption behaviors including purchase, usage, and disposal. We conducted a survey with 339 participants and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to find factors impeding sustainable consumption. The results show that there are six constraining factors: helplessness, difficulty, indifference, distrust, lack of infrastructure, and cost. Additionally, helplessness, indifference, cost, and difficulty were negatively correlated with purchase and usage consumption behavior, respectively. For disposal behavior, indifference, helplessness, and distrust showed negative relationships. These findings enhance the understanding constraining factors impeding sustainable consumption and provide practical implications for increasing sustainable consumption.

      • KCI등재

        공급사슬 지속가능성 제고를 위한 선행요인들과 공급사슬 역량에 대한 연구

        박찬권 ( Chan-kwon Park ),박성민 ( Sung-min Park ),김채복 ( Chae Bogk Kim ) 한국중소기업학회 2018 中小企業硏究 Vol.40 No.1

        본 연구는 공급사슬 지속가능성 선행요인, 공급사슬 역량, 공급사슬 지속가능성 간의 구조적 관계를 규명하는 것으로 공급사슬 지속가능성 선행요인과 공급사슬 역량 간의 관계, 공급사슬 역량과 공급사슬 지속가능성 간의 관계를 규명하고, 기업규모에 따른 지속가능성 선행요인, 역량, 지속가능성 간의 차이를 규명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각 연구가설을 수립하고 검정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먼저 환경규제준수, NGO 대응활동, CSR 활동, 거래공정성은 제조 민첩성, 환경경영, 사회적 자본에 대부분 정(+)의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검정되었으며, 제조민첩성, 환경경영, 사회적 자본 역시 경제적·환경적·사회적 지속가능성에 대부분 정(+)의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검정되었다. 그리고 기업규모에 따라 공급사슬 지속가능성 선행요인, 역량, 지속가능성에 차이가 있는 것으로 검정되었다. 연구결과에 따른 시사점을 정리하면 공급사슬 지속가능성 선행요인들로 선정한 환경규제 준수, NGO 대응활동, CSR 활동, 거래공정성 요인들은 지속가능성의 달성을 위한 공급사슬 역량에 기본적인 선행요인들로서 역할을 수행한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제조 민첩성, 환경경영, 사회적 자본의 형성은 경제적·환경적·사회적 지속가능성의 수준을 제고할 수 있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공급사슬 지속가능성 선행요인들의 제고는 공급사슬 역량의 제고로 이어질 수 있고, 나아가 공급사슬 지속가능성까지 제고할 수 있다는 것을 규명하였다. 그리고 대기업과 비교 시 중소기업의 공급사슬 지속가능성 선행요인, 역량, 지속가능성의 수준을 더욱 제고하는 것 요구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supply chain sustainability antecedent, supply chain competence, and supply chain sustainability. The relationship between supply chain sustainability antecedence factor and supply chain competence, supply chain competence and supply chain sustainability and to identify the differences between sustainability antecedence factors, capacity and sustainability depending on the size of the firm. To accomplish this, each research hypothesis was established and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compliance with environmental regulations, NGO response activities, CSR activities, and trade fairness were found to have a significant positive impact on manufacturing agility, environmental management, and social capital. And manufacturing agility, environmental management, and social capital has been confirmed that most of the economic, environmental and social sustainability have a significant positive influence. In addition, it has been confirmed that there are differences in the factors of supply chain sustainability, capacity, and sustainability depending on the size of the company.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e study, environmental regulation compliance, NGO response activities, CSR activities, and fairness factors selected as the leading factors of supply chain sustainability play a role as fundamental prerequisites for supply chain competence to achieve sustainability. Manufacturing agility, environmental management, and the formation of social capital have confirmed that they can raise the level of economic, environmental and social sustainability. Therefore, it was confirmed that the enhancement of supply chain sustainability precedence factors can lead to enhancement of supply chain competence, and furthermore, sustainability of supply chain. Compared with large corporations, SMEs' supply chain sustainability precedence factor, capacity and sustainability should be further improved.

      • KCI등재

        초등학교 골프선수들의 지속적 참여를 위한 재미요인과 스트레스요인 분석

        백채영,박인규,이광무 한국초등체육학회 2018 한국초등체육학회지 Vol.24 No.1

        본 연구의 목적은 초등학교 골프선수들에게서 보이는 재미요인과 스트레스요인이 지속의도 및 참여권유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여 골프선수들의 지속적인 참여와 참여권유를 촉진하기 위한 교육적 방법을 제안하고자 한다. 본 연 구에서는 초등학교 골프선수 92명의 자료를 분석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첫째, 평균타수가 90타 이상인 골프선수들의 지속의도가 상대적으로 낮게 나타났다. 둘째, 초등학교 골프선수들의 기록향상 및 자기개발 관련 재 미요인과 신체적 및 심리적 스트레스요인은 지속의도에 높은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초등학교 골프 선수들의 기록향상, 자기개발, 사회적인정에 관련한 재미요인과 심리적 및 대인관련 스트레스요인은 참여권유에 높 은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초등학교 골프선수들의 지속참여를 촉진하기 위해서는 선수들에게 적절한 수행목표 제안과 더불어 루틴 및 지시적 자화를 실천할 수 있도록 지도해야 하고, 지속참여에 부정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신체적 스트레스요인에 대한 대처 방안으로 선수들이 지구력 향상과 충분한 영양섭취를 도모할 수 있도록 지도해야 할 것이다. 또한, 참여권유에 부정적으로 작용하는 사회적인정 요인의 영향을 감소시키 기 위해서 선수들이 주변 타인의 평가에 너무 신경 쓰지 않도록 지도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으로 사료된다. This study was aimed at investigating the impact of interest and stress factors in elementary school golf players on the constant participation in the golf and recommendation for and suggesting the educational strategies to the golf coaches for sustaining and promoting constant participation and participation recommendation of golf players. In this study, the data of 92 elementary school golf players were analyzed and the following results were obtained. First, golf players with an average of more than 90 strokes had relatively low intention to continue, and participation recommendation to male golf players was higher than that to female golf players. Second, interest factors related to record improvement and self-development of elementary school golf players and stress factors related to physical and psychological element had a strong influence on the continuous intention. Third, interest factors related to record improvement, self-development and social recognition, and stress factors related to psychological element and personal relationship in golf player of the elementary school had a strong influence on participation recommendation. As a result, it is important for golf players in elementary school to suggest appropriate performance goals, to guide practicing routines and instructional self-talks, and to instruct strengthening players’s basic and professional physical strength through sufficient rest and fitness training as a countermeasure to stress factors related to physical elements negatively affecting the constant participation. Also, it is desirable to instruct players not to seriously focus on the evaluation of others around them to reduce the influence of social recognition factors negatively affecting the participation recommendation.

      • KCI등재

        ERIS모델 기반 창업지속요인 분석: 조직 리질리언스를 중심으로

        김인숙,양지희 한국벤처창업학회 2021 벤처창업연구 Vol.16 No.5

        This study is based on ERIS model for start-up performance, and aims to derive the main reason for start-up sustainability centered on organizational resilience. To this end, systematic literature examination and modified Delphi method were used to investigate start-up sustainability factors based on ERIS Model focused on organizational resilience. The results showed that ERIS model-based entrepreneurial continuity factors were divided into four categories: entrepreneur, resource, industrial environment, strategy, subdivision 8 and detailed factors 54. In addition, the ERIS model-based continuity factors were structured around organizational resilience, and the continuity factors were structured according to ERIS model under five categories: leadership, culture, people, system and environment.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of all, the results of existing research and analysis show that the concept of successful start-up and sustainability of start-up are used in various fields. Second, it is confirmed that there are common factors of influence on start-up performance and start-up sustainability based on ERIS model. Third, Delphi method's results showed that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entrepreneurs, such as academic background, education level, gender, age, and business experience did not affect the sustainability of entrepreneurship. This study is significant in that it is based on ERIS model focused on organization resilience, and ERIS-R, which integrates Strategy into System and Organization resilience into R in the field of gradually expanding start-up development and support. It is expected that the results of this study will improve the sustainability of start-up that can predict, prevent, and overcome various crises at any time. 본 연구의 목적은 창업성과모델인 ERIS모델과 조직 리질리언스를 중심으로 창업지속요인을 도출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체계적 문헌고찰과 수정된 델파이 기법을 활용하여 조직 리질리언스를 중심으로 한 ERIS모델 기반 창업지속요인을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ERIS모델 기반 창업지속요인은 창업가, 자원, 산업환경, 전략의 4가지 분류와 하위구분 8개, 세부요인 54개로 분석되었으며 수정된 델파이 기법을 통해 창업지속요인의 적합도를 확인하였다. 또한, 조직 리질리언스를 중심으로 ERIS모델 기반 창업지속요인을 구조화한 결과, 리더십, 문화, 사람, 시스템, 환경의 5가지 분류 아래 ERIS모델에 기반하여 창업지속요인을 구조화하여 통합 프레임웍(ERIS-R)으로 제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기존 선행연구 분석결과, 다양한 분야의 선행연구에서 창업성공과 창업지속성의 개념이 혼용되어 사용되고 있었다. 둘째, ERIS모델을 기반으로 한 창업성과와 창업지속성에 주요하게 영향을 미치는 요인이 공통적으로 존재함을 확인하였다. 셋째, 조직 리질리언스를 중심으로 창업지속요인에 대한 수정된 델파이 분석 결과, 창업가 개인과 기업의 일반적 특징은 실제로 창업지속성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본 연구는 조직 리질리언스 개념을 중심으로 창업지속요인을 ERIS모델에 기반하여 분석했다는 것과 점차 확장되고 있는 창업 육성·지원 분야에서 ERIS모델에 전략(Strategy)을 시스템(System)으로 포괄하여 조직 리질리언스(Organization resilience)를 R로 연결한 통합 프레임웍(ERIS-R)을 제시했다는 점에서 그 의의가 있다. 본 연구결과를 통해 창업기업에서는 수시로 직면하는 다양한 위기상황에 대해 예측, 예방 및 극복할 수 있는 창업기업 지속성을 높일 수 있으며, 창업기업 지원 기관에서는 창업기업의 지속가능한 경영을 지원할 수 있는 육성 및 지원 정책 개발, 성과관리 등의 기초자료로 활용할 것으로 기대된다.

      • KCI등재

        생활체육 탁구 동호인의 스포츠 재미요인이 여가 만족 및 운동지속의지에 미치는 영향

        권태광,정성현 한국스포츠학회 2021 한국스포츠학회지 Vol.19 No.1

        본 연구는 탁구 동호인의 스포츠 재미요인, 여가 만족, 운동지속의지에 대한 차이를 분석하고, 스포츠 재미요인이 여가 만족 및 운동지속의지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는 데 목적이 있다. 본 연구의 참여자는 탁구 동호인 220명을 대상으로 스포츠 재미요인, 여가 만족, 운동지속의지 설문지를 활용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이 중 불성실하게 응답한 20명의 자료 를 제외 한 총 200명의 자료를 본 연구의 최종분석 대상으로 선정하였다. 연구의 타당성 확보를 위해 탐색적 요인분석, 신뢰도 검사, Pearson의 상관분석,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이러한 과정을 거쳐 얻은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스포츠 재미요인과 여가 만족, 운동지속의지의 상관관계를 실시한 결과 스포츠 재미요인은 여가 만족과 유의한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스포츠 재미요인은 운동지속의지의 중요성 인지, 참여 의지 요인과 정적 상관을 가지는 동시 에 무의지 요인과는 부적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스포츠 재미요인이 여가 만족(신체적, 휴식적, 교육적, 심리 적, 사회적, 환경적 요인과 운동지속의지(중요성 인지, 참여의지, 무의지)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difference of sports fun factors, leisure satisfaction, and will to exercise of table tennis Club member’s and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sports fun factors on leisure satisfaction and will to continue exercise.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220 table tennis Club member’s using sports fun factor, leisure satisfaction, and exercise continuity questionnaire. A total of 200 data were selected as the final analysis of this study. To ensure the validity of the study, exploratory factor analysis, reliability test, Pearson correlation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ere performed.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First, as a result of the correlation between sports fun factor, leisure satisfaction, and exercise persistence will, it was found that sports fun factor had a significant correlation with leisure satisfaction. Second, it was found that sports fun factors had a significant effect on leisure satisfaction (physical, restful, educational, psychological, social, environmental factors, and willingness to continue exercise (recognition of importance, willingness to participate, and unwillingness).

      • 학술세션Ⅰ : 지식경영과 소셜미디어 ; SNS 사용자의 습관과 감정적 요인 관점에서 기업 SNS 계정의 지속적 사용의도에 관한 연구

        함주연,유현선,지성훈,이재남 한국지식경영학회 2014 지식경영 학술심포지움 Vol.2014 No.-

        전세계적으로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Social Network Service; SNS)의 이용이 크게 증가하면서 기업에서의 SNS 활용 또한 증가하는 추세이다. 그러나, 제품 및 서비스 홍보나 고객관리를 위한 기업 SNS 계정의 경우 개인 SNS와 달리 그 관계를 지속적으로 유지하고 활용하는 사용자는 많지 않다. 이는 기업 SNS 계정의 경우 이벤트 정보나 필요에 의한 일회성/단기적 팔로잉이거나, 또는 너무 상업적 내용들로 팔로워들이 결국 기업계정을 유지하지 못하고 떠나는 경우가 많기 때문이다. 온라인 상에서 사적인 관계형성 및 소통과 같이 팔로워들의 개별적 심리나 감정에 밀접한 SNS의 특성을 고려했을 때, SNS에 대한 유용성, 이용 용이성 등의 요인만으로 기업 SNS 계정에 대한 지속적 사용 의도를 해석하기에는 부족함이 있다. 또한 최근 다수의 정보시스템 연구들은 사용자의 이용습관과 같은 잠재의식적 행동이 IS의 지속적인 사용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요인임을 지적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는 기업 SNS 계정에 대한 사용자들의 지속적 사용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로써 SNS 사용자의 이용습관과 감정적 요인에 초점을 두어 살펴보고자 한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인지-감정-행위 모델을 기반으로, SNS 사용자의 이용습관에 따라 형성된 SNS 사용경험은 감정적 요인에 영향을 미치며, 이러한 감정요인은 궁극적으로 사용자들의 지속적인 사용의도에 영향을 미친다고 가정한다. 감정요인은 Mehrabian-Russell 모델을 기반으로 긍정적, 부정적, 각성/환기 요인, 그리고 지배 요인으로 구분하여, 각각의 감정적 요인들이 지속적인 사용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분석하였다. 실증분석 결과, SNS 사용습관은 감정적 요인 별로 다르게 영향을 미치며, 이러한 감정적 요인들은 기업 SNS 계정의 지속적 사용의도에도 다르게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때 지배 요인에 의해 다른 감정적 요인들의 영향 정도가 조절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러한 결과는 페이스북 사용자와 트위터 사용자 간에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 KCI등재

        초등학교 지속가능발전교육의 현황과 장애요인 분석

        조혜연 ( Hye Yeon Cho ),이상원 ( Sang Won Lee ) 서울敎育大學校 初等敎育硏究所 2013 한국초등교육 Vol.24 No.3

        본 연구는 초등학교 교사를 대상으로 지속가능발전교육의 운영현황과 교육 시 교사가 경험하는 장애요인에 대해 알아봄으로써 초등학교에서 지속가능발전교육의 활성화 방안에 대한 시사점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서울시 소재 초등학교 교사 115명의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진행하였다. 선행연구를 기초로 개발된 교육현황과 장애요인을 알아보는 설문지를 본 연구의 목적에 맞게 수정하여, 지속가능발전교육 현황을 알아보고, 지속가능발전교육 실천에 있어 교사가 경험하는 장애요인을 분석하였으며, 설문지 결과 분석은 엑셀과 i-STATistics 통계 프로그램을 사용하였다. 본 연구를 통하여 나타난 초등학교 지속가능발전교육 운영현황과 교사가 경험하는 장애요인에 대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지속가능발전교육에 장애를 느끼는 교사는 장애를 느끼지 않는 교사에 비하여 수업시간에 ‘생물다양성‘과 ‘먹을거리‘ 주제에 있어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그러나 지속가능발전교육을 실시할 때, 대부분의 교사들은 ‘기후변화’, ‘에너지’, ‘생물다양성’, ‘물의 이용’과 같은 환경 영역의 주제를 선택하는 것으로 볼 때, 환경, 사회 및 경제 영역에 대한 균형성을 가진 주제를 발굴하고, 그에 맞는 다양한 교재 및 수업자료를 개발이 요구된다. 둘째, 지속가능발전교육에 장애를 느끼는 교사는 그렇지 않은 교사보다 대중매체를 통해 교육자료를 수집하는 경향이 있으므로 인터넷에서 다양하고 질 높은 교육 자료를 얻을 수 있도록 지원이 필요하다. 셋째, 지속가능발전교육 강화를 위한 필요 요소에는 ‘지속가능발전교육에 대한 인식확대’와 ‘교재 및 수업자료 확충‘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는데, 지속가능발전교육에 대한 인식이 확대되어 공감대가 형성되고 지속가능발전교육에 대한 수업 자료들이 확충되는 등 여건이 조성될 때 초등학교 지속가능발전교육이 활성화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본 연구 결과, 초등학교에서 지속가능발전교육이 활성화되도록 하기위해서는 지속가능발전교육에 대한 교사들의 인식과 전문성 함양이 필요하며, 이에 따라 자료개발이나 연수 기회의 확대와 같은 노력이 요구되는 것으로 보인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current status in elementary school and ESD, identifies the barriers faced by elementary school teachers in doing ESD. The survey was carried out by teachers who were selected to work at the elementary school in Seoul. The questionnaire which has been developed from based on the advanced research was modified and used to understand the current status and the barriers of ESD. To identify the characteristics of object, descriptive statistics were calculated. The Excel and i-STATistics program were used to analyze the results.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teachers facing barriers in ESD rather than teachers not facing barriers are inclined to have more education topics of ``biodiversity`` and ``food``. But, most ESD topics that are used in elementary school class are composed of the environmental domain such as ``climate change``, ``energy``, ``biodiversity``, ``water use``. So, it needs further development of a well-balanced topic among environment, economy and society domain. Second, the teachers facing barriers of ESD rather than teachers not facing barriers need to support the educational materials with diverse and high quality on the internet, because they tend to obtain educational materials through the mass media than others. Third, most teachers need ``Expanded awareness of ESD`` and ``Expansion of teaching materials on ESD` to support the activation of ESD. Furthermore, it is expected to activate ESD of elementary school if ESD is included in curriculum after expanding the awareness and forming an educational consensus. In conclusion, it is necessary to need the awareness cultivation and professionalism of elementary teachers on ESD to activate ESD in elementary school, through the development of materials on ESD, expansion of more training program for teachers.

      • KCI등재

        자원봉사활동의 지속성에 미치는 영향 요인 분석

        김정헌 한국지방정부학회 2010 지방정부연구 Vol.14 No.3

        본 연구는 지방정부의 지속적인 자원봉사활동에 미치는 주요한 영향 요인들이 무엇이며, 이들 중 어떤요인들이 가장 많은 영향을 미치는지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지금까지의 자원봉사활동 선행연구에서는 단순히 자원봉사자의 개인특성을 토대로 한 개인적 요인의 영향을 강조하여 자원봉사자들의 개인적 능력 및 자질향상과 관리만을 강조하였다. 분석 결과 첫째, 지속적인 자원봉사활동이 이루어지지 못하고 중도 탈락하는 이유는 자원봉사활동을 개인적 요인의 중요성만을 강조하는 사회적 인식과 함께 기존의 자원봉사자 및 그 조직 관리의 한계가 중요한 요인이 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대구시 정부의 지속적인 자원봉사활동을 위해서는 자원봉사자의 개인적.조직적 관리도 중요하지만, 지역사회의 관심과 연결망 그리고 관련 지원체계 등의 환경적 제 요인이 보다 중요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여기에 대구시는 2011년 세계육상선수권대회 등 이후 지원봉사활동의 중요성이 더욱 강조되고 있으므로 대구시가 각종 민간단체 그리고 기업체들과 함께 자원봉사활동이 지속적으로 활성화 될 수 있도록 제도적.행정적.경제적 지원체계를 모색.강화해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특히 자원봉사자들의 봉사활동 중 불의의 사고나 무지로 야기된 손실이나 손해 및 신체상의 보상을 위한 지방정부차원의 기금 마련과 보험가입, 그리고 변호사 선임 등 법적인 안전보장제도를 마련할 것을 제안하고자 한다.

      • KCI등재

        도시정체성 형성요인 분석에 관한 연구 -춘천시를 중심으로-

        이종호(주저자) ( Jong Ho Lee ),박현욱(교신저자) ( Hyeon Wook Park ) 커뮤니케이션디자인학회 2015 커뮤니케이션 디자인학연구 Vol.52 No.-

        본 연구를 위해 도시 정체성의 형성요인을 자연적 형성요인, 사회·문화적 형성요인, 경제적 형성요인으로 구분하였고, 지속가능한 도시발전과의 상관관계를 분석하였다. 도시의 지속가능성을 통합적으로 평가하기 위해 도시 정체성에 대한 형성요인을 춘천시를 통해 실제적인 형성요인 분석과 발전요소 관계를 분석하여, 그 결과를 토대로 도시의 발전을 위한 장기적 정책 방향에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강원도 춘천에 거주하는 주민들을 대상으로 연령, 직업, 교육수준 등을 고려한 표본을 추출 하여, 지역의 정체성 형성요인과 지속가능한 도시발전을 위한 방안 등에 관한 견해를 설문조사를 통해 분석하였다. 지역의 정체성 형성요인에 대한 분석결과를 종합하고, 지속가능한 도시 형태에 대한 정체성 형성요인의 차이 및 인지분석을 통해 도시정책 발전 방향을 연구하였다. 연구결과 지속가능한 도시발전을 위한 도시정체성은 자연환경적, 사회·문화적, 경제적 형성요인의 인지정도에 따라 도시별로 다르다는 것을 확인 할 수 있었다. 춘천시의 경우 사회·문화적 형성요인이 가장 뚜렷하게 도시정체성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춘천시의 경우 도시 정체성 인식도와 도시 발전요소를 분석한 결과 자연환경적 발전 요소에서는 도시개발계획 및 관리, 경관 디자인의 개발, 그리고 사회·문화적 환경에서는 문화콘텐츠 개발 및 수용능력, 경제적 발전요소에서는 경제적 지원을 통한 발전 가능성, 경제성장으로 인한 도시의 산업화 등 모든 분야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요소들이 나타났다. 이는 상대적으로 타 도시에 비해 침체되어 있다고 인지되는 경제적 개발심리가 지속적인 도시발전의 다양한 요소로 표출된 것으로 분석된다. For the research, city identity formation factors were classified into natural factors of the formation, social and cultural factors of the formation and economic factors of the formation, and the correlation between those factors and the sustainable city development was analyzed. To assess the sustainability of the city comprehensively, the relationship between formation factors and development factors was analyzed through three cities in Gangwon-do for formation factors of city identity. Based on the results, basic data for the direction of the long-term policy on the development of those cities were provided. In this research, opinions collected through surveys on regional identity formation factors and methods for the sustainable city development were analyzed by extracting samples regarding age, job, education of residents in Chuncheon. The results of the analysis on regional identity formation factors were integrated, and the direction of city policy development was studied through analyzing the difference and recognition on the form of the sustainable city. As a result of the research, it was found that city identity for the sustainable city development is different by city according to the degree of recognition on natural environmental, social and cultural and economic formation factors. In case of Chuncheon-si, there are statistically significant factors in all areas such as city development plan and management, development of landscape design for natural environmental development factors, cultural contents development and its capacity for social and cultural development factors and the possibility to develop with financial support and industrialization of urban areas due to economic growth for economic development factors. It was analyzed that the demand for economic development of Chuncheon-city was expressed as various factors of the sustainable city developmen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