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동양적 즐거움(樂)과 그 추구방식

        조창희(Cho, Chang-Hee) 동양사회사상학회 2011 사회사상과 문화 Vol.24 No.-

        인간은 삶의 본질로서 즐거움(樂)을 추구하는 동물이다. 따라서 삶의 특질과 사회생활의 본질의 이해에 있어 ‘즐거움의 추구’라는 요인을 배제할 수 없다. 그러나 즐거움의 구체적인 내용과 추구하는 방식은 사회에 따라 다양하다. 다양한 즐거움은 ‘쾌감지향형 즐거움’과 ‘자기 충족형 즐거움’으로 속성을 나누어 이해할 수 있다. 산업사회에서는 일상생활세계가 자본주의 생산양식에 의해서 구조화되어져 있기 때문에 여가의 소비, 즉, 즐거움의 추구도 상품화된 형태로 구성되어 있다고 할 수 있었다. 포드주의 생산체제로의 재편이 이루어진 후기산업사회에 이르게 되면서 인간이 추구할 수 있는 즐거움의 종류와 범위가 크게 신장伸張되었다. 후기산업사회에 들어서서도 즐거움을 생산하고 공급하는 산업체계는 산업사회 방식과 유사하거나 더욱 정교한 조직적 형태로 발전하였다. 따라서 즐거움의 생산과 소비과정에서 즐거움의 추구는 산업생산과 마찬가지로 생산과 소비간의 수요공급의 법칙에 의해서 결정될 뿐, 즐거움의 소비자인 사회 구성원 개개인의 의사는 제한되는 소외의 양상을 보이게 된다. 즐거움의 추구과정에서 파생되는 소외의 문제는 동양사상의 측면, 특히 유가사상의 관점에서 접근하면 해결될 수 있다고 생각된다. 왜냐하면 현대사회의 즐거움은 대체로 금전적 가치로 치환된 즐거움으로 개개인의 경제적 사정에 따라 향유여부가 결정된다. 또한 이러한 즐거움은 연예 산업에 의하여 만들어진 대량생산품으로 쾌감지향형 즐거움의 속성을 가지기 때문에 생산과정에 개개인의 선호도는 반영되기 어렵다. 반면에 동양사상은 자기실현, 자기완성, 자연에 대한 경외와 몰아沒我를 강조함으로써 현대 자본주의 사회와는 다른 차원에서 즐거움의 내용이나 추구방식을 상정하고 있기 때문이다. 즉, 동양적 즐거움은 ‘자기 충족형 즐거움’이라는 특성을 지니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현대인들이 느끼는 소외 극복의 대안으로서 ’자기 충족형 즐거움’이라는 특성을 지닌 동양적 즐거움의 추구를 수용하는 것은 사회학적으로도 의미 있는 작업이라고 할 수 있을 것이다. We humans are all animals seeking pleasure as an essential part of life. Hence we can never understand intrinsic characteristics of social life as well as traits of personal life without considering the fact that people do many things for pleasure. Not only the content of pleasure that they pursue but the way through which they gain pleasure are quite different according to the specific contexts in which they are socially and historically situated. Even so, it is possible to classify pleasure into two categories in terms of its contents and ways of seeking: one is mere sensation oriented pleasure(MSOP), and the other is self-fulfillment oriented pleasure(SFOP). In the industrial society people’s daily living world was structured by the capitalist mode of production. Because of that, their leisure activities are also dominated by the logic of capital which develops everything into commodities. In the post-industrial society pleasure, as a higher value-added product, is diversified in its sort and expanded in its scope with the rise of the culture industry. As leisure activities are determined by the law of supply and demand, consumers’ own views and tastes are neglected, and thus they are alienated from themselves even in their free time. This paper argues that this kind alienation in the process of seeking pleasure would be overcome by adopting oriental thought, especially confucianism. Real pleasures in the modern society are mostly replaced by money value. The opportunity of enjoying such commercialized forms of pleasure is determined by the economic abilities and class situations of individuals. Furthermore, the consuming of cultural commodities produced by the larger scaled entertainment industry is just a typical gaining of MOSP that does not reflect individual preference. In constrast to MOSP, SFOP is pursued as an ideal of the good life in the east, especially in the tradition of confucianism emphasizing self perfection, consciousness raising, awe toward nature, and self effacement. Therefore, it might be said that SFOP is not merely an alternative to POSP, but also another way to understand alienated activities of buying pleasure commodities from a sociological perspective.

      • KCI등재

        즐거움의 깊이와 넓이 - <고산구곡가>의 의미 구조 -

        서명희 한중인문학회 2015 한중인문학연구 Vol.49 No.-

        <고산구곡가>는 자연에 대한 묘사를 특징으로 하며, 자연의 아름다움을 즐기는 모습을 읊은 노래이다. 그런데 1연과 6연에서 요약적으로 제시한 바에 따르면 이 노래의 핵심적 의미는마음의 수양과 강학의 즐거움에 닿아 있다. <고산구곡가>의 전반부는 자신의 즐거움을 벗들과 나누는 모습을 노래한다. <고산구곡가>의 후반부는 자연의 아름다움에서 도체를 발견하는 즐거움의 고양과 인욕을 잊고 천리에합일되는 경지에 이르는 모습을 보여준다. <고산구곡가>에서 노래하고자 한 ‘영월음풍’은 마음의 수양이나 학문에의 정진을 의미하며, 여기서 느끼는 즐거움은 깊은 배움과 깨달음의 즐거움이다. 깨달음은 필연적으로 그 지극한 즐거움을 알리고 공유하려는 교육적 열정을 불러일으키게된다. 이러한 열정으로 배움의 즐거움을 확장하고자 하는 마음을 노래한 것이 <고산구곡가> 의 전반부이다. <고산구곡가>는 시간적 순환의 구조를 가지고 있다. 내용의 층위에서 볼 때, 이와 같은순환의 구조는 자연 속에서 도를 깨닫는 배움의 과정과 깨달음의 기쁨을 다른 이들과 함께나누고자 하는 교육적 열정 사이의 순환 구조와 일치한다. <Gosangugok-ga> is the song, reciting the scene of enjoying the beauty of nature with the description of nature on the surface. However, the core of its meaning is in the discipline of mind and the pleasure of learning. The contents in the latter half of <Gosangugok-ga> illustrate of the pleasure of discovering truth[道] from the beauty of nature, and the state in which the union with principle is attained by throwing away greed. It is recognized that ‘yeong-wol-eumpung’ is not different from discipline of mind or academic study. If one reaches a high state in the spiritual realm through academic study, educational passion for transmitting this pleasure to others will arise. For this reason, willingness to share the pleasure with others appears in the first half of <Gosangugok-ga>. After all, <Gosangugok-ga> is the song of the Sadaebu[士大 夫] which focuses on the matter of mind rather than nature. In this sense, it is in line with <Dosansibi-gok>. <Gosangugok-ga> has the circulation structure of time. This structure is identical with the circulation structure in which the pursuit of academic study causes the passion for education. In this point, it is revealed that <Gosangugok-ga> is the song that focuses on the matter of mind rather than nature.

      • KCI등재

        즐거움과 도덕 생활: 토마스 아퀴나스의 『신학대전』을 중심으로

        김상용(Kim, Sang Yong) 광주가톨릭대학교 신학연구소 2021 神學展望 Vol.- No.212

        현대 자본주의 사회에는 욕망의 끝없는 확장과 ‘욕망의 일식(日蝕)’ 현상이 공존한다. 가톨릭 교회 또한 사랑의 기쁨을 지속적으로 선포하면서도 욕망의 해방에는 저항하고 있다. 여기서 이 사회와 교회 안에 사는 그리스도인들이 과연 어떻게 욕망의 주체로서 기쁘고 행복한 삶을 영위할 수 있는지에 대한 물음이 제기된다. 이에 본고는 인간 구원과 인간 행위(삶)의 전체적 맥락 안에서 즐거움(delectatio)과 기쁨(gaudium)의 문제를 바라본 토마스 아퀴나스의 관점을 설명하고 해석하고자 한다. 사실 토마스는 인간이 영육의 단일체로서 본성적으로 참행복(Beatitudo)에 대한 참여를 자신의 존재와 행위의 최종 목적으로 삼고 있다고 본다. 토마스에 따르면, 정념(passio)으로서의 즐거움은 욕망하는 선의 획득과 이 획득에 대한 앎을 통해 운동한다. 그래서 즐거움을 쉼(quies)이요 활동(operatio)으로 정의한다. 선과의 관계를 통해 운동하는 즐거움의 원천과 목적은 선에 대한 사랑(amor)의 역동성 안에 있는 것이다. 이 역동성은 선과의 정감적 일치에서 시작하여 동일한 선과의 실제적 일치에서 완성되는 순환적 구조로 이루어진다. 정념으로서의 사랑이 욕망에 선행하는 여정이라고 할 수 있다. 따라서 욕망의 실현을 위해 요청되는 덕 또한 이성의 전제적 지배가 아니라 ‘사랑의 전략’을 통해 형성된다고 할 수 있다. 정념과 행위(actio)의 이 같은 관계는 덕행이 사랑으로 인해 창조되는 행복과 즐거움의 장소임을 암시해 준다. 완전한 즐거움은 스스로 선에 관한 진리를 요청한다. 진정한 선에 대한 자연동질적 앎의 형성에는 올바른 실천 이성뿐 아니라 카리타스에서 비롯되는 신앙 또한 필요하다. 인간의 자연적 욕망의 대상은 초자연적인 것이기 때문이다. 그리고 ‘성령의 충동’을 통해 이 앎은 완전해진다. 이로써 완전해진 인간은 성령의 구미(口味)로써 완전한 방식으로 완전한 행위들을 수행하며 완전한 즐거움을 향유(fruitio)하기에 이른다. 이 행위들(beatitudines)은 사랑이신 하느님의 현현에 다름 아니다. 창조주 하느님의 사랑은 인간의 욕망을 선행한다. 하느님의 사랑이 인간 욕망의 근원적 원인인 것이다. 그리스도교는 주체로서의 인간이 자신의 욕망을 실현해 가는 탁월한 길(hodós)을 제시해 준다. 그리스도교 도덕은 인간으로 하여금 사랑인 한 페르소나와의 만남을 통해 자기 자신을 사랑으로써 다시 빚어내며 충만한 즐거움을 누리도록 하기 위해 존재하는 것이다. 그러므로 사랑이신 하느님의 항구한 현존을 알아보는 깨끗한 마음을 지닌 자는 행복하다. In contemporary capitalist society we can not see only a limitless dilatation of desire, but also the eclipse of desire. In spite of persistingly proclaiming the laetitia amoris, the Catholic Church as well does seem to resist the liberation of human desire. These phenomena would lead us to bringing up some questions about the way in which Christians, as subjects of desire, could live a joyful and happy life even in this society and in the Church. This article intends, therefore, to comment and to interpret the perspective of saint Thomas Aquinas on delectatio and gaudium, in with which he deals in a integral context of human salvation and of human action (human life). Aquinas affirms, actually, that the human person in his very essence is a unity of body and soul, and that the finis ultimus of his being and action, in their nature, consists in participating in the Beatitudo. According to Aquinas, delectatio which is a passio, put in motion itself in virtue of the possession of a desired good, and of the cognitio of that possession: it is defined as operatio as well as quies. The fons and finis of delectatio is located in the dynamism of amor boni. This dynamism has a circular structure: being set out from a unio affectus with a good, it is completed by a unio realis with that same good. It is a iter where love as passio precedes desire as actio. So it should be recognised that the formation of virtues for the fulfillment of desire would be accomplished through ‘strategies of love’, not by a despotic governance of reason. The relationship of passio with actio demonstrates that virtuous acts are the places in which beatitudines and delectationes could be created by love. For its perfection, delectatio demands, in se and per se, the truth of a good and of the Good. Fides come from caritas, as well as recta ratio practica, contributes to the formation of cognitio connaturalis of a bonum verum and of the Bonum verum, because the ultimate object of human desire is supernatural. The instinctus Spiritus Sancti renders this knowledge perfect and makes the human agent perfect: this human agent with the perfect tastes of the Holy Spirit comes to do acts in a perfect way and to enjoy perfect joy (fruitio). These acts (beatitudines) are nothing but a epiphany of God who is Caritas. The Caritas of the Creator precedes the desiderium of the human person. The God of Love is the original cause of human desire. Christianity is the way (hodós) in which the human person as moral subject could move himself towards the realization of his own natural desire. And the raison d’être of Christian ethics consists in the human person’s enjoyment in the fullness of his own delectatio by means of reshaping himself in the encounter with a Persona of Love. In brief, we can say that blessed are those who have purity of heart in heart in which is constantly revealing the presence of God who is Love.

      • KCI등재

        고전시가 평설에 나타난 감상의 즐거움

        조하연 ( Cho Hayoun ) 한국고전문학교육학회 2009 고전문학과 교육 Vol.17 No.-

        이 논문은 문학의 중요한 효용 중 하나인 즐거움의 본질이 어디에 있으며, 또한 이러한 즐거움을 풍부히 누릴 수 있는 방법이 어떠해야 하는가에 대한 질문에서 비롯되었다. 이러한 질문에 대한 해답은 여러 장르의 작품에 대한 다양한 수준에서의 감상을 종합하고, 이를 이론적으로 논증함으로써 마련될 수 있을 것이다. 하지만 ‘즐거움’의 관점에서 작품을 바라보는 학술적 논의가 아직 충분치 않아 본고에서는 우선 고전시가에 대한 몇 편의 평설들을 세밀히 분석하고, 이들 평설에서 확인할 수 있는 작품 읽기의 즐거움과 그 경로를 추적해 보았다. 평설은 일반인의 감상을 돕기 위해 쓰인 것으로 필자 스스로의 감상 경험을 바탕으로 하며, 그러한 감상의 즐거움을 다른 이들과 공유하고자 하는 필자의 의도가 내재되어 있기 때문에 본고의 문제의식을 구체화하는 데 적절한 자료로 생각되었기 때문이다. 이 논문에서 구체적으로 검토한 평설 자료는 양주동의 『여요전주』에 수록된 고려속요 <가시리>, <서경별곡>에 대한 평설과 정철과 윤선도의 시조 작품들에 대해 해설하고 있는 최진원의 『고시조 감상』, 그리고 정철의 <관동별곡>을 대상으로 한 김병국의 「가면 혹은 진실-관동별곡 평설」 등이다. 이들 평설 자료를 검토한 결과 양주동의 평설에서는 ‘마음[情]을 발견하는 즐거움’을, 최진원의 평설에서는 ‘미적 특질을 음미하는 즐거움’을, 그리고 김병국의 평설에서는 ‘체험을 공유하는 즐거움’ 등을 두드러지는 특징으로 제시할 수 있었으며, 이러한 즐거움들은 서로 긴밀히 연결된 직관의 논리화, 감수성의 발현, 그리고 삶에 대한 조응 등의 과정을 거쳐 획득된 것으로 생각할 수 있었다. 물론 분석의 대상이 된 자료가 고전시가에 국한되어 있어 이러한 분석의 결과는 아직 고전시가의 감상에 대해서만 제한적으로 타당성을 가질 수 있을 것이다. 그러나 이들 평설에 대한 분석은 문학 작품의 즐거움과 관련하여 작품이 우리 스스로를 각성하게 한다는 점, 감상자는 이러한 각성에 의해 일깨워지는 자기 자신을 느끼고, 새로운 체험을 획득하는 과정에서 깊은 즐거움을 느끼게 된다는 보편적 과정을 가정할 수 있게 해 주었다. 문학교육이 문학 작품을 통해 학습자를 삶에 대한 깨달음으로 인도하기 위해서는 깨달음 자체에 대한 강조와 아울러 작품이 주는 이러한 다양한 즐거움을 발굴해야 하며, 이러한 즐거움을 학습자들이 몸소 체험할 수 있는 다양한 경로를 학습하게 해야 한다는 것이 이 논문이 강조하는 바이다. This study pursues to explain the pleasure of literature and the way of enjoying it. But there are a few studies which deal with the pleasure of appreciation, because many studies of literature still concentrated on the understanding of the literature itself. The theory of this subject has not been built up yet. So I tried to begin with the analysis of Pyungseol[평설]; writings with the purpose of introduction for the normal appreciator. Because these writings was based on the appreciation of the writers themselves and written to share the pleasure with many people who did not have the pleasure. The writings which this thesis deals with are pyungseol of ‘Kasiri’(가시리), pyungseol of ‘Seogyeongbyeolgok’(서경별곡), ‘appreciation of Sijo’, and pyungseol of ‘Gwandongbyeolgok’(관동별곡). They were written by prominent scholars. Each of these writings shows that there are ‘leasure of finding the mind’, ‘the pleasure of tasting the aesthetic value’, ‘the pleasure of sharing the experience’. And I found that these pleasures were derived from ‘the logical conversion of intuition’, ‘the using of sensibility’, and ‘corresponding with the real life’. I confess that this analysis only deals with limited samples. But I think that this analysis makes it possible to assume some hypothesis about the appreciation of literature; literature makes us to arouse, fill, and have another experience. This should be the general process of appreciation. If the Education of literature could introduce the students to feel the pleasure of appreciation of literature and recognize the truth of life, it must present the various pleasures of appreciation of literature to the students and try to they can learn the ways of appreciation. That is what I want to emphasize to the literary teachers and scholars.

      • KCI등재

        아리스토텔레스 윤리학에서 과정, 활동, 그리고 즐거움

        편상범(Pyeon, Sang-beom) 서울대학교 철학사상연구소 2017 철학사상 Vol.66 No.-

        아리스토텔레스는 배고픔의 해소와 같은 자연적 상태의 회복 과정을 즐거움의 근원으로 보는 『필레보스』의 쾌락 이론을 거부하고, 즐거움은 자연적 상태의 방해받지 않은 활동 또는 활동의 완성에 있다고 주장한다. 이에 대한 대체적인 해석은 운동 및 생성 과정과 활동의 대비를 배타적으로 이해하고, 그 결과 과정의 즐거움을 즐거움의 영역에서 배제하게 된다. 그런데 이러한 해석은 과정의 즐거움을 인정하는 상식과 충돌하며, 과정의 즐거움을 언급하는 아리스토텔레스 텍스트의 여러 구절과의 불일치 문제를 일으킨다. 본 논문에서는 과정과 활동이 배타적으로 구별되는 두 행위 유형의 대비가 아니라, 사태의 수동적인 변화의 측면과 능동적인 활동의 측면에 대한 대비이며, 따라서 과정의 즐거움이 즐거움의 영역에서 배제되지 않기 때문에 위와 같은 해석상의 난점이 발생하지 않음을 논증한다. 이를 위해 『니코마코스 윤리학』제7권과 제10권에서 전개된 즐거움에 대한 논의를 분석하며, 또한 과정과 활동에 대한 배타적 해석의 근거로 흔히 제시되는 『형이상학』제9권 6장 구절(1048b18-35)과의 연관성을 비판적으로 검토한다. 이를 통해 우리는 과정의 즐거움에 대한 아리스토텔레스의 견해를 보다 정합적으로 명료하게 이해할 수 있다. Aristotle rejects the theory of pleasure in Philebos, which sees the process of recovery of a natural state as a source of pleasure, such as satisfying hunger, and claims that pleasure is an uninterrupted activity of a natural state or the completion of an activity. Most interpreters of Aristotle exclusively understand the contrast between process (kinēsis or genēsis) and activity (energeia) and as a result, exclude the pleasure of the process from the realm of pleasure. However this interpretation conflicts with common sense that acknowledges the pleasure of the process and causes an inconsistency in some parts of Aristotle’s text, which refer to the pleasure of the process. This paper argues that process and activity are not contrasted between the two types of actions that are distinguished exclusively but rather in terms of passive change and active activity. Thus, the pleasure of the process is not excluded from the realm of pleasure so that the above-described difficulty of interpretation does not occur. To this end, I analyzed the theory of pleasure developed in Nicomachean Ethics Ⅶ and X and critically examined the claims of Metaphysics Ⅸ-6,1048b18-35, which is commonly considered as the basis of the exclusive interpretation of the process and activity. This gives us a more coherent and clear understanding of Aristotle’s theory of pleasure and his view about the pleasure of the process.

      • KCI등재

        동양적 즐거움(樂)과 그 추구방식

        조창희 동양사회사상학회 2011 사회사상과 문화 Vol.24 No.-

        We humans are all animals seeking pleasure as an essential part of life. Hence we can never understand intrinsic characteristics of social life as well as traits of personal life without considering the fact that people do many things for pleasure. Not only the content of pleasure that they pursue but the way through which they gain pleasure are quite different according to the specific contexts in which they are socially and historically situated. Even so, it is possible to classify pleasure into two categories in terms of its contents and ways of seeking: one is mere sensation oriented pleasure(MSOP), and the other is self-fulfillment oriented pleasure(SFOP). In the industrial society people's daily living world was structured by the capitalist mode of production. Because of that, their leisure activities are also dominated by the logic of capital which develops everything into commodities. In the post-industrial society pleasure, as a higher value-added product, is diversified in its sort and expanded in its scope with the rise of the culture industry. As leisure activities are determined by the law of supply and demand,consumers' own views and tastes are neglected, and thus they are alienated from themselves even in their free time. This paper argues that this kind alienation in the process of seeking pleasure would be overcome by adopting oriental thought, especially confucianism. Real pleasures in the modern society are mostly replaced by money value. The opportunity of enjoying such commercialized forms of pleasure is determined by the economic abilities and class situations of individuals. Furthermore, the consuming of cultural commodities produced by the larger scaled entertainment industry is just a typical gaining of MOSP that does not reflect individual preference. In constrast to MOSP, SFOP is pursued as an ideal of the good life in the east, especially in the tradition of confucianism emphasizing self perfection,consciousness raising, awe toward nature, and self effacement. Therefore, it might be said that SFOP is not merely an alternative to POSP, but also another way to understand alienated activities of buying pleasure commodities from a sociological perspective. 인간은 삶의 본질로서 즐거움(樂)을 추구하는 동물이다. 따라서 삶의 특질과 사회생활의 본질의 이해에 있어 ‘즐거움의 추구’라는 요인을 배제할 수 없다. 그러나 즐거움의 구체적인 내용과 추구하는 방식은 사회에 따라 다양하다. 다양한 즐거움은 ‘쾌감지향형 즐거움’과 ‘자기 충족형 즐거움’으로 속성을 나누어 이해할 수 있다. 산업사회에서는 일상생활세계가 자본주의 생산양식에 의해서 구조화되어져 있기 때문에 여가의 소비, 즉, 즐거움의 추구도 상품화된 형태로 구성되어있다고 할 수 있었다. 포드주의 생산체제로의 재편이 이루어진 후기산업사회에 이르게 되면서 인간이 추구할 수 있는 즐거움의 종류와 범위가 크게 신장伸張되었다. 후기산업사회에 들어서서도 즐거움을 생산하고 공급하는 산업체계는 산업사회 방식과 유사하거나 더욱 정교한 조직적 형태로 발전하였다. 따라서 즐거움의 생산과 소비과정에서 즐거움의 추구는 산업생산과 마찬가지로생산과 소비간의 수요공급의 법칙에 의해서 결정될 뿐, 즐거움의 소비자인 사회 구성원 개개인의 의사는 제한되는 소외의 양상을 보이게 된다. 즐거움의 추구과정에서 파생되는 소외의 문제는 동양사상의 측면, 특히 유가사상의 관점에서 접근하면 해결될 수 있다고 생각된다. 왜냐하면 현대사회의 즐거움은 대체로 금전적 가치로 치환된 즐거움으로 개개인의 경제적 사정에 따라 향유여부가 결정된다. 또한 이러한 즐거움은 연예 산업에 의하여 만들어진 대량생산품으로 쾌감지향형 즐거움의 속성을 가지기 때문에 생산과정에 개개인의 선호도는 반영되기 어렵다. 반면에 동양사상은 자기실현, 자기완성, 자연에 대한 경외와 몰아沒我를 강조함으로써 현대 자본주의 사회와는 다른 차원에서 즐거움의 내용이나 추구방식을 상정하고 있기 때문이다. 즉, 동양적 즐거움은 ‘ 자기 충족형 즐거움’이라는 특성을 지니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현대인들이 느끼는 소외 극복의 대안으로서 ‘자기 충족형 즐거움’이라는 특성을 지닌 동양적 즐거움의 추구반면에 동양사상은 자기실현, 자기완성, 자연에 대한 경외와 몰아沒我를 강조함으로써 현대 자본주의 사회와는 다른 차원에서 즐거움의 내용이나 추구방식을 상정하고 있기 때문이다. 즉, 동양적 즐거움은 ‘ 자기 충족형 즐거움’이라는 특성을 지니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현대인들이 느끼는 소외 극복의 대안으로서 ‘자기 충족형 즐거움’이라는 특성을 지닌 동양적 즐거움의 추구를 수용하는 것은 사회학적으로도의미 있는 작업이라고 할 수 있을 것이다

      • KCI등재

        아리스토텔레스의 ‘즐거움’에 관한 연구

        이상일 새한철학회 2019 哲學論叢 Vol.96 No.2

        G. E. M. Anscombe says that Aristotle offers incompatible accounts of pleasure in two separate discussion, namely A discussion(Nicomachean Ethics Ⅶ. 11-14) and B discussion(Nicomachean Ethics Ⅹ. 1-15) within his Nicomachean Ethics. According to her, pleasure was the topic that finally and astonishingly reduced Aristotle to babble or a harsh judgment, since for good reasons he both wanted pleasure to be identical with and to be different from the activity. Many studies have been devoted to reconciling these two apparently incompatible accounts, while several others have concluded that they are simply irreconcilable. Here, I asserts that A discussion and B discussion give different definitions, but to insist that the definitions are not incompatible, because they aim to define different phenomena. On this view, which emphasize the differences between the definitions in the hope of rendering them complementary. I insist as follows in the latter position in this article. First, I insist that the formula “unimpeded activity of a natural condition” should be interpreted as including both the subjective and objective elements of pleasure. Because according to Aristotle, “activity of a natural condition” is what it is for something to be pleasant by nature and “unimpeded” signals that, furthermore(the objective pleasure), the activity is pleasant to the agent(the subjective pleasure). Second, I insist that B discussion as the functional analysis of pleasure should be interpreted as including both the subjective and objective elements of pleasure. Because Aristotle says that “the distinctive human pleasures are precisely the pleasures that accompany activities in accordance with virtue(the objective pleasure), and we should deliberately aim at such pleasures, since in doing so we are stimulated to act virtuously with even greater intensity and concentration(the subjective pleasures).” Third, I insist that “Aristotle accepts both as complementary by interpreting A discussion and B discussion about pleasure as metaphysical” Because Aristotle expresses “Pleasure may be a goal of human action, and thus a final cause. Pleasure, when present, makes these activities what they are, and is thus an efficient cause of them – and is for this same reason a formal cause.” In conclusion, I tried to understand that what these claims mean and why Aristotle should be inclined to make them by evaluating Aristotle’s view. As a result, I conclude that Aristotle offers the compatible and mutual supplemental accounts of pleasure in two separate discussion within his Nicomachean Ethics, unlike some researches including G. E. M. Anscombe. 앤스콤(G. E. M. Anscombe)은 아리스토텔레스가 그의 『니코마코스 윤리학』 안에 있는 두 가지로 나눌 수 있는 논의, 즉 A논의(제7권 11장-14장)와 B논의(제10권 1장-5장) 안에서 즐거움에 대한 양립할 수 없는 설명들을 제시하고 있다고 말한다. 그녀에 의하면, 아리스토텔레스의 즐거움에 대한 양자의 논의는 결론적으로 분명치 않은 표현 또는 거슬리는 판단 쪽으로 환원되는 논제들 중의 하나였다. 왜냐하면 아리스토텔레스는 좋은 이유 때문에 즐거움이 활동과 ‘동일시되는 것’과 그와는 반대로 ‘다르게 되는 것’ 둘 다를 원했기 때문이다. 몇몇의 학자들은 그것들이 단순히 양립할 수 없다고 결론을 내린 반면에, 일부의 학자들은 이러한 두 가지의 명백하게 양립할 수 없는 설명들을 조화시키려고 노력해왔다. 여기에서 연구자는 아리스토텔레스의 A논의와 B논의가 상이한 정의를 내리고 있다는 것을 인정하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그러한 정의들이 양립할 수 없는 것은 아니라고 주장한다. 왜냐하면 그것들은 상이한 현상들에 대한 정의를 내리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기 때문이다. 그러한 관점에 의하면, 양자는 상호 보충적이라는 희망 안에서 정의들 사이의 차이점을 강조하고 있다. 연구자는 본 글에서 이러한 입장을 취하면서 다음과 같이 주장할 것이다. 첫째, 연구자는 “A논의 안에서의 본성적 상태의 방해받지 않는 활동이라는 공식이 즐거움의 주관적이고 객관적 요소들 둘 다를 함유하고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한다”고 주장한다. 왜냐하면, 아리스토텔레스에 의하면 ‘본성적 상태의 활동’은 어떤 것이 본성적으로 즐거운 것이기 때문이며(객관적 즐거움), ‘방해받지 않는’이라는 것은 활동이 행위자에게 즐겁다는 것을 나타내고 있기 때문이다(주관적 즐거움). 둘째, 연구자는 “‘즐거움’에 관한 기능론적 해석으로서 B논의도 또한 즐거움의 주관적이고 객관적인 요소 둘 다를 함유하고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한다”고 주장한다. 왜냐하면 아리스토텔레스는 “뚜렷한 인간적인 즐거움들은 정확하게 탁월성에 따르는 즐거움들을 동반하는 즐거움들이며(객관적 즐거움들), 우리가 심사숙고하여 그러한 즐거움들을 목적으로 삼음으로써 우리는 더 큰 강도와 집중력을 가지고서 탁월성 있게 행위 하도록 자극받을 수 있다(주관적 즐거움)”고 말하고 있기 때문이다. 셋째, 연구자는 “아리스토텔레스가 즐거움에 관한 A논의와 B논의를 형이상학적으로 해석함으로써 양자를 상호보충적인 것으로 받아들이고 있다”고 주장한다. 왜냐하면 아리스토텔레스는 “즐거움은 행위의 목적이며 그리하여 목적인일수도 있다. 그리고 즐거움이 존재할 때, 그리고 즐거움이 이러한 활동들을 존재하는 것으로 만들 때, 즐거움은 그것들의 작용인이다. 그리고 즐거움은 이러한 동일한 이유 때문에 형상인이다”라고 해석하고 있기 때문이다. 결론적으로, 연구자는 ‘즐거움’에 관한 아리스토텔레스의 관점들을 검토함으로써 이러한 주장들이 무엇을 의미하는지 그리고 그가 왜 그렇게 말하려고 했는지를 이해하려고 노력해왔다. 그 결과, 연구자는 본 글에서 앤스콤을 비롯한 몇몇 연구자들과는 다르게 아리스토텔레스가 그의 『니코마코스 윤리학』 안에 있는 두 가지로 분리되는 논의 안에서 ‘즐거움’에 관한 양립 가능하고도 상호보충적인 설명을 제시하고 있다고 결론을 내린다.

      • KCI등재

        덕과 즐거움 -아리스토텔레스를 중심으로-

        편상범(Pyeon, Sang-beom) 서울대학교 철학사상연구소 2019 철학사상 Vol.72 No.-

        아리스토텔레스는 행위에 따른 즐거움과 고통을 품성의 표시라고 한다. 따라서 덕의 품성을 지닌 자(덕인)는 도덕적 행위에서 즐거움을 느낀다. 그런데 덕의 정의에 따르면 덕인은 상황에 마땅한 감정을 갖는 자이기 때문에 슬프거나 참혹한 상황에서는 고통을 느낀다. 그런 상황에서 도덕적 행위를 실천하는 덕인은 상황에 따른 고통과 동시에 자신의 덕행에 따른 즐거움을 느낀다. 이렇게 뒤섞인 고통과 즐거움의 성격을 덕, 감정, 활동(발휘), 그리고 즐거움에 관한 아리스토텔레스의 설명을 종합하여 명료하게 밝히는 것이 이 글의 목표다. 아리스토텔레스는 덕이 감정(pathos)과 행위(praxis)에 관계한다는 것을 반복하여 지적하는데, 이는 자신의 존재론적 틀을 실천철학에 그대로 적용한 것이며, 이러한 틀에 따라 감정과 행위는 수동적 활동(발휘)과 능동적 활동(발휘)이라는 서로 다른 활동으로, 이를 완성하는 즐거움 또한 서로 다른 즐거움으로 이해될 수 있다. 그러면 상황에 따른 고통은 감정의 고통이며, 고통 속에서도 중용의 행위를 실천하는 데서 오는 즐거움은 행위의 즐거움으로 해석될 수 있고, 그래야 고통과 즐거움의 뒤섞임을, 그리고 용감한 행위에 대한 아리스토텔레스의 설명을 자연스럽게 이해할 수 있다는 것이 논자의 주장이다. Aristotle called the pleasure and pain associated with an act indicators of character. If that is so, the virtuous ought to perform moral acts with a pleasant attitude. However, according to Aristotle’s definition of virtue, the virtuous is also someone who displays feelings appropriate to the situation, so he would feel pain in a sad or horrible situation. In such a setting, the virtuous, who practices moral behavior, feels the pleasure of his virtuous activity while at the same time suffers the pain arising from the situation. It is the goal of this article to articulate the nature of such mixed pain and pleasure by synthesizing Aristotle"s account of virtue(aretē), emotion(pathos), activity(energeia), and pleasure(hēdonē). Aristotle repeatedly points out that virtue is related to emotion(pathos) and action(praxis), which is the application of his ontological framework onto practical philosophy. In the framework, emotions and actions are distinguished by the difference in two activities(energeiai). In other words, emotions are passive activities, and actions are active activities. Thus the pleasures of completing passive activity and the pleasure of completing active activity must be understood as different pleasures.(According to Aristotle, pleasure completes activity.) It follows that the pain arising from the situation can be understood as the pain of emotion, while the pleasure derived from exercising virtuous action is understood as pleasure from action. Within the framework of this interpretation, I argue for the plausibility of the intermixture of pain and pleasure, including Aristotle"s account of brave actions.

      • KCI등재

        문학 교육과정에서 ‘즐거움’의 구체화를 위한 예비적 고찰

        민재원 한국국어교육학회 2014 새국어교육 Vol.0 No.98

        This study aims to explore ways to actualize the concept of ‘interesting’ in the national curriculum of literature education(NCLE) based on the awareness that this concept remains declarative and abstract in NCLE. According to previous studies, ‘interesting’ can be understood in the form of quadrants by two principal axes:object for a horizontal axis and quality for a vertical one. The object axis has text itself at one point and readers' experience at the other whereas the quality axis has immediate response at one point and reflective response at the other. The concept of ‘Interesting’ in these quadrants is limited to be the one as a product. This study suggests to include concept of ‘Hovering and Exploring’ to extend our understanding of ‘interesting’ to the one as a process. Two practical suggestions can be made so as to make students enjoy the process of ‘Hovering and Exploring’; first, we need to pay more attention to students' needs and interests. Second, favourable environments need to be provided to ensure the process of ‘Hovering and Exploring’ in the national curriculum. However, NCLE views ‘interesting’ as the one actualized automatically. This view is based on the idea of separating the two concepts of ‘interest as immediate response’ and ‘reflective interest’. To extend the concept of ‘interesting’ beyond the abstract level in NCLE, we need more empirical studies on responses of students while reading literature. In addition, we need to develop ideas for how to implement the process of hovering and exploring in NCLE. 본 연구는 문학 교육과정에서 언급하고 있는 ‘즐거움’이 아직 선언적이고 추상적인 수준에 머물러 있다는 문제의식을 가지고 향후 교육과정의 발전 방향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기존의 논의를 검토하여 종합한 즐거움의 범주는 즐거움의 대상과 즐거움의 질을 바탕으로 하여 설정한 두 축을 기준으로 하였다. 이때 대상의 축은 작품의 구조와 독자의 체험을 양 극단으로 가지며 질의 축은 즉각적 반응과 종합 및 성찰을 양 극단으로 가진다. 그러나 이를 통해 범주화된 즐거움은 결과로서의 즐거움이며 과정으로서의 즐거움은 ‘헤매기와 탐색’으로서의 속성을 갖는다고 보았다. 헤매기와 탐색이 교육에서 즐거움으로 작용하기 위해서는 학습자의 현재 관심에 대한 파악이 필요하며 그것이 안정적으로 마무리될 것이라는 보장이 필요하다. 그러나 현행 교육과정을 검토하면 즐거움은 자동적으로 얻는 것이며 즉각적 반응의 즐거움과 종합 및 성찰의 즐거움은 서로 단절되어 있는 것으로 나타난다. 문학 교육에서 즐거움이 선언적인 수준을 극복하기 위해서는 학습자들의 반응에 대한 실증적인 연구와 구체적 과정의 설계가 보다 활성화되어야 할 것이다.

      • KCI등재

        브랜드경험과 브랜드애착의 관계에서 즐거움의 매개효과

        공란란,김동국,김형길,Kong,Lan-Lan,Jin,Dong-guo,Kim,Hyoung-Gi 한국소비문화학회 2015 소비문화연구 Vol.18 No.2

        단순한 제품이나 서비스의 기능, 품질 등 물리적 측면을 넘어 소비 자체의 경험을 추구하는 소비자들의 욕구 변화에 따라 기업의 마케터들 뿐만 아니라 마케팅 분야의 학자들은 경험의 중요성에 주목하고 있다. 그러나 브랜 드로부터 유발되는 경험은 브랜드에 대한 소비자의 감정 형성, 소비자-브랜드 간의 관계 구축에 있어 아주 중요 함에도 불구하고 관련 연구는 미흡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다차원 브랜드경험(감각적, 감정적, 인지적, 행 동적)이 소비자의 감정(정서적 즐거움, 인지적 즐거움)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브랜드경험에 의한 형성된 소비자의 즐거움이 소비자-브랜드 간의 유대관계를 의미하는 브랜드애착을 증가시키는지, 그리고 브랜드경험과 브랜드애착의 관계에서 다차원 즐거움(정서적, 인지적)이 매개효과가 있는지에 대해서 검증할 것이다. 문헌고찰을 통 해 연구모형 및 가설을 도출하였으며, 실증분석은 스마트폰 브랜드를 조사대상으로 선정하여, 20대-30대 스마트 폰 사용자 357명으로부터 수집된 자료를 활용하였다. 분석결과, 첫째, 브랜드경험(감각적, 감정적, 인지적)은 각각 정서적 즐거움과 인지적 즐거움에 정(+)의 영향 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으나, 행동적 경험은 가설과 일치하지 않아 기각되었다. 둘째, 즐거움(정서적, 인지적) 은 브랜드애착을 증가시키는 유의한 변수로 확인되었다. 셋째, 다차원 브랜드경험(감각적, 감정적, 인지적)과 즐거움(정서적, 인지적)의 상대적 영향력 비교 결과, 브랜드경험(감각적, 감정적, 인지적)의 정서적 즐거움에 대한 상대적 영향력은 인지적, 감정적, 감각적 경험의 순으로 판명되었다. 또한 브랜드경험(감각적, 감정적, 인지적)의 인지적 즐거움에 대한 상대적 영향력은 인지적, 감정적, 감각적 경험 순으로 나타났다. 넷째, 브랜드경험(감각적, 감정적, 행동적, 인지적)과 브랜드애착의 관계에서 즐거움(정서적, 인지적)의 매개효과를 살펴보면, 감각적 및 인 지적 경험과 브랜드애착의 관계는 정서적 및 인지적 즐거움에 의해 완전 매개되고, 감정적 경험과 브랜드애착은 정서적 및 인지적 즐거움에 의해 부분 매개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스마트폰 시장의 브랜드 마케 팅전략 수립과 소비자-브랜드 간의 관계 구축에 중요한 시사점을 제공한다. According to the changes of consumers' needs for the pursuit of consumption experiences beyond the physical aspects(e.g., function, quality) of products or service, marketers as well as marketing scholars are focused on the importance of experience. However, research has ignored brand experience despite the important influence of brand experience on affective outcomes and the formation of relationship between consumers and brand. So, the present study is aimed to demonstrate the causal relationships of muli-dimensional brand experience(sensory, affective, behavioral, intellectual) to pleasure(emotional and cognitive), the effect of pleasure induced by brand experience on enhancing brand attachment and in addition, to investigate mediating effects of pleasure (emotional, cognitive) in the links between multi-dimensional brand experiences and brand attachment respectively. In order to effectively achieve the research objective, we built the research model based on the literature reviews and formulated the hypotheses. We selected three smartphone brands; GalaxyS, iPhone, and Optimus. We conducted the survey from 20-30's smartphone users. 357 responses were applied for analysis. The results indicated as follows. First, Brand experience(sensory, affective, intellectual) were positively associated with emotional pleasure and cognitive pleasure respectively, whereas the effect of behavioral experience to emotional and cognitive pleasure was not supported. Second, it was demonstrated that pleasure(emotional, cognitive) was a significant factor on enhancing brand attachment. Third, comparing the relative effects of construct of brand experiences to pleasure(emotional and cognitive), intellectual experience had the strongest impacts to pleasure (emotional, cognitive) better than sensory and affective, and had the same results in case of cognitive pleasure. Finally, with regard to the results of the mediating effect by pleasure(emotional and cognitive) in the relationships between brand experiences and brand attachment, emotional pleasure and cognitive pleasure had partially mediated in the relationship between sensory experience-brand attachment, and intellectual experience-brand attachment respectively, whereas, both pleasures were partially mediated the relationship of affective experience-brand attachment. The findings will help marketers establish more efficient brand strategies and the formation of relationship between consumers and brand for smartphone marke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