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중일전쟁의 연속·확장성: 태평양전쟁과 평화조약에 대한 상관관계

        김숭배(Soongbae Kim) 한국정치외교사학회 2018 한국정치외교사논총 Vol.39 No.2

        이 연구는 수많은 인류사 속의 전쟁들에서 중일전쟁을 다루고, 이 전쟁과 태평양전쟁의 상관관계를 시간, 공간, 인간 영역을 통해 밝힌다. 한편, 아시아-유럽-태평양에서 연속적으로 발발한 복합연쇄전쟁은 1945년에 종료되었으나, 공식적으로는 전쟁을 종료시킨 평화조약들로 마감되었다. 따라서 평화조약을 통해 과거의 전쟁을 역행적으로 성찰함으로써 중일전쟁과의 상관관계를 검토할 필요가 있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비록 영미권에서 중요한 것은 유럽에서의 전쟁에 따른 제2차 세계대전이나 태평양전쟁이었으나, 중일전쟁은 이에 앞서 발발했고, 전쟁당사자였던 중국과 일본은 중일전쟁과 태평양전쟁의 연속성을 크게 의식했다. 둘째, 일반적으로 중일전쟁은 1937년부터 1945년까지의 전쟁이라고 간주되지만, 이는 더욱 과거까지 거슬러 올라간 역행적 확장성을 지니고 있었다. 중국은 1945년 이후 중국 본토와 타이완을 근거지로 하는 두개의 중국이 등장했다. 이에 따라 전쟁을 공식적으로 마감시킨 샌프란시스코평화조약 서명국으로서 두 중국은 자격을 부여받지 못했다. 그러나 샌프란시스코평화조약에는 전쟁 와중에 연합국의 일원으로서 확고한 위치에 올라간 중국에 대한 명시적·암시적 조문들이 규정되었다. 여기에는 1931년 만주사변부터 중국에 대한 일본의 전쟁행위를 중시하는 시각뿐만 아니라, 청일전쟁까지 거슬러 올라간 측면들을 보였다. 중일전쟁은 태평양전쟁과의 연속성이 있었고, 평화조약을 통해 확장성을 지니게 되었다. This study deals specifically with the Second Sino-Japanese War amidst the countless wars in the history of humanity, and reveals the correlation of this war and the Pacific War through the spectrums of time, space and humans. Meanwhile, the compound serial war that broke out continuously in Asia, Europe and the Pacific ended in 1945, but officially, it was finished with peace treaties that ended the war. Therefore, it is necessary retrospectively examine past wars through peace treaties to review the correlation with the Sino-Japanese War. The research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while the Second World War and the Pacific War that began in the wars in Europe are important in Britain and the United States, the Sino-Japanese War broke out before the said wars, and China and Japan that fought each other in the war were highly conscious of the continuity of the Sino-Japanese War and the Pacific War. Second, while the Sino-Japanese War is commonly viewed to be a war from 1937 to 1945, this actually has a retrospective extensions that dates back further into history. In 1945, China was divided and there were two Chinas – one in mainland China and one based in Taiwan. Accordingly, the two Chinas were not given eligibility as signing nations of the San Francisco Peace Treaty that officially ended the war. However, the San Francisco Peace Treaty prescribed implicit and explicit provisions on China that rose up to a firm position as a member of the Allied Forces during the war. This included not only Japan’s actions of wars against China starting from the Manchurian Incident in 1931 and even as far as the First Sino-Japanese War(1894-1895). The Second Sino-Japanese War possessed continuity regarding the Pacific War and gained extensions through the peace treaty.

      • KCI등재

        중일전쟁 전반기 중국의 항공전력 확보와 소련의 지원 : 비행기와 조종사 지원을 중심으로

        정형아(Jung, Hyung-Ah) 고려대학교 아세아문제연구소 2020 亞細亞硏究 Vol.63 No.4

        해군력이 군사적 근대화에서 표상이었다면, 공군력은 거기에서 진일보하여 현대화된 무장역량의 척도라고 할 수 있다. 그러한 이유에서 20세기 초 세계 각국은 해군력에서 더 나아가 공군력을 갖추려고 노력하였다. 1924년 쑨원의 중국 정부는 제1차 중소합작으로 소련의 지원을 받아 군대를 갖출 수 있었다. 그러나 쑨원의 사후 장제스의 반공활동과 중동로 사건 등으로 중소 양국은 단교를 하였다. 1931년 만주사변이 일어난 후 중소 양국은 다시 국교를 회복하였지만, 적극적인 협력관계는 형성하지 못하고 있었다. 일본의 중국 침략이 점차 확대되어 가는 가운데도 중국의 군사력은 여전히 낙후되어 있었고, 군대의 지휘와 훈련 및 무기는 대부분 외국에 의존하고 있었다. 1930년대 중반 유럽에서 전쟁의 위기가 고조되자 중국에서 활동하던 이탈리아, 독일 등의 군사고문은 대부분 본국으로 돌아갔다. 세계 각국은 확대되어가는 중일 양국의 갈등에 개입하려고 하지 않았다. 1937년 전면적인 중일전쟁이 일어나면서 일본에 비해 매우 낙후한 군사력을 가진 중국은 미국과 유럽 각국에 원조를 요청하였다. 그러나 아무도 중국을 지원하려고 하지 않는 가운데 소련은 중국과 불가침조약을 맺고 중국을 지원하기로 하였다. 제2차 중소합작이 시작된 것이다. 본고는 중일전쟁 초기 소련의 대중국 원조를 주목하였다. 중일전쟁을 일으킨 일본군은 중일전쟁을 속전속결로 단기간에 마무리할 것으로 예상하고 물자동원계획을 마련하였다. 일본에 뒤지는 중국의 군사력, 특히 낙후한 공군력은 일본이 장기전의 필요를 예상하지 못하게 하였다. 그러나 예상과 달리 중국은 선전을 하고 지구전에 들어갈 수 있었다. 그 배경에는 소련의 지원이 있고, 그 지원이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하였다. 본고는 그 중에서 소련의 공군력 지원을 주제로 삼았다. 중일전쟁 초기 소련은 비행기를 비롯하여 항공 전력을 위한 군수물자 지원과 인력파견으로 중국의 전쟁을 지원했다. 소련의 대중국 항공 전력지원은 많은 의미를 내포하고 있다. 이는 단지 중국이 전쟁을 지속할 수 있었다는 차원이 아니라 중국이 공군력을 갖추고 현대적 군사력으로 진보하는데도 중요한 의미를 갖는다. 이러한 관심에 근거하여 본문은 1937년부터 1941년까지 전면적인 중일전쟁의 발발부터 소련의 대중국원조가 중단되는 1941년까지의 소련의 공군원조 내용을 항공기 지원과 조종사과 기술자 같은 인력 측면으로 나누어 검토하였다. 이를 통해 중일전쟁 초기 밀월관계라고 불리던 중소관계를 검토할 뿐만 아니라, 1930년대 동아시아 국가가 항공력이라고 하는 새로운 진보동력을 갖추게 되는 시작점을 고찰할 수 있을 것이라고 본다. If naval power was a symbol in military modernization, air power could be said to be a measure of armed capacity modernized by further progressing there.For this reason, countries around the world in the early 20th century tried to develop air power further from aviation. In 1924, Sun Yat-sen’s Chinese government was able to have his own army with the support of the Soviet Union through the first cooperation. However, after Sun’s death, due to the anti-Communist activities of Chiang Kai-shek and the Incident of Eastern China Railroad, the two countries severed diplomatic ties. After the Manchurian Incident in 1931, China and the Soviet Union restored diplomatic relations, but no active cooperative relations were formed. While Japan’s invasion of China was gradually expanding, China’s military power was still lagging, and most of its command, training, and weapons were mostly dependent on foreign countries.As the crisis of war escalated in Europe in the mid-1930s, most military advisers from Italy and Germany, who were active in China, returned to their home countries. Countries around the world did not try to intervene in the expanding conflict between China and Japan. With the outbreak of the Sino-Japanese War in 1937, China, which had very weak military power compared to Japan, requested aid from European and American countries. With no one trying to support China, the Soviet Union signed a Treaty of Non-aggression with China to aid China. The text noted Soviet aid to China in the early days of the Sino-Japanese War. The Japanese military prepared the mobilization plan in anticipation of a quick conclusion of the Sino-Japanese War. China’s military power, especially its backward air force, behind Japan, has left Japan unable to anticipate the need for a long-term war. Contrary to expectations, however, China was able to continue the war. Because Soviet support played a very important role. This paper focused on the Soviet air force support among them. In the early the Sino-Japanese War, the Soviet Union supported China’s war with military supplies and personnel dispatch for air power, including airplanes. The Soviet Union’s air power assistance to China has not only allowed China to continue its war, but also has significant implications for China’s progress in air power. Based on this interest, this paper reviewed the content of Soviet air aid by dividing it into aircraft support and manpower such as pilots and engineers. This will not only review the Sino-Soviet relations, which were called honeymoon relations in the early the Sino-Japanese War, but also consider the starting point for East Asian countries to have aviation power in the 1930s.

      • KCI등재

        중일전쟁기 일본 정치 지도층의 대 중국 인식과 전쟁 수행 논리 -대 중국 멸시와 군사적 굴복을 중심으로-

        윤현명 부산경남사학회 2022 역사와 경계 Vol.122 No.-

        This article analyses the Japanese Political Leaders’ preception on China and logics of war performance during The Second Sino-Japanese War, focusing on Extraordinary War Expenditure review. Firstly, for the perception on China, the Japanese Political Leaders blamed China for starting and extending The Second Sino-Japanese War, considered the Chinese people’s resistance was due to the ‘bandits’ activities, communism, and supports from the foreign forces, and thought the friendly relationship between China and Japan came from China’s surrender and The Sino-Japanese negotiation by Japan. These could be summarized into the Contempt against China, For the logic of war performance, the Japanese Political Leaders had the logics of removing ‘bandits’, of rejection against the foreign force, and of establishment of a puppet government in China, and executed them. These are summarized into the China’s military surrender. And then, how the Japanese Political Leader’s perception affect The Second Sino-Japanese War? The Japanese Political Leaders’ contempt against China maintained the logics of ‘punishment’ against China, of removal of ‘bandits’, anti-communism, and rejection of foreign forces, and of establishment of a puppet government. These logics result in that of military surrender. And the Japanese Political Leaders practiced their own logics and performed the war, As a result, during The Second Sino-Japanese War, the Japanese Political Leaders’ contempt against China had some effects on the prolongation and extension of The Second Sino-Japanese War. In other words, it was one of the driving forces that continued the war. 본고는 임시군사비 심사 부분을 중심으로, 중일전쟁기 일본 정치 지도층의 대 중국 인식과 전쟁 수행 논리를 분석했다. 먼저 대 중국 인식의 경우, 일본 정치 지도층은 중일전쟁의 발발과 확대에 대한 책임이 중국에 있다고 보았고, 중국의 민족적 저항을 ‘비적’의 활동·공산주의·외국 세력의 지원 탓으로 여겼으며, 중국과 일본의 우호 관계를 중국의 굴복 및 일본에 의한 중일 제휴로 간주했다. 이를 종합하면, 대 중국 멸시로 정리할 수 있다. 전쟁 수행 논리의 경우, 일본 정치 지도층은 중국을 응징해야 한다는 ‘응징’의 논리, 중국의 민족적 저항에 대해 ‘비적’ 소탕·방공·외국 세력 배격의 논리, 중국에 괴뢰 정부를 세워야 한다는 괴뢰 정부 수립의 논리를 견지하고, 이를 실행에 옮겼다. 이를 종합하면, 중국의 군사적 굴복으로 정리할 수 있다. 그렇다면, 일본 정치 지도층의 대 중국 인식은 중일전쟁에 어떤 영향을 주었을까? 일본 정치 지도층의 대 중국 멸시는 중국에 대한 ‘응징’의 논리, ‘비적’ 소탕·방공·외국 세력 배격의 논리, 괴뢰 정부 수립의 논리를 지탱해주었다. 위의 논리는 군사적 굴복의 논리로 귀결된다. 그리고 실제로 일본 정치 지도층은 자신들의 논리를 실행에 옮기며 전쟁을 수행했다. 결국, 중일전쟁기 일본 정치 지도층의 대 중국 멸시는 중일전쟁의 장기화와 확대에 일정한 영향을 끼쳤다고 볼 수 있다. 즉, 전쟁을 지속시킨 하나의 동력이었던 셈이다.

      • KCI등재

        일제의 지배정책에 대한 신문들의 논조 변화

        박용규(Yong-Gyu Park) 한국언론정보학회 2005 한국언론정보학보 Vol.28 No.-

        일제는 중일전쟁 발발 이후 내선일체론에 근거한 황민화 정책을 실시하고, 병참기지론에 기반하는 전쟁동원체제의 구축을 서둘렀다. 중일전쟁을 위해서는 조선인을 동원할 필요가 있었고, 그러기 위해서는 조선인의 황민화가 이루어져야만 했기 때문이다. 또한 일제는 황민화와 전쟁동원을 위해 전쟁의 성격과 목적을 정당화하는 시도를 해야만 했다. 본 연구는 이런 일제의 지배정책을 다룬 《동아일보》와 《조선일보》의 사설을 분석한 것이다. 먼저 전쟁의 성격과 목적에 관한 사설에서 두 신문은 중일전쟁 발발 직후 한 동안 일본은 부득이하게 동양의 평화를 위해 전쟁에 나섰다고 주장했고, 일본군의 승전 소식이 있을 때마다 이를 대대적으로 선전했다. 1938년 말 이후 두 신문은 중일전쟁은 동양을 서구로부터 해방시키기 위한 전쟁이고, 일본은 그 해방자라고 주장했다. 다음으로 황민화 정책과 관련해 두 신문은 초기에는 주로 신사참배나 궁성요배를 정당화하고 권유하는 논조를 보였을 뿐이다. 이후 두 신문 모두 지원병제도에 대해서는 ‘완전한 국민’이 될 수 있는 기회를 얻었다고 절대적인 찬성 입장을 보였던 반면에 3차 조선교육령에 대해서는 조선어 교육의 폐지를 염려하며 소극적이나마 반대의사를 표명했다. 1939년에 들어서서 두 신문 모두 ‘일본 정신’을 강조하며 내선일체를 적극적으로 주장하기 시작했다. 마지막으로 전쟁동원 정책에 관한 사설에서 두 신문은 전쟁 직후 한 동안 자중을 요구하는 논조만을 보이다가, 곧 여기에서 벗어나 적극적으로 전쟁협력을 촉구하는 논조를 보이기 시작했다. 1939년에 들어서서 ‘일본 정신’을 기반으로 하여 적극적으로 전쟁에 협력해야 한다는 주장들이 사설에서 나타났고, 1940년에 가서는 이제 국가주의적이고 전체주의적인 동원체제를 강력히 주장하기에 이르렀다. 이 같은 논조는 일제의 강력한 언론통제와 신문사 내 경영진 및 언론인의 의식 전환이 모두 작용한 결과였고, 결국 두 신문이 일제의 지배방식에 순응해 독자들에게 내선일체와 전쟁협력을 강요했다는 역사적 평가를 듣게 만들었다. Most of studies on the press during the period of Japanese occupation in Korea have focused on the activities of newspapers in 1920s. These past studies didn't examine the whole process of change of the press under the Japanese occupation in Korea. Thus, this study tried to investigate the change of the tenor of Korean newspaper editorials on the ruling policies during the end of the colonial period in Korea as a part of attempts exceeding the limit of past studies. After the outbreak of the war between China and Japan in 1937, the Korean newspapers were full of stereotyped editorials resembling in a way official gazette. Dong-A Ilbo and Cho-Sun Ilbo represented the purpose of the war was to emancipate Asian countries from Western imperialist countries and to establish the peace of the Asia. Simultaneously, two newspapers played an important role in assimilating the Korean people into the Japanese and mobilizing them to the war. The tenor of these editorials was affected by intensified control over the press and the change of the consciousness of journalists. In conclusion, these newspapers had a harmful influence on the Korean people as a weapon to the movement to organize and mobilize them. Therefore the interest for researching on the pro-Japanese press should be taken in view of 'resistance' and 'collaboration.'

      • KCI등재

        중국의 일본에 대한 적대적 역사 활용추이와 강화요인

        이중구(Choongkoo Lee) 서울대학교 아시아연구소 2018 아시아리뷰 Vol.8 No.1

        이 글은 중국 당국에 의한 일본에 대한 적대적 역사의 활용 동학을 검토하였다. 중국 공식매체를 통해 청일전쟁과 중일전쟁의 기억이 강화되는 현상은 영유권, 역사 문제상의 갈등으로 인한 국내 민족주의 감정의 발로로 이해되기도 하고, 국내 정치과정에 의해 일어난 것으로도 상정될 수 있다. 이 글에서는 『인민일보』에서 청일, 중일전쟁을 다루는 기사들의 추이를 기초로 중국 당국의 역사적 활용추세를 구하고, 그 확대 추이가 일본발 외부 요인에 의해 설명되는지, 중국 정치의 권력 강화 국면으로 설명되는지를 실증적으로 검토하였다. 그 결과는 두 요인이 결합되었을 때에 적대적 대일 기억의 전략적 활용이 현저하게 나타났음을 보여주며, 내부적 국내 정치 요인은 적대적 대일 기억의 활용이 줄어들기 어렵게 한다는 점과 외부적 일본 요인은 적대적 대일 기억의 강화와 직접적 관련성이 작다는 점을 제시한다. 여론에 대한 정치적 민감성과 민족주의 여론 모두가 확대되었을 때, 일본에 대한 적대적 역사 문제가 중국 당국에 의해 적극적으로 취급되는 것이다. This article examines the strategic use of hostile memories of Japan by Chinese authorities. The emergence of memories of the past war with Japan through the Chinese official media may be regarded as an expression of domestic nationalism as a result of conflict with Japan, and it can also be assumed to have been caused by the domestic political process. I examine whether the expansion of articles covering two Sino-Japanese wars in the “People’s Daily” could be explained by external factors of Japan’s behaviors and internal factors of unique political processes in China. The result shows that when both factors are combined, the strategic use of hostile memory is significantly increased. This means that when both the political sensitivity to public opinion and nationalist public opinion are expanded, the hostile history issue against Japan is actively handled by Chinese authorities.

      • KCI등재

        중일전쟁 초기 조선총독부의 전쟁에 대한 선전과 조선인-1937년의 『매일신보』의 기사 내용을 중심으로-

        황민호 한국민족운동사학회 2013 한국민족운동사연구 Vol.0 No.76

        This paper is aimed to understand the situation of Chosun people and propaganda of Chosun Government General for the war from the outbreak of war in 7 July 1937 to 13 December, directly after the fall of NanJing by analyzing the report of 『Mai-il Shinbo』 on the war. After the outbreak of war, the Mai-il Shinbo rapidly announced the victory of Japanese army, while criticizing the incapacity and lethargy of Chinese government. And it aggressively denied the using of poison gas by the Japanese army which was called into question by international public opinion and publicized the counterpropaganda of Chinese government. The Mai-il Shinbo actively announced the strengthening movement of perception of the current situation developed by Chosun Government General, which was deployed by Chosun Government General around Hakmukuk and Kyungmukuk possessing the national network. And the Chosun Government General emphasized the importance to the ‘Naesun-Ilchae’ for the Chosun people through advice and broadcasting. Moreover, for the Japanese people, it propagated the situation of active participation in war of Chosun people, in doing so made Chosun people believe to reward after the victory of Sino-Japanese War. The Mai-il Shinbo reported regarding the activities of Chosun people participated in war, involving Kim Seok Won who was propagated as a war hero, Eom Ju Myung, Lee Jong Chan who were west Pointers, and the situation of people who were employed as drivers. Under the cloak of voluntary fund-rising of national defense contribution, the Chosun Government General sought to create an atmosphere which had to dobate the national defense contribution, so almost people such as children, leprosy patients, prisoners, the poor was mobilized in the national defense contribution. From this, generally, the Chosun society was rapidly changed to moblilzation system in the war time, and as becoming unfavorable for the Japan which was in progress of battle, it was likely to be strengtened. 이 논문은 1937년 7월 7일 중일전쟁 발발 이후 12월 13일 남경함락 직후의 『매일신보』에 나타난 전쟁관련 기사의 분석을 통해 조선총독부의 전쟁에 대한 선전 활동과 조선인들의 상황에 대해 파악해 보고자 하였다. 전쟁이 발발하자 『매일신보』는 일본군의 승전을 신속하게 전하는 한편, 중국군과 중국정부의 무능력과 무기력에 대해 강력하게 비난하였다. 또한 국제 여론이 문제 삼고 있던 일본군의 독가스 사용과 관련해서는 적극적으로 부인하거나 중국측의 역선전임을 홍보하였다. 『매일신보』에서는 총독부가 추진하던 시국인식강화운동에 대해서도 적극적으로 보도했는데 총독부에서는 전국적인 조직망을 갖고 있던 학무국과 경무국을 중심으로 이 운동을 전개했던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그리고 조선총독은 諭告와 방송연설 등을 통해 조선인들에게 내선일체의 중요성 강조하였으며, 일본인들에게는 조선인들의 적극적인 전쟁참여 상황을 선전함으로서 조선인들이 중일전쟁이 승리한 후 일정한 보상이 있을 것이라는 생각을 갖도록 유도하고 있었던 것으로 보인다. 『매일신보』에서는 전쟁에 참여했던 조선인들의 활동에 대해서도 다양한 기사를 게재하였다. 전쟁영웅으로 선전되고 있던 김석원과 일본 육사 출신의 엄주명, 이종찬 등에 대한 보도와 운전수로 고용되어 있던 조선인들의 활동상황에 대해서도 자주 기사화하였다. 총독부에서는 자발적인 국방헌금의 모금이라는 미명하에 국방헌금을 헌납해야 하는 사회적 분위를 만들고자 했으며, 따라서 국방헌금 헌납에는 어린이와 나병환자 및 죄수, 빈민 등 거의 모든 조선인이 동원되고 있었던 것으로 보인다. 따라서 이상의 내용을 통해서 보면 전체적으로 중일전쟁 이후 조선사회는 급속하게 전시동원체제로 개편되고 있었으며, 이는 시간이 지나 戰況일 일본에게 불리해 질수록 더욱 강화되는 양상이었을 것으로 생각된다고 하겠다.

      • 중일전쟁기 일본점령구의 로컬 경험

        이은자(Lee, Eun-Ja) 부산대학교 한국민족문화연구소 2013 로컬리티 인문학 Vol.0 No.10

        중국인에게 중일전쟁은 승리의 전쟁이고 항일의 전쟁이지만, 8년 전쟁 기간을 일본의 침략과 중국의 저항의 역사로만 설명할 수는 없다. 이 글은 바로 중일전쟁이 일본의 수탈과 폭력에 대항하여 승리한 항일 전쟁이라는 국가의 기억을 문제 삼고 있다. 중일전쟁기 전체상의 이해를 위해서, 저항의 다른 한편에 있는 ‘협력’에 관한 연구가 필요한 이유는 이 때문이다. 이 글에서는 특히, 일본점령구의 로컬 차원에서 대일 협력이 어떻게 이루어졌는가에 주목하였다. 우선 일본점령구의 로컬 경험에 관한 서구학계의 연구 성과를 중심으로 논의를 전개하였다. 서구학자들은 로컬 차원에서 진행된 대일 협력 경험을 관찰하면서, 지리적인 것 뿐 아니라 심리적인 것 모두를 포함하는 ‘회색 지대’의 존재를 강조하였다. 일본군의 점령으로 정치적 진공 상태가 계속되면서 지역의 각종 세력은 이 기회를 이용하여 자신의 생존과 세력 확장을 우선 목표로 하였다. 지역민에게 항일 민족주의 혹은 국가의 관념은 차후의 문제였다. 다음으로, 전쟁 기간 로컬 차원에서 어떻게 생존을 위한 다양한 전략을 구사했는지를 민간비밀결사의 동향을 중심으로 검토하였다. 일본점령구 南京의 紅卍字會는 학살로 인한 수많은 시신을 수습하는 자선 활동을 하면서도, 일본과 협력하였다. 다른 길이 불가능하다고 여겨 일본의 점령을 자발적으로 수용하고 친일 협력 조직에 참여한 것을 단순히 도덕적으로 판단하기 보다는, 협력의 복잡함과 모호함으로 이해할 필요가 있다. 河南省 浚縣과 內黃縣의 종교적 무장 결사 紅槍會의 친일 협력, 山東省 曹縣의 홍창회 폭동, 山西省 黎城縣의 종교결사 離卦敎의 반란에 대한 연구에서는 농민 민족주의, 공산당의 사회경제적 개혁, 그리고 공산당의 조직력 등을 강조한 기존의 항전사 연구와는 다른 로컬의 상황을 묘사하고 있다. 로컬리티 연구는 국가가 아닌 로컬 차원, 중심이 아닌 주변에 대한 관심을 중시한다. 중일전쟁기 대일 협력 연구는 국가에 의해 강요된 ‘레지스탕스 신화’의 허구성을 지적하고, 로컬 차원에서 지역민의 생존 전략에 관심을 갖고 있다는 점에서, 로컬리티 연구와도 밀접한 연관을 갖는다. This thesis raises questions regarding the national memory of the Sino-Japanese war having been an anti-Japanese war of resistance and victory against Japanese invasion and plundering. This is why, for a complete understanding of the Sino-Japanese war period, research into the collaboration that occurred on the other side of resistance is required. This thesis focuses on how local collaboration with the Japanese in the Japanese occupied areas occurred. First, research from western academic circles regarding collaboration was examined. The thesis centers on the local experience (collaboration with the Japanese) in the Japanese occupied areas. Next, the various strategies implemented on the local scale for survival during the war period was examined, centering on the trend of secret society. Locality studies give weight not to the nation but the local aspect, to the periphery instead of the center. Research into collaboration with the Japanese during the Sino-Japanese war period, which points out the falsity of the “resistance myth” forcibly imposed by the state, and has more interest in the survival strategies of residents on a local level, is closely associated with locality studies.

      • KCI등재

        근대일본의 임시군사비에 대한 일고찰: ‘제국’의 전쟁과 군사비의 통제

        윤현명 인하대학교 한국학연구소 2012 한국학연구 Vol.0 No.28

        메이지유신 이래 근대일본은 ‘제국’을 표방하며 국가의 전략목표로서 끊임없는 팽창을 추구했다. 그리고 이것은 동아시아에서 일본이 수행했던 일련의 전쟁으로 이어진다. 임시군사비는 이러한 전쟁을 위해 지출된 막대한 규모의 군사비이다. 일반회계의 군사비와는 별도로 특별회계였던 임시군사비는 공채모집을 통해 전쟁비용의 조달을 용이하게 해주었고 일단 예산을 확보해두면 상당한 재량권으로 쓸 수 있다는 ‘효율성’을 가지고 있었다. 그래서 임시군사비는 근대일본의 주요한 전쟁 즉 청일전쟁, 러일전쟁, 제1차 세계대전과 시베리아 출병, 중일전쟁과 태평양전쟁 이렇게 4차례에 걸쳐서 성립, 운용되었고 전쟁비용의 대부분을 담당했다. 그러나 임시군사비는 예산통제라는 면에서 커다란 문제점을 지니고 있었다. 임시군사비는 제국의회의 심사에서 기밀상의 이유로 예산의 내용이 제대로 공개되지 않았고 회계검사도 제한되었다. 또한 임시군사비는‘사건의 종결까지’를 하나의 회계연도로 했기 때문에 전쟁과 전후처리가 끝날 때까지 장기간 유지되었다. 이러한 문제점은 임시군사비를 통제되지 않는 군사비로 만들었다. 통제되지 않은 군사비인 임시군사비는 모험적이고 즉흥적인 군사행동을 용이하게 했으며 심지어 전쟁 자체를 촉진하는 요인 중의 하나가 되기도 했다. 그리고 전쟁 속에서 임시군사비는 입헌적예산제도 자체를 손상시키기까지 했다. 네 차례의 전쟁을 거치는 동안 그러한 폐해는 점점 심화되었고 중일전쟁과 태평양전쟁 때 절정에 달했다. 그 후 태평양전쟁의 패배로 인해 ‘제국’이 붕괴되고 육해군이 폐지되고 나서야 임시군사비도 완전히 폐지되었다. 결국 통제되지 않는 군사비라는 측면에서 임시군사비는, 군수를 위한 민수의 희생, 전쟁의 장기화와 확대를 초래하는 요인이 되었고 종국에는 근대일본의 입헌체제를 붕괴시키는 데 영향을 끼쳤다고 할 수 있다.

      • KCI등재

        일본 고등학교 교과서 <역사총합>의 침략전쟁(1931~1945) 관련 기술 검토

        전경선 한국역사교육학회 2024 역사교육연구 Vol.0 No.48

        이 연구는 2021년 4월 일본 문부과학성의 검증을 통과한 교과서 역사총합 중 4종의 내용을 검토한 것이다. 특히 1931년부터 1945년까지의 일본의 ‘침략전쟁’, 즉 만주사변과 만주국의 성립, 중일전쟁, 아시아・태평양전쟁 관련 서술을 집중 분석하였다. 2022년 4월부터 일본 고등학교 학생들은 신설 과목 「역사총합」을 필수로 이수하고 있다. 「역사총합」은 근현대 역사를 일본사와 세계사의 통합이라는 새로운 시도로 집필한 과목이다. 또한 그 학습방식에서도 기존의 통사학습을 지양하고 주제학습, 과제해결학습으로의 전환을 지향한 과목이기도 하다. 이런 취지를 담고 있는 개정 교과서 역사총합 은 긍정적 평가를 받을 부분도 적지 않다. 그러나 교과서가 담고 있는 역사, 내용면에서는 현재 주변국가와의 역사인식의 간극을 좁히기에는 많은 한계를 지닌다고 할 것이다. 첫째, 본 과목이 지향하는 주제학습에 있어 자료가 가지는 중요성은 크지만, 그럼에도 일부 교과서에는 만주국이나 중일전쟁의 본질을 왜곡할 수 있는 포스터나 사진들이 실려 있다. 둘째, 중일전쟁, 아시아・태평양전쟁기 일본군의 잔학행위나 일본의 식민지・점령지에서의 전시 동원의 실상이 제대로 서술되고 있지 않다. 특히 ‘난징대학살’을 ‘난징사건’으로 명명하는 것은 그 잔학성과 폭력성을 은폐하는 것이다. 셋째, 일본인의 전쟁인식, 즉 전쟁의 가해자가 아니라 피해자라는 인식은 교과서의 서술에도 반영되어 있다. 따라서 전쟁이 초래한 자국의 피해와 고통을 서술하는 데 집중하고 일본이 주변국에게 끼친 막대한 피해와 고통은 구체적으로 드러나지 않는다. 마지막으로 근현대의 역사를 ‘근대화’, ‘대중화’, ‘글로벌화’라는 3개의 특정 개념으로 파악함으로써 발생한 문제점이다. 제1, 2차 세계대전이라는 전례 없는 대규모의 전쟁이 발생한 시기를 ‘대중화’라는 키워드로 묶어냄으로써 일본이 전쟁의 가해자임에도 전쟁에 대한 성찰을 제대로 할 수 없게 한다. 따라서 이번 개정 교과서는 체제, 학습방식 등의 방면에서 새로운 시도로 기대를 모았지만, 그 내용에서는 한중일 삼국의 역사인식의 간극을 좁히고 동아시아의 평화 안착에 기여하기에는 여전히 많은 한계를 지닌다. This study reviewed the contents of four types of “General History” that were verified by the Japanese Ministry of Education, Culture, Sports, Science and Technology(MEXT) in n April 2021. Descriptions of Japan’s war of aggression from 1931 to 1945, to be specific the Manchurian Incident and the establishment of Manchukuo, the Sino-Japanese War, and the Asia-Pacific War were intensively analyzed. This course was written as a new attempt to integrate modern and contemporary history with Japanese history and world history. In addition, in terms of its learning method, it is also a subject that aims to shift from traditional complete history learning to topic learning and problem-solving learning. In this respect, there are many aspects that can be evaluated positively. However, it currently has many limitations in terms of history, that is to say content in narrowing the gap in historical awareness with neighboring countries in East Asia. First, some textbooks contain posters or photos that may distort the nature of Manchukuo or the Sino-Japanese War. Second, the atrocities committed by the Japanese military during the Sino-Japanese War and the Asia-Pacific War, as well as the reality of wartime mobilization in Japan's colonies and occupied territories, are not properly described. Third, Japan's perception of war as a victim rather than a perpetrator of war is also reflected in textbook descriptions. Lastly, modern and contemporary history is understood through three specific concepts: ‘modernization,’ ‘popularization,’ and globalization.’ By bundling the period when unprecedented large-scale wars such as World Wars I and II occurred under the keyword ‘popularization’, it is difficult to properly reflect on the war of aggression brought about by Japan.

      • KCI등재

        일제의 중일전쟁 도발과 조선민중의 경제생활

        송규진 ( Song Kue-jin ) 고려대학교 역사연구소(구 역사학연구회) 2018 사총 Vol.94 No.-

        1937년 7월 7일에 일본군 이등병 한 명이 행방불명된 사건을 구실로 중일전쟁을 도발한 일본은 전쟁에 대한 구실을 계속 만들어 12월 13일에 南京을 점령했다. 일본군은 포로와 민간인을 포함하여 무려 30만여 명을 무차별 학살했고, 이 과정에서 일반 부녀자들에 대한 강간 등의 잔학행위도 서슴지 않았다. 총독부는 일본군이 자행한 만행에 대해서는 보도를 통제하여 그 사실을 알리지 않았으며 중국군이 대응하는 과정에서 발생한 사소한 문제들은 집중적으로 보도하면서 사실을 왜곡했다. 미나미 지로는 ‘대륙전진병참기지화론’을 제기하며 조선에서 물자동원정책을 강행했다. 조선 각 지역에서 헌금운동이 광범위하게 전개되면서 수많은 ‘헌금미담’이 만들어졌다. 일제의 선전선동에 넘어간 조선인들이 자발적으로 헌금을 내기도 했지만 여러 정황상 강제적으로 모금을 한 경우도 있었다. 조선인들 가운데 일부는 중일전쟁에서 일본이 승리하고 있다는 것을 믿지 않고 정책당국과는 다른 유언비어를 유포하여 총독부를 곤혹스럽게 만들었다. 조선민중은 대부분 겨울옷을 따로 착용하지 못했으며 소작농의 대부분은 평상복과 외출복의 구별 없이 살았다. 일제하 조선의 농민들은 쌀 및 각종 식량 작물의 증산정책에 의해 생산량을 늘려갔지만 그것이 조선인들의 식생활 향상에는 아무런 도움을 주지 못했다. 공출이 시작되면서 조선인의 곡물 소비는 양적으로나 질적으로 더욱 열악해졌고 일제패망 직전에 이르러 조선인의 식량소비량은 1910년 시기와 비교할 때 절반으로까지 줄어들었다. 농촌경제의 파탄으로 도시로 유입되는 인구가 늘면서 도시는 심각한 주택난에 처했고 토막민이 격증했다. 농촌의 영세농도 토막민과 거의 유사한 주거환경에서 생활했다. 일제는 중일전쟁에서 승리하기 위해서는 연료를 절약해야 한다며 ‘저온생활’의 필요성을 선전했다. 이와 같이 일제의 중일전쟁 도발로 조선민중의 삶은 이루 말할 수 없을 정도로 비참한 지경에 빠졌다. Japan, which on July 7, 1937 started the Sino-Japanese War under the pretext of a Japanese soldier gone missing, continued to create excuses for the war and occupied Nanjing on December 13. Japanese soldiers indiscriminately massacred approximately 300,000 people, including prisoners of war and civilians and, in the process, did not hesitate to commit atrocities, including the rape of women. the Government-General of Chosun withheld these facts by exercising control over reporting on the brutality committed by Japanese soldiers, and distorted the truth while focusing reports only on the minor incidents that took place in the process of Chinese soldiers confronting the situation. When the Sino-Japanese War broke out, the Governor General Minami Jiro presented the “theory of advancing a continental logistics base ” and enforced a material mobilization policy in Chosun. In each region of Chosun, a wide-spread movement of offerings unfolded while numerous “offering stories” were made. Chosun people that had fallen for the Japanese empire’s propaganda voluntarily gave offerings, but there were also circumstantial instances in which collections were made coercively. A portion of the Chosun people did not believe that Japan was winning the Sino-Japanese War, and embarrassed the Government-General of Chosun by secretly circulating groundless rumors that differed from the policy-making authorities. The majority of the Chosun people were unable to wear winter clothing, and most tenant farmers made no distinction between their everyday clothing and clothing for going out. Chosun farmers under the Japanese empire expanded their production of rice and various crops because of policies intended to increase production, but this offered no help in improving the diets of the Chosun people. When rice offerings to the government began, grain consumption among the people worsened further both in quantity and quality and, until just prior to the collapse of the Japanese Empire, food consumption shrank to half of what it was in 1910. Cities faced a severe housing crisis with the population influx due to the failed agricultural economy, and shanty town inhabitants rapidly rose. Small-income farmers in the rural areas lived in residential environments similar to those of the shanty town inhabitants. There was also propaganda stating that a “life of low temperatures” was needed to save fuel and win the Sino-Japanese War. In this manner, the Japanese empire’s provocation of the Sino-Japanese War impoverished not only the lives of the Chinese, but the lives of the people of Chosun as well.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