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지역사회복지관 수행사업에 대한 중요도-수행도 분석(IPA)에 관한 연구

        문수열(Mun, Su-Youl) 한국지역사회복지학회 2015 한국지역사회복지학 Vol.0 No.53

        본 연구는 지역사회복지관의 정체성을 확립하고 전문성을 강화하기 위한 목적으로 복지관 수행사업에 대하여 중요도-수행도 분석(IPA)을 실시 하였다. 결과분석의 도출을 위해 경남지역 지역사회복지관 6개 기관을 각 지역별로 임의표집한 후 1년 이상 근무한 사회복지사를 대상자로 선정하여 분석하였으며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복지관에서 수행하는 사업의 중요도와 수행도 사이에는 전체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으며(p < 0.05), 복지관 수행사업에 대한 중요도와 수행도 사이에는 어느 정도 격차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사례발굴사업 외 13개 사업들은 구성원들이 중요하게 생각하고 실제 수행도도 비교적 잘 이루어지고 있어 적극 권장해야 할 사업이나 가족관계증진사업 외 10개 사업들은 중요도와 수행도가 낮은 사업군으로 중·장기적인 대책이 필요하다고 분석되었다. 셋째, 사업의 중요도와 수행도가 다른 이유로는 기관이 추구하는 가치와 실제 수행하는 사업 간에 인식차이가 있을 뿐만 아니라 사업의 중요도와 무관하게 예산 배정이 이루어지고 사회복지관 평가기준 항목과 사업의 중요도 사이에 격차가 그 원인으로 조사되었다. 이러한 결과를 중심으로 사업들의 우선순위와 권장하고 개선할 사업들을 도출하여 향후 사회복지관의 사업전략 및 방향설정에 필요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기여하고자 한다. This study conducted an Importance Performance Analysis (IPA) of welfare center programs to establish the identity of community welfare centers and enhance their expertise. As a result, in order to draw results, six community welfare centers in the Gyeongnam region were randomly sampled by each area, social workers who had worked for over one year were selected for the analysis and the results of the analysis are as follows: First, overall,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importance and the performance of the welfare center programs (p < 0.05), and there was some gap between the importance and the performance of the welfare center programs. Second, there was an analysis that 13 businesses including a case discovery business were those that should actively be recommended, since the members attached importance to them and their actual performance was relatively good while mid- to long-term measures would be necessary for 10 businesses including the business for the promotion of family relations, since they were business groups with lower importance and performance. Third, as causes for the differences in the importance and performance of the businesses, it was investigated that there was a difference in awareness between the value the institution pursued and the actual programs because the allocation of the budget was made irrespective of the importance of businesses and there was a gap between the items of evaluation standards for the welfare centers and the importance of the businesses. Based on these results, this study attempts to draw the priorities of the businesses and those to be promoted and improved to contribute to providing base line data necessary for setting the business strategies and directions of welfare centers in the future.

      • KCI등재

        정신재활시설 사례관리 활동에 대한 중요도-수행도 분석

        서종근(Jonggeun Seo),이승연(Seungyeon Lee),박혜진(Hyejin Park),손지훈(Jeehoon Sohn),민소영(Soyoung Min) 한국장애인재활협회 2018 재활복지 Vol.22 No.1

        본 연구는 IPA 분석을 통해 정신재활시설 사례관리 특성을 살펴보았다. 이를 위해 서울지역 정신재활시설에 종사하고 있는 사례관리자 114명을 대상으로 사례관리 활동별 중요도와 수행도를 IPA와 대응 표본 T-test를 통해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사례관리 단계 중 사정 단계가 가장 높은 수행도와 중요도를 보였다. 중요도와 수행도 평균값을 비교하였을 때, 대부분의 사례관리 활동의 수행도가 중요도에 비하여 낮았다. 또한, 대부분의 사례관리 활동이 제1사분면(높은 중요도-높은 수행도)와 제3사분면(낮은 중요도-낮은 수행도)에 위치하였다. 이 중 당사자 서비스 참여는 타 사례관리 활동보다 중요도와 수행도가 모두 높게 나타났지만, 중요도와 비교하였을 때 수행도가 떨어졌다. 지역사회 자원 연계는 중요도와 수행도가 전반적으로 낮았지만, 낮은 중요도에 비해 수행도는 더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정신재활시설의 당사자 서비스 참여와 지역사회 지원 연계를 활성화 시키기 위해 다각적인 노력이 이뤄질 것을 제안하였다. The study was conducted to examine the characteristics of case management in psychiatric rehabilitation faciliti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importance and performance of case management activities, and 114 cases managers in the psychiatric rehabilitation facilities in Seoul participated in the study. The study analysed the importance and performance of each case management through IPA and Paired T-test. As a result of the study, Assessment stage showed the highest performance and importance, and the performance was conducted as much as the importance. Except assessment, performance in all stages were significant lower than the importance. IPA analysis showed that most case management activities belonged to the quadrant Ⅰ(high importance-high performance) and the quadrant Ⅲ (low importance-low performance), but the T-test analysis showed lower performance than importance. Participation of Service users and Cooperation of community resource were lower than those of importance. Participation of Service users showed high importance and performance, but performance was relatively lower than importance. On the other hand, cooperation of community resource was low in overall importance and performance, moreover, performance was very low. It is considered that various efforts should be made to activate them.

      • KCI등재

        수석교사 직무 수행 실태 분석

        김희규 ( Hee Kyu Kim ),주영효 ( Young Hyeo Joo ) 안암교육학회 2013 한국교육학연구 Vol.19 No.3

        본 연구는 수석교사 직무 수행 실태 분석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수석교사 및 직무 수행 관련 선행연구 고찰을 통해 수석교사 직무 수행 실태 분석을 위한 분석준거를 구안하고, 분석준거를 토대로 필수직무와 보조직무 등 16개의 직무 요소로 구성되는 조사 도구를 개발 하였다. 설문 조사는 전국 유·초·중등학교 교원 4,524명을 대상으로 실시하였으며, 수석교사 637명, 교장 179명, 교감 172명, 동료교사 485명 등 총 1,473명이 응답하였다. 수집된 데이터 처리 및 분석은 PASW Statistics 18.0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두 단계로 나누어 진행하였다. 첫 번째 단계에서는 조사 문항별 중요도 및 수행도의 평균과 표준편차를 산출하고 학교급 및 직위를 중심으로 집단 간 평균 차이를 살펴보았다. 두 번째 단계에서는 직무 요소별 중요도-수행도 분석(Importance-Performance Analysis[IPA])을 실시하였다. 주요 분석 결과는 크게 네 가지로 나누어 제시할 수 있다. 첫째, 수석교사의 직무로 제시한 16개 요소 모두 중요도 평균에 비해 수행도 평균이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학교급별 중요도와 수행도 평균 차이 분석 결과, 통계적으로 평균 차가 유의미한 직무 요소는 교내외 수업 컨설팅, 교내 상담·생활지도 관련 컨설팅, 교외 수업·교과 관련 지원과 관련한 6개 요소이며, 이들 요소에서는 초등학교의 평균이 중·고등학교에 비해 모두 높았다. 셋째, 직위별 중요도와 수행도 평균은 교장과 교사 집단이 교감과 수석교사 집단에 비해 전반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IPA 기법에 따른 수석교사 직무 요소별 중요도-수행도 분석 결과, 전체 16개 직무 요소 가운데 유지나 개선이 필요한 “유지” 및 “집중” 영역과 개선 노력을 지양하거나 우선순위가 낮은 “낮은 우선순위” 및 “과잉노력지양” 영역은 각각 8개(50%) 요소가 포함된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job performance of master teachers selected in 2012. After scrutinizing theoretical research and empirical evidence about the Master Teacher System, the research constructed analysis criteria of job performance of master teachers. Next, this study developed a survey instrument, which is 16 job elements, by using the analysis criteria. The data was gathered from teachers, vice-principals, principals, and master teachers who worked at elementary and secondary schools. More specifically, the survey was distributed to school administrators, and teachers as well as 1,131 master teachers from December 15, 2012 to January 4, 2013. The total number of the respondents was 1,473. The research followed two steps to analyze the collected data: first, we compared group mean differences after testing the master teachers` perception gap on the degree of importance and performance for the job; and second, Importance-Performance Analysis (IPA) was used to identify attributes that were determinant for the development of the Master Teacher System.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the degree of performance of the 16 job elements was lower than the degree of importance; second, a statistically meaningful difference was found in six job elements such as instruction consulting within and out of school, consulting related to advice and guidance within school, and support related to instruction and subject out of school. The elementary schools` mean of these elements were higher than the mean of the secondary schools; third, the group mean of principals and teachers was generally higher than the group mean of vice-principals and master teachers; and fourth, the result of Importance-Performance Analysis (IPA) shows that the number of the area of “Keep up the Good Work” and “Concentrate Here” was 8 (50%), and the number of the area of “Low Priority” and “Possible Overkill” was also 8 (50%).

      • KCI등재

        전통주 선택속성에 대한 IPA

        신영섭,이경희 한국외식경영학회 2020 외식경영연구 Vol.23 No.2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recover from the negative image of the Korean traditional liquor, and to primiumize and differentiate it. The Korean traditional liquor industry was not able to reflect the changes in alcohol consumption behavior, and is still maintaining the least cost strategy, which has led to low-grade and low quality liquors. To change the viewpoint of the customers on Korean traditional liquors by improving its’ quality and taste, 26 property indexes are developed, and are used to survey 328 customers to find the key attributes of Korean traditional liquors. In order to evaluate the importance and performance of various indexes, frequency analysis followed by causality and credibility analysis are performed. The causality and credibility analysis categorized top six different attributes, which were quality, price, information, value, health, and brand reputation. Furthermore, to analyze the difference between the various attributes, a sample comparison study was performed. Then, to verify the differences between the attributes, ANOVA was performed. Finally, IPA was performed for different attributes, and the results are summarized as a grid. 본 연구는 전통주에 대한 부정적 이미지를 벗어나, 프리미엄화·차별화를 위한 실증적인 기초자료 제공을 목적으로 실시하였다. 최근까지도 전통주 업계는 고객의 기호 변화나 새로운 가치를 추구하는 음주 행태 변화 등의 상황에 부응하지 못하고 여전히 생산자 위주의 무분별한 저품질·저가격 시장을 유지하고 있다. 이러한 현실은 전통주 업계 발전을 저해하는 주요인으로 작용하고 있으며, 전통주의 품질향상 및 고급화를 통한 대중화가 어려운 원인으로 판단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선행 연구 및 관련 자료를 참고하여 전통주 선택속성 26가지를 개발하였다. 자료 수집을 위해 일반인 328명을 대상으로 전통주에 대한 중요도-수행도 인식 차이를 조사하고, 분석에 활용하기 위하여 1, 2차에 걸쳐 인터넷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조사된 자료를 활용하여 인구통계학적 특성에 따라 첫째, 빈도분석을 실시하였다. 둘째, 전통주 선택속성의 중요도-수행도에 대한 타당성 및 신뢰성 분석을 위해 탐색적 요인분석 및 신뢰도 분석을 실시하였다. 요인분석 결과 품질요인, 구매요인, 정보요인, 가치요인, 건강요인, 브랜드 요인 등 6개의 요인으로 분류되었다. 셋째, 중요도-수행도 차이를 분석하기 위해 대응표본 t 검정을 실시하였다. 넷째, 전통주 선택 속성 요인의 중요도-수행도 차이를 검증하기 위해 일원분산분석(ANOVA)을 실시하였다. 마지막으로 인구통계학적 특성에 따른 전통주 선택속성에 대하여 IPA 분석을 실시하고 결과 도표와 함께 IPA 격자도를 제시하였다.

      • KCI등재

        예비 기술교사들의 2015 개정 기술 교육과정 내용요소에 대한 중요도 및 수행도 분석

        최유현 한국기술교육학회 2016 한국기술교육학회지 Vol.16 No.1

        이 연구는 예비 기술교사들의 2015 개정 기술 교육과정 내용 요소에 대한 중요도및 수행도의 진단과 분석을 통해 대학 수준의 기술교사교육에 있어 시사점을 얻기위해 수행되었다. 102명의 예비 기술교사를 대상으로 중학교 기술 18요소, 고등학교기술 12요소, 고등학교 공학일반 17요소에 대한 중요도와 수행도 인식을 알아보았고, 중요도와 수행도를 분석하는 IPA 분석방법을 기술교사를 양성하는데 있어 필요한 학습내용을 찾고자 하였다. 이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예비 기술교사들은 개정 기술 교육과정의 각 내용요소가 전반적으로 중요하다고 판단하고 있었으나, 수행도는 중요도에 비하여 전반적으로 낮지만, 수행 수준이 만족할만하였다. 둘째, 개정 기술 교육과정에 따라 예비 기술교사 교육에서 보다 중점적으로 반영되어야 할 내용은 중학교 기술은 통신기술 문제해결, 지속가능한발전, 발명아이디어의 실현, 고등학교 기술은 발명과 창업, 기술과 직업, 지속가능한발전, 그리고 고등학교 공학일반에서는 IT 기반 융합 공학, 공학 진로탐색, 바이오기반 융합공학 등으로 분석되었다. 즉 문제해결, 발명, 직업 진로, 융합, 지속가능 발전 등의 내용에서 상대적으로 중요성은 높게, 수행도는 낮게 인식하여 중점투자 영역으로 분석되었다. 이 연구의 결과로부터 얻은 시사점은 개정 교육과정의 내용에 중요성을 인지하고있는 점은 교사교육에 긍정적 신호이며, 아울러 수행도가 상대적으로 낮은 관심을두어야 할 요소에 대한 교사교육과정에서의 반영노력이 뒤따라야 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suggest the improvement for technology teacher education curriculum by analyze the importance and performance perceived on National Curriculum Technology Contents revised in 2015. IPA Matrix was applied when analyzing importance and performance analysis of 102 4th grade undergraduate students on technology contents of new national curriculum. The conclusions as a result of analysis were as follows. First, generally most of subjects shows a lower performance level compared to their perception level of importance in terms of each contents of revised technology national curriculum. However, overall performance level was over expectation. Second, technology education contents that should be treated with more weight on educating technology teachers according to the revised national curriculum for middle school, problem solving of communication technology, sustainable development, and realization of invention idea. For high school technology, invention and start-up, technology and vocation, and sustainable development. And for high school general engineering IT based integrated engineering, career exploration for engineering, and Biotech based integrated engineering. Suggestion from the results of our study was that students knowing importance of each contents in the revised national curriculum is certainly positive attitude for educating teachers and more efforts are required upon contents showing relatively poor level of performance.

      • KCI등재

        신규교사 직무 역량 실태 분석

        김희규(Kim, Hee-Kyu),주영효(Joo, Young Hyeo) 고려대학교 교육문제연구소 2014 敎育問題硏究 Vol.27 No.3

        본 연구는 신규교사 직무 역량 실태 분석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신규교사 직무 관련 선행연구 고찰 및 전문가와의 협의를 통해 학급경영, 수업지도, 전문성 개발, 학교경영 등 네 개의 직무 역량 영역과 13개의 하위 역량으로 구성되는 분석 준거를 구안하고, 분석준거를 토대로 조사 도구를 개발하였다. 설문 조사는 전국 초ㆍ중등학교 176개교 교원을 대상으로 실시하였으며, 교사 1,168명, 보직교사 332명, 학교행정가 56명 등 총 1,556명이 응답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PASW Statistics 18.0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두 단계로 나누어 자료 처리 및 분석을 진행하였다. 첫 번째 단계에서는 조사 문항별 중요도 및 수행도의 평균과 표준편차를 산출하고 학교급 및 직위별 F 검증을 통해 집단 간 평균 차이 결과를 살펴보았다. 두 번째 단계에서는 조사 문항별로 중요도-수행도 분석(Importance-Performance Analysis[IPA])을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첫째, 신규교사가 갖추어야 할 네 가지 직무 역량 모두 중요도 평균에 비해 수행도 평균이 낮게 나타났다. 둘째, 중요도가 높은 직무 역량으로는 교사와 학생 간의 관계 형성, 학생 간의 관계 이해, 생활지도 등의 순이었으며, 행정업무 처리, 교사ㆍ학부모ㆍ지역사회와 관계 형성은 가장 낮게 나타났다. 셋째, 수행도가 높은 직무 역량은 담당 교과지식, 수업실행 전략, 교사와 학생 간의 관계 형성 등이었으며, 중요도와 마찬가지로 행정업무 처리, 교사ㆍ학부모ㆍ지역사회와 관계 형성은 수행도가 낮게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IPA 기법에 따른 중요도-수행도 분석 결과, 13개의 신규교사의 직무 역량 가운데 유지나 개선이 필요한 "유지" 및 "집중" 영역으로는 8개 요소(61.5%)가 분류되었고, 개선을 위한 노력을 지양 혹은 우선순위가 낮은 "낮은 우선순위" 및 "과잉노력지양" 영역으로는 전체 13개 직무 역량 가운데 5개 요소(38.5%)가 포함된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job competency of novice teachers. After scrutinizing theoretical research and empirical evidence about beginning teachers' work, the research constructed analysis criteria. Next, we developed a survey instrument, which is composed of 4 job competency domains (13 sub-domains), by using the analysis criteria. The data was gathered from teachers, vice-principals, principals, and head teachers in elementary and secondary schools from March 3, 2014 to March 9, 2014. The total number of the respondents was 1,556. We followed two steps to analyze the data: first, the study examined group mean differences regarding the degree of importance and performance for the job; and second, we conducted Importance-Performance Analysis (IPA). The results of the present study revealed that 1) the degree of importance of the 4 job competency domains was higher than the degree of performance and 2) the result of Importance-Performance Analysis (IPA) regarding 13 sub-domains of novice teachers' job competency showed that the number of the area of "Keep up the Good Work" and "Concentrate Here" was 8 (61.5%), and the number of the area of "Low Priority" and "Possible Overkill" was 5 (38.5%).

      • KCI등재

        특수교육교사 직무 역량 실태 분석

        김희규 ( Hee Kyu Kim ),주영효 ( Young Hyeo Joo ) 안암교육학회 2016 한국교육학연구 Vol.22 No.1

        본 연구는 특수교육교사 직무 역량 실태 분석을 통해 교원양성 및 연수 개선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도출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교사 직무 관련 선행 연구 고찰 및 전문가와의 협의를 통해 학급경영, 수업지도, 전문성 개발, 학교경영 등 네 개의 직무 역량 영역과 14개의 하위 역량으로 구성되는 분석 준거를 구안하고, 분석준거를 토대로 조사 도구를 개발하였다. 설문 조사는 세종시를 제외한 전국 16개 시·도별 특수학교 및 특수학급 교원을 대상으로 실시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PASW 18.0 통계프로그램을 활용하여 두 단계로 나누어 자료 처리 및 분석을 진행하였다. 첫 번째 단계에서는 조사 문항별 중요도 및 수행도의 평균과 표준편차를 산출하고 교직경력 및 직위별 집단 간 평균 차이 결과를 살펴보았다. 두 번째 단계에서는 조사 문항별로 중요도-수행도 분석(Importance-Performance Analysis[IPA])을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첫째, 특수교육교사가 갖추어야 할 네 가지 직무 역량 가운데 학교경영 역량을 제외한 학급경영, 수업지도, 전문성 개발 역량은 중요도 평균에 비해 수행도 평균이 낮게 나타났다. 둘째, 중요도가 높은 직무 역량으로는 교사-학생 간의 관계 형성, 학생 간의 관계 이해, 생활지도 등의 순이었으며, 교육활동 관련 행정업무 처리, 교사·학부모·지역사회와 관계 형성은 가장 낮게 나타났다. 셋째, 수행도가 높은 직무 역량은 생활지도, 수업지도, 교사-학생 간의 관계 형성 등이었으며, 중요도와 마찬가지로 교육활동 관련 행정업무 처리, 교사·학부모·지역사회와 관계 형성은 수행도가 낮게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IPA 기법에 따른 중요도-수행도 분석 결과, 14개의 특수교육교사의 직무 역량 가운데 유지, 개선이 필요한 "유지"와 "집중" 영역으로는 10개 역량(71.4%)가 분류되었고, 개선을 위한 노력을 지양해야 하거나 우선순위가 낮은 "낮은 우선순위", "과잉노력지양" 영역으로는 전체 14개 직무 역량 가운데 4개 역량(28.6%)이 포함된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상술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특수교육교사 정원 확보, 연수 제도 발전 등과 같은 교육 행정 및 정책적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job competency of special education teacher in Korea and to suggest implications for educational policy. After reviewing theoretical research and empirical evidence about teachers` work and special education teacher job, the research constructed analysis criteria and sub-criteria. Next, we developed a survey instrument, which is composed of 4 job competency domains (14 sub-domains). Using an internet-based survey tool, the data was gathered from teachers and school administrators in special education schools from November 10, 2015 to November 30, 2015. The total number of the respondents was 242. The research followed two steps to analyze the data: first, we examined average values and group mean differences on the degree of importance and performance for the job by using Statistics ; and second, the study conducted Importance-Performance Analysis (IPA) Martilla and James (1977) suggested. The analysis results revealed that 1) the degree of importance of the 3 job competency domains (class management, teaching, and professional development competencies) was higher than the degree of performance and 2) the result of IPA regarding 14 sub-domains of special education teachers` job competency showed that the number of the area of "Keep up the Good Work" and "Concentrate Here" was 10 (71.4%), and the number of the area of "Low Priority" and "Possible Overkill" was 4 (28.6%). We suggest directions and implications for educational administration and policy in order to develop in-service training programs and to secure legal quotas for special education teachers.

      • KCI등재

        중등 교장의 자격연수 직무역량 요구 분석

        김희규(Kim Hee Kyu),주영효(Joo Young Hyeo) 고려대학교 교육문제연구소 2017 敎育問題硏究 Vol.30 No.4

        본 연구는 중등 교장의 자격연수 직무역량에 대한 요구 분석을 통해 자격연수 직무역량 재설정을 위한 시사점 도출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위해 교장 자격연수 표준교육과정에서 제시하고 있는 기본소양 영역, 역량 영역, 전문 영역의 세부 역량별 중요도와 수행도로 구성되는 조사 도구를 개발하고, 전국 17개 시·도 중·고등학교 교장을 대상으로 설문 조사를 실시하였다. 자료 수집 결과 119개 중·고등학교 교장이 설문에 응답하였으며, 수집 자료는 PASW Statistics 18.0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집단 간 평균 차이 검증과 중요도-수행도 분석(Importance-Performance Analysis[IPA])을 실시하였다. 주요 분석 결과를 정리하면, 직무역량별 중요도와 수행도 분석 결과 ① 중요도 평균값이 수행도에 비하여 높고, ② 학교장 리더십과 조직·인사 역량군의 중요도와 수행도 평균값이 다른 역량군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높으며, ③ 세부 역량별로는 교원공통 역량군에 속하는 윤리의식, 책임감 역량과, 학교장 리더십 역량군의 긍정적 사고, 배려(상호신뢰), 의사소통, 상황대처능력, 갈등관리 역량과 조직·인사 역량군에서는 의사결정, 공정성, 의사소통, 갈등 관리 역량 등이 동일 영역 및 역량군의 직무역량에 비하여 중요도와 수행도가 높게 나타났다. 끝으로 ④ 중학교와 고등학교 간 직무역량 집단 간의 평균 차이는 교원공통 역량군의 비판적 이해 역량이 수행도에서, 조직·인사 역량군의 의사결정 역량이 중요도에서 각각 통계적 유의미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상의 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에서는 현행 교장 자격연수 직무역량 항목의 유지·집중 영역 중심으로의 재편성 및 유사 또는 중복 직무역량의 재구성, 낮은 우선순위와 과잉노력지양 영역으로 분류된 자격연수 직무역량에 대한 문제 분석 등의 필요성을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actual status of secondary school principals qualification training job competencies. For this purpose, we developed a survey tool that is composed of the basic literacy, competence area, and the importance and performance of each area. The questionnaires were distributed to secondary school principals in 17 provinces and cities. As a result of the data collection, 119 middle and high school principals responded to the questionnaire. The collected data was analyzed by Importance-Performance Analysis (IPA) using the PASW Statistics 18.0 program. The main results of the analysis are summarized as follows: 1) The importance level average is higher than the performance level; 2) Leadership, organizational, and personnel competence of the school principals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those of other competencies; 3) ethical consciousness, responsibility, principal positive thinking, care, mutual trust, communication, situation coping, conflict management, decision making, fairness, communication, and conflict management competence were higher in importance and performance than the job competence of the same area and competency group; and 4) The mean difference between the middle and high school job competence groups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in the critical understanding performance competence and the decision importance of the organization and the personnel competency group. Lastly, the results of the IPA showed a difference in the distribution of secondary school and high school principals’ job competencies.

      • KCI등재

        2015 개정 교육과정 적용에 따른 일반고 학생의 과목 선택기준에 대한 중요도-수행도 분석

        서혜경,차성현 인하대학교 교육연구소 2020 교육문화연구 Vol.26 No.1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investigate what criteria students consider important and actually apply in selecting subjects when the 2015 national curriculum has been implemented in general high schools. Survey data were collected from 434 high school second grade students in G city, Korea and utilized for Revised Importance-Performance Analysis. 22 items of subject selection criteria were developed and 7 factors were extracted from them through factor analysis. Results showed that the highest level criteria of both importance and performance were ‘subjects related to desired occupation’ and ‘subjects related to desired department of study’. In contrast, ‘subject chosen by close friends’ was the lowest level in both importance and performance. The biggest difference between importance and performance level was ‘subjects useful for real life’, while the smallest one was ‘subject to meet the completion unit designated by the school’. According to results of R-IPA, quadrant I (keep up the good work) includes such criteria as ‘subject I like’ and ‘subject that I am good at’. The criterion of ‘subject I could get higher score’ belongs to quadrant Ⅳ (possible over-skill). Based on the findings, the study suggested that a variety of subjects should be provided, cooperative curriculum among schools be more activated, and students’ career-related competency be improved in order to successful implementation of the 2015 national curriculum. 이 연구는 2015 개정 교육과정의 적용에 따른 일반고 학생들의 과목 선택기준 및 실제 행위에 대한 인식을 파악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G시의 일반고 2학년 434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하였고, 중요도-수행도 분석(Importance-Performance Analysis)을 수행하였다. 문헌연구, 초점집단면담, 전문가 검토 등을 거쳐 22개의 과목 선택기준문항을 개발하였으며, 탐색적 요인분석을 통해 7개의 ‘과목 선택기준 요인’으로 조사 문항을 구조화하였다. 분석방법은 R-IPA(Revised-IPA)를 활용하였다. 분석결과, 2015 개정 교육과정에서 중요도와 수행도가 가장 높은 학생의과목 선택기준은 ‘희망 직업과 관련 있는 과목’과 ‘진학 희망 학과와 관련된 과목’이었으며, 중요도와 수행도가 가장낮은 선택기준은 ‘친한 친구가 선택하는 과목’이었다. 중요도와 수행도 차이가 가장 큰 기준은 ‘실생활이나 사회생활에서유용한 과목’이었으며, 차이가 가장 작은 기준은 ‘학교에서 지정한 이수단위를 맞추기 위한 과목’이었다. R-IPA 분석 결과, 중요도와 수행도가 모두 높은 ‘현상유지’ 영역에는 ‘내가 좋아하는 과목’과 ‘내가 잘하는 과목’ 등의 기준이 포함되었으며, 중요도에 비해 수행도가 높은 ‘초과달성’ 영역에는 ‘수능에서 등급이 잘 나올 수 있는과목’이 포함되었다. 본 연구결과를 토대로, 2015 개정 교육과정의 안정적 정착을 위해 진로 관련 다양한 과목의개설,학교간 공동협력교육과정 운영 활성화, 학생들의 진로 역량 증진을 위한 노력이 필요함을 제언하였다.

      • KCI등재

        SW 교육을 위한 직무 및 정책에 대한 초등학교 교사들의 중요도와 수행도 인식 분석

        김한성 ( Han-sung Kim ),전수진 ( Soo-jin Jun ) 한국교육정보미디어학회(구 한국교육정보방송학회) 2019 교육정보미디어연구 Vol.25 No.1

        본 연구의 목적은 SW 교육에 대한 초등학교 교사들의 직무 및 정책에 대한 중요도와 수행도를 분석함으로써 향후 체계적인 SW 교육 정책 추진을 위한 시사점을 탐색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초등학교교사 181명을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하고 교사 직무 및 정책에 대한 인식을 분석하였다. 구체적으로는 SW 교육에 대한 교사 직무 및 정책 지원에 대한 중요도와 수행도의 인식 차이 분석, 배경변인에 따른 인식 차이 분석, 그리고 Importance-Performance Analysis(IPA)를 활용한 현황 진단 및 정책 우선순위분석을 하였다. 주요 연구 결과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교사 직무와 관련된 항목보다 정책 지원과 관련된 항목의 중요도가 전체적으로 높게 나타났으며, 모든 항목에서 중요도가 수행도보다 높게 나타났다. 둘째, 배경변인에 따른 차이를 살펴보면, 남교사의 수행도가 여교사 보다 높게 나타났으며, 연수 경험과 강의 수행 경험이 많을수록 수행도가 높게 나타났다. 그 외, 성별, 교직경력, SW 교육 연수 경험, SW 교육 강의 경험에 따른 중요도에 대한 인식 차이는 없었다. 셋째, 교사 직무 관련 IPA 분석 결과를 보면, 학습자 분석, 수준별 지도, 도구 활용과 같은 교수 설계 영역에 집중할 필요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끝으로, 정책 지원 관련 IPA 분석 결과를 살펴보면 디지털 기기확보, 무선 환경지원, 관련 예산 지원과 같은 학교 환경 개선을 위한 정책 지원에 보다 집중할 필요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이러한 연구 결과를 토대로 초등학교에서 SW 교육이 체계적으로 수행되기 위해 필요한 주요 시사점을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implications for the systematic implementation of SW education by analyzing the importance and performance of elementary school teachers. To do this, this study surveyed 181 elementary school teachers and analyzed teachers' perceptions. In addition, this study analyzed the difference in recognition of the importance and performance of teacher tasks and policy support for SW education, the difference according to background variables, and the status and priority of using the Importance-Performance Analysis (IPA). The main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importance of policy support items is higher than that of teacher task-related items. Also, in all items, the importance was higher than the performance. Second, the performance of male teachers was higher than that of female teachers. In addition, the higher the experience of SW education training and SW teaching experience, the higher the performance, and there was no difference in the perception of importance. Third, the results of the IPA analysis related to teacher tasks showed that it is necessary to concentrate on instructional design areas such as learner analysis, personalized teaching, and tool utilization. Fourth, looking at the results of the IPA analysis on policy support, it was found that it is necessary to focus more on policy support for school environment improvements such as digital devices, wireless environment, and related budget support.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key implications are discussed for the systematic implementation of SW education in elementary school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