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중앙아시아-인도 교류사

        이지은(Lee, Ji-Eun) 한국외국어대학교 인도연구소 2013 남아시아연구 Vol.19 No.1

        고대로부터 중앙아시아는 동-서를 이어주는 비단길의 중간 통과지로 다양한 인적, 물적 교류가 빈번하여 세계 교류사의 중요한 부분을 차지해왔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중앙아시아 역사는 몽골 제국, 티무르 왕국 이외에는 제대로 조명 받지 못한 채 비주류 연구 분야로 남아있는 실정이다. 특히 티무르 왕국 멸망 이후 16세기부터 러시아 제국의 영향력이 본격화된 19세기까지 중앙아시아는 세계 역사의 변방에 머무르면서 경제적으로 고립되고 문화적으로 침체되었다는 것이 주류 역사의 기록이었다. 본 연구는 유라시아 대륙 중심에 위치하며 유라시아 대륙의 다양한 지역과 긴밀한 연계성을 가졌던 중앙아시아가 16세기 이후부터 외부세계와 완전히 단절되었다는 주류 역사의 기록이 과연 타당한 것인지? 아울러 19세기 러시아의 영향권에 들어가면서 비로소 중앙아시아가 외부 세계와 다시 연계되기 시작하였다는 주류 역사의 해석은 러시아 중심의 역사 해석이 낳은 왜곡의 결과는 아닌지? 등에 대한 문제 제기에서 출발하고 있다. 본 연구는 여기에 대한 반론으로 그동안 상대적으로 부각되지 못했던 중앙아시아-인도 교류사를 살펴봄으로써 바닷길 개척이 시작된 16세기 이후에도 중앙아시아는 주변 지역과 여전히 교류를 지속하고 있었음을 설명하였다. 또한 이러한 중앙아시아-인도 교류사가 21세기 들어 유라시아 대륙을 연결하는 교차로로 다시 부상하고 있는 중앙아시아에 주는 현대적 함의는 무엇인지를 살펴보았다. 결론적으로, 중앙아시아는 고대부터 현대에 이르기까지 외부세계와의 연계성은 단절된 적이 없었으며, 특히 인도와는 유구한 역사동안 다양한 분야에서 밀접한 교류를 지속해왔다. 중앙아시아의 침체기로 알려져 있는 16-18세기에도 중앙아시아-인도 관계는 여전히 상업적, 문화적 접촉이 활발하게 이루어져 왔다. 특히 티무르의 후손이 건국한 무굴 제국은 중앙아시아적 요소와 남아시아적 요소의 융합을 통해 새로운 문화를 창조하였고, 이를 바탕으로 양 지역은 정기적인 교류를 통해 서로의 문화를 적극적으로 흡수했다. 이렇듯 오랜 시간 축적된 상호 연계성은 현재 중앙아시아 국가들과 인도 간 추진되고 있는 주요 정치, 경제, 문화 협력과 교류를 가속화시키는 역사적 자산이 되고 있다. Central Asia taking the important place in the world history has been a transit land where various goods and people were interchanged throughout the Silk Road since the ancient time. However, the most study on the history of Central Asia are likely to focus either on the Mongol Empire or Timurid Dynasty. The history between 16th-19th centuries are less known and least studied and the received wisdom summarized that this period of Central Asia was on the margin of the World history and isolated economically and stagnant culturally. As the mainstream insists, Central Asia located in the heart of the Eurasian Continent has lost the ties with the outside world since the 16th century? Is it the 19th century that Central Asia resumed interacting with the world thank to the Russian advance into the region? How did the Central Asian region interact with India at the ancient time and what do those historical interaction imply to Central Asia and India in the contemporary era? This paper seeks to explore the history of interchange between Central Asia and India- their ‘continued’ commercial and cultural interactions- even after the discovery of the sea-route by the European countries in 16th century. In conclusion, Central Asia has never lost its relations with the world since the ancient time up to the contemporary days and with India particularly the region has been keeping its long-lasting interaction in various sectors. Even during the stagnant period of 16th-19th century of Central Asia, two regions’ relationship remained active and undergone close commercial and cultural contacts. The Mughul Empire had combined the Central Asian elements with South Asian ones and created syncretic, new cultures, and both regions kept absorbing each others" cultures throughout the regular exchanges. Those accumulated interchange now plays positive role in reinforcing some political, economic, cultural interactions between Central Asian states and India today.

      • KCI등재

        선교와 지역학 논증 ― 중앙아시아에서의 러시아의 역사적 영향력 그리고 선교적 함의와 방향성

        정세진(Sejin Jung) 한국기독교학회 2022 한국기독교신학논총 Vol.123 No.-

        본고는 중앙아시아에서의 러시아의 역사적 영향력 그리고 선교적 함의와 방향성에 관한 주제로 구성되었다. 전체적으로 본 논고는 선교와 지역학 논증을 중심으로 분석하는 내용으로 구성되었다. 러시아는 18세기 이래로 중앙아시아를 점령하였고, 현재까지도 러시아와 중앙아시아의 역사적 관계는 특별하다. 선교 전략을 모색하기 위하여 지역학은 매우 중요하다는 관점을 본 논고는 강조하는데, 특히 이를 러시아와 중앙아시아의 역사적 관계를 중심으로 규명하고 있다. 본고는 제정러시아와 소련의 중앙아시아 관계 그리고 소비에트 체제의 해체 이후의 러시아와 중앙아시아의 관계를 전체적으로 논증하면서 선교접근 전략을 모색한다. 중앙아시아는 앞으로도 러시아와의 정치적, 경제적, 사회적 관계가 지속될 것이다. 이런 점에서 중앙아시아 선교 전략을 설정하는 데 있어서 지역학 논증은 여전히 그 중요성을 가지고 있다고 판단된다. 그리고 이를 통해 교회 개척과 선교 프로젝트 등을 통해 하나님의 선교가 지속되며 진행될 것이다. This paper is composed of themes of Russia"s historical influence in Central Asia, and its mission implications and direction. Overall, this theme is composed of the contents of analysis focusing on the argument of mission and regional studies. Russia has occupied Central Asia since the 18th century, and to this day, the historical relationship between Russia and Central Asia is special. This thesis emphasizes the point of view that regional studies are very important to find mission strategies, especially focusing on the historical relationship between Russia and Central Asia. This article seeks a mission approach strategy by arguing as a whol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imperial Russia, Soviet Union and Central Asia and after the dissolution of the Soviet system. Central Asia will continue to maintain political, economic and social relations with Russia. In this regard, it is judged that the regional studies argument still has its importance in establishing the mission strategy in Central Asia. And through this, God"s mission will continue and progress through church planting and mission projects.

      • KCI등재

        중국 뉴노멀 시대 도래와 대 중앙아시아 경제전략 변화

        신지연 ( Shin Jiyeon ) 아시아.유럽미래학회 2016 유라시아연구 Vol.13 No.4

        중앙아시아 주요 5개국(카자흐스탄, 키르기스스탄, 타지키스탄, 우즈베키스탄, 투르크메니스탄: 이하 `중앙아시아 국가`)들은 1991년 구소련으로부터 독립한 이후 러시아와의 역사적 유대관계를 기반으로 지속적인 경제교류를 이어가 러시아에 대한 경제의존에서 쉽게 탈피하지 못했다. 그러나 최근 중앙아시아 경제를 떠받쳐온 에너지 산업이 몰락한데다 중앙아시아 국가들의 최대 교역국인 러시아 경제가 리세션에 빠진 상태다. 석유생산량 기준으로 세계 2위를 유지하고 있는 러시아는 저유가와 자국 내경기 침체에 따른 루블화 폭락으로 경제상황이 급속도로 악화되고 있으며 이러한 상황은 주변국들의 경제 발전에도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다. 한편 중국은 중앙아시아 국가들과 무역, 투자, 교육, 문화 등 다방면에서 지속적인 교류를 이어오고 있었으며, 특히 무역구조의 상호보완성이 높아 양자의 경제발전과 함께 교역량이 지속적으로 증가했다. 1990년 후반에 이르러서는 중국 경제의 팽창과 중앙아시아 진출 확대로 중앙아시아 국가의 대 중국 경제의존도가 더욱 심화되었고, 현재 중국이 중앙아시아에 미치는 경제적 파급력이 이미 러시아를 추월했다는 평가도 나온다. 중국은 이제 무역, 투자 모든 면에서 중앙아시아 국가들의 중요한 협력파트너가 되어있으며, 이후 중국은 안정적 협력 파트너, 나아가 경제영역을 넘어 정치, 안보 영역까지 그 협력관계가 확대되길 기대하고 있다. 특히 최근 중국은 국력신장과 일대일로 추진에 힘입어 일대(一帶)에 포함되는 이들 국가들에 대해 보다 공세적이고 포괄적인 경제협력관계를 제시할 것으로 예상된다. 기존 중국의 대 중앙아시아 국가 경제정책에 대한 연구는 에너지 협력 차원에서 본 변화, 일대일로의 추진과 신 실크로드 경제벨트 설립을 위한 초석 마련, 중앙아시아 각 국가와의 무역과 투자방향 등의 측면이 다수를 이룬다. 그러나 본 연구에서는 중국의 대 중앙아시아 정책 변화의 근본요인으로 상호 경제적 의존성이 깊어진 가운데 단행한 중국내 경제발전 모델의 수정에서 찾고자 한다. 즉, 현재 중국은 신창타이(新常態)시대 도래와 함께 기존 투자와 수요 중심의 경제성장 방식에서 소비와 공급 중심의 방식으로 변화를 추구하고 있다. 이러한 중국의 경제성장 구조개혁의 연장선상에 대 중앙아시아 국가들에 대한 경제정책의 변화가 자리하고 있다는 것이다. 또한 중국의 일대일로 정책이 나오게 된 배경에도 중국의 성장위주 경제발전의 문제점 해결을 일부 포함하고 있다고 할 수 있으므로 중국 국내 경제정책의 방향과 일대일로 추진전략과의 연관성을 부정하기 어렵다. 실제로 중국과 일대일로 핵심 지역인 중앙아시아 국가들의 많은 경제협력 사례들이 중국의 경제개혁 정책과도 부합하고 있다. 그러므로 향후 중국의 중앙아시아 국가에 대한 경제 전략은 중국내 경제개혁 정책과 밀접한 관계가 있다고 볼 수 있을 것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우선 중국의 중앙아시아에 대한 경제협력의 변천사와 중점 협력요소들에 대해 살펴보고, 양국의 경제협력 심화에 따른 경제의존도를 분석해본다. 이를 통해 경제의존도 심화에 따른 중국내 경제정책변화가 중국의 대 중앙아시아 진출 전략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겠다. 마지막으로 중국 국내 경제개혁 내용과 함께 향후 중국의 대 중앙아시아 경제정책의 향방에 대해 논의해 보도록 하겠다. Central Asia major 5 countries(Kazakhstan, Kirgizstan, Tadzhikistan, Uzbekistan, Turkmenistan: and less `Central Asian countries`) did not readily escape from the economic dependence on Russia by continuing their persistent economic exchanges based on their historic ties with Russia after becoming independent of Soviet Union(Russia) in 1991. Still recently, the energy industry which has supported Central Asia economy collapsed, as well as Russia, the largest trading partner of central Asia countries has been in the economic recession. Keeping number two in the world on the standard of the amount of oil production, Russia has an direct influence on neighbor nations` economic development with its economy aggravated because of the fall of Russian rouble according to low oil price and its domestic economic recession. Meanwhile, as the emerging Central Asian countries have depended on Chinese economy more since the later of 1990, there is also the assessment that the economic tripple effect China has currently had on Central Asia has already overtaken Russia. China has already been an important cooperative partner with central Asian countries in every respect such as trade and investment, and from now it is expected that China will have been an economic partner futhermore, that the partnership will extend to the aspects of politics and national security. Particularly, it is expected China will suggest more aggressive and comprehensive economic cooperative relationship to these countries included in the whole area on recent the strength of extension of national power and one-to-one thrust. The existing study on Central Asian countries` economical policies against China consists of many aspects like the changes considered in the dimension of energy diplomacy, one-to-one thrust, the arrangement of foundation for establishment of the new Silk Road Economic Belt, the trial to find their industrial cooperative measures with China caused by the industrial diversification movement in each of Central Asian countries. However, in this study, in the midst of their deepened economic interdependence, I intend to find, the basic cause of the change of Central Asian countries` economic policies against China, in the executed modification of China`s economic development model. That is to say, currently, with the arrival of the new normal era, China seeks to switch from the existing way toward investment and demand to the way toward consumption and supply. In an extension of this economic development structure reform in China, lies the change of Central Asian countries` economic policies against China. As a matter of fact, the cases of the economic cooperation of Central Asia with China measure up to China`s economic reform policies. Therefore, from now on, we will be able to see that China`s economic strategy against Central Asian countries is closely connected to the economic reform policies. Hence, through this study, first of all, I will examine the economic cooperative structure and situation, and the cooperative elements of China with central Asia, next, I will analyse the main factors which brought such changes of policies to China-particularly, the deepened dependence of central Asia on China. Finally, with the contents of China`s economic reform, I will intend to discuss the future direction of the economic policies of China against central Asia.

      • KCI등재

        21세기 중앙아시아 다종교공동체와 종무제도의 특징 및 한계

        김상철(Kim, Sang-Cheol),손영훈(Son, Young-hoon) 한국이슬람학회 2021 한국이슬람학회논총 Vol.31 No.2

        중앙아시아는 문명사적인 측면에서 역사적으로 정주문명 전통과 유목문명 전통이 공존했던 공간이었고, 이러한 특성은 오늘날 중앙아시아를 구성하고 있는 국가들에서도 나타나고 있다. 또한 제정러시아 지배기, 소련시기를 거치면서 제도적인 측면에서 공통성의 요소를 가지고 있지만, 개별 국가들에서 오늘날 구현되고 있는 양상은 차이를 보이고 있기도 하다. 아울러 개별국가 사회를 구성하고 있는 공동체들은 민족과 종교 측면에서 다원성을 기반으로 하는 다종교적 공동체 통치권력과 구성원의 종교간 관계는 이른바 다종교공동체에 대한 공식적인 종무제도를 통해 형성 및 발전되어 왔다. 문명사적으로 토착민 집단과 유입민 집단으로 구분될 수 있는 중앙아시아 공동체에서 오늘날 정주문명의 전통을 주로 이어받은 우즈베키스탄, 유목문명 전통을 주로 이어받고 소련시기에 사실상 정주민화된 카자흐스탄간에는 확연한 차이가 있고, 다수를 차지했던 집단의 종교 다원성, 그리고 다종교공동체 구성원 측면에서도 차이를 보이고 있다. 중앙아시아 국가 가운데 우즈베키스탄은 역사 및 문명사적인 배경차원에서 정주민 배경이면서이슬람이 가장 먼저 정착되었고, 다수집단 공동체의 전통문화에서 중요한 근간을 차지하고 있다는 점에서 가장 이슬람적인 색채가 강하게 나타나는 중앙아시아 국가라 할 수 있다. 반면 카자흐스탄은 전통 공동체가 유목민 배경이며, 이슬람의 정착 및 확산이 상대적으로 늦게 이루어졌으며, 다수집단을 차지했던 공동체가 소련시기에 뒤바뀌었던 현상을 경험하게 되면서 현재는 가장 느슨한 중앙아시아 이슬람 공동체가 존재하고 있다. 기존의 국내 중앙아시아 이슬람 관련 연구는 크게 제정러시아 및 소련시기의 종교정책과 이와 관련된 사회변화 연구가 이루어져 왔으며, 급진 이슬람과 중앙아시아 정치문제를 외형적인 측면을 중심으로 다루는 연구들은 정치학이나 국제정치학에서 일종의 사례 분석 차원에서 이루어지기도 했다. 또한 또 다른 하나의 중앙아시아 이슬람에 대한 연구는 선교정책이나 선교대상에 대한 이해 차원에서 이를 분석하는 형태로 진행된 것이 대부분이다. 따라서 중앙아시아의 이슬람 및 이와 관련된 제도 및 특성들을 다종교주의적인 시각에서 분석하는 연구들은 상대적으로 덜 활성화되어 있지만, 장준희의 “중앙아시아 이슬람 문화의 성격”(장준희 2010), 오종진의 “한국 이주 중앙아시아 무슬림의 현황과 조직화-우즈베키스탄, 카자흐스탄, 키르기스스탄, 투르크메니스탄, 아제르바이잔 ,타지키스탄 출신 무슬림들을 중심으로”(오종진 2008), 오원교의 “중앙아시아의 민족적, 지역적 소통과 상생의 토대로서 생활이슬람”(오원교 2010) 등은 이러한 입장에서 진행된 선행 배경 연구들에 해당된다. 이러한 과정에서 중앙아시아의 대표적인 두 국가에서 작동되고 있는 종교와 국가간 관계를 보여주는 종무제도가 어떤 과정을 통해 형성되었고, 이러한 체계들이 개별 공동체들에서 존재하고 있는 종교적인 다원성과 다종교 공동체의 공존에 어떠한 형태로 작동하고 있으며, 종교의 자유라는 측면에서 나타나는 실제 양상들을 정리해보았다. Uzbekistan and Kazakhstan have some features of Multi-ethnic and Multi-confessional communities since establishing of Soviet Central Asian Republics. With this back ground both countries share same structure of Management system of Religious Affairs. In the vertical structure of Religious executive system the official Islam play important role of community with tight relations between governmental Department and The Spiritual Association of Muslims as middle connecting bridge with Muslim communities. Except Islam, other Religious communities are under direct control with related govenmenatl Department: Kazakhstani Ministry of Information and Social Development and Uzbekistani Minstry of Justice.

      • KCI등재

        전략적인 기독교 선교 활동을 위한 중앙아시아 이슬람 원리주의에 관한 고찰

        정세진 ( Jung Se Jin ) 한국복음주의선교신학회 2018 복음과 선교 Vol.42 No.-

        본 논고는 중앙아시아 이슬람 원리주의에 대한 이해를 통해 중앙아시아 선교에 대한 함의를 분석하는 내용으로 이루어졌다. 이슬람 원리주의는 소련 해체 이후 포스트소비에트 시기에 갑작스럽게 등장한 측면이 있기 때문에 이슬람 원리주의를 중앙아시아 이슬람의 대표성을 지닌 것으로 간주할 수는 없다. 그러나 이슬람 원리주의는 국가 통치나 사회적 안정성의 의미에서 본다면, 문화 소통의 요소라기보다는 반 소통적 기제로 작용하였고 이에 대한 이해는 중앙아시아를 이해하는 바로미터가 된다. 즉 중앙아시아 정부가 이슬람 원리주의자들을 압박하는 이유가 무엇인지 역사적, 정치적으로 파악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는 것을 시사한다. 본 논고는 중앙아시아라는 하나의 특정 지역권에서 이슬람 원리주의 기본적인 본질을 파악하면서 기독교 선교의 함의를 도출해 내는 데 그 목적을 가지고 있다. 본 논고는 특정한 시간과 공간에서 선교적 삶을 구체적으로 구현하기 위한 선교사들에게 중앙아시아에 대한 더 적확한 역사적, 통전적 함의를 발견하고자 기술된 내용으로 이루어졌다. 즉 이슬람 원리주의의 이해를 통해 중앙아시아 선교 방향성을 제고하는 내용으로 이루어졌다. 독립 이후에도 중앙아시아 이슬람은 전반적으로 생활 이슬람으로 대변되었고 이슬람 원리주의가 핵심으로 등장하지는 못했다. 그러나 특정한 지역의 역사적, 문명적 관점에 대한 이해를 통한 종교 정체성에 대한 인식은 매우 중요하며, 그러한 차원에서 이슬람 원리주의에 대한 분석을 통해 선교적 함의를 발견하는 시도는 매우 중요하다고 판단된다. 중앙아시아 이슬람은 중동아랍의 이슬람과 변별성을 가지고 있다. 즉 중앙아시아 이슬람은 관습적이기 때문에 중동아랍과는 다르게 선교 전략을 입안할 필요성이 있다. 즉 중앙아시아에서는 왜 1991년 독립 이후에 이슬람 원리주의가 한때 강하게 출현했는지에 대한 이유를 연구할 필요성이 있으며, 이를 위해서는 중앙아시아 역사와 문화에 대한 통찰적인 선교학적 시각을 도출할 필요성이 있다. This paper explores mission strategy focused on Islam fundamentalism in Central Asia. This article attempts society’s phenomenon of Islam in Central Asia. This article explores examining particularly Islam’s fundamentalism of Central Asia with everyday’s Islam, folk Islam. Chapter II examines Central Asia’s Islam’s fundamentalism and mission strategy. Chapter III reviews mission strategy focused on relations Central Asia’s society and Islam’s fundamentalism. Chapter IV analyzes counter plan against Islam’s fundamentalism from the government and mission approach. From the early 1990s onwards the radical Islam has been gaining ground. In Tajikistan, it was one of the factors that led to the outbreak of the civil war. Elsewhere in the region the main expression of Islam fundamentalism has been the emergence of clandestine groups, based in Uzbekistan and adjacent areas of Kazakhstan and Kyrgyzstan. As the government saw the rise of Islam as a threat to its establishment, it began to undertake tougher measures against fundamentalists and even against moderates without making any distinction between them. The Islamist opposition in Uzbekistan has posed serious social, political and military challenges to the Karimov regime that has in turn resorted to outright repression in response. The aim of this article is to present a specific overview of the mission strategy in examining common historical character of Islam as the custom in Central Asia. In exploring Central Asia’s mission strategy, it need to be investigated fundamentalism. This paper is based on the description of missions to find a more accurate historical and meditative implication of Central Asia to concrete mission life in specific time and space. In other words, it was done to improve the direction of Central Asian missions through the understanding of Islamic fundamentalism. After independence, Central Asia’s Islam was generally represented as living Muslims, and Islamic fundamentalism was not the core. However, the recognition of religious identity through understanding the historical and civilized viewpoints of a specificregion is very important.

      • KCI등재

        A Study Geo-Cultural Developments of the Central Asia

        최한우 국제지역학회 2002 국제지역연구 Vol.6 No.2

        1991년 소련해체와 동시에 중앙아시아에 우즈베키스탄, 카자흐스탄, 키르기즈스탄, 투르크메니스탄, 타직키스탄 등 신생 5개국이 독립하였다. 페르시아계 타직키스탄을 제외하면 이들 국가는 카스피 해 연안국가 아제르바이잔과 더불어 종족적으로 튀르크계 국가를 형성하고 있다. 종교적으로 이슬람교 국가이면서 종족적으로 대개 터키와 같이 알타이 계열 튀르크계 국가인 중앙아시아 국가들의 정체성 및 향방에 대하여 대내외적으로 많은 논란이 있었다. 과연 이들 중앙아시아 국가들이 어느 방향으로 발전할 것인가? 이 문제를 심도있게 이해하고 중앙아시아 제 국가의 향방을 예측하기 위해서는 중앙아시아의 지리전략(geo-strategic)측면과 지리문화적 및 역사적 발전과정에 대한 체계적인 이해가 선행되어야 한다. 이슬람-튀르크 민족 거주 지역인 중앙아시아는 스키타이 족으로 시작하여, 그리스 및 페르시아 제국 등을 거치면서 고대에 인도 유럽계 정착민족의 거주 지역이었으나, 흉노 및 돌궐 등 튀르크족이 이곳으로 유입되면서 유목민족적 요소와 정착민족적 요소가 상호갈등하면서 다시 또 정착민족화하는 과정을 겪어왔다. 서기 10-11세기 이슬람화가 정착되어 가면서 정착문명화는 가속화되어, 카라한조, 가즈나비조, 셀축조, 티무르조 등을 거치면서 튀르크 이슬람 문명이 자리잡게 되었다. 또한 근대에 들어서는 중앙아시아에 대한 러시아의 지배가 체계화되면서, 유목민족적 전통과 이슬람적 전통 위에 발달한 중앙아시아는 러시아 및 소비에트 문화의 적지 않는 영향을 받게 되었다. 한편 중앙아시아는 지정학적으로 중동이슬람 문명, 인도문명, 슬라브 러시아문명, 중국문명 등이 교차하는 유라시아 대륙 중심부에 위치해 있다. 실크로드 중심부에 위치한 중앙아시아는 역사적으로 이러한 세계 거대문명의 역동적 상호교류의 산파역할을 하였다. 결과적으로 중앙아시아는 유목문명을 기저층(substratum)으로 하여 이슬람문화가 발달하였으며, 소위 소비에트종족 집단화를 추구한 소비에트 슬라브문화가 하나의 방층(abstratum)을 형성하였다. 이와 더불어 세계 거대 문명들의 상호교류의 산실로써 중앙아시아를 고려할 때, 우리는 왜 중앙아시아가 다른 이슬람권의 향방과 상이할 수 밖에 없는가를 이해할 수 있게 된다. 본 논문에서는 이와 같은 배경과 맥락에서 중앙아시아의 지문화적(geo-cultural) 발달과정을 다루었다.

      • KCI등재

        한국의 중앙아시아 연구 동향

        엄구호(Gu Ho Eom) 서울대학교 아시아연구소 2012 아시아리뷰 Vol.2 No.1

        지역연구의 바람직한 방향은 인문학적 지역연구와 사회과학적 지역연구의 학제적 통섭, 순수 기초 연구와 응용 정책 연구의 유기적 연계성, 국내적 연구와 국제관계적 연구의 체계적 시각 정립일 것이다. 그러나 2005년 이후 본격화된 한국의 중앙아시아 연구는 아직 역사가 일천하여 위의 기준에서 보면 여전히 많은 문제점을 갖고 있다. 첫째, 최근의 많은 연구들이 스탄국가 중심으로 이루어지고 있으며, 스탄국가를 대상으로 한 연구는 주로 사회과학 배경연구, 스탄 외 국가들에 대한 연구는 주로 인문학 배경 연구로 편중되어 있다. 또한 학제적 연구가 매우 부족한 실정이다. 둘째, 최근의 연구 지원 동향을 보면 순수 기초 연구에 대한 지원이 부족하다. 특히 중앙아시아사 연구에 집중적 지원이 필요하다. 셋째, 중앙아시아 지역의 내적 연관성을 모색하는 연구가 부족하다. 중앙아시아의 지리적 개념이 매우 모호하고 국내 학자 간 합의가 부족한 상황을 감안하면 서투르키스탄 연구자와 동투르키스탄 연구자들 사이의 소통이 시급하다. 넷째, 몽골연구에 비해 위구르·티벳 연구가 급감하고 있어 이 지역 연구의 지속가능성이 염려된다. 다섯째, 스탄국가의 경우 타지키스탄, 키르기스스탄, 투르크메니스탄 연구는 사실상 걸음마 단계에 있다. 여섯째, 1차 전문 연구자의 양성이 시급하다. 특히 스탄국가들의 경우 러시아 연구자들이 병행하는 경우가 많은데 국내 대학원에서도 중앙아시아 학위과정이 활성화될 필요가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한 바람직한 연구방향으로 세 가지를 제언할 수 있다. 첫째, 독립 후 중앙아시아 지역은 개인적ㆍ민족적ㆍ국가적 정체성의 급격한 변화와 재구성의 과정 속에 있다. 정체성을 키워드로 삼아, 중앙아시아 지역에서 다종교ㆍ다문화ㆍ다민족이 공존하면서 그려내는 복합적, 중첩적 정체성의 전체적 지형도를 그려내는 연구가 필요하다. 둘째, 중앙아시아 지역연구를 위한 공통의 목적 아래 각 학문 분과의 통합보다는 각 학문 분과의 개별적 특성을 존중하고 그것을 심화하며, 공존하게 함으로써 중앙아시아 지역연구의 새로운 모델이 필요하다. 셋째, 중앙아시아 연구가 스탄국가에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역사적으로 보아 중앙아시아의 지리적 개념은 민족적으로 동투르크인, 동이란인, 몽골족의 분포에 모두 초점을 두어야 한다. 현대 지정학적 관점에서도 스탄 공화국들과 신장과 아프가니스탄을 중앙아시아의 문명 지대의 핵심 지역으로 하고 여기에 이란의 호라산 지역, 파키스탄의 북부지역, 러시아의 타타르스탄 지역, 인도의 라자스탄에서 아그라에 이르는 지역이 포함하는 대중앙아시아 개념을 엄밀히 검토할 필요성이 있다. 위에서 제시한 정체성 중심의 연구와 학제적 연구 지향도 이러한 포괄적인 지리적 개념하에서의 내적 연관성 모색에 기초하지 않으면 그 결실을 보기 어려울 것이다. The recommendable directions for area studies today all have the word ‘interdisciplinary’ as a key: humanities and social science, pure arts and science studies and applied policy studies, and regional area studies and international relation studies. Judging by these standards, the Central Asian studies in Korea seems to be at its infant stage, which is only logical when considering the fact that this academic field was founded in Korea only in 2005. Some of the problems that the Korean academia faces are as follows: First, recent studies in both social sciences and humanities have tended to focus on the stan countries, but only a few of these studies have been interdisciplinary in character. Secondly, financial support for researchers of pure arts or pure science studies have been far from sufficient, and this is especially true for researchers of Central Asian history. Thirdly, more studies focusing on the internal relations within the Central Asian region are required. Meanwhile, the geographical conception of the Central Asian region remains as a contested one among scholars, and therefore, academic exchange and communication between scholars studying West Turkestan and those studying East Turkestan are urgently needed. Fourthly, studies on Uyghur-Tibek have fallen short in number, in comparison to studies on Mongolia. Fifthly, although studies on the stan countries have been accumulating, those on Tajikistan, Kyrgyzstan, and Turkmenistan, however, remain in their infant stage. Sixthly, more attention should be given to training our Korean specialists in specific areas. For instance, studies on the stan countries have been dominated by Russian specialists. More courses on Central Asia should be offered by graduate schools in Korea. In order to overcome the above problems, this paper proposes the following three ways: First, the Central Asian region has undergone rapid changes in terms of reconstructions of an individual after the independence, such as the individual’s ethnic and national identity. In this respect, studies focusing on the individual’s ‘identity’ as a key word are required to sort out the complex map of individual identities in the Central Asian region, as well as to shed a new light onto its multilayeredness, namely its multi-religious, multi-ethnic, and multi-cultural characteristics. Secondly, I suggest that every study field be respected for its distinctive character, and that we help to build on them, which will ultimately benefit the field of Central Asian area studies as a whole. Thirdly, the Central Asian studies should not be limited to the stan countries. From a historical perspective, the geographical conception of Central Asia should be based on the distribution of the Turks, East Iranians, and Mongol. Even from the contemporary geopolitical point of view, we need to reset the definition of Greater Central Asia as one which claims the stan countries, Xinjiang, and Afganistan as the core region of the Central Asian civilization, and one which encompasses the Horasan region of Iran, the northern region of Pakistan, the Tartar region of Russia, and the region spanning from Rajasthan to Agra in India. For the identity-focused studies and interdisciplinary studies suggested here to become meaningful in any way, it is necessary that they conform to this comprehensive geographical conception of Central Asia.

      • KCI등재

        중앙아시아와 일대일로: 중국식 개발모델의 한계

        윤성학,김영진 한국외국어대학교(글로벌캠퍼스) 러시아연구소 2019 슬라브연구 Vol.35 No.1

        We will examine the responses and policies of Central Asian countries against China's BRI. Central Asian countries are responding differently depending on their own resources and finances, but they think BRI as an opportunity and a threat at the same time. China has become the largest trading partner of Central Asiann countries since the global financial crisis in 2008. China mainly exports its manufacturing products and Central Asian countries mainly export their energy resources. An important reason why China is interested in Central Asia is due to its enormous reserves of energy resources. China imports energy resources in Central Asia, and on the other hand, Central Asia is considered as an important market. China has established the ‘Silkroad Fund’ in 2014 with a capital of 61.525 billion Yuan to promote BRI routes to Central Asia and constructed the ‘New Eurasian Land Bridge’(International Railway), ‘Asia-West Asia’(oil and gas pipeline) energy corridor is under construction. However, Kazakhstani people rallied against China, the largest investor to the country, for anti-Chinese protests in 2016. Financially rich Turkmenistan is almost indifferent about BRI, while poor Kyrgyzstan and Tajikistan are actively welcoming the initiative. Uzbekistan, which is not bordering with China, does not reject BRI as long as it is helpful to the Uzbekistan’s economy. However, Central Asian countries are becoming more and more negative on BRI. In particular, the Chinese development model eventually benefits only for Chinese companies, the local residents are still unemployed, the main resources are plundered, and the national debt is getting bigger and bigger. Historically, Central Asian countries viewed China as a factor of external insecurity not less than Russia. The confrontation between the Chinese empire and the nomadic tribes in Central Asia has been disappeared a long time ago, but on the other hand, China is appearing both as an opportunities and a threats. 이 논문은 중국의 일대일로에 대응하는 중앙아시아 국가들의 반응과 정책을 고찰하고 중국식 해외 인프라 투자모델을 비판적으로 분석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중앙아시아 국가들은 일대일로를 기회이자 또 다른 위기로 생각한다. 중국은 2008년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중앙아시아 국가들의 최대 교역대상국이 되었다. 중국은 주로 제조품을 수출하고 중앙아시아 국가들은 주로 자원을 수출한다. 중국이 중앙아시아에 관심을 가지는 중요한 이유는 막대한 에너지 자원 매장량 때문이다. 중국은 중앙아시아의 에너지 자원을 수입하고 다른 한편으로는 중앙아시아를 중요한 시장으로 생각한다. 중국은 중앙아시아에다 일대일로를 추진하기 위해 자본금 615억 2,500만 위안 규모의 ‘실크로드기금(Silkroad Fund)’를 2014년 설립하고 ‘신유라시아 대륙교량(국제철도)’과 ‘중국-중앙아시아-서아시아(석유·가스 수송관)’ 에너지 회랑을 건설 중이다. 그러나 카자흐스탄 국민은 최대 투자 국가인 중국을 경계하여 2016년 반중국 시위를 벌이기도 했다. 풍부한 재정을 가진 투르크메니스탄은 일대일로에 대해 거의 무관심한 반면, 빈국인 키르기스스탄과 타지키스탄은 적극적으로 환영하고 있다. 중국과 국경을 접하지 않은 우즈베키스탄은 일대일로 정책이 우즈베키스탄 경제에 도움을 되는 한 거부하지는 않는다. 그러나 중앙아시아 국가들은 갈수록 일대일로에 부정적이다. 특히 중국식 인프라 투자모델로 인해 결국 중국 기업만 혜택을 받게 되고 주요 자원을 약탈당한 지역 주민은 여전히 실업에 시달리는 한편, 중국발 부채규모는 갈수록 늘어나고 있기 때문이다. 역사적으로 중앙아시아 국가들은 중국을 러시아 못지않은 대외불안요인으로 간주하였다. 중화 제국과 중앙아시아의 유목민 간의 종족 대결은 오래 전에 사라졌지만 일대일로는 또 다시 중국의 영향력에 대한 우려를 불러일으키고 있다.

      • KCI등재

        중국의 대(對)중앙아시아 통상정책 변화와 시사점

        김석민 ( Seog Min Kim ) 조선대학교 동북아연구소(구 통일문제연구소) 2009 동북아연구 Vol.24 No.1

        중앙아시아는 풍부한 에너지 및 광물자원을 보유하고 있으며, 높은 경제성장률을 바탕으로 시장규모가 급속히 확대되고 있어 경제협력 잠재력이 매우 높은 지역으로 부상하고 있다. 이처럼 중앙아시아의 가치가 높아지면서 세계 각국은 중앙아시아로 활발히 진출하고 있다. 중앙아시아 국가들의 경제수준은 국내정치 상황, 부존자원, 시장경제 이행 및 경제개방 정도에 따라 국가별로 상당한 차이가 나타나고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중앙아시아는 원유 수출 확대 등으로 2015년까지 연평균 7.2%의 높은 경제성장을 이룩할 것으로 전망된다. 한국의 중앙아시아 진출 전략 수립을 위해 중앙아시아 지역에서 가장 큰 영향력을 발휘하고 있는 중국의 중앙아시아 진출 현황 및 전략을 분석한 결과 다음과 같은 특징들이 있음을 알 수 있다. 중국의 중앙아시아 진출전략은 지역적인 차원이 아닌 중국의 세계 다극화전략과 연관성 속에서 추진되고 있다. 또한 중국은 ‘상하이 협력기구’ 등 다자외교 시스템을 주도하면서 중앙아시아 국가들과 신뢰를 구축하고 외교거점을 확보하는 한편, 선린우호를 바탕으로 중앙아시아에 대한 경제 지원을 병행함으로써 자국의 영향력을 단계적으로 증대시키는 실리외교를 추진하고 있다. 향후 한국이 중앙아시아와의 협력을 강화하기 위한 대응방향을 수립함에 있어 무엇보다 먼저 고려해야 할 사항은 중앙아시아에서 추구해야 할 전략적 목표를 분명히 설정하는 것이다. 구체적 목표의 설정과 실현을 위한 중장기적 계획이 수립될 때 비로소 한국의 중앙아시아 진출전략은 일관성을 가지고 지속적으로 추진될 수 있을 것이다. Central Asia is gaining attention with its abundant energy and mineral resources and rapidly enlarging due to its high economic development, showing high potentials of economic cooperation. Due to these causes the world is eager to enter into this value-rising region. The economic development level is also differed by the country, according to their domestic political situation, natural resources, performance of the market economy and their openness of the economy. Nevertheless, an average of 6.7 percent is expected to achieve high economic growth. China have distinctive characteristics in their status and strategies in entering Central Asia. In case of China, their strategic plan is pursued not at the regional level but at the global level. China`s positive diplomatic relations and economic support in Central Asia are enhancing the Chinese influence. Most of all, China is actively entering Central Asia with their aggressive energy securing strategy, of which is lead by the strong government. The most important issue for Korea in establishing countermeasures to reinforce cooperative relations with Central Asia is to set priorities. The core objectives of Korea should be enlarging economic cooperation and securing energy resources, enhancing the geopolitical values, establishing a bridgehead to enter Eurasia, improving the status of Koreas as well as securing their safety. Sustainable entry strategies in the Central Asian countries are possible only after establishing concrete mid and long-term plans to fulfill these objectives.

      • KCI등재

        중앙아시아에서 소비에트의 역사적 유산에 관한 고찰

        정세진(Sejin Jung) 한국노어노문학회 2017 노어노문학 Vol.29 No.4

        본고는 중앙아시아에서의 소비에트의 역사적 유산에 관한 고찰을 중점적으로 제기하는 내용으로 서술된다. 일부 제정러시아의 역사적 유산에 관한 내용도 포함될 것이다. 소비에트의 역사적 유산과 관련되어 중앙아시사의 민족 정체성도 연계하여 규명하고 있으며, 전체적으로 중앙아시아에 대한 소련의 역사적, 정치적 인식을 제기하고, 중앙아시아 인의 자의식에 관한 내용을 포함시켰다. 구체적인 민족이 역사적 과정에서 직면하고 있는 다양한 사건 중에서 제국의 정복은 매우 강력한 민족의 경험으로 정착될 수밖에 없다. 이러한 견지에서 중앙아시아는 특별한 피지배 공간으로 남을 수밖에 없었다. 이를 지배한 민족은 러시아 인, 즉 슬라브인이라는 다른 문화정체성을 가진 민족이었다. 소비에트의 역사적 신화가 중앙아시아공간에서 20세기에 강력히 발동하였으며, 이 지역에서의 소비에트의 역사적 유산은 1991년 독립 이후에도 중앙아시아 사회에 다양한 방식으로 나타났다. 독립 이후 중앙아시아 각 국은 민족주의 정책을 추진하였으며, 이는 소비에트 시대와의 결별을 의미하였다. 일반적으로 대부분의 중앙아시아 국가에서는 신생 국가로서의 중차대한 국가적 난제가 많이 있었기 때문에 민족 정체성을 강조하였다. 험난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국가 나름의 새로운 개념의 민족 정책을 필요로 하였던 것이다. This article focuses on the consideration of the Soviet historical heritage in Central Asia. Some of the constitutional historical heritage of Russia also be included. It also links the national identity of the Central Asia with the Soviet historical heritage, raises the historical and political perceptions of the Soviet to Central Asia as a whole, and includes the self-consciousness of the Central Asians. Among the various events facing the specific nation in the historical process, the conquest of the empire can be settled as a very powerful nation experience. The people who ruled it were Russians, or Slavians, with a different cultural identity. The historical myth of the Soviet was invoked strongly in the Central Asia space in the 20th century, and the Soviet historical heritage in this area came to the Central Asian society in various ways even after independence in 1991. After independence, Central Asian countries pursued nationalist policies, which meant separation from the Soviet era. In general, most Central Asian countries emphasized ethnic identity because there were many important national challenges as a new nation. In order to solve the difficult task, the nation needed a new national policy. Chapter II presents the general implications of Russia "s historical heritage in Central Asia. Chapter III examines the implications of Soviet policies in Central Asia. In Chapter IV, we will analyze the meaning of the heritage and influence of the Soviet Union in Central Asia. Chapter V review Central Asia as an anti-thesis of Imperial heritag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