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부산지역 4년제 사립대학 중국어 기초회화 교육의 조건과 특징

        김용운(Kim Yong-Woon),김자은(Kim Ja-Eun) 경성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11 인문학논총 Vol.25 No.-

        부산지역의 4년제 사립대학에서 이루어지는 중국어 기초회화 교육은 기본적인 중국어 회화 능력의 배양을 목표로 한다. 담당교수는 학생수준을 파악하고 교육방법을 장악함으로써 갖게 되는 자기 효능감을 바탕으로 수업을 진행한다. 이 교과목은 학생 개개인의 학습상황을 점검하고 실습해야 하므로 20명 이하의 학급규모를 유지하는 것이 관건이다. 기본문형을 이해하고 본문의 한자를 익히는 1학기에서, 본문을 암기하고 상황에 맞는 중국어로 활용하는 2학기에 이르기까지, 각 단계의 수업방법은 단계별 수준에 따라 다르게 운용된다. 평가의 과정은 수업방법을 보조하고 완성하는 역할을 담당하며, 수시평가는 정시평가보다 더 중요한 의미를 갖는다. 이 밖에 중국어 기초회화 교육의 한 부문으로 수용되고 있는 한자교육은 정책적 차원의 합리적이고 다양한 교육방법이 강구되어야 할 필요가 있다. The purpose of Basic Chinese Conversation course in Busan province private university is to lead teacher have self-efficacy by comprehending each level of students and dominating teaching method. Therefore the comprehending of students is the point realizing the expectation of education and key factors for deciding a teaching method. The essential teaching method of Basic Chinese Conversation in Dong-A University consists of understanding it's basic structures and memorizing contents of the text, and using them as student’s own language according to situations so that the course has ‘Reading Chinese Character, Grammar, Reading, Memorizing Sentence, Exercise and Application.’ In terms of evaluation by students, Basic Chinese Conversation course shows the different trend to other courses. Basically all evaluation method of Basic Chinese Conversation supports and completes teaching method, therefore nonscheduled test has more important meaning than mid-term/final exam. Because nonscheduled tests give very proper feedback regarding to their teaching, so that the teachers of this course in Dong-A University are not sensitive to evaluation of the course by students.

      • KCI등재후보

        부산지역 4년제 대학 중국어 문법 교육의 방향과 방법

        김용운(Kim Yong-Woon),임춘영(Lim Chun-Young) 경성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10 인문학논총 Vol.15 No.3

        이 논문은 부산지역 4년제 대학교 중국 관련학과의 〈중국어 문법〉 담당교수를 대상으로 〈중국어 문법〉 교육의 방향과 대학 간 교육방법의 차이, 담당교수의 자기효능감과 수업방법, 피드백 체계의 관계가 어떤 양상으로 나타나고 있는지 조사하여, 부산지역 〈중국어 문법〉 교육의 대학별 교육현실과 방향, 방법 등을 조감하고자 한 것이다. 부산지역 중국 관련 대학 〈중국어 문법〉 담당교수들은 이론문법이 아닌 외국인을 위한 교육문법 교육이라는 목표와 방향성을 갖고 있다. 또 담당교수의 자기 효능감은 이 목표를 이루기 위한 자신의 지적 역량과 학생들의 학습 효율성에 대한 자신감으로 드러났으며, 교재의 선정, 수업내용의 취사선택, 다양한 수업방법의 시도, 학생과의 관계 속에서 일관된 교육체계로 구현되었다. The Chinese Grammar course in universities of Busan province opened to improve proficiency in Chinese and prepare HSK. The teachers of course have an educational direction for foreign students as a school grammar course. The self-efficacy of teachers revealed as a self-confidence in abilities of knowledge and efficiency of education. For meeting to educational objects, the self-efficacy realized by selecting textbooks, course contents, various teaching methods, and relationship with students. And the effects of course are proved by improving in listening, reading, writing and speaking of students. However it is easy to be lead into mannerism because there is a big gap in knowledge between teachers and students and the educational contents are not likely to be influenced by current trends. Moreover if a few students aware the grammar too much, it would be obstacles to speak Chinese naturally. To resolve these matters, it is necessary to set up the education level as the ability of students and make an atmosphere for comfortable and natural conversation so that we may expect real time feedbacks regarding to the effects of course.

      • KCI등재

        针对韩国学生的几种汉语普通话语音教学策略

        한재균 중국인문학회 2015 中國人文科學 Vol.0 No.60

        중국어와 한국어는 어음계통이 다름으로 인해 자음, 모음의 수나 발음 방법이 각각 다르다. 특히 중국어에는 매 글자마다 중국어만의 독특한 성조가 있는데, 성조에 따라 그 의미가 각각 달라진다. 그렇기 때문에 중국어를 처음 배우는 초학자들에게는 중국어의 발음이나 성조가 무척 생소해 숙달되려면 상당한 노력과 시간이 소요된다. 본 논문은 우선 한국학생들이 자주 틀리는 중국어 성모(f, r)를 예로 들어 구체적인 발음방법과 발음요령을 상술하였다. 특히 중국어발음 [r]을 중국어발음 [l] 및 한국어발음 ㄹ[r]과 비교하여 그 차이점을 비교적 상세히 고찰하였다. 아울러 여러 가지 발음교육 방법을 구체적인 예를 들어 논증하였다. 첫째, 한국어발음에는 없는 한국학생들이 잘 틀리는 몇 가지 성모(f, zh, ch, sh, r, z, c, s)을 예로 들어 손시늉을 통해 그것들의 발음부위와 발음방법을, 필요하면 중국어 및 한국어 유사발음과 비교하여 쉽고 정확하게 터득하는 요령을 재미있게 구체적으로 형상화함으로써 학생들이 틀리기 쉬운 중국어 발음오류를 줄이는데 많은 도움이 되도록 하였다. 둘째, 한국어발음에는 없는 한국학생들이 발음하기 어려운 단 운모(ü)을 예로 들어 학생들이 실생활에서 직접 경험할 수 있는 한국어 유사발음을 응용하여 쉽고 생동감 있게 터득할 수 있도록 상술하였다. 아울러 중국어 4성의 발음요령을 한국어 유사발음과 비교 설명함으로써 학생들이 실생활에서 4성의 발음방법을 쉽고 재미있게 터득할 수 있도록 하였다. 셋째, 손바닥 촉각 감지를 통한 중국어발음[f]와 [p]의 발음차이 및 발음요령을 자세히 설명하였다. 아울러 검지로 콧방울을 가볍게 두드리는 방법으로 [m]과 [n]의 발음차이 및 발음요령도 설명하였다. 넷째, 교수가 중국어자모의 크기를 판서를 통해 형상화 시켜줌으로써 학생들이 입의 벌리는 정도를 직관적으로 느낄 수 있게 할 수 있다는 것을 설명하였다. 특히 권설음을 발음할 때는 이미지가 살아있는 끝이 치켜 올라간 화살표를 통해 발음 요령을 설명함으로써 학생들이 혼자서도 자연스럽게 발음의 차이를 느낄 수 있다는 것을 그림을 그려 생동감 있게 설명하였다. 다섯째, 학생들의 수준에 맞는 재미있는 문구나 잰말놀이 등으로 발음하기 어려운 중국어 발음을 쉽고 재미있게 터득 할 수 있다는 것을 설명하였다. 결론적으로 말해 중국어 발음은 중국어 학습에 가장 기본이 될 뿐만 아니라 학생들이 중국어 발음에 친숙해지지 않으면 중국어에 흥미를 잃어 중도에 포기하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교수는 인내심을 가지고 지속적으로 학생들 각자의 상태를 주의 깊게 관찰하고, 연구하여 가장 효과적인 교육방법을 개발하여 학생들이 초급단계에서 중국어발음에 친숙하도록 지도함으로써 그들이 중국어에 흥미를 잃지 않도록 최선을 다해 도와주어야 할 것이다.

      • KCI등재

        국내 교양중국어 교육 관련 연구동향 분석

        임연정 한국중국언어문화연구회 2023 한중언어문화연구 Vol.- No.68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the research trend and also to seek for the future direction of researches by analyzing preceding researches on college Chinese general education. With the fever of Chinese education that began in the early 2000s, the interest in college Chinese general education was raised, and there have been various relevant researches. In fact, however, it is lacking in the results of analyzing preceding researches, which could have negative effects on effective Chinese education. Thus, this study understood the main flow and characteristics by analyzing the results of researches related to college Chinese general education. This study collected total 107 journal papers and 19 theses, and then established the criteria of analysis based on preceding researches on Chinese linguistics, Chinese education, and other foreign language education. This study conducted the quantitative analysis on each period, and the analysis on research method and research theme based on the analysis criteria, and sought for the development direction of relevant researches in the future. Hopefully, this study could be helpful for the vitalization of relevant researches and the development of college Chinese education in the future. 본 연구는 국내 대학의 교양중국어 교육에 대한 선행연구를 분석하여 그동안의 연구동향을 파악하고 향후 연구방향을 모색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2000년대 초반 시작된 중국어교육 열풍에 따라 대학의 교양중국어 교육에 대한 관심이 높아졌고, 관련 연구 또한 활발하게 진행되었다. 하지만 선행연구를 분석한 결과가 부족한 것이 사실이며, 이는 효과적인 대학 중국어교육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이에 본 연구는 대학의 교양중국어 교육과 관련하여 진행된 연구결과를 분석하여 그 주된 흐름과 특징을 파악하였다. 총 107편의 학술지 논문과 19편의 학위논문을 수집하였고 중국어학 및 중국어교육, 그리고 기타 외국어교육 등의 선행연구를 기반으로 본 연구의 분석 기준을 확립하였다. 분석 기준을 기반으로 연대별 양적 분석, 연구방법 분석, 연구주제 분석 등을 다각도로 실시하였고, 향후 관련 연구의 발전방향을 모색하였다. 본 연구가 향후 관련 연구의 활성화 및 대학 중국어교육 발전에 도움이 되길 기대한다.

      • KCI등재

        한국의 중국어 교육 연구 현황과 과제

        김석영 한국중어중문학회 2023 中語中文學 Vol.- No.91

        본고는 1962년부터 2022년까지 한국의 학술지에 발표된 중국어 교육 관련 연구 성과 1,223편의 영역별 분포 현황을 분석하여 중국어 교육 연구의 과거와 현재를 조망하고, 거기에서 발견되는 편향을 파악하기 위한 시도이다. 한국의 중국어 교육 연구는 1960년대부터 1990년대 말까지 연평균 2편에 불과한 수준의 맹아기를 거쳐, 2000년대 들어 가파른 성장을 거친 결과 최근 10년의 시기에는 매년 70편 이상의 연구 성과를 산출하는 안정적 추이를 보이고 있다. 내적 연구에서는 교육과정, 교수 내용, 교재론, 교수매체, 교수법 및 기법, 학습자 발달, 평가 등 언어 교육 연구의 다양한 주제들이 두루 다루어지고 있으나, 분포의 비중을 보면 언어요소에 대한 연구 비중이 지나치게 높고, 그 가운데 절반이 통사 측면에 집중된 반면, 학습자 변인 연구나 평가 연구는 최근까지도 안정적인 추세에는 이르지 못하고 있다. 외적 연구에서는 교육 현황에 대한 연구가 비중 있게 진행된 반면, 교사 교육에 대한 연구가 많지 않은 것은 아쉬운 점 가운데 하나이다. 연구의 접근법과 방법에 있어서는 학습자 연구의 확대, 사회과학 연구 방법의 엄밀한 적용, 현장 연구의 확대 등이 필요해 보였다. 중국어 교육 연구가 언어에 대한 연구를 위주로 하는 편향에서 벗어나 교육의 다양한 측면을 더 폭넓고 정치하게 다루는 방향으로 발전하는 데 본고의 진단이 도움이 되기를 기대한다.

      • KCI등재

        중국어문법 교육용 시청각 자료 활용 연구: ‘파(把)’구문 교육을 중심으로

        엽은현 ( Ye Enxian ),이종오 ( Lee Jongoh ) 한국외국어대학교 외국어교육연구소 2018 외국어교육연구 Vol.32 No.3

        제2언어 교육에서 문법 교육은 매우 중요한 부분이다. 언어의 의미는 단어의 부작위 중첩에 의해 달성되지 않기 때문이다. 문법은 언어가 가지고 있는 구조 규칙을 지칭한다. 교육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문법 현상 중에 일부를 간결하고 이해하기 쉬운 방식으로 학습자들에게 드러내는 ‘교육문법'이 있다. 교육문법의 연구 대상은 언어 본체뿐만 아니라 언어현상 발생 조건, 학습 행위 및 학습 과정 등이 모두 포함되어 있다. 한국인 학습자 대상으로 한 중국어문법 교육은 무슨 내용을 가르칠 것인지, 하나의 문법은 어느 정도까지만 가르칠 것인지, 어떤 방법으로 이해가 쉽게, 효율적으로 가르칠 수 있을 지, 시대 진보에 뒤 따라 과학기술 기반에 어떻게 문법 학습이 이루어질 수 있을 지에 대해 교육자에게의 과제가 될 수 있다. 시청각보조물의 사용은 교육자가 문법과 같은 추상적인 개념에 대한 설명을 구체화하게 하고 학습자의 바람직한 태도를 유발하고 학습활동에 대한 흥미와 적극적인 참여를 자극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연구는 한국인 학습자 대상으로 중국어 문법용 교육 콘텐츠의 기반인 문법 지식과 시청각 자료의 융합으로 효율적인 교육 방법과 수단을 논의하고 자 한다. In the teaching of a foreign language, the teaching of grammar is a very important part, since the meaning of language is not achieved by the random superposition of vocabularies. Grammar, in general, refers to the structural rules that a language has. To achieve teaching objectives, there is an educational grammar that reveals some of the grammatical phenomena to learners in a concise and understandable way. The research subjects of the education grammar include not only the language but also the occurrence condition of the language phenomenon, the learning act and the learning process. The teaching of Chinese grammar to Korean learners is a biggest challenge for Chinese language teachers. What to teach? To what extent should grammar be taught? How to teach easily and efficiently? And to keep up with the times, how to apply science and technology to grammar teaching? Audiovisual aids can help the educator concretize the description of abstract concepts such as grammar points, induce desirable attitudes of learners, and stimulate interest and active participation in learning activities. Therefore, this study aims to discuss effective methods and means of teaching Chinese to Korean learners by applying audiovisual materials to Chinese grammar teaching practice.

      • KCI등재

        '중국어 교육을 위한 호칭 번역의 문제점과 해결 과제- 한중일 영상콘텐츠를 중심으로

        김시아,송지현 서강대학교 언어정보연구소 2022 언어와 정보 사회 Vol.46 No.-

        중국어 교수 학습에 멀티미디어 콘텐츠가 점차 많이 사용되고 있다. 다양한 미디어 콘텐츠를 활용한 교육은 교과서나 평면적인 교육자료들보다 시각적으로나 청각적으로 전달력이 좋으며 학습자의 흥미를 불러 일으키고, 학습 효과를 극대화 시켜준다. 뿐만 아니라 동영상 속에 들어 있는 비언어적 커뮤니케이션 방법과 문화 배경을 배울 수 있다는 잇점도 있으며, 동시에 자연스러운 회화를 배울 수 있다. 우리나라 중국어 교육에 사용되는 영상 가운데에는 중국에서 제작된 콘텐츠 뿐만 아니라 일본에서 제작된 영상이나 애니메이션이 많이 사용되고 있는데, 일본 동영상의 중국어 더빙판을 활용한 교육은 중국어와 중국문화 교육에 영향을 줄 수 있다. 우리는 중국과 일본의 문화와 언어 차이에 대해서 올바로 인식하고 구별할 수 있어야 한다. 일본의 영화와 드라마 애미메이션을 통해서 일본어 어휘가 중국어 속으로 들어오고, 일본 문화가 자연스럽게 중국 문화 속으로 흡수되고 있으며, 일본어에서 유래된 신조어와 유행어도 무분별하게 사용되고 있다. 본고는 한중일 호칭 속에 숨겨진 의미와 문화 차이를 찾아보고, 일본 콘텐츠를 활용한 중국어 교육에서 발생할 수 있는 번역의 문제점을 지적하고 해결 방안을 모색해 보고자 한다.

      • KCI등재

        2022 개정 고등학교 중국어 교육과정 분석 및 교육방향 연구 ― ‘중국 문화’ 과목을 중심으로 ―

        김정미,이우철 영남중국어문학회 2023 중국어문학 Vol.- No.93

        There are a lot of tasks to develop textbooks or reference books and train teachers before two years when the 2022 Revised Curriculum (notified on December 22 2022) is subject to be applied to first-year students in high schools. In order to prepare them this study analyzed the contents of general and detailed remarks of the 2022 Revised Curriculum with the comparison between the 2015 and the 2022 Revised Curriculums and presented the directions of the ‘Chinese cultures’ subject. The 2022 Revised Curriculum of Chinese in high schools is related to full implementation of the 2025 Credit System in high schools. Under the credit system students are subject to choose necessary subjects for themselves to enhance self-direction learning. The selected subjects are classified into ‘general·career·integrated options’. The ‘integrated options’ are a supplementation of the 2015 Revised Curriculum and include ‘Chinese cultures’. The ‘Chinese cultures’ subject was categorized as ‘career options’ in the 2015 Revised Curriculum. It is inevitable to change the role and direction of appropriate subjects. The 2022 Revised Curriculum is set to deal with unpredictable changes in upcoming societies and circumstances. For the purpose, the ‘Chinese cultures’ subject should give an opportunity in which students strengthen the ability to use various media and cooperative communication and have their own careers. This study suggested a project through integrated education as a way to realize the goal for diverse careers of students. The ‘Chinese cultures’ could accept a variety of educational needs from students by connecting and integrating many studies. The ‘Chinese cultures’ could also be a subject to help students preparing university entrance exams by relating the activities to personal school records. The ‘Chinese cultures’ is expected to be a small milestone in its direction.

      • KCI등재

        중국어교육에서의 학습유형 분석과 그 교육방법 연구 初探

        장은영(Jang, Eun-Young) 한국중어중문학회 2016 中語中文學 Vol.0 No.64

        The teaching method which is suitable for the learning style of the learner has already obtained the confirmation of the academic circle. This paper is based on the existing research on the learning style, classified the learning style of Chinese learners, and suggested some teaching methods of Chinese language which is suitable for each learning style. This paper classified the Chinese learner’s learning style as three categories, such as sensory learning style, cognitive learning style and affective learning style. Then, proposed some teaching methods of Chinese language which is suitable for each learning style. It is very important through the analysis of learners, understand the learning style and improve the learning effect by finding the appropriate teaching method. At the same time, it is necessary to make the learners try to use various learning methods to improve their learning efficiency. The classification of the learner’s learning style in foreign language teaching, the purpose is not just for classification itself, but rather to understand the characteristics of the styles, and analyze the difference of the learning achievement and learning effect, and based on this to find the appropriate teaching methods, to improve the learning effect. In the practical Chinese course, teacher needs to choose a specific learning style and analyze its influence on the learning effect, it is easier and the results of the analysis are also significant. Hope to continue to study the Chinese teaching methods considering the Chinese language learner’s learning style.

      • KCI등재

        从学习偏误看汉语词汇教学的原则、策略和方法

        김인철,崔??(최현군) 원광대학교 인문학연구소 2015 열린정신 인문학연구 Vol.16 No.2

        본 논문은 중국어 어휘 학습에 있어서 한국 학생이 범하기 쉬운 오류의 분석을 토대로, 효과적인 중국어 어휘 교육을 할 수 있는 원칙, 전략 및 방법을 거시적, 미시적 및 중간적 층면으로 나누어 연구 분석하였다. 거시적 층면에서는 보편적으로 지켜야 할 원칙, 중간적 층면으로는 적합한 어휘를 선택 및 응용하는 전략, 미시적 층면에서는 신축성 있게 운용하는 방법에 대해 연구 분석을 진행하였으며, 중급 및 고급 수준의 중국어 어휘 교육의 질을 제고할 수 있는 결론을 도출해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