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주상골 골절 동반 여부에 따른 원위 요골 골절의 비교

        오진록,이동우,이준표 대한수부외과학회 2016 대한수부외과학회지 Vol.21 No.1

        Purpose: Distal radius fracture is one of the most common factures, but incidence of concomitant scaphoid fracture is rare. The rarity makes diagnosing the concomitant scaphoid fracture often delayed. Thus, in this study, the authors examined the frequency of concomitant scaphoid injury in distal radius fracture and the type of distal radius fracture that is more commonly associated with simultaneous scaphoid fracture. Methods: We examined a total of 212 patients who had received treatment for the fracture in our institution. They were divided into two groups, isolated distal radius fracture group and distal radius fracture group with simultaneous scaphoid fracture, and their age, gender, body mass index and distal radius fracture type in accordance with AO classification were compared between the two groups. Results: Concomitant scaphoid fractures were found in 12 (5%) patients, and among them 10 cases were associated with type C distal radius fracture. Statistical comparison between the group with isolated distal radius fracture and the group with both distal radius and scaphoid fractures was made, and only comparison of distal radius fracture types showed statistical significance. Conclusion: It is imperative to make timely and appropriate diagnosis of accompanying scaphoid fracture, since delay in making the diagnosis usually lead to many complications. We conclude that further diagnostic imaging such as computed tomography is necessary to make the correct diagnosis of concomitant scaphoid fracture, especially in type C distal radius fractures. 목적: 원위 요골 골절은 매우 흔한 골절 중 하나이지만 주상골 골절이 동반된 경우는 흔하지 않아 종종 그 진단이 늦어져 어려움에 직면하는 경우가 있다. 본 연구에서는 원위 요골골절에서 동반되는 주상골 골절의 발생빈도와 원위 요골골절의 양태와의 관련성 여부를 조사 및 평가하였다. 방법: 본원에서 원위 요골 골절로 치료를 받은 212명의 환자들을 단면조사연구를 통해 주상골 골절이 동반된 사례에 대해서 평가를 시행하였다. 주상골 골절이 동반된 군과 동반되지 않은 군으로 나누어, 나이, 성별, 체질량 지수, 원위 요골골절의 AO분류를 비교 분석하였다. 카이 제곱 검정(chi-square test)을 시행하였다. 결과: 주상골 골절이 동반된 수는 12명(5%)이었다. 12명의 주상골 골절 환자 중에서 10명에서 원위 요골골절의 AO분류 C type이 관찰되었으며, 이는 두 군 간의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결론: 원위 요골 골절과 동반된 주상골 골절은 치료가 적절히 시행되지 못하고 방치되는 경우가 많고, 그 결과 주상골골절에 따른 합병증이 발생할 수 있어, 조기 진단이 매우 중요하다. 따라서 주상골 동반 손상여부를 판단하기 위해 조기컴퓨터단층촬영이 필요하다.

      • KCI등재후보

        주상골 경유 월상골 주위 골절 탈구: 배측 접근법을 통한 주상골 나사못 고정 및 월상-삼각 골간 인대 봉합술

        이창호,오진록 대한수부외과학회 2011 대한수부외과학회지 Vol.16 No.3

        Purpose: To evaluate clinical and radiological results after screw fixation of the scaphoid and lunotriquetral ligament repair using a dorsal approach in the treatement of trans-scaphoid perilunate fracture dislocations. Materials and Methods: From May 2003 to August 2007, 11 patients who underwent operative management of a trans-scaphoid perilunate fracture dislocation were included in this study. Average follow up period was 58 months. In all patients, screw fixation of the scaphoid and lunotriquetral ligament repair with a suture anchor after open reduction was performed. Clinical evaluation was done by measuring range of motion and grip power and disabilities of arm, shoulder and hand (DASH) score evaluation for functional recovery at the last follow up. Union of scaphoid, change in lunotriquetral distance, and development of any instability and arthritis of wrist joint were radiographically assessed. Results: In clinical outcomes, 89.3% recovery of grip power and 87.5% recovery of range of motion compared to healthy side were observed at the last follow-up. Average range of motions of extension, flexion, ulnar deviation, radial deviation, supination and pronation were 51.8˚, 58.4˚, 21.2˚, 16.2˚, 74.3˚, 75.1˚respectively. Average DASH score was 13.2. Bony union of scaphoid was achieved in all cases at the average of postoperative 19.3 weeks. Lunotriquetral distance after the operation and at the last follow up were 1.9 mm and 2.0 mm, respectively. There were no radiographic evidence of instability or arthritis. Conclusion: Dorsal approach allows reduction of carpal bone, scaphoid fixation and lunotriquetral ligament repair in the treatment of trans-scaphoid perilunate fracture dislocations, providing satisfactory clinical and radiological results. 목적: 주상골 골절을 동반한 월상골 주위 탈구에서 배측 접근법을 통해 주상골의 나사못 내고정과 월상-삼각 골간 인대의 봉합을 시행하고 임상적, 방사선학적 결과를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2003년 5월부터 2007년 8월까지 주상골 경유 월상골 주위 탈구로 수술적 치료를 시행한 11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평균 추시 기간은 58±21.2개월이었다. 배측 접근법을 통해 주상골을 나사못으로 고정하고 월상골을 정복한 뒤 월상-삼각인대를 고정나사를 사용하여 봉합한 후 핀 고정술을 시행하였다. 임상적 결과는 최종추시에서 관절 운동 범위와 파악력을 건측과 비교하고, disabilities of arm, shoulder and hand (DASH) 점수를 통해 환자의 기능적 회복을 확인하였다. 방사선학적결과의 측정은 최종 추시에서 주상골의 유합 여부, 월상-삼각골 간격의 변화, 불안정성과 관절염의 발생 유무를 확인하여 판단하였다. 결과: 파악력은 건측에 비해 평균 89.3%의 회복을 보였으며, 관절 운동 범위는 건측에 비해 87.5%의 회복을 보였다. 평균 신전 범위는 51.8˚, 굴곡 범위는 58.4˚, 척측변위는 21.2˚, 요측 변위는 16.2˚, 회외전 범위는 74.3˚, 회내전 범위는 75.1˚이었다. 최종 추시에서 DASH 점수는 13.2점이었다. 주상골은 모든 예에서 평균 19.3주에 일차 골유합을 확인하였다. 평균 월상-삼각골 간격은 술후 1.9 mm였으며 최종 추시에서 2.0 mm로 측정되었다. 불안정성과 관절염이 발생한 예는 없었다. 결론: 주상골 경유 월상골 주위 골절 탈구에 대한 배측 접근법은 수근골의 정복과 주상골 고정, 월상- 삼각 골간 인대의 봉합을 원활하게 할 수 있으며 우수한 임상적, 방사선학적 결과를 얻을 수 있다.

      • KCI등재후보

        주상골 골절에 대한 관혈적 배측 접근법을 이용한무두 자가압박 나사 고정술

        강호정,원유건,권지원,고일현,최윤락 대한수부외과학회 2013 대한수부외과학회지 Vol.18 No.3

        Purpose: We present the clinical and radiological results of open reduction and internal fixation for scaphoid fracture with retrograde headless screw fixation via dorsal approach. Methods: This study carried out a survey targeting 15 patients who have a retrograde headless screw fixation on nonunion of scaphoid fracture without previous operation, 2 patients who have a retrograde headless screw fixation on nonunion of scaphoid fracture with previous operation and 8 patients who have a trans-scaphoid perilunate dislocation. We figured out a mechanism of injury, and clinical symptom, radiologic findings. The surgery was done with open dorsal approach which is retrograde headless screw fixation internally, with or without bone graft. We analyzed the result by Maudsley method, in terms of bone union, duration for union, radiologic finding, clinical outcomes. Results: After surgery, 22 of 25 patients had union result on fracture and other 3 patients had nonunion result. It took 12 weeks to achieve bone union on average. Based on radiograhs, we had one case of partial avascular necrosis of proximal fragment without clinical symptoms. We had one case of each scaphoid nonunion without previous operation, with operation and trans-scaphoid perilunate dislocation had arthritic change and non-symptomatic nonunion result. In terms of clinical outcome, 22 patients showed satisfactory results and 3 patients had slight limitation of range of motion. Conclusion: Retrograde headless screw fixation with or without bone graft for the treatment of scaphoid fracture is recommendable. 목적: 저자들은 주상골 골절 치료에 있어 무두 나사를 수배측 접근술로 주상골의 근위에서 원위 방향으로 역방향 내고정을 실시하였으며 결과를 알아보고자 한다. 방법: 주상골 골절 후 불유합 15예, 주상골 골절 내고정 후 발생한 불유합으로 재수술을 시행한 2예 및 주상골 경유 월상골 주위 탈구로 수술한 8예의 환자를 대상으로 손상 원인, 임상적 증상, 방사선학적 양상 등을 조사하였다. 수술은 수배측 도달법을 이용하여 근위부에서 원위부 방향으로 무두 나사로 내고정하였다. 수술 후 방사선학적 결과 및 임상적 결과를 Maudsley와 Chen기준으로 평가하였다. 결과: 급성 및 불유합 주상골 골절 25예 중 총 22예에서는 유합을 얻었다. 임상적 평가에서는 88%에서 우수 및 양호,12%에서 보통 및 불만족의 결과를 얻었다. 결론: 주상골 불유합과 주상 골절 및 월상골 주위 탈구 치료에 있어 수배측 도달술로 접근하여 주상골의 무두 나사로 내고정 시행하는 것은 추천할 만한 치료법으로 생각된다.

      • KCI등재

        아급성 주상골 요부 골절의 경피적 유관압박나사를 이용한 치료

        김재광,김종오,이승엽,도남훈 대한골절학회 2009 대한골절학회지 Vol.22 No.2

        목적: 아급성 주상골 골절의 치료에 있어서 경피적 유관 나사를 이용한 수술적 치료의 효용성을 밝히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2004년 1월부터 2007년 1월까지 아급성 주상골 골절 환자 중 수상 후 4주에서 6달 이내에 수술적 치료를 받은 중 총 8예를 대상으로 연구를 진행하였다. 참가자 모두 남성, 평균 나이는 29.2세였다 (19∼44세). 수술 시의 평균 수상기간은 10.3±4.1주였다. 수술은 모두 영상증폭 관찰 하 Acutrak 유관 나사 (Acumed, Hillsboro, OR)를 이용한 경피적 전방 도달법으로 시행되었다. 방사선학적 평가는 수술 전과 추시 검사 시 시행하였다. 기능적 평가로는 수술 후 12개월째 손목의 운동범위, 손의 악력, Modified Mayo Wrist Score (MMWS), DASH score를 시행하였다. 결과: 수술 전 시행한 방사선 영상에서 3명의 환자들에게는 경화성 선이 발견되었고 2명의 환자들에게는 골절주변부터 골 흡수가 나타났다. 그러나 후방 개재 분절 불안정성 (dorsal intercalated segment instability)이 있거나 측위부 주상골 내 각이 35도가 넘는 사람은 없었다. 경피적 유관 나사를 이용한 수술 후 11.5±2.1주에 골 유합의 소견을 얻을 수 있었으며 수술 후 8명의 환자의 12개월 추시 평가에서 손목의 운동 범위는 건측의 93%에 해당하였고, 손의 악력은 건측의 95%였다. Mayo modified wrist 점수는 93±6.6, DASH score는 4.8±1.2이었다. 결론: 아급성 주상골 골절에서 유관 나사를 이용한 경피적 수술은 주상골의 변형이나 수근 불안정성이 없는 경우 믿을 만한 치료방법으로 생각된다.

      • KCI등재

        주상골 골절 및 불유합의 치료

        최완선 대한골절학회 2022 대한골절학회지 Vol.35 No.4

        A scaphoid fracture is one of the most common types of wrist fractures, and if treatment is delayed, there is a high possibility of nonunion due to anatomical factors such as limited blood supply to the injured bone. Therefore, it is important to suspect a scaphoid fracture based on the mechanism of wrist injury and physical examination of the patient. A computed tomography scan or magnetic resonance imaging can also aid early diagnosis of the fracture. Stable acute fractures can be treated conservatively, but unstable fractures require surgical treatment, and percutaneous screw fixation is usually performed. Nonunions require bone grafts and are treated with non-vascularized bone grafts and screw fixation. However, if the nonunion is located at the proximal pole, a vascularized bone graft may be considered because there is a possibility of avascular necrosis. Pedicled vascularized and free vascularized medial femoral condyle bone grafts are mainly used in such cases. The treatment of a proximal pole nonunion with impaired blood flow remains controversial. There are conflicting opinions on whether a nonvascularized bone graft is sufficient or whether a vascularized bone graft is necessary. 주상골 골절은 흔한 손목 골절 중의 하나이며, 제한된 혈류 공급 등의 해부학적 특징으로 인해 치료가 늦어지면 불유합이 잘 발생한다. 따라서 손목 손상 환자의 손상 기전과 병력 청취, 이학적 검사를 통해서 주상골 골절을 의심할 수 있어야 하고, CT나 MRI를 통해 초기에 정확히 진단해야 한다. 안정성 급성 골절은 보존적 치료가 가능하지만 불안정성 급성 골절은 수술적 치료가 필요하며 주로 경피적 나사못 고정술을 시행한다. 불유합의 경우는 골이식이 필요하며 주로 비혈관화 골이식과 나사못 고정술로 치료한다. 그러나 불유합의 위치가 근위극에 있을 경우 무혈성 괴사의 가능성이 있으므로 혈관화 골이식이 고려되기도 한다. 혈관화 골이식으로는유경 혈관화 골이식과 대퇴골 내과 유리 골편 이식술 등이 주로 쓰인다. 혈류 장해가 동반된 근위극 불유합에 대한 치료는 아직 논쟁의 여지가 있는데 비혈관화 골이식으로 충분하다는 의견과 혈관화 골이식이 필요하다는 의견이 맞서고 있다.

      • KCI등재

        족부 X선 검사에서 주상골 관찰에 용이한 Tibia-Foot angle과 X-ray tube 각도에 대한 연구

        문주완(Joo Wan Moon),한재복(Jae Bok Han),최남길(Nam Gil Choi) 한국방사선학회 2018 한국방사선학회 논문지 Vol.12 No.1

        본 연구는 영상의학과에 내원한 족부환자를 대상으로 족부 X선 검사 시 주상골(navicular)의 관찰이 어려운 점을 바탕으로 환자의 position과 X선관 각도의 변화를 주어 어떠한 position과 X선관 각도에서 주상골의 관찰이 용이한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주상골 관찰을 위해 실험대상자의 position은 Foot AP, internal oblique, external Oblique position의 세 가지로 하였다. T-F angle(Tibia-Foot angle)은 90°와 135°로 정의하였고, X선관 각도는 0°, 5°, 10°, 15°, 20°, 25°로 정의하여 실험한 후 획득한 영상을 비교 평가하였다. 실험결과, Foot AP position에서 T-F angle이 90°인 경우 X선관 각도가 15°일 때 설상골과 주상골의 겹침 정도는 3%이었고 블라인드 테스트 결과는 4.89점으로 골절의 판독 용이성이 가장 높았으며, T-F angle이 135°경우에는 X선관 각도가 15°일 때 설상골과 주상골의 겹침 정도는 5%이었고 블라인드 테스트 결과는 4.30점으로 판독 용이성이 가장 높았다. Foot internal oblique position에서는 T-F angle이 90°인 경우 X선관 각도가 0°일 때 설상골과 주상골의 겹침 정도는 4%이었고 블라인드 테스트 결과는 4.70점으로 가장 높았으며, T-F angle이 135°경우에는 X선관 각도가 0°일 때 그 겹침 정도는 5%이었고 블라인드 테스트 결과는 4.55점으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Foot external oblique position에서 T-F angle이 90°인 경우 X선관 각도가 15°일 때 설상골과 주상골의 겹침 정도는 4%이었고 블라인드 테스트 결과는 4.85점으로 가장 높았으며, T-F angle이 135°경우에는 X선관 각도가 15°일 때 그 겹침 정도는 5%이었고 블라인드 테스트 결과는 4.75점으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를 통하여 X 선 족부검사에서 각 position에 해당하는 주상골 관찰에 용이한 T-F 각도와 X선관 각도를 확인할 수 있었으며, 향후 본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주상골 골절 판독에 유용한 참고자료가 될 수 있을 것으로 여겨진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suitable angle of Tibia-foot and the X-ray tube for scaphoid in foot X-ray examination. A total of twenty patients(mean age 32.12±years) are participated in this study. In the positions of Foot AP, internal and external oblique, tibia-foot angle was defined as 90° and 135°, and x-ray tube angle was defined as 0°, 5°, 10°, 15° and 20° respectively. The image quality was evaluated with blind test yielding scores ranging from 0 to 5 by the evaluation team consisted of 2 radiogical technologists, 2 radiologists, and 2 orthopedic surgeons. In case of Foot AP position, the degree of overlap between cuneiform and navicular was 3% and the blind test result was 4.89 at tibia-foot angle of 90° and 15° X-ray tube angle. When the tibia-foot angle is 135°, the degree of overlap was 5%, also the blind test result was 4.30 at 15° X-ray tube angle. The degree of overlap and blind test result were 30% and 3.75 respectively at 0° X-ray tube angle. In case of internal oblique position, at tibia-foot angle of 90° and 0° X-ray tube angle, the degree of overlap was 4% and the blind test result was 4.70. The 5% overlapping and highest score as 4.55 were obtained on tibia-foot angle of 135° and 0° X-ray tube angle. In case of external oblique position, at tibia-foot angle of 90° and 15° X-ray tube angle, the degree of overlap was 4% and the blind test score was 4.85. The 5% overlapping and highest score as 4.75 were obtained on tibia-foot angle of 135° and 15° X-ray tube angle. In conclusion, we confirmed suitable angle of tibia-foot and X-ray tube for scaph46oid in foot X-ray examination in this study. These findings will be helpful for us to reading for navicular fracture.

      • KCI등재

        Study of Suitable Angle of Tibia-Foot and X-ray Tube for Navicular in Foot X-ray Examination

        Joo-Wan Moon,Jae-Bok Han,Nam-Gil Choi 한국방사선학회 2018 한국방사선학회 논문지 Vol.12 No.1

        본 연구는 영상의학과에 내원한 족부환자를 대상으로 족부 X선 검사 시 주상골(navicular)의 관찰이 어려운 점을 바탕으로 환자의 position과 X선관 각도의 변화를 주어 어떠한 position과 X선관 각도에서 주상골의 관찰이 용이한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주상골 관찰을 위해 실험대상자의 position은 Foot AP, internal oblique, external Oblique position의 세 가지로 하였다. T-F angle(Tibia-Foot angle)은 90°와 135°로 정의하였고, X선관 각도는 0°, 5°, 10°, 15°, 20°, 25°로 정의하여 실험한 후 획득한 영상을 비교 평가하였다. 실험결과, Foot AP position에서 T-F angle이 90°인 경우 X선관 각도가 15°일 때 설상골과 주상골의 겹침 정도는 3%이었고 블라인드 테스트 결과는 4.89점으로 골절의 판독 용이성이 가장 높았으며, T-F angle이 135°경우에는 X선관 각도가 15°일 때 설상골과 주상골의 겹침 정도는 5%이었고 블라인드 테스트 결과는 4.30점으로 판독 용이성이 가장 높았다. Foot internal oblique position에서는 T-F angle이 90°인 경우 X선관 각도가 0°일 때 설상골과 주상골의 겹침 정도는 4%이었고 블라인드 테스트 결과는 4.70점으로 가장 높았으며, T-F angle이 135°경우에는 X선관 각도가 0°일 때 그 겹침 정도는 5%이었고 블라인드 테스트 결과는 4.55점으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Foot external oblique position에서 T-F angle이 90°인 경우 X선관 각도가 15°일 때 설상골과 주상골의 겹침 정도는 4%이었고 블라인드 테스트 결과는 4.85점으로 가장 높았으며, T-F angle이 135°경우에는 X선관 각도가 15°일 때 그 겹침 정도는 5%이었고 블라인드 테스트 결과는 4.75점으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를 통하여 X 선 족부검사에서 각 position에 해당하는 주상골 관찰에 용이한 T-F 각도와 X선관 각도를 확인할 수 있었으며, 향후 본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주상골 골절 판독에 유용한 참고자료가 될 수 있을 것으로 여겨진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suitable angle of Tibia-foot and the X-ray tube for scaphoid in foot X-ray examination. A total of twenty patients(mean age 32.12±years) are participated in this study. In the positions of Foot AP, internal and external oblique, tibia-foot angle was defined as 90° and 135°, and x-ray tube angle was defined as 0°, 5°, 10°, 15° and 20° respectively. The image quality was evaluated with blind test yielding scores ranging from 0 to 5 by the evaluation team consisted of 2 radiogical technologists, 2 radiologists, and 2 orthopedic surgeons. In case of Foot AP position, the degree of overlap between cuneiform and navicular was 3% and the blind test result was 4.89 at tibia-foot angle of 90° and 15° X-ray tube angle. When the tibia-foot angle is 135°, the degree of overlap was 5%, also the blind test result was 4.30 at 15° X-ray tube angle. The degree of overlap and blind test result were 30% and 3.75 respectively at 0° X-ray tube angle. In case of internal oblique position, at tibia-foot angle of 90° and 0° X-ray tube angle, the degree of overlap was 4% and the blind test result was 4.70. The 5% overlapping and highest score as 4.55 were obtained on tibia-foot angle of 135° and 0° X-ray tube angle. In case of external oblique position, at tibia-foot angle of 90° and 15° X-ray tube angle, the degree of overlap was 4% and the blind test score was 4.85. The 5% overlapping and highest score as 4.75 were obtained on tibia-foot angle of 135° and 15° X-ray tube angle. In conclusion, we confirmed suitable angle of tibia-foot and X-ray tube for scaphoid in foot X-ray examination in this study. These findings will be helpful for us to reading for navicular fracture.

      • KCI등재후보

        주상골 골절과 불유합: 최근 치료 동향

        박종웅 대한수부외과학회 2011 대한수부외과학회지 Vol.16 No.2

        주상골 골절은 흔한 수근골 골절로 진단을 정확히 하고 적절히 치료하면 대부분 쉽게골유합을 얻을 수 있다. 비전위성 골절은 보존적 치료로도 유합을 얻을 수 있으나 젊고 활동적인 환자는 보존적 치료보다 경피적 나사못 고정을 통한 견고한 고정으로 조기에 유합을 얻고 정상적인 생활에 복귀시키는 것이 좋을 것이다. 주상골 골절의 불유합은 대부분 고식적인 골이식과 견고한 나사못 고정술로 유합을 얻을 수 있다. 고식적 골이식이 실패한 경우나 근위부 골편의 무혈성 괴사가 동반되어 유합이 어려울때는 유경 혈관화 골이식이 유용하다. 불유합부에 과도한 곱사등 변형이나 단축 변형등이 근위부 골편의 무혈성 괴사와 동반되어 있는 경우는 대퇴골 내과를 공여부로 하는 유리 혈관화 골이식이 마지막 대안이 될 수 있다. Scaphoid fracture is a common carpal bone fracture. Through the accurate diagnosis and proper treatment, the union can be easily achieved without significant complication. Although the non-operative treatment is successful to get union in the limited cases of undisplaced or occult fracture, the percutaneous screw fixation is better treatment option for the young and active patient. Rigid percutaneous screw fixation heals the fracture faster and the patient can return to their usual life earlier. In the nonunion cases of scaphoid fracture, open reduction and internal fixation and conventional bone graft generally heals the nonunion. In the case of failed bone graft or avascular necrosis of the proximal fragment, a pedicled vascularized bone graft is a good strategy for the union. If severe humpback deformity or shortening is combined with the avascular necrosis of proximal fragment, a free vascularized medial femoral condyle bone graft is indicated as a last treatment option for successful union.

      • KCI등재

        골이식 없이 국소마취하에 경피적 나사못 고정으로 치료한 주상골 요부 골절 불유합의 결과

        차정권,박지강,최승명,양재영 대한수부외과학회 2017 대한수부외과학회지 Vol.22 No.2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results of patients with scaphoid waist nonunion treated with percutaneous screw fixation without bone grafting under local anesthesia. Methods: We enrolled scaphoid waist nonunion of 15 patients which had no deformity, displacement, evidence of avascular necrosis and bone cyst under 5 mm on its radiological study. All patients were male with an average age of 28.9±6.2 years (range, 17–38 years). The mean time to surgery from initial injury was 10.8±2.2 months (range, 6–14 months). All patients were treated with percutaneous screw fixation without bone grafting via volar approaching under local anesthesia and postoperative radiographs were reviewed and documented the flexion and extension arcs of the injured wrist and uninjured wrist, disability of the arm, shoulder and hand (DASH) score at final follow-up. Results: All 15 patients showed radiological union at an average 5.5±1.0 months. At 12 months follow-up, the flexion and extension arcs of the injured wrist were 95% and 98.5% of the uninjured wrist. The average DASH score at final follow-up was 7±3.9 (range, 0–15). None of these patients showed any complications associated with surgery. Conclusion: Percutaneous screw fixation without bone grafting under local anesthesia was reliable primary treatment method for scaphoid waist nonunion without displacement or deformation in the fracture site. 목적: 주상골 요부 골절 후 발생한 불유합에 대하여 국소마취하에 골이식 없이 시행한 경피적 나사못 내고정술의 결과를 평가하였다. 방법: 주상골 요부 골절 불유합 환자 중 골절부에 전위나 변형이 없고 5 mm 이하의 골낭종, 무혈성 괴사와 관절증의 증거가 없는 15예의 환자를 대상으로 하였다. 모두 남성이었고 평균 나이는 28.9±6.2세(범위, 17-38세), 수상 후 수술까지 기간은 평균 10.8±2.2개월(범위, 6-14개월)이었다. 국소마취하에 수장측으로 접근하여 골이식 없이 경피적 나사못고정술을 시행하였고 골유합 및 변형 여부를 방사선학적으로 평가하였다. 최종 추시에서 DASH score와 건측 대비 환측의 수근관절 운동 범위를 측정하였다. 결과: 모든 환자에서 술 후 평균 5.5±1.0개월에 방사선학적 골유합을 얻었다. 최종 추시 12개월에 건측 대비 환측의 수근관절 굴곡과 신전은 각각 95%와 98.5%로 회복되었고 평균 DASH score는 7±3.9점(범위, 0-15점)이었다. 모든 환자에서 수술과 관련된 합병증은 없었다. 결론: 골이식 없이 국소마취하에 시행하는 경피적 나사못 고정 방법은 골절부에 전위나 변형이 없는 주상골 요부 불유합의 치료에 일차적으로 시도해볼 수 있는 적절한 치료방법이라 생각한다.

      • KCI등재

        주관절 후내측 탈구를 동반한 동측 원위 요골 및 주상골 골절 -증례 보고-

        김진완 ( Jin Wan Kim ),고영철 ( Young Chul Ko ),정철용 ( Chul Young Jung ),은일수 ( Il Soo Eun ),김영준 ( Young Jun Kim ),김창규 ( Chang Kyu Kim ) 대한골절학회 2012 대한골절학회지 Vol.25 No.2

        낙상이나 교통사고와 같은 고에너지에 의한 상지의 수상은 수근관절과 주관절의 손상을 동시에 일으킬 수 있다. 이러한 손상으로는 몬테지아 (Monteggia) 골절, 갈레아찌 (Galeazzi) 골절, 에섹스-로프레스티 (Essex-Lopresti) 골절 탈구 등이 알려져 있다. 하지만 주상골 골절과 동반된 원위 요골 골절에서 발생한 주관절 탈구는 보고된 증례가 없으며 그 예후에 대해서도 알려진 바가 없다. 이에 저자들은 42세 남자 환자에서 발생한 주상골 골절과 원위 요골 골절의 동반손상에서 동측 주관절의 후내측 탈구가 발생한 사례에 대한치료 및 결과를 문헌고찰과 함께 보고하고자 한다. Arm injuries occurring from high energy injuries such as falls or traffic accidents can be accompanied by wrist and elbow injuries. Monteggia fracture, Galeazzi fracture, and Essex-Lopresti fracture-dislocation are known some examples of such injuries. However, there are no reports on the dislocation of the elbow occurring from a distal radius fracture accompanied by scaphoid fracture, and there is nothing published about its prognosis. The authors report on the treatment and outcomes of a case of a 42-year-old male who had a distal radius and scaphoid fracture associated with posteromedial dislocation of the elbow on the same side of his arm along with a literature review.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