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종교문화콘텐츠의 진단과 대중화

        김진형 종교문화비평학회 2018 종교문화비평 Vol.34 No.34

        이 논의는 종교문화콘텐츠의 현재를 진단하고, 그 결과를 토대로 한 대중화 전략을구상하는 것이 핵심이다. 구체적으로는 종교문화콘텐츠 연구사례에 나타난 종교문화콘텐츠의 보편적 의미와 한계를 파악한 뒤, 그 결과를 바탕으로 종교문화콘텐츠의 새로운인식과 개념, 접근의 관점과 방향을 도출하고, 나아가 대중화 전략을 구상하는 데까지이르고자 하는 작업이다. 먼저, 종교문화콘텐츠의 보편적 의미를 학술적·활용적 측면에서 파악했다. 우선학술적 측면에서는 제 연구분야들이 ‘관심주제’를 유사하게 설정하고 있었다. 관심주제는 1) 응용학문적 접근방안 모색, 2) 문화원형 활용, 3) 관광 연계였다. 여기서 알 수 있는점은, 종교문화콘텐츠가 응용학문적 대상이라는 것, 종교문화의 원형이 가공되었을 때비로소 종교문화콘텐츠가 된다는 것, 종교문화콘텐츠의 가장 익숙한 실현방법을 관광콘텐츠화로 본다는 것이었다. 활용적 측면에서 종교문화콘텐츠는 ‘창출의 지점’들을 유사하게 설정하고 있었다. 구체적인 창출지점은 1)의례, 2) 포교, 3) 공공재, 4) 대중화였다. 여기서 알 수 있는 점은, 종교문화콘텐츠는 신앙인과 일반대중 모두를 위한 것, 종교문화콘텐츠는 종교단체주도의 결과물과 콘텐츠산업계 주도의 결과물로 구분된다는 것, 종교문화의 저변 확대와 대중화를 위한 코어종교문화콘텐츠 육성에 관심을 가지지 않았다는 것이었다. 그리고, 통시적 인식을 통해 종교문화콘텐츠의 개념을 정의했다. 종교문화콘텐츠를 ‘문화가 매체에 담긴 결과물’이라는 광의적 개념을 적용하면, 통시적 인식을 가능하게 하여 종교문화콘텐츠의 인식영역을 확장시킬 수 있다. 여기에 입각해 종교문화콘텐츠 개념을 ‘인간사회에서 문화적 또는 경제적 가치를 창출하기 위해 종교문화에 관한 서사·문학·예술적 텍스트를 매체에 담아낸 결과물’로 정의했다. 다음으로, 역사적 측면에서 종교문화콘텐츠의 유형적 확대과정을 파악했다. 먼저선사시대는 종교축제콘텐츠가 성립된 시기, 상고시대는 종교축제콘텐츠 기반 위에 종교공연콘텐츠와 종교교육콘텐츠가 성립된 시기로 설정될 수 있다. 상고시대에 구축된 종교문화콘텐츠 전승형태는 삼국시대부터 조선시대까지 이어졌다. 근대에 와서는 이러한전승형태에 종교전시콘텐츠가 더해졌다. 현대에 이르러서는 기존의 ‘신앙 목적의 종교문화콘텐츠’가 유지되는 가운데 ‘산업 목적의 종교문화콘텐츠’의 다양한 유형들이 새롭게 형성되어 대중을 위한 상품으로 판매되기도 한다. 그 가운데 종교적 역사성과 맥락을가진 유형인 종교축제, 종교공연, 종교교육, 종교전시는 ‘종교란 무엇인가’를 오랜 옛날부터 지금까지 체계적·역동적으로 설명하고 있는 메타종교문화콘텐츠 유형이라 할 수있다. 마지막으로, 종교문화콘텐츠의 대중적 저변 확대를 위한 ‘세계종교문화축제 발전 3 대 전략’을 수립했다. ‘제1전략’으로 종교성과 대중성을 동시에 지향하는 비전 선포, ‘제2 전략’으로 개방형 방식의 축제조직 확대 재편, ‘제3전략’으로 MSMU화를 통한 메타종교문화콘텐츠 실현이 그것이다. 이 3대 전략이 성공적으로 적용된다면, 세계종교문화축제가 한국 종교문화콘텐츠 대중화에 획기적으로 기여하는 명실상부한 코어종교문화콘텐츠로서 위상을 구축할 수 있을 것으로 전망한다. The cor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iagnose “the cultural contents” of the religions in Korea today and to devise a strategy for its popularization. Specifically, it set out to examine the meanings and the bounds of the cultural contents in religions. I use the case studies and with them I try to define “the cultural contents” in religion in terms of how to understand the cultural content and its concepts, and methods of approach and finally design of its popularization strategies. First, I examined and captured the universal meanings of the religious cultural contents in the academic and the practical use. In the academic aspect, the similar topics of approaches are set, which are included 1) the applied science-based approaches, 2) the referring to archetypes of culture, and 3) connected to tourism with the religious cultural contents. The religious cultural contents here are intertwined with the applied science, the archetypes of religious culture and the tourist content. In the practical utilization, this cultural contents start with the similar points of creation, which are specifically 1) ceremonies, 2) propagation, 3) public goods, and 4) popularization. Here, this contents are both for the believers and the general public, and its contents are divided into the products led by religious groups and those led by the industrials, and accordingly there is no interest in the promotion of the core religious cultural contents, which are to expand the religious culture ground and popularize it. I defined the concept of this cultural contents from the perspective of the diachronic awareness. If this contents are contained in media, it can enable the diachronic awareness in the cultural contents and thus expand its conscious domain. Based on this, I defined the religious cultural contents as the products of narrative, literary, and artistic texts, being put in the media to create the culture and the economic values. In the historical aspect, during the prehistoric time the religious festival content was established, and the ancient times can be set as a period when religious performance and education content was set up along with the religious festival. In Korea, from ancient period to Joseon dynasty, the religious cultural contents continued to transmit. At the modern times, the religious exhibition are added to these transmission content. Today, the old religious cultural contents are still retained with the faith and the industrial goals have been newly created and sold as the products for the public. Of them, the religious festival, performance, education and exhibition represent meta-religious cultural contents, providing the systematic and the dynamic interpretations about "what is religion". Finally, I set three major strategies for the development of global religious culture festivals to expand the popular base of religious cultural contents. Strategy 1 is to proclaim a vision oriented toward religiosity and popularity all together. Strategy 2 is to expand and reorganize the festival in an open form. Strategy 3 is to realize meta-religious cultural contents through MSMU. If these three major strategies are applied successfully, the global religious culture festivals will establish their status as the core religious cultural contents, making a groundbreaking contribution to the popularization of Korean religious cultural contents.

      • KCI등재

        이사야 40-66장에 나타난 종과 종들

        이희성(Hee Sung Lee) 한국신학정보연구원 2009 Canon&Culture Vol.7 No.1

        구약 주해에서 가장 논쟁이 되는 이슈 가운데 하나는 이사야서에 나타난 수수께끼 같은 종의 문제를 해결하는 것이다. 학자들의 지배적인 관심의 초점은 종의 정체성에 관한 것이었다. 그러나 종의 정체성에 대한 탐구는 난관에 봉착했다. 따라서 본 소고는 종의 문제를 이사야 40-66장의 넓은 담화 단위 안에서 종의 주제의 변이의 관점으로 연구하려고 한다. 종의 정체성과 하나님의 대행자인 그의 기능을 논의한다. 하나님의 지명된 대행자로서 종의 정체성은 실제적인 이스라엘, 이상적인 이스라엘, 고레스, 개인적인 선지자적 인물, 고난의 인물과 같은 주제의 발전을 보이며 발전한다. 그와 동시에 이사야 40-52장 전반에 걸쳐 종의 주제는 그의 사명과 인격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이사야 52:13-53:12에서 고난의 종의 사명은 백성들을 위한 대리적 고난으로 특징지어지며 그 사명의 결과는 백성들의 죄악을 담당하고 그들을 의롭게 하므로 그들에게 구원을 주는 것이다. 고난의 종의 사명의 혜택을 입은 자들은 본문에서 복수 용어로 설명된다. “우리”와 “많은 사람.” 이 두 용어는 죄를 고백하는 이스라엘, 종에게 반응하는 열방들, 이스라엘의 자녀들을 포함한다. 고난의 종의 사역을 통하여 의롭게 된 자들은 주님의 종들의 일원이 된다(54:17). 이사야 56-66장은 종들의 인격과 자질을 강조하면서 종들의 주제를 더욱 발전시킨다. 국가나 민족의 장벽에 상관없이 하나님께 의와 공의로 신실하게 반응하는 자들은 종들이다(56:1-8; 57:3; 58:1-14). 종들은 공동체의 죄악을 바라보며 탄식하는 자들이다(63:7-64:11). 또한 종들은 야곱의 자손이며 땅과 거룩한 산의 상속자들이며 하나님의 택함을 입은 자들이며 하나님을 간절히 찾는 자들이다(65:9-16). One of the most provocative issues in Old Testament exegesis has been to solve the problem of the enigmatic servant figure in the book of Isaiah. The dominant scholarly concern has been focused on the identity of the servant. However, the quest for the identity of the servant results in an impasse. Thus, this study explores the servant theme from the perspective of the variations on the theme of the servant within the larger discourse unit(Isaiah 40-66). The servant theme is discussed not only in terms of the identify of the servant, but also his function as God’s agent. While there is thematic progression in the identity of the servant as God’s appointed agent, by way of empirical Israel, ideal Israel, Cyrus, an individual prophetic figure, and a suffering figure, the servant theme throughout chapters 40-52 persistently focuses on the task, character. In Isaiah 52:13-53:12, the task of the suffering servant is characterized by the vicarious suffering of the people and his task results in the salvation of the people by his bearing their sins and making them righteous. The beneficiaries of the task of the suffering servant can be explained by the plural terms in the text: “we” and “many.” These two terms embrace the confessional Israel, the responsive nations, and the children of Israel. Those who are justified by the suffering servant is incorporated as the servants of the Lord(54:17). Isaiah 56-66 further develops the servants theme by emphasizing the character and qualification of them. Regardless of nationality and ethnicity those who faithfully respond to God with righteousness and justice are the servants(56:1-8; 57:3; 58:13-14). The servants are offspring of Jacob, heirs of the land and holy mountain, God’s chosen people, those who seek God(65:9-16).

      • KCI등재

        「종생기」에서 `종생(終生)`과 글쓰기의 관계

        김혜영 ( Kim Hye-young ) 현대문학이론학회 2017 現代文學理論硏究 Vol.0 No.69

        이 연구는 이상의 「종생기」에서 `나`의 종생의 의미를 글쓰기와의 관계에서 밝히려는 데 그 목적을 둔다. 이상이 「종생기」에서 구사한 다양한 창작 방법은 이상이 생각하는 글쓰기의 태도, 즉 독자를 속이고 오랜 기간 동안 작가의 의도가 읽히지 않는 작품을 만들겠다는 자세와 연관된다고 보고 「종생기」에서 글쓰기에 대한 이상의 태도를 규명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나`의 종생 과정을 분석한 결과, `나`의 종생은 자신을 구성하는 여러 성향을 없애고 시체와 같은 무기체가 되기 위한 의도적인 과정임을 알 수 있었다. 그런 점에서 `종생기` 쓰기는 자아의 종생에 대한 애도의 글로, 「종생기」의 창작 방법은 종생 및 `종생기` 쓰기의 의미를 은폐하는 데 작용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특히 「종생기」에서는 작품 속에 제시된 `종생기`들 가운데 `나`가 애착을 둔 `종생기`인 산호편(珊瑚篇)을 숨기는 창작 방법을 구사하고 있었다. 산호편(珊瑚篇)은 붓이라는 산호 채찍을 가진 `나`와 다홍 댕기라는 산호 채찍을 가진 정희의 대결에서 `나`의 종생을 다룬 `종생기`이다. 이와 함께 `산호 잃어버리기`와 `산호 채찍 쥐고 있기`는 실수로 인해 맞게 되는 자아의 종생과 창작 방법의 관계, 삶과 글쓰기의 관계로 변주되며, 예술이 삶에서의 실수를 극복하는 대안이 될 수 있음을 보여준다. This study, from Lee Sang`s 「Jongsaenggi」, aims at disclosing the meaning of `I`s death from the relation with writing. This study intended to investigate Lee Sang`s attitude to writing in 「Jongsaenggi」 under the assumption that the various composition methods applied in 「Jongsaenggi」 which was written by Lee Sang is related with the will to create the work in which for a long time writer`s intention is not exposed by deceiving readers. As a result of analyzing `I``s death course, `I`,s death was an intentional course for the purpose of erasing many tendencies composing himself and of being a mineral like a dead body. In the point, this author assured that the writing style of `record of death` was shown from the work of condolence concerning Jongsaeng] over the self and that the creation method of 「Jongsaenggi」 acted in concealing death and the meaning of writing 「Jongsaenggi」. In 「Jongsaenggi」, of many pieces of `record of death` suggested in the works, the author applied the creation method of concealing Sanhopyeon that `I` was possessive toward. Sanhopyeon is `Jongsaenggi` that deals with `I``s death in the fight between `I` who hold a Sanho whip called a Brush and Jeonghi who holds a Snho whip called Dahongdaenggi. In addition, `Loosing Sanho` and `Holding Sanho Whip` are played in variation into the relation between the death of the self and the method of creation and the relation between life and writing and show that art can be a countermeasure to overcome a mistake in life.

      • KCI등재

        신라 성덕왕대의 정치 질서와 ‘종실 · 척리(宗室·戚里)’

        윤태양(Yun, Tae Yang) 한국동양정치사상사학회 2021 한국동양정치사상사연구 Vol.20 No.2

        이 글에서는 『三國史記』 「列傳」 金庾信 下 附錄 允中에 보이는 “宗室 ․ 戚里”를 중심으로, 新羅 聖德王 대(702~737)의 정치 질서를 이해하고자 하였다. “宗室 ․ 戚里”가 보이는 해당 사료의 시간적 배경은 712년 8월 무렵으로 여겨진다. 이들은 愷元 ․ 金元泰 등의 인사를 구심점으로 형성되었던 세력으로, 중시 등 관료들의 인사를 통제하려 하였고 불교에 친화적인 경향을 보였다. 이들의 성격은 마찬가지로 “宗室 ․ 戚里”로 불릴 수 있는, 이후 宿衛 외교에서 보이는 ‘왕족’ 인사 ․ 金順元 등까지 계승되었다고 보았다. 이들과 대립한 비“宗室 ․ 戚里”계 인사들은 允中(允忠)으로 대표되며 유교적 관료제를 추구하면서 “親親”의 논리에 맞서 “善善”의 논리로 비호되었다. 이들은 712년 무렵부터 “宗室 ․ 戚里”계 인사와 대립하며 집단화되어 720년대 중반 이후에는 정권의 주류를 차지하였으며, ‘왕족’을 宿衛 외교에 동원해 국내 정치와 격리시키고 외척을 통제할 적지 않은 권한을 갖고 있었다고 여겨진다. 그렇지만 이들의 권력이 일정 이상 강해지자, 후계자인 金承慶(孝成王)은 신충과 김순원 등 “宗室 ․ 戚里”계 인사와 접촉하며 이들을 해체시킨 것으로 보았다. 이와 같이 볼 때, 성덕왕 대 정국 속에서 “宗室 ․ 戚里”의 성격을 재고해 보게 된다. 곧 그들은 그 성격상 오히려 국왕에 의존적이었으며, “宗室 ․ 戚里”라는 집단이 등장한 것 또한 방어적인 의미에서였다고 여겨진다. 그러나 효성왕 대에는 “宗室 ․ 戚里”와 비 “宗室 ․ 戚里”계 인사의 대결 구도 자체가 해체되었으며, “宗室 ․ 戚里”는 성덕왕 대의 정치 상황을 나타내는 단어로서 한정된다고 여겨진다. In this paper, I tried to figure out the political order in the King Seongdeok (聖德王)’s era, looking through the record of “Royal Family and Relatives by Marriage(宗室 ․ 戚里)” in the biography of Yunjung(允中) in Samguksagi(三國史記). That record might describe the situation around August 712. The word, I think, means the political faction represented by Gaewon(愷元) ․ Kim Wontae(金元泰). They endeavored to control the appointments of bureaucrats like Jungsi(中侍) and were familiar with Buddhism. The faction might contain people extensively who had similar political direction and could include ‘Royal(王族)’ Guards(宿衛) and Kim Sunwon(金順元). Non-“Royal Family and Relatives by Marriage” faction, including Yunjung, pursued Confucian bureaucracy system and received protection by the slogan of “Be Virtuous to the Virtuous People(善善)”, against the that of “Be Familiar to the Familiar People(親親).” They had become an influential faction around 712 and became a powerful one around the mid-720s. However, the situation had been disadvantageous to the royal successor Kim Seungkyeong(金承慶), who became King Hyoseong(孝成王) later. So, he contacted figures of “Royal Family and Relatives by Marriage”, like Sinchung(信忠) and Kim Sunwon, and made the Non-“Royal Family and Relatives by Marriage” faction dissolved. “Royal Family and Relatives by Marriage” is thought to have been dependent on the king and have emerged to defend itself. The faction was seemingly re-established by King Hyoseong, but because of the dissolution of the political structure itself in the King Seongdeok’s era, “Royal Family and Relatives by Marriage” could not last more as a political faction.

      • KCI등재

        連詞"從而"的語義分析

        김춘희 ( Chun Ji Jin ) 한국중국언어학회 2011 중국언어연구 Vol.0 No.34

        현대 중국어 "從而"는 비교적 사용빈도가 높은 접속사입니다. 지금까지 "從而"를 인과 관계를 나타내고 앞 문장에서는 원인이나 방법을 제시하고, 뒷 문장에서는 결과나목적을 나타낸다는 해석에만 그치고 있다. 본 논문은 "從而"가 결과를 나타내는데 있어서 "所以"와 다르다는 것을 "從而"와 "所以"비교를 통해 분석하였다. "從而"는 인과 관계에서 간단히 결과만 나타낼 뿐만 아니라 그 앞 문장이 설명한 방식이나 조건, 상황 등을 이어받아, "從而" 뒤에 있는 문장에 나타낸 결과나 목적을 이루게 된 주동자를 나타낸다.즉 현대 중국어 접속사 "從而"는 다음과 같이 네 개 요소를 포함하고 있다. ①"從而"는 "…게 되다."란 의미를 나타낸다. 예를 들면 "工業廢渣中的有些有機物質, 能在一定溫度下通過生物分解産生惡臭, 從而汚染大氣(산업 폐기물 중에 어떤 유기물들은 일정한 온도에서 생물학적으로 분해해서 악취를 만들어 낸다. 이럼으로써 대기를 오염시킨다.)" 이 예문에서 "대기오염"을 만들게 한 자는 "從而" 앞 문장에 설명한 상황이다. ②"從而"의 뒤 문장은 주어가 붙어 있지 않다. ③"從而" 뒤 문장은 "從而"의 앞 문장의 뜻으로 화제로 이어간다. ④"從而"는 원인을 설명하려고 한 문장이 아니고 어떻게, 또는 무엇으로 결과와 목적이 이루어는 지를 설명 하려고 한 문장이다.

      • KCI등재

        종합금융투자사업자 제도의 입법영향에 대한 연구

        조대형(Dae hyoung Cho) 은행법학회 2018 은행법연구 Vol.11 No.1

        2013년 5월 개정된 「자본시장과 금융투자업에 관한 법률」 개정으로 도입된 종합금융투자사업자 제도는 해외 유수의 골드만삭스, 메릴린치 등과 같은 투자은행을 활성화하기 위하여 대형 증권회사를 종합금융투자사업자로 지정하여 신규 업무를 허용하는 것을 주요 내용으로 하고 있다. 종합금융투자사업자 제도 도입 후 현재까지 국내 증권산업은 여전히 중개업 영역에서 크게 벗어나지 못하고 있고, 투자은행으로서의 기능과 경쟁력은 부족하다는 것이 일반적인 평가라고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논문은 지난 4년여 기간 동안의 종합금융투자사업자 제도의 입법영향을 분석하고 있는데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우선 법체계적 분석 결과 종합금융투자사업자의 지정 제도가 인허가 등과 같은 영업규제의 성격을 가지고 있고, 법 이론적으로도 지정 제도가 명확히 정립되어있지 않다는 점 등을 감안하면 금융투자업과 동일하게 인가 제도로 규율하는 것이 보다 적절한 것으로 판단된다. 또한 종합금융투자사업자의 자기자본 요건을 법률에서 최소 금액만을 설정하고 대통령령에서 3조원 이상의 금액으로 정하도록 규정하고 있는데, 2017년 5월 개정된 시행령은 종합금융투자사업자가 영위하는 업무에 따라 자기자본 규모를 세분화하여 구분하고 있다. 따라서 위임범위 일탈에 대한 문제가 제기될 수 있다는 점에서 위임범위의 구체성과 명확성 제고를 위해 자기자본 금액 설정의 중요한 기준을 법률에서 규정하는 것이 바람직한 것으로 보인다. 경제·산업 영향분석 결과 종합금융투자사업자의 전체 자기자본은 2017년 6월 말 27.7조원으로 2013년 12월 말 대비 11.0조원이 증가하는 등 대형화가 진전된 것으로 평가할 수 있다. 하지만 전담중개업무와 기업신용공여 등 투자은행 업무는 다소 미진한 것으로 볼 수 있으며, 증권회사의 자산, 부채, 자기자본, 당기순이익 등 영업 및 수익구조가 대형화된 종합금융투자사업자 중심으로 빠르게 재편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증권산업의 고용에 미치는 영향을 보면, 종합금융투자사업자 제도의 도입이 해당 종합금융투자사업자의 고용 증가에 영향을 미쳤다고 보기 어렵다고 판단된다. 규제영향분석은 종합금융투자사업자 제도의 비용․편익을 분석하기 위해서는 보다 정교한 방법론이 필요하겠지만, 종합금융투자사업자 제도 도입의 필요성과 비용․편익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해보면 규제 신설이 부적절하다고 판단할 수 있는 근거는 미약하다고 보인다. 이러한 입법영향분석 결과를 보면 종합금융투자사업자 제도 도입으로 증권회사의 자기자본 규모가 증가하는 등 긍정적인 효과가 나타나고 있지만, 증권회사의 영업 및 수익구조가 대형사 중심의 종합금융투자사업자로 재편되는 과정에서 중소형 증권회사의 경쟁력과 영업기반이 상대적으로 약화되는 등 부정적인 영향도 발생하고 있다고 생각된다. 이에 따라 금융시장의 안정성 제고를 위한 종합금융투자사업자의 건전성 감독을 강화하고, 신규 업무영위와 관련하여 금융상품 판매 체계 점검, 공시 강화 등 금융소비자 보호를 강화할 필요가 있다. 또한 투자은행 업무 활성화를 위한 규제 완화 노력과 함께 종합금융투자사업자와 중소형 증권회사 간의 양극화 완화를 위한 증권회사의 전문화·특화 등 경쟁력 제고를 위한 정책대응도 필요한 시점이라고 할 수 있다. The comprehensive financial investment business entities system, which is introduced with the amendment of Financial Investment Services and Capital Markets Act on May 2013, has its major contents to allow the new business for large security firms in order to activate outstanding overseas investment banks such as Goldman Sachs, Merril Lynch, etc. Up to now, 4 years after the introduction of comprehensive financial investment business entities system, it is the general assessment that domestic security industry has not been far from the field of brokerage with insufficient features and competitiveness as an investment bank. Accordingly, this thesis has analyzed the legislative impacts of comprehensive financial investment business entities system for the period of past 4 years. First of all, when you consider that the designation system of comprehensive financial investment business entities has similar characteristics of business regulation such as licenses and permits, etc., it would be considered to be appropriate to regulate it as the approval system equally as a financial investment business. Furthermore, it may assess as the enlargement has been improved such as the increase of equity of comprehensive financial investment business entities, etc., but it may suggest that the activation of business of investment bank such as exclusive brokerage business and corporate credit offering, etc. has not been sufficient. Especially, the business and profit structure of security firm such as assets, liabilities, equity, net profit, etc., has been appeared to be promptly re-organized with the enlarged comprehensive financial investment business entities as the center. Upon the result of legislative impact analysis, there are positive effects with the introduction of comprehensive financial investment business entities system such as the increased scale of equity of security firm, etc. but on the contrary, there are negative effects such as the competitiveness and business foundation of small to medium security firms have been rapidly weakened, relatively. It suggests that this is a moment needed the corresponding policy for the improvement of competitiveness such the specialization, etc. of security firm in order to mitigate the polarization between the comprehensive financial investment business entities and the small to medium security firms along with the efforts

      • KCI등재

        조선 후기 宗簿寺 郎廳의 실태 및 운영체계 — 장서각 소장 『宗簿寺郎廳先生案』을 중심으로 —

        김동근 동양고전학회 2017 東洋古典硏究 Vol.0 No.69

        이 글은 18세기부터 19세기 중반까지 종부시의 관원, 그 중에서도 실무를 담당했던 정 이하의 관원에 대한 실태를 분석하는 데 목적이 있다. 종부시는 왕실 보첩을 편찬하고 친진 범위 내의 종친들을 규찰하던 정3품 당하 관서이다. 조선 후기 종부시의 낭청으로는 정3품 당하관 정, 종6품 주부, 종7품 직장이 있었다. 이러한 체제는 조선 시대 내내 유지되다가 1864년(고종 1) 종친부에 합속 되었다. 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에 소장된 유일본인 『종부시낭청선생안』은 1794년(정조 18)부터 종친부에 합속 될 때까지 낭청에 대한 명단이 기록되어 있다. 이들의 관직, 성명, 자, 생년, 본관, 전직, 이직 등의 기록들이 남아 있어 조선 후기 종부시를 이해하는데 중요한 자료로 활용될 수 있다. 이들의 출신 성분을 살펴보면 전체적으로 문과 출신자들이 다수를 차지하였다. 직장의 경우에는 상당수가 소과 출신자들이었는데, 관직을 제수 받을 때에는 문음의 자격으로 임명되었다. 이들의 전직을 살펴보면 대체적으로 해당 관직과 유사하거나 그보다 낮은 품계에서 차출되었음을 알 수 있다. 주부의 전직 관서로는 청요직 관서에서의 차출이 가장 많이 나타났으며, 각종 행정아문에서의 차출도 많았다. 직장의 경우 1품아문인 의금부의 도사가 가장 많이 차출되었는데, 이러한 낮은 관서로의 차출은 관직 고하를 떠나 실직을 제수한 것으로 보인다. 종부시 관원의 이직을 살펴보면, 종부시 정은 낮은 직급으로의 이직을 많이 하였는데, 정3품 당상관의 자리가 제한되어 있었기 때문으로 보이며, 주로 청요직 관서로 이직한 것으로 보아 정3품 당하관의 청요직 관로를 확인할 수 있었다. 그 외에 외관으로의 이직도 많았는데 인사 적체 현상을 해소하는 방편으로 이해된다. 주부와 직장은 대체적으로 승진을 하거나 유사한 관품의 직급으로 이직을 하였다. 특히 종7품인 직장은 절대 다수가 승육을 하였다. 종부시 관원을 가장 많이 역임한 가문은 전주 이씨로 전체의 10% 정도를 차지한다. 종부시 관원을 역임한 성관은 조선 후기 문과 급제자의 출신 성관과 대부분 겹치는데, 문과 급제자를 많이 배출한 성관에서 종부시 관원을 많이 배출해 냈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상위 20개 가문의 역임 횟수가 전체 50% 정도에 이르는데 특정 가문의 관직 독점 현상도 확인할 수 있었다. 『종부시낭청선생안』의 기록에 나와 있는 승진, 승육, 가자 등의 사유를 살펴보면 90% 가까이 선원보략 수정 후의 일로 나와 있다. 종부시의 두 가지 직능 가운데 종친 규찰 업무가 조선 후기에 상실된 것으로 보이는데, 연대기 자료에서도 조선 후기 종친 규찰 업무는 거의 보이지 않는다. 이는 17세기 인조 대부터 종친의 수가 급감하는 현상과 관련이 있다. 종친의 수가 왕실 의례를 거행하는데 미치지 못할 만큼 줄어들게 되자, 종부시에서의 종친 규찰 업무는 기능을 상실하게 되었고, 왕실보첩 편찬 업무만이 남게 된 것이다. 이렇듯 종친의 위상이 격하되자, 흥선대원군은 종친의 위상 강화 및 왕실 권위를 높이려는 의도로 종친부와 종부시를 통합하게 되었다.

      • KCI등재

        조선후기 宗簿寺 「提調」의 실태 및 운영체계

        김동근(Kim, Dong-geun) 한국학중앙연구원 2018 장서각 Vol.0 No.39

        이 글에서는 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에 소장되어 있는 『종부시제조선생안』을 분석하여 조선후기 종부시의 운영체계 및 관원의 실태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분석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종부시의 업무와 관련하여 「제조」의 역할 및 위상을 살펴보았다. 그들의 역할이 종친 규찰 업무 강화와 밀접한 관련이 있는 만큼, 조선전기에는 도제조를 대군이나 왕자군에서 임명하였고, 제조는 종친과 고위 관료층에서 임명하였다. 비록 법전에 그들의 자격 요건이 명시된 것은 정조 대 『대전통편』 단계에 와서야 이루어졌지만, 관행적으로 세종 대 논의한 대로 임명되었음을 실제 역임자들을 분석한 결과를 통해 확인할 수 있었다. 이러한 흐름이 후기에 와서도 지속되었다는 것도 『제조선생안』을 통해 확인하였다. 둘째, 종부시의 「제조」의 성관을 분석하였는데 그 결과 다음과 같은 특징들을 발견할 수 있었다. ① 특정 성관에서 종부시 제조를 독점하는 현상이 나타났다. ② 조선후기 종친의 수가 급감하는 현상으로 인해 숙종 대 이후로는 도제조가 임명되지 않았다. 또한 영조 대 이후부터는 제조도 종친 가운데서 임명하지 않고 일반 관리들 가운데서만 임명하고 있음을 발견하였다. ③ 조선전기에 종부시 제조에 임명된 성관과 후기에 임명된 성관에 상당한 차이가 있다는 것이다. 이는 임진왜란 이후 사회가 재편되면서, 사회 지도층을 담당하는 성관 역시 변화했기 때문으로 보인다. ④ 외척들이 제조를 겸임하는 경우가 증가하였는데, 특히 세도정권 시기에 급증하는 현상이 나타났다. 이는 왕권을 장악하고 있던 외척세력들이 종친을 관리하는 부서인 종부시를 장악하여 향후 정국의 운영을 자신들에게 유리하게 끌고 나가기 위한 발판으로 삼은 것으로 보인다. ⑤ 조선전기에 비해 후기에는 종부시 제조를 역임한 종친의 비율이 급감하였다. 반면에 문과 출신자들의 비율이 거의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었다. 후기로 갈수록 종친의 수가 급감하여 종부시의 위상과 역할이 축소된 것을 알 수 있었다. 셋째, 겸직인 제조의 실직을 파악하고 분석을 시도하였다. 종부시 제조 가운데 상당수는 군직을 가지고 있었다. 그 다음으로 육조의 당상관들이었는데 고위직의 승진 경로를 밟고 있는 자들이 제조직을 겸임하고 있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육조 가운데 호조와 형조 관리의 수가 가장 많았는데 업무의 유사성과 관련이 깊은 것으로 보인다. 넷째, 『제조선생안』에 기재된 면직 일자에는 다양한 사유들이 기록되어 있었는데 유형별로 나누어 보면 그 가운데 파직·삭직의 사유가 가장 많았다. 그 가운데 압도적으로 영·정조 대의 당쟁과 관련된 경우가 많았던 것을 알 수 있었다. This paper analyzes the contents of Jongbusi jejo seonsaengan (Register of Commissioners at the Court of the Royal Clan, hereinafter “the Register”), which is kept at Jangseogak Archives of the Academy of Korean Studies, in order to examine the operation system of Jongbusi (Court of the Royal Clan) and the characteristics of its officials. During the early Joseon period, as the Court of the Royal Clan was in charge of monitoring any wrongful or illegal acts of the royal relatives, its dojejo (supreme commissioners) were appointed among the grand princes and princes, and jejo (assistant commissioners) were among the royal relatives and higher government officials. The requirements for these commissioners were not specified in the laws until the publication of Daejeon tongpyeon (Comprehensive National Code) during the reign of King Jeongjo (r. 1776~1800). However, the Register shows that the commissioners were actually selected in accordance with the general practice agreed in the reign of King Sejong (r. 1418~1450), and this system continued until the late Joseon period. The family origin of the commissioners also shows several interesting aspects. First, some family clans monopolized the post of commissioners. Second, as the number of royal relatives sharply reduced in the late Joseon period, supreme commissioners were not appointed from the reign of King Sukjong (r. 1674~1720). Moreover, from the reign of King Yeongjo (r. 1724~1776), assistant commissioners were appointed from general government officials, instead of from royal relatives. Third, there were considerable changes in the clans of commissioners between the early Joseon period and the late Joseon period. This transition is assumed to have been closely related to the reorganization of the Joseon society after the Imjin War in the late 16th century. Fourth, an increasing number of assistant commissioners were appointed from the relatives of queens, especially during the era of so-called in-law government. It was because the royal in-law families intended to gain the control over the Court of the Royal Clan, and consequently over the royal relatives, so that they could manipulate the political situation to their advantage. Lastly, the percentage of royal relatives who served assistant commissioners at the Court of the Royal Clan rapidly decreased in the late Joseon period, while most of the assistant commissioners were from the successful candidates of the higher civil service examinations. This change indicates that the authority androles of the Court of the Royal Clan were reduced in the late Joseon period. Another important characteristic of assistant commissioners at the Court of the Royal Clan was that they were concurrently hold other official posts. The largest number of them were military officials. The second largest number of them were high-level officials of the Six Ministries–in particular, the officials on the promotional track. Most of them were from the Ministry of Taxation and the Ministry of Punishment, probably due to the similarities between the duties. Last but not least, the Register recorded various reasons of dismissal along with the dismissal date. The largest number were disciplinary dismissals, and the majority of them were related to the factional strives during the reigns of King Yeongjo and Jeongjo.

      • KCI등재

        조선후기 종부권의 성격과 의미-종부의 봉사권과 입후권에 대한 예학적 논의를 중심으로-

        김보람 조선시대사학회 2022 朝鮮時代史學報 Vol.- No.101

        본 연구는 조선전기 총부권과의 연속적인 이해를 고려하면서, 종법적 가계계승 질서의 강화라는 맥락 속에서 조선후기 종부권의 역사적 성격과 의미를 규명하였다. 구체적으로는 종부의 봉사권과 입후권을 둘러싼 예학적 논의들을 통해 종법적 논리 속에서 종부에게 부여된 지위와 그에 따른 역할을 살펴보았다. 조선후기 종부들은 남편이 무후로 사망한 이후에도 가계계승 문제, 즉 봉사와 입후 문제에서 일정한 역할을 하였다. 봉사권과 입후권으로 대표되던 조선전기 총부권이 조선후기의 종부권으로 전환된 것이지만, 부계질서의 심화와 함께 종부들은 기존 권한의 축소를 경험했다. 그렇지만 이렇게 축소된 범위 내의 종부권에 한해서는 종법적 논리 속에서 오히려 확고하게 보장되었던 측면이 있었다. 특히 ‘종자의 처’로서 종부의 위치는 종부의 봉사권과 입후권이 긍정되는 중요한 근거로 작용했다. 조선 전․중기 총부권이 고려 이래의 제사 관행과 국속의 차원에서 주장되었다면, 조선후기 종부권 논의는 종법적 가계계승의 논리 속에서만 이루어졌다는 점에서 중요한 차이를 보였다. 후기로 갈수록 종자와 지자의 구분이 엄중해지고, 지자의 탈종에 대한 우려가 심화되는 분위기 속에서, 종자의 처라는 종부의 위치와 그에 따른 역할은 지자로부터 종통을 지킬 수 있는 최선의 방안으로 간주되었다. 종법적 가계계승 질서 속에서 종부는 지자에 대하여 종자 계열을 대표하는 존재로 자리매김하게 된 것이었다.

      • 이사야 40-66장에 나타난 종과 종들 -종의 주제 변이를 중심으로-

        이희성 한국신학정보연구원 2009 Canon&Culture Vol.3 No.1

        구약 주해에서 가장 논쟁이 되는 이슈 가운데 하나는 이사야서에 나타난 수수께끼 같은 종의 문제를 해결하는 것이다. 학자들의 지배적인 관심의 초점은 종의 정체성에 관한 것이었다. 그러나 종의 정체성에 대한 탐구는 난관에 봉착했다. 따라서 본 소고는 종의 문제를 이사야 40-66장의 넓은 담화 단위 안에서 종의 주제의 변이의 관점으로 연구하려고 한다. 종의 정체성과 하나님의 대행자인 그의 기능을 논의한다. 하나님의 지명된 대행자로서 종의 정체성은 실제적인 이스라엘, 이상적인 이스라엘, 고레스, 개인적인 선지자적 인물, 고난의 인물과 같은 주제의 발전을 보이며 발전한다. 그와 동시에 이사야 40-52장 전반에 걸쳐 종의 주제는 그의 사명과 인격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이사야 52:13-53:12에서 고난의 종의 사명은 백성들을 위한 대리적 고난으로 특징지어지며 그 사명의 결과는 백성들의 죄악을 담당하고 그들을 의롭게 하므로 그들에게 구원을 주는 것이다. 고난의 종의 사명의 혜택을 입은 자들은 본문에서 복수 용어로 설명된다. “우리”와 “많은 사람.” 이 두 용어는 죄를 고백하는 이스라엘, 종에게 반응하는 열방들, 이스라엘의 자녀들을 포함한다. 고난의 종의 사역을 통하여 의롭게 된 자들은 주님의 종들의 일원이 된다(54:17). 이사야 56-66장은 종들의 인격과 자질을 강조하면서 종들의 주제를 더욱 발전시킨다. 국가나 민족의 장벽에 상관없이 하나님께 의와 공의로 신실하게 반응하는 자들은 종들이다(56:1-8; 57:3; 58:1-14). 종들은 공동체의 죄악을 바라보며 탄식하는 자들이다(63:7-64:11). 또한 종들은 야곱의 자손이며 땅과 거룩한 산의 상속자들이며 하나님의 택함을 입은 자들이며 하나님을 간절히 찾는 자들이다(65:9-16). One of the most provocative issues in Old Testament exegesis has been to solve the problem of the enigmatic servant figure in the book of Isaiah. The dominant scholarly concern has been focused on the identity of the servant. However, the quest for the identity of the servant results in an impasse. Thus, this study explores the servant theme from the perspective of the variations on the theme of the servant within the larger discourse unit(Isaiah 40-66). The servant theme is discussed not only in terms of the identify of the servant, but also his function as God’s agent. While there is thematic progression in the identity of the servant as God’s appointed agent, by way of empirical Israel, ideal Israel, Cyrus, an individual prophetic figure, and a suffering figure, the servant theme throughout chapters 40-52 persistently focuses on the task, character. In Isaiah 52:13-53:12, the task of the suffering servant is characterized by the vicarious suffering of the people and his task results in the salvation of the people by his bearing their sins and making them righteous. The beneficiaries of the task of the suffering servant can be explained by the plural terms in the text: “we” and “many.” These two terms embrace the confessional Israel, the responsive nations, and the children of Israel. Those who are justified by the suffering servant is incorporated as the servants of the Lord(54:17). Isaiah 56-66 further develops the servants theme by emphasizing the character and qualification of them. Regardless of nationality and ethnicity those who faithfully respond to God with righteousness and justice are the servants(56:1-8; 57:3; 58:13-14). The servants are offspring of Jacob, heirs of the land and holy mountain, God’s chosen people, those who seek God(65:9-16).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